KR20210020756A -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 - Google Patents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756A
KR20210020756A KR1020200063066A KR20200063066A KR20210020756A KR 20210020756 A KR20210020756 A KR 20210020756A KR 1020200063066 A KR1020200063066 A KR 1020200063066A KR 20200063066 A KR20200063066 A KR 20200063066A KR 20210020756 A KR20210020756 A KR 20210020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korean
stems
stem
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912B1 (ko
Inventor
남기춘
정재범
박한슬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20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의 학습 방법은 한국어가 모국어인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에 필요한 평정척도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평정척도를 기초로 특정 동사 어간과 적어도 하나의 음절이 동일한 어간들을 선별하는 제1 선별단계; 상기 제1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어절들 중 주 사용 대상이 될 외국인과 유아기 한국어 학습자의 수준 및 실생활에 적합하도록 기설정된 빈도 이상의 어간만 선별하는 제2 선별단계; 및 상기 제2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어절을 기반으로, 반복 학습을 위한 인터넷 콘텐츠 및 교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특허에서 새롭게 제시하는 한국어 학습도구는 동사 어절의 핵심 부분인 어간과 이와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어간들을 선정하여 학습하는 방식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응용 가능한 방식으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SYNONYM-STEM BASED KOREAN VERB LEARNING TOOL}
본 출원은 한국어 동사 어절에서 동일한 어간의 두 어절이 제시되었을 때 혹은 의미가 유사한 어간을 갖는 두 어절이 제시되었을 때, 뒤 어절에 대한 인지 처리가 촉진됨을 이용하여 한국어 학습을 보다 빠르고 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학습 효율성에 대한 기술 분야이다.
본 출원과 관련하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혹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학습 도구 기술들의 학습 전자기기 기술은 존재한다. 현재 한글 학습 프로그램에서 한글 철자를 가르치는 내용은 있지만 본 발명인 의미가 유사한 어간끼리 한국어 학습을 유도하는 콘텐츠는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한국어 학습 도구 관련 특허는 학습을 도와주는 전자기기 발달과 프로그램 발달에 관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한국어 사용자의 특징이나 학습의 효율성 등 인지 및 언어심리학적 내용을 고려한 핵심적인 한국어 학습 콘텐츠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학습 콘텐츠는 철자 조합이나 이미지 연상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한국어 학습에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 동사 어절은 이미지로 나타내기 어려워 명사보다 학습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하여 한국어의 중요 단위인 어절, 특히 동사 어간 기반의 한국어 학습 방법을 제시하여 기존의 철자, 이미지 중심 콘텐츠에 더해 더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여 효과적인 한국어 학습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의 학습 방법은, 한국어가 모국어인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에 필요한 평정척도의 기준이 될 평정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평정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동사 어간과 적어도 하나의 음절이 동일한 어간들을 선별하는 제1 선별단계; 상기 제1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어절들 중 주 사용 대상이 될 외국인과 유아기 한국어 학습자의 수준 및 실생활에 적합하도록 기설정된 빈도 이상의 어간만 선별하는 제2 선별단계; 및 상기 제2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어절을 기반으로, 반복 학습을 위한 인터넷 콘텐츠 및 교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별단계는, 상기 어간의 기설정된 빈도 이상의 다양한 어미를 결합하여 동사 어절의 활용적 측면까지 학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콘텐츠 및 교재는, 학습 파트에 더해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퀴즈를 제공하여 학습에 대한 피드백을 얻고, 상기 학습자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설립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학습 파트는 중심 어간에 다양한 어미가 결합된 활용형 학습; 상기 중심 어간과 유사한 의미의 동사 어간 학습; 상기 유사 의미 어절의 수를 늘려가며 학습; 및 의미가 유사하지 않은 어절을 판단하는 객관식 문제 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장치에 있어서, 한국어가 모국어인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에 필요한 평정척도의 기준이 될 평정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평정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동사 어간과 적어도 하나의 음절이 동일한 어간들을 선별하는 제1 선별부; 상기 제1 선별부에서 선별된 어절들 중, 주 사용 대상이 될 외국인과 유아기 한국어 학습자의 수준 및 실생활에 적합하도록 기설정된 빈도 이상의 어간만 선별하는 제2 선별부; 및 상기 제2 선별부에서 선별된 어절을 기반으로, 반복 학습을 위한 인터넷 콘텐츠 및 교재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콘텐츠 및 교재는, 학습 파트에 더해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퀴즈를 제공하여 학습에 대한 피드백을 얻고, 상기 학습자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설립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학습 파트는 중심 어간에 다양한 어미가 결합된 활용형 학습; 상기 중심 어간과 유사한 의미의 동사 어간 학습; 상기 유사 의미 어절의 수를 늘려가며 학습; 및 의미가 유사하지 않은 어절을 판단하는 객관식 문제 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기존 한국어 학습 도구는 단순히 한글 자음이나 '가', '나' 등의 기본 음절로 시작하는 단어 혹은 어절을 무선 선발하여 학습하는 방식으로, 언어심리학적으로 효과적인 학습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본 특허에서 새롭게 제시하는 한국어 학습도구는 동사 어절의 핵심 부분인 어간과 이와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어간들을 선정하여 학습하는 방식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응용 가능한 방식으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다. 어절판단 행동실험에서 얻은 반응 시간 등의 데이터를 통해 어절 및 어간 등 형태소들이 한국어 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어 단어와 어절 학습을 위한 교재 개발 과정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의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핵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사 어절 학습 도구는 유사 의미 어간, 빈도, 난이도 등을 고려한 어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한국어 동사 어절에서 동일한 어간의 두 어절이 제시되었을 때 혹은 의미가 유사한 어간을 갖는 두 어절이 제시되었을 때, 뒤 어절에 대한 인지 처리가 촉진됨을 이용하여 한국어학습을 보다 빠르고 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학습 효율성에 대한 기술 분야이다. 유사 의미 어간, 빈도, 난이도 등을 고려한 어간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동사 어절 학습 도구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한국어 학습 도구는 단순히 한글 자음이나 '가', '나' 등의 기본 음절로 시작하는 단어 혹은 어절을 무선 선발하여 학습하는 방식으로, 언어심리학적으로 효과적인 학습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본 특허에서 새롭게 제시하는 한국어 학습도구는 동사 어절의 핵심 부분인 어간과 이와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어간들을 선정하여 학습하는 방식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응용 가능한 방식으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다. 어절판단 행동실험에서 얻은 반응 시간 등의 데이터를 통해 어절 및 어간 등 형태소들이 한국어 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어 단어와 어절 학습을 위한 교재 개발 과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 가운데 "제 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의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는 한국어가 모국어인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에 필요한 평정 데이터를 수집한다(S100).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는 특정 동사 어간과 의미적으로 유사성이 높은 어간들을 선별한다(S110).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는 학습자의 수준 및 실생활에 적합하도록 기설정된 빈도 이상의 어간만 선별한다(S120).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는 어간의 빈도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값만 선별한다(S130).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는 선별된 어절을 기반으로 반복 학습을 위한 인터넷 콘텐츠나 교재 교구를 개발하고, 제공한다(S1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의 구체적인 학습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100)는 수집부(110), 제1 선별부(120), 제2 선별부(130), 제공부(140)를 포함한다.
수집부(110)는 한국어가 모국어인 화자로부터 평정척도(rating scale)의 기준이 될 평정데이터를 수집한다.
평정척도(rating scale)는, 측정할 대상이 연속성을 갖고 있다고 전제하여 일정한 등급법에 따라 평가하는 척도로써, 교사가 학생을 ‘수,우,미,양,가‘로 분류하거나, 교수가 학생의 학점을 ’A,B,C,D,F‘로 분류하는 것 역시 평정척도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다. 평정 척도는 수직선 비슷하게 선을 긋고 각 위치에 균등한 거리로 세로선을 그어서 각각의 값을 나타내 보여주는 도표 척도, 선을 긋는 것이 아니라 어떤 속성을 나타내는 표현들을 정도에 따라 오름차순 혹은 내림차순으로 배열하는 범주 척도, 각각의 값들을 글자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얼굴 표정을 본뜬 이미지로 대체하는 안면 척도, 어떤 태도에 대해 “긍정/부정(만족/불만족)”의 정도를 측정하는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평정척도(rating scale)는 한국어가 모국어인 화자를 대상으로 얻은 평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평정척도(rating scale)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학습된 한국어 능력을 측정한다.
제1 선별부(120)는 수집한 평정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동사 어간과 의미적으로 유사성이 높은 어간들을 선별한다.
어간이란, 용언이 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 부분으로, 동사, 형용사와 같은 용언은 어간과 어미로 이루어져 문장에서 쓰일 때 그 형태가 변하는데 이를 활용이라고 하고, 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 부분을 어간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예쁘다, 예쁘고, 예쁘지만, 예뻐(쁘어)서 에서의 예쁘-가 어간이다.
본 발명에서, 유사성이 높은 어간이란, 예쁘다의 유사성이 높은 어간을 예를 들면, 이쁘다의 이쁘-, 아름답다의 아름답-, 곱다의 곱- 등이 있으며, 파랗다의 파랗+아서, 파래서에서 파랗-과 같이 ’ㅎ’불규칙용언이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선별부(130)는 제1 선별부(120)에서 유사성에 따라 선별된 어절들 중, 주 사용 대상이 될 외국인과 유아기 한국어 학습자의 수준 및 실생활에 적합하도록 기설정된 빈도 이상의 어간만 선별한다.
여기서 빈도는, 평소 한국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어절 및 어간)의 빈도이며, 해당 빈도의 수치는 숫자로 한정할 수 있다.
또한, 난이도를 고려한 어간을 선별하여 어절들 중 난이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어간의 난이도 수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소 한국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등’ 빈도수가 높은 단어는 5점, ‘당알지다, 달게굴다, 닦달맞다’ 등 사용 빈도가 낮은 단어는 2점 이하로 설정하여 3점이상의 단어만 선별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공부(140)는 제2 선별부(130)에서 빈도에 따라 선별된 어절을 기반으로, 반복 학습을 위한 인터넷 콘텐츠 및 교재 교구를 제공한다.
해당 교과서 교재, 인터넷 교재에서는 학습 파트에 더해 본인의 학습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퀴즈를 제공하여 학습에 대한 피드백을 얻고 학습 계획을 설립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평정척도를 바탕으로 학습된 한국어 능력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라 유사 의미 어간을 선별하도록 한다. 이는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얻은 평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특정 동사 어간과 의미적으로 유사성이 높은 어간들을 선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뿐만이 아니라 빈도, 난이도 등을 고려한 어간을 선별하도록 한다. 의미 유사성에 따라 선별된 어절들 중 주 사용 대상이 될 외국인과 유아기 한국어 학습자의 수준 및 실생활에 적합하도록 빈도가 지나치게 낮지 않은 어간만 선별한다. 또한, 어간에 빈도가 지나치게 낮지 않은 다양한 어미를 결합하여 동사 어절의 활용적 측면까지 학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동사 어절 학습 도구 개발하여 선별된 어절을 기반으로 반복 학습을 위한 인터넷 콘텐츠나 교재 교구를 개발할 수 있다. 해당 교과서 교재, 인터넷 교재에서는 학습 파트에 더해 본인의 학습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퀴즈를 제공하여 학습에 대한 피드백을 얻고 학습 계획을 설립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동사 어절 학습 도구는 유사 의미 어간, 빈도, 난이도 등을 고려한 어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기존 한국어 학습 도구는 단순히 한글 자음이나 '가', '나' 등의 기본 음절로 시작하는 단어 혹은 어절을 무선 선발하여 학습하는 방식으로, 언어심리학적으로 효과적인 학습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본 특허에서 새롭게 제시하는 한국어 학습도구는 동사 어절의 핵심 부분인 어간과 이와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어간들을 선정하여 학습하는 방식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응용 가능한 방식으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다. 어절판단 행동실험에서 얻은 반응 시간 등의 데이터를 통해 어절 및 어간 등 형태소들이 한국어 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어 단어와 어절 학습을 위한 교재 개발 과정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100)는 중심 어간에 다양한 어미가 결합된 활용형 학습을 수행한다(S300).
예를 들어, ‘보다, 보니, 보고’에서 ‘보-’는 어간이고, ‘다, 니, 고’와 같이 변하는 부분이 어미이다.
중심 어간과 유사한 의미의 동사 어간 학습을 수행한다(S310).
유사 의미 어절의 수를 늘려가며 학습한다(S320).
여기서 어절은, 문장을 이루는 도막도막의 마디이며 문장 성분의 최소 단위로서 띄어쓰기의 단위가 된다.
예를 들어, 초기에는 유사 의미 어절의 수를 한 어절 또는 두 어절로 학습할 수 있고, 이후에 점차적으로 어절의 수를 늘려가며 학습할 수 있다.
의미가 유사하지 않은 어절을 판단하는 객관식문제를 제시한다(S330)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한국어 화자
100 : 한국어 학습 도구
110 : 수집부
120 : 제1 선별부
130 : 제2 선별부
140 : 제공부

Claims (7)

  1.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한국어가 모국어인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에 필요한 평정척도의 기준이 될 평정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평정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동사 어간과 적어도 하나의 음절이 동일한 어간들을 선별하는 제1 선별단계;
    상기 제1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어절들 중 주 사용 대상이 될 외국인과 유아기 한국어 학습자의 수준 및 실생활에 적합하도록 기설정된 빈도 이상의 어간만 선별하는 제2 선별단계; 및
    상기 제2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어절을 기반으로, 반복 학습을 위한 인터넷 콘텐츠 및 교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별단계는, 상기 어간의 기설정된 빈도 이상의 다양한 어미를 결합하여 동사 어절의 활용적 측면까지 학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콘텐츠 및 교재는, 학습 파트에 더해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퀴즈를 제공하여 학습에 대한 피드백을 얻고, 상기 학습자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설립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파트는 중심 어간에 다양한 어미가 결합된 활용형 학습;
    상기 중심 어간과 유사한 의미의 동사 어간 학습;
    상기 유사 의미 어절의 수를 늘려가며 학습; 및
    의미가 유사하지 않은 어절을 판단하는 객관식 문제 제시를 포함하고,
    상기 평정척도를 바탕으로 학습된 한국어 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 방법.
  5.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장치에 있어서,
    한국어가 모국어인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에 필요한 평정척도의 기준이 될 평정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평정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동사 어간과 적어도 하나의 음절이 동일한 어간들을 선별하는 제1 선별부;
    상기 제1 선별부에서 선별된 어절들 중, 주 사용 대상이 될 외국인과 유아기 한국어 학습자의 수준 및 실생활에 적합하도록 기설정된 빈도 이상의 어간만 선별하는 제2 선별부; 및
    상기 제2 선별부에서 선별된 어절을 기반으로, 반복 학습을 위한 인터넷 콘텐츠 및 교재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콘텐츠 및 교재는, 학습 파트에 더해 상기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퀴즈를 제공하여 학습에 대한 피드백을 얻고, 상기 학습자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설립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파트는 중심 어간에 다양한 어미가 결합된 활용형 학습;
    상기 중심 어간과 유사한 의미의 동사 어간 학습;
    상기 유사 의미 어절의 수를 늘려가며 학습; 및
    의미가 유사하지 않은 어절을 판단하는 객관식 문제 제시를 포함하고,
    상기 평정척도를 바탕으로 학습된 한국어 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 장치.
KR1020200063066A 2019-08-14 2020-05-26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 KR102393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64 2019-08-14
KR20190099264 2019-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756A true KR20210020756A (ko) 2021-02-24
KR102393912B1 KR102393912B1 (ko) 2022-05-03

Family

ID=7468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066A KR102393912B1 (ko) 2019-08-14 2020-05-26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095A (ko) 2021-07-29 2023-02-07 케이랩 주식회사 비모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 학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339B1 (ko) 2022-11-29 2023-04-11 미하루 오구마 한국어 학습용 교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118A (ko) * 1997-12-02 1999-07-05 정선종 한국어 교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24250A (ko) * 2006-09-13 2008-03-18 이석호 빈출 순에 따른 사전형 단어집 구성 방법 및 사전형 단어집
KR20100138240A (ko) * 2009-06-24 2010-12-31 남찬희 외국어 단어 평생 학습 장치 및 방법
JP2018180299A (ja) * 2017-04-13 2018-11-15 イー・エム・エス株式会社 単語習得訓練システム
KR20180130743A (ko) * 2017-05-30 2018-12-10 박종철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118A (ko) * 1997-12-02 1999-07-05 정선종 한국어 교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24250A (ko) * 2006-09-13 2008-03-18 이석호 빈출 순에 따른 사전형 단어집 구성 방법 및 사전형 단어집
KR20100138240A (ko) * 2009-06-24 2010-12-31 남찬희 외국어 단어 평생 학습 장치 및 방법
JP2018180299A (ja) * 2017-04-13 2018-11-15 イー・エム・エス株式会社 単語習得訓練システム
KR20180130743A (ko) * 2017-05-30 2018-12-10 박종철 단어 연상 암기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095A (ko) 2021-07-29 2023-02-07 케이랩 주식회사 비모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 학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912B1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00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keywords in language learning
Vančová Current issues in pronunciation teaching to non-native learners of English
Khoo et al. Teachers’ evaluation of KBSM Form 4, 5 English textbooks used in the secondary schools in Penang, Malaysia
KR102393912B1 (ko)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
KR20190143057A (ko) 한자와 중국어의 병행 학습이 가능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Zhang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ree measurement methods of Chinese character recognition for L2 Chinese learners
Rezqi et al. An Analysis of Translation Acceptability in Translating Humour About Pun
Laurillard et al. Computer-based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learning
Kerr Philip Kerr’s 30 Trends in ELT eBook
Lee et al.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online Malay language corpus-based lexical database
Ramadhani Stimulating Efl (English As Foreign Language) Students’ Writing Skill By Using Social Media
Kolsvik " Moving toward (s) Americanization: a study of the use of and attitudes toward American spelling, vocabulary and pronunciation among Norwegian students and teachers
Probowati et al. Model Development of Children's Language Skills Based on Digital Literacy
Hurley Kanji learning by Japanese language learners from alphabetic backgrounds: an examination of how ‘component analysis’ impacts learners of differential proficiencies
Nunes et al. A serious game powered by semantic web technologies
Brinton Effective pronunciation teaching
Faiza A MODEL OF GENRE BASED PARAGRAPH WRITING MATERIALS FOR THE SECOND SEMESTER STUDENTS OF ENGLISH EDUCATION STUDY PROGRAM AT JAMBI UNIVERSITY
Jovanovska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a research of using literature forms in the English Language Schoolbooks
KD et al. Developing ESP Reading Materials by using Authentic Materials for Automotive Students at SMKN 2 Jember
Hasyyati STUDENTS’PERCEPTIONS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KILL APPROACH ON LEARNING ACTIVITIES OF ENGLISH FOR ACADEMIC COMMUNICATION AT ENGLISH DEPARTMENT, UNIVERSITAS NEGERI JAKARTA (A SURVEY STUDY)
Mahendra An Authentic Assessment on Sentence Complexity Toward Indonesian Efl Student's Writing Production
Jha AN OUTLINE OF POPULAR ELT APPROACHES, METHODS, AND TECHNIQUES
Tokdemir Demirel et al.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rpora on Lexical Revision in L2 Writing.
LEE Introducing Writing Prompts: A Resource for Teaching, Evaluating, and Researching
Guruprakash et al. TOOLTIP TRANSLATOR FOR ELEARNING COURSEWARE TO IMPROVE LEARNER’S VOCABULA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