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118A - 한국어 교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한국어 교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118A
KR19990047118A KR1019970065368A KR19970065368A KR19990047118A KR 19990047118 A KR19990047118 A KR 19990047118A KR 1019970065368 A KR1019970065368 A KR 1019970065368A KR 19970065368 A KR19970065368 A KR 19970065368A KR 19990047118 A KR19990047118 A KR 19990047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arner
korean
sentence
pronunc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8451B1 (ko
Inventor
채영숙
장원
최승권
심철민
김영길
박동인
김태완
여상화
정한민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65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4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47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7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questions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인을 포함하여 한국어를 모르는 사람에게 한국어를 교육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일방적인 교육 시스템이 아니라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학습 방법으로 학습자의 한국어에 대한 언어 수준을 장치가 자동으로 판단함으로써 학습자의 한국어 실력에 맞도록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학습자의 편의성을 위해 그래픽 기능, 문자 인식 기능, 음성 인식, 출력 기능, 철자 검사, 문법 검사 기능을 보유한 한국어 교육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국어 교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외국인을 포함하여 한국어를 모르는 사람에게 한국어를 교육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방적인 교육 시스템이 아니라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학습 방법으로 학습자의 한국어에 대한 언어 수준을 장치가 자동으로 판단함으로써 학습자의 한국어 실력에 맞도록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학습자의 편의성을 위해 그래픽 기능, 문자 인식 기능, 음성 인식, 출력 기능, 철자 검사, 문법 검사 기능을 보유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사한 형태의 기 개발된 교육 시스템는, 단순히 교육 내용 및 절차가 이미 보관되어 있어 그 정해진 학습 절차에 따라 학습자에게 단순한 형태의 출력 장치를 통해 그것을 제시하고, 학습자는 본인이 맞다고 생각하는 답을 4지 선다형 형식의 정해진 칸에 답을 하는 형태이다. 음성출력은 이미 보관된 내용의 일부를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단순한 출력만을 제시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이런 단점들을 보완하고 학습자를 고려한 본 발명에 의한 교육용 장치는 다음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능력에 맞도록 학습 내용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학습자의 학습 내용을 기존의 학습 정도에 따라 교육 시스템은 자체 판단하는 능력을 보유해야 한다.
셋째, 학습자와의 편리한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해 텍스트뿐만이 아니라 음성, 문자, 그림 등의 다양한 매체가 지원되어야 한다.
넷째,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장치의 진행 방향을 장치가 자체 판단에 의해 진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자신의 모국어와 다른 형식의 언어나 새롭게 하나의 언어를 습득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외국인에게 한국어는 생소한 글자 모습과 특이한 발음, 색다른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을 포함하여 한국어를 모르는 사람에게 한국어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는, 교육을 위해 체계적으로 잘 정리된 한국어 지식베이스를 고차원적인 링크 형태로 변형된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구축하며, 정확한 발음 지원을 위한 음성 출력기, 발음 교정을 위한 화자 독립 음성 인식기, 글자 교육을 위한 온라인 문자 인식기, 이미 저장된 지식베이스 이외의 한국어 입력 자료의 잘못된 사용을 지적하기 위한 철자 검사기, 문법 검사기, 학습자와의 사용 편의를 위한 그래픽 학습자 인터페이스, 교육 진행 단계를 기억하는 학습 진척도 기록기,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수시로 판단할 수 있는 학습자 학습 능력 판별기, 외국인의 어휘 설명을 지원하기 위한 한국어 전자 사전, 이러한 모든 장치들과 전체적으로 학습의 흐름을 제어, 관리하는 학습 제어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교육 시스템의 지원 수준은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 정도에 따라 글자 습득 수준에서 출발하여, 쉬운 단어, 쉬운 문장 구조에서 복잡한 한국어 문형으로 발전되도록 구성한다. 이 때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학습자의 능력을 장치가 스스로 판단, 평가가 가능하며, 학습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교육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교육 시스템은 한국어의 쓰기, 듣기, 말하기, 읽기 교육이 동시에 가능한 형태로서 학습자의 학습 정도에 따라 다른 학습 내용을 제시하게 되며,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교육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교육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글자 학습의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단어 학습의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문장 학습의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지식베이스의 일 예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전자 사전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기본 문형을 나타낸 표.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문형 중 수식 구조 형태의 일예.
제 10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문형 중 접속 구조 형태의 일예.
제 1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문장 배치 학습의 일예.
제 1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교육용 장치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학습자 정보 기록기
20 : 학습 제어기
30 : 음성 출력기
40 : 음성 인식기
50 : 문자 인식기
60 : 철자 검사기/문법 검사기
70 : 학습진척도기록기
80 : 학습능력판별기
90 : 학습지식베이스
100 : 전자사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정보 기록기(10)는, 학습자의 신상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다. 이때 기록의 내용은 한국어 학습 정도, 자신의 모국어 종류, 한국어 학습 목적을 기록한다. 이 학습자 정보 기록기(10)는 저장된 정보를 학습 제어기(20)에 전달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학습 내용을 선정하게 된다.
학습 제어기(20)는, 학습자 정보 기록기(10)와 학습 능력 판별기(80)에서 전달된 학습자의 정보에 따라 이미 구축되어 있는 지식베이스(90)의 단계를 선정하여 학습자에게 필요한 부분을 교육하는 부분을 담당한다. 이 학습제어기(20)는,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며, 음성인식기, 음성출력기, 철자검사기와 연 동하여 작동한다. 그리고 학습 진척도 기록기(70)와 학습 능력판별기(80)에 현재까지 학습된 결과를 전달한다.
음성 출력기(30)는, 학습 내용 중 음성으로 학습자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는 부분은 이 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음성인식기(40)는 화자의 음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로서 학습자가 발음하는 음성을 인식하여 그 결과 값으로 문자를 생성하여 학습 제어기(20)에 전달한다. 학습 제어기(20)는 전달 받은 음성 값이 틀렸을 경우 정확한 발음으로 교육되도록 다시 제시, 반복적으로 교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문자인식기(50)는 학습자가 학습 제어기(20)에서 제시하는 음성에 맞는 문자를 온라인 입력장치를 통해 글자를 입력하면 입력된 필기체 문자를 인식하여 그 결과 값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철자검사기/문법 검사기(60)는, 이미 내장된 지식베이스(90) 이외의 입력 문장에 대해 분석 기법과 사전(100)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철자나 문법 오류를 검색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학습진척도 기록기(70)는 학습자의 학습 정도를 기록하는 것으로 학습 제어기(20)를 통해 학습한 내용의 순서 및 경로, 현재까지 학습된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기록하는 장치이다.
학습능력 판별장치(80)는,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판별하는 학습 능력 판별 장치로서 학습 제어기(20)에 의해 주어진 학습 내용을 얼마나 정확히 잘 수행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장치이다. 주어진 학습 내용과 학습자의 태도에 따라 다른 결과값이 주어지며, 학습자의 학습 정도를 파악하는 근거가 된다.
학습 지식 베이스(90)는, 교육을 위해 정리된 한국어 자료가 교육 목적의 STORY BOARD에 따라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저장된 재구축된 형태의 지식이다. 학습 제어기에서 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에게 학습을 시키고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학습 내용을 제시한다.
전자 사전(100)은, 한국어의 어휘를 정리한 사전이다. 이 사전은 어휘의 설명, 동의어, 반의어, 유사어를 모두 포함한 시소러스 형식이다. 이는 학습자가 모르는 어휘나 참조를 원하는 어휘를 설명해 주기 위해 필요한 지식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시한 전체적인 구성에 따른 흐름을 제시한 예이다. 학습자가 먼저 학습 시작(S41)을 위해 키를 누르면 학습 종료키(S42)인지 판단한다. 학습 종료키이면 학습을 종료하고 학습 종료키가 아니면 다시 동작처리키(S43)인지 판단한다.
동작 처리키가 아니면 학습자 정보 기록기(10)에서 사용자 모델 지식베이스(110)을 참조하여 지금까지의 학습 내용과 정보들을 기록하는 사용자 정보 기록 단계(S51)를 수행한다. 그리고, 음성 인식기(40), 문자인식기(50) 및 철자/문법 검사기(60)등을 통한 사용자 입출력 제어단계(S52)를 수행하고 다시 새로이 입력되는 키에 대한 판별을 한다.
동작 처리키이면 학습 진척도 제어(S44) 단계로서, 학습 진척도 기록기(70)에 기록된 학습 진척도를 판별하고, 학습 능력 판별기(80)를 통해서 학습 능력을 판별(S45) 한다.
판별된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학습 모드를 변경해야 하는지를 판단(S46)하고, 학습 모드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학습자 수준에 맞는 학습 모드가 어떤 것인지 판단하여 학습 모드를 변경하고(S47), 그 변경된 학습 모드에 따라 학습 지식베이스(90)와 전자 사전(100)을 참조하여(S48) 변경된 모드에 맞는 학습 내용을 생성한다(S49).
생성된 학습 내용을 학습 내용 제어기(S412)에 전달하고 학습 내용 제어기는 선택된 학습 내용을 학습자 정보 기록기(10)에 기록(S51)하고 학습 내용에 따라 학습자 입출력 제어(S52)를 수행하여 음성 인식기(40), 합성기, 문자 인식기(50), 철자 검사기, 문법 검사기(60)를 활용해 학습을 진행한다. 학습자가 학습 종료키를 누를 때까지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도 3은 한글 글자 학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인 한글은 자음으로 기본 자음 14개, 쌍자음 5개와 모음으로 기본 모음 10개, 복모음 11개로 총 21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음을 조합하여 초성은 19개, 종성은 27개, 모음인 중성은 21개를 사용한다. 한글은 다른 글자와 달리 모아쓰기라는 특수한 방법으로 한 글자를 구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한글 구성에 관해 애니메이션 기법을 이용해 한 글자가 구성되어지는 과정들을 설명한다.
그리고 한국어는 외국어와는 달리 표음문자로서 발음 나는 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그 어원을 밝혀 적는 것에 대해 외국인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글자 학습이 끝나면 시스템은 학습자에게 음성 출력기(30)를 통해 글자를 발음하고 학습자가 그 발음에 맞는 글자를 입력기를 통해 쓰도록 하여 올바른 글자를 쓸 수 있도록 교육한다. S11은 메뉴 및 도구 상자 영역으로 학습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를 나타낸 부분이다. S12는 글자 입출력 영역은 텍스트 형태의 단어를 학습 내용을 출력하고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S13은 발음 기호 영역은 학습자에게 발음의 형태를 출력해 주는 영역이다. S14는 발음 모양 영역으로 그래픽 형태의 발음 입 모양을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S15는 진도 및 수준 진단 정보 영역으로 학습자의 학습 진도와 현재까지의 수준을 진단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S16은 음성 지원을 표시하는 아이콘, 처음으로, 앞페이지, 다음페이지로 학습 내용을 이동하기 위한 아이콘, 학습을 중단하고 빠져 나가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도 4는 한국어 단어 학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한국어 단어 교육은 어휘의 수준에 따라, 사용 빈도에 따라 상,중,하, 동의어, 반의어, 유사어로 구분 분류하여 그 어휘의 뜻과 사용 예를 통해 학습자에게 쉬운 단어를 습득시킨 이후 그 단어의 유사성에 맞도록 어휘 수와 어휘 습득 능력을 향상시켜 나간다. 이 때 각 단어의 표준 발음을 음성 출력기를 통해 들려 주고 컴퓨터는 학습자의 발음을 음성 인식기를 통해 정확한 발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반복적인 발음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S21은 메뉴 및 도구 상자 영역으로 학습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를 나타낸 부분이다. S22는 글자 입출력 영역은 텍스트 형태의 단어를 학습 내용을 출력하고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S23은 동의어, 반의어, 유사어 영역으로 학습 단어의 동의어, 반의어, 유사어 제시 영역이다. S24는 발음 기호 영역은 학습자에게 발음의 형태를 출력해 주는 영역이다. S25는 발음 모양 영역으로 그래픽 형태의 발음 입 모양을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S26은 진도 및 수준 진단 정보 영역으로 학습자의 학습 진도와 현재까지의 수준을 진단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S27은 음성 지원을 표시하는 아이콘, 처음으로, 앞페이지, 다음페이지로 학습 내용을 이동하기 위한 아이콘, 학습을 중단하고 빠져 나가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도 5는 한국어 문장 학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기본 문형을 중심으로 학습자에게 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 때 문장은 표준 발음을 음성 출력기를 통해 들려 주고 컴퓨터는 학습자의 발음을 음성 인식기를 통해 정확한 발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반복적인 발음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S31은 메뉴 및 도구 상자 영역으로 학습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를 나타낸 부분이다. S32는 문장 입출력 영역은 텍스트 형태의 단어를 학습 내용을 출력하고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S33은 문장 분석 결과 영역으로 철자 검사기/문체검사기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입력 문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S34는 발음 기호 영역은 학습자에게 발음의 형태를 출력해 주는 영역이다. S35는 발음 모양 영역으로 그래픽 형태의 발음 입 모양을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S36은 진도 및 수준 진단 정보 영역으로 학습자의 학습 진도와 현재까지의 수준을 진단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S37은 음성 지원을 표시하는 아이콘, 처음으로, 앞페이지, 다음페이지로 학습 내용을 이동하기 위한 아이콘, 학습을 중단하고 빠져 나가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도 6은 한국어 지식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예이다. 지식 베이스는 한국어의 언어적 규칙과 현상들을 학습을 위한 모습으로 변형한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저장되어 학습제어기가 학습자 학습 수준과 학습 내용에 따라 동적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을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지식베이스 속에는 단어, 문장을 포함한 언어 규칙을 음성과 그림, 사용 실 예를 가진 형태로 보관되어 있다.
도 7은 한국어 전자 사전의 일 예를 도시한 모습이다. 전자 사전은 단어를 교육할 때와 문장 학습 시에 학습자가 대답하는 문장을 분석하는 철자 검사기, 문체 검사기의 참조 대상이 된다, 학습자 제어기에서는 이 전자 사전을 참조하여 단어의 어휘 설명, 동의어, 반의어, 유사어, 문장 예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도 8은 한국어 문장 구조를 도시한 표이다. 문장은 하나 이상의 단어가 모여,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이루면서 어떠한 완결한 뜻을 나타낸다. 문장의 주성분은 주부가 되는 주어, 서술부가 되는 목적어, 보어, 서술어와, 부속성분으로 수식어가 있다. 이는 대부분의 언어가 가지는 공통된 문장 성분의 모습이다. 한국어의 기본 문형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유형들이 변형되어 나타난다. 이때 문장 구성 유형은 기본 구조, 수식 구조, 접속 구조의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한국어의 기본 문장 구조는 주어+서술어를 기본으로 하며, 서술어의 동사에 따라 다섯 가지로 나뉜다. 기본 문형은 동사가 하나만 존재한다. 문장에서 명사 아래에는 조사가 붙어 그 성분을 나타내는데, 주어가 되는 명사에는 '-이/가'가 붙고, 목적어가 되는 명사에는 '-을/를'이 붙는다. 그런데, 이 조사들이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어 문장의 어순은 영어와는 달리 '주어+목적어+동사'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주어, 목적어 등에 조사가 붙기 때문에 그 순서가 바뀌어도 문장의 뜻이 이해되는데, 이 때에는 문장의 맨 앞에 놓인 성분을 강조하는 뜻이 있다. 문장 구성에서 동사는 그 고유한 성질에 따라 문장의 유형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동사의 맨 뒤에 종결어미가 붙어서 한 문장을 끝맺는다. 종결어미는 동사의 종류, 문장의 종류, 존대의 높낮이에 따라 달라진다.
도 9는 문형 중 수식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수식 구조는 기본 문형을 이루는 성분은 다시 수식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다. 수식어는 명사류를 꾸미는 관형어와 동사나 문장을 꾸미는 부사어로 나뉜다. 관형어는 관형사, 명사에 관형격 조사가 첨가된 것, 동사의 관형형으로 된 것이 있다. 부사어는 부사, 명사에 부사격 조사가 첨가된 것, 동사의 부사형으로 되어 있다.
도 10은 문형 중 접속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접속 구조는 두 개 이상의 기본 문형이 이어져서 하나의 더 큰 문장을 이루게 된다. 이 때 앞에 오는 동사의 어간에 두 문장이 이어져 나타내는 뜻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의 연결어미가 붙는다.
도 11은 문장 배치 학습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단어를 나열해 보여 주고 학습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예이다. 이 때 학습자가 제시한 단어의 뜻을 모를 때는 도움말을 요청하면 언제든지 그 어휘의 의미, 용례 등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시된 예문을 학습자가 올바르게 배치한 경우에 음성 출력기를 통해 정확한 발음과 문장 인터네이션, 기본 악센트 등을 가르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학습자의 능력을 장치가 스스로 판단, 평가가 가능하며, 학습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교육받을 수 있으며, 한국어의 쓰기, 듣기, 말하기, 읽기 교육이 동시에 가능한 형태로서 학습자의 학습 정도에 따라 다른 학습 내용을 제시하게 되고,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정도를 판단할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고 효율적으로 한국어 교육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학습자의 학습 정도와 신상, 학습 내용을 기록하는 학습자 정보 기록 수단과;
    학습자의 학습 진척 과정을 기록 보관하여 학습 진척도를 측정하기 위한 학습 진척도 기록 수단과;
    학습자의 학습 진척도에 따라서 학습자 수준을 판별하는 학습 능력 판별 수단과;
    학습 내용에 따라 화면 정보와 음성정보 및 그림 정보등으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 및 문자입력을 인식받도록 인터페이스 시키는 사용자 입출력 제어수단과;
    한국어에 대한 글자, 단어, 문장 학습으로 구분하여 설명, 음성, 문자, 그림 및 사용예를 저장하고 학습 진행 내용을 학습 능력별로 저장해 둔 학습 지식 베이스와;
    한국어의 단어와 문장 정보를 저장해둔 전자 사전과;
    상기 학습 진척도 기록 수단과 학습능력 판별 수단을 통해서 학습자의 학습능력 및 학습 진척도를 판단하고, 학습 지식 베이스와 전자 사전을 이용해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맞도록 자동으로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학습자가 대답하는 내용을 분석, 판단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을 가진 학습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를 교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입출력 제어수단은,
    학습자의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기(40)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기(30)와,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문자 인식기(50)와,
    철자 및 문법을 검사하기 위한 철자/문법 검사기(60)를 포함하고,
    글자 학습과, 단어 학습과, 문장 학습에 따라 각각 해당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서 학습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 단어 및 문장 학습을 위해 제공되는 화면은,
    학습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를 나타낸 메뉴 및 도구 상자 영역;
    학습 내용을 출력하고 입력하기 위한 글자/단어/문장 입출력 영역;
    학습자에게 발음의 형태를 출력해 주는 발음 기호 영역;
    그래픽 형태의 발음 입 모양을 출력하기 위한 발음 모양 영역;
    학습자의 학습 진도와 현재까지의 수준을 진단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진도 및 수준 진단 정보 영역
    음성지원 표시, 처음으로, 앞페이지, 다음페이지로 학습 내용을 이동하기 위한 아이콘, 학습을 중단하고 빠져 나가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글자, 단어, 문장 학습을 위한 기본 화면이 이루어지고,
    단어 학습에서는 상기 기본 화면에 동의어, 반의어, 유사어등을 제시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문장 학습에서는 상기 기본 화면에 문장분석결과를 제시하는 문장 분석결과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제어수단은,
    상기 학습자 정보 기록수단과 학습능력 판별수단에서 전달된 학습자의 정보에 따라 이미 구축되어 있는 자식베이스에서 학습단계를 선정하고, 학습자에게 필요한 부분을 글자 학습, 단어학습, 문장학습등의 학습 교육을 담당하며, 학습에 따른 문자, 음성 및 그래픽 출력을 제어하고, 학습자의 문자, 음성입력을 인식하고, 학습 진척도 기록 수단과 학습 능력 판별수단에 현재까지 학습된 결과를 전달하면서 학습의 전체 과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베이스에는,
    글자와, 단어와, 문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글자와 단어와 문장에 대해 각각 설명, 음성, 문자, 그림 및 사용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학습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시스템.
  6. 한국어 교육을 위해 체계적으로 잘 정리된 한국어 지식베이스를 고차원적인 링크 형태로 변형된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구축하며, 정확한 발음 지원을 위한 음성 출력기, 발음 교정을 위한 화자 독립 음성 인식기, 글자 교육을 위한 온라인 문자 인식기, 이미 저장된 지식베이스 이외의 한국어 입력 자료의 잘못된 사용을 지적하기 위한 철자 검사기, 문법 검사기, 학습자와의 사용 편의를 위한 그래픽 학습자 인터페이스, 교육 진행 단계를 기억하는 학습 진척도 기록기,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수시로 판단할 수 있는 학습자 학습 능력 판별기, 외국인의 어휘 설명을 지원하기 위한 한국어 전자 사전, 이러한 모든 장치들과 전체적으로 학습의 흐름을 제어, 관리하는 학습 제어기로 한국어 교육 시스템을 구비하고,
    음성인식/합성기와 철자/문법 검사기등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음성인식 및 문자인식을 함과 아울러 학습 내용을 화면 및 음성으로 출력하여 학습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모드와,
    입력된 키가 동작 처리 키인 경우 학습 진척도를 측정하고 학습 능력을 판별하여 학습 단계를 변경하는 학습단계 변경모드와,
    학습 단계를 변경한 경우에는 학습 지식 베이스와 전자사전을 참조하여 글자 학습, 단어 학습, 문장 학습 별로 변경된 학습 단계에 맞는 학습 내용을 생성하는 학습내용 생성모드와;
    학습 내용 생성모드에서 학습내용을 생성하거나 상기 학습 모드 변경 모드에서 모드 변경이 아닌 경우에는 입력된 내용에 의거하여 학습내용을 제어하는 학습제어모드와;
    상기 학습제어모드에서 학습을 제어한 후 및 입력된 키가 동작 처리키가 아닌 경우에 사용자 모델 지식베이스를 참조하여 지금까지의 학습내용과 정보들을 기록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록 모드를 수행하여
    한국어의 쓰기, 듣기, 말하기, 읽기 교육이 동시에 가능한 형태로 학습자의 학습 정도에 따라 다른 학습 내용을 제시하고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한국어 학습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제어모드의 글자 학습은,
    자음과 모음, 그 자음의 조합에 의한 초성 및 종성과, 모음에 의한 중성으로 모아쓰기로 이루어지는 한글 구성에 관해 애니메이션 기법을 이용해 한 글자가 구성되어지는 과정들을 설명하며,
    글자 학습이 끝나면 시스템은 학습자에게 음성 출력기를 통해 글자를 발음하고 학습자가 그 발음에 맞는 글자를 입력기를 통해 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제어모드의 단어 학습은,
    어휘의 수준에 따라, 사용 빈도에 따라 상,중,하, 동의어, 반의어, 유사어로 구분 분류하여 그 어휘의 뜻과 사용 예를 통해 학습자에게 쉬운 단어를 학습시키고, 그 단어의 유사성에 맞도록 어휘 수와 어휘 습득 능력을 조절하며,
    각 단어의 표준 발음을 음성 출력기를 통해 들려 주고, 학습자의 발음을 음성 인식기를 통해 정확한 발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반복적인 발음 학습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제어모드의 문장 학습은,
    문장은 표준 발음을 음성 출력기를 통해 들려 주고 컴퓨터는 학습자의 발음을 음성 인식기를 통해 정확한 발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반복적인 발음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970065368A 1997-12-02 1997-12-02 한국어 교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38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368A KR100238451B1 (ko) 1997-12-02 1997-12-02 한국어 교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368A KR100238451B1 (ko) 1997-12-02 1997-12-02 한국어 교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118A true KR19990047118A (ko) 1999-07-05
KR100238451B1 KR100238451B1 (ko) 2000-01-15

Family

ID=1952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368A KR100238451B1 (ko) 1997-12-02 1997-12-02 한국어 교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45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88B1 (ko) * 2000-04-26 2002-12-31 김정태 인터넷을 이용한 지식 전달 방법 및 그의 시스템
GB2379540A (en) * 2000-07-06 2003-03-12 Sang Jong Han Divided multimedia page and method and system for learning language using the page
KR20030057796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정철인터랩 네트워크를 통한 언어교육방법
KR20040082734A (ko) * 2003-03-20 2004-09-30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듣기 및 타자 수행을 통한 언어학습 보조 시스템 및 방법
KR100570306B1 (ko) * 2004-08-14 2006-04-11 김용명 영어 발달 단계 분류 시스템 및 분류 방법 그리고 영어발달 단계 분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WO2006080627A1 (en) * 2004-09-22 2006-08-03 Yong Myeong Kim A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prescription and testing of english ability and a memory device recorded a program for diagnosis, prescription and testing of english ability
KR100727462B1 (ko) * 2006-12-13 2007-06-15 김홍균 휴대용 학습 장치 및 휴대용 학습 장치를 이용한 학습 방법
KR100756670B1 (ko) * 2007-02-05 2007-09-07 최창국 발음의 유창성에 따라 제공되는 미션수행 영상을 통한영어학습 방법
KR100762200B1 (ko) * 2006-02-13 2007-10-04 (주)아이디팩트글로벌 수화용 자가 학습기
WO2008035852A1 (en) * 2006-09-19 2008-03-27 Jong Keun Choi Language traing method and apparatus by matching pronunciation and a character
KR100882211B1 (ko) * 2007-07-24 2009-0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레벨에 따라 화면의 흐림 정도를 조절하는 이북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10020756A (ko) * 2019-08-14 2021-02-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
WO2021137534A1 (ko) * 2019-12-31 2021-07-08 (주)헤이스타즈 음성 분석을 통한 한국어 발음 학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388B1 (ko) * 2000-04-26 2002-12-31 김정태 인터넷을 이용한 지식 전달 방법 및 그의 시스템
GB2379540A (en) * 2000-07-06 2003-03-12 Sang Jong Han Divided multimedia page and method and system for learning language using the page
KR20030057796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정철인터랩 네트워크를 통한 언어교육방법
KR20040082734A (ko) * 2003-03-20 2004-09-30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듣기 및 타자 수행을 통한 언어학습 보조 시스템 및 방법
KR100570306B1 (ko) * 2004-08-14 2006-04-11 김용명 영어 발달 단계 분류 시스템 및 분류 방법 그리고 영어발달 단계 분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WO2006080627A1 (en) * 2004-09-22 2006-08-03 Yong Myeong Kim A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prescription and testing of english ability and a memory device recorded a program for diagnosis, prescription and testing of english ability
KR100762200B1 (ko) * 2006-02-13 2007-10-04 (주)아이디팩트글로벌 수화용 자가 학습기
WO2008035852A1 (en) * 2006-09-19 2008-03-27 Jong Keun Choi Language traing method and apparatus by matching pronunciation and a character
KR100727462B1 (ko) * 2006-12-13 2007-06-15 김홍균 휴대용 학습 장치 및 휴대용 학습 장치를 이용한 학습 방법
KR100756670B1 (ko) * 2007-02-05 2007-09-07 최창국 발음의 유창성에 따라 제공되는 미션수행 영상을 통한영어학습 방법
KR100882211B1 (ko) * 2007-07-24 2009-0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레벨에 따라 화면의 흐림 정도를 조절하는 이북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10020756A (ko) * 2019-08-14 2021-02-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사 의미 어간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 도구
WO2021137534A1 (ko) * 2019-12-31 2021-07-08 (주)헤이스타즈 음성 분석을 통한 한국어 발음 학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8451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59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d language fluency through interactive comprehension, recognition and generation of sounds, words and sentences
Peregoy et al. English learners reading English: What we know, what we need to know
US5393236A (en) Interactive speech pronunci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2705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reading and language instruction
KR20010013236A (ko) 읽기 및 발음 교습기
JP2001159865A (ja) 対話型語学指導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238451B1 (ko) 한국어 교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6064295A2 (en) Computerised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handwriting and reading
Jones Pronunciation with other areas of language
US20120164609A1 (e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of Instruction
Mok et al. Orthographic effects on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L2 mandarin tones
KR101333946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드로잉기법 기반의 영어 말하기 학습 기구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US8956164B2 (en) Method of teaching reading and spelling with a progressive interlocking correlative system
Nel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acquisition of Mandarin Chinese as a second additional language focusing on phonetics
KR101830031B1 (ko)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JP2002182554A (ja) 綴り学習方法及びシステム
Laurillard Principles for Computer‐Based Software Design for Language Learning
US20060110713A1 (en) Initial teaching alphabet for teaching phonetics
Mäkinen The role of pronunciation in Finnish EFL textbooks and EFL teaching
Rodgers Linguistic Considerations in the Design of the Stanford Computer Based Curriculum on Initial Reading
Yang Some explicit linguistic knowledge for Chinese pronunciation teaching
Kamalova et al. Peculiarities of Teaching the Russian Language to Children of Immigrants
Delmonte Speech synthesis for language tutoring systems
Çekiç The effects of computer assisted pronunciation teaching on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f Intermediate lear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