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031B1 -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031B1
KR101830031B1 KR1020170041812A KR20170041812A KR101830031B1 KR 101830031 B1 KR101830031 B1 KR 101830031B1 KR 1020170041812 A KR1020170041812 A KR 1020170041812A KR 20170041812 A KR20170041812 A KR 20170041812A KR 101830031 B1 KR101830031 B1 KR 101830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d
learner
literacy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훈
Original Assignee
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훈 filed Critical 엄훈
Priority to KR1020170041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은,
한국어 자소정보를 수록한 자소데이터베이스 및, 한국어 음소정보를 수록한 음소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자료저장서버;
상기 자소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자소정보를 조합하여 낱말정보를 생성하는 자소조합모듈;
상기 음소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낱말정보에 해당하는 음소정보를 파악하는 음소파악모듈;
상기 낱말정보를 기반으로 문장정보를 조합하는 문장조합모듈;
상기 낱말정보 및 상기 문장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학습수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An Early Literacy Instruction System Designed For Individuals With Reading Difficulties}
본 발명은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전 테스트를 통한 개별화 지도 학생의 확인, 안내된 읽기(guided reading)와 안내된 쓰기(guided writing)를 핵심으로 한 개별화 수업, 사후 테스트를 통한 성공 여부의 확인이라는 절차에 따라 이루어지는 일련의 교육 프로그램을 뒷받침하는 기술로서 사전-사후 테스트의 자동적 처리를 위한 기술과 수준 평정된 그림책을 활용한 읽기 발달 확인 기술, 그리고 단어 재인(word recognition) 학습을 도와주는 기술로 구성된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초기 문해력 교육은 아동의 읽기 및 쓰기 발달 수준과 발달 특성에 따라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에서 이루어지는 학생과 교사 간의 상호교섭적 텍스트 읽기와 메시지 쓰기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지 못하고 일종의 해부호화 훈련인 한글 해득에 매달려왔다. 기존의 한글 해득은 문자를 말소리로, 말소리를 문자로 전환시키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데 일정한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그 자체가 읽기 능력 발달이나 쓰기 능력 발달로 이어지지는 않으며 아동의 학습 흥미를 상실하게 만들어 학습 효율이 떨어지고 읽기 및 쓰기 활동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한다.
이에 해부호화 훈련의 범주를 벗어나 근접발달영역(ZPD)에서 교사와 학생 간에 상호교섭적으로 이루어지는 안내된 읽기(guided reading)와 안내된 쓰기(guided writing)를 핵심으로 하는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러한 필요성에 발맞추어 ‘읽기 따라잡기®’라는 초기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실행은 교사의 독특한 전문성 영역이지만,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이 체계화되고 정교화 될수록 그러한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뒷받침하는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해부호화 훈련은 자음과 모음이 나열되어 있는 표를 반복암기하고, 이를 기초로 음절을 형성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음절이 조합된 단어와 그림 등을 매칭하여 암기하는 단순주입식 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이와 같이 단순암기에 기반을 둔 아날로그적 학습법은 한글을 익히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주로 시각적 감각에만 의존하므로 학습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글은 단음절인 경우에는 비교적 정확한 발음이 가능하나, 다음절로 구성된 경우에는 각종 발음규칙이 적용되므로 발음이 쉽지 않으며, 이러한 다음절에서의 발음변화의 규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음절을 통한 발음학습이 선행되어야 하는 등 단계별 학습이 필요한 언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을 함께 활용하여 한글 발음의 정확도를 높이고,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학습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 특허 공개 번호 제10-2003-0014457호는 키보드로 눌린 한글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한글 학습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단순히 청각적 요소를 부가하였을 뿐, 학습 수준이 낮은 학습자가 자소와 음소를 정확히 대응시켜 한국어 발음체계를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문해력을 높이는 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 특허 공개 번호 제10-2007-0114233호는 음소(자음/모음)학습, 음절학습, 단어/어절/구/문장 학습의 3단계로 한글 학습을 구성하며, 가획과 조합의 원리를 이용한 글자 생성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역시 가획과 조합원리만 취할 뿐 각 자소와 음소 사이의 연관성 및 음운 규칙 등의 발음 연관성 등을 이해하기 쉽게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뒷받침하는 기술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아동의 문해력 평가 결과를 자동적으로 처리해주는 문해력 평가 도구, 둘째, 수준 평정 도서를 활용하여 아동의 읽기 발달 양상을 평가하고 처리하는 테스트 수행 도구, 셋째, 아동의 단어 재인(word recognition) 학습을 도와주는 단어 재인 훈련 도구가 그것이다.
문해력 평가 도구는 교사에 의해 수집된 평가 데이터를 입력하면 평가 결과가 그래프와 평어로 자동 산출되는 기술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개별화된 문해력 평가 도구는 수집된 데이터를 전문 기관에 보내면 해당 기관의 전문가들이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통보해 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 과정에서 과도한 시간과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었다. 문해력 평가 도구는 이미 개발된 초기 문해력 평가 도구인 ‘초기 문해력 간편 표준화 검사 도구’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즉시 그 결과를 시각적, 평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둘째, 테스트 수행 도구는 수준 평정 도서들을 활용하여 아동의 읽기 수준을 자동적으로 평정함으로써 초기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아동의 텍스트 읽기 발달 양상을 즉시 파악할 수 있도록 이를 평가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텍스트를 소리 내어 읽은 데이터를 입력하면 해당 텍스트에 대하여 독립적 수준 교수적 수준 곤란 수준의 세 수준으로 평정해 주는 기술로 기존의 러닝 레코드(running record)라는 평가 기법을 자동화한 것이다. 이 기술은 아동의 읽기 발달 양상을 확인하고 기록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해 준다.
셋째, 단어 재인 훈련 도구는 단어를 듣고 해당 단어의 말소리를 분석하여 철자로 표기하고, 표기된 단어의 철자를 확인하고 해당 단어의 말소리를 산출하는 훈련을 도와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상술한 도구들을 포함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으로서, 사전-사후 테스트의 자동적 처리를 위한 기술과 수준 평정된 그림책을 활용한 읽기 발달 확인 기술, 그리고 단어 재인(word recognition) 학습을 도와주는 기술로 구성된 신규하고 진보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학습자의 발달 양상을 자동적으로 산출하고, 수준 평정된 도서에 대한 아동의 읽기 능력을 세 수준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며, 초기 문해력 단계의 핵심 발달 과제인 단어 재인 훈련을 획기적으로 뒷받침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습자의 문해력 발달 단계에 맞춘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순차적 학습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을 통한 학습자료 학습 여부 평가를 가능하게 하며, 평가 내용을 기반으로 학습자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낱말정보로부터 문장정보로 이어지는 학습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학습자 개개인의 문해력을 평가하여 수준별 학습자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되, 평가 낱말의 음절을 치환하거나 변조 처리하더라도 그 자소와 음소를 대응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여 보다 세밀한 문해력레벨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은,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으로서, 한국어 자소정보를 수록한 자소데이터베이스 및, 한국어 음소정보를 수록한 음소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자료저장서버; 상기 자소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자소정보를 조합하여 낱말정보를 생성하는 자소조합모듈; 상기 음소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낱말정보에 해당하는 음소정보를 파악하는 음소파악모듈; 상기 낱말정보를 기반으로 문장정보를 조합하는 문장조합모듈; 상기 낱말정보 및 상기 문장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학습수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장조합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낱말정보를 배치하여 문장정보를 조합하는 기본문장조합부 및, 상기 낱말정보에 접속사, 전치사, 관사, 부사, 인칭대명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부가하여 문장정보를 조합하는 추가문장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음소파악모듈은, 상기 낱말정보에 대한 발음정보를 생성하는 발음정보생성부 및, 상기 발음정보를 음소정보로 분리하는 음소정보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학습자료에 대한 자소테스트퀴즈 및 음소테스트퀴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테스트퀴즈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테스트퀴즈제공부 및,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테스트퀴즈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고 정답여부를 파악하는 정답채점부를 포함하는 테스트수행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은,
1) 학습 부진아인 학습자에게 학습자의 언어 발달 수준에 맞는 학습자료를 반복적으로 제공하고, 그를 통한 자소 및 음소 대응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문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며,
2) 학습자의 문해력 발달 단계에 맞춘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순차적 학습을 가능케 하고,
3) 시스템을 통한 학습자료 학습 여부 평가를 가능하게 하며, 평가 내용을 기반으로 학습자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낱말정보로부터 문장정보로 이어지는 학습 구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4) 학습자 개개인의 문해력을 평가하여 수준별 학습자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되, 평가 낱말의 음절을 치환하거나 변조 처리하더라도 그 자소와 음소를 대응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여 보다 세밀한 문해력레벨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준 평정된 그림책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음소 및 자소 변조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10)에 대한 구성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시스템(10)을 이용한 교육 사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학습자(20)라 함은 일반적으로 만 6세 내지 8세 정도의 유아동을 의미하며, 그중에서도 한글 자소 및 음소의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 즉 듣고 쓰기나, 문장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부진아가 그 대상이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이러한 학습자(20)의 발달 수준에 맞는 학습자료를 제공하고 반복적인 읽기, 듣기, 쓰기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학습자(20)가 읽기, 듣기, 쓰기 뿐 아니라 낱말학습, 음절 및 자소 학습, 자소-음소 대응 규칙 학습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결론적으로는 세 개 이상의 문장으로 된 이야기를 주도적으로 학습자(20)가 읽고 쓸 수 있을 정도의 문해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10)을 통해 학습 부진아인 학습자(20)에게 학습자(20)의 언어 발달 수준에 맞는 학습자료를 반복적으로 제공하고, 그를 통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20)의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때 제공되는 학습자료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학습자료는 책 등의 출판물, 인터넷 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전자책의 형태, 인터넷 웹페이지, 동영상 자료, 음성 자료 등 형태와 형식, 제공 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 때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문해력 평가와 테스트 수행, 그리고 단어 재인 훈련을 포함한다.
문해력 평가는 검사자에 의해 수집된 평가 데이터를 입력하면 평가 결과를 그래프와 평어로 자동 산출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개별화된 문해력 평가 도구는 수집된 데이터를 전문 기관에 보내면 해당 기관의 전문가들이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통보해 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 과정에서 과도한 시간과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었다. 본 발명에서의 문해력 평가 방식은 이미 개발된 초기 문해력 평가 도구인 ‘초기 문해력 간편 표준화 검사 도구’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즉시 그 결과를 시각적, 평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둘째, 테스트 수행은 수준 평정 도서들을 활용하여 아동의 읽기 수준을 자동적으로 평정함으로써 초기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학습자(20)의 텍스트 읽기 발달 양상을 즉시 파악할 수 있도록 학습자(20)의 읽기 발달 양상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 기술은 텍스트를 소리 내어 읽은 데이터를 입력하면 해당 텍스트에 대하여 독립적 수준 교수적 수준 곤란 수준의 세 수준으로 평정해 주는 기술로 기존의 러닝 레코드(running record)라는 평가 기법을 자동화한 것이다. 이 기술은 학습자(20)의 읽기 발달 양상을 확인하고 기록하는 과정에서 검사자(교사)의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해 준다.
셋째, 단어 재인 훈련은 단어를 듣고 해당 단어의 말소리를 분석하여 철자로 표기하고, 표기된 단어의 철자를 확인하고 해당 단어의 말소리를 산출하는 훈련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시스템(10)을 통해 단어 재인 훈련을 자동화 및 구체화하여 학습자(20)의 학습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대한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10)은, 한국어 자소정보를 수록한 자소데이터베이스(110) 및, 한국어 음소정보를 수록한 음소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하는 자료저장서버(100)와, 상기 자소데이터베이스(110)를 기반으로 상기 자소정보를 조합하여 낱말정보를 생성하는 자소조합모듈(200) 및, 상기 음소데이터베이스(120)를 기반으로 상기 낱말정보에 해당하는 음소정보를 파악하는 음소파악모듈(300)과, 상기 낱말정보를 기반으로 문장정보를 조합하는 문장조합모듈(400)과, 상기 낱말정보 및 상기 문장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학습자(20)에게 제공하는 학습수행모듈(5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료저장서버(100)는 한국어 자소정보를 수록한 자소데이터베이스(110) 및, 한국어 음소정보를 수록한 음소데이터베이스(12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10)에서의 낱말 조합 및 문장 조합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 저장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술한 자소조합모듈(200)에 따라 조합된 낱말정보와, 상기 낱말정보에 해당하는 음소정보, 또한 낱말정보를 기반으로 조합된 문장정보 등이 자료저장서버(100)에 더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학습자료 역시 자료저장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다.
자소데이터베이스(110)에 수록되는 자소정보라 함은 한국어 문자 체계에서의 분절음 요소를 의미하는 것이며, 문자 상으로 표기된 한국어 음절에 포함된 초성과 중성, 그리고 종성 각각에 포함된 자음과 모음이 자소정보로서 저장된다. 이러한 자소정보는 한국어 문자 체계의 자음 및 모음에 대한 표기법 및 기타 정보 등을 함께 포함한다.
음소데이터베이스(120)에 수록되는 음소정보라 함은 한국어 발음 체계에서의 분절음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소정보와 구분되는 음성정보, 즉 소리 낼 때의 체계와 관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 낱말 중 ‘국물’이라는 낱말은‘ㄱㅜㄱㅁㅜㄹ’이라는 자소정보를 포함하나, [궁물] 이라고 발음되므로 /ㄱㅜㅇㅁㅜㄹ/이라는 음소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소데이터베이스(120)에서 한국어 음소정보를 수록한다는 것은, 상술한 자소정보 각각에 해당하는 발음정보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구개음화, 연음화 등 자소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음소정보를 나타내도록 하는 음운변동 규칙 등을 함께 수록하여,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음운변동 규칙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소조합모듈(200)은 상기 자소데이터베이스(110)를 기반으로 상기 자소정보를 조합하여 낱말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기본적인 한국어 글자상 자음 및 모음의 조합을 통해 낱말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때 낱말정보의 생성이라 함은 ‘봄비’,‘코끼리’, ‘색연필’과 같은 유의미낱말 뿐 아니라, ‘?榜暮踪?, ‘푸헤제’등 사전 상 의미가 없는 무의미낱말 역시 포함한다. 이는 읽기 부진아가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유의미낱말 뿐 아니라, 사전 상 의미가 없어 상대적으로 덜 익숙한 무의미낱말에 대한 읽기 또는 받아쓰기 연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자소조합모듈(200)을 통해 조합되는 낱말정보는 ‘발음이 가능한 단어’ 로서, 이 때 발음이 가능한 단어라 함은 사전적으로 별 다른 의미를 내포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러운 발음이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음소파악모듈(300)은 상기 음소데이터베이스(120)를 기반으로 상기 낱말정보에 해당하는 음소정보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봄비’라는 낱말정보는 [봄삐]라고 발음되어, /ㅂㅗㅁㅃㅣ/라는 음소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생성된 낱말정보에 포함된 발음정보 및 그에 포함된 음소정보를 각각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음소파악모듈(300)은 상술한 음소데이터베이스(120)를 기본으로 음소정보를 파악하므로, 자소정보와 음소정보의 차이, 즉 구개음화, 경음화, 격음화, ㅎ탈락 규칙, 연음화 등을 반영한 정확한 발음정보 및 그에 따른 음소정보를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문장조합모듈(400)은 상술한 자소조합모듈(200)에서 생성된 상기 낱말정보를 기반으로 문장정보를 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낱말정보를 기반으로 문장정보를 조합한다 함은, 기본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낱말정보를 포함하는 문장이되, 조합된 낱말정보에 추가적인 명사, 인칭대명사, 관사, 부자, 접속사, 전치사, 형용사 등이 부가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낱말정보에 추가적으로 부가되는 조사나 기타 어구의 경우 학습자(20)가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친근한 단어를 이용하는 것이 학습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보다 바람직할 것임은 이루 말할 것도 없다.
학습수행모듈(500)은 상기 낱말정보 및 상기 문장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학습자(2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학습자료는 책 등의 출판물, 인터넷 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전자책의 형태, 인터넷 웹페이지, 동영상 자료, 음성 자료 등 형태와 형식, 제공 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학습수행모듈(500)을 통해 학습자(20)에게 학습자료를 제공하고 교육이 수행되는 것인데, 이 때 학습자료를 이용한 학습 수행방법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학습자료에 포함된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를 여러 번 반복해서 읽고, 이를 녹음하여 학습자(20)의 발음과 실제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에 대응하는 음소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학습자(20)가 제대로 읽기를 수행하고 있는지를 테스트하는 읽기 테스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학습자(20)에게 음성자료 형태의 학습자료를 제공한 뒤, 학습자(20)가 이를 듣고 음성자료, 즉 음소정보를 듣고 그에 따라 자소정보를 파악하는, 이를테면 받아쓰기 학습 역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학습자료는 학습자(20)의 개별 수준에 맞게 선택되거나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으므로, 학습자(20)는 본인의 수준에 맞는 학습자료를 제공받고 그에 따라 읽기나 쓰기 공부를 수행하여 문해력을 개발할 수 있다.
더불어 이 때 학습자료라 함은 낱말정보, 그 중에서도 유의미한 낱말의 경우 그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함께 제공할 수 있어, 학습자(20)로 하여금 자연스러운 단어 학습 역시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읽기와 쓰기의 통합 교육을 통해 학습자(20)가 음소와 자소의 대응관계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문해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10)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구성 및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자(20)에 수준에 맞춘 단계별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수행모듈(5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학습수행모듈(500)은, 초성 및 중성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포함하는 상기 낱말정보 및 상기 낱말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20)에게 제공하는 이미지대응학습부(510)와, 초성 및 중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포함하는 상기 낱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20)에게 제공하는 받침낱말학습부(520) 및, 상기 문장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20)에게 제공하는 문장학습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대응학습부(510)는 초성 및 중성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포함하는 상기 낱말정보 및 상기 낱말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2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국어 학습을 처음 시도하는 초기 단계의 학습자(20)가 문자로 표기된 낱말이 구어 낱말에 대응됨을 인식하도록 하고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초기 학습 단계이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낱말정보가 초성 및 중성만을 포함하여 받침을 포함하지 않는 쉬운 낱말정보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이 때 낱말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정보, 즉 낱말에 대한 이미지나, 낱말에 포함된 자소나 음소 하나하나를 이미지화한 이미지를 학습자료로써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받침낱말학습부(520)는 초성 및 중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포함하는 상기 낱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2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받침을 포함하는 낱말정보에 대한 학습을 가능케 한다.
이는 이미지대응학습부(510)를 통해 생성된 학습자료에 대한 학습을 끝낸 학습자(20)나, 이미지대응학습부(510) 수준 이상의 국어 실력을 갖춘 학습자(20)에게 제공되는 학습자료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 때 받침낱말학습부(520)를 통한 학습자료 생성에 있어서도,‘ㅇ,ㅁ,ㄹ,ㅅ’종성 포함 낱말정보 생성파트, ‘ㄱ,ㅂ,ㄷ,ㅅ’ 종성 포함 낱말정보 생성파트, 사이시옷 및 겹받침 포함 낱말정보 생성파트 등 종성을 단계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보다 그 단계를 세분화하여 제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문장학습부(530)는 상기 문장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2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낱말정보에 대한 학습을 완료한, 즉 이미지대응학습부(510) 및 받침낱말학습부(520)를 통해 생성된 학습자료를 제공받고 이에 대한 학습을 완료한 학습자(20)에게 제공될 학습자료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미지대응학습부(510)를 통해 생성된 학습자료에 포함된 낱말정보만으로 조합된 문장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학습자료를 생성하는 등 학습자(20)의 학습 수준에 맞춘 문장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학습자(20)에게 제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이미지대응학습부(510), 받침낱말학습부(520), 문장학습부(530)를 통하여 학습자료의 단계적 제공이 가능해져 학습자(20)의 문해력 발달 단계별 학습자료 생성 및 제공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받침이 없는 단순한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에 대한 학습에서 시작해 받침이 포함되는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 음운 변동이 적용된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 더 나아가 복수의 문장을 포함하는 긴 책에 대한 학습으로 순차적 학습을 가능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문장조합모듈(400)에 있어서의 문장 조합을 위한 추가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문장조합모듈(400)은, 복수개의 상기 낱말정보를 배치하여 문장정보를 조합하는 기본문장조합부(410) 및, 상기 낱말정보에 접속사, 전치사, 관사, 부사, 인칭대명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부가하여 문장정보를 조합하는 추가문장조합부(4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본문장조합부(410)는 복수개의 상기 낱말정보를 배치하여 문장정보를 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자소조합모듈(200)에서 기 조합된 낱말정보만으로도 문장정보가 조합 가능할 경우 기본문장조합부(410)를 통해 문장정보가 조합되는 것이다. 이 때 문장정보라 함은 한국어 문법 상 최소한 주어 및 서술어를 갖춘 문장을 말하며, 목적어나 기타 어근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각의 낱말정보 사이에는 조사 등을 통해 긴밀히 결합되어야 한다.
추가문장조합부(420)는 상기 낱말정보에 접속사, 전치사, 관사, 부사, 인칭대명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부가하여 문장정보를 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낱말정보만으로도 상술한 한국어 문법을 만족하는 문장정보가 구성되지 않거나, 혹은 보다 풍부한 의미 전달을 위해 부가적인 단어가 필요한 경우 상술한 접속사, 전치사, 관사, 부사, 인칭대명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소조합모듈(200)을 통해 조합된 낱말정보에 부가하여 문장정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때 추가적으로 부가되는 단어는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학습자(20)가 친근하게 느끼는 단어, 혹은 학습자(20)의 수준을 고려한 단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음소데이터베이스(120)를 기반으로 상기 낱말정보에 해당하는 음소정보를 파악한다고 앞서 서술한 음소파악모듈(300)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음소파악모듈(300)은, 상기 낱말정보에 대한 발음정보를 생성하는 발음정보생성부(310) 및, 상기 발음정보를 음소정보로 분리하는 음소정보파악부(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음정보 및 음소정보를 각각 파악할 수 있다.
발음정보생성부(310)는 상기 낱말정보에 대한 발음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자소정보가 조합된 낱말정보는 그 낱말정보를 구성하는 자소가 발음과 일치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가 존재하는 만큼 낱말정보에 대한 발음정보를 파악하여 음소정보 파악을 위한 준비를 수행한다. 이 때 발음정보 파악이라 함은 한국어 발음에 있어 수행되는 연음화, 구개음화, 겹받침화 등의 다양한 발음법칙을 반영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음소정보파악부(320)는 상기 발음정보를 음소정보로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궁물] 이라고 발음정보가 파악되는 경우, 음소정보인 /ㄱㅜㅇㅁㅜㄹ/로 각각의 발음정보를 나눈 음소정보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자소정보와 대응되지 않는 음소정보에 있어서도 보다 정확한 판독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음성자료 형식으로 학습자료를 제공하는 경우, 각각의 음소정보에 대한 정확한 발음을 제공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한 듣기 교육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자(20)에게 제공되는 학습자료를 통해 별도의 관찰자, 즉 선생님이나 학부모가 직접 교육 및 테스트를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보다 학습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생성된 학습자료에 대한 테스트를 본 발명의 시스템(10)을 통해 수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준 평정된 그림책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시스템(10)은, 상기 학습자료에 대한 학습자(20)의 읽기학습과정을 녹음한 녹음정보를 생성하는 녹음정보생성부(640) 및, 상기 녹음정보를 기 저장된 정답녹음정보와 비교 처리하는 정답채점부(620)를 포함하는 테스트수행모듈(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녹음정보생성부(640)는 상기 학습자료에 대한 학습자(20)의 읽기학습과정을 녹음한 녹음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바람직하게 학습자료는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은 수준 평정된 그림책이다. 이에 대해 학습자(20)의 읽기학습과정을 녹음 처리하여 녹음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읽기학습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정답채점부(620)는 상기 녹음정보를 기 저장된 정답녹음정보와 비교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러닝 레코드(running record) 방식을 이용하여 녹음정보를 기 저장된 정답녹음정보와 어절 단위로 비교 처리함으로써 성공적인 읽기 여부를 판정한다. 더불어 이러한 정답채점부는 학습자(20)의 정확한 읽기 학습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학습자(20)의 수준을 독립적 수준 교수적 수준 곤란 수준으로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학습자(2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테스트수행모듈(600)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시스템(10)은, 상기 학습자료에 대한 자소테스트퀴즈 및 음소테스트퀴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테스트퀴즈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20)에게 제공하는 테스트퀴즈제공부(610) 및, 상기 학습자(20)로부터 상기 테스트퀴즈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고 정답여부를 파악하는 정답채점부(620)를 포함하는 테스트수행모듈(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어 테스트수행모듈(600)을 통해 학습자(20)가 학습자료에 대한 퀴즈를 수행하여 정답을 확인하고 학습 효율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테스트퀴즈제공부(610)는 상기 학습자료에 대한 자소테스트퀴즈 및 음소테스트퀴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테스트퀴즈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2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자소테스트퀴즈라 함은 음소정보를 제공받고 자소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그를 위해서는 음소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자료, 즉 음성정보 형태의 학습자료가 학습자(20)에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소테스트퀴즈는 일반적인 받아쓰기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음성정보 형태의 학습자료를 제공받은 뒤, 그에 포함된 낱말정보 또는 문장정보에 대한 자소정보를 입력하는 형식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다. 더불어 음소테스트퀴즈라 함은 자소테스트퀴즈와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자소정보를 제공받고 적절한 음소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형태이다. 즉 이는 제공되는 문장정보 또는 낱말정보에 대한 읽기 테스트라고 할 수 있으며, 텍스트 형태의 학습자료에 포함된 낱말정보 또는 문장정보를 정확한 음소정보로 읽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생성되는 자소테스트퀴즈 및 음소테스트퀴즈를 포함하는 테스트퀴즈는 각각 자소와 음소를 학습자(20)가 제대로 대응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되므로, 학습자(20)가 학습자료를 통한 충분한 학습이 수행되었는지, 혹은 학습자료를 충분히 숙지하고 있는지를 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정답채점부(620)는 상기 학습자(20)로부터 상기 테스트퀴즈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고 정답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자소조합모듈(200)을 통해 조합된 낱말정보의 각각의 자소정보, 또는 음소파악모듈(300)을 통해 파악된 음소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자(20)로부터 입력받은 답안정보의 정답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또한 학습자료를 통한 학습자(20)의 국어 학습에 있어, 낱말정보로부터 문장정보로의 학습이 이어지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학습자(20)가 완벽히 숙지한 낱말정보를 기반으로 문장정보를 생성한 뒤, 그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기 위해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테스트수행모듈(600)은, 상기 학습자(20)로부터 정답이 입력된 상기 테스트퀴즈에 포함된 낱말정보를 정답낱말정보로 분류하는 낱말분류부(6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테스트퀴즈가 학습자료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만큼, 테스트퀴즈에 포함된 낱말정보 중 학습자(20)로부터 정답이 입력된 낱말정보를 별도로 분류하여 문장정보 생성을 위해 준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낱말정보를 분류하게 될 경우, 상기 문장조합모듈(400)은, 상기 정답낱말정보를 기반으로 정답낱말문장을 조합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20)가 보다 친근하게 느끼는, 숙지가 완료된 정답낱말정보를 기반으로 정답낱말문장을 조합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학습수행모듈(500)은, 상기 낱말정보를 포함하는 낱말학습자료를 생성하여 학습자(20)에게 제공하는 낱말학습수행부(540) 및, 상기 정답낱말문장을 포함하는 문장학습자료를 생성하여 학습자(20)에게 제공하는 단계별문장학습부(5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낱말학습수행부(540)를 통해 먼저 낱말정보에 대한 낱말학습자료를 생성하여 학습자(20)에게 제공하고, 그 후 단계별문장학습부(550)를 통해 상술한 낱말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테스트퀴즈를 통해 숙지여부가 확인된 정답낱말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정답낱말문장을 포함하는 문장학습자료를 순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20)에게 보다 순차적이고 단계적으로 낱말 -> 문장 순서의 학습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10)에서의 학습자(20)는 일반적으로 부진아를 의미하는 만큼, 학습자(20) 본인의 수준에 맞는 학습자료 제공이 무엇보다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를 위해서는 학습자(20) 개개인의 문해력을 평가하여 그에 맞는 학습자료를 생성 및 제공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학습자(20)에게 기 설정된 문해력검사지를 제공한 뒤, 상기 문해력검사지에 대해 상기 학습자(20)가 입력한 입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학습자의 문해력레벨을 산출하여 표준분포화하는 문해력평가모듈(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학습자(20)가 입력한 입력정보를 본 발명의 문해력평가모듈(700)에 직접 기록할 수도 있으며, 혹은 문해력검사지를 기반으로 학습자(20)가 입력한 입력정보를 검사자가 평가한 평가결과를 문해력평가모듈(700)에 입력시킨 뒤, 그로부터 문해력레벨을 산출하여 그를 표준분포화 할 수도 있다.
이 때 문해력검사지에 포함될 수 있는 하위 검사 도구로서는 ① 자모 이름 대기, ② 단어 읽기(구절 읽기), ③ 유창성 평가, ④ 받아쓰기 검사가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검사자가 일대일로 학습자(20)의 읽기 능력을 상술한 네 가지의 하위 검사 도구를 기반으로 평가하여 평가결과를 산출한 뒤, 상기 평가결과를 문해력평가모듈(700)에 입력하고 그로부터 문해력레벨을 산출한다.
문해력레벨은 표준분포화된 그래프 상에 나타나게 되며, 상술한 네 가지 하위 검사 도구별로 문해력레벨이 각각 산출되어 그래프 상에 나타날 수 있으며, 스태나인(stanine) 점수로서 출력할 수도 있고, 표준분포 그래프의 의미 및 스태나인 점수의 의미 역시 출력되어 학습자(20) 및 검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표준분포 그래프는 문해력평가를 수행한 학습자(20)의 수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보다 정교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학습자(20)를 평가하는 하위 검사 도구에 있어 ② 단어 읽기(구절 읽기)의 경우 학습자(20)의 발달 규준에 따라 단어 읽기 또는 구절 읽기 중 어느 하나가 택해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학습자(20)라 함은 초등학교 저학년을 기본으로 하므로, 초등학교 1학년의 경우 단어 읽기, 초등학교 2학년의 경우 구절 읽기를 평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더불어 보다 상세한 발달 규준 책정에 있어 학기별로 발달 규준을 적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나, 이 때 발달 규준의 적용 시기에 있어 1학기를 4월에서 9월, 2학기를 10월에서 이듬해 3월로 책정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의 경우 3월은 새 학년에 적응하는 기간이기 때문에, 문해력 교육이 힘들다는 점을 인지하여 이를 반영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문해력평가모듈(700)의 또 다른 평가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10)은, 복수의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를 녹음한 음성정보를 상기 학습자(20)에게 제공한 뒤 상기 학습자(20)로부터 상기 음성정보에 대한 자소정보를 입력받은 입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학습자(20)의 문해력레벨을 평가하는 문해력평가모듈(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문해력평가모듈(700)은 상기 학습자(20)에 대한 레벨테스트 개념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에 대한 음성정보를 제공한 뒤 학습자(20)로부터 그에 대한 자소정보를 입력받는, 일종의 받아쓰기 테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문해력레벨 평가를 위해서는 순차적 테스트가 필요한데, 예를 들어‘코끼리’, ‘나비’ 등 자소정보와 음소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대한 테스트를 순차적으로 수행한 뒤, ‘국물’, ‘봄비’, ‘굳이’ 등 자소정보와 음소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다양한 한국어 음운법칙이 적용되는 예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여 학습자(20)의 문해력레벨을 평가한다. 따라서 상술한 학습자(20)가 단순한 듣기만이 가능한지, 연음화를 이해하고 있는지, 구개음화를 이해하고 있는지, 겹받침화를 이해하고 있는지 등 학습자(20)의 수준을 판별하는 것이다.
더불어 이와 같은 문해력레벨을 학습자료 생성에 적용하기 위해, 상기 학습수행모듈(500)은, 조합된 상기 낱말정보 및 상기 문장정보를 상기 문해력레벨에 따라 분류하는 레벨분류부(560) 및, 상기 학습자(20)에 해당하는 문해력레벨로 분류된 상기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레벨별학습자료제공부(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벨분류부(560)는 조합된 상기 낱말정보 및 상기 문장정보를 상기 문해력레벨에 따라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의 발음을 위해 음운법칙이 적용되는 지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단계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1단계는 종성이 없는 단순 자소-음소 대응 가능 레벨, 2단계는 종성 포함 단순 자소-음소 대응 가능 레벨, 3단계는 경음화 적용 가능 레벨, 4단계는 격음화 적용 가능 레벨, 5단계는 ‘ㅎ’탈락 규칙 적용 가능 레벨, 6단계는 구개음화 적용 가능 레벨 등으로 나뉠 수 있다. 만약 같은 단어 내에서 여러 가지 음운법칙이 혼재되는 경우에는 둘 중 더 높은 레벨을 적용시키거나, 혹은 별도의 단계로서 ‘복합 음운법칙 적용 가능 레벨’을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 때 이러한 문해력레벨 예시는 문해력평가모듈(700)을 통한 학습자(20)의 문해력레벨 판단에 있어서도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레벨별학습자료제공부(570)는 상기 학습자(20)에 해당하는 문해력레벨로 분류된 상기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문해력판단모듈에 의해 학습자(20)의 문해력레벨이 판단되고, 레벨분류부(560)를 통해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의 문해력레벨이 판단되면, 레벨별학습자료제공부(570)의 통해 학습자(20)의 문해력레벨과 동일한 문해력레벨에 포함된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로부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학습자(20)에게 제공함으로써 레벨별 학습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음소 및 자소 변조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문해력평가모듈(700)에 추가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특정 낱말정보 및 해당 낱말정보로부터 변조된 변조낱말을 기반으로 한 문해력평가를 가능케 하여, 학습자(20)가 특정 발음에 있어 주변 음절이 치환되는 경우에도 그 자소와 음소를 대응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여 보다 세밀한 문해력레벨 평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설명하면, 특정 문장이나 낱말에 포함되는 특정한 음절의 초성, 중성, 종성 중 어느 하나를 치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조금씩 바뀌는 발음, 또는 변조에 따라 바뀔 수 있는 음운법칙에도 학습자(20)가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문해력평가모듈(700)은, 상기 음성정보를 텍스트화하는 텍스트화부(710) 및,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낱말정보를 파악하는 낱말파악부(720)와, 상기 낱말정보를 이루는 음절에 포함된 초성 및 중성 및 종성 각각의 자소정보를 파악하는 음소파악부(730) 및, 상기 초성 및 중성 및 종성 중 어느 하나를 치환위치로 설정하는 치환위치설정부(740)와, 상기 치환위치에 위치한 음소정보를 다른 상기 음소정보로 치환 처리한 치환음소를 생성하는 치환음소생성부(750)와, 상기 치환음소에 대한 음성정보인 변조음성을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20)에게 더 제공하는 변조평가부(76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텍스트화부(710)는 상기 음성정보를 텍스트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자소조합모듈(200)을 통해 판단된 자소정보 및 음소파악모듈(300)을 통해 파악된 음소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정보로부터 음소정보를 파악한 뒤, 파악된 음소정보로부터 역으로 자소정보를 파악하여 그로부터 낱말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는 낱말 뿐 아니라 문장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낱말파악부(720)는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낱말정보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텍스트화부(710)를 통해 텍스트화 된 텍스트로부터 포함된 낱말정보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상술한 문장조합모듈(400)을 역추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사 등을 제하고 어근이 되는 주어, 목적어, 서술어 등 만을 추출한 뒤 그로부터 낱말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음소파악부(730)는 상기 낱말정보를 이루는 음절에 포함된 초성 및 중성 및 종성 각각의 음소정보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음소파악모듈(300)에 의해 낱말정보를 이루는 음소정보가 파악될 수 있음과 더불어, 이를 더 세분화하여 초성 및 중성, 종성 각각으로 분류 및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치환위치설정부(740)는 상기 음절에 포함된 상기 초성 및 중성 및 종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치환위치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특정 낱말정보를 이루는 음절에 포함된 초성 및 중성 및 종성 중 변조하고자 하는 위치를 치환위치로 설정함으로써 후술할 치환음소생성부(750)를 통해 변조를 수행케 하는 것이다.
치환음소생성부(750)는 상기 치환위치에 위치한 음소정보를 다른 상기 음소정보로 치환 처리한 치환음소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치환위치의 음소정보를 다른 음소정보로 대체하여 치환함으로써 낱말정보를 다른 낱말정보로 바꾸는 것이다. 예를 들어 텍스트로부터 ‘인사’라는 낱말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이에 대한 발음정보인 [인사]로부터 /ㅇㅣㄴㅅㅏ/라는 음소정보가 추출된다. 이 때 만약 첫 번째 음절의 종성, 다시 말해 ‘ㄴ’이라는 음소정보를 ‘ㄱ’으로 치환하는 경우, 음소정보는 /ㅇㅣㄱㅅㅏ/로 치환되며, 이에 음운법칙을 적용하면 음소정보가 /ㅇㅣㄱㅆㅏ/로 다시 치환 처리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음소정보의 변조를 통해 발음정보가 [인사] 가 아닌 [익싸]로 치환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술한 치환위치설정부(740)에 의해 지정된 치환위치는 결론적으로 첫 번째 음절의 종성과 두 번째 음절의 초성이 된다.
변조평가부(760)는 상기 치환음소에 대한 음성정보인 변조음성을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20)에게 더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변조된 변조음성을 더 제공하여 특정 음소의 치환에 의해 변조되는 발음을 학습자(20)가 판단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보다 더 세밀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예에 대해 설명하면, 예를 들어 텍스트에 포함된 낱말정보로서 ‘보인다’가 파악되었다. 이 는 그 발음 역시 [보인다] 로서, 음절 단위로 분류하더라도 ‘보’, ‘인’, ‘다’로 분류되므로, 각각 음절에 대한 음소정보를 파악하면 /ㅂㅗ/, /ㅇㅣㄴ/, /ㄷㅏ/가 된다.
이 때 치환위치 설정에 있어 특정 치환위치가 지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첫 음절의 초성을 ‘ㅂ’에서 ‘ㄱ’으로 치환하는 경우 /ㄱㅗ/로 치환되므로, 단순하게는 발음이 [보인다]에서 [고인다]로 변조될 수도 있다.
이 때 만약 치환위치를 첫 음절의 종성으로 지정하는 경우, 예를 들어 첫 음절의 초성을 ‘ㄲ’로 치환하는 방식의 경우, /ㅂㅗ/, /ㄲㅣㄴ/, /ㄷㅏ/가 합쳐져 [보낀다]라는 발음으로 발음정보가 치환되며, 이에 따라 낱말정보 역시 ‘볶인다’로 치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음소의 치환 시 그에 해당하는 자소 역시 치환된다. 이 때 같은 발음이라 할지라도 자소 상 다양하게 파악될 수 있어, 올바른 자소정보 파악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문해력평가모듈(700)은, 상기 치환음소와 대응되는 자소정보를 포함하는 후보낱말정보를 파악하는 후보낱말파악부(770) 및, 사용빈도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낱말정보 중 어느 하나를 변조낱말정보로 설정하는 변조낱말설정부(7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변조평가부(760)는, 상기 변조음성 및 상기 변조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변조낱말을 상기 학습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후보낱말파악부(770)는 상기 치환음소와 대응되는 자소정보를 포함하는 후보낱말정보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익싸]라는 발음정보로부터 추출된 치환음소, /ㅇㅣㄱㅆㅏ/의 경우에도 ‘익싸’와‘익사’모두 상술한 [익싸]와 대응되는 자소정보이다. 따라서 이를 후보낱말정보로 파악하는 것이다.
변조낱말설정부(780)는 사용빈도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낱말정보 중 어느 하나를 변조낱말정보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예시를 그대로 가져오는 경우 ‘익싸’ 보다는 ‘익사’의 경우가 보다 사용빈도가 높은 후보낱말정보이다. 따라서 이를 변조낱말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 시 상기 변조평가부(760)는, 상기 변조음성 및 상기 변조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변조낱말을 상기 학습자(20)에게 더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20)가 문해력평가 시 변조음성에 대한 올바른 정답인 변조낱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며, 이렇게 파악된 변조낱말을 기반으로 학습자(20)가 입력한 입력정보를 채점하여 문해력레벨을 평가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에 더하여, 상술한 문해력평가모듈(700)을 통한 학습자(20)의 문해력 평가를 위해서는 하나의 음성정보 및 변조음성만을 통한 문해력평가가 아닌, 반복적인 문해력평가가 수행되어야 그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짐은 이루 말할 것이 없다. 따라서 반복 문해력평가를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변조평가부(760)는, 상기 변조음성 및 상기 변조음성과 대응되는 상기 변조낱말을 연동 처리한 복수개의 문해력평가낱말을 포함하는 평가리스트를 생성하는 평가리스트생성파트(761)와, 상기 문해력평가낱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문해력평가낱말에 대응되는 변조음성 및 상기 변조낱말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준문해력평가파트(762) 및, 상기 기준문해력평가파트(762)에서 선택된 상기 문해력평가낱말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문해력평가낱말 각각에 대해 산출된 선택값을 기반으로 상기 문해력평가낱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문해력평가낱말에 대응되는 변조음성 및 상기 변조낱말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반복문해력평가파트(7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가리스트생성파트(761)는 상기 변조음성 및 상기 변조음성과 대응되는 상기 변조낱말을 연동 처리한 복수개의 문해력평가낱말을 포함하는 평가리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변조음성 당 하나의 변조낱말이 대응되는 만큼, 이를 연동 처리한 문해력평가낱말을 생성하고, 이러한 문해력평가낱말이 복수개 포함된 평가리스트를 생성하여 평가리스트에 포함된 문해력평가낱말을 통한 문해력 문해력평가를 수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준문해력평가파트(762)는 상기 문해력평가낱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문해력평가낱말에 대응되는 변조음성 및 상기 변조낱말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인 문해력평가 수행을 위한 기준 설정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준문해력평가파트(762)로부터 제공된 변조음성 및 변조낱말을 통해 1차 문해력평가가 수행된다.
반복문해력평가파트(763)는 상기 기준문해력평가파트(762)에서 선택된 상기 문해력평가낱말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문해력평가낱말 각각에 대해 산출된 선택값을 기반으로 상기 문해력평가낱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문해력평가낱말에 대응되는 변조음성 및 상기 변조낱말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평가리스트에 포함된 문해력평가낱말 중 기준문해력평가파트(762)에서 선택된 문해력평가낱말을 제외하고 반복 문해력평가를 위한 문해력평가낱말을 설정할 때 랜덤 추첨을 가능케 한 구성으로서, 발음정보, 즉 음소정보가 상호 유사한 변조음성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랜덤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더불어, 이와 같은 변조음성의 생성 시 음절의 변조는 한 음절에서 일어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여러 음절에 걸쳐 일어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 때 여러 음절에서의 변조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문해력평가모듈(700)은, 상기 낱말정보를 이루는 복수개의 음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치환음절로 설정하는 치환음절설정부(79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설정된 치환음절에 대해서만 변조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이와 연동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음소파악부(730)는, 상기 치환음절에 포함된 초성 및 중성 및 종성 각각의 음소정보를 파악하게 되고, 상기 치환위치설정부(740)는, 상기 치환음절의 상기 초성 및 중성 및 종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치환위치로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치환음절설정부(790)를 통해 낱말정보에 포함된 특정 음절만을 치환음절로 설정하는 경우, 변조를 위해 전체의 초성, 중성, 종성을 파악해야하는 것이 아닌 치환음절 부분의 음소정보 및 초성, 중성, 종성만을 파악하여도 변조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변조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변조의 효율 역시 높일 수 있다.
이에 더불어, 치환이 여러 위치에서 일어나는 경우, 즉 여러 음절에 거쳐 치환이 일어나는 경우 학습자(20)는 보다 치환이 어렵게 일어났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단어에서 세 음절에 포함된 음소정보가 동시에 치환되는 경우, 발음 상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학습자(20)가 치환에 따른 난이도를 어렵게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해력평가모듈(700)은, 상기 치환음절의 개수에 따라 상기 변조음성에 대한 난이도레벨을 차등 설정하는 난이도레벨설정부(79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변조평가부(760)는, 상기 난이도레벨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변조음성을 상기 학습자(20)에게 순차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치환음절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은 난이도레벨이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며, 학습자(20)에게 수행되는 문해력평가 시 난이도레벨이 낮은 순, 즉 치환음절의 개수가 적은 변조음성부터 난이도레벨이 높은, 즉 치환음절의 개수가 많은 변조음성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도록 하여 순차적 난이도 평가 및 문해력 평가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10)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시스템 20 : 학습자
100 : 자료저장서버 110 : 자소데이터베이스
120 : 음소데이터베이스 200 : 자소조합모듈
300 : 음소파악모듈 310 : 발음정보생성부
320 : 음소정보파악부 400 : 문장조합모듈
410 : 기본문장조합부 420 : 추가문장조합부
500 : 학습수행모듈 510 : 이미지대응학습부
520 : 받침낱말학습부 530 : 문장학습부
540 : 낱말학습수행부 550 : 단계별문장학습부
560 : 레벨분류부 570 : 레벨별학습자료제공부
600 : 테스트수행모듈 610 : 테스트퀴즈제공부
620 : 정답채점부 630 : 낱말분류부
700 : 문해력평가모듈 710 : 텍스트화부
720 : 낱말파악부 730 : 음소파악부
740 : 치환위치설정부 750 : 치환음소생성부
760 : 변조평가부 761 : 평가리스트생성파트
762 : 기준문해력평가파트 763 : 반복문해력평가파트
770 : 후보낱말파악부 780 : 변조낱말설정부
790 : 치환음절설정부 791 : 난이도레벨설정부

Claims (16)

  1.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으로서,
    한국어 자소정보를 수록한 자소데이터베이스 및, 한국어 음소정보를 수록한 음소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자료저장서버;
    상기 자소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자소정보를 조합하여 낱말정보를 생성하는 자소조합모듈;
    상기 음소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낱말정보에 해당하는 음소정보를 파악하는 음소파악모듈;
    상기 낱말정보를 기반으로 문장정보를 조합하는 문장조합모듈;
    상기 낱말정보 및 상기 문장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학습수행모듈;
    복수의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를 녹음한 음성정보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한 뒤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음성정보에 대한 자소정보를 입력받은 입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학습자의 문해력레벨을 평가하는 문해력평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학습수행모듈은,
    조합된 상기 낱말정보 및 상기 문장정보를 상기 문해력레벨에 따라 분류하는 레벨분류부 및, 상기 학습자에 해당하는 문해력레벨로 분류된 상기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레벨별학습자료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해력평가모듈은,
    상기 음성정보를 텍스트화하는 텍스트화부 및,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낱말정보를 파악하는 낱말파악부와, 상기 낱말정보를 이루는 음절에 포함된 초성 및 중성 및 종성 각각의 음소정보를 파악하는 음소파악부 및, 상기 음절에 포함된 상기 초성 및 중성 및 종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치환위치로 설정하는 치환위치설정부와, 상기 치환위치에 위치한 상기 음소정보를 다른 상기 음소정보로 치환 처리한 치환음소를 생성하는 치환음소생성부 및, 상기 치환음소에 대한 음성정보인 변조음성을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더 제공하는 변조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수행모듈은,
    초성 및 중성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포함하는 상기 낱말정보 및 상기 낱말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이미지대응학습부와,
    초성 및 중성과 종성으로 이루어진 음절을 포함하는 상기 낱말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받침낱말학습부 및,
    상기 문장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문장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조합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낱말정보를 배치하여 문장정보를 조합하는 기본문장조합부 및,
    상기 낱말정보에 접속사, 전치사, 관사, 부사, 인칭대명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부가하여 문장정보를 조합하는 추가문장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파악모듈은,
    상기 낱말정보에 대한 발음정보를 파악하는 발음정보생성부 및,
    상기 발음정보를 음소정보로 분리하는 음소정보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학습자료에 대한 학습자의 읽기학습과정을 녹음한 녹음정보를 생성하는 녹음정보생성부 및,
    상기 녹음정보를 기 저장된 정답녹음정보와 비교 처리하는 정답채점부를 포함하는 테스트수행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학습자료에 대한 자소테스트퀴즈 및 음소테스트퀴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테스트퀴즈를 생성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테스트퀴즈제공부 및,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테스트퀴즈에 대한 답안정보를 입력받고 정답여부를 파악하는 정답채점부를 포함하는 테스트수행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수행모듈은,
    상기 학습자로부터 정답이 입력된 상기 테스트퀴즈에 포함된 낱말정보를 정답낱말정보로 분류하는 낱말분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장조합모듈은,
    상기 정답낱말정보를 기반으로 정답낱말문장을 조합하며,
    상기 학습수행모듈은,
    상기 낱말정보를 포함하는 낱말학습자료를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낱말학습수행부 및,
    상기 정답낱말문장을 포함하는 문장학습자료를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별문장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학습자에게 기 설정된 문해력검사지를 제공한 뒤, 상기 문해력검사지에 대해 상기 학습자가 입력한 입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학습자의 문해력레벨을 산출하여 표준분포화하는 문해력평가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수행모듈은,
    조합된 상기 낱말정보 및 상기 문장정보를 상기 문해력레벨에 따라 분류하는 레벨분류부 및,
    상기 학습자에 해당하는 문해력레벨로 분류된 상기 낱말정보 및 문장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학습자료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레벨별학습자료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해력평가모듈은,
    상기 치환음소와 대응되는 자소정보를 포함하는 후보낱말정보를 파악하는 후보낱말파악부 및,
    사용빈도를 기반으로 상기 후보낱말정보 중 어느 하나를 변조낱말정보로 설정하는 변조낱말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조평가부는,
    상기 변조음성 및 상기 변조음성에 대응되는 상기 변조낱말을 상기 학습자에게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평가부는,
    상기 변조음성 및 상기 변조음성과 대응되는 상기 변조낱말을 연동 처리한 복수개의 문해력평가낱말을 포함하는 평가리스트를 생성하는 평가리스트생성파트와,
    상기 문해력평가낱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문해력평가낱말에 대응되는 변조음성 및 상기 변조낱말을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기준문해력평가파트 및,
    상기 기준문해력평가파트에서 선택된 상기 문해력평가낱말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문해력평가낱말 각각에 대해 산출된 선택값을 기반으로 상기 문해력평가낱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문해력평가낱말에 대응되는 변조음성 및 상기 변조낱말을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반복문해력평가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해력평가모듈은,
    상기 낱말정보을 이루는 복수개의 음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치환음절로 설정하는 치환음절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소파악부는,
    상기 치환음절에 포함된 초성 및 중성 및 종성 각각의 음소정보를 파악하며,
    상기 치환위치설정부는,
    상기 치환음절의 상기 초성 및 중성 및 종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치환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문해력평가모듈은,
    상기 치환음절의 개수에 따라 상기 변조음성에 대한 난이도레벨을 차등 설정하는 난이도레벨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조평가부는,
    상기 난이도레벨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변조음성을 상기 학습자에게 순차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KR1020170041812A 2017-03-31 2017-03-31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KR101830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812A KR101830031B1 (ko) 2017-03-31 2017-03-31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812A KR101830031B1 (ko) 2017-03-31 2017-03-31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031B1 true KR101830031B1 (ko) 2018-02-19

Family

ID=6138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812A KR101830031B1 (ko) 2017-03-31 2017-03-31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0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179B1 (ko) * 2019-10-15 2021-03-08 장은석 학습효과를 높인 귀납적 추론식 한글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210037232A (ko) *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에이치투케이 인공지능 기반의 유아 한글 맞춤형 커리큘럼 생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232A (ko) *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에이치투케이 인공지능 기반의 유아 한글 맞춤형 커리큘럼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267402B1 (ko) 2019-09-27 2021-06-22 주식회사 에이치투케이 인공지능 기반의 유아 한글 맞춤형 커리큘럼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225179B1 (ko) * 2019-10-15 2021-03-08 장은석 학습효과를 높인 귀납적 추론식 한글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čová Current issues in pronunciation teaching to non-native learners of English
Güldenoğlu The effects of syllable-awareness skills on the word-reading performances of students reading in a transparent orthography
Daffern et al. Teaching writing: Effective approaches for the middle years
KR101830031B1 (ko) 읽기 부진아를 위한 초기 문해력 개별화 교육 시스템
Poteet Informal assessment of written expression
Don The CEFR and the production of spoken English: A challenge for teachers
Maruti et al. How is the Awareness of Javanese Language Phonolog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andidates?: Descriptive Qualitative Study.
Lems Adult ESL oral reading fluency and silent reading comprehension
Muzdalifah et al. Students’ Perceptions Toward Learning Material of Pronunciation
Mäkinen The role of pronunciation in Finnish EFL textbooks and EFL teaching
Litt et al. Literacy teacher education: principles and effective practices
Kamalova et al. Peculiarities of Teaching the Russian Language to Children of Immigrants.
Genelza et al. Phonological Awareness and Word Decoding Ability of Second Year BSED-English Students in USEP–Tagum Campus
Zhang From individual tones to connected speech: The case of Tone 3
Boyle et al. Reading reform in Egypt: Do the second-grade textbooks reflect the new direction?
ARCHER Decoding of multisyllabic words by skill deficient fourth and fifth grade students
Farrall et al. The role of assessment in structured literacy
Ortlieb et al. Selecting appropriate individual and group-based assessments
Martin Goals and priorities for English pronunciation instruction
Tricsli Textbooks and Supplementary Materials in Teaching English Pronunciation
Kissling Bottom’s up for listening: The effect of pronunciation instruction on L2 listening comprehension
Azkiyah et al. English Pronunciation, Intonation, and Accent Reduction for Japanese Speakers
Delmonte Speech synthesis for language tutoring systems
Bakhodirovna et al. Stages And Methods Of Analyzing The Texts Of A Book In Primary School
Nguyễn A STUDY ON NATIVE-LIKE PRONUNCIATION MATTERS ENCOUNTERED BY THIRD-YEAR ENGLISH MAJORS AT THE UNIVERSITY OF FOOD INDUSTRY IN HO CHI MINH 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