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717B1 -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717B1
KR101831717B1 KR1020150152075A KR20150152075A KR101831717B1 KR 101831717 B1 KR101831717 B1 KR 101831717B1 KR 1020150152075 A KR1020150152075 A KR 1020150152075A KR 20150152075 A KR20150152075 A KR 20150152075A KR 101831717 B1 KR101831717 B1 KR 10183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yin
chinese
korean
chinese character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486A (ko
Inventor
이은령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이은령
칼라프로젝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이은령, 칼라프로젝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50152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71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중국어 학습방법은, 중국한자한어병음라틴병음이 한글로 표현된 한글병음과, 상기 중국한자에 대응되는 한국한자의 음인 한자음과, 상기 한자음과 한글병음 사이의 초성, 중성, 종성의 변화를 패턴화한 변환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학습데이터가 대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준비단계와, 중국한자, 한국한자, 라틴병음, 한글병음, 한자음 중 어느 하나가 입력자료로서 입력되는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자료에 해당되는 한자음과 한글병음이 표시됨과 함께, 해당되는 변환규칙에 대응되는 학습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Learning method of Chinese and medium hold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한국에서 한자를 익혀서 한자음을 이미 지득한 학습자가 중국어를 공부할 때, 한자음을 기초로 하여 중국어 발음을 추론하여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중국어를 말과 글로 나누면, 중국말은 발음이 문제가 되고, 중국글은 한자가 문제가 된다. 중국어는 뜻글자이기 때문에, 소리글자인 한글이나 영미권의 알파벳, 일본의 가나와 달리, 글자를 안다고 하여 그 발음을 곧바로 할 수 있는 언어가 아니다. 그래서 글자와 함께 그 발음을 표기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한자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사용되므로, 이들 나라를 한자문화권이라 한다. 그런데 언어는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므로, 동일하다고 인식되는 한자에 대해 현재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글자체는 그 형태가 변형된 경우가 있다. 예컨대 한국에서는 한국식 번체자(한국한자)를 사용하고, 중국 본토에서는 간체자(중국한자)를 사용하고, 대만에서는 대만식 번체자(대만한자)를 사용하고, 일본에서는 일본국자(일본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그 나라에서만 사용되는 글자나 만들어진 글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한국, 중국, 일본에서 한자가 사용되기는 하지만, 외견상 동일 한자에 대한 발음이 동일하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한자 '上'에 대한 발음은, 한국에서는 '상', 중국에서는 '샹', 일본에서는 '죠'가 된다. 따라서 한국, 중국, 일본인들은, 어법을 모르는 경우에도, 한자를 나열하는 필담은 가능하지만, 그 발음을 알지 못하므로, 대화는 할 수 없다고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된다.
이처럼, 한국, 중국, 일본은, 한자에 대한 발음이 서로 독립적으로 보존 및 변천되고 있으므로, 그 발음을 표기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다. 예컨대 한국에서는, 한자의 뜻과 함께 한자음(한국발음)을 예컨대 천자문과 같은 형태로 한글로 표시하여 학습시키도록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한자의 발음을 성조표시와 함께 로마자로 표시되는 병음(라틴병음)으로 표시한 한어병음으로 교육시키고 있다. 일본에서는, 한자를 읽을 때, 음독과 훈독이 가능하도록 가나로 표시하여 학습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한국식으로 한자의 뜻과 함께 그 한자의 한국발음을 이미 습득한 학습자라고 하더라도, 중국식 발음인 병음을 쉽게 알 수 없다는 점에 문제가 있다.
종래기술 중, 특허문헌 1은, 중국어 라틴병음 중, 한글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은 그대로 한글로 표시하고, 한글로 표시될 수 없는 f, zh, ch, sh, r, l 등에 대해서는, 한글 구성요소의 조합을 이용한 발음기호를 정하여 표시하도록 한 기술이다. 예컨대 'Ni hao'를 '니하오'로 표시하도록 한다.
특허문헌 2는, 한글의 자음을 1개 또는 2개를 조합하거나 1개 또는 2개를 조합된 것에 ‘ㅡ’를 조합하여 중국어 발음 자음들을 만들고, 한글의 모음을 1개 내지 3개를 조합하거나 상기 한글의 모음 1개와 받침자음 ‘ㄴ, ㅇ, ㄹ’ 중 어느 하나를 조합하여 중국어 발음 모음들을 만들어, 상기 중국어 발음 자음 및 중국어 발음 모음을 조합하여 1개의 한자에 대하여 1음절 내지 3음절로 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는 것을 포함한 기술이다. 예컨대 'tai'를 '타이'로 표시하도록 한다.
특허출원공개 10-2010-0081511 특허출원공개 10-2011-0083268
그런데, 위 특허문헌 1, 2의 기술은, 로마자로 되어 있는 라틴병음 대신에 이를 한글로 표현한 일종의 한글병음을 사용하여 중국어 발음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중국어 학습에 대한 거부감이 경감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한자의 한자음을 이용한 중국어 학습방법은 아니다.
그리고 특허문헌 1, 2에서 제안된 한글병음의 경우에도, 표준 키보드에 존재하지 않는 도형문자를 사용하거나, 쌍치읏('ㅊㅊ')과 같이 표준 키보드에서는 조합될 수 없는 문자조합을 사용하도록 정함으로써, 실제 이용에 불편함을 많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한국한자의 한자음을 기초로 하여, 중국어의 한자의 발음을 유추 내지 추론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자음과 중국어 한글병음이 동일한 동음(同音)자는, 발음 암기의 필요가 없으므로 별도 분리해서 성조 위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한자음과 한글병음이 다르더라도, 한자음으로부터 한글병음이 추론 가능한 이음(異音)자는, 추론에 필요한 변환규칙을 위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추론이 불가능한 별음(別音)자는, 별도로 모아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효율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학습데이터와 함께 중국한자의 발음을 구성하는 성조를 시각적으로 가장 직접적인 방식으로 표시하여, 본능적이고 감각적으로 중국어 발음을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중국어 학습방법은, 중국한자한어병음라틴병음이 한글로 표현된 한글병음과, 상기 중국한자에 대응되는 한국한자의 음인 한자음과, 상기 한자음과 한글병음 사이의 초성, 중성, 종성의 변화를 패턴화한 변환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학습데이터가 대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준비단계와, 중국한자, 한국한자, 라틴병음, 한글병음, 한자음 중 어느 하나가 입력자료로서 입력되는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자료에 해당되는 한자음과 한글병음이 표시됨과 함께, 해당되는 변환규칙에 대응되는 학습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준비단계에서, 아래의 변환표에 따라서 라틴병음 성모가 한글병음 초성자음으로 변환된다.
Figure 112015105788537-pat00001
그리고, 상기 준비단계에서, 아래의 변환표에 따라서 라틴병음 운모가 한글병음 중성모음종성자음으로 변환된다.
(단, u:는 u자 상부에 점 2개가 횡으로 표시된 문자를 나타냄)
Figure 112015105788537-pat00002
이때, 상기 준비단계에서, 아래의 변환표에 따른 변음문자 지정 중 적어도 하나가 한글병음에 포함되어도 좋다.
Figure 112015105788537-pat00003
그리고, 두음법칙이 적용된 한자음에 대해서는, 두음법칙의 미적용시의 한자음을 기준으로 하여 변환규칙이 생성되고, 학습데이터에 두음법칙에 관한 설명이 포함되어도 좋다.
그리고, 경음화가 적용된 한자음 또는 한글병음에 대해서는, 경음화의 미적용시의 한자음 또는 한글병음을 기준으로 하여 변환규칙이 생성되고, 학습데이터에 경음화에 관한 설명이 포함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준비단계에서, 아래의 변환규칙표에 따른 초성변환규칙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환규칙에 포함된다.
Figure 112015105788537-pat00004
그리고, 상기 준비단계에서, 아래의 변환규칙표에 따른 중성변환규칙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환규칙에 포함된다.
Figure 112015105788537-pat00005
그리고, 상기 준비단계에서, 아래의 변환규칙표에 따른 종성변환규칙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환규칙에 포함된다.
Figure 112015105788537-pat00006
그리고, 상기 학습데이터에는, 한자음과 한글병음이 완전 동일한 동음(同音)자와, 한자음과 한글병음이 다르지만, 상기 변환규칙에 의해 한자음으로부터 한글병음의 유추가 가능한 이음(異音)자와, 한자음과 한글병음이 다르고, 상기 변환규칙에 의해 한자음으로부터 한글병음의 유추가 불가능한 별음(別音)자에 대한 설명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국한자의 글자 또는 배경의 적어도 일부가 성조별 컬러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성조의 1성 내지 4성 중 적어도 3가지, 또는 성조의 1성 내지 4성과 경성 중 적어도 3가지에 대해, 교통신호등의 주행, 경고, 멈춤을 의미하는 녹색, 황색, 적색이 성조별 컬러로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성조의 1성 내지 4성, 또는 성조의 1성 내지 4성과 경성에 대해, 과일의 형상, 크기, 컬러로부터 각 성조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것으로 결정된 과일이 각각 선택되어, 그 과일의 컬러가 성조별 컬러로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중국한자한어병음라틴병음이 한글로 표현된 한글병음과, 상기 중국한자에 대응되는 한국한자의 음인 한자음과, 상기 한자음과 한글병음 사이의 초성, 중성, 종성의 변화를 패턴화한 변환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학습데이터가 대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처리기기에 중국한자, 한국한자, 라틴병음, 한글병음, 한자음 중 어느 하나가 입력자료로서 입력되는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자료에 해당되는 한자음과 한글병음이 표시됨과 함께, 해당되는 변환규칙에 대응되는 학습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정보처리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국한자의 한자음을 기초로 하여, 중국한자의 발음을 유추 내지 추론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제시받을 수 있으므로, 학습자는 한자음과 한글병음 사이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한자에 대해서도 그 발음을 유추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한자음과 중국어 한글병음이 동일한 동음(同音)자는, 발음 암기의 필요가 없으므로 별도 분리해서 성조 위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한자음과 한글병음이 다르더라도, 한자음으로부터 한글병음이 추론 가능한 이음(異音)자는, 추론에 필요한 변환규칙을 위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추론이 불가능한 별음(別音)자는, 별도로 모아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공부해야 할 양이 현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학습효율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학습데이터와 함께 중국한자의 발음을 구성하는 성조를 시각적으로 가장 직접적인 방식인 컬러로 표시하여, 학습자의 본능이나 감각에 어필하는 방식으로 중국어 발음 중 성조를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국어 학습방법이 구현되는 서버-단말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블럭도,
도 2는, 단말의 입력화면 예시도,
도 3은, 단말의 출력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동일구성에 의해 동일기능을 나타내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이 달라지더라도 동일부호를 유지함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중국어 학습방법은, 도 1과 같이 인터넷을 통해 서버(20)에 연결되는 단말(1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서버(20)에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단말(10)에 구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서버(20)의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프로세스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단말(10)에 의해 처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1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컴퓨터, PDA, 패드,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든 종류의 정보처리기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중국어 학습방법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준비단계와, 입력단계와, 학습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준비단계는, 한글병음과, 한자음과, 학습데이터가 대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도 1의 한자 데이터베이스, 한글화변환 데이터베이스 및 발음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한글병음은, 중국한자한어병음라틴병음이 한글로 표현된 것을 말한다. 그리고 한자음은, 한국한자의 음이다. 그리고 학습데이터는, 상기 한자음과 한글병음 사이의 변환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자료이다. 이 변환규칙은, 한글로 표현된 한자음의 초성, 중성, 종성이 역시 한글로 표현된 한글병음의 초성, 중성, 종성으로,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조사하여, 변화의 패턴을 찾아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규칙을 말한다. 패턴은 전수조사를 하여도 좋고, 특정 그룹, 예컨대 HSK 6급 기준 한자 2,143개를 기준으로 하여 조사한다는 식으로 그 범위를 학습용도에 맞춰서 한정하여 조사하여도 좋다.
도 1에 의하면, 한자 데이터베이스에는, 중국한자 및 그 라틴병음, 상기 중국한자에 대응되는 한국한자 및 그 한자음이 저장된다. 한글화변환 데이터베이스에는, 라틴병음의 성모와 운모와 한글병음의 초성자음, 중성모임 및 종성자음 사이의 변환규칙이 저장된다. 발음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는, 중국한자의 한글병음과 한국한자의 한자음 사이의 변환규칙 및 그 학습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입력단계는, 입력자료가 입력되는 단계이다. 입력자료로서는, 중국한자, 한국한자, 라틴병음, 한글병음, 한자음 중 어느 하나의 유형이 입력될 수 있다. 다만,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완성된 한자, 병음, 한자음이 아니라 예컨대 한자, 병음이나 한글의 미완성된 일부만 입력되어도 그것을 포함하는, 또는 그것으로 시작되는 자료가 결과로서 출력(자동완성기능)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다른 입력자료, 예컨대 한자 부수를 입력받고, 그와 관련된 자료가 출력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입력가능한 입력자료의 유형이 설정메뉴에서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해도 좋고, 2 이상이 입력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입력시점에서 유형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메뉴가 나타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입력자료는, 도 1에 따라, 라틴병음이나 한글병음인 경우에는 한글화변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한글병음이나 라틴병음으로 변환되고, 이들은 한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한글병음과 한자음이 특정된다.
상기 표시단계는, 도 1에 따라, 발음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상기 입력자료에 해당되는 한자음과 한글병음 사이의 변환규칙과 학습데이터가 출력 및 표시되는 단계이다. 이 학습데이터는 한자음과 한글병음 사이의 변환규칙에 대응되는 학습용 데이터이다. 이 학습데이터를 학습함으로써, 학습자는 한국한자의 한자음을 알고 있는 경우에, 그 한자음에 기초하여 변환규칙을 통하여, 중국한자의 한글병음을 유추 내지 추론할 수 있도록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2와 같이, 단말(10)의 입력칸에 한글 '한'이 입력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입력자료를 오직 '한글병음'으로만 한정시켜 놓았다고 가정한다. 참고로, 예컨대 한글병음과 한자음을 입력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현재 입력될 입력자료가 이들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 것인지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하는 예컨대 컨트롤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추가될 필요가 있다.
그러면, 도 1의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부가 서버(20)에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버(20)로, 단말(10)에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단말의 저장부(도시 생략)로, 쿼리가 전해진다. 제어부는 도 1의 한자 데이터베이스 및 한글화변환 데이터베이스에 처리를 행하여, 한글병음이 '한'인 자료(도시된 예에서는 汗, 喊, 漢, 寒)를 찾아서, 이들의 한자음, 한글병음 및 학습데이터와 함께 기타 자료, 예컨대 한국한자, 중국한자, 한자의 훈 등의 자료를 단말(10)의 표시부에 전달한다.
그러면 예컨대 도 3과 같이, 이들 자료가 미리 정해진 포맷으로 모두 단말(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여기서 첫 번째의 '땀 한'(汗)의 경우에는, 한국한자와 중국한자가 동일하고, 한자음 '한'이 그대로 한글병음 '한'이 되므로, 이를 동음(同音)자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동음자의 경우에는, 성모와 운모에 대해서는 별도로 학습할 필요가 없고, 오직 성조만 집중해서 학습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분량이 현격히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동음자는, HSK 6급 2,143 한자의 경우에, 동음의 범위를 결정하는 기준에 따라서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경음화나 두음법칙을 무시한다는 전제 하에 261개의 동음자를 선별할 수 있다. 이는 HSK 6급 한자의 12.2%에 해당하므로, 이들에 대한 학습경감 효과가 중국어 학습에 있어서 크게 도움이 된다. 이 동음자에 대해서는, 학습데이터로서, 예컨대 '동음자'라는 표시와, 초성, 중성, 종성의 변환결과와, 학습 포인트로서 예컨대 '발음이 동일하므로 성조만 유의할 것'이라는 멘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의 '외칠 함'(喊)의 경우에는, 한국한자와 중국한자가 동일하지만, 한자음 '함'이 한글병음 '한'이 되므로, 동음자가 아니다. 하지만, 한자음 초성과 중성이 그대로 한글병음 초성과 중성과 동일하고, 오직 한자음의 종성 'ㅁ'이 한글병음의 종성 'ㄴ'으로 변화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동음자는 아니지만, 그 변화된 부분에서 규칙성을 찾을 수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규칙을 변환규칙으로 정리하여 이해함으로써, 한자음을 기초로 한 한글병음의 예측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그래서, 한자음과 한글병음이 다르지만, 상기 변환규칙에 의해 한자음으로부터 한글병음의 유추가 가능한 한자를 이음(異音)자라 하기로 한다. 발음은 다르지만 규칙 범위에 드는 한자이다. 종성 'ㅁ'이 종성 'ㄴ'으로 변환되는 규칙 등의 이러한 변환규칙에 대해서는, 뒤에 종합하여 상술한다. 이 이음자에 대해서는, 학습데이터로서, 예컨대 '이음자'라는 표시와, 초성, 중성, 종성의 변환결과와, 학습 포인트로서 예컨대 '초성, 중성은 동일하고, 종성은 ㅁ이 ㄴ으로 변환되는 규칙을 따름'이라는 멘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세 번째의 '한수 한'(漢)의 경우에는, 한국한자와 중국한자가 다르지만, 한자음 '한'이 그대로 한글병음 '한'이 되므로, 역시 동음자에 해당되고, 네 번째의 '찰 한'(寒)의 경우에는, 한국한자와 중국한자가 동일하고, 한자음 '한'이 그대로 한글병음 '한'이 되므로, 역시 동음자에 해당된다.
한편, 한자음과 한글병음이 다르고, 상기 변환규칙에 의해 한자음으로부터 한글병음의 유추가 불가능한 별음(別音)자라 하기로 한다. 즉 발음도 다르고, 규칙 범위에서 벗어나는 한자이다. 이러한 별음자에는, 그 나라 고유의 특유의 한자, 그 나라에서만 사용되도록 만들어진 한자도 포함된다. 이러한 별음자는 그 수가 많지 않고, 규칙성을 찾을 수 없으므로, 하나 하나 학습해야 하지만, 이들 별음자에 대한 학습에 도움이 되는 자료, 예컨대 부수나 유사한 한자 등을 학습데이터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처럼 학습데이터에는 이러한 동음자, 이음자, 별음자에 대한 설명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라틴병음-->한글병음 변환>
1958년 허가 및 실행된 한어병음인 라틴병음은 로마자로 표시되고, 상기 준비단계에서 이 라틴병음은 한글병음으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러한 변환을 위한 규칙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자에 따라서 다를 수 있지만,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해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이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가 인정하는 정도의 규칙성의 차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라틴병음 성모-->한글병음 초성자음 변환규칙의 실시예>
그런데, 라틴병음 성모에는 현재의 한글에 존재하지 않는 발음이나 구별이 곤란한 발음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을 적절히 한글로 표현하는 방식을 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으나, 현재의 표준 키보드에서 허용되는 키 조합을 고려하면, 아래의 변환표에 따라서 라틴병음 성모가 한글병음 초성자음으로 변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5105788537-pat00007
예컨대 b --> ㅂ/ㅃ('/'는 '또는'의 의미, 이하 동일), d --> ㄷ/ㄸ, j, z, zh --> ㅈ/ㅉ, x, s, sh --> ㅅ/ㅆ의 변환은, 지방에 따라서, 발음자에 따라서, 성조에 따라서도 경음화 현상의 유무가 변하는 중국어의 발음의 특색을 고려한 것이다.
p --> ㅍ, m --> ㅁ, t --> ㅌ, n --> ㄴ, k --> ㅋ, h --> ㅎ의 변환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변환이다.
변음문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라틴병음 운모-->한글병음 중성모음 종성자음 변환규칙의 실시예>
한편, 상기 준비단계에서, 아래의 변환표에 따라서 라틴병음 운모가 한글병음 중성모음종성자음으로 변환되어도 좋다. 라틴병음 운모 중에서 한글 중성모음이나 종성자음으로 표현되지 못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없다고 받아들여진다.
(단, u:는 u자 상부에 점 2개가 횡으로 표시된 문자를 나타냄)
Figure 112015105788537-pat00008
여기서, 동일한 여우(또는 이어우)(iou) 발음에 대해 jiu, you가 되는 바와 같이, 운모의 앞에 성모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철자나 발음의 변화가 발생됨을 고려하였다. 또한, 운모 i는 그 앞의 성모의 종류에 따라서 발음이 'ㅣ'와 'ㅡ'로 나뉘는 점을 반영하였다.
그리고, 성모 'e'는 원래 'ㅡ어' 발음이 더 정확하지만, 단순히 'ㅓ'로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었고, 성모 'o'는 원래 'ㅗ어' 발음이 더 정확하지만, 단순히 'ㅗ'로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어우'를 '여우'로 축약해 나타내고, '이에'를 '예'로 축약해 나타내는 식으로, 가능하면 한자음처럼 짧은 음절이 되도록 한글병음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길게 늘여서 쓰는 것이나, 유사하게 발음되는 대표음도 모두 본원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변음문자>
상기 준비단계에서, 현재의 한글로는 표기가 어렵거나 구분이 곤란한 라틴병음인 f, l, r, j, q, x, z, c, s, zh, ch, sh에 대해서, 변음문자가 지정되면 편리하다.
ㅂ변음문자는, 한국에 없는 f발음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또는 문자조합을 말한다.
그리고 ㄹ제1변음문자와 ㄹ제2변음문자는, 한국에서 구분하기 어려운 l발음과 r발음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또는 문자조합을 말한다.
그리고, ㅈ제1변음문자, ㅈ제2변음문자, ㅈ제3변음문자는, 한국에서 구분하기 어려운 j, z, zh발음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또는 문자조합을 말한다.
그리고, ㅊ제1변음문자, ㅊ제2변음문자, ㅊ제3변음문자는, 한국에서 구분하기 어려운 q, c, ch발음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또는 문자조합을 말한다.
그리고, ㅅ제1변음문자, ㅅ제2변음문자, ㅅ제3변음문자는, 한국에서 구분하기 어려운 x, s, sh발음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또는 문자조합을 말한다.
이렇게 아래의 변환표에 따른 변음문자 지정 중 적어도 하나가 한글병음에 포함되어도 좋다. 참고로, ㅂ변음문자의 'ㅸ' 또는 'ㆄ'은 훈민정음에서 사용되었던 순경음비읍과 순경음피읖이고, ㅈ, ㅊ, ㅅ의 제2변음문자에 사용된 'ㅿ'은 훈민정음에 포함되었던 반치음(여린시옷)이다.
Figure 112015105788537-pat00009
<두음법칙의 배제>
예컨대 한국한자 '李'는, 중국한자도 동일하고, 한자음은 '이'이지만 한글병음은 '리'가 된다. 따라서 일견 이음자나 별음자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한자음 '이'는 두음법칙이 적용된 결과이고, 두음법칙이 적용되기 이전의 원래의 발음은 '리'이다. 따라서 실제로는 동음자인 것이다. 두음법칙은 오직 대한민국에서만 적용되는 법칙, 즉 사투리인 것이다.
이처럼 두음법칙이 적용된 한자음에 대해서는, 두음법칙의 미적용시의 한자음을 기준으로 하여 변환규칙이 생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동음자의 수가 증가되므로, 학습량이 줄어든다. 그리고, 두음법칙이 적용된 한자에 대해서는, 학습데이터에는 두음법칙에 관한 설명이 포함되어야, 변환규칙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될 것이므로 바람직하다.
<경음화의 배제>
예컨대 라틴병음 성모 g는 한글병음 초성자음의 ㄱ이나 ㄲ으로 변환될 수 있다. 즉, 라틴병음 성모에는 직접적으로 'ㄲ'에 해당되는, 예컨대 'gg'와 같은 식의 성모는 없지만, 실제 발음은 'ㄲ'의 발음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는 한자음 초성자음의 ㄱ이나 ㄲ 중 어느 것이 될 수 있다. 이처럼, ㄱ, ㄷ, ㅂ, ㅅ, ㅈ에 대한 경음화인 ㄲ, ㄸ, ㅃ, ㅆ, ㅉ는 중국어에서는 동일시되어도 좋다.
따라서, 경음화가 적용된 한자음 또는 한글병음에 대해서는, 경음화의 미적용시의 한자음 또는 한글병음을 기준으로 하여 변환규칙이 생성되어도 좋다. 그리고, 경음화의 효과가 제거되었으므로, 학습데이터에는 이 제거된 경음화에 관한 설명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초성변환규칙>
그리고, 상기 준비단계에서, 한자음 초성이 한글병음 초성으로 어떻게 변환되는가에 대해, 아래의 변환규칙표에 따른 초성변환규칙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환규칙에 포함된다. 이 변환규칙을 학습함으로써, 학습자는 한자음의 초성자음이 중국어 한글병음에서는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를 유추 또는 추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ㄴ, ㅋ은 예외없이 그대로 불변으로 유지되므로, 학습량이 줄어든다. 그리고 ㄷ과 ㅌ, ㅂ과 ㅌ은 서로 호환적으로 변환됨을 알 수 있으므로, 예측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ㄹ과 ㅁ, ㅇ은 변환규칙이 난해하지 않으므로, 쉽게 익힐 수 있다. 그리고 ㄱ, ㅅ, ㅈ, ㅊ, ㅎ의 규칙이 좀 복잡하지만, 예컨대 ㄱ의 경우, ㄱ --> ㄱ/ㄲ은 자기 자신과 동일한 변환(즉 유지)이고, ㅋ은 동일계열의 격음화이므로, 예상 못하는 변환은 ㄱ --> ㅊ 변환밖에 없다. 이런 식으로 동일계열 변환을 제거하면, 암기해야 할 변환의 수는 줄어들기 때문에, 학습랑이 많지 않다. 그리고 ㅈ, ㅊ, ㅅ의 경우에는, 공통으로 'ㅊ'가 대표음이 되므로, ㅈ은 동일계열과 대표음과 ㄷ계열, ㅊ은 동일계열(동시에 대표음)과 ㅈ계열, ㅅ은 동일계열과 대표음으로 묶을 수 있어서, 암기량을 줄일 수 있다.
Figure 112015105788537-pat00010
<중성변환규칙>
그리고, 상기 준비단계에서, 한자음 중성이 한글병음 중성으로 어떻게 변환되는가에 대해, 아래의 변환규칙표에 따른 중성변환규칙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환규칙에 포함된다. 예컨대 한자 화(話)는 한자음이 '화'이고, 한글병음이 '화'이므로, 중성모음은 'ㅘ --> ㅘ'로 변환되어, 동일(즉 불변)이다. 하지만 한자 과(過)는 한자음이 '과'이고, 한글병음이 '궈'이므로, 이음자이고, 그 변환규칙은 'ㅘ --> ㅝ'이다. 이처럼 중성변환규칙을 학습함으로써, 한국한자의 한자음을 기초로 하여 중국한자의 한글병음을 유추 내지 추론할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15105788537-pat00011
<종성변환규칙>
그리고, 상기 준비단계에서, 한자음 종성이 한글병음 종성으로 어떻게 변환되는가에 대해, 아래의 변환규칙표에 따른 종성변환규칙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환규칙에 포함된다. 한자음의 종성은 다양하지만, 한글병음의 종성은 ㄴ, ㅇ, 또는 종성없음의 3가지 경우로 나뉜다. 특히 한자음 종성 중에서 ㅇ은 그대로 한글병음 종성의 ㅇ이 되므로, 간단하다. 그리고 한자음 종성의 ㄴ, ㅁ은 한글병음 종성에서는 ㄴ이 된다. 한자음 종성 중 나머지는 모두 한글병음 종성에서는 탈락된다. 그러므로, 한자음을 익힌 학습자가 한글병음 종성을 용이하게 유추 내지 추론할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15105788537-pat00012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칸에 입력된 한자음이나 한글병음 등에 근거하여, 한자음을 기준으로 한글병음을 유추 내지 추론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환규칙에 관한 설명을 담은 학습데이터가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동음자는 별도로 구분하여 오직 성조에만 집중해서 학습하고, 별음자는 별도로 구분하여 학습하고,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음자는, 출력되는 변환규칙에 따라서 실제 예를 적용시켜가면서 학습하여, 학습자가 용이하게 중국어 발음을 익힐 수 있게 된다.
<성조 컬러화>
한편, 중국어 발음 중에서 성모와 운모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한글병음을 만든 후에 이를 한자음으로부터 변환되는 변환규칙을 학습하여 습득할 수 있고, 중국어 발음 중 성조에 대해서는, 학습자가 가장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직감적 감각적 비주얼 정보인 컬러를 이용하여 학습성과를 배가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출력되는 중국한자의 글자 또는 배경의 적어도 일부가 성조별 컬러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글자 전체가 성조별로 채색된 경우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글자의 일부가 채색되거나, 글자 배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원형 또는 사각 등 소정 형상으로 채색되거나, 그라데이션 처리되거나, 형광 처리되거나, 블링킹 처리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신호등 성조>
한편, 일실시예로서, 성조별 컬러와 교통신호등 녹색, 황색, 적색을 연상기법에 의해 대응시킬 수도 있다. 즉, 성조의 1성 내지 4성 중 적어도 3가지, 또는 성조의 1성 내지 4성과 경성 중 적어도 3가지에 대해, 교통신호등의 주행, 경고, 멈춤을 의미하는 녹색, 황색, 적색이 성조별 컬러로서 적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4성조는 평탄한 1성, 상승하는 2성, 하강 후 상승하는 3성, 하강하는 4성으로 구분되므로, 예컨대 이들 중 2성(상승), 3성(하강상승), 4성(하강)에 각각 녹색, 황색, 적색을 배정할 수도 있다.
<과일 성조>
그리고, 성조의 1성 내지 4성, 또는 성조의 1성 내지 4성과 경성에 대해, 과일의 형상, 크기, 컬러로부터 각 성조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것으로 결정된 과일이 각각 선택되어, 그 과일의 컬러가 성조별 컬러로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컨대 1성, 2성, 3성, 4성에 대해 각각 아스팔트색(고가도로), 녹색(산), 황색(휘어진 형상의 바나나), 빨강(익은 과일이 낙과됨)을 배정할 수도 있다.
<기록매체>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중국한자한어병음라틴병음이 한글로 표현된 한글병음과, 상기 중국한자에 대응되는 한국한자의 음인 한자음과, 상기 한자음과 한글병음 사이의 초성, 중성, 종성의 변화를 패턴화한 변환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학습데이터가 대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처리기기에 중국한자, 한국한자, 라틴병음, 한글병음, 한자음 중 어느 하나가 입력자료로서 입력되는 입력단계와, 상기 입력자료에 해당되는 한자음과 한글병음이 표시됨과 함께, 해당되는 변환규칙에 대응되는 학습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정보처리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구체적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변형, 변경, 개량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입력된 입력자료에 해당되는 한자음과 한글병음 사이의 변환법칙의 학습데이터가 표시되는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의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
10: 단말
20: 서버

Claims (14)

  1. 중국한자 및 상기 중국한자의 한어병음인 라틴병음과, 상기 중국한자에 대응되는 한국한자 및 상기 한국한자의 음인 한자음이 저장되는 한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라틴병음의 성모 및 운모와 상기 라틴병음이 한글로 표현된 한글병음의 초성, 중성, 종성 사이의 변환규칙이 저장되는 한글화변환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한글병음과 상기 한자음 사이의 초성, 중성, 종성의 변환규칙 및 설명용 학습데이터가 저장되는 발음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가, 서버 및 단말로 이루어지는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에 구축되는 준비단계와,
    상기 중국한자, 한국한자, 라틴병음, 한글병음, 한자음 중 어느 하나가 입력자료로서 상기 단말에 입력되는 입력단계와,
    (3-1) 상기 입력자료가 중국한자인 경우에는, 상기 중국한자에 대응되는 상기 라틴병음이 상기 한글화변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대응되는 한글병음으로 상기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에서 변환되고, (3-2) 상기 입력자료가 한국한자인 경우에는, 상기 한국한자에 대응되는 상기 중국한자의 상기 라틴병음이 상기 한글화변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대응되는 한글병음으로 상기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에서 변환되고, (3-3) 상기 입력자료가 라틴병음인 경우에는, 상기 라틴병음이 상기 한글화변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대응되는 한글병음으로 상기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에서 변환되고, (3-4) 상기 입력자료가 한글병음인 경우에는, 상기 한글병음이 상기 한글화변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대응되는 라틴병음으로 상기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에서 변환되고, (3-5) 상기 입력자료가 한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한자음에 대응되는 상기 한국한자에 대응되는 상기 중국한자에 대응되는 상기 라틴병음이 상기 한글화변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대응되는 한글병음으로 상기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에서 변환되는 병음 변환단계와,
    (4-1) 상기 입력자료가 중국한자인 경우에는, 상기 중국한자 및 상기 중국한자에 대응되는 한국한자가 상기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에서 특정되고, (4-2) 상기 입력자료가 한국한자인 경우에는, 상기 한국한자 및 상기 한국한자에 대응되는 중국한자가 상기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에서 특정되며, (4-3) 상기 입력자료가 라틴병음인 경우에는, 상기 라틴병음으로부터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대응되는 1 이상의 중국한자 및 상기 중국한자에 대응되는 한국한자가 상기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에서 특정되고, (4-4) 상기 입력자료가 한글병음인 경우에는, 상기 병음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라틴병음으로부터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대응되는 1 이상의 중국한자 및 상기 중국한자에 대응되는 한국한자가 상기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에서 특정되며, (4-5) 상기 입력자료가 한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한자음으로부터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대응되는 1 이상의 한국한자 및 상기 한국한자에 대응되는 중국한자가 상기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에서 특정되는 한자 특정단계와,
    상기 한자 특정단계에서 특정된 상기 중국한자에 대응되고 상기 병음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한글병음이 상기 단말에 표시됨과 함께, 상기 한자 특정단계에서 특정된 한국한자에 대응되어 상기 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되는 한자음이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한글발음 표시단계와,
    상기 한글발음 표시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한글병음이나 한자음으로부터 상기 발음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대응되는 변환규칙 및 학습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규칙학습 표시단계
    가 포함되고,
    상기 학습데이터에는,
    한글병음과 한자음이 완전 동일한 동음(同音)자와,
    한글병음과 한자음이 다르지만, 상기 발음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상기 발음변환규칙에 의해, 한글병음과 한자음 사이의 유추가 가능한 이음(異音)자와,
    한글병음과 한자음이 다르고, 상기 발음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상기 발음변환규칙에 의해 한글병음과 한자음 사이의 유추가 불가능한 별음(別音)자
    에 대한 설명이 포함됨
    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두음법칙이 적용된 한자음에 대해서는, 두음법칙의 미적용시의 한자음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한글화변환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변환규칙 및 상기 발음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변환규칙이 생성되고,
    상기 학습데이터에 두음법칙에 관한 설명이 포함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경음화가 적용된 한글병음 또는 한자음에 대해서는, 경음화의 미적용시의 한글병음 또는 한자음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한글화변환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변환규칙 및 상기 발음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변환규칙이 생성되고,
    상기 학습데이터에 경음화에 관한 설명이 포함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음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이음자에 대한 변환규칙만 저장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국한자의 글자 또는 배경의 적어도 일부가 성조별 컬러로 표시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6. 중국한자 및 상기 중국한자의 한어병음인 라틴병음과, 상기 중국한자에 대응되는 한국한자 및 상기 한국한자의 음인 한자음이 저장되는 한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라틴병음의 성모 및 운모와 상기 라틴병음이 한글로 표현된 한글병음의 초성, 중성, 종성 사이의 변환규칙이 저장되는 한글화변환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한글병음과 상기 한자음 사이의 초성, 중성, 종성의 변환규칙 및 설명용 학습데이터가 저장되는 발음변환규칙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서버 및 단말로 이루어지는 정보처리기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보처리기기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중국어 학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정보처리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152075A 2015-10-30 2015-10-30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83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075A KR101831717B1 (ko) 2015-10-30 2015-10-30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075A KR101831717B1 (ko) 2015-10-30 2015-10-30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486A KR20170050486A (ko) 2017-05-11
KR101831717B1 true KR101831717B1 (ko) 2018-02-23

Family

ID=58741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075A KR101831717B1 (ko) 2015-10-30 2015-10-30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431B1 (ko) * 2017-05-15 2019-03-18 박병호 한국 한자음을 이용한 중국어 학습 방법 및 교재
KR20190066149A (ko) 2017-12-05 2019-06-13 이지현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003B2 (ja) * 1992-09-22 2001-06-04 株式会社東芝 集積回路試験装置
KR100784287B1 (ko) * 2006-04-21 2007-12-12 엔에이치엔(주)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003B2 (ja) * 1992-09-22 2001-06-04 株式会社東芝 集積回路試験装置
KR100784287B1 (ko) * 2006-04-21 2007-12-12 엔에이치엔(주) 한국한자음을 이용하여 일본어 사전을 검색하는 방법 및 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486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768B1 (en) Method for converting non-phonetic characters into surrogate words for inputting into a computer
CA2818004C (en) Text conversion and representation system
KR102199835B1 (ko) 언어 교정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시스템에서의 언어 교정 모델 학습 방법
KR101936208B1 (ko)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20120035909A1 (en) Conversion of alphabetic words into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ellings
KR101831717B1 (ko)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CN107041159B (zh) 发音助手
Hadamitzky et al. Japanese Kanji & Kana:(JLPT All Levels) A Complete Guide to the Japanese Writing System (2,136 Kanji and 92 Kana)
WO2006122361A1 (en) A personal learning system
WO2000060560A1 (en) Text processing and display methods and systems
Roberts A tone orthography typology
CN110716654B (zh) 一种汉字输入法、语音合成方法、汉字输入系统
KR101554619B1 (ko) 터치 스크린을 활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어학 학습 방법
KR20130122437A (ko) 영어의 한글 표기 방법 및 시스템
KR101351629B1 (ko)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
US20160063886A1 (en) Color Reading and Language Teaching Method
JP2014142762A (ja) 外国語の発音表記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JP2002516004A (ja) 非音標文字を代用単語に変換しコンピュータに入力する方法
CN111581991B (zh) 一种基于端到端神经机器翻译的汉盲翻译方法及系统
CN110502128B (zh) 一种汉字多元输入方法及系统
KR101857111B1 (ko)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KR20230016611A (ko) 단어 뒷부분 입력 방법
KR102038283B1 (ko) 다수의 상이한 표시객체로 표시하는 영어문장 의미파악 훈련 제어방법
JP2023097453A (ja) 象形文字民族の日本人中国人が目から本能的に記憶される英語の全て
KR20150076587A (ko) 다언어로 찾는 중국어 사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