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431B1 - 한국 한자음을 이용한 중국어 학습 방법 및 교재 - Google Patents
한국 한자음을 이용한 중국어 학습 방법 및 교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9431B1 KR101959431B1 KR1020170132965A KR20170132965A KR101959431B1 KR 101959431 B1 KR101959431 B1 KR 101959431B1 KR 1020170132965 A KR1020170132965 A KR 1020170132965A KR 20170132965 A KR20170132965 A KR 20170132965A KR 101959431 B1 KR101959431 B1 KR 1019594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a
- chinese
- korean
- virgin
- determin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한국 한자음을 모음별로 2차원의 표로 구성하여, 세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초성과, 그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를 배열하고 가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중성과 종성을, 종성이 없는 경우, 종성이 "ㄴ, ㅁ"과 "ㅇ"이 있는 경우, 종성이 "ㄱ"과 "ㄹ, ㅂ"이 있는 경우로 분류, 배열하고, 이러한 가로 측 분류,배열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를, 세로 측 분류, 배열에 맞추어 운모의 음가(音價)를 정함으로써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패턴화 한 중국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세로 측에 한국 한자음 초성과, 그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를 배열함에 있어, 세로 우측에, 성모를 성모의 종류별로 배열하고, 종류별 성모에 대비되는 한국 한자음 초성을 세로 좌측에 배열하여 표(테이블)를 간단하게 줄여서 학습자가 쉽게 표를 암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국 한자음을 이용한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의 차이(異音)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원인에 대한 결과를 일정하게 패턴화하여 학습자가 한국 한자음을 기초로 중국 한자음을 쉽게 학습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재에 관한 것이다.
말은 있으나 글이 없던 오래전 어느 시점에 중국 한자를 글로 빌려 사용하기 시작했다. 매우 중요한 과정이었을 것이다. 당시에 중국 한자의 모양, 뜻, 음(소리)을 받아들일 때 국가의 주요 기관에서 권위 있는 학자가 결정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글이 필요한 한국 입장에서 한자의 모양과 뜻은 동일하게 수용하였으며 음(소리)도 가능하면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수용하고자 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인이 사용하지 않는 초성 자음 권설음(sh, zh, ch, r)과 한국인이 사용하지 않는 모음(단모음/이중모음)들을 동일하게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과정이었을 것이다. 또한 글이 필요한 것이지 말(소리)이 필요한 것은 아니었으므로 음(소리)의 동일한 수용은 절대적인 가치는 아니었을 것이다.
당시 권위 있는 학자는 이러한 다름(상이함)을 일정한 패턴으로 규정하였다. 예를 들면 九(jiu/지오우)는 "구", 秋(qiu/치오우)는 "추"라고 규정했다. 즉, 모든 중국 한자를 1음(1자/한 글자)으로 규정하였다. 또한 중국어에는 많이 사용되는 발음이지만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의 경우, 유사하거나 한국어에 많이 사용되는 음으로 규정하여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중국어에는 ian(이엔) 발음이 즐겨 사용되어, 해당되는 발음의 중국 한자가 많이 있지만 한국어에는 "이엔"이라는 발음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래서 한국 한자음 "연" 또는 초성에 따라 "언" 발음으로 일관되게 규정하였다. 예를 들면 mian은 →"면"으로 nian은→ "년", bian은 →"변"으로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한국어는 "뎌, 텨, 셔, 져, 쳐" 발음은 사용되지 않으므로 사용되지 않는 초성에 대해서는 "언" 발음으로 병행하여 규정하였다.
발음이 같은 경우에도 다른 음으로 규정하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중국어는 "잉" 발음이 많아 "닝, 딩, 링, 밍, 빙, 싱, 잉, 징, 칭, 팅"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잉" 발음의 경우에는 한국어에 동일하게 사용되는 "이" 발음에 종성 "ㅇ"으로 구성됨에도 한국어는 "잉" 발음이 거의 사용되지 않아 일관되게 "영" 발음으로 규정하였다. 예를 들어 ning은 "녕"으로 ling은 "령"으로 ming은 "명", bing은 "병"으로 일관되게 규정하였다.
그러나 특정 음에 이렇게 일정한 패턴이 있음에도 지금까지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의 차이를 합리적으로 규정하지 못한 것은 이음(異音)의 원인인 1음 표기, 동음 구별기능의 성조, 소멸종성, 서로 다른 발음 종류 및 발음 체계 그리고 각각의 원인들의 역학관계에 따른 변화가 심하여 규정하지 못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 사이의 이음 원인과, 원인에 대한 결과, 그리고 각각의 원인들의 역학관계를 반영하여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체계적으로 패턴화하는 방법으로,
한국 한자음이 초성과 중성의 결합 또는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으로 구성되듯, 한국 한자음 초성과, 이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를 세로에, 한국 한자음 중성, 종성과, 이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를 가로에 대비(對比), 배열하여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패턴화한 것으로,
한국 한자음을 모음별로 2차원의 표로 구성하여,
세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초성과, 그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를 배열하고
가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중성과 종성을, 종성이 없는 경우, 종성이 "ㄴ, ㅁ"과 "ㅇ"이 있는 경우, 종성이 "ㄱ"과 "ㄹ, ㅂ"이 있는 경우로 분류, 배열하고, 이러한 가로 측 분류, 배열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를, 세로 측 분류, 배열에 맞추어 운모의 음가(音價)를 정함으로써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패턴화 한 중국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국어 교재에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한국 한자음을 이용한 중국어 학습 방법 및 교재이므로, 편의상 "ming"은 "명"으로 라고 표기하고 있지만 여기에는 "明, 名, 命"처럼 발음은 같지만 모양과 뜻이 다른 모든 한국 한자(번자체)와 중국한자(간자체)가 포함되는 개념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1.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의 비교 고찰 : 2011년 충북대 국어국문과 리우슈앙 석사 논문
위 특허문헌 1 은 한어 병음을 한글 발음으로 표시한 것으로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관계를 이용한 학습 방법은 아니다.
비특허문헌 1 은 충북대 석사논문으로 한국 한자음 초성과 중국 한자음 성모의 비교, 한국 한자음 중성과 중국 한자음 운모의 비교, 한국 한자음 종성과 중국 한자음 운모의 비교를, 한국 한자 상용자 1000자를 기준으로 연구한 석사 논문으로, 각각의 1차적인 비교 자료는 도출하였으나, 결과만 있고 이음(異音) 원인에 대한 설명은 없으며 한국 한자음 초성, 중성, 종성과 중국 한자음 성모, 운모의 종합접인 분석 결과는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을 시작하게 된 중요한 기초 자료 문헌이라 하겠다.
특허문헌 2 의 경우는 비특허문헌 1 의 내용을 시스템으로 접근하여 데이터 베이스(DB)화한 시스템 특허 출원이라 하겠다. 즉, 비특허문헌 1과 같이 1차적인 분석 자료를 DB과정을 통하여 결과(출력)를 도출하지만 이음(異音) 원인과 한국 한자음 초성, 중성, 종성과 중국 한자음 성모, 운모의 종합적인 분석 과정이 없는 것은 비특허문헌 1 과 같다.
특허문헌 3 의 경우도 비특허문헌 1의 내용을 시스템으로 접근하여 하나의 규칙에 해당되는 사례를 나열하여 학습효과를 낼 수 있는 학습방법으로 출원한 시스템 특허 출원임. 이 또한 한국 한자음 초성과 성모, 한국 한자음 중성, 종성과 중국 한자음 운모의 1차적인 비교 분석만 있을 뿐 이음의 원인과 한국 한자음 초성, 중성, 종성과 중국 한자음 성모, 운모의 종합적인 비교 분석이 없는 것은 모든 선행문헌의 공통점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한국 한자음 초성과 성모의 관계에서 이음(異音)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 한국 한자음 중성, 종성과 중국 한자음 운모의 이음(異音) 발생 원인, 성조로 인한 이음 원인을 규명 하고 한국 한자음 초성, 중성, 종성과 중국 한자음 성모와 운모의 복합적인 역학 관계를 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근본적인 이음 발생 원인과, 이에 따른 결과를 역추적 하는 과정에서 한국 한자음이 어떻게 중국 한자음으로 결정되는지 그 과정을 설명하여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이해하고, 쉽게 예측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방법도 중국 한자 발음구성 필수 요소인 성조를 구별, 표기할 수는 없다. 따라서 성조를 구별, 표기하는 방법으로, 성조를 중국 한자에 색으로 표시, 구별, 표기하여 상형문자인 중국한자 모양(模樣)을 색과 함께 암기하고, 반복해서 색으로 표시된 중국한자를 보면 성조를 익히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언어는 약속으로, 서로 동일하게 인식해야 의사소통이 되는 것 이다. 따라서 사성을 색으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만국 공통으로 인식되는 신호등 색으로 표시하는 것은 대단히 효과적인 방법이다. 신호등 색은 3가지 색상이므로 멈춤을 뜻하는 적색은 중국성조 중 4성(不)으로 표시하고, 진행이나 출발을 뜻하는 녹색은 2성(國)으로 표시하고, 3성은 낮은 음으로 갔다가 다시 음이 올라가는 형태로 자동차나 자전거의 회전을 연상하는 곡선과, 회전 시 속도를 늦추었다가 회전 후 다시 속도를 높이는 것이 3성의 음의 변화와 같은 개념이라 하겠다. 그러나 회전신호 화살표를 색으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3성(法)은 신호등의 나머지 색, 황색으로 표시하고, 설명은 회전신호로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는 신호등이 없고 비교적 높은 일정속도로 주행하므로 1성(家 또는 家)과 개념이 같고 고속도로는 신호등이 없으므로 신호등 색에 없는 검정색으로 표시하거나 고속도로 주행 시 지평선과 맞닿는 하늘을 연상하여 하늘색으로 표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하겠다.
근본적인 이음 발생 원인과, 이에 따른 결과를 역추적 하는 과정에서 한국 한자음이 어떻게 중국 한자음으로 결정되는지 그 과정을 설명하여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패턴화 하고, 쉽게 예측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먼저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에 이음이 발생하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을 설명하고자 한다.
말(언어)은 있으나 글이 없어 중국 한자를 글로 빌려 사용하는데 있어 대전제는, 중국 한자의 모양과 뜻은 동일하게 수용하였다. 음(소리)도 가능하면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규정하고자 했을 것이다. 하지만 아래 언급하는 이유 때문에 많은 이음이 발생하게 된다.
첫째, 1음(1자/한 글자)으로 표현했기 때문이다.
앞에 언급한 九(jiu/지오우)는 "구", 秋(qiu/치오우)는 "추"라고 규정했다. 상형문자인 중국한자는 문자로 발음을 알 수가 없어 당시에 구전으로 즉, 소리로 전해졌을 것이다. 언어와 문자는 약속이다. 서로 같은 의미로 알고 있어야 의사가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발음을 알 수 없는 상형문자를 뜻과 함께 2-3음으로 암기하거나 구전하기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모든 중국 한자음을 1음(1자/한 글자)으로 표현했을 것이다. 이것은 합리적인 추론으로 다른 이유가 더 있을 수 있으나 어째든 모든 중국한자 음을 한국 한자음 1음으로 규정 하여 근본적인 이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1음으로 규정할 때 무작위로 규정한 것이 아니라 일정한 패턴으로 규정했다는 것이다. 앞의 "지오우"가 "구"가 되고 "치오우"가 "추"가 되는 것을 살펴보면 "이오우"발음이 "우" 발음으로 규정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일정한 패턴으로 일관되게 규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말하면 한국 한자음 "우" 발음은 중국 한자음 우(u), 오우(ou), 위(), 이어우(iu)로 발음된다. 4개의 모음 중 "이어우"로 결정된 것은 한국 한자음 초성이 "구"의 "ㄱ", "추"의 "ㅊ" 즉 초성이 설면음으로 결정되어 "이어우" 발음으로 결정된 것이다. 이는 한국 한자음 초성과 중국 한자음 성모의 비교 관계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가장 많은 이음의 발생 원인으로 복운모(ao, ai, ou, ei, ie, iao, iou, uo, ua, ia, uai, uei, )의 전부, 비운모(鼻韻母)의 일부(en, eng, ian, iang, iong, )가 여기에 해당된다.
복운모 ao(아오)를 1음으로 유사하게 규정하기 위해 한국 한자음 "오"로 규정하였을 것이다. 복운모 ou(오우/어우)의 경우도 유사한 끝 음으로 한국 한자음 "우"로 규정하였을 것이다.
복운모 중 일부를 한국 한자음 발음과 비교하여 표로 예를 들어 보면,
삭제
여기서 "중국 한자음 복운모를 → 한국 한자음 1음으로 규정한 사례" 를 한국 한자음 기준에서 보면 "한국 한자음 1음에서 → 중국 한자음 복운모 로의 변환 패턴" 을 알 수 있다.
둘째, 동음 구별기능 때문이다. 중국어 대사전에 수록된 중국 한자는 약 56,000자가 있으며 중국어는 이론상 발음 수가 성모(22개/영성모 포함) x 운모(37개) = 814개 이지만 실사용 발음 수는 407개임. 여기서 56,000자를 407으로 나누면 모든 발음당 약 138개의 동일한 발음이 존재하는 것이다. 중국 정부가 분류한 중국 실용한자 3,500자를 기준으로 해도 모든 발음에 약 9개의 동일한 발음이 존재하게 된다.
중국어는 이러한 동일한 발음(동음)을 구별하기 위해 발음에 음의 높낮이를 주어 구별하는 성조가 더욱 발달하게 된 것이다. 성조에는 4가지 종류가 있어 이를 사성이라 부른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중국 한자의 근본적인 문제인 많은 동음을, 중국 한자는 성조로 구별하였으나 성조가 없는 한국 한자는 동음을 여러 모음, 자음으로 분산 규정하였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이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여러 모음으로 분산 규정할 때 무작위로 정한 것이 아니라 일정한 패턴으로 규정하였다. 예를 들어 중국 한자 발음 중 가장 많은 발음이 "i" 발음으로 한국 한자음에도 동일한 "이" 발음이 있으므로 최대한 같은 발음으로 규정하였으나 너무 많은 "i" 동음을 구별하기 위해
i → "이" : 중국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 간에 동음이 가장 많은 모음임.
결과적으로 한국 한자음 기준에서 "이"모음은 순음 성모와 권설 성모에서 각각 하나의 이음(異音)이 있을 뿐 그 이외는 모든 중국 한자음과 동일하게 발음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음을 구별하기 위해 중국어에는 없는 발음 "에, 예, 의"로 분산 규정하였다. 따라서 근본적 이음 원인은 성조가 아니라 동음 구별기능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셋째, 한국 한자음 초성 "ㅅ, ㅈ, ㅊ" 발음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 "sh, s, x", "zh, z, j", "ch, c, q" 때문이다. 이것은 두 번째 원인인 동음 구별기능에도 해당된다.
중국 한자는 한국 한자 "ㅅ", "ㅈ", "ㅊ" 초성에 대비되는 "sh, s, x", "zh, z, j", "ch, c, q" 성모로 구성된 중국 한자 수(數)가 전체 중국 한자 수(數)의 약 40%를 차지한다. 즉, 중국어는 발음상 "ㅅ", "ㅈ", "ㅊ" 의 언어라고 상징적으로 말할 수 있다.
문제는 발음 방법과 혀의 위치에 따라 구별되는 권설음(sh, ch, zh), 설치음(s, c, z), 설면음(j, q, x)을 합리적으로 한국 한자음으로 규정하는 방법이었을 것이다.
권설음(sh, ch, zh), 설치음(s, c, z), 설면음(j, q, x)과 같은 비슷한 발음, 수많은 중국한자를 성조와 같은 동음 구별기능이 없는 한국 한자음으로 규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 이를 규정하는 과정에서 유사하지도 않은 가장 많은 이음이 발생하게 된다.
지금까지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의 변환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정하지 못한 이유가 권설음(sh, ch, zh), 설치음(s, c, z), 설면음(j, q, x)때문 이라고 판단된다.
그 외 다른 한국 한자음 초성과 중국어 성모는 같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권설음(sh, ch, zh), 설치음(s, c, z), 설면음(j, q, x)이 어떻게 한국 한자음으로 규정되는지 그 과정을 알면 중국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의 차이를 전체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자세히 보면, 한국 한자음 "ㅅ", "ㅈ", "ㅊ"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sh, s, x", "zh, z, j", "ch, c, q" 중에서, 설면음 "j" 는 전체 "j" 성모중 약 80%를, 설면음 "q" 는 전체 "q" 성모중 약 70%를 본래 한국 한자음 초성 "ㄱ" 이 가지고 있는 "g, k" 음가(音價)에 추가하여 "ㄱ" 으로 분산 규정하고 설면음 "x" 는 전체 "x" 성모중 약 40%를 본래 한국 한자음 초성 "ㅎ" 이 가지고 있는 "h" 음가에 추가하여 "ㅎ" 으로 규정하였다. 즉 한국 한자음 "ㅅ", "ㅈ", "ㅊ"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sh, s, x", "zh, z, j", "ch, c, q" 중에서, 설면음(j, q, x)을 한국 한자음 초성 "ㄱ", 과 "ㅎ"으로 분산 규정한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한국 한자음 초성 "ㄱ", 과 "ㅎ"이 본래 가지고 있는 음가 "g, k", "h"는 중국 한자 성모의 종류 중 설근음에 해당되고 한국 한자음 초성 "ㄱ", 과 "ㅎ" 으로 분산 규정한 "j, q"와 "X"는 중국 한자 성모의 종류 중 설면음에 해당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한국 한자음 초성 "ㄱ", "ㅎ" 에 대비(對比)되는 다수(多數)의 중국 한자 성모 중에서 어떤 성모로 변환되는지 알 수 있는 중요한 근거이기 때문이다. 이후에 성모 종류 결정 방법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결론적으로 한국 한자음 기준에서 중국 한자음을 보면, 한국 한자음 초성 "ㄱ"은 중국 한자음 성모 설근음 "g, k" 와 설면음 "j, q" 로 변환되고 한국 한자음 초성 "ㅎ"은 중국 한자음 성모 설근음 "h" 와 설면음 "x" 로 변환된다.
넷째, 고대 중국어와 현대 중국어의 차이 때문이다.
현대 중국어는 고대 중국어에서 사용하던 한국 한자음 종성 "ㄱ, ㄹ, ㅂ"에 해당하는 운모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ㅁ→ㄴ으로 변환되어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한국 한자음 종성 "ㄴ, ㅇ"에 해당되는 운모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 한자음 "ㄱ, ㄹ, ㅂ" 종성은 탈락 된다. 예, 一(일)은 중국 발음이 yi(이), 答(답)은 중국 발음이 da(다)임. ㅁ→ㄴ의 경우는 南(남), 男(남)은 nan(난)으로 발음된다.
다섯째, 중국 한자음 u(우) 발음과 한국 한자음 "오" 발음 때문이다.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 중 동일한 단모음 발음은 아(a), 우(u), 이(i)이고 나머지 단모음은 유사하거나 다르다. 대표적인 것이 한국 한자음 "오"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o"(오어)로, 단운모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중국 한자음 "o"(오어)는 순음성모(m, b, p, f)만 결합하고 나머지 성모(설근, 설첨, 권설, 설치, 설면)와는 결합하지 않는다. 반면에 중국 한자음 "U"는 중국 한자음 "i"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다. 게다가 중국 한자음 중에는 "U" 발음과 유사한 (위)가 있고 앞에서 언급한 복운모 "OU"와 "iu"가 있다. 따라서 중국 한자음 "U", (위), 복운모 "OU"와 "iu"를 한국 한자음 "우"로 규정하였다.
문제는 중국 한자음 "U" 발음으로 구성된 중국 한자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에 언급한 중국 한자음 "i"(이)를 동음 구별 기능 때문에 한국 한자음 "이, 에, 예, 의"로 분산 규정한 것처럼 중국 한자음 "U" 발음중 약 70%를 한국 한자음 "오"로 규정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 한자음 "U"(30%), (위), "OU", "iu"중 전부 또는 일부를 한국 한자음 "우"로 규정하여, 한국 한자음 기준에서 "우"는 "U", (위), "OU", "iu" 로 변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 한자음 중성 "오"는 중국 한자음 단운모 "u" 와 복운모 "ao" 로 변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한국 한자음 기준에서 "오"가 중국 한자음 단운모 "u"로 변환되는 것처럼 한국 한자음 중 "오"로 구성되는 이중모음(와, 외)은 중국 한자음 "ua, ui" 로 변환됨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또한 한국 한자음 "위"가 중국 한자음 "ui"로 변환됨은 당연하다 하겠다.
이처럼 한국 한자음 "오" 와 중국 한자음 "u"의 관계는 한국 한자음 중성과 중국 한자음 운모의 주요 이음 원인이다.
여섯째, 중국 한자음 운모 "ian" 때문이다.
중국한자음 "ian"을 규정할 때 한국 한자음 "연"으로 규정하였다. 그런데 한국 한자음에는 "견, 년, 련, 면, 변, 연, 편, 현" 발음은 있지만 "뎐, 텬, 션, 젼, 쳔" 발음은 없다. 따라서 한국 한자음 "언"발음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문제는 "션"은 "선"으로 "젼"은 "전"으로 "쳔"은 천으로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뎐, 텬"의 경우는 한국 한자음 "던, 턴" 발음으로 규정해야 하나, 텬의 경우는 당시 한국어에 그런 발음은 사용되지 않아 "턴"으로 규정할 수 없었다. 그리고 뎐의 경우는 현재 한국어에는 사용되는 발음이 아니다. 당연히 중국 한자 중에는 비중이 높은 "dian, tian" 발음의 한자가 있다. 예를 들어 典(dian), 電(dian)을 한국 한자음 "뎐, 던"으로 규정할 수 없어서 한국 한자음 "전"으로 규정하게 된 것이다. 또한 田(tian)도 한국 한자음 "전으로 규정하고 天(tian)은 "천"으로 규정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 한자음 기준에서 보면 한국 한자음 "전"의 초성 "ㅈ"은 한국 한자음 중성과 종성의 결합 "" 즉 "전" 발음에서 중국 한자음 성모 "d, t"로 변환되게 되는 것이다. 天(tian)은 "천"으로 규정한 것으로 한국 한자음 초성 "ㅊ"이 한국 한자음 중성과 종성의 결합 "" 즉 "천" 발음에서 중국 한자음 성모 "t"로 변환됨을 알 수 있다. 중국 한자음 "ian" 과 같은 경우가 또 있다. 그것은 중국 한자음 운모 "ing"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중국한자음에는 "잉" 발음이 많다. "닝, 딩, 링, 밍, 빙, 싱, 잉, 징, 칭, 팅"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잉" 발음의 경우에는 한국어에 동일하게 사용되는 "이" 발음에 종성 "ㅇ"으로 구성됨에도 한국어는 "잉" 발음이 거의 사용되지 않아 일관되게 "영" 발음으로 규정하였다. 예를 들어 ning(寧)은 "녕"으로 ling(令)은 "령"으로 ming(明)은 "명", bing(兵)은 "병"으로 일관되게 규정하였다. 중국 한자음 "ian"의 경우와 같이 한국 한자음에는 "경, 녕, 령, 명, 병, 영, 평, 형" 발음은 있지만 "뎡, ?, 셩, 졍, ?"발음은 없다. 따라서 "ian"의 경우와 같이 "셩"은 "성"으로 "졍"은 "정으로 "?"은 "청"으로 규정하였으나 "뎡, ?"을 "덩, 텅"으로 규정할 수 없었으므로 중국 한자음 ding(丁), ding(定)을 한국 한자음 "정"으로 규정하였고 중국 한자음 ting(停), ting(庭)을 한국 한자음 "정"으로 규정하였다. 중국 한자음 ting(聽)은 한국 한자음 "청"으로 규정하였다. 한국 한자음 초성 "ㅈ, ㅊ"이 "어"중성(모음)에서 종성 "ㄴ, ㅇ"과 결합 시 즉, "전, 천, 정, 청"에서 한국 한자음 초성 "ㅈ"은 중국 한자음 성모 "d, t"로도 변환되고 한국 한자음 초성 "ㅊ"은 중국 한자음 성모 "t"로도 변환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ian" 때문에 이음이 발생되게 되는 경우를 하나 더 설명하자면, 중국 한자음을 한국 한자음으로 규정할 때 중국 한자음 "i" (이) 발음과 같이 한자 수가 많고, 한국어 발음과 같은 경우를 가장 먼저 규정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한자 수가 많고 한국어 발음에 없는 것들을 규정했을 것이다. 따라서 "ian"은 중국 한자음 비중이 높은 발음이므로 빠른 순서에 중국 한자음 운모 "ian"발음을 한국 한자음 "연, 언"으로 병행 규정하였다. 문제는 중국 한자음 운모 "ian"발음보다 사용 빈도수가 적은, 즉 한자 수가 적은 중국 한자음 운모 "en"을 규정할 때 발생하게 된다. "en"발음을 한글 병음으로 정확히 표기한다면 "으언"이 될 것이다. 1음으로 표기 하면 한국 한자음 "언"에 가장 가깝다. 그러나 이미 비중 높은 중국 한자음 "ian"을 한국 한자음 "연, 언"으로 규정하였으므로 중국 한자음 운모 "en"을 한국 한자음 "언"으로는 규정할 수가 없었을 것이다. 정확히 분석하자면, 외국인 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홍콩의 유명한 중국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에 수록된 전체 중국 한자 수는 약 12,500자 이다. 여기서 37개 운모중 "ian"은 i(이) u(우), an(안) 다음으로 많은 553자가 수록되어 있다. "en"의 경우는 37개 운모중 20위에 해당되는 292개의 중국 한자가 수록되어 있다. 이는 중국 한자음 운모 "ian"을 규정하고도 한참 뒷 순서에 중국 한자음 "en"을 규정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한참 뒷 순서에 중국 한자음 "en"을 규정했으므로 이미 많은 중국 한자음이 한국 한자음으로 규정되어, 중국 한자음 "en"을 하나의 한국 한자음으로 일관성 있게 규정할 한국 한자음 발음이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중국 한자음 "en"은 여러 한국 한자음으로 분산 규정되었다.
하나, 중국 한자음 순음(m, b, p, f) 성모와 결합한 "en"으로 "ben"(本)은 한국 한자음 "본"으로 "men"(門)은 한국 한자음 "문"으로 "fen(分)은 한국 한자음 "분"으로 규정하였다. 이후에 설명할 한국 한자음 기준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규격화한 한국 한자음 모음별 변환 표 "오, 우"의 경우 한국 한자음 종성 "ㄴ"이 있는 경우는 모두 "un"발음이 되는데 순음(m, b, p, f) 성모에서만 "en"으로 발음되는 이유가 비중이 높지 않아 뒷 순서에 규정했으므로 하나의 한국 한자음으로 일관되게 규정하지 못하고 이미 규정된 한국 한자음에 추가로 규정되었기 때문이다. 한국 한자음 "오",나 "우"도 한국 한자음 종성 "ㄴ"과 결합 시 "un"이라는 일관성을 갖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즉 한국 한자음 "오"나 "우" 발음에서 한국 한자음 종성 "ㄴ"과 결합 시 순음(m, b, p, f) 성모이외는 모두 "un"이라는 일관성을 갖는다.
둘, 중국 한자음 권설음(sh, zh, ch, r)과 결합하는 "en" 이다. 여기서의 "en"을 한국 한자음 "인"으로 규정하였다. 따라서, "shen"(神)이 한국 한자음 "신"으로 "zhen"(眞)이 "진"으로 "ren"(人)이 '인"이 되는 것이다.
셋, 설근음, 설치음와 결합하는 "en"이다. 여기서는 'en"을 한국 한자음 "은"으로 규정하였다. 따라서 "gen"(根)이 한국 한자음 "근"으로 'hen"()은 한국 한자음 "흔"이 됨.
"en" 발음이 주는 중요한 요지는,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를 한국 한자음 기준에서 모음별로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 배열하여 패턴화하면, 대체적인 일관성을 발견할 수 있으나 "en"과 같은 경우로 인하여 예외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전체적인 일관성의 예외이지 순음성모 + "en", 권설성모 + "en", 설근, 설치음 + "en"이라는 세부적인 일관성으로 패턴화하고 이음 원인을 합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는 것도 대단한 성과임에 틀림없다.
결론적으로 대표적인 여섯 가지의 이음 원인과 그 외 다른 원인으로 이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이음 원인을 무작위한 결과로 규정한 것이 아니라 합리적으로 일관성(패턴) 있게 규정하였으므로, 역으로 한국 한자음 기준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일정하게 패턴화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 분류, 패턴화하는 방법으로, 한국 한자음을 모음별로 2차원의 표로 구성하여, 세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초성과, 그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를 배열하고 가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중성과 종성을, 종성이 없는 경우, 종성이 "ㄴ, ㅁ"과 "ㅇ"이 있는 경우, 종성이 "ㄱ"과 "ㄹ, ㅂ"이 있는 경우로 분류, 배열하고, 이러한 가로 측 분류, 배열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를, 세로 측 분류, 배열에 맞추어 운모의 음가(音價)를 정함으로써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패턴화 하는 것이다.
여기서 표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한국 한자음을 모음별로 2차원의 표로 구성할 때, 세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초성을 "ㄱ"에서 "ㅎ"까지 순서대로 배열하고 그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를 배열한다. 가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중성과 종성을, 종성이 없는 경우, 종성이 "ㄴ, ㅁ"과 "ㅇ"이 있는 경우, 종성이 "ㄱ"과 "ㄹ, ㅂ"이 있는 경우로 분류하고, 이러한 분류에 중국 한자음 운모를 대비(對比)함으로써 한국 한자음 중성, 종성이 중국 한자음 운모로 변환될 때 앞에 언급한 이음 원인으로 발생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반영할 수 있게 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 한자음 모음 "오" 2차원 표(테이블)에서 한국 한자음 "로"의 경우, 세로 측에 한국 한자음 초성 "ㄹ"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는 "l"이 되고 가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중성 "ㅗ"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는 "u"와 "ao"로 한국 한자음 "로"는 중국 한자음 "lu" 또는 "lao"가 되는 것이다.
한국 한자음이 초성과 중성의 결합 또는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으로 구성되듯, 한국 한자음 초성과, 이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를 세로에, 한국 한자음 중성, 종성과, 이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를 가로에 대비(對比), 배열하여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패턴화한 것이다.
이렇게 표를 구성하면 처음 표를 접하는 중국어 학습자도 라틴 한어 병음만 알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해하기는 쉽지만 세로 측에 한국 한자음 초성 14가지에 대비 (對比)되는 중국 한자 성모를 배열하면 표가 너무 길어 이해는 쉽지만 복잡하게 느껴져 암기는 어렵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표의 구성과 체계를 이해한 이후에는 표의 암기를 위해 간단하게 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 방법으로, 한국 한자음을 모음별로 2차원의 표로 구성할 때, 세로 측에 한국 한자음 초성과, 그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를 배열함에 있어, 세로 우측에, 성모를 성모의 종류별로 배열하고, 종류별 성모에 대비되는 한국 한자음 초성을 세로 좌측에 배열하는 것 이다.
이렇게 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하면, 중국어는 이론상 발음 수가 성모(22개, 영성모 포함) x 운모(37개) = 814개 이지만 실사용 발음 수는 407개임. 여기서 성모와 운모의 결합여부(與否), 즉 성모와 운모의 결합성은 약 50%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모든 성모가 각각 다른 운모 결합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성모의 종류별로 운모와의 결합성이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세로 측에 한국 한자음 초성과, 그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를 배열함에 있어, 먼저 세로 우측에 성모를 성모의 종류별로 배열하고, 종류별 성모에 대비되는 한국 한자음 초성을 세로 좌측에 배열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로 측을 7줄 이하로 간단하게 작성하여 중국어 학습자가 쉽게 표를 암기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패턴화하는 과정에서 파악된 여러 원리를 이용하여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을 예측할 수 있다. 그 방법으로, 특정 한국 한자음에서, 특정 한국 한자음 초성과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가 2개 이상이고 2개 이상의 성모가 성모의 종류가 다를 때 특정 한국 한자음 중성과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기준운모와 특정 한국 한자음 초성과 대비되는 성모와의 성모 운모 결합성으로 성모의 종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운모는 특정 한국 한자음중성과 대비되는 기준운모와 종성과 결합하는 핵심운모로 분류된 운모 변환 집계표로, 결정된 성모와 함께 최종 중국 한자음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준운모와 핵심운모는 한국 한자음 "우" 변환 표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은 모양과 뜻이 거의 동일하다. 또한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은 동음(同音)도 있고 이음(異音)도 있다. 동음을 포함하여 이음에도 일정한 패턴이 있다면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을 쉽게 유추할 수 있으며, 유추할 수 있으므로 암기는 더더욱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어원이 같은 언어이므로 학습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같은 어원을 이용한 단어의 확장성까지 생각한다면 획기적인 중국어 학습 방법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한자음 "오"의 경우처럼 모든 한국 한자음이 중국 한자음 "u, ao" 로 발음되며 한국 한자음 "오" 발음과 결합하는 종성이 중국 한자음 "u, ao"중에서 단운모 "u"만 연관이 있다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 한국 한자음 "오"모음별 한자 수는 한국 상용한자 1,000자 기준으로 약 130개 이다. 동일하게 적용하여 쉽게 유추할 수 있는 중국 한자음이 130개 이니 대단히 효율성이 높은 학습방법이다. 한국 한자음 "오" 발음뿐만 아니라 모든 한국 한자음을 모음별로 패턴화하였으니 획기적인 중국어 학습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또한 중국어 학습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성조를, 중국 한자에 색으로 표시, 구별하여 상형문자인 중국한자 모양(模樣)을 색과 함께 암기하고, 반복해서 색으로 표시된 중국한자를 보면 성조를 익히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언어는 약속으로, 서로 동일하게 인식해야 의사소통이 되는 것 이다. 따라서 사성을 색으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만국 공통으로 인식되는 신호등 색으로 표시하는 것은 대단히 효과적인 방법이다. 멈춤을 뜻하는 적색은 중국성조 중 4성(不)으로 표시하고, 진행이나 출발을 뜻하는 녹색은 2성(國)으로 표시하고, 3성은 낮은 음으로 갔다가 다시 음이 올라가는 형태로 자동차나 자전거의 회전을 연상하는 곡선과, 회전 시 속도를 늦추었다가 회전 후 다시 속도를 높이는 것이 3성의 음의 변화와 같은 개념이라 하겠다.
그러나 회전신호 화살표를 색으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3성(法)은 신호등의 나머지 색 황색으로 표시하고 설명은 회전신호로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는 신호등이 없고 비교적 높은 일정속도로 주행하므로 1성(家 또는 家)과 개념이 같고 고속도로는 신호등이 없으므로 신호등 색에 없는 검정색으로 표시하거나 고속도로 주행 시 지평선과 맞닿는 하늘을 연상하여 하늘색으로 표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하겠다.
이처럼 신호등 색마다 연상되는 의미가 중국어 사성과 많이 일치하므로 중국 한자를 신호등 색으로 표시 하는 것은 중국어 학습자가 성조를 익히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도 1은, 한국 한자음 중성, 종성에서 중국 한자음 운모로의 변환 집계 표(핵심운모 기준).
도 2는, "ㅎ" 초성의 성모 종류 결정 사례. "ㄱ" 초성의 성모 종류 결정 사례.
도 3은, "오"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변환 표(성모 종류별 분류).
도 4는, 한국 한자음 종성 "ㄱ"과 "ㄹ, ㅂ"을 종성 "ㄱ, ㄹ, ㅂ"으로 분류, 배열한 표이다.
도 2는, "ㅎ" 초성의 성모 종류 결정 사례. "ㄱ" 초성의 성모 종류 결정 사례.
도 3은, "오"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변환 표(성모 종류별 분류).
도 4는, 한국 한자음 종성 "ㄱ"과 "ㄹ, ㅂ"을 종성 "ㄱ, ㄹ, ㅂ"으로 분류, 배열한 표이다.
본 발명은 한국 한자음 초성과 성모의 관계에서 이음(異音)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 한국 한자음 중성, 종성과 중국 한자음 운모와 이음(異音)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 성조로 인한 이음 원인을 규명 하고 한국 한자음 초성, 중성, 종성과 중국 한자음 성모와 운모의 복합적인 역학 관계를 규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근본적인 이음 발생 원인과, 이에 따른 결과를 역추적 하는 과정에서 한국 한자음이 어떻게 중국 한자음으로 결정되는지 그 과정을 설명하여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이해하고, 쉽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미 이음 발생 원인과, 이에 따른 결과를 역추적 하여 한국 한자음 초성이 어떤 중국 한자 성모로 결정되는지, 한국 한자 중성이 어떤 중국 한자 운모로 결정되는지, 그리고 한국 한자 종성이 어떤 것이 소멸되고 어떤 것이 변형, 또는 존속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이제 본 발명의 핵심인, 한국 한자음 초성, 중성, 종성과 중국 한자음 성모와 운모의 복합적인 역학 관계를 규정하여 패턴화하기 전에 한국 한자음 초성에서 중국 한자음 성모로의 변환 관계와, 한국 한자음 중성에서 중국 한자음 운모로의 변환 관계, 그리고 한국 한자음 종성에서 중국 한자음 운모로의 변환 관계, 즉 1차적 변환 관계를 표(2), 표(3), 표(4)로 작성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위 표에서와 같이 한국 한자음 초성, 중성, 종성이 중국 한자음 성모, 운모로 변환될 때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최소한으로 규정한다고 해도,
한국 한자음 초성에서 중국 한자음 성모로의 변환 경우의 수를 2가지, 종성이 없는 한국 한자음 중성과 중국 한자음 운모로의 변환 경우의 수를 2가지, 한국 한자음 종성이 중국한자음 운모로의 변환 경우의 수를 2가지로 최소화 한 경우에도 2 x 2 x 2 = 8 가지 경우의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종성이 없는 경우에는 경우의 수가 2 x 2 = 4 가지 경우의 결과가 발생되고, 한국 한자음 "리"와 같은 경우는 1 x 1 = 1 의 결과를 나타내어 중국 한자음 발음이 "li" 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많지 않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이 100% 예측이 가능한 경우를 포함하여 여러 경우의 수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을 1가지 경우의 수, 또는 2가지, 3가지 경우의 수로 줄이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렇게 많은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한국 한자음을 모음별로 2차원의 표로 구성하여, 세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초성과, 그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를 배열하고 가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중성과 종성을, 종성이 없는 경우, 종성이 "ㄴ, ㅁ"과 "ㅇ"이 있는 경우, 종성이 "ㄱ"과 "ㄹ, ㅂ"이 있는 경우로 분류하여, 중국 한자음 운모와 대비(對比), 배열하는 것이다.
표의 구성은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제 한국 한자음 모음 "오" 를 표로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표를 보는 방법은, 한국 한자음을 모음별로 작성한 것으로, 모음 "오"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임. 세로 좌측에 한국 한자음 초성을 "ㄱ"에서 "ㅎ"까지 순서대로 배열하였으며 바로 세로 우측에 한국 한자음 초성에 대비되어 변환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를 배열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 한자음 "고"의 경우, 세로 좌측에 한국 한자음 초성 "ㄱ"에 대비되는 세로 우측 중국 한자음 성모는 "g, k/j, q"가 되고 가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중성 "ㅗ"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는 "u" 와 "ao"로 한국 한자음 "고"는 중국 한자음 "gu", "gao"또는 "ku", "kao"가 되는 것이다. 한국 한자음이 초성과 중성의 결합 또는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으로 구성되듯, 그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와 운모를 가로, 세로로 분류, 대비(對比), 배열하여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패턴화한 것이다. 여기서 한국 한자음 초성 "ㄱ"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 중 "j, q"는 한국 한자음 "ㅗ"모음에서는 결합하지 않는다. 그래서 "j, q"를 적색으로 표시한 것이다. 맨 밑줄에 있는 초성 "ㅎ"의 경우도 대비되는 성모 "h, x"중 "x"는 한국 한자음 "ㅗ"모음에서는 결합하지 않아 호(乎, 湖)는 "hu", 호(好, 號)는 "hao"로만 변환되는 것이다. "ㅁ"초성으로 예를 들면 "모"(母)는 "mu" 모(毛)는 "mao"가 되는 것이고, 소멸 종성 "ㄱ"이 있는 목(木)은 "ㄱ"이 소멸되어 "mu"가 되는 것이다.
표를 볼 때 "오, 우 이, 으" 모음별 표에서 공통으로 적용되는 중요한 것은 복운모(ao, ai, ou, ei, ie, iao, iou, uo, ua, ia, uai, uei, )는 한국 한자음 종성과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복운모 중에 한국 한자음 종성과 관계되는 것은 ua, ia, uo, ie 4개 밖에 없다. ua + n = uan, ua + ng = uang ia + n + ian, ia + ng = iang, "uo"의 경우는 소멸종성인 "k"(ㄱ)와 결합한 복운모이고 "ie"는 소멸 종성 "t, p"(ㄹ, ㅂ)와 결합하는 복운모로 지금은 형태를 볼 수 없지만 이후에 한국 한자음 모음 "아" "여", "어" 변환 표에서 확인할 수 있겠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한국 한자음 종성과 관계되는 것은 "ia, ua"이외에는 주로 중국 한자음 단운모(a, e, , i, o, u)라는 것이다. a + n = an, a + ng = ang, i + n = in, i + ng = ing
때문에 한국 한자음에 종성이 없는 경우 변환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가 "u, ao" 이지만 종성은 단모음 "u" 만 관련 있으므로 한국 한자음 종성 "ㄱ"과 "ㄹ, ㅂ" 의 경우는 소멸되면서 "u" 만 남는다.
독(毒, 獨, 讀)→"du", 목(木, 目, 牧, 沐)→"mu", 골(骨)→"gu", 홀(忽)→"hu" 존속 종성 "ㄴ"의 경우도 단운모 "u" + n = un 이 되는 것이다. 돈(敦)→"dun", 론(論)→"lun", 손(孫)→"sun", 촌(村, 寸)→"cun", 혼(婚, 混)→"hun" 이 되는 것이다.
다만, "ㅇ"종성이 있는 "옹" 발음의 한국 한자음은 중국 한자음 "ung"가 되는 것이 맞지만 중국 한자음에 "ung" 발음이 없다. 예를 들어 중(中, 重, 衆)의 중국 한자음도 "zh + ong"이다. 따라서 한국 한자음 중성과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 중에서 단운모 + n, ng 가 패턴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한자음 "공/농/동/송/종/총/통/홍"→은 중국 한자음 "gong/nong/song/zhong/cong/hong"으로 변환되어 동음(同音)이 되는 것이다.
정리하면, 한국 한자음이 종성이 없는 경우에 "u" 또는 "ao"로 발음되기 때문에 어떤 음으로 결정될지는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한국 한자음 "호"의 경우 호(乎, 互, 戶)→"hu"로 발음되고 호(好, 號)→"hao"로 발음된다. 종성이 있는 경우는 그 종성이 존속이든, 소멸이든 모두 기준운모 중에서 단운모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국한자음 모음 "오"에서 세로 측에 한국 한자음 초성 "ㄱ"에서 한국 한자음 초성 "ㅎ"까지, 이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를 배열하고, 가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중성과 종성을, 종성이 없는 경우, 종성이 "ㄴ, ㅁ"과 "ㅇ"이 있는 경우, 종성이 "ㄱ"과 "ㄹ, ㅂ"이 있는 경우로 분류, 배열하고, 이러한 가로 측 분류, 배열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를, 세로 측 분류, 배열에 맞추어 운모의 음가(音價)를 정함으로써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패턴화 하는 것이다.
모든 표(테이블)는 상용한자 1800자 기준으로 표에 맞지 않는 불규칙 비율은 7% 이내임. 예를 들어 한국 한자음 소(小, 消, 笑)는 중국 한자음이 "xiao"로 표에는 분류되어 있지 않다. 이유는 중국 한자음 "yao"를 한국 한자음 "요"로 규정하였다. 따라서 "liao"→"료", "miao"→"묘", "piao"→"표"로 되는 것이다. 문제는 한국 한자음에 "쇼"가 없어 중국 한자음 "xiao"를 한국 한자음 "소"로 규정한 것이다. 특히 "xiao"의 경우는 "x"성모가 설면음이어서 한국 한자음 "오" 변환 표에서 설면음은 사용되지 않는다는 큰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라 표에 명기하지 않고 표와 별도로 설명하게 되었다.
이는 가능하면 규칙을 단순화 하여 학습자가 쉽게 암기 할 수 있게 하고자 함 이다. 또한 한국 한자음에 "쇼"가 없어 "소"로 규정한 것은 한국 한자음 "셩"이 없어 "성"으로 규정한 것과 같은 맥락이므로 전체적인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즉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의 중요한 차이를 알 수 있어 표에 넣지 않고 별도로 설명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라 하겠다. 이렇게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 경우는 불규칙 비율 7%에 포함되지 않는다.
한국 한자음 "오"모음 표에서, 모든 한자음 초성과, 이에 대비되는 모든 중국 한자음 성모가 한국 한자음에 종성이 없는 경우는 중국 한자음 운모가 "u/ao"로 동일하게 변환되고 소멸종성의 경우는 "u"로 동일하게 변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존속 종성의 경우도 한국 한자음 초성 "ㅁ"과 "ㅂ"에 대비되는 "m"과 "b, p, f"이 "en" "eng"로 변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un" "ong"로 변환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한국 한자음 초성 "ㅁ, ㅂ"에 대비되는 "m, b, p, f"는 순음 성모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즉 성모의 종류별로 성모 운모 결합성이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 한자음 초성 "ㄱ"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 중 설근음 "g, k"로는 변환되지만 설면은 "j, q"로는 변환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국 한자음 초성 "ㅎ"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대비되는 성모 중 설근음 "h"로는 변환되지만 설면음 "x"로는 변환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한국 한자음 초성 "ㅅ, ㅈ, ㅊ" 초성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 중 권설음(sh, zh, ch)과 설치음(s, z, c)로는 변환되지만 설면음(x, j, q)으로는 변환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여러 번 강조하지만 성모의 종류별로 성모 운모 결합성이 거의 일치하는 것이다. 즉 한국 한자음 "ㅗ"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 "u/ao"와 설근음은 결합하고 설면음은 결합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또한 순음 성모는 존속 종성에서 "en" eng"로 변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 한자음을 모음별로 2차원의 표로 구성할 때, 세로 우측에 성모를 성모의 종류별로 배열하고, 종류별 성모에 대비되는 한국 한자음 초성을 세로 좌측에 배열하여 한국 한자음 모음별 변환 표를 단순화 할 수 있다. 세로 측을 성모 종류별로 단순화 한 한국 한자음 "오" 변환 표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삭제
표의 구성은 세로 우측에 중국 한자음 성모를 성모의 종류별로 먼저 배열했으므로 설근음의 경우는 "g, k, h"로 이중 "g, k"는 한국 한자음 초성 "ㄱ"이 대비되고 "h"는 "ㅎ"에 대비되므로 설근음에 대비되는 한국 한자음 초성 "ㄱ"과 "ㅎ"을 배열한다. 중국 한자음 성모를 성모의 종류별로 분류 배열하지만 최대한 한국 한자음 초성의 순서에 맞추어, 설근음, 설첨음, 순음, 설면음, 설치음, 권설음, 영성모의 순서로 배열하였다.
또한 가로 측 분류의 경우 "ㄱ"과 "ㄹ, ㅂ"의 운모 음가(音價)가 모두 "u"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국 한자음 모음 "와, 우, 이"에서도 "ㄱ"과 ㄹ, ㅂ"의 운모 음가(音價)가 동일하다.
따라서 한국 한자음 "오, 와, 우, 이" 모음을 각각의 모음별로 2차원의 표로 구성할 때, 가로 측에 종성이 "ㄱ"과 ㄹ, ㅂ"이 있는 경우를 종성이 "ㄱ, ㄹ, ㅂ"이 있는 경우로 분류, 대비, 배열하여 가로 측 경우의 수를 하나 줄여서 배열할 수 있다.
또한 표 안의 음가(音價)를 한어병음으로 표기하였으나 "우/아오" 또는 한국 한자음 초성과 결합된 발음 "구/까오"로 표기할 수 있다. 즉, 표 안의 음가(音價)를 한글병음으로 표기하는 것도 당연히 본 특허의 권리범위 안에 있다고 하겠다.
설첨음의 경우 "n, d, l, t"가 한국 한자음 초성 "ㄴ, ㄷ, ㄹ, ㅌ"에 각각 대비되고 밑에 갈호 안의 (ㄷ→ㅌ)는 한국 한자음 "ㄷ"이 "ㅌ"으로 즉 중국 한자음 성모 "t"로 변환되는 경우를 표기한 것이다. 한국 한자음 초성 "ㄷ"이 중국 한자음 성모 "t"로 변환되는 것은 한국 한자음 초성으로 보면 동음계열이고 중국 한자음 성모의 경우도 성모의 종류가 동일한 설첨음이어서 성모 운모 결합성까지 동일하여 구별할 방법은 없다. 다만 통계를 통해서 합리적으로 유추해보면 앞에서 언급한 외국인 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홍콩의 유명한 중국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에 수록된 전체 중국 한자 수는 약 12,500자 이다. 여기서 설첨음 "d"의 총수는 약 549개 이고 설첨음 "t"의 총수는 약 524개 이다. 이는 중국 한자음에서 성모 "d"와 "t"는 거의 동일한 비율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한국 한자음 "ㄷ"와 "ㅌ"의 경우를 보면 두산동아 "백년옥편"에서 초성 "ㄷ"은 약 714개 이고 초성 "ㅌ"은 약 452개 이다. 이것은 한국인들이 "ㄷ" 초성발음을 "ㅌ"초성발음보다 좋아하여 중국 한자음 성모 "t"를 한국 한자음으로 규정할 때 동음 계열인 "ㄷ"로 규정하여, 한국 한자음 기준에서 "ㄷ→ㅌ"로 변환되는 사례가 발생하게 된다고 추론할 수 있겠다.
순음의 경우를 보면 한국 한자음 "ㅁ"은 중국 한자음 성모 "m"에 대비되고 한국 한자음 "ㅍ"와 "ㅂ"는 중국 한자음 성모 "p, b, f"에 대비된다. 밑 괄호에 있는 "(ㅍ↔ㅂ→f)"가 의미 하는 것은 "ㅍ"와 "ㅂ", "ㅂ" 와 "f"의 변환 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즉 한국 한자음 초성 "ㅂ"과 "ㅍ"은 상호 변환되며 또한 "ㅂ"과 "ㅍ"는 영어 발음 "f"와 같은 중국 한자 성모 "f"로도 변환된다. 한국 한자음 초성 "ㅂ, ㅍ"의 "ㅍ↔ㅂ→f"을 중국 한자음 성모로 표기하면 "p↔b→f"가 되겠다. 성모의 종류도 순음으로 같아 성모 운모 결합성으로도 구별할 수가 없지만 동음 계열이라 이질감은 적다.
다음 줄에 있는 설면음을 보면, 한국 한자음 중성 대비 중국 운모가 "u, ao"이다. 중국 성모 설면음은 중국 운모 "u, ao"와는 결합하지 않는다. 여기서 초성대비 변환관계가 가장 심한 한국 한자음 "ㄱ, ㅎ, ㅅ, ㅈ, ㅊ"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 먼저 중국한자음 성모와 운모의 결합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중국어는 이론상 발음 수가 성모(22개, 영성모 포함) x 운모(37개) = 814개 이지만 실사용 발음 수는 407개임. 여기서 성모와 운모의 결합여부(與否), 즉 성모와 운모의 결합성은 약 50%이다. 모든 성모가 각각 다른 운모 결합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성모의 종류별로 운모와의 결합성이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세로 측에 한국 한자음 초성과, 그에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 성모를 배열할 때 7가지 성모 종류별로 배열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성모와 운모 결합성이 50%이고 성모의 종류별로 같은 결합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가장 중요한 것은, 설면음과 설근음은 성모 운모 결합성이 완전히 상반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한국 한자음 초성 "ㄱ"과 대비, 변환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 "g, k, j, q" 중에서 "g, k"는 설근음이고 "j,q"는 설면음이기 때문이다. 설근음과 설면음의 성모 운모 결합성을 구별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설면음은 단운모 i 와 또는 i 와 로 시작하는 모든 복운모와만 결합한다. 한국 한자음 "오" 모음의 경우 중국 한자음 운모 'u, ao"로 변환되는데 설면음은 i 와 또는 i 와 로 시작하는 운모와 만 결합하기 때문에 한국 한자음 초성 "ㄱ"이 변환되는 "g, k, j, q"중에서 설면음인 'j, q"는 결합하지 않는 것이다. 때문에 한국 한자음 "고"는 중국 한자음으로 변환 시 "gu, gao, ku, kao" 로만 변환이 된다. 8가지의 경우의 수를 4가지의 경우의 수로 줄였다. 4가지 경우라 실망할 수도 있지만 "k"(ㅋ)는 "g"(ㄱ)의 격음화된 발음으로 동음 계열이므로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 변환하여 학습할 때 크게 이질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변환 시 변환 비율이 "g"가 약 74%고 "k"가 약 26%이므로 예측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겠다.
본 특허는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한국 한자음 초성 중에서 가장 변환이 다양한 "ㄱ, ㅎ, ㅅ, ㅈ, ㅊ"이 어떤 성모의 종류로 결정되는지 예측하는 방법으로,
특정 한국 한자음에서, 특정 한국 한자음 초성과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가 2개 이상이고 2개 이상의 성모가 성모의 종류가 다를 때 특정 한국 한자음 중성과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와 특정 한국 한자음 초성과 대비되는 성모와의 성모 운모 결합성으로 성모의 종류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다. 더 명료하게 기술하면,
K(특정 한국 한자음)에서, K 초성과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A)가 2개 이상이고 2개 이상의 성모가 성모의 종류가 다를 때, B (K 중성과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와 특정 한국 한자음 초성과 대비되는 A(2개 이상의 종류가 다른 성모)와의 성모 운모 결합성으로 성모의 종류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더 정리하면, A 와 B 의 성모 운모 결합성으로 A 의 성모 종류를 예측하는 방법이 되겠다.
한국 한자음 초성 "ㄱ"과 "ㅎ"의 경우를 여러 한국 한자음 모음별로 예를 들어보면 아래 표와 같다.
삭제
삭제
이제 이음의 이질감이 가장 크고, 변환 관계가 복잡한 한국 한자음 "ㅅ", "ㅈ", "ㅊ"과 이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sh, s, x", "zh, z, j", "ch, c, q" 에 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중국 한자음 "sh, s, x", "zh, z, j", "ch, c, q" 중에서, 설면음 "j" 는 전체 "j" 성모중 약 80%를, 설면음 "q" 는 전체 "q" 성모중 약 70%를 본래 한국 한자음 초성 "ㄱ" 이 가지고 있는 "g, k" 음가(音價)에 추가하여 "ㄱ" 으로 분산 규정하고 설면음 "x" 는 전체 "x" 성모중 약 40%를 본래 한국 한자음 초성 "ㅎ" 가 가지고 있는 "h" 음가(音價)에 추가하여 "ㅎ" 으로 분산 규정하였다.
이것은 설면음을 분산 규정할 때 100% 전체를 규정한 것이 아니므로 한국 한자음 초성 "ㅅ"의 경우, 권설음 "sh" 설치음 "s", 나머지 60%의 설면음 "x"의 변환을 규정해야 한다. 한국 한자음 초성 "ㅈ, ㅊ" 도 같은 경우이다. 여기서도 중요한 것은 성모 운모 결합성이다. 우선, 한국 한자음 "ㄱ", "ㅎ", "ㅅ", "ㅈ", "ㅊ" 에 대비되는 성모의 성모 운모 결합성을 표로 만들어 보면,
삭제
설근음과 설면음의 성모 운모 결합성이 상반됨은 "ㄱ"과 "ㅎ"으로 앞에서 충분히 설명하였다. 한국 한자음 "ㅅ", "ㅈ", "ㅊ의 경우를 보면, 설면음과 설치음은 정확히 상반되고 성모 운모 결합성을 구별하는 기준은 중국 한자 단운모 i, 또는 i, 로 시작하는 복운모로 구별하면 된다. 권설음은 i (이) 단운모와 결합하는 것 이외에는 설치음과 거의 동일하다.
여기서 설치음(s, z, c) + i 와 설면음(x, j, q) + i, 권설음(sh, zh, ch) + i 에서 각각의 "i" 에 대해서 정확히 설명하고자 한다. 중국 한자음을 라틴어로 한어 병음으로 표기할 때 중국어 발음 "으어"를 "e"로 규정하고, i 와 함께 사용될 때는 ie(이에)와 같이 "에" 발음으로 "e"를 병행하여 규정하였다. 문제는 중국어 발음 중에 四(쓰), 自(쯔), 次(츠)와 같은 "으" 발음을 표기하는 것이다. "으"발음의 영문표기는 "eu"이다. 라틴 한어병음의 경우 이미 "으어"와 "에"로 "e"를 규정한 상태에서 "으"발음을 "eu"로 규정할 수 없었으므로 설치음(s, z, c)과 결합하는 i 는 "으"발음이라고 i 를 별도로 규정한 것이다. 따라서 si, zi, ci는 쓰, 쯔, 츠가 되는 것이다.
권설음(sh, zh, ch) + i 의 경우 지금 까지 중국어 학습교재에는 shi, zhi, chi의 i 발음을 si, zi, ci 의 i와 같이 "으"발음으로 분류하였다. 혀를 약간 말아 올리거나, 혀를 치켜세우고 목구멍 쪽으로 약간 당긴 상태에서 "스, 즈, 츠" 라고 발음 한다고 서술되어 있으나, 정확한 발음 방법은 혀를 약간 말아 올리거나, 혀를 치켜세우고 목구멍 쪽으로 약간 당긴 상태에서 권설(sh, zh, ch) + "이" 라고 발음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와 "으"의 중간 발음처럼 들린다. 결과적으로 설치음(s, z, c) + i 는 쓰, 쯔, 츠 "으" 발음이고 설면음(x, j, q) + i 는 한국어 발음과 같은 "이" 발음이다. 권설음(sh, zh, ch) + i 의 경우도 영어 "R" 발음을 할 때의 혀의 모양과 유사하게 혀를 약간 말아 올리거나, 혀를 치켜세우고 목구멍 쪽으로 약간 당긴 상태에서 "이"라고 발음하는 것이다. "이"라고 발음하지만 혀의 모양과 위치 때문에 "이"와 "으"의 중간 발음처럼 들리는 것이지 설치음과 같은 "으"발음은 아니다. 지금까지 권설음(sh, zh, ch) + i를 "스, 즈, 츠"라고 발음하려고 했기 때문에 정확하게 발음할 수 없었고 그래서 어렵게 느껴졌던 것이다. 아래 "표10"을 보면 shi 와 zhi 의 발음이 혀를 약간 말아 올리거나, 혀를 치켜세우고 목구멍 쪽으로 약간 당긴 상태에서 "시", "지" 라고 발음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권설음 + i 발음은 설면음과 같은 "이" 발음이다.
삭제
한국 한자음 "오" 변환 표에서 권설음(sh, zh, ch) + i (이)를 설명하는 것은 권설음, 설치음, 설면음의 성모 운모 결합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임. 정리하면, 설면음과 설치음은 성모 운모 결합성이 상반되고 권설음은 i (이) 단운모와 결합하는 것 이외에는 설치음과 거의 동일하다. 단, 권설음은 단운모 i (이) 와만 결합하고 i 로 시작하는 복운모와는 결합하지 않는다. 여기서 설면음과 권설음의 성모 운모 결합성을 비교하면 권설음이 단운모 i (이)와 결합하는 것만 성모 운모 결합성이 동일한 것이다.
이제 이음의 이질감이 가장 크고, 변환 관계가 복잡한 한국 한자음 "ㅅ", "ㅈ", "ㅊ"과 이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sh, s, x", "zh, z, j", "ch, c, q" 에 관해서 자세히 표로 설명하고자 한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중국 한자음 "sh, s, x", "zh, z, j", "ch, c, q" 중에서, 설면음 "j" 는 전체 "j" 성모중 약 80%를, 설면음 "q" 는 전체 "q" 성모중 약 70%를 본래 한국 한자음 초성 "ㄱ" 이 가지고 있는 "g, k" 음가(音價)에 추가하여 "ㄱ" 으로 분산 규정하고 설면음 "x" 는 전체 "x" 성모중 약 40%를 본래 한국 한자음 초성 "ㅎ" 가 가지고 있는 "h" 음가(音價)에 추가하여 "ㅎ" 으로 분산 규정하였다.
이것은 설면음을 분산 규정할 때 100% 전체를 규정한 것이 아니므로 한국 한자음 초성 "ㅅ"의 경우, 권설음 "sh" 설치음 "s", 나머지 설면음 "x"의 60%를 규정해야 한다. 한국 한자음 초성 "ㅈ"은 권설음 "zh", 설치음 "z", 설면음 "j"의 20%를 규정해야 하고 "ㅊ"도 권설음 "ch", 설치음 "c", 설면음 "q"의 30%를 규정해야만 한다. 이제 성모 운모 결합성을 이용하여 "표7", "표8"과 같은 한국 한자음 초성 "ㅅ", "ㅈ", "ㅊ"의 성모 종류 예측 사례를 표로 작성하면,
삭제
한국 한자음 "지"의 경우를 설명하면, 중국 한자음 "ji"(己, 基, 技, 旣, 記, 한국 상용한자 1800자 기준에서 13자 있음)를 한국 한자음 "기"로 이미 규정하였으므로, 즉 "j"의 80%를 한국 한자음 초성 "ㄱ"으로 규정할 때 "ji"의 경우는 100% 한국 한자음 "기"로 규정하였으므로 한국 한자음 "지"는 한국 한자음 기준에서 중국 한자음 "ji"로의 변환 사례가 없는 것이다. 즉, 해당사례가 없는 것이지 결합 불가는 아니다. 즉, 한국 한자음 "지"에는 중국 한자음 "ji"로의 변환 사례가 없지만 한국 한자음에 종성이 있는, 한국 한자음 "진"(進, 盡)의 경우는 중국한자음 "jin"으로 한국 한자음 "집"(集)은 중국 한자음 "ji"로 변환되는 사례가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설면음이 결합 가능한 경우에도 "j"의 80%를 이미 한국 한자음 "ㄱ"으로 규정하였으므로 나머지 20%의 "j"는 한국 한자음 "ㅈ"에서 중국 한자음 성모 "j"로의 변환 사례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즉, 설면음 "j"로의 변환이 가능할 때, 설치음의 경우는 당연히 변환 사례가 없을 것이고 권설음 'zh"에 비중을 두고 예측하면 예측 가능성을 훨씬 높일 수 있다.
한국 한자음 "주"의 경우도 대비운모가 "u, ou, , iu"이어서 설면, 설치, 권설음이 모두 결합 가능하지만 한국 상용자 1,800자 기준에서 설면음과 결합하여 변환된 경우는 주(酒)→"jiu" 1자이고 설치음과 결합하여 변환된 경우도 주(走)→"zou" 1자이다. 권설음의 경우 "zhu"가 7자, "zhou"가 4자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결론적으로 한국 한자음 초성 "ㅈ, ㅊ"의 경우 설면음과 결합 변환이 가능한 경우에는 설치음과는 결합 불가 이고, 설면음도 이미 80%, 70%를 한국 한자음 초성 "ㄱ"으로 규정했으므로 사례가 많지 않아 권설음과의 결합에 비중을 두고 예측하면 예측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한국 한자음 "주"의 경우 대비 운모가 "u, ou, , iu"이어서 설치음도 결합 가능하여 (酒)→"jiu" 1자의 사례를 볼 수는 있지만 사례가 아주 미비하다. 이는 한국 한자음 "수, 주, 추"에서도 같다.
또한 설치음(s, z, c)은 한국 한자음 "아, 오, 애"와 같은 양성(陽性)모음에서 강세를 보이고, 변환이 가능한 "우, 에"와 같은 음성(陰性)모음에서는 변환 사례가 미비하다. 이는 설면음이 결합 불가 상황에서 한국 한자음 "아, 오, 애"와 같은 양성(陽性)모음에서는 설치음이 권설음보다 변환 비율이 더 높다는 것으로 예측 확률을 더 높일 수 있다.
삭제
"ㅊ"초성의 경우 "zh"로 변환되는 경우도 있지만 여기서는 "ch, c, q" 중에서 성모의 종류를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므로 "zh"로 변환되는 사례는 생략하기로 한다.
전체적으로 해당사항 없음까지 "ㅈ"초성의 경우와 유사하고 성모 운모 결합성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삭제
"ㅅ"초성의 경우 설면음 "x"를 한국 한자음 초성 "ㅎ"으로 약 40%를 규정했으므로 "ㅅ"초성에서 나머지 60%를 규정해야 하므로 "ㅈ, ㅊ" 초성의 경우보다 해당사항 없음의 경우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총정리하면,
중국 한자는 한국 한자 "ㅅ", "ㅈ", "ㅊ" 초성에 대비되는 "sh, s, x", "zh, z, j", "ch, c, q" 성모로 구성된 중국 한자 수(數)가 전체 중국 한자 수(數)의 약 40%를 차지한다. 즉, 중국어는 발음상 "ㅅ", "ㅈ", "ㅊ" 의 언어라고 상징적으로 말할 수 있다.
문제는 발음 방법과 혀의 위치에 따라 구별되는 권설음(sh, ch, zh), 설치음(s, c, z), 설면음(j, q, x)을 합리적으로 한국 한자음으로 규정하는 방법이었을 것이다.
권설음(sh, ch, zh), 설치음(s, c, z), 설면음(j, q, x)과 같은 비슷한 발음, 수많은 중국한자를 성조와 같은 동음 구별기능이 없는 한국 한자음으로 규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 이를 규정하는 과정에서 유사하지도 않은 가장 많은 이음이 발생하게 된다.
지금까지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의 변환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정하지 못한 이유가 권설음(sh, ch, zh), 설치음(s, c, z), 설면음(j, q, x)때문 이라고 판단된다.
그 외 다른 한국 한자음 초성과 중국어 성모는 같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권설음(sh, ch, zh), 설치음(s, c, z), 설면음(j, q, x)이 어떻게 한국 한자음으로 규정되는지 그 과정을 알면 중국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의 차이를 전체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자세히 보면, 한국 한자음 "ㅅ", "ㅈ", "ㅊ"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sh, s, x", "zh, z, j", "ch, c, q" 중에서, 설면음 "j" 는 전체 "j" 성모중 약 80%를, 설면음 "q" 는 전체 "q" 성모중 약 70%를 본래 한국 한자음 초성 "ㄱ" 이 가지고 있는 "g, k" 음가(音價)에 추가하여 "ㄱ" 으로 분산 규정하고 설면음 "x" 는 전체 "x" 성모중 약 40%를 본래 한국 한자음 초성 "ㅎ" 가 가지고 있는 "h" 음가(音價)에 추가하여 "ㅎ" 으로 규정하였다. 즉 한국 한자음 "ㅅ", "ㅈ", "ㅊ"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sh, s, x", "zh, z, j", "ch, c, q" 중에서, 설면음(j, q, x)을 한국 한자음 초성 "ㄱ", 과 "ㅎ"으로 분산 규정한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한국 한자음 초성 "ㄱ", 과 "ㅎ"이 본래 가지고 있는 음가(音價)는 "g, k", "h"는 중국 한자 성모의 종류 중 설근음에 해당되고 한국 한자음 초성 "ㄱ", 과 "ㅎ" 으로 변환되는 "j, q"와 "X"는 중국 한자 성모의 종류 중 설면음에 해당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한국 한자음 초성 "ㄱ"과 "ㅎ"이 여러 개의 중국 한자음 성모로 변환되는 이유는 한국 한자음 "ㅅ", "ㅈ", "ㅊ"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sh, s, x", "zh, z, j", "ch, c, q"을 한국 한자음으로 규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 것이다. "표7", "표8"에서 성모 운모 결합성을 이용하여 한국 한자음 초성 "ㄱ"과 "ㅎ"이 어떤 성모로 결정되는지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의 사례를 표로 설명하였다.
또한 한국 한자음 "ㅅ", "ㅈ", "ㅊ"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sh, s", "zh, z", "ch, c"과 한국 한자음 초성 "ㄱ"과 "ㅎ"로 규정하고 남은 나머지 설면음 "x의 60%", "j의 20%", "q의 30%"의 구별 방법에 관해서는 "표11", "표12", "표13"로 상세히 설명하였다.
따라서 성모 운모 결합성으로 3가지의 경우의 수를 2가지 경우의 수로 줄였고 설면음(x, j, q)를 한국 한자음 초성 "ㅎ, ㄱ"으로 40%, 80%, 70%를 규정하였으므로 "ㅅ, ㅈ, ㅊ"에 남아있는 설면음이 많지 않고, 설면음, 권설음, 설치음과 결합하는 i 의 차이점을 정확히 규명하여 성모 운모 결합성을 더욱 명확히 하였으며, 권설음과 설치음의 경우 한국 한자음 "아, 오, 애"와 같은 양성 모음에서는 설치음으로 변환될 확률이 더 높다는 것으로 예측확률을 높였다.
나머지 한국 한자음 초성은 중국 한자음 성모로의 변환이 단순하다. ㄴ→n, "ㄷ, ㅌ"→(d, t), ㄹ→l, ㅁ→(m, w), "ㅂ, ㅍ"→(f, b, p), ㅇ→(y, w, r) 으로 변환되는데 여기서 한국 한자음 "ㅁ"의 경우 중국한자음 "m"으로 변환되는 비율이 약 75%이고 중국한자음 "w"로 변환되는 비율이 약 25%이다. 주로 한국 한자음 "무"(無, 務, 舞, 戊, 武)→"wu", "미"(味, 尾, 未)→"wei", "만"(晩, 萬)→"wan", "망"(亡, 妄, 忘, 望, 罔)→"wang"에서 중국 한자음 성모 "w"로 변환된다. 한국 한자음 초성 "ㅇ"의 경우 중국 한자음 "y, w"는 같은 "ㅇ"발음이고 "r"로 변환되는 비율이 약 10%이다. 주로 한국 한자음 "인"(人, 仁, 忍, 認)→"ren", 임"(壬, 任)→"ren", "일"(日)"→"ri"에서 중국 한자음 "r"로 변환된다.
한국 한자음 초성 "ㅂ, ㅍ"의 경우는 이렇게 "ㅍ↔ㅂ→f"로 변환 관계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한국 한자음 초성 "ㅂ"과 "ㅍ"은 상호 변환되며 또한 "ㅂ"와 "ㅍ"는 영어 발음 "f"와 같은 중국 한자 성모 "f"로도 변환된다. 한국 한자음 초성 "ㅂ, ㅍ"의 "ㅍ↔ㅂ→f"을 중국 한자음 성모로 표기하면 "p↔b→f"가 되겠다. 성모의 종류도 순음으로 같아 성모 운모 결합성으로도 구별할 수가 없지만 동음 계열이라 이질감은 적다. 한국 상용한자 1,800자 기준에서 한국 한자음 초성 "ㅂ"는 중국 한자음 성모 "f"로 변환되는 비율이 약 50%이고 중국 한자음 성모 "b"로 변환되는 비율이 약 40%이며, 중국 한자음 성모 "p"로 변환되는 비율이 약 10%이다. 한국 한자음 "부"(夫, 婦, 富, 父, 扶, 浮)→"fu", "분"(分, 墳, 粉, 紛)→"fen", "비"(非, 飛, 費, 妃)→"fei", "복"(福, 伏, 服), "봉"(奉, 逢, 峰, 封)→"feng", "번, 범, 반"등 많은 모음에서 중국 한자음 성모 "f"로 변환된다. 한국 한자음 초성 "ㅍ"의 경우는 중국 한자음 성모 "b"로 변환되는 비율이 약 50%이고 "p"로 약 40%, "f"로는 약 10% 비율로 변환된다. 변환 비율을 명기하는 이유는 예측 확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국 한자음의 모든 초성을 중국 한자음 성모로, 100% 예측하거나, 한국 한자음 초성에서 중국 한자음 성모의 종류를 예측이 가능하고 성모의 변환 비율까지 고려하면 대체로 둘 중 하나의 확률로 예측이 가능하다.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은 중국어를 학습할 때 발음을 그냥 외우는 것과 우리말로 쓰고 있는 한국 한자음을 이용하여 예측이 가능한 것과는 암기 학습효율 면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음은 자명하다.
이제 한국 한자음 "요" 모음을 중심으로 보면, 한국 한자음 "요" 발음에서는 종성이 거의 없어 표의 구성이 아주 단순하다. 한국 한자음 초성 "ㅇ"에서만 "ㄱ" "ㅇ" 종성이 있음.
삭제
중국 한자음 운모 "ao"(아오)를 한국 한자음 "오"로 규정하였으므로 중국 한자음 운모 "iao"(야오 또는 이아오)는 한국 한자음 "요"로 규정하는 것은 당연한 결정이었을 것이다. 위 표와 같이 단순하여 성모를 성모의 종류별로 분류하였음에도 단순하여 사례를 표로 만들어 설명하면,
삭제
한국 한자음 "ㅛ"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가 "iao"이므로 설근음, 설치음, 권설음 성모는 결합할 수 없으므로 해당사항이 없는 것은 이미 한국 한자음 "오"변환 표에서 자세히 언급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함.
삭제
한국 한자음 기준에서 "오"가 중국 한자음 단운모 "u"로 변환되는 것처럼 한국 한자음 중 "오"로 구성되는 이중모음(와, 외)은 중국 한자음 "ua, ui" 로 변환됨을 쉽게 유추할 수 있다. 또한 한국 한자음 "위"가 중국 한자음 "ui"로 변환됨은 당연하다 하겠다. 한국 한자음 "ㅘ"모음 변환표의 사례를 보면, 한국 한자음 과(관, 곽, 괄, 광), 화(확, 환, 활, 황)이 있고 "좌", 와(완, 왈, 왕)이 있다. 중국 한자음 성모 설첨음에 대비되는 한국 한자음 초성 "ㄴ, ㄷ, ㄹ, ㅌ"의 경우는 "놔, 돠, 롸, 톼"와 같이 한국 한자음 중성 "ㅘ"와는 결합하지 않으므로 적색으로 표시한 것임. 사례를 보면, 과(瓜)→gua, 과(果)→guo, 과(課)→ke로 표처럼 변환되고, 곽(郭)→guo, 관(官, 觀)→guan, 광(光, 廣)→guang 로 표처럼 변환되는 것이다. 와(완, 왕)의 사례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국 한자음 모음 중에서 종성이 거의 없고 한자 수(數)도 많지 않아 표로 구성할 필요도 없는 간단한 모음을 기타 모음표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표를 보는 방법은, 한국 한자음을 모음별로 작성한 것으로, 모음 "우"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임. 세로 좌측에 한국 한자음 초성을 "ㄱ"에서 "ㅎ"까지 순서대로 배열하였으며 바로 우측에 한국 한자음 초성에 대비되어 변환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를 배열하였다. 가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중성 "ㅜ"에 대비되는 즉 같은 의미인 한국 한자음에 종성이 없는 경우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와 한국 한자음에 종성이 있는 경우를 존속종성과 소멸종성으로 나누어 분류, 대비(對比), 배열하였다.
여기서 본 특허는 "기준운모"와 "핵심운모"라는 새로운 용어를 정의하고자 한다. 특정 한국 한자음에서, 특정 한국 한자음을 구성하는 "ㄱ, ㅎ, ㅅ, ㅈ, ㅊ"과 같이 초성이 그에 대비(對比), 변환 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가 2개 이상이고 2개 이상의 성모가 성모의 종류가 다를 때 특정 한국 한자음 중성과 대비(對比), 변환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와 특정 한국 한자음 초성과 대비되는 성모와의 성모 운모 결합성으로 성모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성모 운모의 결합성의 기준이 되는 운모를 기준운모라고 정의 하고자 한다. 기준운모는 한국 한자음 중성 "여"에서 중국 한자음 운모 "i"를 추가하고, 한국 한자음 중성 "애"에서 중국 한자음 운모 "e"를 추가한 것 외에는 한국 한자음에 종성이 없는 경우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와 일치한다. 그리고 종성과 결합하는 운모를 핵심운모라 정의 하고자 한다. 소멸종성의 경우도 결합 후 소멸된 것이므로 종성과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핵심운모는 기준운모 중에서 단운모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 예측방법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국 한자음 "우" 모음에서 기준운모는 "u, ou, , iu" 이다. 따라서 초성 "ㄱ"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는 설근음, 설면은 모두 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초성 "ㄱ"을 설근음(g, k)과 설면음(j, q)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마찬가지로 초성 "ㅎ"도 설근음 "h" 와 설면음"x"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 한자음 "구"의 경우, 설근음과 설면음 모두 결합이 가능하므로 표와 같이 구(狗)는 "gou"로 구(口)는 "kou"로 되는 것이다. 또한 설면음으로 변환하는 경우는 구(句)는 "ju"로 구(九)는 "jiu", 구(求)는 "qiu"로 변환된다. 한국 한자음 "구"가 설면, 설근음과 모두 결합이 가능하여 경우의 수가 매우 많지만 설근음으로 변환되는 경우가 약 20%이므로 변환 비율로 그나마 경우의 수를 줄여서 예측할 수 있다. 이제 표를 성모의 종류별로 분류하여 간단하게 만든 후 설명하면,
삭제
1. 적색으로 표시한 것은 해당사항 없는 경우임.
2. 설면음과 대비되는 한국 한자음 초성 상단의 ㅅ, ㅈ, ㅊ 과 하단의 (ㅎ, ㄱ)가 의미하는 것은 설면음 "j" 는 전체 "j" 성모중 약 80%를, 설면음 "q" 는 전체 "q" 성모중 약 70%를 본래 한국 한자음 초성 "ㄱ" 이 가지고 있는 "g, k" 음가(音價)에 추가하여 "ㄱ" 으로 분산 규정하고 설면음 "x" 는 전체 "x" 성모중 약 40%를 본래 한국 한자음 초성 "ㅎ" 가 가지고 있는 "h" 음가(音價)에 추가하여 "ㅎ" 으로 분산 규정하였으므로, 즉 설면음 100% 전체를 규정한 것이 아니므로 나머지 "ㅅ"의 60%, "ㅈ"의 20%, "ㅊ"의 30%가 상단의 ㅅ, ㅈ, ㅊ를 의미하고 "ㅎ"(x의 60%)과 'ㄱ"(j의 80%, q의 70%)가 하단의 (ㅎ, ㄱ)를 의미하는 것이다.
3. 한국한자음 "ㅅ, ㅈ, ㅊ"의 경우 앞의 전체 변환 표에는 사례가 있으나 1자에서 3자 이내의 사례가 있는 경우는 표의 단순화를 위해 성모의 종류별 분류에서는 해당 없음으로 표시하고 예외자로 설명하고자 함.
설근음, 설첨음은 기준운모가 "ou", 핵심운모는 u
순음 성모는 기준운모가 "u", 핵심운모는 u
권설 성모에서는 기준운모가 "u, ou", 핵심운모는 u
5. 종성이 "ㅇ"이 있는 경우 "ong"으로 변환됨 (중국어는 ung 발음이 없음, "오" 발음과 동일)
6. 초성 "ㅁ, ㅂ, ㅍ"에 대비되는 순음 성모의 경우 "ㄴ"과 "ㅇ" 종성에서 en, eng 으로 변환 ("오" 발음에서와 동일)
삭제
1. 한국 한자음 "애" 모음 표의 경우도 비교적 간단하여 성모 종류별 분류표로 설명.
2. "애" 한국 한자음은 종성이 "ㄱ" "ㅇ" 만 있음.
3. 기준운모 : "ai"
4. 핵심운모 : "e"
5. 단 순음 성모"에 대비되는 초성 "ㅁ, ㅂ, ㅍ에서는 기준운모가 "ai" 또는 "ei"
단 순음 성모"에 대비되는 초성 "ㅁ, ㅂ, ㅍ에서 "ㄱ" 소멸종성의 경우 "ai"
삭제
삭제
1. 기준운모 : i 핵심운모 : i
2. 순음성모에 대비되는 한국 한자음 초성 "ㅁ, ㅂ" 종성 無에서 i 또는 ei 로 변환
미(米)→mi, 미(美)→mei, 비(比)→bi, 비(飛)→fei
3. 적색표시 : 해당사항 없음을 뜻함.
4. 권설음(sh, zh, ch)에서 종성 "ㄴ, ㅁ"이 있는 경우→ "en" 유의. 신(身)→"shen", 진(眞)→"zhen"
5. 한국 한자음 "이" 모음에서는 초성이 "ㅇ"인 경우 "ㅇ"→"r"로도 변환됨.
인(印, 因, 引, 寅)→"yin" 인(人, 仁, 忍, 認)→"ren", 임(壬, 任)→"ren", 일(日)→"ri"
6. 한국 한자음 "기"의 경우 초성 "ㄱ"에 대비되는 설근음 "g, k"가 기준운모 i와 결합할 수 없으므로 설면음 "j, q"와 결합 하여 기(基, 己, 旣)→ji, 기(氣, 期, 起)→qi 로 변환된다.
삭제
삭제
1. 한국 한자음 "으"는 100% 종성이 있음.
2. 핵심운모 : i, e
3. 영성모에 대비되는 초성 "ㅇ"은 in, ing
4. 설면음에 대비되는 초성 ㅅ, ㅈ, ㅊ, ㅎ, ㄱ는 in, -
5. 그 외 한국 한자음 초성은 en, eng
6. 소멸종성은 각각의 핵심운모로 판단한다.
7. 주의 : 권설 소멸 종성시 : "i"
삭제
한국 한자음 모음 "여"와 "어"를 정확히 알려면 중국 한자음 운모 i(이)를 다시 면밀히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한국 한자음과 중국 한자음의 근본적인 이음원인 중, 두 번째에서 동음 구별을 위해 i (이)를 "이, 에, 예, 의"로 분산 규정했음을 이미 설명했었다. 이것은 중국 한자음 i(이)가 단운모의 경우이고 한국 한자음 종성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i(이)가 복운모인 경우를 보면,
중국인은 ing(잉) 발음을 좋아하여 "ning, ding, ting, ling, ming, bing, ping"등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잉" 발음의 경우 한국어에 동일하게 사용되는 "이" 발음에 종성 "ㅇ"으로 구성됨에도 한국어에는 "잉" 발음이 거의 사용되지 않아 일관되게 "영" 발음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한국 한자음에는 "경, 녕, 령, 명, 병, 영, 평, 형" 발음은 있지만 "뎡, ?, 셩, 졍, ?"발음은 없다. 따라서 "셩"은 "성"으로 "졍"은 "정으로 "?"은 "청"으로 "ㅅ, ㅈ, ㅊ"초성의 경우는 "엉"으로 병행하여 규정하였다. 즉 중국 한자음 운모 "ing"를 한국 한자음 "영"과 "엉"으로 병행하여 규정함.
현대중국어에서는 소멸된 한국 한자음 종성 "ㄱ"에 대비되는 "ik" 의 경우도 한국 한자음 "역"과 "억"으로 분산 규정하였다. 한국 한자음 기준으로 보면 力(력)은 "li"(리)로 발음된다. 편의상 한글로 표기하면 한국 한자음 "력, 벽, 역"은 중국 한자음으로 "li(리), bi(비), yi(이) 로 발음된다. 고대 중국어는 lik(릭), bik(빅), yik(익)이었을 것이다.
또한, 중국인은 ian(이엔) 발음을 즐겨 사용하여 많은 글자가 있어 한국 모음 "연" 또는 초성에 따라 "언" 발음으로 일관되게 표현하였다. 예를 들면 mian은 →"면"으로 nian은→ "년", bian은 →"변"으로 되는 것이다. 여기서 한국인은 "뎌, 텨, 셔, 져, 쳐" 발음은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초성에 대해서는 "언" 발음으로 병행하여 규정하였다.
그리고 고대 중국어 발음 중에 "iet",과 "iep"이 있었다. 당시에 한국 한자음 "열"과 "얼", 그리고 "엽"과 "업"으로 병행 규정하였다. 한국 한자음 기준에서 보면, 멸(滅)은 "mie"(미에), 별(別)은 "bie"(비에), 협(協)은 "xie"(시에)로 그리고 업(業)은 "ye", 절(節)은 "jie", 접(接)은 "jie", 첩(妾)은 "qie"로 변환된다. 고대중국어로는 멸(滅)은 "miet", 별(別)은 "biet" 협(協)은 "xiep" 이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중국 한자음 i(이)의 "ing"과 "ik"이 한국 한자음 "영, 역", "엉, 억"발음을 만들게 하였고, 중국 한자음 "ian"과 "ie(t)", "ie(p)"이 한국 한자음 "열, 엽", "얼, 업" 발음을 만들게 하였다.이렇게 한국 한자음 "여"와 "어"는 규정지어 지는 것이다.
과정이 어째든 한국 한자음 "여"와 "어"는 존속종성이든 소멸종성이든 모두 i로 시작 "ian/(연, 언), ing/(영, 엉), ie/(열, 얼), i/(역, 억)" 된다는 i 패턴(일관성)이다.
여기서 현대 중국어에서 소멸된 고대 중국어 입성 "k, t, p" 가 한국 한자음 종성 "ㄱ, ㄹ, ㅂ"으로 규정되어 지는 과정을 추론하고자 한다. "k"가 "ㄱ",으로 "p"가 "ㅂ"으로 규정된 것은 당연한 것이고 문제는 "t"가 "ㄹ"로 규정된 것이다. 예를 들어 고대 중국 한자음 "ik, iet, iep"에서 입성 "t"를 한국 한자음 종성 "ㅌ"으로 가정하면, "역', 옅, 엽" 이 될 것이다.
"역", "옅", "엽"을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즉 "역, 옅, 엽"을 → "역, 열, 엽"으로 규정하여 입성 "k, t, p"를 한국 한자음 종성 "ㄱ, ㄹ, ㅂ"으로 명확히 구별하여 규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삭제
2. 녀, 텨, 셔, 져, 쳐 발음의 한국 한자음은 없음→적색 표시
3. "영" : "ing"(잉) 으로 변환
4. "역" : "i"(이) 로 변환
5. "연" : "ian"(이엔) 으로 변환
6. "열" 엽" : "ie"(이에) 로 변환
삭제
삭제
1. 한국 한자음 "여"에서 "영"→ing, "연"→ian, "역"→i, "열, 엽"→ie 으로 변환되는 것처럼 한국 한자음 "어"에서도 전체적으로는 "엉"→ing, "언"→ian, "억"→i, "얼, 업"→ie 으로 변환된다.
2. 단 "여" 발음과의 차이점은 한국 한자음 초성 "ㅅ, ㅈ, ㅊ"이 중국 한자음 권설음(sh, zh, ch)으로 변환될 때 존속종성 "ㄴ"은 "an/uan"으로 변환되고 존속종성 "ㅇ"은 "eng"로 변환된다. 그리고 한국 한자음 초성 "ㅂ"의 번(番), 범(凡)이→"fan"으로, 벌(伐), 법(法)이→"fa"로 변환된다.
3. 또한 "여"발음에서는 한국 한자음 "셔, 져, 쳐" 발음이 없지만 "어"발음에서는 "서, 저, 처"발음이 있다는 차이점이다.
5. 초성 ㄴ, ㄷ, ㄹ, ㅌ의 하단부 (ㄷ←ㅈ→ㅌ)과 (ㅊ→ㅌ)의 변환은 여섯 번째 이음원인 “ian”에서“전",“정”이 “dian, tian”, “ding, ting”으로 “천",“청”이 “tian”,“ting“ 으로의 변환을 자세히 설명했음.
삭제
삭제
1. 한국 한자음 "아"는 기준운모가 "a, ia, uo, e, o, i(으), i" 로 많고, 모든 성모와 결합하여 초성 "ㄱ, ㅎ"이 설근음과 설면음으로 변환하고 초성 "ㅅ, ㅈ, ㅊ"도 설면, 설치, 권설음으로 모두 변환이 가능하여 처음부터 "아" 모음을 하면 어렵게 느낄 수 있어 가장 마지막에 설명하는 것임.
2. 다소 복잡해 보이는 "아" 모음 변환 표를 익히는 방법은 존속종성 "ㅁ→ㄴ, ㄴ, ㅇ"의 경우에 a + n = an, a + ng = ang 이라는 동일한 패턴을 숙지하는 것이다. 중국 한자음 "an" 운모는 전체 37개 운모 중에서 i(이), u(우) 다음으로 비중 높은 운모이고 "ang"의 경우도 37개 운모 중에서 13번째의 비중이다. 중요한 것은 한국 한자음도 안(an), 앙(ang)으로 발음되어 동음이므로 많은 중국 한자음을 유추할 수 있다. 단 한국 한자음 초성 "ㅇ"과 "ㅅ, ㅈ, ㅊ, ㅎ, ㄱ" 이 중국 한자음 영성모, 설면음으로 변환될 때는 ian, iang 으로 변환된다.
3. 다른 한국 한자음 모음별 변환 표와 다르게 기준운모가 많지만 성모의 종류별로는 일관성이 있다. 다소 복잡해 보이므로 "아"모음에서는 모든 사례를 들어 보면,
4. "ㄱ, ㅎ"→설근음 (g, k) : 가(歌)→ge, 가(可)→"ke", 각(各)→"ge" 갈(渴)→"ke", 간(干)→"gan" 감(感)→"gan", 강(康)→"kang" 하(河)→"he", 한(韓)→"han", 합(合)→"he"
5. "ㄱ, ㅎ"→ 설면음 (x, j, q) : 가(家)→"jia", 각(角)→"jiao", 각(覺)→"jue", 갑(甲)→'jia", 간(間)→"jian", 감(減)→"jian", 강(江)→"jiang", 하(下)→"xia", 학(學)→"xue", 한(閑)→"xian", 함(咸)→"xian", 항(巷)→"xiang"
6. "ㄴ, ㄷ, ㄹ, ㅌ"→설첨음 (n, d, l, t) : 나(那)→"na", 나(那)→"nuo", 낙(諾)→"nuo", 난(難)→"nan" 난(暖)→"nuan", 남(南)→"nan", 납(納)→"na", 다(多)→"duo", 단(丹)→"dan", 단(短)→"duan", 단(團)→"tuan", 달(達)→"da", 답(答)→"da", 답(踏)→"ta", 당(當)→"dang", 당(堂)→"tang", 라(羅)→"luo", 락(落)→"luo", 란(欄)→"lan", 란(卵)→"luan", 랑(浪)→"lang", 타(他)→"ta", 타(打)→"da", 타(妥)→"tuo", 탁(托)→"tuo", 탄(炭)→"tan", 탄(彈)→"dan", 탈(脫)→"tuo", 탐(探)→"tan", 탑(塔)→"ta", 탕(湯)→"tang"
7. "ㅁ, ㅂ, ㅍ"(ㅁ→ㅇ), (ㅍ↔ㅂ→f)→순음(m, b, p, f) : 마(馬)→"ma", 마(磨)→"mo", 막(莫)→"mo", 만(滿)→"man", 만(晩)→"wan", 말(末)→"mo", 망(忙)→"mang", 망(亡)→"wang", 박(博)→"bo", 박(朴)→"po", 반(半)→"ban", 반(叛)→"pan", 반(反)→"fan", 발(發)→"fa", 방(邦)→"bang", 방(傍)→"pang", 방(方)→"fang", 파(破)→"po", 파(波)→"bo", 판(判)→"pan", 판(板)→"ban", 판(販)→"fan", 팔(八)→"ba"
8. "ㅅ, ㅈ, ㅊ"→설면음(x, j, q) : 사(謝)→"xie, 삭(削)→"xiao", 상(想)→"xiang", 장(將)→"jiang", 차(且)→"qie",
9. "ㅅ, ㅈ, ㅊ"→설치음(s, z, c) : 사(四, 死)→"si", 산(散)→"san", 산(算)→"suan", 삼(三)→"san", 상(喪)→"sang", 자(自, 子)→"zi", 작(作, 昨)→"zuo", 잡(雜)→"za", 장(臟)→"zang", 차(次, 此)→"ci", 착(錯)→"cuo", 참(參)→"can", 창(蒼)→"cang"
10. "ㅅ, ㅈ, ㅊ"(ㅅ→ㅊ), (ㅈ↔ㅊ)→권설음(sh, zh, ch) : 사(史, 師, 事)→"shi", 삭(數)→"shuo, 산(産)→"chan", 산(山)→"shan", 살(殺)→"sha", 상(上, 商)→"shang", 상(常)→"chang", 자(者)→"zhe", 작(酌)→"zhuo", 장(章, 長)→"zhang", 장(場, 長)→"chang", 차(車)→"che", 차(茶, 差)→"cha", 착(着)→"zhuo", 찰(察)→"cha", 참(站)→"zhan", 창(昌)→"chang", 창(窓)→"chuang"
11. "ㅇ"→영성모(y, w) : 아(亞, 牙)→"ya", 아(我)→"wo", 아(餓)→"e", 악(惡)→"e", ,악(岳)→"yue" 안(安,案)→"an", 안(眼, 顔)→"yan", 암(暗)→"an", 암(巖)→"yan", 압(壓)→"ya", 앙(仰, 央)→"yang"
12. 위의 사례처럼 다른 한국 한자음 모음별 변환 표와 다르게 기준운모가 많지만 성모의 종류별로는 일관성이 있다.
지금까지 한국 한자음을 모음별로 2차원의 표로 구성하여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을 패턴화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 한자음 모음별로 동일한 운모의 음가(音價) 패턴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표 6" "오"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변환 표를 보면 한국 한자음에 종성이 없는 경우는 "u/ao", 종성이 "ㄴ, ㅁ"인 경우는 "un", 종성이 "ㅇ"인 경우는 "ong", 종성이 "ㄱ", "ㄹ, ㅂ"인 경우는 "u"라는 동일한 운모의 음가(音價) 패턴이 있다. 예외는 한국 한자음 초성 "ㅁ, ㅂ, ㅍ"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순음 성모에서 한국 한자음 종성 "ㄴ, ㅁ"의 경우에는 "en", 종성이 "ㅇ"인 경우에는 "eng"인 경우가 유일하다. 이 예외도 순음 성모라는 일관성이 있으므로 비고란에 요약하여 구별이 가능하다.
이러한 동일한 운모의 운가(音價) 패턴은 한국 한자음 "아"를 제외한 모든 주요 한국 한자음 모음에서 동일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특허는 이러한 패턴들을 요약하여, 한국 한자음 중성과 종성에서 중국 한자음 운모로의 변환을 하나의 집계 표로 패턴화 하였다. 그 방법으로,
세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모음을 배열하고, 가로 측에는 한국 한자음 중성과 종성을, 종성이 없는 경우, 종성이 "ㄴ, ㅁ"과 "ㅇ" 이 있는 경우, 종성이 "ㄱ"과 "ㄹ, ㅂ" 이 있는 경우로 분류, 배열하고, 이러한 분류, 배열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를 세로 측 분류, 배열에 맞추어 운모의 음가(音價)를 정하고, 가로 측 끝에는 "비고"란을 배열하여 세로 측 분류, 배열에 맞추어 "성모의 구별 요점 및 예외"를 명기함으로써 한국 한자음 중성, 종성에서 중국 한자음 운모로의 변환을 하나의 집계 표로 패턴화하는 것이다.
이것을 표로 만들어 보면,
삭제
표에서 보는 것과 같이 한국 한자음 모음 "아"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한 음모의 음가(音價) 패턴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한국 한자음 모음별 중국 한자음 변환 표에서의 세로 측 분류, 배열인, 한국 한자음 초성과, 이에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성모의 관계를 “비고”란에 “성모별 구별 요점 및 예외”로 요약하여 명기하였다. 한국 한자음 모음 "아"의 경우도 종성 "ㄴ, ㅁ"과 "ㅇ" 이 있는 경우는 운모의 음가(音價)가 "an", "ang"이라는 일관성을 갖는다. 다만 한국 한자음에 종성이 없는 경우와 종성 "ㄱ"과 "ㄹ, ㅂ"이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일관성은 찾을 수 없지만 성모의 종류별로는 일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 한국 한자음 모음 "ㅛ, ㅚ, ㅑ, ㅝ, ㅟ, ㅠ, ㅔ, ㅖ, ㅢ" 는 한국 한자음에 종성이 없거나 있어도 종성이 있는 경우의 한자 수가 극히 미비한 모음이므로 위 표에서는 생략하였다.
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운모의 개념을 세분화하여 작성할 수도 있다. 가로 측에 한국 한자음 중성과 종성을, 종성이 없는 경우, 종성이 "ㄴ, ㅁ"과 "ㅇ" 이 있는 경우, 종성이 "ㄱ"과 "ㄹ, ㅂ" 이 있는 경우로 분류, 배열함에 있어,
이러한 분류, 배열에 대비되는 운모를 종성이 없는 경우는 기준운모로, 종성이 "ㄴ, ㅁ"과 "ㅇ" 이 있는 경우는 핵심운모(존속)로, 종성이 "ㄱ"과 "ㄹ, ㅂ" 이 있는 경우는 핵심운모(소멸)로 분류하는 것이다.
이렇게 표를 분류하는 이유는 한국 한자음에 종성이 없을 때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 중에서 주로 단운모가 한국 한자음 종성과 결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핵심운모 개념으로 표를 분류하면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으로의 패턴을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을 예측할 때도 핵심운모로 예측하면 더욱 효율적이다.
핵심운모 개념으로 표로 만들어 보면,
삭제
표에서 보는 것과 같이 종성과 결합하는 핵심운모는 대체로 기준운모 중에서 단운모이고 한국 한자음 모음 "ㅗ, ㅜ, ㅣ, ㅡ, ㅐ"에서는 핵심운모(존속)과 핵심운모(소멸)의 음가(音價)가 같거나 거의 일치한다. 한국 한자음 모음 "ㅓ, ㅕ"의 경우는 핵심운모(존속)과 핵심운모(소멸)의 음가(音價)가 다르다. 이는 "여"모음 표에서 한국 한자음 "ㅓ, ㅕ"가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자세히 설명했으며, 한국 한자음 "ㅏ"의 경우도 "표31"에서 설명 하였다.
끝으로, 본 특허는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성모는, "표2"의 한국 한자음 초성에서 중국 한자음 성모로의 변환 표를 기본으로 하여, 모든 한국 한자음의 특정한자음에서, 특정한자음 초성과 대비되는 성모가 단수 이거나 2개 이상이면서 성모의 종류가 같으면 그 성모로 결정하고, 대비되는 성모가 2개 이상이고 2개 이상의 성모가 성모의 종류가 다를 때는 특정 한국 한자음 중성과 대비(對比)되는 중국 한자음 기준운모와 특정 한국 한자음 초성과 대비되는 성모와의 성모 운모 결합성으로 성모의 종류를 결정한다.
운모는 "표31", "표32"를 기본으로 하여,
한국 한자음의 종성 유무(有無)를 기준으로 종성이 없으면 결정된 성모와 기준운모의 결합으로 중국 한자음을 예측하고, 종성이 "ㄱ"과 "ㄹ, ㅂ"과 같이 소멸되는 종성인 경우는 결정된 성모와 소멸핵심운모의 결합으로 중국 한자음을 예측하고, 종성이 "ㄴ, ㅁ"인 경우는 결정된 성모와 존속핵심운모에 "n"을 결합하여 중국 한자음을 예측하고, 종성이 "ㅇ"인 경우는 결정된 성모와 존속핵심운모에 "ng"을 결합하여 중국 한자음을 예측하는 중국어 학습 방법이다.
"표7, 8"의 "ㅎ, ㄱ"초성의 성모 종류 결정 사례와 "표11, 12, 13"의 "ㅈ, ㅊ, ㅅ" 초성의 성모 종류 결정 사례로 한국 한자음에서 중국 한자음을 예측해 보면 위에 설명한 예측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당연히 결과를 100%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한국 한자음 초성에서 중국 한자음 성모의 종류를 성모 운모 결합성으로 예측이 가능하고, 성모의 변환 비율까지 고려하면 한국 한자음 초성에서 중국 한자음 성모로의 예측 확률을 높일 수 있고, 한국 한자음에 종성이 있는 경우는 대체로 한 가지 음으로 결정되므로 예측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한국 한자음 모음 “이, 오, 으, 와, 요, 애, 여, 워, 에, 의, 예”의 경우는 전체 한국 한자음 중 약 50%를 둘 중 하나의 확률로 예측이 가능하고 나머지 반은 셋 중 하나 즉, 약 33% 정도의 확률로 예측이 가능하다. 한국 한자음 모음 “우, 어, 아”의 경우는 전체 한국 한자음 중 약 50%를 셋 중 하나 즉, 약 33%정도의 확률로 예측이 가능하고 나머지 반은 넷 중 하나로 약 25%의 확률로 예측이 가능하다. 25%의 예측 확률도 대단한 것으로 중국 한자음을 그냥 외우는 것과 어원이 같고 현재 우리말로 사용하고 있는 한국 한자음으로 예측 후 암기 하는 것은 학습 효율 면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K : 특정 한국 한자음
A : 특정 한국 한자음 초성에 대비되는 성모로, 그 성모가 2개 이상이고 종류가 다른 성모
B : 특정 한국 한자음 중성과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
존속종성 : 한국 한자음 종성 "ㅁ→ㄴ, ㄴ, ㅇ" 에 해당되며 현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운미 "n, ng"
소멸종성 : 한국 한자음 종성 "ㄱ, ㄹ, ㅂ" 에 해당되며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운미(k, t, p)
성모 운모 결합성 : 성모와 운모의 결합 가능성 여부(與否)
+ : 로 시작하는 복운모(, , )
i+ : "i" 로 시작하는 복운모(ia, ie, iao, iu, ian, iang, iong, in, ing)
기준 운모 : 한국 한자음 중성과 대비되는 운모로 성모의 종류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운모.
핵심운모 : 종성과 결합하는 운모. 소멸종성의 경우도 결합 후 소멸된 것이므로 종성과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핵심운모는 기준운모 중에서 단운모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핵심운모은 핵심운모(존속)와 핵심운모(소멸)로 나뉜다.
A : 특정 한국 한자음 초성에 대비되는 성모로, 그 성모가 2개 이상이고 종류가 다른 성모
B : 특정 한국 한자음 중성과 대비되는 중국 한자음 운모
존속종성 : 한국 한자음 종성 "ㅁ→ㄴ, ㄴ, ㅇ" 에 해당되며 현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운미 "n, ng"
소멸종성 : 한국 한자음 종성 "ㄱ, ㄹ, ㅂ" 에 해당되며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운미(k, t, p)
성모 운모 결합성 : 성모와 운모의 결합 가능성 여부(與否)
+ : 로 시작하는 복운모(, , )
i+ : "i" 로 시작하는 복운모(ia, ie, iao, iu, ian, iang, iong, in, ing)
기준 운모 : 한국 한자음 중성과 대비되는 운모로 성모의 종류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운모.
핵심운모 : 종성과 결합하는 운모. 소멸종성의 경우도 결합 후 소멸된 것이므로 종성과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핵심운모는 기준운모 중에서 단운모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핵심운모은 핵심운모(존속)와 핵심운모(소멸)로 나뉜다.
Claims (31)
-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한국한자음으로부터 성모 및 운모로 이루어지는 중국한자음이 결정되도록 하여, 중국어가 학습되도록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으로서,
초성에서 성모로의 변환이 패턴화됨으로써,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가 2 이상이고, 상기 2 이상의 성모의 종류가 상이할 때,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와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의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의 종류가 결정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초성은 'ㄱ, ㅎ' 중 하나이고,
초성 'ㄱ'의 경우에, 대응되는 성모는 'g, k, j, q'로 2 이상이고, 'g, k'는 설근음, 'j, q'는 설면음으로 성모의 종류가 상이하며,
초성 'ㅎ'의 경우에 대응되는 성모는 'h, x'로 2 이상이고, 'h'는 설근음, 'x'는 설면음으로 성모의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a, e, 또는 u' 단운모 또는 'a, e, 또는 u'로 시작하는 복운모인 경우에,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는 설근음으로 결정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 , 또는 i' 단운모 또는 ' , 또는 i'로 시작하는 복운모인 경우에,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는 설면음으로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초성 'ㅎ'에 대응되는 성모가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이 이용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a, e, 또는 u' 단운모 또는 'a, e, 또는 u'로 시작하는 복운모인 경우에,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초성 'ㅎ'에 대응되는 성모가 설근음 'h'로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초성 'ㄱ'에 대응되는 성모가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이 이용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a, e, 또는 u' 단운모 또는 'a, e, 또는 u'로 시작하는 복운모인 경우에,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초성 'ㄱ'에 대응되는 성모가 설근음 'g, 또는 k'로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한국한자음으로부터 성모 및 운모로 이루어지는 중국한자음이 결정되도록 하여, 중국어가 학습되도록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으로서,
초성에서 성모로의 변환이 패턴화됨으로써,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가 2 이상이고, 상기 2 이상의 성모의 종류가 상이할 때,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와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의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의 종류가 결정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초성은 'ㅅ, ㅈ, ㅊ' 중 하나이고,
초성 'ㅅ'의 경우에 대응되는 성모는 'x, s, sh'로 2 이상이고, 'x'는 설면음, 's'는 설치음, 'sh'는 권설음으로 성모의 종류가 상이하며,
초성 'ㅈ'의 경우에 대응되는 성모는 'j, z, zh'로 2 이상이고, 'j'는 설면음, 'z'는 설치음, 'zh'는 권설음으로 성모의 종류가 상이하며,
초성 'ㅊ'의 경우에 대응되는 성모는 'q, c, ch'로 2 이상이고, 'q'는 설면음, 'c'는 설치음, 'ch'는 권설음으로 성모의 종류가 상이하며,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a, e, 또는 u' 단운모 또는 'a, e, 또는 u'로 시작하는 복운모인 경우에,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는 설치음 또는 권설음으로 결정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 단운모 또는 ' , 또는 i'로 시작하는 복운모인 경우에,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는 설면음으로 결정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i(으)' 단운모인 경우에,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는 설치음으로 결정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i(이)' 단운모인 경우에,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는 권설음으로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초성 'ㅈ'에 대응되는 성모가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이 이용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a, e, 또는 u' 단운모 또는 'a, e, 또는 u'로 시작하는 복운모인 경우에,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초성 'ㅈ'에 대응되는 성모가 설치음 'z' 또는 권설음 'zh'로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초성 'ㅈ'에 대응되는 성모가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이 이용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i(으)' 단운모인 경우에,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초성 'ㅈ'에 대응되는 성모가 설치음 'z'로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초성 'ㅈ'에 대응되는 성모가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이 이용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i(이)' 단운모인 경우에,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초성 'ㅈ'에 대응되는 성모가 권설음 'zh'로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초성 'ㅊ'에 대응되는 성모가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이 이용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a, e, 또는 u' 단운모 또는 'a, e, 또는 u'로 시작하는 복운모인 경우에,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초성 'ㅊ'에 대응되는 성모가 설치음 'c' 또는 권설음 'ch'로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초성 'ㅊ'에 대응되는 성모가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이 이용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i(으)' 단운모인 경우에,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초성 'ㅊ'에 대응되는 성모가 설치음 'c'로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초성 'ㅊ'에 대응되는 성모가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이 이용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i(이)' 단운모인 경우에,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초성 'ㅊ'에 대응되는 성모가 권설음 'ch'로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초성 'ㅅ'에 대응되는 성모가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이 이용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a, e, 또는 u' 단운모 또는 'a, e, 또는 u'로 시작하는 복운모인 경우에,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초성 'ㅅ'에 대응되는 성모가 설치음 's' 또는 권설음 'sh'로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초성 'ㅅ'에 대응되는 성모가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이 이용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i(으)' 단운모인 경우에,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초성 'ㅅ'에 대응되는 성모가 설치음 's'로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초성 'ㅅ'에 대응되는 성모가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이 이용되고,
중성에 대응되는 운모가, 'i(이)' 단운모인 경우에, 상기 성모 운모 결합성에 따라 초성 'ㅅ'에 대응되는 성모가 권설음 'sh'로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한국한자음으로부터 성모 및 운모로 이루어지는 중국한자음이 결정되도록 하여, 중국어가 학습되도록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으로서,
한국한자음 중성과 종성이,
a. 종성이 없는 경우,
b. 종성이 'ㄴ, 또는 ㅁ'이거나 'ㅇ'인 경우,
c. 종성이 'ㄱ'이거나 'ㄹ, 또는 ㅂ'인 경우
로 분류되고,
상기 분류에 대응되는 중국한자음 운모의 음가가 정해짐으로써, 한국한자음 중성과 종성에서 중국한자음 운모로의 변환이 패턴화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가 순음 'm, b, p, f'인 경우와 아닌 경우로 분류되고,
상기 중성은 'ㅗ, ㅣ, ㅐ' 중 하나임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가 순음이 아니고 , 중성이 'ㅗ'인 경우에 있어서,
a. 종성이 없는 경우, 운모가 'u, 또는 ao'로 정해지거나,
b. 종성이 'ㄴ, 또는 ㅁ'인 경우, 운모가 'un'으로 정해지거나,
c. 종성이 'ㅇ'인 경우, 운모가 'ong'으로 정해지거나,
d. 종성이 'ㄱ, ㄹ, 또는 ㅂ'인 경우, 운모가 'u'로 정해짐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가 순음이고, 중성이 'ㅗ'인 경우에 있어서,
a. 종성이 없는 경우, 운모가 'u, 또는 ao'로 정해지거나,
b. 종성이 'ㄴ, 또는 ㅁ'인 경우, 운모가 'en'으로 정해지거나,
c. 종성이 'ㅇ'인 경우, 운모가 'eng'으로 정해지거나,
d. 종성이 'ㄱ, ㄹ, 또는 ㅂ'인 경우, 운모가 'u'로 정해짐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중성이 'ㅣ'인 경우에 있어서,
(1)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가 순음이 아닌 경우,
a. 종성이 없는 경우, 운모가 'i'로 정해지거나,
b. 종성이 'ㄴ, 또는 ㅁ'인 경우, 운모가 'in'으로 정해지거나,
c. 종성이 'ㄱ, ㄹ, 또는 ㅂ'인 경우, 운모가 'i'로 정해지거나,
(2)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가 순음인 경우,
a. 종성이 없는 경우, 운모가 'i, 또는 ei'로 정해지거나,
b. 종성이 'ㄴ, 또는 ㅁ'인 경우, 운모가 'in'으로 정해지거나,
c. 종성이 'ㄱ, ㄹ, 또는 ㅂ'인 경우, 운모가 'i'로 정해짐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중성이 'ㅐ'인 경우에 있어서,
(1)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가 순음이 아닌 경우,
a. 종성이 없는 경우, 운모가 'ai'로 정해지거나,
b. 종성이 'ㅇ'인 경우, 운모가 'eng'으로 정해지거나,
c. 종성이 'ㄱ'인 경우, 운모가 'e'로 정해지거나,
(2) 초성에 대응되는 성모가 순음인 경우,
a. 종성이 없는 경우, 운모가 'ai, 또는 ei'로 정해지거나,
b. 종성이 'ㅇ'인 경우, 운모가 'eng'으로 정해지거나,
c. 종성이 'ㄱ'인 경우, 운모가 'ai'로 정해짐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한국한자음으로부터 성모 및 운모로 이루어지는 중국한자음이 결정되도록 하여, 중국어가 학습되도록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으로서,
한국한자음 중성과 종성이,
a. 종성이 없는 경우,
b. 종성이 'ㄴ, 또는 ㅁ'이거나 'ㅇ'인 경우,
c. 종성이 'ㄱ'이거나 'ㄹ, 또는 ㅂ'인 경우
로 분류되고,
상기 분류에 대응되는 중국한자음 운모의 음가가 정해짐으로써, 한국한자음 중성과 종성에서 중국한자음 운모로의 변환이 패턴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성은 'ㅘ, ㅕ' 중 하나임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24에 있어서,
중성이 'ㅘ'인 경우에 있어서,
a. 종성이 없는 경우, 운모가 'ua, 또는 uo'로 정해지거나,
b. 종성이 'ㄴ, 또는 ㅁ'인 경우, 운모가 'uan'으로 정해지거나,
c. 종성이 'ㅇ'인 경우, 운모가 'uang'으로 정해지거나,
d. 종성이 'ㄱ, ㄹ, 또는 ㅂ'인 경우, 운모가 'uo'로 정해짐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24에 있어서,
중성이 'ㅕ'인 경우에 있어서,
a. 종성이 'ㄴ, 또는 ㅁ'인 경우, 운모가 'ian'으로 정해지거나,
b. 종성이 'ㅇ'인 경우, 운모가 'ing'으로 정해지거나,
c. 종성이 'ㄱ'인 경우, 운모가 'i'로 정해지거나,
d. 종성이 'ㄹ, 또는 ㅂ'인 경우, 운모가 'ie'로 정해짐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국어의 성조마다 미리 정해진 특정 색으로 한자가 표시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국어 학습방법이 포함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교재. - 청구항 27에 기재된 중국어 학습방법이 포함됨
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학습교재. - 정보통신기기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국어 학습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정보통신기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정보통신기기에 청구항 27에 기재된 중국어 학습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정보통신기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9915 | 2017-05-15 | ||
KR20170059915 | 2017-05-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5367A KR20180125367A (ko) | 2018-11-23 |
KR101959431B1 true KR101959431B1 (ko) | 2019-03-18 |
Family
ID=6456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2965A KR101959431B1 (ko) | 2017-05-15 | 2017-10-13 | 한국 한자음을 이용한 중국어 학습 방법 및 교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943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2711A (ko) | 2019-09-17 | 2021-03-25 | 박병호 | 중국 한자음을 이용한 한국 한자어 학습 방법 및 교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34170A (ja) * | 1999-11-01 | 2001-05-18 | Jiikomu:Kk | 中国語早分かり表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639863A1 (fr) | 1988-12-01 | 1990-06-08 | Marion Louis | Dispositif de decoupage sur des materiaux tels que les non-tisses |
KR0181651B1 (ko) | 1996-02-29 | 1999-04-01 | 위계성 | 도금로의 시공방법 |
KR101060928B1 (ko) | 2009-01-06 | 2011-08-31 | 백성호 |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로 표시 가능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 표시 방법 및 중국어의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방법 |
KR20160101388A (ko) * | 2015-02-17 | 2016-08-25 | 문기성 | 한글을 이용한 한자의 중국어 발음 표기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831717B1 (ko) * | 2015-10-30 | 2018-02-23 | 이지현 |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
-
2017
- 2017-10-13 KR KR1020170132965A patent/KR1019594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34170A (ja) * | 1999-11-01 | 2001-05-18 | Jiikomu:Kk | 中国語早分かり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5367A (ko) | 2018-1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terding | ELF-based Pronunciation Teaching in China. | |
Javed | Arabic and English phonetics: A comparative study | |
Li | The Chinese writing system in Asia: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 |
KR20100092541A (ko) | 중국어 학습장치 및 방법 | |
KR101959431B1 (ko) | 한국 한자음을 이용한 중국어 학습 방법 및 교재 | |
Hill | Once more on the letter | |
Sok et al. | Phonological principles for automatic phonetic transcription of Khmer orthographic words | |
Janbaz et al. | An introduction to latin-script uyghur | |
Zhang | Tone features of Chinese and teaching methods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 |
US20150127352A1 (en) | Methods, Systems, and Tools for Promoting Literacy | |
Sircar et al. | Spelling and reading words in Bengali: The role of distributed phonology | |
KR20160001926U (ko) | 영어 발음의 한글 표기 | |
Michel | Italian orthography in Early Modern times | |
KR20170050486A (ko) |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 |
Chung | Wade–Giles Romanization System | |
JP2014142762A5 (ko) | ||
JP3175080U (ja) | 中国語学習ノート | |
JP2014142762A (ja) | 外国語の発音表記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 |
TW201638901A (zh) | 英文發音輔助系統 | |
Park et al. | Hangeul (Korean alphabet) Notation Method based on Hunminjeongeum, for the Pronunciations of [sh],[zh], and [ch] in Chinese Language | |
KR200496973Y1 (ko) | 한글 학습 장치 | |
Campbell et al. | Yoruba | |
Schane | A survey of generative phonology | |
Clauson et al. | On the phonetic value of the Tibetan characters and and the equivalent characters in the hPhags. pa alphabet | |
Bradley | COPIUS Transcription & orthography tools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