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629B1 -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629B1
KR101351629B1 KR1020100111879A KR20100111879A KR101351629B1 KR 101351629 B1 KR101351629 B1 KR 101351629B1 KR 1020100111879 A KR1020100111879 A KR 1020100111879A KR 20100111879 A KR20100111879 A KR 20100111879A KR 101351629 B1 KR101351629 B1 KR 101351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onation
sentence
input
example sentence
pronunc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569A (ko
Inventor
이은경
Original Assignee
이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경 filed Critical 이은경
Priority to KR102010011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6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시문장을 억양에 따라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발음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발음에서 음폭과 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음폭과 주파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최종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종 입력된 데이터의 억양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결과 도출된 입력문장을 예시문장과 억양에 따라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예시문장과 비교하여 매칭률이 일정기준 이하인 부분을 예시문장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A METHOD OF DRIVING TUTORING FOR LANGUAGE}
본 발명은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확한 발음 뿐만 아니라 정확한 억양을 학습할 수 있는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에 관련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어학 학습기들은 학습자에게 예시문장을 보여주고, 해당 문장을 마이크 등의 입력수단에 소리 내어 읽으면, 소리를 입력받아 발음의 정확도를 체크하여 출력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정확한 발음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한편, 정확한 의사표현을 위해서는 발음뿐만 아니라, 억양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어학 학습기들은 정확한 억양을 훈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없었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정확한 발음뿐만 아니라, 정확한 억양을 연습할 수 있는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은, 표시수단, 입력수단, 데이터베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기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예시문장을 억양에 따라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발음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발음에서 음폭과 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음폭과 주파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최종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종 입력된 데이터의 억양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결과 도출된 입력문장을 예시문장과 억양에 따라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예시문장과 비교하여 매칭률이 일정기준 이하인 부분을 예시문장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억양에 따라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는 과정은 3선지, 4선지, 5선지 등에 알파벳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발음연습과 함께 억양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억양이 예시문장과 얼마나 일치되고 있는지 및 어떤 부분들의 억양이 잘못되었는지 등을 알려줌으로써, 정확한 억양을 익힐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예시문장의 억양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예시문장을 억양의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입력문장을 예시문장과 억양에 따라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원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예시문장의 억양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I think she is a teacher" 라는 문장은 실제 발음될 때 선으로 표시한 억양으로 읽혀져야 그 뜻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학습기들은 상기된 예시문장을 문자만 열거하여 일률적으로 표현하고 있을 뿐 억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에 의하면 도 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예시문장을 억양의 높낮이에 따라 구분하여 표시하게 된다.
도 2에서는 4선지에 표시된 예를 표현하고 있으나, 3선지 또는 5선지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선 구분이 없는 화면에서 문자의 높이를 달리하여 표시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다만, 4선지 등 선으로 구분된 화면에 표시하게 되면 학습자가 억양의 높낮이 비교를 함에 있어서, 더욱 정확하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에 따르면, 학습자가 소리내어 읽음으로써 입력되는 문장을 처리하여 실제 입력된 문장의 억양을 추출할 수 있게 되는데, 도 3에서는 입력문장을 예시문장과 억양에 따라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정리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은, 크게 억양을 포함하는 예시문장을 출력하고, 학습자의 발음을 처리하여 입력된 문장의 억양을 추출하며, 추출된 억양에 따라서 입력된 문장을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시문장 출력, 학습자의 발음입력, 음폭 및/또는 주파수 추출, 데이터베이스 저장, 억양 분석, 결과출력 과정들을 포함하여 본 발명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예시문장 출력단계에서는, 예시문장을 억양에 따라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학습자의 발음을 입력받는 단계는 마이크 등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학습자가 예시문장을 소리내어 읽은 소리를 입력받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된 발음에서 음폭과 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입력된 발음에서 억양을 추출 및/또는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로써 음폭 및/또는 주파수를 이용하기 위하여 음폭 및/또는 주파수를 추출하는 것이다. 다만, 억양 추출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음폭 및/또는 주파수 외의 다른 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추출된 음폭과 주파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최종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종 입력된 데이터의 억양을 분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란, 학습자가 수행한 발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표준 억양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최종 입력된 데이터는 학습자가 예시문장을 읽고 그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는 입력문장에 대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분석결과 도출된 입력문장을 예시문장과 억양에 따라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예시문장과 비교하여 매칭률이 일정기준 이하인 부분을 예시문장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억양에 따라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는 과정은 3선지, 4선지, 5선지 등에 알파벳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표시수단, 입력수단,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기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예시문장을 억양에 따라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발음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발음에서 음폭과 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음폭과 주파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최종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종 입력된 데이터의 억양을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결과 도출된 입력문장을 예시문장과 억양에 따라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예시문장과 비교하여 매칭률이 일정기준 이하인 부분을 예시문장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예시문장 또는 상기 입력문장을 억양에 따라 높낮이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은, 상기 예시문장 또는 상기 입력문장을 이루는 문자들을 수평 방향으로 표시하되, 억양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문자들 각각의 높이를 달리하여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
KR1020100111879A 2010-11-11 2010-11-11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 KR101351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879A KR101351629B1 (ko) 2010-11-11 2010-11-11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879A KR101351629B1 (ko) 2010-11-11 2010-11-11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569A KR20120050569A (ko) 2012-05-21
KR101351629B1 true KR101351629B1 (ko) 2014-01-15

Family

ID=4626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879A KR101351629B1 (ko) 2010-11-11 2010-11-11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791B1 (ko) * 2013-03-21 2014-08-21 (주)엑스티브엔터테인먼트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 및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460447B1 (ko) * 2013-07-25 2014-11-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국어 학습을 위한 억양 학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176A (ko) * 2000-03-21 2001-10-24 이동익 언어 학습 방법과 그의 인터넷을 이용한 구현 방법 및그를 위한시스템
KR20080081635A (ko) * 2007-03-06 2008-09-10 윤창훈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176A (ko) * 2000-03-21 2001-10-24 이동익 언어 학습 방법과 그의 인터넷을 이용한 구현 방법 및그를 위한시스템
KR20080081635A (ko) * 2007-03-06 2008-09-10 윤창훈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569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58350A (zh) 一种英语教学系统
KR101148790B1 (ko) 외국어 문장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KR20180000990A (ko)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Güldenoğlu The effects of syllable-awareness skills on the word-reading performances of students reading in a transparent orthography
KR20170055146A (ko)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102520B1 (ko) 한글 자모의 메트릭스 결합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시청각 한글학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110570720A (zh) 书法教学系统及教学方法
Kennedy et al. Pronunciation acquisition
CN102592480A (zh) 一种电子设备互动听写教学系统及方法
KR101210432B1 (ko) 단어 학습을 위한 전자학습장치 및 학습컨텐츠 제공방법
KR101351629B1 (ko)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
Altamimi et al. A Review of Spelling Errors in Arabic and Non-Arabic Contexts.
KR20190068841A (ko) 인공지능 음성인식 api를 활용한 영어 발음 훈련 및 평가 시스템
KR20160001332A (ko) 영어 연음 학습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20140087956A (ko) 단어 및 문장과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방법
Kowalski et al. Statistical Modeling of Student Performance to Improve Chinese Dictation Skills with an Intelligent Tutor.
KR20130058840A (ko) 외국어 학습방법
KR20120078453A (ko) 직독직해를 위한 영어교육 방법과 시스템
KR102006758B1 (ko) 외국어 학습교재
KR101831717B1 (ko)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201602678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aching foreign languages
KR101554619B1 (ko) 터치 스크린을 활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어학 학습 방법
JP2022529762A (ja) 発音の改善のための学習システム
KR102112059B1 (ko)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형성 방법,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표시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US20240127709A1 (en) Method for learning to read using specialized 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