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146A -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146A
KR20170055146A KR1020150157953A KR20150157953A KR20170055146A KR 20170055146 A KR20170055146 A KR 20170055146A KR 1020150157953 A KR1020150157953 A KR 1020150157953A KR 20150157953 A KR20150157953 A KR 20150157953A KR 20170055146 A KR20170055146 A KR 20170055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language
language
pronunciation
phonemes
syl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021B1 (ko
Inventor
이만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글리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글리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글리쉬
Priority to KR1020150157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021B1/ko
Priority to US15/774,086 priority patent/US10978045B2/en
Priority to PCT/KR2015/012741 priority patent/WO2017082447A1/ko
Priority to CN201580084408.4A priority patent/CN108352126A/zh
Publication of KR2017005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국어 문장을 입력하는 외국어 입력부(100); 상기 외국어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한 후, 분리된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로 분리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부분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자국어 자음 및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로 생성하고, 생성된 자국어 음소를 외국어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 및 조합하여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을 생성하여 표시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부분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로 표시하도록 하는 변환서버(300); 및 상기 변환서버(300)의 자국어 문장 및 입력된 외국어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foreign language and mother language by using english phonetic symbol}
본 발명은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어로 구성된 단어나 문장을 영어 발음 그대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표기하거나 자국어 발음으로 변환하여 표기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화에 따라 온오프라인 상에서 세계인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서로 의사소통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영어 또는 상대방의 언어인 외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언어는 그 언어만의 고유한 문자와 발음(소리)을 갖고 있으므로 그 언어의 고유한 문자와 발음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언어습득이 이루어지는데, 문자는 그 자체가 명확하기 때문에 학습에 어려움이 없지만 발음은 그 명확성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학습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세계의 모든 언어를 분석해보면, 대부분의 문자는 소리기호를 갖고 있다. 예를들어, 일본어인 히라가나는 문자자체가 소리기호이고, 영어나 중국어는 소리기호로 음소기호(발음기호)를 갖고 있고 이러한 음소기호가 그 언어의 고유소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외국어를 학습할 때 발음을 쉽게 하려면 그 문자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고유한 소리 즉, 음소기호의 소리를 정확하게 익히면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외국어를 학습할 때 자국어의 기호나 발음으로 고유한 본래의 소리를 가공해서 쓰기 때문에 정확한 본래 소리로 외국어 발음을 할 수 없었다.
이에 최근에는 외국어의 발음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됨에 따라 발음을 제대로 배우기 위해, 학교나 학원 또는 통신매체를 이용한 통화학습 등에서 원어민교사 또는 강사를 통해 원어민 발음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도 발음정확성에 대해 다수 원어민 교사 또는 강사의 개인별 수준 차이가 크게 발생되어 신뢰도가 낮으며, 영어음소기호를 통한 외국어 소리 습득이 아닌 뜻문자를 통해 외국어소리를 습득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기존 교육방식과의 혼란으로 인해 정확한 외국어 소리 습득에 의한 학습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1399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상생활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생활영어나 생활일어와 같은 외국어를 한글만 알면 선택한 분야 상황별로 번역내용과 함께 발음내용이 한글표기식으로 표시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영어가 자국어가 아닌 학습자가 영어의 소리에 익숙해지기 위하여 들이는 노력에 비하여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 사실이며, 발음내용이 한글표기식으로 가공되어 표시되면서 정확한 본래 소리로 영어 발음을 하지 못하고 콩클리쉬를 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지금까지 노력하여 습관화된 소뇌의 운동능력과 언어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영어수준에 관계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즉시 영어를 듣고 이해할 수 있는 신개념의 과학적 자국어 표기 영어학습 방법이 필요하였다.
또한, 학습자로부터 보다 효과적인 영어학습 방법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요구되어 왔으며, 이러한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외국 언어의 외래어 맞춤법에 근거해 표기하는 외국어 학습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인터넷 영역 학습 로직의 경우 들리는 소리로서의 표기가 아니므로 실제 외국어 발음소리와는 거리가 멀었고 그로인해 효과적인 언어습득이 어려운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외국어 발음 그대로 표시가 가능한 발음에 대한 모델링이 필요하고 그에 적합한 외국어 발음기호 그대로 자국어로 표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야 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국어의 정확한 습득을 위하여 입력된 외국어의 문장을 단어별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 단어의 발음을 MPA(Mglish Phonetic Alphabet)를 이용하여 음소별로 분리하되 강세도 표기한 후, 분리된 외국어 단어의 발음을 기 정해진 발음 규칙에 따라 자국어 음소로 변환하고,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자국어 음소를 결합하여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으로 생성하여 표시함에 따라 독음된 외국어의 발음 그대로 자국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기기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된 외국어의 발음의 강세를 자국어의 음절 및 단어에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기기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어별로 분리된 외국어 발음 중 음절만을 자국어의 음절 및 단어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기기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는,
외국어 문장을 입력하는 외국어 입력부(100);
상기 외국어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한 후, 분리된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로 분리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부분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자국어 자음 및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로 생성하고, 생성된 자국어 음소를 외국어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 및 조합하여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을 생성하여 표시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부분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로 표시하도록 하는 변환서버(300); 및
상기 변환서버(300)의 자국어 문장 및 입력된 외국어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에서, 상기 변환서버(300)는,
상기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하는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
상기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로부터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 단위로 분리하되 강세도 표기하는 외국어 음소 분리부(320);
상기 외국어 음소 분리부(320)로부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및 자국어 간의 발음규칙을 근거로 하나의 자국어 음소 발음에 매칭시키고, 외국어 음소에 매칭된 자국어 음소를 기 정해진 외국어의 결합규칙을 근거로 자국어의 음절, 단어 및 문장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하여 표시부로 전달하며,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표시부로 전달하는 자국어 변환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에서, 상기 자국어 변환부(330)는,
상기 외국어 음소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발음기호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를 출력하고,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출력하는 발음 규칙 분석모듈(331)과,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절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자국어 음절을 출력하는 결합규칙 분석모듈(332)과,
상기 발음 규칙 분석모듈(331)과 상기 결합규칙 분석모듈(332)에서 출력된 외국어 음소, 및 외국어 음절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음소 및 음절을 출력하여 상기 표시부(500)로 전달하는 자국어 출력모듈(3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에서, 상기 발음규칙 분석모듈(331)은,
기 정해진 발음기호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를 출력하되,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만을 자국어 음소로 출력하고,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에서, 상기 자국어 변환부(330)는,
기 정해진 리듬규칙에 따라 입력된 외국어의 음절의 발음에 포함된 강세를 상기 결합규칙 분석모듈(332)의 자국어 음절에 반영하는 리듬규칙 분석모듈(3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에서, 상기 리듬규칙 분석모듈(333)은
입력된 외국어의 음절의 발음에 포함된 강세를 기 정해진 리듬규칙에 따라 생성된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에 반영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자국어 출력모듈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에서, 상기 자국어 출력모듈(334)은,
입력된 외국어 문장 및 외국어 음절과 매칭되어 생성된 자국어의 음절 중 적어도 하나의 리듬규칙이 반영된 음절 및 단어를 소정형상 및 폰트,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정해진 설정값으로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에서, 상기 변환서버(300)는
상기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로부터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의 외국어 음절 부분을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500)로 전달하는 외국어 변환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에서, 상기 외국어 변환부(340)는,
상기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로부터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에서 음절을 도출하여 출력하는 음절분석모듈(341)과, 도출된 외국어 음절을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표시부로 전달하는 외국어 출력모듈(3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의 변환서버는,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하는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
상기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로부터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 단위로 분리하되 강세도 표기하는 외국어 음소 분리부(320); 및
상기 외국어 음소 분리부(320)로부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및 자국어 간의 발음규칙을 근거로 하나의 자국어 음소 발음에 매칭시키고, 외국어 음소에 매칭된 자국어 음소를 기 정해진 외국어의 결합규칙을 근거로 자국어의 음절, 단어 및 문장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하여 표시부로 전달하며,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표시부로 전달하는 자국어 변환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의 변환서버에서, 상기 자국어 변환부(330)는,
상기 외국어 음소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발음기호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를 출력하고,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출력하는 발음 규칙 분석모듈(331)과,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절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자국어 음절을 출력하는 결합규칙 분석모듈(332)과,
상기 발음 규칙 분석모듈(331)과 상기 결합규칙 분석모듈(332)에서 출력된 외국어 음소, 및 외국어 음절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음소 및 음절을 출력하여 상기 표시부(500)로 전달하는 자국어 출력모듈(3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의 변환서버에서, 상기 발음규칙 분석모듈(331)은,
기 정해진 발음기호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를 출력하되,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만을 자국어 음소로 출력하고,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의 표시부(500)는,
상기 자국어 및 외국어의 변환을 표시할 때, 의미의 최소 단위인 개개의 단어는 상기 변환서버를 통과한 규칙을 그대로 적용하고, 개개의 단어가 결합하여 의미를 나타내거나 문장을 이룰때는 품사별 분석을 통해 기능어와 핵심어로 나누어 구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에서,
상기 핵심어는 명사, 본동사, 형용사, 부사, 감탄사 중 어느 하나로, 변환규칙을 그대로 적용하며, 상기 기능어는 대명사, 전치사, 조동사, Be동사, 한정사, 접속사 중 어느 하나로, 소정형상 및 폰트 크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정해진 설정값으로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은,
외국어 문장을 입력하는 외국어 입력단계;
상기 외국어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한 후, 분리된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로 분리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부분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자국어 자음 및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로 생성하고, 생성된 자국어 음소를 외국어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 및 조합하여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을 생성하여 표시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부분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로 표시하도록 하는 변환단계; 및
상기 변환단계에 의해 생성된 자국어 문장 및 입력된 외국어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에서,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하는 외국어 단어 분리단계;
상기 외국어 단어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 단위로 분리하되 강세도 표기하는 외국어 음소 분리단계;
상기 외국어 음소 분리단계로부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및 자국어 간의 발음규칙을 근거로 하나의 자국어 음소 발음에 매칭시키고, 외국어 음소에 매칭된 자국어 음소를 기 정해진 외국어의 결합규칙을 근거로 자국어의 음절, 단어 및 문장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하여 표시부로 전달하며,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표시부로 전달하는 자국어 변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에서, 상기 자국어 변환단계는,
상기 외국어 음소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발음기호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를 출력하고,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출력하는 제1 단계와,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절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자국어 음절을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와 제2 단계에서 출력된 외국어 음소, 및 외국어 음절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음소 및 음절을 출력하여 화면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에서, 상기 제2 단계는,
기 정해진 리듬규칙에 따라 입력된 외국어의 음절의 발음에 포함된 강세를 생성된 자국어 음절에 반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에서, 상기 제2 단계는,
입력된 외국어의 음절의 발음에 포함된 강세를 기 정해진 리듬규칙에 따라 생성된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에 반영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에서, 상기 제2 단계는,
입력된 외국어 문장 및 외국어 음절과 매칭되어 생성된 자국어의 음절 중 적어도 하나의 리듬규칙이 반영된 음절 및 단어를 소정형상 및 폰트,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정해진 설정값으로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에서,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외국어 단어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의 외국어 음절 부분을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외국어 변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의 각 단계가 수록된 전자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독음된 외국어의 발음 그대로 자국어를 표시할 수 있어 외국어의 정확한 습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국어의 발음의 강세를 자국어의 음절 및 단어에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고, 단어별로 분리된 외국어 발음 중 음절만을 자국어의 음절 및 단어로 표시할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외국어를 제대로된 발음대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자국어 변환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외국어 변환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변환서버의 작동순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1번, 2번, 3번에 대한 자국어 변환과정을 예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의 4번에 대한 자국어 변환과정을 예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의 이미지 변환과정을 예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된 외국어 문장과 변환서버를 거쳐 생성된 자국어 및 외국어 표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자국어 변환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외국어 변환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변환서버의 작동순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1번, 2번, 3번에 대한 자국어 변환과정을 예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의 4번에 대한 자국어 변환과정을 예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의 이미지 변환과정을 예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된 외국어 문장과 변환서버를 거쳐 생성된 자국어 및 외국어 표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국어의 정확한 습득을 위하여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별로 분리하고, 단어별로 분리된 외국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별로 분리한 후 분리된 외국어 발음을 기 정해진 발음규칙에 따라 자국어 음소와 외국어 음소로 변환하고,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자국어 음소를 결합하여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으로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외국어 입력부(100), 변환서버(300), 및 표시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국어 입력부(100)는 외국어 문장으로 이미 입력되어 표시된 파일(워드, 텍스트, 자막 등)을 불러들여 로딩시키거나 외국어 문장을 입력하도록 구비되며, 음성인식 기능을 가지는 PDA 및 이동단말기, 키패드 중 하나로 구비되고, 입력되는 외국어는 변환서버(300)로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국어로 한국어만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본어, 중국어 등 영어를 제1 외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모든 언어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변환서버(300)는 외국어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한 후 분리된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로 분리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부분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자국어 자음 및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로 생성하고, 생성된 자국어 음소를 외국어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 및 조합하여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을 생성하여 표시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부분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로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환서버(300)는,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하는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 외국어 단어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 단위로 분리하되 강세도 표기하는 외국어 음소 분리부(320); 외국어 음소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및 자국어 간의 발음규칙을 근거로 하나의 자국어 음소 발음에 매칭시키고, 외국어 음소에 매칭된 자국어 음소를 기 정해진 외국어의 결합규칙을 근거로 자국어의 음절, 단어 및 문장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하여 표시부로 전달하며,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표시부로 전달하는 자국어 변환부(330)을 포함한다.
또한, 변환서버(300)는 외국어 단어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의 외국어 음절 부분을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표시부로 전달하는 외국어 변환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는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I am a student의 경우 I, am, a, student 로 분리한다.
또한, 외국어 음소 분리부(320)는 각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예를들면, MPA기호)를 이용하여 음소로 분리하는 것으로, 예를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는 aI1, am은 æ0와 m으로 분리되고, a는 ∂0, student는 S, T, U:1, D, ∂2, N, T 로 분리된다. 여기서, U:1의 '1'은 해당 음소에 1강세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고, ∂0의 '0'는 해당 음소에 강세가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2의 '2'는 해당 음소에 2강세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자국어 변환부(330)는 외국어 음소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발음기호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를 출력하고,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출력하는 발음 규칙 분석모듈(331)과,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절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자국어 음절을 출력하는 결합규칙 분석모듈(332)과, 발음 규칙 분석모듈(331)과 결합규칙 분석모듈(332)에서 출력된 외국어 음소, 및 외국어 음절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음소 및 음절을 출력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는 자국어 출력모듈(3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국어 변환부(330)는 기 정해진 리듬규칙에 따라 입력된 외국어의 음절의 발음에 포함된 강세를 결합규칙 분석모듈(332)의 자국어 음절에 반영하는 리듬규칙 분석모듈(3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음규칙 분석모듈(331)은 기 정해진 발음기호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를 출력하되,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만을 자국어 음소로 출력하고,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출력한다.
예를들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모음인 'aI1'은 'ㅏㅟ’로, 'U:1'은 'ㅜ-'로, '∂0'는 'ㅡ'로 표기되고, 자음인 M은 'ㅁ', S는 's', T는 'ㅌ', D는 'ㄷ', N은 'ㄴ', T는 't'로 표기되어, I am a student는 '아윔, 으, sㅌ+ㅜ-+ㄷ+ㅡ+ㄴ+t"를 합한 "아윔 으 s투든t"가 된다.
그리고, 외국어 발음 중 일부는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자국어의 음소가 생성되며, 이때 결합규칙은 공지된 묵음규칙, 변형규칙, 및 연음규칙을 포함한다. 이러한 묵음규칙, 변형규칙, 및 연음규칙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결합규칙을 기반으로 자국어 음소는 외국어 발음 중 묵음, 변형, 및 연음 발음에 대해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정해진 자국어 음소, 음절, 단어, 및 문장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발음 규칙 분석모듈(331)과 결합규칙 분석모듈(332)에서 출력된 외국어 음소, 및 외국어 음절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음소 및 음절은, 외국어 발음 그대로 자국어와 외국어로 혼용 변환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한편, 리듬규칙 분석모듈(333)은 입력된 외국어의 음절의 발음에 포함된 강세를 기 정해진 리듬규칙에 따라 생성된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에 반영되도록 구비된다.
즉, 외국어 음소에 대한 리듬규칙은 다음과 같다.
1) 제1, 제2 강세가 있는 경우, 제1 강세 모음부분과 2음절 이상에서 강세가 있는 모음부분은 강한 박자로 표시한다.
2) 1음절 이상의 강세가 없는 모음 부분은 한 박자로 표시한다.
3) 제1, 제2 강세가 있는 경우 제2 강세 모음 부분과, 1음절 이상에서 두번째 오는 모음은 1/2 박자로 표시한다.
4) 이중모음 ou(오우)의 두번째 모음 u(우)에 해당되는 부분과 장모음의 장음부분':', 그리고 모든 자음은 1/4 박자로 표시한다.
이러한 외국어 음소에 대한 자국어 음소의 리듬규칙이 반영되어 자국어 음소가 생성되며, 이러한 리듬규칙에 따라 변환된 외국어 음소 및 대응되어 생성된 자국어 음소는 글자 폰트크기, 색상, 특정 형상, 폰트의 나열 등의 다양한 변화로 나머지 음소들과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리듬분석에 의한 4가지 박자(강세, 한 박자, 1/2박자, 1/4박자) 형태로 표현하며, 음소 표기는 폰트 크기(강세-32폰트, 한 박자-28폰트, 1/2박자-18폰트, 1/4박자-10.5폰트 또는 변화 식별이 가능한 일정 비율의 폰트사이즈)와 색상조정, 특정 형태의 모양, 폰트의 나열 등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student'의 경우 자음 s음소는 10.5폰트, 1강세가 오는 자음 t음소와 모음 u음소의 "tu" 및 "투"는 32폰트, 1음절 이상에서 두번째 오는 모음부분인 자음 d음소와 모음 e음소 및 자음 n음소의 "den" 및 "든"은 18폰트, 자음 t음소는 10.5폰트로 표기한다.
한편, 외국어의 강세가 반영된 자국어 음절에 대한 리듬규칙은 다음과 같다.
1) 내용어 명사에 제1 강세가 있는 경우와 본동사, 형용사, 부사, 의문사, 지시대명사, 지시형용사, 부정축약, 부정어, 예를들어 never, not, no 등의 내용어에 강세가 있는 경우, 강박자로 표시된다.
2) 또한, 명사, 본동사, 형용사, 부사, 의문사, 지시대명사, 지시형용사, 부정축약, 부정어, 예를들어 never, not, no 등의 내용어에 강세가 없는 경우에는 한 박자로 표시된다.
3) 전치사, 접속사, 인칭대명사, 관계대명사, 관사, 조동사, 한정사의 기능어에 강세가 있는 경우에는 1/2 박자로 표시된다.
4) 전치사, 접속사, 인칭대명사, 관계대명사, 관사, 조동사, 한정사의 기능어에 강세가 없는 경우에는 1/4 박자로 표시된다.
예를들어, 'Ho! Watch your step! Let it go!'의 강세는 "Ho, Watch, step, go"에 온다. 문장의 리듬 분석 표기는 외국어 및 자국어의 글자폰트 크기, 색상, 특정한 형태의 모양, 폰트의 나열 등 다양한 변화로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외국어에 대응되는 자국어 표기시 외국어의 음절부분만 자국어로 표기하고, 기타 나머지 음소는 외국어로 표기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Ho! Watch your step! Let it go!'에서 강세가 있는 감탄사 "Ho"와 본동사 "Watch"의 음절"Wa"와 "step"의 음절 "te"와 본동사 "go"는 32폰트, "your"의 "you", "let"의 "le", "it"의 "i"는 18폰트로 표기할 수 있으며, 또한, 자국어 표기시 외국어와 자국어를 혼용하여 "호우! 와-ch 유r s텝! 렛 윗 고우!"로 표기할 수 있다.
이러한 리듬규칙 분석모듈(333)에서 외국어 발음을 기반으로 기 정해진 리듬규칙이 반영된 자국어 문장은 외국어와 자국어가 혼용된 상태로 자국어 출력모듈(334)로 전달되고, 자국어 출력모듈은 외국어와 자국어가 혼용된 상태의 자국어 문장을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외국어 변환부(340)는 외국어 단어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에서 음절을 도출하여 출력하는 음절분석모듈(341)과 도출된 외국어 음절을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표시부로 전달하는 외국어 출력모듈(342)을 포함한다.
외국어 변환부(340)에서 도출된 음절과 자국어 변환부(330)에서 자국어로 변환된 음절은 서로 매칭됨은 물론이다. 또한, 표시부(500)에는 외국어 변환부(340)의 외국어 출력모듈(340)에서 전달된 음절이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된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과 자국어 변환부(330)의 자국어 출력모듈(334)에서 전달된 외국어와 혼용된 자국어 단어, 또는 문장이 서로 매칭되어 대응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자국어 변환 및 외국어 변환을 표시부에 표시할 때, 의미의 최소단위인 개개의 단어는 변환서버를 통과한 규칙을 그대로 적용하여 표시하고, 단어가 결합하여 의미를 나타내거나 문장을 이룰때에는 품사별 분석을 통하여 기능어와 핵심어로 나누어 다르게 표시한다. 즉, 명사, 본동사, 형용사, 부사, 감탄사와 같은 핵심어는 변환규칙을 그대로 적용하고, 대명사, 전치사, 조동사, Be동사, 한정사, 접속사와 같은 기능어는 핵심어와 구분될 수 있도록 소정형상 및 폰트 크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정해진 설정값으로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강세를 표현하는 이미지 표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미의 최소 단위인 개개의 단어는 변환서버를 통과한 규칙을 그대로 적용하여 변환서버의 자국어 변환부(330)와 외국어 변환부(340)를 거쳐 생성된 자국어 변환과 외국어 변환의 음절부위를 기준하여 제1 강세(1)가 오는 부분, 제2 강세(2)가 오는 부분, 강세가 없는 부분(0)에 각각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하여 손, 손뼉, 한발 또는 두발, 기타 다른 신체부위나 동작, 도구 이미지를 음절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국어를 구강내의 치아에 가까운 발음부터 후두 발음쪽으로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자국어로 표기하여 발음의 조음점을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 있으며, 실제 소리와 외래어 표기가 동일하도록 외국어의 실제소리와 자국어의 표기를 일치시킴에 따라 효과적인 언어습득을 할 수 있게 된다.
외국어의 실제소리와 자국어의 표기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입력된 외국어의 문장을 단어단위, 음절단위 및 음소단위로 분리한 후 분리된 외국어 음소를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자국어의 자음 및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를 생성하고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자국어 음절, 자국어 단어, 및 자국어 문장을 생성하여 표시하되, 외국어 발음 중 음절만을 자국어로 표시하고 나머지 발음에 해당되는 외국어 음소는 변환없이 그 자체로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서비스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웹사이트내에 접속한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 받은 후 회원 가입해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외국어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외국어 문장은 단어 단위별로 분리되고,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는 기 정해진 발음기호(예를들어, MPA기호)에 따라 강세가 표기된 음소별로 분리된 후 발음규칙 분석모듈(331)로 전달되고,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외국어 음소는 발음규칙 분석모듈(341)의 정해진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로 변환되어 출력되고,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출력된다.
그런 다음, 자국어 음소는 결합규칙 분석모듈(342)로 전달되고, 상기 결합규칙 분석모듈(342)은 자국어 자음 및 모음을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한 후 결합된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상기 과정은 입력된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모든 음절, 그 음절이 포함된 외국어 단어, 및 그 외국어 단어가 포함된 외국어 문장에 대해 반복 실행되며, 상기 외국어 음절에 대해 단어 및 문장이 자국어 단어 및 문장으로 변환되는 일련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리듬규칙 분석모듈(333)에서 발음규칙 분석모듈(331)과 결합규칙 분석모듈(332)로부터 제공된 외국어 음소와 혼용된 자국어 음소 및 음절에 대해 기 정해진 리듬규칙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 및 외국어 음절 발음에 포함된 강세를 반영하여 상기 자국어 음소, 음절 및 단어가 생성된다.
그리고, 리듬규칙 분석모듈(343)에서 생성된 외국어와 자국어가 혼용된 상태의 자국어 문장은 자국어 출력모듈(344)로 제공되며, 상기 자국어 출력모듈은 리듬규칙 분석모듈(343)에서 생성된 외국어와 자국어가 혼용된 상태의 자국어 문장을 기 설정된 글자폰트 크기, 색상, 특정한 형태의 모양, 폰트의 나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자국어 출력모듈(334)의 외국어 음소가 혼용된 상태의 자국어 음소, 음절, 단어 및 문장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부(50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외국어 출력모듈(340)의 외국어 단어로부터 도출된 외국어 음절 부분은 나머지 외국어 단어 음소 부분과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부(50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외국어 변환부(340)의 외국어 출력모듈(342)로부터 전달된 음절이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된 외국어 단어, 또는 문장과 자국어 변환부(330)의 자국어 출력모듈(334)에서 전달된 외국어와 혼용된 자국어 단어, 또는 문장은 서로 매칭되어 대응되도록 표시된다.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기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 일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 자기광매체, ROM, RAM, 플래시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장치, 가상의 환경에 OS 및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운영되는 클라우드 서버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의 하드웨어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또한,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이미지와 문자를 통해 학습교재 등에 시각적으로 수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외국어의 정확한 습득을 위하여 입력된 외국어의 발음을 음소별로 분리한 후 분리된 외국어 발음을 기 저장된 발음규칙에 따라 자국어 음소로 변환하고,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자국어 음소를 결합하여 자국어 음절, 단어, 문장으로 생성하여 표시함에 따라 외국어를 구강내의 치아에 가까운 발음부터 후두 발음쪽으로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자국어로 표기하여 발음의 조음점을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 있으며, 실제 소리와 외래어 표기가 동일하도록 외국어의 실제소리와 자국어의 표기를 일치시킴에 따라 효과적인 언어습득을 할 수 있으므로, 외국어 교육의 효율성 및 신뢰성과 정확도가 진보된 발명이어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외국어 입력부 300: 변환서버
310: 외국어 단어 분리부 320: 외국어 음소 분리부
330: 자국어 변환부 331: 발음 규칙 분석모듈
332: 결합규칙 분석모듈 333: 리듬규칙 분석모듈
334: 자국어 출력모듈 340: 외국어 변환부
341:음절분석모듈 342:외국어 출력모듈

Claims (24)

  1. 외국어 문장을 입력하는 외국어 입력부(100);
    상기 외국어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한 후, 분리된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로 분리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부분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자국어 자음 및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로 생성하고, 생성된 자국어 음소를 외국어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 및 조합하여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을 생성하여 표시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부분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로 표시하도록 하는 변환서버(300); 및
    상기 변환서버(300)의 자국어 문장 및 입력된 외국어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서버(300)는,
    상기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하는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
    상기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로부터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 단위로 분리하되 강세도 표기하는 외국어 음소 분리부(320);
    상기 외국어 음소 분리부(320)로부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및 자국어 간의 발음규칙을 근거로 하나의 자국어 음소 발음에 매칭시키고, 외국어 음소에 매칭된 자국어 음소를 기 정해진 외국어의 결합규칙을 근거로 자국어의 음절, 단어 및 문장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하여 표시부로 전달하며,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표시부로 전달하는 자국어 변환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어 변환부(330)는,
    상기 외국어 음소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발음기호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를 출력하고,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출력하는 발음 규칙 분석모듈(331)과,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절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자국어 음절을 출력하는 결합규칙 분석모듈(332)과,
    상기 발음 규칙 분석모듈(331)과 상기 결합규칙 분석모듈(332)에서 출력된 외국어 음소, 및 외국어 음절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음소 및 음절을 출력하여 상기 표시부(500)로 전달하는 자국어 출력모듈(3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규칙 분석모듈(331)은,
    기 정해진 발음기호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를 출력하되,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만을 자국어 음소로 출력하고,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어 변환부(330)는,
    기 정해진 리듬규칙에 따라 입력된 외국어의 음절의 발음에 포함된 강세를 상기 결합규칙 분석모듈(332)의 자국어 음절에 반영하는 리듬규칙 분석모듈(3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듬규칙 분석모듈(333)은
    입력된 외국어의 음절의 발음에 포함된 강세를 기 정해진 리듬규칙에 따라 생성된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에 반영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자국어 출력모듈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어 출력모듈(334)은,
    입력된 외국어 문장 및 외국어 음절과 매칭되어 생성된 자국어의 음절 중 적어도 하나의 리듬규칙이 반영된 음절 및 단어를 소정형상 및 폰트 크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정해진 설정값으로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서버(300)는
    상기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로부터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의 외국어 음절 부분을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500)로 전달하는 외국어 변환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변환부(340)는,
    상기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로부터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에서 음절을 도출하여 출력하는 음절분석모듈(341)과, 도출된 외국어 음절을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표시부로 전달하는 외국어 출력모듈(3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500)는,
    상기 자국어 및 외국어의 변환을 표시할 때, 의미의 최소 단위인 개개의 단어는 상기 변환서버를 통과한 규칙을 그대로 적용하고, 개개의 단어가 결합하여 의미를 나타내거나 문장을 이룰때는 품사별 분석을 통해 기능어와 핵심어로 나누어 구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어는 명사, 본동사, 형용사, 부사, 감탄사 중 어느 하나로, 변환규칙을 그대로 적용하며,
    상기 기능어는 대명사, 전치사, 조동사, Be동사, 한정사, 접속사 중 어느 하나로, 소정형상 및 폰트 크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정해진 설정값으로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12.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하는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
    상기 외국어 단어 분리부(310)로부터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 단위로 분리하되 강세도 표기하는 외국어 음소 분리부(320); 및
    상기 외국어 음소 분리부(320)로부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및 자국어 간의 발음규칙을 근거로 하나의 자국어 음소 발음에 매칭시키고, 외국어 음소에 매칭된 자국어 음소를 기 정해진 외국어의 결합규칙을 근거로 자국어의 음절, 단어 및 문장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하여 표시부로 전달하며,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표시부로 전달하는 자국어 변환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의 변환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어 변환부(330)는,
    상기 외국어 음소 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발음기호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를 출력하고,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출력하는 발음 규칙 분석모듈(331)과,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절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자국어 음절을 출력하는 결합규칙 분석모듈(332)과,
    상기 발음 규칙 분석모듈(331)과 상기 결합규칙 분석모듈(332)에서 출력된 외국어 음소, 및 외국어 음절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음소 및 음절을 출력하여 상기 표시부(500)로 전달하는 자국어 출력모듈(3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의 변환서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규칙 분석모듈(331)은,
    기 정해진 발음기호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를 출력하되,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만을 자국어 음소로 출력하고,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의 변환서버.
  15. 외국어 문장을 입력하는 외국어 입력단계;
    상기 외국어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한 후, 분리된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로 분리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부분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자국어 자음 및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로 생성하고, 생성된 자국어 음소를 외국어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 및 조합하여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을 생성하여 표시하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부분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로 표시하도록 하는 변환단계; 및
    상기 변환단계에 의해 생성된 자국어 문장 및 입력된 외국어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입력된 외국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하는 외국어 단어 분리단계;
    상기 외국어 단어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를 기 정해진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음소 단위로 분리하되 강세도 표기하는 외국어 음소 분리단계;
    상기 외국어 음소 분리단계로부터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외국어 및 자국어 간의 발음규칙을 근거로 하나의 자국어 음소 발음에 매칭시키고, 외국어 음소에 매칭된 자국어 음소를 기 정해진 외국어의 결합규칙을 근거로 자국어의 음절, 단어 및 문장 중 적어도 하나로 생성하여 표시부로 전달하며,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기 정해진 외국어 발음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표시부로 전달하는 자국어 변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어 변환단계는,
    상기 외국어 음소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는 음소의 발음을 기 정해진 발음기호에 따라 외국어의 음소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의 자국어 음소를 출력하고, 동시에 분리된 외국어 음소 중 외국어 단어의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음소의 발음은 외국어 음소 그 자체로 출력하는 제1 단계와,
    기 정해진 결합규칙에 따라 외국어 음절의 발음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자국어 음절을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와 제2 단계에서 출력된 외국어 음소, 및 외국어 음절과 매칭되는 자국어의 음소 및 음절을 출력하여 화면에 전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기 정해진 리듬규칙에 따라 입력된 외국어의 음절의 발음에 포함된 강세를 생성된 자국어 음절에 반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입력된 외국어의 음절의 발음에 포함된 강세를 기 정해진 리듬규칙에 따라 생성된 자국어 음절, 단어 및 문장에 반영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입력된 외국어 문장 및 외국어 음절과 매칭되어 생성된 자국어의 음절 중 적어도 하나의 리듬규칙이 반영된 음절 및 단어를 소정형상 및 폰트 크기,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정해진 설정값으로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외국어 단어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각 외국어 단어의 외국어 음절 부분을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외국어 변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방법.
  22. 제 15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매체.
  23. 제 15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가 수록된 전자매체.
  24. 제 15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가 시각적으로 수록된 학습교재.
KR1020150157953A 2015-11-11 2015-11-11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990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953A KR101990021B1 (ko) 2015-11-11 2015-11-11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US15/774,086 US10978045B2 (en) 2015-11-11 2015-11-25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display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motion learning device based on foreign language rhythm detection sensor and motion learning method, electronic recording medium, and learning material
PCT/KR2015/012741 WO2017082447A1 (ko) 2015-11-11 2015-11-25 외국어 독음 및 표시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리듬 동작 감지 센서 기반의 운동학습장치와 운동학습방법, 이를 기록한 전자매체 및 학습교재
CN201580084408.4A CN108352126A (zh) 2015-11-11 2015-11-25 外语读音及标记装置及其方法,包括利用其装置和方法的基于外语节奏动作传感器的运动学习装置、运动学习方法以及对其进行记录的电子媒体和学习教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953A KR101990021B1 (ko) 2015-11-11 2015-11-11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146A true KR20170055146A (ko) 2017-05-19
KR101990021B1 KR101990021B1 (ko) 2019-06-18

Family

ID=5904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953A KR101990021B1 (ko) 2015-11-11 2015-11-11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02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2977A (zh) * 2017-09-20 2018-01-26 广东工业大学 一种语言学习方法、系统及设备
CN108520644A (zh) * 2017-12-14 2018-09-11 李敏 一种学汉语的电子学习系统及方法
CN109671316A (zh) * 2018-09-18 2019-04-23 张滕滕 一种语言学习系统
KR20190057493A (ko) 2017-11-20 2019-05-29 주식회사 이르테크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KR102338563B1 (ko) * 2021-02-05 2021-12-13 이기헌 영어 학습을 위한 음성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38323A (ko) * 2022-09-16 2024-03-25 최동원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965B1 (ko) 2019-09-10 2020-04-03 방일성 양동이 돌리기 원리를 응용한 영어 학습 방법 및 장치
KR102385421B1 (ko) * 2020-02-07 2022-04-12 김정자 단계별 강세 표기 학습 영역을 포함하는 초보자용 영어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759A (ko) * 2003-10-02 2005-04-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운변이 규칙을 이용한 외래어 음차표기 자동 확장 방법및 그 장치
KR100629862B1 (ko) * 1999-11-15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래어를 한국어로 표기하기 위한 한국어 표기장치 및 방법
KR20090048319A (ko) * 2007-11-09 2009-05-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합 명사의 동일 의미 문장 생성을 위한 문장 성분 복원 장치 및 방법
CN103218924A (zh) * 2013-03-29 2013-07-24 上海众实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音视频双模态的口语学习监测方法
KR20140071070A (ko) * 2012-12-03 2014-06-11 교육도시 주식회사 음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발음 학습방법 및 학습장치
KR20140078810A (ko) * 2012-12-18 2014-06-26 주홍찬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리듬 패턴 학습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862B1 (ko) * 1999-11-15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래어를 한국어로 표기하기 위한 한국어 표기장치 및 방법
KR20050032759A (ko) * 2003-10-02 2005-04-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운변이 규칙을 이용한 외래어 음차표기 자동 확장 방법및 그 장치
KR20090048319A (ko) * 2007-11-09 2009-05-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합 명사의 동일 의미 문장 생성을 위한 문장 성분 복원 장치 및 방법
KR20140071070A (ko) * 2012-12-03 2014-06-11 교육도시 주식회사 음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발음 학습방법 및 학습장치
KR20140078810A (ko) * 2012-12-18 2014-06-26 주홍찬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리듬 패턴 학습장치 및 방법
CN103218924A (zh) * 2013-03-29 2013-07-24 上海众实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音视频双模态的口语学习监测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2977A (zh) * 2017-09-20 2018-01-26 广东工业大学 一种语言学习方法、系统及设备
KR20190057493A (ko) 2017-11-20 2019-05-29 주식회사 이르테크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CN108520644A (zh) * 2017-12-14 2018-09-11 李敏 一种学汉语的电子学习系统及方法
CN109671316A (zh) * 2018-09-18 2019-04-23 张滕滕 一种语言学习系统
KR102338563B1 (ko) * 2021-02-05 2021-12-13 이기헌 영어 학습을 위한 음성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169208A1 (ko) * 2021-02-05 2022-08-11 이기헌 영어 학습을 위한 음성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38323A (ko) * 2022-09-16 2024-03-25 최동원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021B1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021B1 (ko)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Lepschy History of linguistics Volume II: Classical and medieval linguistics
Wade-Woolley Prosodic and phonemic awareness in children’s reading of long and short words
US10978045B2 (en)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display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motion learning device based on foreign language rhythm detection sensor and motion learning method, electronic recording medium, and learning material
KR20140071070A (ko) 음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발음 학습방법 및 학습장치
Třísková De-stressed words in Mandarin: Drawing parallel with English
KR102006758B1 (ko) 외국어 학습교재
KR20140087956A (ko) 단어 및 문장과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방법
Skrelin et al.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ata Is my stress right or wrong? Studying the production of stress by non-native speaking teachers of English
Doush et al. AraDaisy: A system for automatic generation of Arabic DAISY books
AU2012100262A4 (en) Speech visualisation tool
KR20160016313A (ko) 어순과 억양 정보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Lobanov et al. Computer-based system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speech intonation
Лобанов et al. Компьютерная система анализа и интерпретации интонации речи
KR101669408B1 (ko) 외국어 독음 장치 및 그 방법
Ode Field notes from a phonetician on Tundra Yukaghir orthography
Roux et al. Incorporating Speech Synthesis in the Development of a Mobile Platform for e-learning.
al-Kuran Perceptions of Vowels and Consonants in Arabic and English: Implications for Translators and Dictionary Users
AU2022228148B2 (en) Method and system
Jaelani The Lingua Franca Core (LFC) and Its Impact on Pronunciation Teaching Practice in Indonesia
Nandutu Luganda text-to-speech machine
JPH03245192A (ja) 外国語単語の発音決定方法
JP2006302149A (ja) 日本語入力装置
Al-Wabil et al. Arabic text-to-speech synthesis: A preliminary eval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