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493A -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493A
KR20190057493A KR1020170154460A KR20170154460A KR20190057493A KR 20190057493 A KR20190057493 A KR 20190057493A KR 1020170154460 A KR1020170154460 A KR 1020170154460A KR 20170154460 A KR20170154460 A KR 20170154460A KR 20190057493 A KR20190057493 A KR 2019005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learner
foreign language
korea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087B1 (ko
Inventor
정해영
최경호
최지현
서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르테크
Priority to KR1020170154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0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학습자가 한글의 자모 및 외국어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에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한글을 학습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학습자가 한글의 자모에 대응하는 외국어 발음기호가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입력하는 한글의 형태와 발음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Keypad system for foreigner korean alphabet learner}
본 발명은 외국인 한글 학습자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하, ‘자모’라 칭함.) 및 외국어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외국인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구현되는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에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한글을 학습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외국인 학습자가 한글의 자모에 대응하는 외국어 발음기호가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입력하는 한글의 형상과 발음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휴대폰 또는 개인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장치에는 키패드가 구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는 주로 사용되는 언어에 따른 문자가 배열되어 있고, 문자의 종류에 따라 한글 키패드, 영어 키패드, 중국어 키패드 또는 아랍어 키패드 등과 같이 종류의 키패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키패드에 한글의 자모와 알파벳이 병기되어 있는 키패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예로서, 일반적인 한글 입력장치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한글에 익숙한 한국인에 맞게 키패드의 좌측에는 자음이 우측에는 모음이 배열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키패드에 포함된 각 키에는 알파벳이 병기되어 있는 구성을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한글 입력장치는 한글의 자모를 주되게 구분하여 배열하고, 일반적인 영문 키패드의 알파벳 배열을 그대로 한글 키패드에 적용시켜 알파벳을 병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외국인과 같이 한글을 학습하는 학습자는 한글 키패드의 각 키에 병기된 한글의 자모와 알파벳이 서로 연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고, 그 결과 한글 학습자의 학습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문자 학습은 문자의 형상과 문자의 발음을 서로 대응시키며 암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인 한글 학습자는 종래 한글 입력장치의 한글 키패드에 병기된 알파벳과 한글의 자모의 발음이 등가되는 것으로 착각하여, 한글 자모의 형상과 전혀 다른 발음을 가지는 알파벳이 해당 한글 자모의 발음으로 학습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다음은 문자 학습을 위한 키패드가 포함된 학습기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277호는 휴대용 전자 문자 학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획순 표시모드 및 전체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키패드와; 제1획 내지 제n획의 다수 획으로 된 한자 등의 문자 폰트 및 그 뜻과 음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입력부 키패드의 선택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도출하여 상기 저장된 문자 폰트의 제1획부터 제n획까지 한 획씩 가산 누진하여 출력하면서 그 문자의 뜻과 음의 데이터를 출력 또는 제1획 내지 제n획을 한꺼번에 출력하면서 그 문자의 뜻과 음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의 데이터 출력에 따라 문자를 제1획부터 제n획까지 한 획씩 가산 누진하여 획순을 표시하면서 그 문자의 뜻과 음을 표시하거나, 제1획 내지 제n획을 전체적으로 표시하면서 그 문자의 뜻과 음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이 오프되어도 시간 세이빙을 할 수 있는 리얼타임유닛과; 건전지(290)로 전체 시스템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회로(280)와; 프로그램 데이터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용 유닛과; 상기 문자의 뜻과 음을 음성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획순을 표시하고 음성으로 출력하여주는 기능을 구현함에 따라, 한자의 처음 제1획부터 마지막 제n획까지 획순을 정확히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었으나, 한글과 한자의 형상과 발음을 서로 연관시키며 한글 또는 한자를 학습시키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277호(2004.04.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5146호(2017.05.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4323호(2008.02.14.)
본 발명은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 된 기술로서, 종래 외국인 한글 학습자는 단순히 한글을 이루는 자모를 반복적으로 보고, 쓰고, 읽으며 학습하기 때문에, 한글을 이루는 자모의 형상과 발음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한글을 학습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외국인과 같은 한글 학습자가 한글 자모의 발음을 명확하게 학습하지 못한 상태에서 한글 자모를 학습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학습자 단말기에 구현된 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 자모의 형상만을 기억하여 한글을 입력 및 출력하는 방식으로 한글 학습을 하기 때문에, 한글 자모의 형상과 발음을 상호 연관시키며 학습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키패드 데이터 및 학습자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정보 데이터 및 키패드 데이터를 관리하고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한 학습자 단말기로 요청된 해당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앙관리서버와;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학습자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하고,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요청한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한글 키패드나 외국어 키패드를 표시하는 학습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자모들이 배열된 한글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자모들이 배열된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며,
학습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한글 키패드상의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키패드상의 외국어 발음기호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학습자가 선택한 한글 자모나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이 문자로 표시되도록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은 학습자 단말기의 입력부에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가 구분되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한글 자모의 발음이 명확하게 학습되지 않은 상태의 학습자라도, 자신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가 구현된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 자모의 발음과 대응되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함으로써, 학습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한글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상기 외국어 키패드에 구현된 외국어 발음기호를 한글 키패드에 구현되는 한글 자모와 대응시키며 한글 자모의 발음 및 형상을 학습 가능하기 때문에, 한글 자모의 형상과 발음을 외국어 발음과 연관시키며 학습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중앙관리서버와 학습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중앙관리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구현되는 키패드의 종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제1한글 키패드의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제2한글 키패드의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외국어가 영어인 경우의 제1외국어 키패드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외국어가 영어인 경우의 제2외국어 키패드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외국어가 중국어인 경우의 제1외국어 키패드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외국어가 중국어인 경우의 제2외국어 키패드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외국어가 대만어인 경우의 제1외국어 키패드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외국어가 대만어인 경우의 제2외국어 키패드 배열을 나타내는 블럭도.
본 발명은 외국인 한글 학습자가 한글 자모 및 외국어 발음기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키패드 데이터 및 학습자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정보 데이터 및 키패드 데이터를 관리하고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한 학습자 단말기로 요청된 해당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앙관리서버와;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학습자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하고,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요청한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한글 키패드나 외국어 키패드를 표시하는 학습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자모들이 배열된 한글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자모들이 배열된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며,
학습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한글 키패드상의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키패드상의 외국어 발음기호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학습자가 선택한 한글 자모나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이 문자로 표시되도록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7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은 외국인과 같은 한글 학습자가 ⅰ) 학습자 단말기에 구현된 한글 자모로 이루어진 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곧바로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 또는 한글문장(이하, ‘한글 단어’라 칭함.)을 입력할 수도 있고, ⅱ) 학습자 단말기에 외국어 발음기호로 이루어진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상기 ⅰ) 또는 ⅱ) 에서 상기 한글 키패드 및 외국어 키패드 각각에 입력된 한글 자모 및 외국어 발음기호는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한글 단어로 출력 표시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은 한글을 미숙하게 알고 있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는, 상기 ⅰ) 의 경우처럼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자음과 모음의 형상을 생각하며 직접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를한글 키패드에 입력할 수도 있고; 상기 ⅱ) 의 경우처럼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의 발음을 생각하며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단어를 외국어 발음기호가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시적으로 중앙관리서버 및 학습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학습자 단말기는 일반적인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데이터를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키패드나 외국어 키패드를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키패드 데이터 및 학습자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정보 데이터 및 키패드 데이터를 관리하고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한 학습자 단말기로 요청된 해당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학습자 정보와 키패드 데이터들을 학습자별로 저장 관리하고 해당 학습자에게 필요한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일반적인 서버의 관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서버제어부와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특히,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는 키패드 데이터와 학습자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서버제어부는 중앙관리서버에 키패드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키패드 데이터가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거나, 저장된 키패드 데이터를 수정하는 제어를 하거나, 학습자 정보를 제공받아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특히, 상기 학습자정보는 해당 학습자의 모국어 정보를 포함하고 학습자 정보와 해당 학습자의 키패드 데이터(해당 학습자의 모국어 발음기호로 구현된 외국어 키패드 데이터 포함)는 상호 매칭되어 학습자를 식별자로 하여 학습자별로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서버제어부는 학습자의 키패드 데이터의 요청시 요청된 키패드 데이터를 해당 학습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소지하며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 키패드를 통해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상기 한글 단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전용 학습자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알려진 일반적인 단말기가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표시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키패드를 구현하거나 구현된 키패드를 통해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받도록 하거나 입력된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표시등을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단말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말기 데이터베이스는 스마트폰에 기장착된 하드웨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학습자 단말기와의 데이터 교환 및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한 처리등을 수행하는 학습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중앙관리서버나 공지의 앱 스토어 등에서 다운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 표시부는 공지의 스마트폰 화면상에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기장착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서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인 애플리케이션의 작동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공지의 기술로 대신하겠다.
또한, 상기 중앙관리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되어,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키패드 형식으로 구현되며, 상기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되는 키패드는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에 따라 한글 키패드 또는 외국어 키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이때, 중앙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키패드 데이터 중 한글 키패드 데이터는 한글을 구성하는 자모들이 일정한 배열 규칙으로 배열된 키패드 형태(이하, ‘한글 키패드’라 칭함.)로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되도록 하는 데이터로서, 학습자는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구현된 상기 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 자모를 입력하게 되면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입력된 한글 자모에 대응된 한글 단어가 출력표시되는 것이다.
즉,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한글의 자모에 관한 정보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분류되는 단자음(ㄱ, ㄴ, ㄷ, ㄹ,,,), 단모음(ㅏ, ㅑ, ㅓ, ㅕ,,,), 복합자음(ㄲ, ㄱㅅ, ㄹㄱ, ㄴㅎ,,,) 및 쌍모음(ㅘ, ㅚ, ㅝ, ㅟ,,,)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한글의 자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한글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어 각각의 자모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키패드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에는 한글 키패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될 때 한글 키패드상에 구현되는 한글 자모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글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 단말기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되는 한글키패드를 구성하는 한글 자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한글 자모와 이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특정 한글 자모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에는 한글의 자모에 관한 정보와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숫자, 특수 문자, 스페이스바, 백스페이스바, 및 엔터키 등과 같은 기능키에 관한 정보도 더 포함되고, 상기 기능키에 관한 정보 역시 한글 키패드에 반영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특히, 상기 기능키에는 특정 한글 자모를 특정 한글 자모에 매칭되어 있는 외국어 발음기호로의 전환을 위한 기능키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한글 키패드 데이터는 한글 자모에 대한 정보와 한글 자모들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와 한글 자모와 이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와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한글의 자모 각각에 대응하는 외국어 발음기호가 일정한 배열규칙으로 배열된 키패드 형태(이하, ‘외국어 키패드’라 칭함.)로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되도록 하는 데이터로서, 학습자는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구현된 상기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하게 되면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입력된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단어가 출력표시되는 것이다.
즉,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 단말기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되는 외국어 키패드를 구성하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외국어의 발음기호들과 이에 대응된 한글 자모들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학습자 단말기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 외국어 키패드를 통해 학습자가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하면 상기 매칭 정보를 통하여 입력된 외국어 발음기호는 대응된 한글의 자모로 변환되어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표시되는 것이다.
상기의 외국어 발음기호란 한글 자모에 대응되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복수의 외국어 언어별로 구성되며, 이 경우 각각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해당 언어의 발음기호에 대한 정보와 해당 언어의 발음기호들과 이에 대응된 한글 자모들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영어, 일어, 중국어, 대만어 또는 아랍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언어별로 구성되며, 각각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해당 언어의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한 정보와 해당 언어의 발음기호들과 이에 대응된 한글 자모들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에는 외국어 키패드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될 때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는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해당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국어 키패드와 한글 키패드는 동일한 형태로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다. 이때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의 배열 위치는 해당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가 위치한 키패드상의 위치에 상기 해당 외국어 발음기호가 배치되는 것이다.
도 4a와 도 5a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4a와 도 5a는 각각 한글 키패드와 영어 키패드를 나타내고 있으며 양자 동일한 키패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도 4a의 한글 자모 'ㅁ'은 한글 키패드 상 배열 위치가 "2행 5열"이고, 'ㅁ'에 대응된 영어 발음은 'm'이다. 이때 'm'이란 발음기호는 도 5a의 영어 키패드 상 한글 자모 'ㅁ'의 배열 위치인 "2행 5열"과 동일한 배열위치인 "2행 5열"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한 정보와 매칭정보와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 이외에 숫자, 특수 문자, 스페이스바, 백스페이스바 및 엔터키 등과 같은 기능키에 관한 정보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키에 관한 정보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에 반영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특히, 상기 기능키에는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를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에 매칭되어 있는 한글 자모로의 전환을 위한 기능키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복수의 외국어 언어별로 구성되고, 각각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해당 언어의 발음기호에 대한 정보와 외국어의 발음기호들과 이에 대응된 한글 자모들의 매칭관계를 나타내는 매칭정보와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배열위치에 대한 정보와 기능키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키패드 데이터는 ⅲ)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거나, ⅳ)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학습자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ⅲ) 의 경우에서,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키패드 데이터에 한글 키패드 데이터뿐만 아니라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 전체가 포함되도록 하면, 학습자가 복수의 외국어 중 학습자가 잘 알고 있는 어떠한 종류의 외국어 키패드를 선택해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ⅳ) 의 경우에서,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키패드 데이터에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학습자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하면, 학습자 자신의 모국어 발음기호가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를 곧바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ⅲ), ⅳ) 의 경우 이외에,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키패드 데이터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영어와 중국어 키패드 데이터만을 요청하면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영어와 중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만을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ⅳ) 의 경우처럼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키패드 데이터에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학습자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앙관리서버에는 학습자 정보에 학습자의 모국어 정보가 필연적으로 기저장되어 있어야 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학습자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학습자의 모국어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시 해당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학습자 정보 데이터는 학습자의 개인 정보와 학습자의 모국어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학습자 정보 데이터는 학습자의 개인 정보 및 학습자의 모국어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로서, 학습자로부터 제공받 을 수 있다.
학습자가 본 발명에 의한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학습자 단말기에 설치한 후, 학습자의 이름, 아이디, 연락처 등과 같은 개인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개인 정보는 중앙관리서버로 전달된 후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학습자 정보의 저장은 학습자를 구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학습자가 개인 정보를 입력할 때 학습자의 모국어에 대한 정보를 같이 입력하면, 추후 학습자가 자신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 요청시 상기 학습자 정보에 포함된 모국어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학습자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즉,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자신의 개인 정보 또는 아이디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할 경우, 중앙관리서버에서는 해당 학습자의 학습자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모국어 정보를 반영하여,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해당 학습자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학습자 단말기에서는 한글 키패드나 해당 학습자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로 구성된 외국어 키패드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키패드표시부에는 한글 키패드나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 구현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는 학습자의 터치 또는 슬라이딩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번갈아 가면서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는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다양한 방식 및 배열로 표시되는데, 학습자는 터치 방식이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양한 방식 및 배열로 키패드표시부에 표시되는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를 순차적으로 표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부언 설명하면, 학습자가 키패드표시부에 표시된 특정 키패드의 일정부분을 터치하거나 슬라이딩시키면, 마치 페이지가 넘어가거나 뒤집어지는 것과 같이 페이지가 전환되어 다른 키패드가 키패드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키패드표시부에 도 4a와 같은 한글 키패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학습자가 한글 키패드의 일정부분을 터치하거나 슬라이딩시키면 한글 키패드가 사라진 후 도 5a와 같은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한글 키패드나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의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하다가, 입력하는 한글 자모에 대응되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확인하고 싶거나, 입력하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되는 한글 자모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 확인하고 싶은 외국어 발음기호나 한글 자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한글 키패드를 이용해 한글 자모를 입력하는 학습자가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한글 키패드상에서 특정 한글 자모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 확인을 위한 해당 키패드 조작(예: 일정시간 이상 누르거나, 3회이상 터치하거나, 전환키를 선택하거나 등)을 하면, 상기 특정 한글 자모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하고,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해 외국어 발음기호를 입력하는 학습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외국어 키패드상에서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 확인을 위한 해당 키패드 조작(예: 일정시간 이상 누르거나, 3회 이상 터치하거나, 전환키를 선택하거나 등)을 하면, 상기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적 특징이 가능한 이유는, 한글 키패드 데이터는 한글 자모와 이에 대응되는 외국어 발음기호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발음기호들과 이에 대응된 한글 자모들의 매칭관계인 매칭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한글 자모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나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 한글 키패드는 한글의 자모가 일정한 배열규칙에 의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 제1한글 키패드와 제2한글 키패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글 키패드는 한글의 초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과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모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제1한글 키패드와; 한글의 종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과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쌍모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제2한글 키패드;를 포함하도록 구성 할 수 있다.
즉, 한글 단어는 일반적으로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지고(예로서, ‘김’에서 ‘ㄱ’은 초성, ‘l’는 중성, ‘ㅁ’은 종성임), 상기 종성은 한글 단어의 받침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받침이 있는 한글 단어의 경우에만 한글 단어에 종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한글 키패드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의 초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과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모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어, 외국인 학습자가 초성과 중성을 입력할 때에는 제1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한글 단어 또는 한글 단어의 일부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한글 키패드에 포함되는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모음은 단모음이 주로 배치되고, 일부 쌍모음이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한글 키패드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성으로 주로 이용되는 자음과 중성 이용되는 쌍모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어, 외국인 학습자가 종성과 쌍모음 중성을 입력할 때에는 제2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한글 단어 또는 한글 단어의 일부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종성을 입력할 때는 제2한글 키패드를 이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경우에 따라 제1한글 키패드를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때, 상기 제2한글 키패드에 배열되는 종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은 주로 쌍자음이 배열되고 일부 단자음이 배열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제2한글 키패드에 배열되는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쌍모음은 상기 제1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모음 이외의 것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성의 제1한글 키패드와 제2한글 키패드는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쓰일 수 있는 한글 자모를 서로 다른 키패드에 구분시켜 놓음으로써, 학습자가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을 보다 확실하게 구분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글 키패드를 구성하는 제1한글 키패드와 제2한글 키패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하거나 서로 다른화면으로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 외국어 키패드는 상기 제1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 자음과 모음에 대응되는 발음에 해당하는 외국어의 발음기호가 배열된 제1외국어 키패드와;
상기 제2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의 자음과 쌍모음에 대응되는 발음에 해당하는 외국어의 발음기호가 배열된 제2외국어 키패드를 포함한다.
즉, 상기 외국어 키패드는 제1한글 키패드에 대응하는 제1외국어 키패드, 제2한글 키패드에 대응하는 제2외국어 키패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한글 단어의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각각 쓰이는 한글 자모가 외국어 발음기호 중 어떠한 발음기호에 해당하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외국어 키패드에 배열되는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배열 위치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자음과 모음과 쌍모음의 한글 키패드상 배열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와 도 5a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4a와 도 5a는 각각 제1한글 키패드와 제1영어 키패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양자 동일한 키패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도 4a의 한글 자모 'ㅁ'은 한글 키패드 상 배열 위치가 "2행 5열"이고, 'ㅁ'에 대응된 영어 발음은 'm'이다. 이때 'm'이란 발음기호는 도 5a의 영어 키패드 상 한글 자모 'ㅁ'의 배열 위치인 "2행 5열"과 동일한 배열위치인 "2행 5열"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외국어 키패드상 배열위치는 배열위치정보로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2한글 키패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한글의 자음들은 서로 인접된 행 또는 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한글 키패드는 한글의 종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단자음과 쌍자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데, 이때, 종성으로 쓰이는 자음 중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한글의 단자음과 쌍자음들은 서로 인접되게 배치된다.이로 인해, 외국인 학습자가 제2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 단어의 종성을 입력할 때 한글 종성으로 사용되는 서로 다른 형상을 하고 있는 단자음이나 쌍자음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발음으로 발성됨을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b와 도 5b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4b와 도 5b는 각각 제2한글 키패드와 제2영어 키패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양자 동일한 키패드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도 4b의 한글 자음 'ㄱ, ㄱㅅ, ㄹㄱ, ㅋ'은 종성으로 사용시 동일하게 영어 발음기호로 'k'로 발음된다. 또한, 한글 자음 'ㄷ, ㅅ, ㅆ, ㅈ, ㅊ'은 종성으로 사용시 동일하게 영어 발음기호 't'로 발음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한글 자음 'ㄱ, ㄱㅅ, ㄹㄱ, ㅋ'은 도 4b의 한글 키패드상 서로 인접한 위치인 "2행 1열 ~2행 4열"에 배치되고, 한글 자음 'ㄷ, ㅅ, ㅆ, ㅈ, ㅊ'은 도 4b의 한글 키패드상 서로 인접한 위치인 "3행 2열 ~3행 6열"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에 포함된 매칭정보를 학습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매칭정보는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정보로서, 매칭정보는 외국어의 발음기호들과 한글 자모들과의 매칭관계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영어 발음 'k'에 대응되는 한글 자모는 'ㄱ'이라는 매칭관계가 매칭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학습자는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와 이에 대응되는 한글 자모의 매칭관계를 변경하기를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발음 'k'에 대응되는 한글 자모를 'ㄱ'에서 'ㅋ'으로 변경하기를 원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학습자는 키패드상에서 키패드의 조작을 통해 매칭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외국어 키패드상에서 해당 키패드 조작을 하면(예: 변경하고자 하는 외국어 발음기호(예: k)를 일정시간 이상 누르거나, 3회 이상 터치하거나, 변환키를 선택하거나 등) 해당 외국어 발음기호에 현재 대응되어 있는 한글 자모(예:ㄱ)를 변경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때 복수의 한글 자모들(예: 'ㄱ, ㄱㅅ, ㄹㄱ, ㅋ')이 학습자에게 제공되며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예: ㅋ 선택) 선택한 한글 자모가 변경하고자 하는 해당 외국어 발음기호에 매칭되도록 매칭정보가 수정된다.
같은 방식으로, 한글 키패드상에서 변경을 위한 해당 키패드 조작을 하면 해당 한글 자모에 현재 대응되어 있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변경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학습자는 상기의 방식으로 한글 자모와 외국어 발음기호의 매칭 관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한글 키패드 상에서 매칭관계를 변경하든 외국어 키패드 상에서 매칭관계를 변경하든 매칭정보는 동일한 것이어서 한글 자모와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매칭관계는 변경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변경된 매칭정보는 해당 학습자를 식별자로 하여 해당 학습자의 한글 키패드 데이터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로 중앙관리서버의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학습자는 키패드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매칭 정보(외국어의 발음기호들과 한글 자모들의 매칭관계 정보)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지만, 학습자가 매칭 정보에 의한 외국어 발음기호의 발음과 한글의 자모의 발음이 서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학습자 자신에 맞게 외국어 발음기호와 한글 자모의 매칭 관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학습자에 의하여 변경된 매칭정보는 학습자 단말기에서 중앙관리서버로 전달되어, 해당 학습자의 학습자 정보로 저장되어 해당 학습자에게만 추후 계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상기 한글 키패드 또는 외국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 입력시 입력한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한글 발음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표출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학습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 모음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를 선택 입력할 때, 입력된 한글의 자음, 모음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한글 발음이 음성으로 학습자 단말기에서 발성되면, 학습자는 자신이 입력한 문자를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한글 단어의 입력 과정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오기를 줄이고, 입력한 문자에 해당하는 발음을 보다 반복적으로 청취하며 한글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미국인 한글 학습자가 본 발명에 의한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학습자는 자신의 스마트폰(학습자 단말기)에 중앙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거나 공지의 앱 스토어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이후, 학습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학습자의 개인 정보와 모국어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면, 입력된 개인 정보 및 모국어 정보는 중앙관리서버로 전달되어 해당 학습자의 학습자 정보 데이터에 상기 개인 정보 및 모국어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중앙관리서버의 서버제어부는 학습자의 상기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학습자의 아이디(학습자가 개인 정보 입력시에 아이디가 생성될 수도 있음.)를 생성시켜 상기 학습자 정보 데이터에 포함 시키고, 상기 아이디는 해당 학습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한글 학습을 할 때마다 해당 학습자의 사용인증을 위한 식별인자로 사용된다.
이후, 학습자가 자신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로그인하면,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키패드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키패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한글 키패드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제공됨을 알아야 한다.
즉, 학습자는 중앙관리서버에서 전달받는 키패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모든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로 받을 것인지, 자신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영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만을 받을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된 상기 키패드 데이터는 모국어에 해당하는 영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만인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된 키패드 데이터에는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영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이고,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영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키패드와 영어 발음기호 키패드로 구현된다.
이때, 상기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구현된 한글 키패드와 영어 키패드는 서로 다른 페이지에 각각 구현되어, 학습자의 터치 또는 슬라이딩에 의하여 서로 번갈아가며 키패드표시부에서 구현된다.
또한, 상기 영어 키패드에 배열된 영어 발음기호들은 상기 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의 자모의 발음과 각각 대응되는 발음이 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의 자모과 동일한 배열 위치를 가지도록 영어 키패드에 배열된다.
이후, 학습자가 ‘닭’이라는 한글 단어를 입력하는 하는 경우, 한글 키패드의 제1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초성‘ㄷ’, 중성 ‘ㅏ’을 입력하고 제2한글 키패드를 이용하여 종성‘ㄹㄱ’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에서 ‘닭’이라 한글이 출력 표시된다.
또한, 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닭이라는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데, 제1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초성‘d’, 중성 ‘a’을 입력하고, 제2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종성‘k’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에서 ‘닭’이라 한글이 출력 표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학습자가 한글 키패드 또는 영어 키패드를 이용하여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입력할 때마다, 스마트폰에서는 초성, 중성 및 종성에 해당하는 발음이 스피커를 통해 발성되는 것이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에 있어서,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키패드 데이터 및 학습자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정보 데이터 및 키패드 데이터를 관리하고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한 학습자 단말기로 요청된 해당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앙관리서버와;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학습자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키패드 데이터를 요청하고,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요청한 키패드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한글 키패드나 외국어 키패드를 표시하는 학습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자모들이 배열된 한글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된 키패드 데이터가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키패드표시부에 한글 자모들이 배열된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발음기호들이 배열된 외국어 키패드가 표시되도록 하며,
    학습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한글 키패드상의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키패드상의 외국어 발음기호를 선택하면,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디스플레이부에 학습자가 선택한 한글 자모나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이 문자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에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키패드 데이터는,
    중앙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복수의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정보 데이터는 학습자의 개인 정보와 학습자의 모국어 정보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중앙관리서버에서 학습자 단말기로 전달되는 키패드 데이터는 한글 키패드 데이터와 학습자의 모국어에 해당하는 외국어 발음기호 키패드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학습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되는 한글 키패드와 외국어 키패드를 포함하는 키패드들은,
    학습자의 터치 또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다른 키패드가 화면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한글 키패드상에서 특정 한글 자모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 확인을 위한 해당 키패드 조작을 하면, 상기 특정 한글 자모에 대응된 외국어 발음기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하고,
    학습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외국어 키패드상에서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 확인을 위한 해당 키패드 조작을 하면, 상기 특정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한글 자모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키패드는,
    한글의 초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과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모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제1한글 키패드와;
    한글의 종성으로 쓰일 수 있는 자음과 중성으로 쓰일 수 있는 쌍모음이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된 제2한글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키패드는,
    상기 제1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 자음과 모음에 대응되는 발음에 해당하는 외국어의 발음기호가 배열된 제1외국어 키패드와;
    상기 제2한글 키패드에 배열된 한글의 자음과 쌍모음에 대응되는 발음에 해당하는 외국어의 발음기호가 배열된 제2외국어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국어 키패드에 배열되는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배열 위치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대응된 자음과 모음과 쌍모음의 한글 키패드상 배열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한글 키패드에 배열되는 한글 자음들의 배열 위치는,
    동일 또는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한글 자음들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데이터는 학습자를 식별자로 하여 학습자별로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상기 키패드 데이터는 한글 자모와 외국어 발음기호들의 매칭관계를 나타내는 매칭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정보는 키패드 상에서 키패드의 조작을 통해 학습자가 원하는 매칭정보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변경된 매칭정보는 해당 학습자를 식별자로 하여 해당 학습자의 키패드 데이터로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이후 해당 학습자가 키패드 데이터 요청시 중앙관리서버는 변경된 매칭정보가 반영된 키패드 데이터를 해당 학습자의 학습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한글 키패드상의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키패드상의 외국어 발음기호를 선택하면, 선택한 한글 자모 또는 외국어 발음기호에 해당하는 한글 발음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표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KR1020170154460A 2017-11-20 2017-11-20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KR102035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460A KR102035087B1 (ko) 2017-11-20 2017-11-20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460A KR102035087B1 (ko) 2017-11-20 2017-11-20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493A true KR20190057493A (ko) 2019-05-29
KR102035087B1 KR102035087B1 (ko) 2019-10-23

Family

ID=6667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460A KR102035087B1 (ko) 2017-11-20 2017-11-20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614B1 (ko) 2020-01-10 2023-05-17 정영훈 한글 및 외국어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90537A (ko) 2020-01-10 2021-07-20 정영훈 한글 및 외국어 색상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19U (ko) * 1997-12-08 1999-07-05 오성택 발음기호식 배열 영문 키보드
US20030074185A1 (en) * 2001-07-23 2003-04-17 Pilwon Kang Korean romanization system
KR200349277Y1 (ko) 2004-02-06 2004-05-04 주식회사 브로스아이엔씨 휴대용 전자 문자 학습기
KR100593757B1 (ko) * 2005-02-14 2006-06-30 유혜경 외국어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는 외국어 학습장치 및 이를이용한 온라인 외국어 학습시스템
KR20080014323A (ko) 2006-08-10 2008-02-14 (주)우리교육개발 학습용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20133574A (ko) * 2011-05-31 2012-12-11 박종칠 문자 입력방식
KR20170055146A (ko) 2015-11-11 2017-05-19 주식회사 엠글리쉬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19U (ko) * 1997-12-08 1999-07-05 오성택 발음기호식 배열 영문 키보드
US20030074185A1 (en) * 2001-07-23 2003-04-17 Pilwon Kang Korean romanization system
KR200349277Y1 (ko) 2004-02-06 2004-05-04 주식회사 브로스아이엔씨 휴대용 전자 문자 학습기
KR100593757B1 (ko) * 2005-02-14 2006-06-30 유혜경 외국어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는 외국어 학습장치 및 이를이용한 온라인 외국어 학습시스템
KR20080014323A (ko) 2006-08-10 2008-02-14 (주)우리교육개발 학습용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20133574A (ko) * 2011-05-31 2012-12-11 박종칠 문자 입력방식
KR20170055146A (ko) 2015-11-11 2017-05-19 주식회사 엠글리쉬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087B1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95449A (zh) 用于在电子设备中输入中文字符的交叉媒体输入系统和方法
KR20100057880A (ko) 데이터 입력 장치
CN101398717A (zh) 可变显示键盘及输入方法
CN109844695A (zh) 字符输入装置
KR101060928B1 (ko)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로 표시 가능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 표시 방법 및 중국어의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방법
KR102035087B1 (ko)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JP2004133915A (ja) ハングル文字入力方法,ハングル文字入力装置,ハングル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JP2004523034A (ja) 文字生成システム
KR20030049443A (ko)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US8489389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dictionary function and computer-readable medium
WO202003601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59508B1 (ko) 일본어 문자 입력기 및 입력 방법
KR101373552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속기 장치
Alnfiai et al. Improved Singeltapbraille: Developing a Single Tap Text Entry Method Based on Grade 1 and 2 Braille Encoding.
KR20130128172A (ko) 장애인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생성방법
KR20050023584A (ko)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02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JP6227133B2 (ja) 記号イメージ検索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記号イメージ検索用サーバ
KR102112059B1 (ko)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형성 방법,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표시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JP2008139835A (ja) 発音学習法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JP2021168020A (ja) 音声入力装置
KR20200081651A (ko) 점자 입력 장치
KR1003643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어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