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323A -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323A
KR20240038323A KR1020220116983A KR20220116983A KR20240038323A KR 20240038323 A KR20240038323 A KR 20240038323A KR 1020220116983 A KR1020220116983 A KR 1020220116983A KR 20220116983 A KR20220116983 A KR 20220116983A KR 20240038323 A KR20240038323 A KR 20240038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phabet
consonant
hangul
unit
conso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659B1 (ko
Inventor
최동원
서동원
정명기
Original Assignee
최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원 filed Critical 최동원
Priority to KR102022011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659B1/ko
Publication of KR20240038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3Processing of non-Latin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 G06V30/153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using recognition of characters or 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processing or recognition method
    • G06V30/242Division of the character sequences into groups prior to recognition;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30/244Division of the character sequences into groups prior to recognition; Selection of dictionaries using graphical properties, e.g. alphabet type or font
    • G06V30/2445Alphabet recognition, e.g. Latin, Kanji or Katakan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지정된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한글 및 알파벳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를 이미지로 전환하는 문자 인식부; 기설정된 한글 음절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상기 한글의 자음과 모음에 일대일 대응하는 알파벳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문자 인식부에서 인식된 문자가 적어도 하나의 자음과 적어도 하나의 모음의 조합으로 구성되도록 제어하는 문자 제어부; 및 상기 문자 제어부에서 구성된 조합이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문자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Hangul Learning System by Alphabet Combination}
본 발명은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영어 알파벳을 활용하여 한글 자모의 조합 원리를 학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어는 기호성, 자의성, 사회성, 역사성, 규칙성, 창조성, 분절성 등의 특성을 가진다.
그 중, 언어의 기호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언어의 분절성은 언어의 불연속한 성격을 나타낸다.
언어는 연속적인 자연의 세계를 불연속적으로 끊어서 표현하는데 단어와 단어 사이가 끊어져 있다거나, 자음과 모음이 나누어져 있다는 것이 모두 언어가 분절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단어문자를 대표하는 한자나 음절문자를 대표하는 일본의 가나와는 달리, 알파벳과 한글은 대표적인 음소문자로서 하나의 문자 기호가 한 개의 낱소리를 나타내는 문자 체계이다.
음소문자의 가장 큰 장점은 단어문자나 음절문자에 비해, 한 언어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문자 기호의 수가 대폭 줄어들고, 문자를 배우는 데 드는 노력 또한 훨씬 줄어들어 드는 반면, 음소 단위까지 추상적으로 분석 가능하여 의미 전달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음소문자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알파벳 표기 방식의 언어를 사용하는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처음 학습하는데 있어 진입장벽을 크게 느껴왔다.
왜냐하면, 한글은 분절된 자음과 모음이 하나의 음절로 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반면, 알파벳은 병렬구조로 나열되어 의미를 전하는 최소 단위로 형성되므로 자모를 조합하는 방식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글의 자모 조합에 관한 한글어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 한국등록특허10-2265255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한글의 자모 조합 원리에 대한 방법만 포함하고 있을 뿐, 한글의 자모 조합 원리에 대응하는 알파벳 표기 방식을 통해 한글의 자모와 알파벳을 일대일 대응시켜 도식화하는 구성이 없어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글의 자모와 한글의 자모 조합 원리를 따로 학습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알파벳으로 표기되는 언어를 사용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처음 학습하는 데에 있어서 알파벳에 대응되는 한글과 한글의 자모 조합 원리를 한 눈에 파악하도록 도식화하여, 보다 쉽게 한글 읽기와 쓰기를 학습하고자 유도하는 학습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한글을 읽지 못하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글 학습 과정에 영어 알파벳을 차용하여 한글 자모 조합 원리의 이해를 도움으로써 한글 학습의 초기 진입장벽을 낮추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한글을 학습하는 외국인들이 영어와 한글의 표준 발음에 따라 소리를 일대일 대응시킴으로써 한국어 읽기를 용이하게 하고, 받침 글자의 발음 확장 또한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영문과 한글의 자모를 일대일 대응시킴으로써 외국인들이 한글 학습을 용이하게 하여 한글의 글로벌화를 일으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은 기지정된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한글 및 알파벳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를 이미지로 전환하는 문자 인식부와 기설정된 한글 음절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상기 한글의 자음과 모음에 일대일 대응하는 알파벳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문자 인식부에서 인식된 문자가 적어도 하나의 자음과 적어도 하나의 모음의 조합으로 구성되도록 제어하는 문자 제어부 및 상기 문자 제어부에서 구성된 조합이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문자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음성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입력받는 사용자 문자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에서 텍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를 1음운 또는 개별 알파벳으로 분리하는 텍스트 절단부 및 상기 텍스트 절단부에서 생성된 1음운 또는 개별 알파벳에서 자음 및 모음을 추출하는 자모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어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데이터의 문자 음성을 센싱하는 음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센서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음향센서의 평균용량이 기설정된 한계용량보다 큰 경우, 상기 음향센서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 센서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여기서, Aerr은 평균용량, Taver는 상기 음향센서 용량값의 전체평균, Paver는 상기 음향센서 용량값 n개에 대한 일부평균, Tσ는 상기 음향센서 용량값의 전체표준편차를 의미함)
또한, 상기 문자 제어부는, 자음과 모음으로 형성되는 글자의 조합 형태를 학습하는 글자 학습부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음으로 구성되는 초성과 적어도 1개 이상의 모음으로 구성되는 중성의 조합으로 1음절을 형성하는 기본형 학습부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음으로 구성되는 초성과 적어도 1개 이상의 모음으로 구성되는 중성의 조합 외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음으로 구성되는 종성의 조합으로 1음절을 형성하는 받침형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형 학습부는, 받침이 1개 있는 글자를 조합하는 제1 받침 학습부 및 받침이 2개 있는 글자를 조합하는 제2 받침 학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자 제어부는, 기지정된 사용자의 단말기에 의해 영문이 입력 처리되는 경우, 단어 단위로 입력된 영문이 전체 이미지로 추출되고, 상기 전체 이미지에서 알파벳 단위로 절단한 세부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절단된 알파벳을 기지정된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알파벳과 일대일 대응하는 한글 자음과 모음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한글 자음과 모음을 기지정된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음절 단위로 조합하고, 상기 문자 제어부는, 기지정된 사용자의 단말기에 의해 한글이 입력 처리되는 경우, 음절 단위로 입력된 한글이 전체 이미지로 추출되고, 상기 전체 이미지에서 음운 단위로 절단한 세부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절단된 음운을 기지정된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음운과 일대일 대응하는 알파벳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알파벳을 기지정된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음절 단위로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은 한글을 읽지 못하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글 학습 과정에 영어 알파벳을 차용하여 한글 자모 조합 원리의 이해를 도움으로써 한글 학습의 초기 진입장벽을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한글을 학습하는 외국인들이 영어와 한글의 표준 발음에 따라 소리를 일대일 대응시킴으로써 한국어 읽기를 용이하게 하고, 받침 글자의 발음 확장 또한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영문과 한글의 자모를 일대일 대응시킴으로써 외국인들이 한글 학습을 용이하게 하여 한글의 글로벌화를 이끄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부 구성을 도시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의 받침형 학습부 구성을 도시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의 알파벳을 차용한 한글 음절 생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의 학습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례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10)은 문자 인식부(200)와 데이터베이스부(100)와 문자 제어부(300) 및 문자 표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인식부(200)는 기지정된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한글 및 알파벳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를 이미지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기지정된 단말기는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음성으로 입력되는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마련된 센서를 통해 수신되고 음성인식기술을 통해 음향 신호를 추출한 후 잡음을 제거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음성모델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단어를 추출하여 이미지파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파벳은 영문을 표기하는 알파벳을 실시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알파벳으로 표기되는 다양한 외국어의 모든 음소문자 또한 본 발명에서 다루고 있는 한글 음절 조합 원리에 일대일 대응하는 방식으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문자 인식부(200)는, 데이터 수집부(210)와 텍스트 절단부(220) 및 자모 추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210)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입력된 사용자 문자를 수집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고, 더욱 자세하기는 하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부 구성을 도시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수집부(210)는 음향센서(211)와 센서 모니터링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센서(211)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어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데이터의 문자 음성을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향센서(211)의 신뢰도 유지를 위해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10)은 상기 음향센서(211)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모니터링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모니터링부(212)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음향센서(211)의 평균용량이 기설정된 한계용량보다 큰 경우, 상기 음향센서(211)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Aerr은 평균용량, Taver는 상기 음향센서(211) 용량값의 전체평균, Paver는 상기 음향센서(211) 용량값 n개에 대한 일부평균, Tσ는 상기 음향센서(211) 용량값의 전체표준편차를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Taver는 상기 음향센서(211)가 센싱한 음성 데이터 용량값의 전체평균이며, 음향센서(211)가 정상 동작하는 기설정된 기간동안(ex. 한 달) 다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센싱되는 용량값들의 전체 평균을 산출한 값을 의미하고, Tσ는 상기 기설정된 기간동안(ex. 한 달) 다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센싱되는 용량값들의 전체표준편차를 산출한 값을 의미한다.
또한, Paver는 상기 음향센서(211) 용량값 n개에 대한 일부평균이며, 음향센서(211)가 현장 설치되어 사용되는 과정에서 기설정된 수(n개)의 용량값을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상기 기설정된 수(n개)의 용량값에 대한 평균을 산출한 것으로서, 일부 용량값의 평균에 해당하므로 일부평균이라 지칭할 수 있다.
이 때, 일부평균을 이용하여 95%의 신뢰도로 추정평균값을 산출하면, 추정평균값(μ)은 범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추정평균값(μ)의 상한 또는 하한과 전체평균(Taver)과의 차이값인 평균오차(Aerr)는, 상기 [수학식 3]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되는 평균오차(Aerr)가 기설정된 한계오차(Serr)보다 크다는 것은 실시간으로 입력받은 기설정된 수(n개)의 용량값이 음향센서(211)의 고장으로 잘 못 입력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의미하므로, 센서 모니터링부(212)는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음향센서(211)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텍스트 절단부(220)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데이터에서 텍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를 1음운 또는 개별 알파벳으로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텍스트 절단부(220)는 한글로 인식된 상기 이미지 파일을 한글 음절 조합 원리에 따라 초성과 중성 및 종성으로 분리하여 1개의 음운으로 절단할 수 있고, 영문 이미지 파일이 입력되면, 1개의 알파벳으로 각각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자모 추출부(230)는 상기 텍스트 절단부(220)에서 생성된 1음운 또는 개별 알파벳에서 자음 및 모음을 분류하고 추출할 수 있다.
한글이 입력된 경우에는, 초성과 종성을 구성하는 음운은 하기 표 1과 표3에 기초하여 자음으로 분류되고, 중성을 구성하는 음운은 하기 표 2에 기초하여 모음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영문이 입력된 경우에는, 알파벳 B, C, D, F, G, H, J, K, L, M, N, P, Q, R, S, T, V, W, X, Y 및 X는 자음(Consonnants)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 외에, 알파벳 A, E, I, O 및 U는 모음(Vowels)은 모음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부(100)는 기설정된 한글 음절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상기 한글의 자음과 모음에 일대일 대응하는 알파벳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한글 음절과 영문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모델 군(Group)을 조합하여, 상기 문자 인식부에서 입력되는 영상과 음성 입력신호에 가장 유사한 문자의 이미지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서 한글의 1음절은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조합되며 최대 11,172자까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초성은 1개 또는 2개의 자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중성은 1개 또는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종성은 1개 또는 2개의 모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글 초성 19가지와 그에 대응되는 영문 알파벳의 실시례는 하기 표 1과 같다.
상기 한글 중성 21가지와 그에 대응되는 영문 알파벳의 실시례는 하기 표 2과 같다.
상기 한글 종성 27가지와 그에 대응되는 영문 알파벳의 실시례는 하기 표 3과 같다.
G GG N D DD R M B BB S SS - J JJ C K T P H
A AE YA YAE UH E YUH YE O WA WAE OE YO U WUH WE WI YU EU EU
I
I
ㄱㅅ ㄴㅈ ㄴㅎ ㄹㄱ ㄹㅁ ㄹㅂ ㄹㅅ ㄹㅌ ㄹㅍ ㄹㅎ ㅂㅅ
G GG GS N NJ NH D L LG LM LB LS LT LP LH M B BS S SS NG J C K T P H
문자 제어부(300)는 상기 문자 인식부(200)에서 인식된 문자가 적어도 하나의 자음과 적어도 하나의 모음의 조합으로 구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례에 따르면, 상기 문자 제어부(300)는 상기 문자 인식부(200)에서 인식된 문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의 한글 음절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1개의 자음과 1개의 모음이 조합되는 경우,
1개의 자음과 2개의 모음이 조합되는 경우,
2개의 자음과 1개의 모음이 조합되는 경우,
2개의 자음과 2개의 모음이 조합되는 경우,
3개의 자음과 1개의 모음이 조합되는 경우,
3개의 자음과 2개의 모음이 조합되는 경우,
4개의 자음과 1개의 모음이 조합되는 경우 및
4개의 자음과 2개의 모음이 조합되는 경우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문자 제어부(300)는 글자 학습부와(310) 기본형 학습부(320) 및 받침형 학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자 학습부(310)는 자음과 모음으로 형성되는 글자의 조합 형태를 학습할 수 있다.
상기 글자 학습부(310)는 초성 자리에 한글 또는 알파벳의 자음이 위치하고, 중성 자리에 한글 또는 알파벳의 모음이 위치하고, 종성자리에 한글 또는 알파벳의 자음이 위치하도록 각각의 조합 형태를 학습할 수 있다.
상기 기본형 학습부(32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음으로 구성되는 초성과 적어도 1개 이상의 모음으로 구성되는 중성의 조합으로 1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받침형 학습부(33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음으로 구성되는 초성과 적어도 1개 이상의 모음으로 구성되는 중성의 조합 외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음으로 구성되는 종성의 조합으로 1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10)의 받침형 학습부(330) 구성을 도시한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형 학습부(330)는, 제1 받침 학습부(331)와 제2 받침 학습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받침 학습부(331)는 받침이 1개 있는 글자를 조합할 수 있다.
상기 받침은 자음 1개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받침 학습부(332)는 받침이 2개 있는 글자를 조합할 수 있다.
상기 받침은 자음 2개를 포함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문자 표시부(400)는 상기 문자 제어부(300)에서 구성된 조합이 상기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기지정된 사용자의 단말기와 동일한 것으로, 영상과 음성 및 이미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를 LED 또는 LCD로 마련되는 문자표출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알파벳과 한글의 표준 발음에 따라 소리를 일대일 대응시킴으로써 한국어 읽기와 쓰기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받침 글자의 발음 확장 또한 용이하게 학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10)의 알파벳을 차용한 한글 음절 생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글의 자음 모음은 기본적으로 초성과 중성과 종성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일실시례로,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에 따르면,
자음 1개 내지 2개로 구성되는 초성과 모음 1개로 구성되는 중성의 조합으로 2칸 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
자음 1개 내지 2개로 구성되는 초성과 모음 1개로 구성되는 중성과 받침 자음 1개 내지 2개로 구성되는 종성의 조합으로 3칸 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
자음 1개 내지 2개로 구성되는 초성과 모음 2개로 구성되는 중성의 조합으로 3칸 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 및
자음 1개 내지 2개로 구성되는 초성과 모음 2개로 구성되는 중성과 받침 자음 1개 내지 2개로 구성되는 종성의 조합으로 4칸 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에 따르면, 초성과 종성을 구성하는 자음은 적어도 1개 또는 최대 2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한글의 음절을 구성하는 칸에 각각 따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초성으로 구성되는 칸에는 동일한 자음 2개가 하나의 소리를 갖는 쌍자음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쌍자음(또는 된소리)에는, ㄲ, ㄸ, ㅃ, ㅆ, ㅉ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종성으로 구성되는 칸에는 동일한 자음 2개가 하나의 소리를 갖는 쌍자음이거나, 서로 다른 자음 2개가 하나의 받침으로 작용하는 겹받침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겹받침에는 ㄱㅅ, ㄴㅈ,ㄹㄱ, ㄹㅁ, ㄹㅂ, ㅂㅅ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중성을 구성하는 모음은 적어도 1개 또는 최대 2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하나의 음절에서 모음 2개가 포함되는 모음은 자음과는 달리 한글의 음절을 구성하는 칸을 2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모음이 칸 2개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ㅚ, ㅘ, ㅙ, ㅟ, ㅝ, ㅞ, ㅢ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글 자음 모음 조합 원리에 따라 구성되는 1음절을 한글 뿐만 아니라, 영문 알파벳을 한글의 음절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음절이 2칸, 3칸 및 4칸으로 구성되는 조합에 있어서 상기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여 일대일 대응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2칸으로 구성되는 일실시례에 따르면, 한글 ‘가’는 음운 ‘ㄱ’ 와 ‘ㅏ’로 분리되고,
각각 ‘ㄱ’에 대응되는 알파벳 ‘G’와 ‘ㅏ’에 대응되는 알파벳 ‘A’을 한글 ‘가’를 구성하는 가로 구조와 동일하게 ‘G A’로 표기하면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2칸으로 구성되는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르면, 한글 ‘고’는 음운 ‘ㄱ’ 와 ‘ㅗ’로 분리되고,
각각 ‘ㄱ’에 대응되는 알파벳 ‘G’와 ‘ㅗ’에 대응되는 알파벳 ‘O’를 한글 ‘고’를 구성하는 세로 구조와 동일하게 표기하면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3칸으로 구성되는 일실시례에 따르면, 한글 ‘감’는 음운 ‘ㄱ’ 와 ‘ㅏ’와 ‘ㅁ’로 분리되고,
각각 ‘ㄱ’에 대응되는 알파벳 ‘G’와 ‘ㅏ’에 대응되는 알파벳 ‘A’와 ‘ㅁ’에 대응되는 알파벳 ‘M’을 한글 ‘감’를 구성하는 구조와 동일하게 표기하면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3칸으로 구성되는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르면, 한글 ‘곰’은 음운 ‘ㄱ’ 와 ‘ㅗ’와 ‘ㅁ’로 분리되고,
각각 ‘ㄱ’에 대응되는 알파벳 ‘G’와 ‘ㅗ’에 대응되는 알파벳 ‘O’와 ‘ㅁ’에 대응되는 알파벳 ‘M’을 한글 ‘곰’을 구성하는 구조와 동일하게 표기하면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4칸으로 구성되는 일실시례에 따르면, 한글 ‘괌’은 음운 ‘ㄱ’ 와 ‘ㅗ’와 ‘ㅏ’와 ‘ㅁ’로 분리되고 각각 ‘ㄱ’에 대응되는 알파벳 ‘G’와 ‘ㅗ’에 대응되는 알파벳 ‘O’와 ‘ㅏ’에 대응되는 알파벳 ‘A’와 ‘ㅁ’에 대응되는 알파벳 ‘M’을 한글 ‘괌’을 구성하는 구조와 동일하게 표기하면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4칸으로 구성되는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르면, 한글 ‘깎’은 음운 ‘ㄲ’ 와 ‘ㅏ’와 ‘ㄲ’로 분리되고 각각 ‘ㄲ’에 대응되는 알파벳 ‘GG’와 ‘ㅏ’에 대응되는 알파벳 ‘A’와 ‘ㄲ’에 대응되는 알파벳 ‘GG’로 조합되고,
한글 ‘닭’은 음운 ‘ㄷ’ 와 ‘ㅏ’와 ‘ㄹㄱ’로 분리되고 각각 ‘ㄷ’에 대응되는 알파벳 ‘D’와 ‘ㅏ’에 대응되는 알파벳 ‘A’와 ‘ㄹㄱ’에 대응되는 알파벳 ‘RG’로 조합되어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깎’을 구성하는 ‘ㄲ’은 쌍자음이며. ‘닭’을 구성하는 ‘ㄹㄱ’은 겹받침이므로 하나의 음운으로 인식하여 1칸에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10)의 학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에 영상,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신호는 문자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문자가 이미지파일로 저장된 후, 상기 문자 제어부(300)에서 영문 입력 또는 한글 입력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만 학습이 가능하다.
일실시례로, 영문 입력으로 판별되는 경우, 입력된 구 또는 절 형태의 영문을 단어 단위로 쪼개어, 각각의 영문 단어를 전체 이미지로 추출한다.
그리고 단어 단위로 형성된 상기 전체 이미지를 영문 알파벳 단위로 절단하여 각각의 알파벳을 세부 이미지로 추출한다.
상기 세부 이미지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파벳은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구분된 알파벳 자음과 모음에 각각 일대일 대응하는 한글 자음과 모음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서 추출한다.
추출된 한글 자모와 알파벳 자모는 초성과 중성 및 종성으로 조합되는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음절단위로 조합될 수 있다.
이때, 한글의 조합과 같은 방식으로 알파벳이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음절로 조합된 한글과 알파벳은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례로, 한글 입력으로 판별되는 경우, 입력된 구 또는 절 형태의 한글을 음절 단위로 쪼개어, 각각의 한글 음절을 전체 이미지로 추출한다.
그리고 음절 단위로 형성된 상기 전체 이미지를 한글 음운 단위로 절단하여 각각의 음운을 세부 이미지로 추출한다.
상기 세부 이미지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운은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구분된 음운의 자음과 모음에 각각 일대일 대응하는 영문 알파벳 자음과 모음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서 추출한다.
추출된 알파벳 자모와 한글 자모는 초성과 중성 및 종성으로 조합되는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음절단위로 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글의 조합과 같은 방식으로 알파벳이 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음절로 조합된 한글과 알파벳은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즉, 영문을 입력하거나 또는 한글을 입력하여도 한글의 자모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한글과 영문이 같은 형태로 각각 표시되어 한글과 영문을 일대일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한국어 학습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은 한글을 읽지 못하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글 학습 과정에 영어 알파벳을 차용하여 한글 자모 조합 원리의 이해를 도움으로써 한글 학습의 초기 진입장벽을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영문과 한글의 자모를 일대일 대응시킴으로써 외국인들이 한글 학습을 용이하게 하여 한글의 글로벌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100 : 데이터베이스부
200 : 문자 인식부 210 : 데이터 수집부
211 : 음향센서
212 : 센서 모니터링부
220 : 텍스트 절단부
230 : 자모 추출부
300 : 문자 제어부 310 : 글자 학습부
320 : 기본형 학습부
330 : 받침형 학습부
331 : 제1 받침 학습부
332 : 제2 받침 학습부
400 : 문자 표시부

Claims (5)

  1. 기지정된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한글 및 알파벳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를 이미지로 전환하는 문자 인식부;
    기설정된 한글 음절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상기 한글의 자음과 모음에 일대일 대응하는 알파벳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문자 인식부에서 인식된 문자가 적어도 하나의 자음과 적어도 하나의 모음의 조합으로 구성되도록 제어하는 문자 제어부; 및
    상기 문자 제어부에서 구성된 조합이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문자 표시부;를 포함하는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부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음성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입력받는 사용자 문자 데이터 수집부;
    상기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에서 텍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를 1음운 또는 개별 알파벳으로 분리하는 텍스트 절단부; 및
    상기 텍스트 절단부에서 생성된 1음운 또는 개별 알파벳에서 자음 및 모음을 추출하는 자모 추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어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데이터의 문자 음성을 센싱하는 음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센서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음향센서의 평균용량이 기설정된 한계용량보다 큰 경우, 상기 음향센서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 센서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수학식 1]

    (여기서, Aerr은 평균용량, Taver는 상기 음향센서 용량값의 전체평균, Paver는 상기 음향센서 용량값 n개에 대한 일부평균, Tσ는 상기 음향센서 용량값의 전체표준편차를 의미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제어부는,
    자음과 모음으로 형성되는 글자의 조합 형태를 학습하는 글자 학습부;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음으로 구성되는 초성과 적어도 1개 이상의 모음으로 구성되는 중성의 조합으로 1음절을 형성하는 기본형 학습부;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음으로 구성되는 초성과 적어도 1개 이상의 모음으로 구성되는 중성의 조합 외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음으로 구성되는 종성의 조합으로 1음절을 형성하는 받침형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형 학습부는,
    받침이 1개 있는 글자를 조합하는 제1 받침 학습부; 및
    받침이 2개 있는 글자를 조합하는 제2 받침 학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제어부는,
    기지정된 사용자의 단말기에 의해 영문이 입력 처리되는 경우,
    단어 단위로 입력된 영문이 전체 이미지로 추출되고,
    상기 전체 이미지에서 알파벳 단위로 절단한 세부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절단된 알파벳을 기지정된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알파벳과 일대일 대응하는 한글 자음과 모음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한글 자음과 모음을 기지정된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음절 단위로 조합하고,

    상기 문자 제어부는,
    기지정된 사용자의 단말기에 의해 한글이 입력 처리되는 경우,
    음절 단위로 입력된 한글이 전체 이미지로 추출되고,
    상기 전체 이미지에서 음운 단위로 절단한 세부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절단된 음운을 기지정된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음운과 일대일 대응하는 알파벳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알파벳을 기지정된 한글의 자음 모음 조합 원리에 기초하여 음절 단위로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KR1020220116983A 2022-09-16 2022-09-16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KR102662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983A KR102662659B1 (ko) 2022-09-16 2022-09-16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983A KR102662659B1 (ko) 2022-09-16 2022-09-16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323A true KR20240038323A (ko) 2024-03-25
KR102662659B1 KR102662659B1 (ko) 2024-05-07

Family

ID=9047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983A KR102662659B1 (ko) 2022-09-16 2022-09-16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6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5146A (ko) * 2015-11-11 2017-05-19 주식회사 엠글리쉬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KR20200062910A (ko) * 2018-11-27 2020-06-04 주장수 개선된 프랑스어 발음 학습 제공 시스템
KR102191862B1 (ko) * 2020-02-27 2020-12-16 정다이 음성학적 소리의 혼성 분석 기반 한글 및 알파벳 중첩 방법
JP2021089300A (ja) * 2019-12-02 2021-06-10 國立成功大學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多言語音声認識およびテーマ−意義素解析方法および装置
KR20210090538A (ko) * 2020-01-10 2021-07-20 정영훈 한글 및 외국어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5146A (ko) * 2015-11-11 2017-05-19 주식회사 엠글리쉬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및 자국어 표시장치 및 방법
KR20200062910A (ko) * 2018-11-27 2020-06-04 주장수 개선된 프랑스어 발음 학습 제공 시스템
JP2021089300A (ja) * 2019-12-02 2021-06-10 國立成功大學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多言語音声認識およびテーマ−意義素解析方法および装置
KR20210090538A (ko) * 2020-01-10 2021-07-20 정영훈 한글 및 외국어 매칭출력방법 및 그 장치
KR102191862B1 (ko) * 2020-02-27 2020-12-16 정다이 음성학적 소리의 혼성 분석 기반 한글 및 알파벳 중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659B1 (ko) 202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Guinness Early reading instruction: What science really tells us about how to teach reading
KR101217653B1 (ko) 영어 학습 시스템
CARDOSO‐MARTINS Awareness of phonemes and alphabetic literacy acquisition
CN105261246A (zh) 一种基于大数据挖掘技术的英语口语纠错系统
Al Rowais et al. An Arabic framework for dyslexia training tools
Fadillah Pronunciation difficulties of EFL learners in Indonesia: a literature study
US20210151036A1 (en) Detection of correctness of pronunciation
KR102662659B1 (ko) 알파벳 조합에 의한 한글 학습 시스템
US11842718B2 (en) Unambiguous phonics system
KR101447556B1 (ko) 영어 학습 시스템
KR100767715B1 (ko) 영어단어 학습용 카드
KR102054572B1 (ko) 영문 국문 혼합 기호를 포함하는 영어 학습 교재
Stebbins Emergent spelling patterns in Sm’algyax (Tsimshian, British Columbia)
US6375467B1 (en) Sound comprehending and recognizing system
Tolchinsky et al. Explicit word segmentation and writing in Hebrew and Spanish
KR102403107B1 (ko) 외국인을 위한 한글학습교재
Stefani et al. An analysis on the tendency of pronunciation made by students with Indonesian linguistic background
Wright-Carr et al. On the classification of graphs in Central Mexican historical writing
Schroeder Popularizing a Practical Sinama Orthography Based on its Unique Language Features
Torres et al. Another look at the Phonological Features of Lectal Speakers: Re-validation of the Description of the Philippine English’s Phonology
KR102571654B1 (ko) 유아용 한글 교육 교구를 이용한 한글 학습 방법 및 장치
KR100564742B1 (ko) 문자의 음성변환장치 및 방법
Lai Vietnamese Learners’ Two Biggest Problems with English Phonology
KR101853594B1 (ko) 음가 조합 기반의 외국어 학습 시스템
Atthaphonphiphat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for English Final Consonant Sounds of Thai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