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556B1 - 영어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어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556B1
KR101447556B1 KR1020130063339A KR20130063339A KR101447556B1 KR 101447556 B1 KR101447556 B1 KR 101447556B1 KR 1020130063339 A KR1020130063339 A KR 1020130063339A KR 20130063339 A KR20130063339 A KR 20130063339A KR 101447556 B1 KR101447556 B1 KR 101447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llable
vowel
consonant
spelling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락
김선효
Original Assignee
김선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효 filed Critical 김선효
Priority to KR1020130063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어(숙어 또는 문장을 포함)의 학습을 위해 화면에 영어 단어를 출력하되, 상기 단어의 철자 또는 단어로부터 분리된 음절의 철자를 공간, 시각효과(색깔과 띄어쓰기)나 시간효과(순차적으로 화면에 출력) 및 청각효과를 주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학습자가 단어가 아닌 세부적인 음절 및 철자를 순차적으로 인식하여 단어에 대한 발음 및 철자 암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영어 음절 발음 및 철자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어 학습 시스템 {English Learning System}
본 발명은 영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어(숙어 또는 문장을 포함)의 학습을 위해 화면에 영어 단어를 출력하되, 상기 단어의 음절을 공간상으로 분리하여 출력한 후 일정시간 경과후 하나의 단어로 합쳐서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학습자가 음절에 대한 파닉스와 상기 파닉스가 결합된 단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으므로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영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통 및 통신의 발달로 외국과의 교류가 급증하는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영어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기 위해서는 회화에 대한 능력이 매우 중요하지만, 회화를 위해 사용되는 어휘는 단어로 구성되기 때문에 단어를 습득하지 못하면 적절한 대화를 구사할 수 없으므로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기 위해 단어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단어 학습기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은 영어 단어의 발음과 한국어 뜻을 외우는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단어를 구성하는 철자를 충분히 숙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영어 학습 향상을 위해 영어 단어 철자 숙지를 위한 별도의 영어 학습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알파벳 철자의 음소 관계를 정확하게 공부하는 영어 기초 학습 방법인 파닉스 적용을 위해서 알파벳 철자뿐만 아니라 발음을 익힐 수 있는 음절 단위의 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종래의 음절 단위의 영어 학습 시스템은 단어의 음절을 구분하여 출력함으로써 발음 중심의 파닉스 학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영어 학습 시스템은 단어를 음절 단위로 세분화하여 음절 단위의 발음 학습에는 유익할 수 있지만, 음절이 지나치게 강조되어 단어 학습 효과는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어의 단어를 구성하는 음절 단위로 분리하여 출력한 뒤 일정 시간 경과후 분리된 음절이 합쳐진 단어로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파닉스와 단어 학습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영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학습 시스템은 표시부를 통해 단어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으로서, 학습에 제공할 단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단어군 중 하나의 그룹을 추출하고, 상기 그룹에 포함된 단어를 순차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되, 각 단어의 음절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음절을 공간상으로 이격하여 분리시켜 출력한 후 일정시간 경과후 분리된 음절을 하나의 단어로 합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추출된 단어 또는 추출된 문장에 포함된 단어에 대하여 최소 발음 단위인 음절 별로 분리하는 음절 분리 모듈과 상기 음절 분리 모듈에 의해 분리된 음절을 공간상으로 이격하여 분리시켜 출력한 후 일정시간 경과후 분리된 음절을 하나의 단어로 합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텍스트 인터페이스 제어 모듈과 상기 음절 분리 모듈에 의해 분리된 음절 사이에 음절 구분 데이터인 태그를 삽입하고, 상기 태그를 기준으로 음절 별로 구분하여 출력되는 음절과 동기화하여 발음을 출력시키고, 단어로 합쳐서 출력될때 단어와 동기화하여 단어 발음을 출력시키는 TTS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음절 분리 모듈은 "단독모음자", "자음자+모음자", "자음자+모음자+자음자", "모음자+자음자"로 이루어진 4개의 음절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단어 내의 음절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음절 분리 모듈은 상기 음절 분리 규칙 적용시 하기와 같은 합성 자음자는 단일 자음자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ⅰ) 동일한 자음자가 연속하는 경우(단, "cc+모음자", "ll+모음자", "rr+모음자"는 제외)
ⅱ) 다른 자음자가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하나로 발음되는 경우(자음자+h, dg, mn, ck, xy)
ⅲ) 예외적으로 2개의 자음자가 결합되는 경우(s+자음자, 자음자+r, 자음자+l)
또한, 상기 음절 분리 모듈은 상기 음절 분리 규칙 적용시 하기와 같은 합성 모음자는 단일 모음자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ⅰ) 동일한 모음자가 연속하는 경우
ⅱ) 다른 2 이상의 모음자가 연속하는 경우
ⅲ) 예외적으로 모음자가 자음자와 결합되는 경우(모음자+l, 모음자+r, 모음자+x)
ⅳ) 자음자이지만 모음자로 간주되는 경우 (자음자+ y, 단 xy 제외)
그리고 상기 음절 분리 모듈은 순차적으로 철자를 분석하여 4가지 분리 규칙 중 하나의 규칙을 적용하여 음절을 분리하되, 자음자+모음자+자음자가 연속된 경우 다음 철자가 자음자인 경우 "자음자+모음자+자음자" 규칙을 적용하여 분리하고, 다음 철자가 모음자인 경우 "자음자+모음자" 규칙을 적용하여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이후 철자부터 다시 순차적으로 철자를 분석하여 4가지 분리 규칙 중 하나의 규칙을 적용하여 음절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절 분리 모듈은 상기 4개의 음절 분리 규칙 중 하나를 만족한 후 연속하여 나오는 철자가 단어의 마지막 철자인 경우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TTS 모듈은 상기 음절 분리 모듈에 의해 분리된 음절 사이에 음절 구분 데이터인 태그를 삽입하고, 상기 태그를 기준으로 음절 별로 구분하여 출력되는 음절과 동기화하여 발음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어 철자 학습 시스템은 단어의 음절을 분리하고 분리된 음절을 공간상으로 이격시켜 출력한 뒤 일정 시간 경과후 상기 이격된 음절을 하나의 단어로 붙여서 출력함으로써, 시청각을 통해 음절 단위로 분리된 파닉스 학습과 상기 파닉스가 결합된 단어 학습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영어 학습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특히, 학습자는 음절 별로 분리된 단어가 합체되어 하나의 단어로 형성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파닉스가 결합되어 단어를 형성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어 철자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절 분리 규칙이 적용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절 분리 규칙이 적용된 단어의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atent"가 음절 분리 출력 후 음절이 합체된 단어가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어 철자 학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어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예에 따른 단어의 철자가 순차적으로 출력될 때 색상이 바뀌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어가 음절 별로 분리되어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S130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9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S130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고, 도 9c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S130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어의 철자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메뉴가 선택되었을 때 상세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a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b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S130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S130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14a는 상기 제 4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b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모드에서 단어의 철자와 빈칸이 삽입되어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a는 학습자 단말에 영어 학습 시스템이 임베디드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영어 학습 시스템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구성되고,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가 소지한 학습자 단말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온라인 서버로 구축되어 다수의 학습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영어 학습 시스템이 서버로 구성되는 경우 학습자 단말은 영어 학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에이전트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 단말은 컴퓨터, 노트북 등의 컴퓨터 단말뿐만 아니라, 휴대폰, PMP, PDA, 와이브로 단말, 전자사전 등 모든 휴대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서버로 구성되는 경우 학습자 단말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학습 시스템은 단어, 숙어 또는 문장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0)와 상기 단어, 숙어 또는 문장 중 하나의 그룹을 추출하고, 상기 그룹에 포함된 단어, 숙어 또는 문장을 순차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되, 각 단어 를 음절 단위로 분리하고 분리된 음절을 공간상으로 이격시켜 출력한 뒤 일정 시간 경과후 상기 이격된 음절을 하나의 단어로 붙여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단어, 2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숙어 및 문장을 모두 포함하여 단어군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서버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는 학습자를 식별하기 위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가입된 학습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 정보는 학습자 식별코드, 이름, 나이 등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 학습수준/접속횟수/학습 결과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학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는 상기 단어군의 단어가 출력될 때 음절을 분리하고, 분리된 음절을 공간상으로 이격시켜 출력하는 음절 분리 인터페이스와 일정시간 경과후 공간상으로 이격된 음절을 붙여서 하나의 단어로 출력하는 단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는 상기 분리된 음절이 출력될 때 음절에 해당하는 발음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경과후 단어가 합체되어 출력될 때 동시에 단어의 발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는 추출된 단어 또는 추출된 문장에 포함된 단어에 대하여 최소 발음 단위인 음절 별로 분리하는 음절 분리 모듈(111)과 상기 음절 분리 모듈에 의해 분리된 음절을 공간상으로 이격하여 분리시켜 순차적으로 출력한 후 일정시간 경과후 분리된 음절을 하나의 단어로 합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텍스트 인터페이스 제어 모듈(112)과 상기 출력되는 음절 및 단어와 동기화되어 발음을 출력하는 TTS 모듈(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은 음절이 분리되어 출력된 후 상기 분리된 음절이 합체되어 단어가 출력될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고, 학습자 수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일정시간은 학습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음절이 순차적으로 출력된 후 단어가 합체되어 출력되는 시간 간격이 지나치게 짧을 경우 파닉스를 인식하기도 전에 단어가 출력되어 파닉스 학습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시간 간격이 지나치게 길 경우 파닉스를 인식하는 효과는 높일 수 있지만 파닉스와 파닉스가 결합된 단어가 별개로 인식되어 파닉스와 연동된 단어의 학습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적의 시간 간격으로 일정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학습자의 실력 수준에 따라 0.01초 ~ 2초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학습자가 직접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는 분리된 음절을 하나의 단어로 합쳐서 출력한 후 상기 단어의 뜻과 상기 단어의 이미지 또는 연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출력 모듈(1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어가 사과, 전화기 등과 같이 유형물인 경우 이미지로 표현이 가능하며, 행동이나 감정과 같이 직접적인 이미지로 표현이 불가능한 단어의 경우에는 연상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또는 연상 이미지는 단어마다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출력 모듈(114)이 단어와 매핑된 이미지 또는 연상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음절이란 단어가 발음될 때 구분되는 발음 마디로서, 모음자 또는 자음자와 모음자가 결합된 발음의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상기 음절 분리모듈은 음절 분리 규칙을 저장하여 단어를 분석하여 음절을 분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단어의 음절을 분리하는 음절 분리 규칙은 하기와 같이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1) 단독 모음자
2) 자음자 + 모음자
3) 모음자 + 자음자
4) 자음자 + 모음자 + 자음자
이하, 상기 각 규칙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1) 단독 모음자
단어의 어두에 위치하여 모음자 단독으로 음절을 형성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about"의 경우 단독 모음자인 "a"와 "bout"으로 분리되고, "education"의 경우 "e"가 하나의 음절로 분리된다.
2) 자음자 + 모음자
단어 내에 포함된 "자음자 + 모음자"의 결합이 하나의 음절로 분리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sister"의 경우 "자음자+모음자" 결합인 "si"이 하나의 음절로 분리되고, "visit"의 경우 "vi"가 하나의 음절로 분리된다.
3) 자음자 + 모음자 + 자음자
단어 내에 포함된 "자음자 + 모음자 + 자음자+의 결합이 하나의 음절로 분리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condition"의 "con", persist"의 "per"는 "자음자+모음자+자음자"로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분리된다.
4) 모음자 + 자음자
단어 내에 포함된 "모음자+ 자음자"의 결합이 하나의 음절로 분리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engineer"의 "en", "insight"의 "in"은 "모음자와 자음자"로 결합되어 하나의 분절로 분리된다.
기본적으로 음절을 분리하는 규칙은 상기 4가지 경우가 있으며, 세부적으로 상기 4가지 규칙에 적용되는 "자음자"와 "모음자"는 단일자음자와 합성자음자, 단일모음자와 합성모음자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합성자음자는 2개의 자음자가 연속적으로 결합된 것을 의미하고, 합성 모음자는 2개의 모음자가 연속적으로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만일, 하기와 같은 합성자음자는 단일 자음자로 인식한다.
1)동일한 자음자가 연속하여 하나의 자음으로 발음되는 경우 (예를 들어, bb[hobby], dd[dodder], ff[different], gg[aggressive], mm[summer], nn[anniversary], pp[appear], [kiss], tt[mitt], vv[bevvy])는 단일 자음자로 인식한다.
다만, 동일한 자음자가 연속하여 두 개의 자음으로 발음되는 경우 (예를 들어, "cc+모음자"[succeed], "ll+모음자"[collect], "rr+모음자"[arrive])는 두개의 자음자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예에서 succeed는 suc/ceed로, collect는 col/lect로, arrive는 ar/rive로 분리된다.
2)자음자가 두개가 결합되어 하나로 발음되는 경우(자음자+h[chimney, telephone, shine, theory], ck[check], ng[bring], mn[autumn], dg[bridge], ph[telephone], xy[xylophone])는 하나의 자음자로 인식하여 상기 규칙이 적용된다.
또한, 3) 예외적으로 다음과 같은 합성 자음자가 오는 경우 하나의 자음자로 인식한다.
자음자 + L (예를 들어, plan, clide, cluster), 자음자 + R(예를 들어, credible, prasie, breast), S + 자음자(예를 들어, storm, student, score)
그리고 두개의 모음자가 연속하는 경우 역시 하나의 모음자로 인식하여 상기 규칙이 적용된다.
1) 두개의 모음자가 연속하는 경우는 동일한 모음자가 연속되는 경우(예를 들어, aa, ee, ii, oo, uu)와 2) 다른 모음이 연속되는 경우(예를 들어, ae, ai, ei, io, uo, uo 등)를 말한다.
예외적으로 모음자가 3개가 연속적으로 오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도 하나의 모음자로 인식한다.(eau[beautiful], iou[behaviour])
3) 예외적으로 다음과 같은 합성 모음자가 오는 경우 발음을 분리할 수 없으므로 하나의 모음자로 인식한다.
"모음자 +l"(예, element), "모음자 +r"(예, characteristic), "모음자+x"(예, exercise)
예를 들어, element의 경우 "모음자+ㅣ"이므로 규칙에 의해 단일 모음자로 판단하고 뒤에 다시 모음자"e"가 오므로 다시 합성모음자가 되어 "ele" 를 하나의 모음자로 인식하게된다.
4) 자음자이지만 모음자로 인식되는 경우
"자음자+y"(예, study, system, 단 xy 제외)
여기서, "자음자+y"는 합성자음자에 해당하지만 "y"는 실질적으로 모음과 같은 "i"로 발음되므로 예외적으로 "자음자" 다음에 결합된 "y"는 모음자로 간주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음절 분리 규칙을 요약하면 하기의 <표 1>과 같다.
음절분리 규칙 세부 규칙
1) 단독 모음자 0 하기와 같은 합성자음자는 하나의 자음자로 인식한다
1) 동일한 자음자가 연속되어 하나의 자음으로 발음되는 경우 (bb, cc, dd, ff, gg, hh, jj, kk, ll, mm, pp, qq, rr, ss, tt, vv, ww, xx, yy, zz) 단, cc+모음자, ll+모음자, rr+모음자는 제외
2) 두개의 자음이 하나로 발음되는 경우 (자음자+h, dg, mn, ck, xy)
3) 예외 자음자 (s+자음자, 자음자+r, 자음자+l)

0 하기와 같은 합성모음자는 하나의 모음자로 인식한다.
1) 동일한 모음자가 연속되는 경우
2) 다른 두개 이상의 모음자가 연속되는 경우
3) 예외적 적용
-모음자+l
-모음자+r
-모음자+x
-자음자+y (xy 제외)
0 상기 4개의 음절분리 규칙을 만족한후 연속하여 나오는 철자가 마지막 철자인 경우 자음자이던 모음자이던 상관없이 무시한다.
(예, re/turn, per/fume)
2) 자음자 + 모음자
3) 자음자 + 모음자 + 자음자
4) 모음자 + 자음자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절 분리 규칙이 적용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절 분리 규칙이 적용되는 순서도이다.
도 2의 순서도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합성 자음자는 단일 자음자로 간주하고, 합성 모음자는 단일 모음자로 간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절 분리 규칙은 현재 음절 다음에 나오는 철자에 따라 규칙이 적용된다. 즉, 현재의 음절이 상기 4개의 규칙 중 하나에 해당되는지 여부는 이어서 나오는 철자가 새로운 음절로 시작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음절 분리 모듈은 선택된 단어의 제 1철자가 자음자인지 모음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자음자인 경우 합성자음자나 이중모음자를 고려하지 않기로 했으므로, 제 2철자는 모음자가 올 수 밖에 없으며, 제 3 철자 역시 자음자가 올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제 4철자가 모음자인 경우 “자음자+모음자” 규칙에 의해 제 1, 2 철자를 하나의 음절로 분리한다. 즉, 제4철자가 모음자이므로 제3철자와 제4철자가 결합(자음자+모음자)되어 새로운 음절이 형성되기 되기 때문에 제1, 2철자를 분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rose의 경우 제1철자가 자음자(r)이고, 제 2철자가 모음자(o)이고, 제 3철자가 자음자( s)이고, 제 4철자가 모음자(e)이므로 제 1, 2철자인 “ro”가 하나의 음절로 분리된다.
여기서, 제 4철자가 자음자인 경우 “자음자+모음자+자음자” 규칙에 의해 제 1,2,3 철자를 하나의 음절로 분리한다. 즉, 제3철자와 제4철자가 자음자가 연속되므로 제3철자와 제4철자를 결합하더라도 “자음자+자음자”가 되어 새로운 음절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제3철자는 이전 음절의 마지막 철자로 간주하고, 제4철자는 새로운 음절의 첫번째 철자로 간주하여 제1,2,3 철자를 하나의 음절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condition의 경우 제1철자가 자음자( c)이고, 제2철자가 모음자(o)이고, 제3철자가 자음자(n)이지만, 제4철자도 자음자(d)이므로 제1,2,3철자인 “con”이 하나의 음절로 분리된다.
그러나 만일, 제4철자인 자음이 마지막 철자인 경우에는 마지막 철자인 제4철자는 무시하고 분리하지 않고 종료한다.
만일 제1철자가 모음자인 경우, 제2철자는 자음자가 올 수 밖에 없으며, 제3철자가 모음자인 경우 “단일모음” 규칙에 따라 제1철자만이 하나의 음절로 분리된다. 즉, 제3철자가 모음자로 제2철자인 자음자부터 새로운 음절을 시작하므로 제1철자만을 하나의 음절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above의 경우 제1철자가 모음자(a)이고, 제2철자가 자음자(b)이고, 제3철자가 모음자(o)이므로 제1철자인 “a”를 하나의 음절로 분리한다.
여기서, 제3철자가 자음자인 경우 제1, 2철자를 “모음자+자음자” 규칙에 의해 하나의 음절로 분리한다. 즉, 제2철자와 제3철자가 자음자이기 때문에 제3철자부터 새로운 음절을 시작하므로 제1,2철자를 하나의 음절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income의 경우 제1철자가 모음자(i)이고, 제2철자가 자음자(n)이고, 제3철자 역시 자음( c)이므로 제 1,2철자인“in”이 하나의 음절로 분리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절 분리의 예시도이다.
도 3a는 영어단어 "patent"에 대한 것으로, "patent"의 경우 제1철자가 자음자(p)이고, 제2철자가 모음자(a)이고, 제3철자가 자음자(t)이므로 제4철자에 따라 최초 분리되는 음절이 결정된다.
제4철자가 모음자(e)이므로 제3철자부터 의미 있는 음절(자음자+모음자)가 시작되므로 제1,2철자인 "pa"를 제1음절로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제1음절이 분리되면, 분리된 다음 철자인 제3철자부터 다시 음절 분리 규칙이 적용되고, 제3철자가 모음자(t), 제4철자가 자음자(e)이고 제5철자가 자음자(n)이므로 "자음자+모음자+자음자" 음절 분리 규칙을 만족하고, 제6철자가 마지막 철자이므로 제6철자는 무시한다. 따라서, "patent"는 "pa"와 "tent"로만 분리된다.
도 3b는 가장 긴 영어단어인 "floccinaucinihiliphilification"에 대한 것으로, fl는 합성자음자로 하나의 자음자로 간주되므로 묶어서 제1철자가되고, 제2철자는 모음자(o)이고, 제3철자는 자음자(c)이고 다음의 철자가 자음자(c)이므로 역시 제1,2,3철자인 "floc"가 제1음절로 분리된다.
이어서, 제3철자부터 다시 음절 분리 규칙이 적용된다. 이하, 피드백된 제3철자를 제1철자로 간주하기로 한다.
제1철자는 자음자(c)이고, 제2철자는 모음자(i)이고, 제3철자는 자음자(n)이고, 제4철자는 모음자(a)이므로 제1,2철자인 "ci"가 제2음절로 분리된다.
이어서, 제3철자부터 다시 음절 분리 규칙이 적용된다. 제3철자인 자음자(n) 을 다시 제1철자로 고려하고, 제2철자인 모음자(a) 다음에 다시 모음자(u)가 연속되므로 상기 합성모음자(au)가 하나의 모음자로 묶여서 제2철자가 되고, 제3철자는 자음자(c), 제4철자는 모음자(i)가 연속되므로 제1,2철자인 "nau"가 제3음절로 분리된다.
이어서, 역시 제3철자부터 다시 음절 분리 규칙이 적용된다. 제3철자인 자음자(c)를 다시 제1철자로 고려하고, 제2철자인 모음자(i) 다음에 제3철자로 자음자(n)와 제4철자로 모음자(i)가 연속되므로, 역시 제1,2 철자인 "ci"가 제4음절로 분리된다.
이어서, 다시 제3철자인 자음자(n)을 다시 제1철자로 고려하고, 제2철자인 모음자(i) 다음에 제3철자로 자음자(h), 제4철자로 모음자(i)가 연속되므로 제1,2철자인 "ni"가 제5음절로 분리된다.
그리고 다시 제3철자인 자음자(h)를 다시 제1철자로 고려하고, 제2철자인 모음자(i) 다음에 제3철자로 자음자(l), 제4철자로 모음자(i)가 연속되고, 모음자(i) 다음에 자음자 l이 연속되므로, 예외 규칙에 의해 하나의 모음자로 간주되고, 이어서 다시 모음자(i)가 연속되므로, "ili"는 하나의 모음자로 간주되어 제2철자로 인식되고, 제3철자가 자음자 (합성자음자 "ph")이고, 제4철자가 모음자(i)이므로 제1,2철자인 "hili"가 제6음절로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floccinaucinihiliphilification"는 "flo c/ci/ nau/ ci/ ni/ hili/ phili/ fi/ ca/ tion으로 총 10개의 음절로 분리된다.
상기 TTS 모듈(113)은 데이터베이스에 텍스트 형태로 저장된 단어와 동기화되어 해당 단어의 발음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절 분리 모듈(111)에 의해 음절이 분리되면 분리된 음절 사이에 발음을 구분할 수 있도록 구분 데이터인 태그를 추가하고, 상기 TTS 모듈(113)은 상기 태그를 기준으로 음절 별로 구분하여 발음을 송출하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atent"가 음절 분리 출력 후 음절이 합체된 단어가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단어 "Patent"[pætnt]가 음절 분리 모듈(111)에 의해 "pa/ tent"로 분리되면, 상기 분리된 "pa"와 "tent" 사이에 태그가 삽입되고, 텍스트 인터페이스 모듈(112)이 상기 분리된 음절인 "pa"와 "tent"를 순차적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TTS 모듈(113)은 상기 태그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음절 텍스트인 "pa" 와 "tent"를 분리하여 출력될 때 이와 동기화되어 파닉스 발음인 "pa[pæ]"와 "tent[tnt]"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텍스트 인터페이스 모듈(112)은 상기 분리되어 공간상으로 이격되어 출력된 음절을 합체하여 텍스트 단어(Patent)를 출력하고, 상기 TTS 모듈(113)은 상기 텍스트 단어(patent)의 출력과 동기화되어 단어 발음(pætnt)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시각과 청각이 동기화되어 음절단위의 파닉스와 상기 파닉스가 결합된 단어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음절을 합체하여 텍스트 단어(Patent)를 출력한 후 이미지 출력 모듈이 도 4b와 같이 상기 텍스트 단어의 뜻과 이미지 또는 연상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영어 철자 학습 시스템은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통해 그룹 내의 모든 단어군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학습자가 알지 못한다고 선택한 단어군 만을 추출하여 다음 라운드에 제공하고 모르는 단어군이 없을 때까지 라운드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학습 제어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 제어부(12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하기의 영어 철자 학습 방법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어 철자 학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학습자가 영어 철자 학습 시스템을 활성화시키고 학습자가 학습 모드 또는 테스트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S110)
여기서, 학습 모드는 단어군을 철자 순서대로 출력시켜 철자 학습을 유도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테스트 모드는 단어군을 철자 순서대로 출력시키되 적어도 하나의 철자를 빈칸처리하고, 상기 빈칸에 학습자가 직접 철자를 입력하여 철자를 암기하고 있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모드를 말한다.
학습자가 학습 모드를 선택한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부(110)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단어군 중 학습할 단어군 그룹을 선택한다. (S120)
여기서, 상기 단어군 그룹이란, 영어 철자 학습을 위해 다수개의 단어군을 묶어서 그룹화한 것을 의미하고, 동일한 난이도의 단어군을 다수 개를 묶어서 그룹핑할 수도 있고, 하나의 그룹 안에 다양한 난이도의 단어군을 다수 개를 묶어서 그룹핑할 수 있다. 상기 난이도는 어휘에 따라 중학수준, 고교수준, 토익수준, 토플수준, GRE 수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단어를 위주로 학습할 경우 단어만을 그룹핑할 수 있으며, 문장을 위주로 학습할 경우 문장만을 그룹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룹핑된 단어군 추출시 학습자가 도 6과 같이 저장된 단어군 중 직접 특정 범위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6a는 단어의 예로서 10번에서 20번까지의 단어를 그룹으로 선택한 경우의 예시이고, 이때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단어군이 넘버링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도 6b는 난이도 별로 미리 그룹핑되어 저장된 단어군 목록 중에서 학습자가 특정 그룹을 선택한 경우의 예시이고, 이때는 미리 단어군 그룹을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도 6c와 같이 학습자가 학습할 단어군의 수만을 입력하고 무작위 추출 알고리즘에 의해 입력된 개수만큼의 단어군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무작위로 추출하여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인터페이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추출된 그룹의 단어군을 순차적으로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되 각 단어군의 철자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제 1 라운드 학습을 수행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제어부(110)는 상기 철자가 출력될 때 학습자의 집중을 유도하기 위해 타자음이 동시에 출력되거나, 도 7과 같이 철자마다 다른 색으로 표시되거나 해당 철자의 알파벳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어 또는 어구의 음절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부의 음절 분리 모듈이 단어 또는 어구의 음절을 분리하고, 인터페이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분리된 음절의 철자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되 음절의 구분을 위해 음절 사이에 공간을 두거나 음절 별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8a와 같이 음절 사이에 공간을 두어 출력하면서 TTS 모듈이 해당 음절 발음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8b와 같이 분리된 음절에 대해서 철자별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도 8c와 같이 분리된 음절 전체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단어 출력시 하부에 발음기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라운드 학습 결과 학습자가 선택된 그룹 내 모르는 단어군 만을 추출하여 다음 라운드를 수행하여 그룹 내 모르는 단어군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라운드 학습을 반복한다.(S130)
상기 S130 단계는 하기와 같은 다수 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S130 단계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S130 단계(라운드 학습 단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그룹 내의 단어군(그룹 전체 단어군의 수를 M개라고 가정) 중 첫번째 단어군의 철자 또는 음절들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S131)
예를 들어, 단어가 "Patent"인 경우 도 10과 같이 "p", "a", "t", "e", "n", "t"가 일정 시간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만일, 음절 분리 규칙이 적용된 경우 분리된 음절 "pa"와 "tent"가 공간상으로 분리되어 동시에 출력되거나, 분리된 음절 "pa"와 "tent"가 공간 또는 색상으로 구분되어 음절의 철자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각 단어군의 모든 철자가 출력된 뒤 학습자는 아는 단어군인 경우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통과"메뉴를 선택하고(S132a), 모르는 단어군인 경우 "학습"메뉴를 선택한다. (S132b)
여기서, "통과"메뉴가 선택되면 현재 출력된 단어군에 제거 플래그를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133a), 다음 단어군이 출력되고(134a), "학습"메뉴가 선택되면 도 11a와 같이 해당 단어군의 상세 정보가 출력된다.(S133b)
여기서, "통과" 메뉴는 단어군의 학습이 완료된 경우에 입력되는 버튼이고, "학습" 메뉴는 학습이 필요한 경우에 입력되는 버튼이다.
그리고 학습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도 11b와 같이 해당 단어를 이전과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단어와 문장의 상세정보를 이격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통과"메뉴 없이 하나의 단어군이 출력된 뒤 설정된 일정시간(예를 들어, 5초)이 도과하면 아는 단어군으로 판단하여 제거 플래그를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세 정보는 단어의 경우 뜻, 예문, 파생어, 어원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문장의 경우 뜻, 문장에 포함된 단어의 뜻, 적용 문법, 적용 문법의 다른 예문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세 정보는 한국이 아닌 타 국민들을 위한 영어 학습을 위해 영어와 다른 제 2 외국어(예를 들어, 중국어, 일어 등)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세 정보가 출력되어 단어군에 대해 학습을 수행한 후, 학습이 완료된 경우 "통과"메뉴를 선택하고, 학습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반복"메뉴를 선택한다.
상기 "통과"메뉴가 선택되면 S133a이하 단계가 수행되고, "반복" 메뉴를 선택하면 학습한 단어군에 대한 제거 플래그 추가 없이 다음 단어군이 출력된다.(S134b)
다음 출력되는 단어군에 대해 상기 S131 내지 S134 단계를 그룹 내의 단어군이 모두 출력될 때까지 반복하여 현재 라운드를 종료한다.(S135)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 12a와 같이 "통과"메뉴만 제공되거나, 도 12c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라 "반복"메뉴만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S130 단계의 상세 블럭도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S130 단계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는 "반복"메뉴가 제거된 것으로, 상기 제 1 실시예의 S133b 단계에서 "학습" 메뉴가 선택되어 상세 정보가 출력된 후,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학습이 완료되지 않은 단어군으로 간주하여 해당 단어군에 제거 플래그를 추가하지 않고 저장하는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단계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9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통과"메뉴가 없는 대신 해당 단어군이 암기하거나 학습이 완료된 단어군일 경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학습이 완료된 단어로 간주하여 단어군에 제거 플래그를 추가하여 저장하고, 다음 단어군이 출력된다.
여기서, 학습이 필요한 경우 학습자는 "학습"메뉴를 선택하고, "학습"메뉴가 선택되면 해당 단어군에 대한 상세 정보가 출력된다. 상기 출력된 상세정보를 토대로 학습을 수행한 후 학습이 완료된 경우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단어군에 제거 플래그를 추가하여 저장하고 다음 단어군이 출력되고, "반복"메뉴가 입력된 경우 단어군에 제거 플래그를 추가하지 않고 저장하고 다음 단어군이 출력된다.
즉, 제 1 실시예는 학습자가 학습이 완료된 단어를 "통과"메뉴에 의해 다음 라운드에서의 출력을 제거하는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하는 반면, 제 2 실시예는 학습자가 학습이 더 필요한 단어를 "반복"메뉴"에 의해 다음 라운드에서의 출력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한다.
현재 라운드가 종료되면, 현재 라운드에 출제된 단어군 중 알지 못해서 "학습"메뉴를 선택한 단어군(제거 플래그가 없는 단어군)만을 다시 추출해서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S131 내지 S135 단계를 반복하여 다음 라운드를 수행하고, 다음 라운드에 출제된 단어군 중 알지 못해서 "학습"메뉴를 선택한 단어군(제거 플래그가 없는 단어군)만을 다시 추출해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그룹 내의 전체 단어군 중 제거 플래그가 없는 단어군이 없을때 까지 라운드를 반복한 후 학습 모드를 종료한다. (S136)
도 13은 도 2의 S130 단계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상세 순서도이고, 도 14a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및 14a를 참조하여 제 4 실시예에 따른 S130 단계(라운드 학습 단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그룹 내의 단어군(그룹 전체 단어군의 수를 M개라고 가정) 중 첫번째 단어군의 철자 또는 음절들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S331)
예를 들어, 단어가 "Patent"인 경우 도 6과 같이 "p", "a", "t", "e", "n", "t"가 일정 시간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만일, 음절 분리 규칙이 적용된 경우 분리된 음절 "pa"와 "tent"가 공간상으로 분리되어 동시에 출력되거나, 분리된 음절 "pa"와 "tent"가 공간 또는 색상으로 구분되어 음절의 철자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각 단어군의 모든 철자가 출력된 뒤 설정된 일정 시간(예를 들어, 2초) 경과후 상기 단어군의 상세 정보가 자동적으로 출력된다.(S332) 또한, 상기 단어군의 출력과 동시에 상세 정보가 자동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단어군의 철자와 상세 정보가 출력되는 도중 또는 출력이 완료된 후 학습자가 암기한 단어이거나 아는 문장인 경우 "통과"버튼 메뉴를 선택한다.(S333a)
상기 "통과" 메뉴가 선택되면 출력된 문장 또는 단어에 대하여 제거 플래그를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333b)
그리고 출력된 단어가 암기가 안되었거나 모르는 문장인 경우 "통과" 메뉴를 선택하지 않으면 설정된 일정시간(예를 들어, 2초)이 경과되면 제거 플래그를 추가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334)
이어서, 상기 S331 내지 S334 단계를 그룹 내의 단어군이 모두 출력될 때까지 반복하여 현재 라운드를 종료한다.(S335)
또한, 제 5 실시예에 따라 도 13b와 같이 "통과"메뉴 대신 "반복"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S130 단계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통과"메뉴가 없는 대신 해당 단어군이 암기하거나 학습이 완료된 단어군일 경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학습이 완료된 단어로 간주하여 단어군에 제거 플래그를 추가하여 저장하고, 다음 단어군이 출력된다. 여기서, "반복"메뉴가 입력된 경우 단어군에 제거 플래그를 추가하지 않고 저장하고 다음 단어군이 출력된다.
즉, 제 1 실시예는 학습자가 학습이 완료된 단어를 "통과"메뉴에 의해 다음 라운드에서의 출력을 제거하는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하는 반면, 제 2 실시예는 학습자가 학습이 더 필요한 단어를 "반복"메뉴"에 의해 다음 라운드에서의 출력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한다.
현재 라운드가 종료되면, 현재 라운드에 출력된 단어군 중 제거 플래그가 없는 단어군 만을 다시 추출해서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S131 내지 S135 단계를 반복하여 다음 라운드를 수행하고, 다음 라운드에 출제된 단어군 중 제거 플래그가 없는 단어군만을 다시 추출해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그룹 내의 전체 단어군 중 제거 플래그가 없는 단어군이 없을때 까지 라운드를 반복한 후 학습 모드를 종료한다. (S336)
학습 모드가 종료한 후 학습자가 테스트 모드를 선택할 경우 테스트 모드에 제공될 단어군 그룹을 선택한다.(S210)
여기서, 테스트 모드에 제공될 단어군 그룹은 학습모드를 통해 학습이 종료된 그룹이 선택될 수 있으며, 학습자가 선택한 다른 그룹 또는 인터페이스 제어부에 의해 무작위로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단어군을 학습모드와 동일하게 순차적으로 출력되되, 도 15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철자가 빈칸으로 처리되어 출력하여 테스트 제 1 라운드를 수행한다. (S220)
여기서, 각 단어군에 대한 철자와 삽입된 빈칸이 순차적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출력된 후 영어 단어의 한글 뜻이 병기될 수 있다.
학습자는 상기 빈칸에 해당될 철자를 직접 입력하여 "종료" 메뉴를 선택하고 정답일 경우 제거 플래그를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뒤 다음 단어군을 출력하고, 오답일 경우 정답을 표시한 후 제거 플래그 추가 없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다음 출력되는 단어군에 대해 상기 S220 및 S230 단계를 그룹 내의 단어군이 모두 출력될 때까지 반복하여 테스트 제 1라운드를 종료한다.
테스트 제 1라운드가 종료하면 제 1 라운드에 출제된 단어군 중 오답을 입력한 단어군(제거 플래그가 없는 단어군)만을 다시 추출해서 순차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빈칸이 포함된 단어군을 출력하여 상기 S130 내지 S150 단계를 반복하여 테스트 제 2라운드를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제 2라운드에서 출제되는 단어군의 빈칸은 제 1 라운드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지만,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제 1 라운드와 다른 철자에 빈칸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완성된 단어 중 적어도 하나의 철자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빈칸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이어서, 제 2라운드에 출제된 단어군 중 오답을 입력한 단어군(제거 플래그가 없는 단어군)만을 다시 추출해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그룹내의 전체 단어군 중 제거 플래그가 없는 단어군이 없을때 까지 테스트 라운드를 반복한 후 학습 모드를 종료한다. (S23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표시부를 통해 단어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으로서,
    학습에 제공할 단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단어군 중 하나의 그룹을 추출하고, 상기 그룹에 포함된 단어를 순차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되, 각 단어의 음절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음절을 공간상으로 이격하여 분리시켜 출력한 후 일정시간 경과후 분리된 음절을 하나의 단어로 합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시청각을 통해 음절 단위로 분리된 파닉스 학습과 동시에 음절 별로 분리된 단어가 합체되어 하나의 단어로 형성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파닉스가 결합되어 단어를 형성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영어 학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추출된 단어 또는 추출된 문장에 포함된 단어에 대하여 최소 발음 단위인 음절 별로 분리하는 음절 분리 모듈과;
    상기 음절 분리 모듈에 의해 분리된 음절을 공간상으로 이격하여 분리시켜 출력한 후 일정시간 경과후 분리된 음절을 하나의 단어로 합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텍스트 인터페이스 제어 모듈과;
    상기 음절 분리 모듈에 의해 분리된 음절 사이에 음절 구분 데이터인 태그를 삽입하고, 상기 태그를 기준으로 음절 별로 구분하여 출력되는 음절과 동기화하여 발음을 출력시키고, 단어로 합쳐서 출력될때 단어와 동기화하여 단어 발음을 출력시키는 TTS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절 분리 모듈은
    "단독모음자", "자음자+모음자", "자음자+모음자+자음자", "모음자+자음자"로 이루어진 4개의 음절 분리 규칙을 적용하여 단어 내의 음절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절 분리 모듈은
    상기 음절 분리 규칙 적용시
    하기와 같은 합성 자음자는 단일 자음자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
    ⅰ) 동일한 자음자가 연속하는 경우(단, "cc+모음자", "ll+모음자", "rr+모음자"는 제외)
    ⅱ) 다른 자음자가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하나로 발음되는 경우(자음자+h, dg, mn, ck, xy)
    ⅲ) 예외적으로 2개의 자음자가 결합되는 경우(s+자음자, 자음자+r, 자음자+l)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절 분리 모듈은
    상기 음절 분리 규칙 적용시
    하기와 같은 합성 모음자는 단일 모음자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
    ⅰ) 동일한 모음자가 연속하는 경우
    ⅱ) 다른 2 이상의 모음자가 연속하는 경우
    ⅲ) 예외적으로 모음자가 자음자와 결합되는 경우(모음자+l, 모음자+r, 모음자+x)
    ⅳ) 자음자이지만 모음자로 간주되는 경우 (자음자+ y, 단 xy 제외)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절 분리 모듈은
    순차적으로 철자를 분석하여 4가지 분리 규칙 중 하나의 규칙을 적용하여 음절을 분리하되,
    자음자+모음자+자음자가 연속된 경우 다음 철자가 자음자인 경우 "자음자+모음자+자음자" 규칙을 적용하여 분리하고, 다음 철자가 모음자인 경우 "자음자+모음자" 규칙을 적용하여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이후 철자부터 다시 순차적으로 철자를 분석하여 4가지 분리 규칙 중 하나의 규칙을 적용하여 음절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절 분리 모듈은
    상기 4개의 음절 분리 규칙 중 하나를 만족한 후 연속하여 나오는 철자가 단어의 마지막 철자인 경우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TTS 모듈은
    상기 음절 분리 모듈에 의해 분리된 음절 사이에 음절 구분 데이터인 태그를 삽입하고, 상기 태그를 기준으로 음절 별로 구분하여 출력되는 음절과 동기화하여 발음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인터페이스 제어 모듈은
    상기 일정시간을 0.01 ~ 2초 사이에서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
















KR1020130063339A 2013-06-03 2013-06-03 영어 학습 시스템 KR10144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39A KR101447556B1 (ko) 2013-06-03 2013-06-03 영어 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39A KR101447556B1 (ko) 2013-06-03 2013-06-03 영어 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556B1 true KR101447556B1 (ko) 2014-10-08

Family

ID=5199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339A KR101447556B1 (ko) 2013-06-03 2013-06-03 영어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5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667A (ko) 2015-05-13 2016-11-23 승서영 구조 단위를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
CN108345469A (zh) * 2017-01-22 2018-07-31 北京新唐思创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在线教学通用课件的互动方法及其装置
KR101887668B1 (ko) 2017-12-08 2018-08-13 전승엽 랩송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CN109935114A (zh) * 2019-04-18 2019-06-25 江苏海事职业技术学院 一种英语拼图教学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53B1 (ko) * 2009-08-14 2013-01-02 오주성 영어 학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53B1 (ko) * 2009-08-14 2013-01-02 오주성 영어 학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667A (ko) 2015-05-13 2016-11-23 승서영 구조 단위를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
CN108345469A (zh) * 2017-01-22 2018-07-31 北京新唐思创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在线教学通用课件的互动方法及其装置
KR101887668B1 (ko) 2017-12-08 2018-08-13 전승엽 랩송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CN109935114A (zh) * 2019-04-18 2019-06-25 江苏海事职业技术学院 一种英语拼图教学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653B1 (ko) 영어 학습 시스템
CN110706536B (zh) 一种语音答题方法及装置
RU2002127826A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языка распознаваемого текста при многоязычном распознавании
CN105261246A (zh) 一种基于大数据挖掘技术的英语口语纠错系统
JP2006190006A5 (ko)
KR20180000990A (ko)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101447556B1 (ko) 영어 학습 시스템
JP6460286B2 (ja) 情報提示装置、および情報提示方法
KR102078626B1 (ko)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KR101277514B1 (ko) 영어 학습 시스템
KR102292477B1 (ko) 외국어 말하기 학습 서버 및 방법
CN109002454B (zh) 一种确定目标单词的拼读分区的方法和电子设备
CN111710328A (zh) 语音识别模型的训练样本选取方法、装置及介质
KR20110005624A (ko) 영어 학습 시스템
CN110097880A (zh) 一种基于语音识别的答题判定方法及装置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CN109919657A (zh) 用户需求信息的获取方法、装置、存储介质及语音设备
KR20130069705A (ko) 영어 학습 시스템
WO2016028008A1 (ko) 시청각 정보의 부분 통제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KR102361205B1 (ko) 발음 교정 시스템의 구동 방법
JP4432079B2 (ja) 外国語学習装置
Akis et al. Analyzing Error of English Pronunciation as Foreign Language in First Semester at Eleventh Grade in SMA Muhammadiyah 1 Makassar
KR20110039747A (ko) 외국어 학습을 위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Fraser Spoken word recognition
KR20230145684A (ko) 음절 분리를 통한 영어 학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