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635A -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635A
KR20080081635A KR1020070021939A KR20070021939A KR20080081635A KR 20080081635 A KR20080081635 A KR 20080081635A KR 1020070021939 A KR1020070021939 A KR 1020070021939A KR 20070021939 A KR20070021939 A KR 20070021939A KR 20080081635 A KR20080081635 A KR 20080081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nglish
word
waveform
foreign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0085B1 (ko
Inventor
윤창훈
Original Assignee
윤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훈 filed Critical 윤창훈
Priority to KR1020070021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085B1/ko
Publication of KR2008008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국어 학습의 기본이 되는 듣기, 읽기, 말하기가 하나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학습자에게 성취욕을 느끼게 해주며, 학습시간의 대폭적인 감소와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고, 외국어 어순에 따른 끊어듣고, 끊어 읽는 방법을 습관화 시킴으로써 학습자가 외국어의 듣고 읽는 능력을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직청 직해가 습관화 되면서 읽는 학습이 곧 듣기 학습이 됨은 물론 듣기 학습이 읽고 쓰는데 서로서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게 되므로 올바른 직청 학습과 효율적인 독해를 통해 단기간내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외국어 학습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국어, 자료제공서버, 단말기, CPU, 표시부, 메인화면, 파형학습, 독해속도측정, 이미지속독, 취약어 집중듣기, 말하기, 영작, 어휘,

Description

외국어 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Language lear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의 외국어 학습장치를 보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의 외국어 학습장치 및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외국어 학습을 위한 메인화면을 보인 도면.
도 4 는 메인화면에 영어 구문이 출력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메인화면에 출력된 영어구문에 대한 한글번역문 출력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파형학습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파형추출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8 은 파형학습과정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파형샘플링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파형학습과정에서 화면에 출력된 파형출력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독해속도측정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11 은 독해속도 자동측정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12 는 독해속도 측정과정에서 측정된 독해속도의 출력예를 보인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의 이미지 속독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14 는 본 발명의 이미지 속독화면을 보인 도면.
도 15 는 본 발명의 취약어 집중듣기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16 은 본 발명의 취약어 집중듣기화면을 보인 도면.
도 17 은 본 발명의 말하기 영작과정 중 1단어씩 표시되는 말하기 영작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18 은 본 발명의 말하기 영작과정 중 구.절 단위로 표시되는 말하기 영작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19 는 구절단위 말하기 영작화면을 보인 도면.
도 20 은 본 발명의 어휘훈련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21 은 본 발명의 어휘훈련과정화면을 보인 도면.
도 22 는 본 발명의 단어학습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23 은 본 발명의 단어학습화면을 보인 도면.
도 24 는 본 발명의 단어학습장 추출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25 는 본 발명의 단어학습장 추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료제공서버, 2: 단말기,
3: 파형표시영역, 4: 모드선택영역,
5: 구문표시영역, 6: 기능선택영역,
21: 통신부, 22: 데이타 저장부,
23: 마이크, 24: 스피커,
25: CPU, 26: 파형측정부,
27: 화면구성부, 28: 표시부,
29: 입력부, 30: 저장부,
31: 재생부,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국어 학습의 기본이 되는 듣기, 읽기, 말하기가 하나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학습자에게 성취욕을 느끼게 해주며, 학습시간의 대폭적인 감소와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고, 외국어 어순에 따른 끊어듣고, 끊어 읽는 방법을 습관화 시킴으로써 학습자가 외국어의 듣고 읽는 능력을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직청 직해가 습관화 되면서 읽는 학습이 곧 듣기 학습이 됨은 물론 듣기 학습이 읽고 쓰는데 서로서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게 되므로 올바른 직청 학습과 효율적인 독해를 통해 단기간내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외국어 학습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외국어 학습방법으로는 학습자가 듣기, 읽기, 회화, 쓰기 등의 외국어 습득을 위해 뉴스청취, 학원, 학습교재, 전화를 이용한 말하기 훈련을 각각 따로따로 훈련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듣기, 읽기, 회화, 쓰기등의 외국어 학습을 각각 따로 따로 훈련함으로써 외국어 습득을 위해 가장 중요한 반복 효과가 저해되어 학습효율이 떨어지게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통문장 암기에 의한 외국에 훈련시 지속적인 단어 및 문장의 활용이 수반되지 않으면 학습자는 곧 문장을 망각하게되어 다시 기억속에서 꺼내기 위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또한 학습효율이 낮아지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대부분이 테이프 등을 활용하여 외국어를 청취하기 때문에 단어에 대한 억양 및 문장에 대한 리듬 학습이 사실상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DVD와 같은 영상매체를 이용한 외국어 듣기학습은 상황에 따른 표현 방법 등을 익힐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현란한 동영상으로 인하여 소리에 집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문장단위의 어학 청취학습 시스템은 문장단위 또는 줄 단위로 번역을 유도하므로 학습자에게 영문장을 거꾸로 번역하게 하는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의 기본이 되는 듣기, 읽기, 말하기가 하나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학습자에게 성취욕을 느끼게 해주며, 학습시간의 대폭적인 감소와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고, 외국어 어순에 따른 끊어듣고, 끊어 읽는 방법을 습 관화 시킴으로써 학습자가 외국어의 듣고 읽는 능력을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직청 직해가 습관화 되면서 읽는 학습이 곧 듣기 학습이 됨은 물론 듣기 학습이 읽고 쓰는데 서로서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게 되므로 올바른 직청 학습과 효율적인 독해를 통해 단기간내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외국어 학습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외국어로서 영어를 예로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외국어 학습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 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2)에 외국어 학습을 위한 영어예문 데이타, 한글 번역데이타, 음성파일, 이미지 정보, 시간구분정보 데이타를 제공하는 자료제공서버(1)와;
인터넷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자료제공서버(1)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타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파형추출, 독해속도측정, 이미지 속독, 취약어 집중듣기, 말하기 영작, 어휘훈련 및 단어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메인화면 및 여러가지 학습화면을 제공하는 단말기(2);
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2)는 인터넷을 통한 데이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21)와; 상기 통신부(21)를 통해 자료제공서버(1)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 저장부(22)와; 사용자의 외국어 말하기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23)와; 메인화면에 출력되는 영어 문장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스피커(24)와; 외국어 학습을 위한 메인화면이 표시부(28)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메인화면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종 외국어 학습기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CPU(25)와; 상기 CPU(25)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2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로 부터 사용자 영어발음의 파형을 측정하여 CPU(25)에 공급하는 파형측정부(26)와; 상기 CPU(25)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할 메인화면 및 다양한 학습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화면구성부(27)와; 상기 화면구성부(27)에서 구성된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28)와; 표시부(28)를 통해 출력된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학습모드 및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9)와; 상기 마이크(2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데이타 저장부(22)에 저장시키는 저장부(30)와; 상기 데이타 저장부(22)에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을 스피커(24)를 통해 재생 출력하는 재생부(31); 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되는 단말기(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개인 컴퓨터 또는 별도로 외국어 학습을 위해 제작된 단말기로 구현한다.
사용자가 단말기(2)를 초기 작동시킬때에는 통신부(21)를 통해 자료제공서버(1)로부터 영어학습을 위한 데이타(외국어 학습을 위한 영어예문 데이타, 한글 번역데이타, 음성파일, 이미지 정보, 시간구분정보 데이타)가 전송되어 데이타 저 장부(22)에 저장되고, CPU(25)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외국어 학습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데이타 저장부(22)에 저장된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메인화면이 출력되도록 화면구성부(27)를 제어하고, 상기 화면구성부(27)는 CPU(25)의 제어에 따라 도 3 과 같은 메인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28)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28)는 CRT모니터, LCD모니터 등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로 구현한다.
상기 메인화면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형표시영역(3), 모드선택영역(4), 구문표시영역(5) 및 기능선택영역(6)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파형표시영역(3)은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된 영어구문의 원어민 발음에 의한 파형(억양)과 사용자가 말하는 영어발음에 대한 파형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상기 모드선택영역(4)은 영어 학습자가 난이도(예시:초급, 중급, 고급, 영화, 영어노래, 중학교, 고등학교 등)를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다.
상기 구문표시영역(5)은 초기 메인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영어구문의 제목이 표시되고, 이후 사용자가 어느 제목을 선택하면 해당 제목에 대응하는 영어구문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상기 기능선택영역(6)은 조절단추, 학습단위, 문자감추기, 음성녹음/듣기, 학습진행, 독해속도, 반복조정, 자동속도조절 등 영어학습시 필요한 다양한 기능키이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과 같은 메인화면이 표시부(28)를 통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29)를 통해 외국어 학습모드를 선택하면, CPU(25)는 사용자가 선택한 학습모드가 이루어지도록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게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해 이루어지는 외국어 학습내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하나의 장치에 의해서 듣기훈련, 읽기훈련, 말하기영작, 어휘암기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며, 이러한 기능에 의해서 사용자는 영어학습효율을 높여줄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 3 은 앞서 설명한 바와같은 메인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 는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제목에 대한 영어구문이 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 는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영어구문에 대응하는 한글 번역구문이 표시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입력부(29) 조작에 의해 외국어 학습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CPU(25)가 화면구성부(27)를 제어하여 표시부(28) 상에 메인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메인화면 표시과정과;
메인화면 표시 이후 CPU(25)가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를 기다리는 사용자 선택과정과;
사용자가 특정 외국어 학습 기능을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영어구문 또는 한글 구문이 표시부(28)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여 영어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 문표시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화면 표시과정은 사용자가 단말기(2)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영어학습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상태로서, CPU(25)가 도 3 과 같은 메인화면이 표시부(28)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선택과정은 표시부(28)를 통해 출력된 메인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영어학습을 위한 다양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상기 구문표시과정은 사용자의 기능 선택에 의하여 영어학습에 필요한 영어구문을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하는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파형학습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출력하는 단계와;
영어문장의 끊어읽기 첫 소절의 영어 원어민 발음을 스피커(24)를 통해 출력하면서 그 발음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파형을 파형표시영역(3)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원어민 발음을 따라서 발음하는 음성정보를 마이크(23)로 부터 취득하여 사용자 발음의 파형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사용자 발음의 파형을 파형표시영역(3)에 표시하는 단계; 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발음의 파형 추출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크(2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발음정보, 즉, 오디오신호를 파형측정 부(26)가 취득하고, 취득된 오디오신호에서 초당 10~20개의 오디오데이타를 샘플링하여 음높이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타 저장부(22)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파형 측정부(26)는 사용자의 오디오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발음한 문장의 시작부터 종료시점 까지의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CPU(25)로 공급한다.
상기 CPU(25)는 파형 측정부(26)에 의해 추출된 음높이정보와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발음의 파형을 생성하여 파형표시영역(3)에 표시한다.
상기 설명과 같은 파형학습과정은 사용자가 메인화면의 모드선택영역(4)에서 자신의 영어실력에 맞는 난이도 및 학습모드를 선택하고,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된 제목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도 4 와 같이 특정 영어문장이 표시된다.
그리고, 메인화면의 기능선택영역(6)에서 학습단위의 끊어읽기를 선택하면, CPU(25)의 제어에 따라 끊어읽기 첫번째 소절에 대한 원어민 발음이 스피커(24)를 통해 출력되면서 그 원어민 발음에 대하여 데이타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파형이 파형표시영역(3)에 표시된다.
원어민 발음을 청취한 사용자가 해당 소절을 읽게 되면,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23)를 통해 오디오신호로 변환되고, 파형측정부(26)는 오디오신호를 초당 10~20개 샘플링하면서 도 8 (a)(b)와 같이 음높이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사용자의 발음 시작부터 종료시점까지의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CPU(25)로 공급한다.
상기 CPU(25)는 파형측정부(26)에서 제공되는 음높이정보와 시간정보를 활용 하여 사용자의 파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형을 메인화면의 파형표시영역(3)에 원어민의 발음 파형에 중첩시켜 표시한다.
도 9 는 파형표시영역(3)에 원어민 발음 파형(A)과 사용자의 발음 파형(B)이 중첩되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와같이 원어민 발음 파형(A)과 사용자 발음 파형(B)이 중첩되어 표시되면 사용자가 자신의 억양 및 리듬에서 잘못된 부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원어민 리듬과 똑같은 파형으로 발음한다는 것은 실제 불가능하나 파형을 보면서 음높이의 최고점과 최저점에 초점을 두고 억양감각만 익히면 쉽고 빠르고 자연스럽게 원어민의 리듬을 체득할 수 있게되며, 되도록이면 원어민 발음 파형과 동일하게 발음하려고 노력하게 되므로 영어 발음 학습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독해속도 측정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영어구문에 대한 단어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영어구문을 독해하면서 조작하는 스페이스바 또는 마우스의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된 영어구문 중 끊어읽기 소절 단위로 현재 사용자가 읽어가는 부분을 화면표시하고, 이와동시에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읽어가는 문장의 총 단어수와 경과시간을 이용하여 독해속도를 연 산하여 기능선택영역(6)의 독해속도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독해속도 연산은 "독해속도=누적단어수/총경과시간"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연산된 독해속도를 실시간으로 화면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독해속도 측정과정은,
사용자가 선택한 영어구문을 도 12 와 같이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하고, CPU(25)는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된 영어문장의 총 단어수를 측정한다.
사용자는 영어구문을 독해하면서 스페이스바를 누르거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독해하는 문장의 위치를 입력하게되고, CPU(25)는 사용자의 스페이스바 입력 또는 마우스 입력에 대응하여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된 영어문장의 끊어읽기 소절 단위로 현재 독해되고 있는 위치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독해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CPU(25)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독해속도를 연산하게되는데, 그 독해속도의 연산은 "독해속도=누적단어수/총경과시간"에 의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영어문장의 끝부분까지 독해를 완료하면 전체적인 누적단어수와 총경과시간을 이용하여 독해속도를 연산하고, 그 연산결과를 기능선택영역(6)의 독해속도 영역에 표시하게된다.(도 12참조)
상기 CPU(25)는 사용자가 영어문장을 독해하는 속도에 추종하여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독해속도 연산결과를 상기 기능선택영역(6)의 독해속도영역에 표시하게 된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특정 영어구문에 대한 자신의 독해속도를 측정할 수 있게되고, 독해속도가 목적하는 시간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지속적으로 연습하여 독해속도를 줄여갈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원어민이 읽는 책의 독해속도는 동화책은 120단어/1분당, 고등학교 수준은 140단어/1분당, 그리고 CN뉴스등은 160단어/1분당으로 최소한 직청 직해가 가능하려면 이보다 20% 향상되어야 한다고 한다. 따라서 CNN뉴스를 듣기 위해서 1분당 192단어의 독해속도를 유지해야 어려움없이 듣기가 가능한 기본 능력이 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염두에 두고 학습하면 최단시간내 청취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독해속도 측정시에도 사용자가 영어구문의 끊어읽기 소절에 따라 영어문장을 직독 직해하게 되므로 독해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도 11 은 독해속도측정과정을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독해속도를 미리 설정해놓고 그 설정된 독해속도에 따라 영문독해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독해속도 측정과정의 다른 실시예는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출력하는 단계와;
CPU(25)가 사용자가 목적하는 독해속도의 입력을 기다리는 단계와;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 독해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영어구문의 끊어읽기 소절 별 독해 진행속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독해 진행속도에 따라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된 영어구문을 끊어읽기 소절별로 상이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독해 진행속도에 맞추어 영어구문을 독해하도록 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같이 구성된 독해속도 측정과정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미리 목적하는 독해속도를 입력한 후 그 독해속도에 맞추어 영어구문을 독해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독해속도 자동모드하의 학습은 사용자에게 우리말로 번역하는 습관을 없애주는데 이는 자동으로 이동되는 구절을 주어진 시간내에 빠르게 독해하려는 사용자의 무의식적인 의지상태를 만들어 주어 결국 외국어의 단어를 우리말로 받아들이지 않고 사용자 뇌속에 자연스럽게 형상화 또는 이미지화를 유도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독해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를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한 후 CPU(25)는 사용자가 목적하는 독해속도정보를 입력하기를 기다리게되고, 사용자가 메인화면의 기능선택영역(6)의 독해속도영역에 목적 독해속도정보를 입력하면, CPU(25)는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 독해속도를 토대로하여 화면 출력되어 있는 영어구문의 전체 단어수에 대응하여 각 끊어읽기 소절별 독해진행속도를 연산한다.
그리고, CPU(25)는 그 연산된 독해진행속도에 맞추어 화면 출력된 영어구문의 끊어 읽기 소절별로 상이한 색상 또는 점선 표시 등의 표시를 이용하여 독해대상 소절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독해진행속도에 추종하여 영문 독해를 실시할 수 있 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13 과 도 14 는 이미지 속독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기능선택영역(6) 입력에 의해 이미지 속독과정이 선택되는 단계와;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출력하는 단계와;
CPU(25)가 사용자가 목적하는 독해속도의 입력하기를 기다리는 단계와;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 독해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영어구문의 끊어읽기 소절 별 독해 진행속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독해 진행속도에 따라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된 영어구문을 끊어읽기 소절별로 상이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독해 진행속도에 맞추어 영어구문을 독해하도록 하는 단계와;
소절별로 상이하게 표시되는 소절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특정 단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존재하면 해당 단어의 상단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는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고 단어를 연상할 수 있는 이미지(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 상태 그리고 이미지화 할 수 있는 모든 상황)를 그림이나 동영상(에니메이션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미지 속독과정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특정키이 입력에 의해 이미지 속독모드로 전환한 CPU(25)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한다.
그리고, CPU(25)는 사용자가 목적하는 독해속도정보를 입력하기를 기다리게되고, 사용자가 메인화면의 기능선택영역(6)의 독해속도영역에 목적 독해속도정보를 입력하면, CPU(25)는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 독해속도를 토대로하여 화면 출력되어 있는 영어구문의 전체 단어수에 대응하여 각 끊어읽기 소절별 독해진행속도를 연산한다.
그리고, CPU(25)는 그 연산된 독해진행속도에 맞추어 화면 출력된 영어구문의 끊어 읽기 소절별로 상이한 색상 또는 점선 표시 등의 표시를 이용하여 독해대상 소절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독해진행속도에 추종하여 영문 독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CPU(25)는 상이한 색상 또는 점선 표시상태로 표시되는 독해대상 소절의 단어 중 데이타저장부(22)에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단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존재하면, CPU(25)는 해당 이미지를 데이타저장부(22)로부터 로딩하여 화면상에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는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았을때 해당 단어를 연상할 수 있는 사람 또는 동물이미지, 풍경이미지, 에니메이션 등으로 구현한다.
상기와 같은 이미지 속독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단어가 내포하는 이미지를 머 리속으로 연상하면서 단어를 암기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이미지 속독훈련의 핵심은 외국어 문장이 주어졌을때 우리말로 번역하는 과정을 없애고 자동모드 설정에 따라 흘러가는 단어의 이미지만을 뇌속에서 형상으로 떠올리기만 하는 훈련법으로 직독직해에 있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단지 핵심 단어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순간적인 형상화로 가장 효율적인 속독법이라 할 수 있으며, 초보학습자의 경우 단어 위주의 이미지 형상화로 훈련이 이루어지지만 익숙해지면 구(절)등 의미 단위의 이미지화로 엄청난 속도의 속독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결국은 영어단어로부터 이미지를 흡수하여 우리말을 거치지 않고 직접 문장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영상으로 우리 뇌에 각인시키는 것이다.
도 15와 도 16 은 본 발명의 취약어 집중듣기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기능선택영역(6) 입력에 의해 취약어 집중듣기과정이 선택되고, 사용자에 의해 취약단어가 설정되는 단계와;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출력하되, 사용자가 설정한 취약단어를 공란(블랭크)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CPU(25)가 출력된 영어구문에 대하여 구 또는 절(끊어읽기단위) 단위로 영어발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읽어주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어구문을 끊어읽기단위로 읽어준 후에는 공란에 해당 단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취약단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취약어 집중듣기과정은 사용자가 듣기에 취약한 단어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듣기학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의 기능선택영역(6) 선택에 의해 취약어 집중듣기과정이 선택되고, 영어구문의 제목이 선택되며, 또한 사용자가 듣기 취약단어를 1개 이상 설정한다.
상기 취약단어는 자신이 듣기에 취약한 단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1개 이상으로 복수개 설정할 수 있다.
이와같이 취약단어가 설정된 상태에서 CPU(25)는 영어구문을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하는데, 이때 상기 영어구문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취약단어 부분을 도 16 과 같이 공란으로 표시하여 볼 수 없도록 하며, 이후 그 영어구문에 대해 1줄 단위로 원어민 음성파일을 스피커(24)를 통해 출력한다.
1줄의 영어소절이 읽혀지면 CPU(25)는 공란에 해당하는 단어를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듣기 취약단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취약어 집중듣기과정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듣기 취약단어에 대한 청취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특정단어, 예를들면 전치자의 사용법에 대해 취약할때 취약한 전치사를 등록한 후 취약어 집중듣기과정을 실시하게되면 등록된 전치사가 보여지지 않게되므로 학습자는 전치사에 대한 학습을 집중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9 는 말하기 및 영작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말하기 및 영작과정이 선택되는 단계와;
CPU(25)가 임의의 한글 예시문을 표시부(28)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특정키이 입력에 대해 예시문에 대응하는 영작완성문장의 1단어씩 화면출력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말하기 및 영작과정의 다른 실시예로서,
말하기 및 영작과정이 선택되는 단계와;
CPU(25)가 소정의 영어구문을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하되, 특정 소절에 대하여 공란처리하면서 그 공란에 한글 번역문을 표시하는 단계;
특정키이 입력에 의해 공란에 영어문장을 출력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말하기 및 영작과정은 사용자의 말하기 및 영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특정키이 입력에 의해 말하기 및 영작과정이 선택된다.
이후, CPU(25)는 데이타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임의의 예시문을 한글문장으로 출력한다.
예를들면, 도 17 과 같이 "갈색 새가 나무에서 지저귀는 소리가 들려요"와 같은 한글 예시문이 출력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예시문이 출력된 후 사용자가 힌트요청을 위하여 특정키이를 입력하면 CPU(25)는 예시문에 대응하는 영어문장 중 첫번째 단어를 화면에 출력한다.
그 이후 사용자가 특정키이를 입력할때마다 CPU(25)는 영어문장의 단어를 하나씩 출력해주어 사용자가 현재 표시된 영어단어 이후의 단어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영작학습에 의해 사용자는 영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18 에 기재된 다른 실시예는 예시문을 영어구문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CPU(25)가 영어구문을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하되, 도 19와 같이 영작대상이 되는 예시문 부분에 대하여 공란처리하고, 그 공란부분에 한글 번역된 예시문을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영어구문의 공란부분 앞뒤 문장을 참조하여 한글 예시문을 영작해볼 수 있게되고, 사용자가 특정키이를 입력할 경우 공란부분에 영어문장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영작한 문장을 확인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 20과 도 21 은 어휘훈련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특정키이 입력에 의해 어휘훈련과정이 선택되는 단계와;
CPU(25)가 한글 번역된 예시문을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특정키이 입력 또는 마우스로 예시문의 특정 구(또는 절)를 선택하면, 해당 예시문의 영문을 표시하는 단계;
로 구성한다.
이러한 어휘훈련과정은 어휘훈련과정이 선택된 후 CPU(25)가 미리 준비된 한글 번역 예시문을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한글 번역 예시문은 앞서 사용되었던 영어구문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에 대한 한글 번역 예시문을 사용한다. 이는 사용자가 동일한 영어구문을 다양한 학습패턴에 따라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CPU(25)의 제어에 의해 한글 번역 예시문이 출력되면, CPU(25)는 첫번째 소절의 한글 번역 예시문을 다른 부분과 다른 색으로 변형시켜 해당 부분을 사용자가 영어로 표현해볼 수 있도록 하고(도 21 (a) 참조), 이후 사용자가 특정 키이를 입력하면 바로 상기 한글 번역 예시문에 대응하는 영어문장을 표시하여 즉시 사용자가 정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도 21 (b) 참조)
이러한 어휘훈련을 실시하게되면, 사용자가 어휘를 습득할 수 있음은 물론 영작훈련을 병행할 수 있게된다. 또한 한글 번역문을 참조하면서 그에 대한 영어단어를 추정하는 학습은 문장에서의 영어단어의 올바른 사용을 학습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한다.
도 22와 도 23 은 단어학습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특정키이 입력에 의해 단어학습과정이 선택되는 단계와;
CPU(25)가 추출된 단어를 4개씩 그룹으로 묶어 화면에 출력하되, 화면 출력되는 1그룹의 4개의 단어에 대한 한글 뜻 부분을 가려주고, 사용자의 특정키이 입 력 또는 일정시간 경과할때마다 1개 단어의 한글 뜻을 보여주어 사용자가 단어를 암기토록 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그룹으로 출력되는 4개 단어중 사용자가 아는 단어에 대해서는 소정의 입력을 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4개의 단어를 모두 아는 것으로 입력하였을때 다음 그룹의 단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어학습과정은 사용자가 보다 많은 단어를 빠른 시간내에 암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특정키이 입력에 의해 단어학습과정이 선택되고, CPU(25)는 추출된 단어를 4개씩 그룹으로 묶어 화면에 출력하는데, 이때 화면에는 1개 그룹의 4개의 단어를 표시하고, 표시된 단어의 뜻은 공란으로 출력한다.
사용자는 화면출력된 4개의 단어에 대하여 아는 단어에 대해서는 마우스 또는 스페이스바를 이용하여 확인표시토록 하며, 모르는 단어에 대해 사용자가 특정키이를 입력하거나 아니면 설정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CPU(25)가 해당 단어의 뜻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단어의 뜻을 단어에 대응시켜 암기할 수 있도록 한다.
1개의 그룹에 표시된 4개의 단어에 대해 모두 아는 것으로 확인하게되면, CPU(25)는 비로서 다음 그룹의 영어단어를 표시하여 단어학습과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설명과 같은 단어학습과정에 의하면, 그룹별로 표시되는 4개의 단어를 반복적으로 암기할 수 있으므로 암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단어학습과정은 한글단어를 표시하고, 영어단어를 공란으로 표시하여 역으로 한글단어에 대응하는 영어단어를 암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어학습과정에서 학습되는 추출된 단어는 도 24 와 도 25 에 도시된 바와같은 단어학습장 추출과정에 의해 추출된 단어장이 활용된다.
상기 단어학습장 추출과정은,
사용자가 선택한 영어구문이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되는 단계와;
CPU(25)가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된 영어문장에 사용된 영어단어를 추출하되, 중복되는 단어를 제거하여 중복단어 없이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단어를 전체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를 입력하기를 기다리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모르는 단어의 해석정보를 데이타 저장부(22)로부터 읽어와 영어단어에 연결시켜 단어학습장에 저장시키는 단계; 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단어학습장 추출과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진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영어구문이 선택되면, CPU(25)는 선택된 영어구문을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하고, 출력된 영어구문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들을 중복되지 않게 모두 추출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화면상에 표시된 추출된 단어들을 사용자가 보면서 모르는 단어들을 선택하고, CPU(25)는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의 해석정보를 데이타 저장부(22)로부터 읽어 내어 영어단어와 함께 단어학습장에 저장시킨다.
상기 설명과 같은 단어학습장 추출과정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자동모드를 선택하면 특정 영어구문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단어들을 CPU(25)가 일괄적으로 추출하여 단어학습장을 생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의 기본이 되는 듣기, 읽기, 말하기가 하나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학습자에게 성취욕을 느끼게 해주며, 학습시간의 대폭적인 감소와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고, 외국어 어순에 따른 끊어듣고, 끊어 읽는 방법을 습관화 시킴으로써 학습자가 외국어의 듣고 읽는 능력을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직청 직해가 습관화 되면서 읽는 학습이 곧 듣기 학습이 됨은 물론 듣기 학습이 읽고 쓰는데 서로서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게 되므로 올바른 직청 학습과 효율적인 독해를 통해 단기간내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외국어 학습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7)

  1.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2)에 외국어 학습을 위한 영어예문 데이타, 한글 번역데이타, 음성파일, 이미지 정보, 시간구분정보 데이타를 제공하는 자료제공서버(1)와;
    인터넷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자료제공서버(1)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타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파형추출, 독해속도측정, 이미지 속독, 취약어 집중듣기, 말하기 영작, 어휘훈련 및 단어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메인화면 및 여러가지 학습화면을 제공하는 단말기(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2)는
    인터넷을 통한 데이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21)와; 상기 통신부(21)를 통해 자료제공서버(1)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데이타 저장부(22)와; 사용자의 외국어 말하기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23)와; 메인화면에 출력되는 영어 문장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스피커(24)와; 외국어 학습을 위한 메인화면이 표시부(28)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메인화면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종 외국어 학습기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CPU(25)와; 상기 CPU(25)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2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로 부 터 사용자 영어발음의 파형을 측정하여 CPU(25)에 공급하는 파형측정부(26)와; 상기 CPU(25)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할 메인화면 및 다양한 학습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화면구성부(27)와; 상기 화면구성부(27)에서 구성된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28)와; 표시부(28)를 통해 출력된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학습모드 및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9)와; 상기 마이크(2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데이타 저장부(22)에 저장시키는 저장부(30)와; 상기 데이타 저장부(22)에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을 스피커(24)를 통해 재생 출력하는 재생부(31);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화면은
    파형표시영역(3), 모드선택영역(4), 구문표시영역(5) 및 기능선택영역(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형표시영역(3)은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된 영어구문의 원어민 발음에 의한 파형(억양)과 사용자가 말하는 영어발음에 대한 파형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상기 모드선택영역(4)은 영어 학습자가 난이도(예시:초급, 중급, 고급, 영화, 영어노래, 중학교, 고등학교 등)를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며,
    상기 구문표시영역(5)은 초기 메인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영어구문의 제목이 표시되고, 이후 사용자가 어느 제목을 선택하면 해당 제목에 대응하 는 영어구문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상기 기능선택영역(6)은 조절단추(끊어읽기 표시, 한글모드, 사운드ON/OFF, 자동및 수동모드지정 등) 학습단위, 문자감추기, 자동주기지정, 음성녹음/듣기, 학습진행상태, 독해속도, 반복조정 등 영어학습시 필요한 다양한 기능키이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장치.
  4.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부(29) 조작에 의해 외국어 학습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CPU(25)가 화면구성부(27)를 제어하여 표시부(28) 상에 메인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메인화면 표시과정과;
    메인화면 표시 이후 CPU(25)가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를 기다리는 사용자 선택과정과;
    사용자가 특정 외국어 학습 기능을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영어구문 또는 한글 구문이 표시부(28)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여 영어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문표시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원어민 발음 파형과 사용자의 발음 파형을 비교해가면서 발음학습을 구현할 수 있는 파형학습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파형학습과정은,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출력하는 단계와;
    영어문장의 끊어읽기 첫 소절의 영어 원어민 발음을 스피커(24)를 통해 출력하면서 그 발음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파형을 파형표시영역(3)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원어민 발음을 따라서 발음하는 음성정보를 마이크(23)로 부터 취득하여 사용자 발음의 파형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사용자 발음의 파형을 파형표시영역(3)에 표시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표시영역(3)에는 원어민의 발음 파형과 사용자의 발음파형이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 발음 파형 추출은
    마이크(2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발음정보, 즉, 오디오신호를 파형측정부(26)가 취득하고, 취득된 오디오신호에서 초당 10~20개의 오디오데이타를 샘플링 하여 음높이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타 저장부(22)에 저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오디오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발음한 문장의 시작부터 종료시점 까지의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타 저장부(22)에 저장하며,
    상기 CPU(25)는 파형 측정부(26)에 의해 추출된 음높이정보와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발음의 파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영어문장 독해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독해속도 측정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독해속도 측정과정은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영어구문에 대한 단어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영어구문을 독해하면서 조작하는 스페이스바 또는 마우스의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된 영어구문 중 끊어읽기 소절 단위로 현재 사용자가 읽어가는 부분을 화면표시하고, 이와동시에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읽어가는 문장의 총 단어수와 경과시간을 이용하여 독해속도를 연산하여 기능선택영역(6)의 독해속도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독해속도 연산은 "독해속도=누적단어수/총경과시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된 독해속도를 실시간으로 화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11.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영어문장 독해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독해속도 측정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독해속도 측정과정은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출력하는 단계와;
    CPU(25)가 사용자가 목적하는 독해속도의 입력을 기다리는 단계와;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 독해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영어구문의 끊어읽기 소절 별 독해 진행속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독해 진행속도에 따라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된 영어구문을 끊어읽 기 소절별로 상이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독해 진행속도에 맞추어 영어구문을 독해하도록 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12.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독해하는 영어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단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하면에 출력하여 단어에 대한 이미지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속독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이미지 속독과정은,
    사용자의 기능선택영역(6) 입력에 의해 이미지 속독과정이 선택되는 단계와;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출력하는 단계와;
    CPU(25)가 사용자가 목적하는 독해속도의 입력하기를 기다리는 단계와;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 독해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영어구문의 끊어읽기 소절 별 독해 진행속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독해 진행속도에 따라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된 영어구문을 끊어읽기 소절별로 상이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독해 진행속도에 맞추어 영어구문을 독해하도록 하는 단계와;
    소절별로 상이하게 표시되는 소절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에 대응하는 이미지 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특정 단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존재하면 해당 단어의 상단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고 단어를 연상할 수 있는 이미지(예시: 사람 및 동물의 동작 및 상태, 풍경이미지, 동물사진, 에니메이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14.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능선택영역(6) 입력에 의해 취약어 집중듣기과정이 선택되고, 사용자에 의해 취약단어가 설정되는 단계와;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출력하되, 사용자가 설정한 취약단어를 공란(블랭크)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CPU(25)가 출력된 영어구문에 대하여 줄단위로 영어발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읽어주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그리고, 상기 영어구문을 줄단위로 읽어준 후에는 공란에 해당 단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취약단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16.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영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말하기 및 영작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말하기 및 영작과정은
    말하기 및 영작과정이 선택되는 단계와;
    CPU(25)가 임의의 한글 예시문을 표시부(28)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특정키이 입력에 대해 예시문에 대응하는 영작완성문장을 문장의 시작단어부터 1단어씩 키를 누를때마다 누적으로 화면 출력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17. 제 4 항에 있어서,사용자의 영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말하기 및 영작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말하기 및 영작과정은
    말하기 및 영작과정이 선택되는 단계와;
    CPU(25)가 소정의 영어구문을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하되, 특정 소절에 대하여 공란처리하면서 그 공란에 한글 번역문을 표시하는 단계;
    특정키이 입력에 의해 공란에 영어문장을 출력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18.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어휘 활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휘훈련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어휘훈련과정은
    특정키이 입력에 의해 어휘훈련과정이 선택되는 단계와;
    CPU(25)가 한글 번역된 예시문을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특정키이 입력 또는 마우스로 예시문의 특정 구(또는 절)를 선택하면, 해당 예시문의 영문을 표시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19. 제 4 항에 있어서, 단어를 손쉽게 암기할 수 있는 단어학습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단어학습과정은
    특정키이 입력에 의해 단어학습과정이 선택되는 단계와;
    CPU(25)가 추출된 단어를 5개씩 이하로 그룹으로 묶어 화면에 출력하되, 화면 출력되는 1그룹의 5개 이하의 단어에 대한 한글 뜻 부분을 가려주고, 사용자의 특정키이 입력 또는 일정시간 경과할때마다 1개 단어의 한글 뜻을 보여주어 사용자가 단어를 암기토록 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그룹으로 출력되는 5개 이하 단어중 사용자가 아는 단어에 대해서는 소정의 입력을 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5개 이하의 단어를 모두 아는 것으로 입력하였을때 다음 그룹의 단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단어암기에 사용되는 추출된 단어는 단어학습장 추출과정에 의해 추출된 단어를 사용하되,
    상기 단어학습장 추출과정은,
    사용자가 선택한 영어구문이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되는 단계와;
    CPU(25)가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된 영어문장에 사용된 영어단어를 추출하되, 중복되는 단어를 제거하여 중복단어 없이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단어를 전체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를 입력하기를 기다리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모르는 단어의 해석정보를 데이타 저장부(22)로부터 읽어와 영어단어에 연결시켜 단어학습장에 저장시키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22.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에 있어서,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출력하는 단계와;
    영어문장의 끊어읽기 첫 소절의 영어 원어민 발음을 스피커(24)를 통해 출력하면서 그 발음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파형을 파형표시영역(3)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원어민 발음을 따라서 발음하는 음성정보를 마이크(23)로 부터 취득하여 사용자 발음의 파형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사용자 발음의 파형을 파형표시영역(3)에 표시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표시영역(3)에는 원어민의 발음 파형과 사용자 의 발음파형이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사용자 발음 파형 추출은
    마이크(2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발음정보, 즉, 오디오신호를 파형측정부(26)가 취득하고, 취득된 오디오신호에서 초당 10~20개의 오디오데이타를 샘플링하여 음높이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타 저장부(22)에 저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오디오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발음한 문장의 시작부터 종료시점 까지의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타 저장부(22)에 저장하며,
    상기 CPU(25)는 파형 측정부(26)에 의해 추출된 음높이정보와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발음의 파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출력하는 단계와;
    CPU(25)가 사용자가 목적하는 독해속도의 입력을 기다리는 단계와;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 독해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영어구문의 끊어읽기 소절 별 독해 진행속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독해 진행속도에 따라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된 영어구문을 끊어읽기 소절별로 상이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독해 진행속도에 맞추어 영어구문을 독해하도록 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25.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능선택영역(6) 입력에 의해 이미지 속독과정이 선택되는 단계와;
    메인화면의 구문표시영역(5)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목의 영어구문을 출력하는 단계와;
    CPU(25)가 사용자가 목적하는 독해속도의 입력하기를 기다리는 단계와;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 독해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영어구문의 끊어읽기 소절 별 독해 진행속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독해 진행속도에 따라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된 영어구문을 끊어읽기 소절별로 상이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독해 진행속도에 맞추어 영어구문을 독해하도록 하는 단계와;
    소절별로 상이하게 표시되는 소절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특정 단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존재하면 해당 단어의 상단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고 단어를 연상할 수 있는 풍경이미지, 동물사진, 에니메이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27.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어구문이 구문표시영역(5)에 표시되는 단계와;
    CPU(25)가 구문표시영역(5)에 출력된 영어문장에 사용된 영어단어를 추출하되, 중복되는 단어를 제거하여 중복단어 없이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단어를 전체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모르는 단어를 입력하기를 기다리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모르는 단어의 해석정보를 데이타 저장부(22)로부터 읽어와 영어단어에 연결시켜 단어학습장에 저장시키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KR1020070021939A 2007-03-06 2007-03-06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KR100900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939A KR100900085B1 (ko) 2007-03-06 2007-03-06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939A KR100900085B1 (ko) 2007-03-06 2007-03-06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324A Division KR100900081B1 (ko) 2008-06-18 2008-06-18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635A true KR20080081635A (ko) 2008-09-10
KR100900085B1 KR100900085B1 (ko) 2009-05-28

Family

ID=4002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939A KR100900085B1 (ko) 2007-03-06 2007-03-06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085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98B1 (ko) * 2009-09-23 2010-04-22 이창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방법
KR100968795B1 (ko) * 2009-08-28 2010-07-21 (주)위버스마인드 그림을 이용하여 어휘를 암기하는 영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KR101125572B1 (ko) * 2009-06-18 2012-03-23 황세희 대화형 다기능 어학 학습 방법
KR101313268B1 (ko) * 2011-10-12 2013-09-30 정철 영어문장의 구성원리를 이용한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학습교재
KR101351629B1 (ko) * 2010-11-11 2014-01-15 이은경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
KR101478912B1 (ko) * 2013-06-19 2015-01-02 김홍우 언어 습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515074B1 (ko) * 2013-12-10 2015-04-27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반복학습방법
KR101538317B1 (ko) * 2014-02-20 2015-07-29 ㈜빅스바이트 영어 리터러시 자동측정 시스템
CN106228854A (zh) * 2016-07-28 2016-12-14 新乡医学院 一种英语教学语言学习系统
CN108429968A (zh) * 2018-05-23 2018-08-21 商洛学院 一种英语听力练习耳机
WO2018199376A1 (ko) * 2017-04-24 2018-11-01 비트루브 주식회사 듣기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207304B1 (ko) * 2020-04-07 2021-01-22 박규도 온라인 영어 학습 서비스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WO2022169208A1 (ko) * 2021-02-05 2022-08-11 이기헌 영어 학습을 위한 음성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7112B1 (ko) * 2022-09-26 2023-02-07 생코에듀 주식회사 학습 대상 지식의 구조화를 통한 논리 사고의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763B1 (ko) * 2022-10-04 2023-05-16 변선호 브릭을 활용한 영어 학습 교재 및 영어 학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147A (ko) * 2000-12-29 2002-07-12 정영재 인터넷을 통한 단계별 학습 방법
KR100490367B1 (ko) * 2001-08-03 2005-05-17 정택 휴대용 단어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어학습 방법
KR100914502B1 (ko) * 2002-04-15 2009-09-30 윤춘호 네트웍 기반 대화형 멀티미디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JP2005352047A (ja) 2004-06-09 2005-12-22 Victor Co Of Japan Ltd 学習装置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572B1 (ko) * 2009-06-18 2012-03-23 황세희 대화형 다기능 어학 학습 방법
KR100968795B1 (ko) * 2009-08-28 2010-07-21 (주)위버스마인드 그림을 이용하여 어휘를 암기하는 영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KR100954498B1 (ko) * 2009-09-23 2010-04-22 이창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방법
KR101351629B1 (ko) * 2010-11-11 2014-01-15 이은경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
KR101313268B1 (ko) * 2011-10-12 2013-09-30 정철 영어문장의 구성원리를 이용한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학습교재
KR101478912B1 (ko) * 2013-06-19 2015-01-02 김홍우 언어 습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515074B1 (ko) * 2013-12-10 2015-04-27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반복학습방법
KR101538317B1 (ko) * 2014-02-20 2015-07-29 ㈜빅스바이트 영어 리터러시 자동측정 시스템
CN106228854A (zh) * 2016-07-28 2016-12-14 新乡医学院 一种英语教学语言学习系统
WO2018199376A1 (ko) * 2017-04-24 2018-11-01 비트루브 주식회사 듣기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11961413B2 (en) 2017-04-24 2024-04-16 Vitruv Inc.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listening
CN108429968A (zh) * 2018-05-23 2018-08-21 商洛学院 一种英语听力练习耳机
KR102207304B1 (ko) * 2020-04-07 2021-01-22 박규도 온라인 영어 학습 서비스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WO2021206449A1 (ko) * 2020-04-07 2021-10-14 박규도 온라인 영어 학습 서비스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KR20210124890A (ko) * 2020-04-07 2021-10-15 박규도 온라인 영어 학습 서비스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WO2022169208A1 (ko) * 2021-02-05 2022-08-11 이기헌 영어 학습을 위한 음성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7112B1 (ko) * 2022-09-26 2023-02-07 생코에듀 주식회사 학습 대상 지식의 구조화를 통한 논리 사고의 학습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085B1 (ko)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085B1 (ko)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KR100900081B1 (ko) 외국어 학습 제어방법
WO2019024247A1 (zh) 一种基于数据交换网络的在线教学考评系统及方法
JP2001159865A (ja) 対話型語学指導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Purwanto Teaching pronunciation using varieties of pronunciation teaching materials and practices
CN109389873B (zh) 计算机系统和由计算机实现的训练系统
WO2006064295A2 (en) Computerised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handwriting and reading
US20170148341A1 (en) Methodology and system for teaching reading
KR20140087956A (ko) 단어 및 문장과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방법
US20140120502A1 (en) Language learning using electronic book
KR20140078810A (ko)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리듬 패턴 학습장치 및 방법
Rato et al. Designing speech perception tasks with TP
KR20120020043A (ko) 동영상 자막 해설 표시를 이용한 언어 교육 방법
KR20140107067A (ko) 이미지 데이터와 원어민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28527A (ko) 단어의 음절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Said Mustafa El-Garawany Using Praat to Develop English Majors' EFL Intonation Production
KR20140082127A (ko) 단어의 어원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JP2014038140A (ja) 語学学習補助装置、語学学習補助方法、語学学習補助プログラム
KR20140087950A (ko)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리듬 패턴 학습장치 및 방법
JP2004334164A (ja) 英語の音素「l」及び「r」の発音及び識別学習装置
KR20020042021A (ko) 워드 슬라이드를 이용한 학습 방법
El-Garawany et al. Using Praat to Develop English Majors' EFL Intonation Production
Çekiç The effects of computer assisted pronunciation teaching on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f Intermediate learners
Aoki Effective Use of Text-to-Speech Technology for Japanese Learners of English
KR20140078081A (ko) 단어 및 문장과 이미지 데이터 그리고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