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791B1 -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 및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 및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791B1
KR101432791B1 KR1020130030410A KR20130030410A KR101432791B1 KR 101432791 B1 KR101432791 B1 KR 101432791B1 KR 1020130030410 A KR1020130030410 A KR 1020130030410A KR 20130030410 A KR20130030410 A KR 20130030410A KR 101432791 B1 KR101432791 B1 KR 101432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information
midi
langua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윤해
Original Assignee
(주)엑스티브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엑스티브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엑스티브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130030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장의 음 높낮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문장을 읽을 때 단어의 한 자, 한 자 음의 높낮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문장 읽는 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음 높낮이 표시방법이며, 이와 같은 음 높낮이 표시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어 및 외국어를 손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여 문장을 읽을 때의 음의 고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서 시각적으로 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장을 청취하지 않아도 시각적으로 표현된 문장만으로도 음의 높낮이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또한 상기와 같은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의 문장을 온라인상 화면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현 또는 출력 가능한 어학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 및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SENTENC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PITCH OF SENTENCE AND LANGUAGE CONTENS SERVICE SYSTEM USING THE METHOD FOR SENTENCE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문장의 음 높낮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문장을 읽을 때 단어의 한 자, 한 자 음의 높낮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문장 읽는 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음 높낮이 표시방법이며, 이와 같은 음 높낮이 표시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어 및 외국어를 손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든 문장을 읽을 때는 그 문장에 맞게 각 단어, 단어의 각 글자단위로 음의 높낮이가 있으며, 이러한 음 높낮이는 문장이 나타내고자 하는 뜻이나 문장을 읽는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문장의 음 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이 나타내고자 하는 뜻까지 달라질 수 있어서 문장의 음 높낮이를 정확하게 연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영어와 같은 어학교재에서 단순히 액센트(Accent)의 표시 또는 문장 중 일부에 대하여 음의 높낮이를 간단한 기호로 표시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72570호, '음의 고저를 표현하는 자막 생성 방법 및 자막 표시 방법'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와 동기화되어 자막을 표시함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각 구간별 기준음을 정하고 그 기준음과의 고저차를 표시하도록 하는 자막 생성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노래의 음 높낮이에 따라서 자막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는 음악파일을 이용하여 노래음이 표시되는 위치 즉, 음의 고저차뿐 아니라 음이 표시되는 위치를 중요하게 처리할 뿐이어서, 문장의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여 문장을 읽을 때의 음의 고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서 시각적으로 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장을 청취하지 않아도 시각적으로 표현된 문장만으로도 음의 높낮이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의 문장을 온라인상 화면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현 또는 출력 가능한 어학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은, 음 높낮이 표시대상 음성파일을 미디신호로 변환하고, 각 글자에 미디신호를 부여하여 재배열하고, 문장의 첫 글자를 기준으로 각 글자의 음 높낮이를 판단하고 첫 글자의 표시위치로 부터 상기 판단된 음 높낮이에 따라서 글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은,
표시대상 음성파일을 미디(midi) 신호로 변환하는 미디파일변환과정, 상기 미디파일변환과정으로 부터 변환된 미디파일로 부터 글자의 음으로 해당하지 않는 불필요한 미디신호를 삭제하고 보정하는 음보정과정, 단어별로 부여된 미디 신호를 각 글자별로 미디신호를 부여하여 미디파일을 저장하는 미디신호재배열과정, 저장된 미디파일에서 문장 첫 글자의 미디신호를 기준으로 한 문장의 각 글자의 고저를 판단하여 음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의 글자위치를 표시하는 음높낮이표시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음높낮이 표시방법을 이용한 어학콘텐츠를 제공하는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접속된 사용자단말기의 음 높낮이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음 높낮이 표시대상 음성파일 등록수단을 제공하고 사용자단말기가 선택한 음성파일을 표시대상 음성파일로 등록하는 음성파일등록수단과, 음성파일등록수단을 통해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여 음 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을 표시하는 음높낮이표시수단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음 높낮이 표시된 정보를 어학콘텐츠 정보로 공개 등록, 사용자콘텐츠정보 저장 및 인쇄출력파일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수단과, 상기 각 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음성파일의 등록,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여 음의 높낮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 문장을 콘텐츠 정보로 서비스 제공 관리하는 서비스제어수단과, 상기 음성파일등록수단을 통해 등록된 음성파일, 변환 생성된 미디파일, 음 높낮이표시로 표시된 문장정보인 문장콘텐츠가 저장 관리 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어학콘텐츠 서비스 방법은,
음 높낮이 문장표시 어학콘텐츠 서비스가 요청되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음성파일등록을 요청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음성파일을 등록하는 음성파일 등록과정, 상기 음성파일 등록과정을 통하여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는 미디파일변환과정, 상기 미디파일변환과정으로 부터 변환된 미디파일로 부터 글자의 음으로 해당하지 않는 불필요한 미디신호를 삭제하고 보정하는 음보정과정, 단어별로 부여된 미디 신호를 각 글자별로 미디신호를 부여하여 미디파일을 저장하는 미디신호재배열과정과, 저장된 미디파일에서 문장 첫 글자의 미디신호를 기준으로 한 문장의 각 글자의 고저를 판단하여 음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의 글자위치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어학콘텐츠제공과정, 상기 어학콘텐츠제공과정을 통해 제공된 어학콘텐츠의 공개, 사용자콘텐츠저장, 인쇄출력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어학콘텐츠관리과정, 상기 어학콘텐츠관리과정에서 사용자가 어학콘텐츠의 공개를 요청하여 상기 어학콘텐츠제공과정을 통해 생성된 어학콘텐츠를 공개콘텐츠로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공개하는 어학콘텐츠 공개과정, 상기 어학콘텐츠관리과정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콘텐츠 저장을 선택하면 사용자인증과정을 수행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콘텐츠정보에 저장하는 사용자콘텐츠저장과정, 상기 어학콘텐츠관리과정에서 사용자가 인쇄출력을 선택하면 해당 어학콘텐츠제공과정에서 생성된 어학콘텐츠에 대한 인쇄출력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인쇄출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음 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이 시각적으로 표시됨으로써, 실제 문장을 청취하지 않아도 시각적으로 표현된 문장만으로도 음의 높낮이를 구별할 수 있어서 사용자들의 어학학습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사용자들 자신이 문장을 읽거나 또는 유명강사의 발음을 이용하여 어학콘텐츠를 제작 및 공개 등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SNS와의 연계 또는 독립된 비즈니스 모델 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의 실행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에 있어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에 있어서, 단어단위로 부여된 미디신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에 있어서, 미디신호를 글자단위로 부여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에 있어서, 음높낮이에 따라 문장의 표시일 예(단어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어학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8은 어학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어학콘텐츠 관리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은, 음 높낮이 표시대상 음성파일을 미디신호로 변환하고, 각 글자에 미디신호를 부여하여 문장의 첫 신호를 기준으로 문장단위로 각 글자를 음의 높낮이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의 실행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은,
표시대상 음성파일을 미디(midi) 신호로 변환하는 미디파일변환과정과, 상기 미디파일변환과정으로 부터 변환된 미디파일로 부터 글자의 음으로 해당하지 않는 불필요한 미디신호를 삭제하고 보정하는 음보정과정과, 단어별로 부여된 미디 신호를 각 글자별로 미디신호를 부여하여 미디파일을 저장하는 미디신호재배열과정과, 저장된 미디파일에서 문장 첫 글자의 미디신호를 기준으로 한 문장의 각 글자의 고저를 판단하여 음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의 글자위치를 표시하는 음높낮이표시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문장 음 높낮이표시방법에서 상기 미디파일변환과정은 표시하고자 하는 음성파일에 대하여 미디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과정으로, mp3, wav, ogg, aif, caf 등의 음성파일을 미디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과정이다.
상기 음보정과정은 상기와 같이 녹음된 음성파일들에는 불필요한 미디신호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음으로서, 이를 삭제하고 보정하기 위한 과정으로, 문장의 글자 음이 아닌 불필요한 음을 삭제하기 위한 과정이다.
도 2는 미디신호로 변환하여 나타난 결과를 보여준다.
상기 미디신호재배열과정은 음 높낮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각 글자별로 미디신호를 부여하기 위한 과정이다.
상기 미디파일변환과정을 통해 변환된 미디신호는 도 3에서와 같이 각 단어단위로 부여되어 있는 바, 한 단어에 두개 이상의 미디신호가 들어갈 경우 표현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미디신호재배열과정은 도 4에서와 같이, 하나의 단어(Beautiful)에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미디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각 글자단위로 미디신호를 부여하여 저장하여 글자마다 음 높낮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기 음높낮이표시과정은, 상기 저장된 미디파일에서 문장 첫 글자의 미디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각 음의 높고 낮음을 판단하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기준글자의 위치로 부터 표시위치를 결정하여 문장을 표시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와 같은 실행과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음 높낮이 표시하고자 하는 음성파일을 먼저 미디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음성파일을 미디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일반적인 공지기술을 적용하여 수행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한 후, 미디파일에 포함된 글자에 해당하지 않는 음을 필터링하여 삭제하고, 그 삭제부분을 보정한다.
이후, 상기 단어별로 부여된 미디신호를 각 글자별로 부여하여 미디신호를 재배열하고 이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미디파일로 부터 문장의 첫 글자 미디신호를 기준음로 설정하고 그 설정된 기준음으로 부터 각 글자의 미디신호를 비교하여 높고 낮음을 판단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음 높낮이에 따라서 첫 글자의 표시위치로 부터 각 글자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을 적용하여 사용자들이 원하는 음성파일에 대하여 음 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을 표시하는 어학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을 적용하여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접속된 사용자단말기(100)의 음 높낮이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음 높낮이 표시대상 음성파일 등록수단을 제공하고 사용자단말기(100)가 선택한 음성파일을 표시대상 음성파일로 등록하는 음성파일등록수단(210)과, 음성파일등록수단(210)을 통해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여 음 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을 표시하는 음높낮이표시수단(220)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음 높낮이 표시된 정보를 콘텐츠 정보로 등록 또는 인쇄출력파일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수단(230)과, 상기 각 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음성파일의 등록,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여 음의 높낮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 문장을 콘텐츠 정보로 서비스 제공 관리하는 서비스제어수단(250)과, 상기 음성파일등록수단(210)을 통해 등록된 음성파일, 변환 생성된 미디파일, 음 높낮이에 따라서 표시된 문장정보인 문장콘텐츠가 저장 관리 되는 데이터베이스(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a).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파일을 등록하여 음 높낮이표시가 된 문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b). 상기 어학콘텐츠서비스를 제공받은 문장을 등록하여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서비스, 를 제공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파일등록수단(210)은 음 높낮이를 문장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음성파일을 사용자가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음성파일등록수단(210)은 사용자가 음성을 직접 녹음할 수 있도록 음성녹음수단(2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녹음수단(211)은 사용자단말기(100)로 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음성파일로 저장 및 등록한다.
상기 음성파일등록수단(210)은 음성파일 등록 시 등록되는 음성파일의 언어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언어정보등록수단(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높낮이표시수단(220)은 상기 음성파일등록수단(210)을 통해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여 음 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음성파일등록수단(210)으로 부터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는 미디파일변환수단(221), 미디파일변환수단(221)에 의해 변환된 미디파일을 필터링하여 글자 음 외의 노이즈를 삭제하고 각 삭제된 부분의 음을 보정하는 음필터수단(222), 미디신호를 각 글자에 부여하여 배열하고 저장하는 미디신호재배열수단(223)과, 저장된 미디신호에서 문장 첫 글자의 미디신호를 기준음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첫 글자로 부터 음의 높낮이를 판단하여 첫 글자의 표시위치로 부터 음의 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을 표시하는 문장표시수단(224)을 포함한다.
상기 미디파일변환수단(221)은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디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음필터수단(222)은 미디파일변환수단(221)에 의해 변환 생성된 미디파일을 글자 음 외의 노이즈를 삭제하고 각 삭제된 부분의 음을 보정하기 위한 필터수단이다.
상기 음필터수단(222)에는 언어에 따라서 각기 다른 필터링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파일등록수단(210)의 언어정보등록수단(212)에 등록된 언어정보에 따라서 필터링정보를 선택하는 필터선택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각 언어별로 글자 음이 다르게 특정될 수 있음으로 이를 감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미디신호재배열수단(223)은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어별로 기록된 미디신호를 각 글자마다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는 각 글자단위로 음의 높낮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문장표시수단(224)은 음의 높낮이에 따라서 글자의 위치를 달리하여 문장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저장된 미디신호에서 문장 첫 글자의 미디신호를 기준음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첫 글자로 부터 음의 높낮이를 판단하여 첫 글자가 표시되는 위치로 부터 음 높낮이에 따라서 글자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콘텐츠제공수단(230)은 상기와 같이 음높낮이표시수단(220)을 통해 화면에 표시된 음 높낮이에 의해 표시된 문장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어학콘텐츠로 공개등록 및 사용자콘텐츠로 저장, 또는 인쇄 출력할 수 있도록 인쇄출력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콘텐츠제공수단(230)은 어학콘텐츠로 공개 등록 및 자신의 콘텐츠정보에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인증수단을 통해 등록하도록 하거나, 회원 가입하여 로그인한 상태에서 어학콘텐츠 등록 및 사용자 콘텐츠저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학콘텐츠 등록은 다른 사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콘텐츠정보이며, 사용자 콘텐츠 저장은 자신의 사용자정보에 보관되는 콘텐츠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속관리 및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수단(2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제어수단(250)은 음 높낮이에 따라 표시된 문장의 어학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음성파일의 등록,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여 음의 높낮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 문장을 생성, 생성된 서비스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콘텐츠 정보로 공개 및 사용자 저장, 인쇄출력정보 생성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60)는 상기 어학콘텐츠서비스를 진행함에 있어서 발생된 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수단으로, 음성파일, 미디파일, 문장콘텐츠가 저장 관리 된다.
상기 음성파일은 사용자가 등록한 음성파일정보이며, 음성파일정보에는 음성파일과 언어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파일은 등록된 음성파일로 부터 변환된 미디신호정보이며, 상기 필터수단에 의해 필터링된 미디파일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문장콘텐츠정보는 음높낮이에 따라서 표시된 문장에 대한 정보이며, 문장콘텐츠정보는 문장콘텐츠를 등록한 사용자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60)는 아이디(ID), 비밀번호와 같은 접속관리정보, 이름, 주소,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수단(100)은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모바일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단말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속된 사용자가 어학콘텐츠서비스에서 음높낮이표시 서비스를 요청하면 서비스제어수단(250)에서는 음성파일등록수단(21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음높낮이 표시 대상 음성파일을 등록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직접 녹음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음성녹음을 선택할 경우에는 서비스제어수단(250)에서는 음성녹음수단(에서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수단(100)에 구성된 녹음장치(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입력하여 녹음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음성파일 등록 또는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을 등록함에 있어서, 등록되는 문장의 언어정보를 언어정보등록수단(212)을 통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음성파일이 등록되면, 서비스 제어수단(250)에서는 음높낮이표시수단(220)을 통하여 상기 등록된 음성파일에 대한 문장을 음높낮이에 따라서 표시한 어학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음높낮이표시수단(220)의 미디파일변환수단(221)에서는 상기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한다. 이때 문장의 텍스트정보가 추출되면서 상기 문장의 단어단위로 미디신호가 부여된 상태로 미디파일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미디파일로 변환되면 음필터수단(222)에서 상기 변환 생성된 미디파일을 필터링하여 불필요한 음 요소를 삭제하고 삭제음 부분을 보정한다.
상기와 같이 음요소의 정리가 완료되면 미디신호재배열수단(223)에서는 단어단위로 부여된 미디신호를 각 글자단위로 미디신호를 부여하여 저장한다.
이후, 문장표시수단(224)에서는 문장의 첫 글자를 기준위치로 설정하고 첫 글자의 미디신호와의 대비를 통하여 고저를 판단하고 첫 글자의 표시위치로 부터 음높낮이에 따라서 글자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음높낮이에 따라서 표시된 문장을 확인하고 이를 공개 등록하거나 자신의 사용자콘텐츠로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인쇄 출력할 수 있고, 저장된 사용자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인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콘텐츠 공개등록을 요청하면 콘텐츠 제공수단(230)에서는 어학콘텐츠로 등록하기 위한 콘텐츠 등록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콘텐츠 등록수단은 등록하는 카테고리(언어정보포함), 등록자정보(회원정보)를 사용자에게 요청 또는 추출하여 함께 등록하고, 공개 시 언어 등 카테고리별로 공개 등록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콘텐츠정보로 저장 가능 하며, 콘텐츠제공수단(230)에서는 저장된 사용자콘텐츠정보에서 인쇄출력을 원하는 부분만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인쇄출력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음높낮이에 따라서 표시된 어학콘텐츠를 공개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들이 조회하도록 하며, 그 조회에 따라서 등록자에게 소정의 보상(온라인캐시, 별점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SNS 서비스와 연동하여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개인용컴퓨터(PC)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스마트단말수단의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어학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음 높낮이 문장표시 어학콘텐츠 서비스가 요청되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음성파일등록을 요청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음성파일을 등록하는 음성파일 등록과정, 상기 음성파일 등록과정을 통하여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는 미디파일변환과정, 상기 미디파일변환과정으로 부터 변환된 미디파일로 부터 글자의 음으로 해당하지 않는 불필요한 미디신호를 삭제하고 보정하는 음보정과정, 단어별로 부여된 미디 신호를 각 글자별로 미디신호를 부여하여 미디파일을 저장하는 미디신호재배열과정과, 저장된 미디파일에서 문장 첫 글자의 미디신호를 기준으로 한 문장의 각 글자의 고저를 판단하여 음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의 글자위치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어학콘텐츠제공과정, 상기 어학콘텐츠제공과정을 통해 제공된 어학콘텐츠의 공개, 사용자콘텐츠저장, 인쇄출력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어학콘텐츠관리과정, 상기 어학콘텐츠관리과정에서 사용자가 어학콘텐츠의 공개를 요청하여 상기 어학콘텐츠제공과정을 통해 생성된 어학콘텐츠를 공개콘텐츠로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공개하는 어학콘텐츠 공개과정, 상기 어학콘텐츠관리과정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콘텐츠 저장을 선택하면 사용자인증과정을 수행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콘텐츠정보에 저장하는 사용자콘텐츠저장과정, 상기 어학콘텐츠관리과정에서 사용자가 인쇄출력을 선택하면 해당 어학콘텐츠제공과정에서 생성된 어학콘텐츠에 대한 인쇄출력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인쇄출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음성파일등록과정에서 등록되는 음성파일의 언어정보등록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등록하는 음성파일의 언어정보를 등록하도록 하는 언어정보등록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음보정과정은 상기 언어정보등록과정을 통해 언어정보를 확인하고 등록된 언어정보에 따라서 음보정필터를 선택하여 미디신호의 음보정을 수행하는 음보정필터선택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학콘텐츠공개과정에서는 상기 언어정보등록과정에서 등록된 언어정보에 따라서 언어카테고리별로 어학콘텐츠를 공개 등록 관리하는 카테고리별 등록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인쇄출력과정은 사용자콘텐츠정보에서 사용자가 인쇄출력할 사용자콘텐츠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콘텐츠선택인쇄출력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개된 어학콘텐츠에 대한 조회정보 및 추천정보를 관리하고, 그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어학콘텐츠조회관리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어학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고, 도 8은 어학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어학콘텐츠 관리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Claims (15)

  1. 음 높낮이 표시대상 음성파일을 미디신호로 변환하고, 각 글자에 변환된 상기 미디신호를 부여하여 재배열하고, 재배열된 상기 미디신호로부터 문장의 첫 글자를 기준으로 각 글자의 음 높낮이를 판단하고 첫 글자의 표시위치로 부터 상기 판단된 음 높낮이에 따라서 글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
  2. 표시대상 음성파일을 미디(midi) 신호로 변환하는 미디파일변환과정, 상기 미디파일변환과정으로 부터 변환된 미디파일로 부터 글자의 음으로 해당하지 않는 불필요한 미디신호를 삭제하고 보정하는 음보정과정, 단어별로 부여된 미디 신호를 각 글자별로 미디신호를 부여하여 미디파일을 저장하는 미디신호재배열과정, 저장된 미디파일에서 문장 첫 글자의 미디신호를 기준으로 한 문장의 각 글자의 고저를 판단하여 음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의 글자위치를 표시하는 음높낮이표시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
  3. 접속된 사용자단말기(100)의 음 높낮이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음 높낮이 표시대상 음성파일 등록수단을 제공하고 사용자단말기(100)가 선택한 음성파일을 표시대상 음성파일로 등록하는 음성파일등록수단과(210), 음성파일등록수단(210)을 통해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여 음 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을 표시하는 음높낮이표시수단(220)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음 높낮이 표시된 정보를 어학콘텐츠 정보로 공개 등록, 사용자콘텐츠정보 저장 및 인쇄출력파일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수단(230)과, 상기 각 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음성파일의 등록,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여 음의 높낮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 문장을 콘텐츠 정보로 서비스 제공 관리하는 서비스제어수단(250)과, 상기 음성파일등록수단(210)을 통해 등록된 음성파일, 변환 생성된 미디파일, 음 높낮이표시로 표시된 문장정보인 문장콘텐츠가 저장 관리 되는 데이터베이스(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파일등록수단(210)은 사용자가 음성을 직접 녹음할 수 있도록 음성녹음수단(2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파일등록수단(210)은 음성파일 등록 시 등록되는 음성파일의 언어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언어정보등록수단(2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높낮이표시수단(220)은 상기 음성파일등록수단(210)으로 부터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는 미디파일변환수단(221), 미디파일변환수단(221)에 의해 변환된 미디파일을 필터링하여 글자 음 외의 노이즈를 삭제하고 각 삭제된 부분의 음을 보정하는 음필터수단(222), 미디신호를 각 글자에 부여하여 배열하고 저장하는 미디신호재배열수단(223)과, 저장된 미디신호에서 문장 첫 글자의 미디신호를 기준음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첫 글자로 부터 음의 높낮이를 판단하여 첫 글자의 표시위치로 부터 음의 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을 표시하는 문장표시수단(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필터수단(222)에는 언어에 따라서 각기 다른 필터링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파일등록수단(210)의 언어정보등록수단(212)에 등록된 언어정보에 따라서 필터링정보를 선택하는 필터선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접속관리 및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수단(24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콘텐츠제공수단(230)은 사용자인증수단을 통해 사용자 인증 후 등록 또는 회원 로그인한 상태에서 어학콘텐츠 등록 및 사용자 콘텐츠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학콘텐츠로 공개 등록 및 사용자 콘텐츠정보저장 프로세스를 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60)는 음성파일, 미디파일, 문장콘텐츠가 저장 관리되며,
    상기 음성파일은 사용자가 등록한 음성파일정보이며, 음성파일정보에는 음성파일과 언어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디파일은 등록된 음성파일로 부터 변환된 미디신호정보이며 상기 음필터수단(222)에 의해 필터링된 미디파일정보를 포함하고, 음높낮이에 따라 표시된 문장에 대한 문장콘텐츠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장콘텐츠정보는 문장콘텐츠를 등록한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며, 아이디(ID), 비밀번호와 같은 접속관리정보, 이름, 주소,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10. 음 높낮이 문장표시 어학콘텐츠 서비스가 요청되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음성파일등록을 요청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음성파일을 등록하는 음성파일 등록과정, 상기 음성파일 등록과정을 통하여 등록된 음성파일을 미디파일로 변환하는 미디파일변환과정, 상기 미디파일변환과정으로 부터 변환된 미디파일로 부터 글자의 음으로 해당하지 않는 불필요한 미디신호를 삭제하고 보정하는 음보정과정, 단어별로 부여된 미디 신호를 각 글자별로 미디신호를 부여하여 미디파일을 저장하는 미디신호재배열과정과, 저장된 미디파일에서 문장 첫 글자의 미디신호를 기준으로 한 문장의 각 글자의 고저를 판단하여 음높낮이에 따라서 문장의 글자위치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어학콘텐츠제공과정, 상기 어학콘텐츠제공과정을 통해 제공된 어학콘텐츠의 공개, 사용자콘텐츠저장, 인쇄출력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어학콘텐츠관리과정, 상기 어학콘텐츠관리과정에서 사용자가 어학콘텐츠의 공개를 요청하여 상기 어학콘텐츠제공과정을 통해 생성된 어학콘텐츠를 공개콘텐츠로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공개하는 어학콘텐츠 공개과정, 상기 어학콘텐츠관리과정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콘텐츠 저장을 선택하면 사용자인증과정을 수행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콘텐츠정보에 저장하는 사용자콘텐츠저장과정, 상기 어학콘텐츠관리과정에서 사용자가 인쇄출력을 선택하면 해당 어학콘텐츠제공과정에서 생성된 어학콘텐츠에 대한 인쇄출력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인쇄출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파일등록과정에서 등록되는 음성파일의 언어정보등록수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등록하는 음성파일의 언어정보를 등록하도록 하는 언어정보등록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음보정과정은 상기 언어정보등록과정을 통해 언어정보를 확인하고 등록된 언어정보에 따라서 음보정필터를 선택하여 미디신호의 음보정을 수행하는 음보정필터선택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학콘텐츠공개과정에서는 상기 언어정보등록과정에서 등록된 언어정보에 따라서 언어카테고리별로 어학콘텐츠를 공개 등록 관리하는 카테고리별 등록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방법.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콘텐츠 공개과정, 사용자콘텐츠저장과정은 사용자인증과정 또는 사용자접속 로그인과정을 수행한 후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출력과정은 사용자콘텐츠정보에서 사용자가 인쇄출력할 사용자콘텐츠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콘텐츠선택인쇄출력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콘텐츠공개과정은 어학콘텐츠를 공개 등록함에 있어서, 언어 카테고리별로 등록자정보를 포함하여 공개등록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콘텐츠공개과정을 통하여 공개된 어학콘텐츠에 대한 조회정보 및 추천정보를 관리하고, 그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어학콘텐츠조회관리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방법.



KR1020130030410A 2013-03-21 2013-03-21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 및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432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410A KR101432791B1 (ko) 2013-03-21 2013-03-21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 및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410A KR101432791B1 (ko) 2013-03-21 2013-03-21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 및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791B1 true KR101432791B1 (ko) 2014-08-21

Family

ID=5175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410A KR101432791B1 (ko) 2013-03-21 2013-03-21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 및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7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118A1 (ko) * 2017-09-07 2019-03-14 엠플레어 주식회사 전자 동화책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9050116A1 (ko) * 2017-09-07 2019-03-14 엠플레어 주식회사 전자 동화책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11969A (ko) 2021-02-03 2022-08-10 한정훈 올바른 단어 정보 제공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및 이의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569A (ko) * 2010-11-11 2012-05-21 이은경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569A (ko) * 2010-11-11 2012-05-21 이은경 어학 학습기 구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118A1 (ko) * 2017-09-07 2019-03-14 엠플레어 주식회사 전자 동화책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9050116A1 (ko) * 2017-09-07 2019-03-14 엠플레어 주식회사 전자 동화책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11969A (ko) 2021-02-03 2022-08-10 한정훈 올바른 단어 정보 제공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및 이의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00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роизнесения фонем
JP6172769B2 (ja) 理解支援システム、理解支援サーバ、理解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6031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テキスト読み上げ方法
US201502549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xtual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association
WO2010133072A1 (zh) 发音评测装置及其方法
US10373516B2 (en) Method for facilitating contextual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association
WO201500850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affe Trascription in practice: nonstandard orthography
KR101432791B1 (ko) 문장 음 높낮이 표시방법 및 문장 음 높낮이를 표시하는 어학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JP4899383B2 (ja) 語学学習支援方法
Louw et al. A general-purpose IsiZulu speech synthesizer
Rato et al. Designing speech perception tasks with TP
US9570067B2 (en) Text-to-speech system, text-to-speech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ynthesis modification based upon peculiar expressions
JP2007121584A (ja) 学習支援装置
TW200926085A (en) Intelligent conversion method with system for Chinese and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Brinckmann Transcription bottleneck of speech corpus exploitation
JP2010128284A (ja) 学習システム
WO2023228358A1 (ja) 学習推奨語抽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57069B1 (ja) 学習支援システム
WO2023228361A1 (ja) 獲得確率取得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228360A1 (ja) モデル生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82440B1 (ja) 音読データ生成システム
WO2023228359A1 (ja) 単語選択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51035B2 (ja) 英文発想練習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20437B2 (ja) 学習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