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149A -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149A
KR20190066149A KR1020170165607A KR20170165607A KR20190066149A KR 20190066149 A KR20190066149 A KR 20190066149A KR 1020170165607 A KR1020170165607 A KR 1020170165607A KR 20170165607 A KR20170165607 A KR 20170165607A KR 20190066149 A KR20190066149 A KR 20190066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user
information
korean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7016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6149A/ko
Publication of KR20190066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서비스로부터 사용자가 사용했던 한국어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가 입력받은 상기 한국어 정보를 중국어 변환 규칙에 따라 중국어 정보로 변환하되, 상기 중국어 정보는 중국어 한자의 성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한자의 전경 또는 배경 또는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정해진 성조별 컬러로 채색되며, 사용자의 언어 사용 범위를 반영한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중국어 정보를 분류 저장하여 빅 데이터를 형성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을 선택적으로 호출하여 사용자가 사용했던 한국어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용 중국어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학습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CUSTOMIZED CHINESE LEARNING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학습하기 위한 중국어를 사용자에게 필요한 내용으로 추출 및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중국어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국어는 전 세계 인구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최근, 세계 경제에서 중국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중국어 학습에 대한 수요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이 한자에 대한 유교적 학습과정을 겪었음에도, 중국어의 학습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어려운 언어로 인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국어를 익히기 위해서는 알아야 할 내용이 방대함에 따라, 일반인은 중국어 학습 컨텐츠에 접근할 동기나 학습의욕이 쉽게 상실된다. 이에 중국어 학습의 지속성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한자나 병음, 성조 등을 쉽게 익힐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럼에도, 교육계의 설문에 의할 때 방대한 중국어 학습량과 높은 난이도는 타 외국어 대비 많은 학습 시간을 요구하여, 90% 이상인 대부분의 중국어 학습자들이 중도포기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작심삼일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용자에게 커스터마이즈 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중국어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중국어 학습시 사용자의 상황에서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중국어 단어나 회화 등의 학습 내용은 사용자의 집중도를 저하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학습 기간을 요구하여 학습 효율과 지속성을 떨어뜨린다. 이는 다양한 중국어 학습 사이트 및 교육 어플리케이션이 갖고 있는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을 고안하게 되었다.
한편, 중국어는 하나의 단어를 학습함에 있어서 한자, 병음, 성조와 뜻을 모두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학습이 어려운 제2 외국어로 인식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중국어는 읽기 쓰기를 위해 한자(중국어 문자)의 형상과 뜻을 익혀야 하고, 말하기 듣기를 위해 발음 즉 병음과 성조를 같이 익혀야 한다. 일 예시로, 한자 '나라국'(國)을 학습할 때, (1) 형상을 학습하고, (2) 병음이 [guo]이고, (3) 성조가 3성이고, 그 (4) 뜻은 '나라'라고 학습해야 한다. 대부분의 중국어 학습자는 초기에 중국 한자의 형상과 뜻을 익히는 것이 어렵다고 한다. 이 후 한자의 형상 익히기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면, 발음, 즉 병음과 성조를 익히기 시작한다.
병음과 성조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역시, 중국어에는 병음이 같더라도 성조가 다르고 뜻이 다른 글자가 수없이 많이 있고, 심지어 병음도 같고 성조도 같은데 뜻이 다른 글자도 많이 있음을 알게 된다. 따라서 중국어를 공부할 때는, 이들을 구별하기 위한 핵심이 되는 요소인 성조를 철저히 학습해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모국어에 성조가 없는 중국어 학습자가 중국어 성조를 익힌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대부분 성조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실제로 학습을 중도에 포기하게 하는 주요 원인이 성조의 어려움이라고 알려져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중국어 학습자의 교재나 사전에는 성조표시가 되어 있으나, 중국어 워드프로세싱 프로그램, 소설, e-북, 중국어 문서나, 채팅, 이메일, 문자메시지 시스템, 인터넷 상의 노출된 문서나 브로셔, 문장 등의 한자에는 성조표시가 없다. 그러므로, 성조를 모르면 설령 발음을 짐작하더라도 제대로 읽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스토리 데이타베이스에 1 이상의 성조별 컬러세트와 그 연상용 스토리들을 미리 저장해 두고, 이들중에서 어느하나의 스토리를 선택하면, 그 스토리에 대응되는 컬러세트가 선택되고, 그에 따라 성조별 컬러세트에 설정된 성조별 컬러에 따라 한자의 컬러가 변경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방식으로서, 라틴병음이나 한글병음의 존부에 상관없이, 입력수단이나 통신수단이나 저장장치로부터의 입력을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중국어 한자에 대해 성조별 컬러로 표시함으로써, 성조표시를 별도로 하지 않더라도 그 한자의 성조와 컬러간 연상작용에 의하여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현하여, 중국어 단어의 학습시 한자의 전경 또는 배경 또는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특정된 컬러세트로부터 성조별 컬러화면으로 표시되게 함으로써 중국어 한자학습에도 직관적으로 학습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을 고안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5048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4633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학습 목적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중국어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서비스로부터 사용자가 사용했던 한국어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가 입력받은 상기 한국어 정보를 중국어 변환 규칙에 따라 중국어 정보로 변환하되, 상기 중국어 정보는 중국어 한자의 성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한자의 전경 또는 배경 또는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정해진 성조별 컬러로 채색되며, 사용자의 언어 사용 범위를 반영한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중국어 정보를 분류 저장하여 빅 데이터를 형성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을 선택적으로 호출하여 사용자가 사용했던 한국어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용 중국어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학습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메신저 또는 SNS를 포함하는 상기 미디어 서비스로부터 한국어 텍스트 파일을 상기 한국어 정보로 입력받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에 입력된 상기 한국어 텍스트 파일 중 비속어 또는 약어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이즈 제거 모듈은 한어수평고시(HSK)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단어가 필터링 단어로 설정되며, 상기 한국어 텍스트 파일의 한국어 단어와 상기 필터링 단어를 매칭하여 비속어와 약어를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한국어 정보를 중국어 변환 규칙에 따라 중국어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 및 사용자의 언어 사용 범위를 반영한 데이터 분류에 따라 상기 중국어 정보를 분류 저장하는 데이터마이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 모듈은, 상기 한국어 정보 중 한글 문자를 중국어 한자로 변환하고 중국어 한자에 대응되는 한글병음을 표기하는 한자 변환 규칙과, 변환된 중국어 한자를 한자의 전경 또는 배경 또는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가 성조별 컬러로 채색하는 색성조 규칙과, 상기 색성조의 성조-컬러 간 직관적으로 연상작용을 돕는 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지정된 컬러별 성조세트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성조이미지를 표현하는 이미지 규칙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환 모듈은 상기 중국어 정보로 변환된 단어의 동의어, 유의어, 반어, 같은 부수, 같은 병음 또는 병음은 같으나 다른 성조 단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부가학습 규칙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마이닝 모듈은 사용자의 언어 사용 범위를 반영한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으로서, 상기 한국어 정보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중요도 단어,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직군, 사용자의 성별, 또는 사용자의 학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이 설정되고, 상기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상기 중국어 정보를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저장하여 빅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학습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 중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직군, 사용자의 성별, 또는 사용자의 학력 중 어느 하나가 호출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빅 데이터로부터 상기 중국어 정보를 호출된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필터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으로 사용 빈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사용했던 한국어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용 중국어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학습 데이터 출력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에 해당하는 상기 중국어 정보와 함께 출력된 중국어 단어와 사용자의 연령, 직군, 성별, 또는 학력과 관련된 출력물로 단어, 동영상, 강의, 애니메이션, 또는 교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을 위한 중국어 단어, 성조 등은 사용자가 입력한 한국어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 기반 한국어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에 변환 규칙에 따라 중국어 정보로 변환 된 후 분류되어 빅 데이터로 저장된다.
결국, 학습 데이터 출력부는 분류된 빅 데이터 중 사용자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중요도 단어, 사용자와 비슷한 연령대가 주로 사용하는 단어, 사용자와 같은 직업을 가진 이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단어에 포커싱된 중국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중국어를 효율적으로 학습함에 따라 학습 의욕 고취 및 학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의 변환 모듈에 내장되는 규칙을 표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의 데이터마이닝 모듈에 내장되는 데이터 분류 기준을 표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데이터 출력부가 학습용 중국어 정보를 출력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1)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1)은 사용자 정보 획득부(10), 데이터베이스부(30) 및 학습 데이터 출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1)의 구성이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서버(5)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의 단말기(3)의 형태로 예시하였다.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1)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단말기(3)인 스마트폰 상에 구현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1)을 설명한다.
서버(5)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10) 및 데이터베이스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1)은 중국어 학습 컨텐츠가 출력되는 스마트폰(3)에 학습 데이터 출력부(50)의 구성이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1)은 서버(5)와 스마트폰(3) 상에 구성요소가 분류되어 포함됨을 예시하였으나, 서버(5)는 빅 데이터의 저장 및 호출 기능만 수행하여도 무방하고, 스마트폰(3)의 프로세서를 통해 사용자 정보 획득부(10)와 데이터베이스부(30)의 변환 모듈(301) 및 데이터마이닝 모듈(303)이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정보 획득부(1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서비스로부터 사용자가 사용했던 한국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서비스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것은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타 장치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한국어 정보는 한국어 단어의 한국 한자, 한국 한자의 한글병음, 한글 문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보 획득부(10)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한국어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로, 미디어 서비스는 음성 장치, 녹음 장치, 오디오 장치 등의 기록매체 뿐만 아니라,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되는 메신저, SNS, 개인 블로그 등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미디어 서비스는 사용자의 언어 습관이 나타날 수 있는 저장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대화나 사용자가 사용한 문서 텍스트 등이 저장된 매체를 총칭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획득부(10)는 미디어 서비스로부터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언어 사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정보 획득부(10)는 입력 모듈(101) 및 노이즈 제거 모듈(103)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01)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메신저 또는 SNS를 포함하는 미디어 서비스로부터 한국어 텍스트 파일을 한국어 정보로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 모듈(101)은 카카오톡, 위쳇, 스냅쳇, 트위터 등 미디어 서비스의 제공되는 API를 통해 사용자의 한국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사용자는 스마트폰(3)의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1)의 어플리케이션 ‘오색중국어’가칭)를 설치한 후, 각종 메신져의 공유 기능이나 불러오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오색중국어’가칭)의 입력화면에 미디어 서비스의 파일을 호출한다. 입력 모듈(101)은 사용자의 입력 파일의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디어 서비스에서 사용했던 언어인 한국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노이즈 제거 모듈(103)은 입력 모듈(101)에 입력된 한국어 텍스트 파일 중 비속어와 약어를 제거할 수 있다. 대화 메신져나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SNS에서는 인터넷 상 유행하는 약어나 비속어, 약어 등 표준어가 아닌 단어들이 빈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노이즈 제거 모듈(103)은 학습에 적합하지 않은 한국어 단어를 필터링할 수 있다.
노이즈 제거 모듈(103)은 보급된 필수 중국어 학습 단어의 데이터를 기초로 한국어 단어를 매칭함에 따라, 중국어 학습에 필요한 한국어 단어 만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노이즈 제거 모듈(103)은 한어수평고시(HSK)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단어가 필터링 단어로 설정되며, 상기 한국어 텍스트 파일의 한국어 단어와 상기 필터링 단어를 매칭하여 비속어와 약어를 제거할 수 있다. 필터링 단어는 한어수평고시(HSK) 1급 내지 6급에 사용되는 중국어 단어가 번역된 한국어 단어로 설정될 수 있다. 노이즈 제거 모듈(103)은 필터링 기준이 되는 필터링 단어를 위와 같이 한글 문자 데이터로 설정한 뒤, 입력 모듈(101)이 획득한 사용자 언어의 한국어 단어를 매칭하여 필터링 단어의 동의어 또는 유의어를 추출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 정보 획득부(10)는 사용자가 일상에서 또는 해당 직군에서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언어를 획득하며, 이 때 획득된 사용자 언어 데이터는 한어수평고시(HSK) 1급 내지 6급에 사용되는 학습에 적합한 단어로 추려진다.
데이터베이스부(30)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10)가 입력받은 한국어 정보를 중국어 변환 규칙(3011)에 따라 중국어 정보로 변환하되, 중국어 정보는 중국어 한자의 성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한자의 전경 또는 배경 또는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정해진 성조별 컬러로 채색되며, 사용자의 언어 사용 범위를 반영한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중국어 정보를 분류 저장하여 빅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0)는 변환 모듈(301) 및 데이터마이닝 모듈(303)을 포함할 수 있다.
변환 모듈(301)은 한국어 정보를 중국어 변환 규칙에 따라 중국어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 모듈(301)에는 사용자의 한글 단어를 중국어로 변환함에 있어서, 학습 효율을 고려한 몇 가지 변환 규칙(3011)이 알고리즘으로 내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30)의 변환 모듈(301)에 내장되는 규칙(3011)을 표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변환 모듈(301)에는 한자 변환 규칙, 색성조 규칙, 이미지 규칙 및 컨텐츠 변환 규칙이 내장될 수 있다.
변환 모듈(301)은 대표적 기능으로 한국어 정보 중 한글 문자를 중국어 한자로 변환하고 중국어 한자에 대응되는 한글 병음을 표기하는 한자 변환 규칙과, 변환된 중국어 한자를 성조별 컬러로 채색하는 색성조 규칙과, 상기 색성조의 성조-컬러 간 연상작용을 돕는 스토리 이미지를 표현하는 이미지 규칙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로, 변환 모듈(301)은 색성조 규칙으로 변환된 중국어 한자를 한자의 전경 또는 배경 도는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가 성조별 컬러로 채색할 수 있다. 이 경우, 변환 모듈(301)은 색성조 규칙과 함께 수행되는 이미지 규칙으로서, 색성조의 성조-컬러 간 직관적으로 연상작용을 돕는 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지정된 컬러별 성조세트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성조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이하, 변환 모듈(301)의 변환 규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변환 모듈(301)의 변환 규칙 중, 한자 변화 규칙은 동 출원인의 선특허출원인 출원번호 제10-2015-0152075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변환 모듈(301)은 한자 변화 규칙으로서, 한국어 정보를 수신하면 초성, 중성, 종성 한국어 한자음의 중국어 발음 변환 규칙에 따라 중국 한자를 출력한다. 여기서, 한자음과 한글병음 사이의 초성, 중성, 종성의 변화를 패턴화한 변환 규칙이 학습데이터로 준비되는데, 학습데이터는 [표 1]에 따라 라틴병음 성모가 한글병음 초성 자음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 1]
Figure pat00001
또한, 라틴병음 운모는 [표 2]에 따라 한글병음 중성 모음 및 종성 자음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 2]
Figure pat00002
본 실시예에 따른 변환 모듈(301)은 한국 한자의 한자음을 기초로 하여, 중국 한자의 발음을 유추 내지 추론할 수 있는 학습데이터 변환 규칙에 따라, 사용자 기반 언어를 중국어 한자로 변환할 수 있다. 한자 변환 관련,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동 출원인의 선출원 된 출원번호 제10-2015-0152075호에 자세히 개시된 바 중복 원용을 생략한다.
변환 모듈(301)은 중국어 변환시 병음과 성조를 동시에 익힐 수 있도록 한자에 색성조를 채색하여 제공하는 색성조 변환 규칙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어 학습과 관련된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어를 말과 글로 나누면, 중국말은 발음이 문제가 되고, 중국글은 한자가 문제가 된다. 중국어는 뜻글자이기 때문에, 소리글자인 한글이나 영미권의 알파벳, 일본의 가나와 달리, 글자를 안다고 하여 그 발음을 곧바로 할 수 있는 언어가 아니다. 그래서 글자와 함께 그 발음을 표기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한자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사용되므로, 이들 나라를 한자문화권이라 한다. 그런데 언어는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므로, 동일하다고 인식되는 한자에 대해 현재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글자체는 그 형태가 변형된 경우가 있다. 예컨대 한국에서는 한국식 번체자(한국 한자)를 사용하고, 중국 본토에서는 간체자(중국 한자)를 사용하고, 대만에서는 대만식 번체자(대만 한자)를 사용하고, 일본에서는 일본 국자(일본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그 나라에서만 사용되는 글자나 만들어진 글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한국, 중국, 일본에서 한자가 사용되기는 하지만, 외견상 동일 한자에 대한 발음이 동일하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한자 '上'에 대한 발음은, 한국에서는 '상', 중국에서는 '샹', 일본에서는 '죠'가 된다. 따라서 한국, 중국, 일본인들은, 어법을 모르는 경우에도, 한자를 나열하는 필담은 가능하지만, 그 발음을 알지 못하므로, 대화는 할 수 없다고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된다.
이처럼, 한국, 중국, 일본은, 한자에 대한 발음이 서로 독립적으로 보존 및 변천되고 있으므로, 그 발음을 표기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다. 예컨대 한국에서는, 한자의 뜻과 함께 음(한국발음)을 예컨대 천자문과 같은 형태로 한글로 표시하여 학습시키도록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한자의 발음을 성조표시와 함께 로마자로 표시되는 병음(라틴병음)으로 표시한 한어병음으로 교육시키고 있다. 일본에서는, 한자를 읽을 때, 음독과 훈독이 가능하도록 가나로 표시하여 학습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한국식으로 한자의 뜻과 함께 그 한자의 한국발음을 이미 습득한 학습자라고 하더라도, 중국식 발음인 병음을 쉽게 알 수 없다는 점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손쉽게 해결하고자, 본 실시예에 따른 변환 모듈(301)은 중국어 단어 변환에 있어 색성조 및 스토리텔링 이미지를 부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병음과 성조를 별도의 음성 지원 없이 시각적 인지만으로도 직관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변환 모듈(301)은 성조별 컬러를 미리 지정해 놓고, 라틴병음이나 한글병음의 존부에 상관없이, 한자에 대해 정해진 규칙대로 성조별 컬러를 표시하며, 성조에 대한 컬러의 연관관계를 쉽게 연상시킬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스토리 이미지와 함께 중국어 단어를 표현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변환 모듈(301)은 한자 변환 규칙에 따라 변환된 중국 한자의 전경 또는 배경 또는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미리 정해진 성조별 컬러로 채색하며, 채색된 중국어 한자는 성조-컬러 간 연상작용을 돕는 스토리 이미지가 병기되어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사용자 정보 획득부(10)에서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했던 ‘번호’라는 한국어 정보를 변환 모듈(301)이 한자 변환 규칙 및 색성조 규칙으로 변환한 예시로 설명한다. 한국어 정보의 ‘번호’에서 ‘호’는 변환 모듈(301)에서 한자 변환 규칙에 따라 ‘好’로 변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국어 한자는 ‘好’로 동일할 지라도 ‘좋다’라는 의미의 중국어 단어에서 ‘好’는 윗음에서 아랫음으로 성조가 발생되는 ‘ao’로 발음되며, 예시와 같은 ‘번호’에서의 ‘好’는 아랫음에서 윗음으로 성조가 발생되는 ‘'로 발음된다. 따라서, ’好‘라는 한자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해당 성조를 나타내는 색으로 채색됨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음성을 들으며 학습하지 않아도, 색성조로부터 직관적으로 성조를 발음하여 학습할 수 있다.
변환 모듈(301)이 수행하는 색성조 규칙과 스토리텔링 이미지가 변환되는 이미지 규칙은 동출원인의 선특허출원인 출원번호 제10-2016-0015635호에 개시된 성조 컬러표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변환 모듈(301)의 색성조 규칙 및 이미지 규칙의 상세한 사항은 동출원인의 출원번호 제10-2016-0015635호에 자세히 개시된 바 중복 원용을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로 변환 모듈(301)이 실시하는 이미지 규칙은 색성조의 스토리텔링 이미지 뿐만 아니라, 단어의 의미를 형상화한 그림이나 상형문자 등의 보조 이미지를 추출하여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변환 모듈(301)은 부가적 기능으로 중국어 정보로 변환된 단어의 동의어, 유의어, 반어, 같은 부수, 같은 병음 또는 병음은 같으나 다른 성조 단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부가학습 규칙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부가학습 규칙은 사용자 기반 단어가 변환된 중국어 문자와 같은 의미를 갖는 동의어, 병음이 같은 단어, 같은 병음이지만 다른 성조를 갖는 단어, 부수가 같은 단어와 같이 학습용 단어를 기초로 중국어 학습을 확장시킬 수 있는 부가 학습 단어를 추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마이닝 모듈(303)은 사용자의 언어 사용 범위를 반영한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중국어 정보를 분류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데이터마이닝 모듈(303)은 변환 모듈(301)에서 준비된 중국어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분류에 따라 빅 데이터화하며, 분류된 빅 데이터는 API를 통해 저장 및 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데이터마이닝 모듈(303)이 수신하는 중국어 정보는, 중국어 한자, 중국어 한자병음, 중국어 한자병음의 우리말, 중국어 단어를 의미하는 이미지, 중국어 단어를 의미하는 우리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마이닝 모듈(303)은 사용자의 언어 사용 범위를 반영한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으로서, 한국어 정보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중요도 단어,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직군, 사용자의 성별, 또는 사용자의 학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류 기준이 설정되고, 상기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중국어 정보를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저장하여 빅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데이터마이닝 모듈(303)은 데이터 분류 기준으로서 사용 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언어를 획득하며, 이 경우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직군, 사용자의 성별, 또는 사용자의 학력과 같은 데이터 분류 기준 항목은 사용자들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빅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게 될 학습 데이터 출력부(50)는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사용했던 한국어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용 중국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맞춤형 학습을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30)의 데이터마이닝 모듈(303)에 내장되는 데이터 분류 기준(3031)을 표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분류 기준(3031)은 중요도 단서, 연령, 직군, 성별, 학력 또는 국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획득부(10)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언어 정보는 결국 데이터 분류 기준(3031)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며, 이 경우 중요도 단서 분류 기준은 사용자의 사용 언어 데이터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단어일수록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분류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 정보 획득부(10)가 얻은 사용자의 언어 정보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단어를 내림차순으로 분류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데이터 분류 기준(3031)으로서, 연령 기준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오색 중국어’가칭)에 접속시 입력한 사용자 정보 중, 연령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와 유사한 연령 대의 다른 사용자가 사용한 언어 정보를 분류한 것이다. 즉, 10대 또는 20대 또는 30대별 주로 사용하는 단어 들을 분류하여 빅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분류 기준(3031)으로서, 직군 기준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오색 중국어’가칭)에 접속시 입력한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의 직업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와 유사한 직업의 다른 사용자가 사용한 언어 정보를 분류한 것이다.
데이터 분류 기준(3031)으로서, 성별 기준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오색 중국어’가칭)에 접속시 입력한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의 성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와 동일한 성별인 다른 사용자가 사용한 언어 정보를 분류한 것이다.
데이터 분류 기준(3031)으로서, 학력 기준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오색 중국어’가칭)에 접속시 입력한 사용자 정보 중, 사용자의 최종 학력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와 유사한 학력을 갖는 다른 사용자가 사용한 언어 정보를 분류한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마이닝 모듈(303)의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빅 데이터가 저장되며 이는 API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분류 기준을 손쉽게 호출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중국어 학습 단어장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자신의 중국어 학습 목적에 적합하도록 학력 또는 직군 또는 중요도 단서 등의 데이터 분류 기준을 선택하여 사용자 맞춤형 학습용 중국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데이터 출력부가 학습용 중국어 정보를 출력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학습 데이터 출력부(50)는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을 선택적으로 호출하여 사용자가 사용했던 한국어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용 중국어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 출력부(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술한 데이터 분류 기준에서 학습에 적합한 중국어 정보를 호출하여 출력한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부(30)는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1)을 사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성격, 연령, 직종, 성별에 따른 주 사용 어휘가 빅 데이터로 저장됨에 주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과 유사한 연령 또는 자신과 유사한 직군을 갖는 다른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어휘를 기준으로 학습에 적합한 중국어 정보를 제공받는다.
학습 데이터 출력부(50)는 데이터 분류 기준 중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직군,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학력 중 어느 하나가 호출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30)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빅 데이터로부터 중국어 정보를 호출된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필터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되는 중국어 정보는 변환 전의 한국어 정보인 한글 단어, 한글 단어가 변환된 중국 한자, 한자의 중국 병음, 한글 병음, 단어 의미를 나타내는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로 학습 데이터 출력부(50)는 용자가 선택한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에 해당하는 상기 중국어 정보와 함께, 출력된 중국어 단어와 관련된 동영상 강의를 링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동영상 강의는 별도의 웹사이트와 연동되도록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학습 데이터 출력부(50)는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 분류 기준에 해당하는 중국어 단어와 사용자의 연령, 직군, 성별, 또는 학력과 관련된 출력물로 단어, 동영상, 강의, 애니메이션, 또는 교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3: 사용자 단말기
5: 서버
10: 사용자 정보 획득부
101: 입력 모듈
103: 노이즈 제거 모듈
30: 데이터베이스부
301: 변환 모듈
303: 데이터마이닝 모듈

Claims (9)

  1.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서비스로부터 사용자가 사용했던 한국어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가 입력받은 상기 한국어 정보를 중국어 변환 규칙에 따라 중국어 정보로 변환하되, 상기 중국어 정보는 중국어 한자의 성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한자의 전경 또는 배경 또는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정해진 성조별 컬러로 채색되며, 사용자의 언어 사용 범위를 반영한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중국어 정보를 분류 저장하여 빅 데이터를 형성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을 선택적으로 호출하여 사용자가 사용했던 한국어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용 중국어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학습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메신저 또는 SNS를 포함하는 상기 미디어 서비스로부터 한국어 텍스트 파일을 상기 한국어 정보로 입력받는 입력 모듈;
    상기 입력 모듈에 입력된 상기 한국어 텍스트 파일 중 비속어 또는 약어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제거 모듈은,
    한어수평고시(HSK)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단어가 필터링 단어로 설정되며, 상기 한국어 텍스트 파일의 한국어 단어와 상기 필터링 단어를 매칭하여 비속어 또는 약어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한국어 정보를 중국어 변환 규칙에 따라 중국어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 모듈; 및
    사용자의 언어 사용 범위를 반영한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중국어 정보를 분류 저장하는 데이터마이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 모듈은,
    상기 한국어 정보 중 한글 문자를 중국어 한자로 변환하고 중국어 한자에 대응되는 한글병음을 표기하는 한자 변환 규칙과, 변환된 중국어 한자를 한자의 전경 또는 배경 또는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가 성조별 컬러로 채색하는 색성조 규칙과, 상기 색성조의 성조-컬러 간 직관적으로 연상작용을 돕는 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지정된 컬러별 성조세트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성조이미지를 표현하는 이미지 규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모듈은,
    상기 중국어 정보로 변환된 단어의 동의어, 유의어, 반어, 같은 부수, 같은 병음 또는 병음은 같으나 다른 성조 단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부가학습 규칙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마이닝 모듈은,
    사용자의 언어 사용 범위를 반영한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으로서,
    상기 한국어 정보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중요도 단어,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직군, 사용자의 성별, 또는 사용자의 학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이 설정되고, 상기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상기 중국어 정보를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저장하여 빅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 중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직군, 사용자의 성별, 또는 사용자의 학력 중 어느 하나가 호출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빅 데이터로부터 상기 중국어 정보를 호출된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에 따라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으로 사용 빈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사용했던 한국어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용 중국어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데이터 출력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데이터 분류 기준에 해당하는 상기 중국어 정보와 함께 출력된 중국어 단어와 사용자의 연령, 직군, 성별, 또는 학력과 관련된 출력물로 단어, 동영상, 강의, 애니메이션, 또는 교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KR1020170165607A 2017-12-05 2017-12-05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KR20190066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607A KR20190066149A (ko) 2017-12-05 2017-12-05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607A KR20190066149A (ko) 2017-12-05 2017-12-05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149A true KR20190066149A (ko) 2019-06-13

Family

ID=6684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607A KR20190066149A (ko) 2017-12-05 2017-12-05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61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680B1 (ko) 2020-11-02 2022-04-08 최은정 중국어 학습 교재 편집 구조 및 그것을 이용한 중국어 학습 교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486A (ko) 2015-10-30 2017-05-11 훈민정음중국어 (주)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70094633A (ko) 2016-02-11 2017-08-21 훈민정음중국어 (주) 성조 컬러표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486A (ko) 2015-10-30 2017-05-11 훈민정음중국어 (주)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70094633A (ko) 2016-02-11 2017-08-21 훈민정음중국어 (주) 성조 컬러표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680B1 (ko) 2020-11-02 2022-04-08 최은정 중국어 학습 교재 편집 구조 및 그것을 이용한 중국어 학습 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ller The concept of equivalence and the object of translation studies
KR20160089152A (ko) 화행 분석을 통한 스티커 추천 방법 및 시스템
Fernández The impact of cognitive linguistics on descriptive translation studies: Novel metaphors in English-Spanish newspaper translation as a case in point
JP7117629B2 (ja) 翻訳装置
Hilzensauer et al. A MULTILINGUAL DICTIONARY FOR SIGN LANGUAGES:" SPREADTHESIGN"
Attig et al. Dubbing Othering and belonging: The Latinx voice as the self in One Day at a Time
KR20190066149A (ko) 사용자 맞춤형 중국어 학습 시스템
McIntyre From Cave Paintings to Shakespeare and Back Again: What Are Emoji and Should I Be Afraid?
Görlach Varieties of English world-wide: Where we stand
KR101886131B1 (ko) 외국어 단어 학습을 위한 단어장 생성 방법
Salem Loanwords in Jordanian Arabic
JP5722375B2 (ja) 文末表現変換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Terkourafi The pragmatics of politeness by Geoffrey Leech
JP2005128711A (ja) 感性情報推定方法および文字アニメーション作成方法、これらの方法を用いたプログラム、記憶媒体、感性情報推定装置、文字アニメーション作成装置
McKee et al. Sign language lexicography
Federici Sociolinguistics,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Mullan Et pis bon, ben alors voila quoi! Teaching those pesky discourse markers
Cotgrove # GlockeAktiv: A corpus linguistic study of German youth language on YouTube
Stanlaw “Hire” or “Fire”? Taking AD-vantage of innovations in the Japanese syllabary system
US2024001299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7123318A (zh) 一种基于输入法装置的外文写作学习系统
Riha Lettered words in Chinese: Roman letters as morpheme-syllables
Seiler 22 Software Localization into Romance Languages
Naboulsi Facebook dialect: orthographical standardisation in Romanised Lebanese-Arabic
Rohmani et al. English as a Threat for Indigenous Language Among Middle Low-Class Society in Java Rural Area: Evidence of Code-Mix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