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811B1 -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811B1
KR102100811B1 KR1020160034770A KR20160034770A KR102100811B1 KR 102100811 B1 KR102100811 B1 KR 102100811B1 KR 1020160034770 A KR1020160034770 A KR 1020160034770A KR 20160034770 A KR20160034770 A KR 20160034770A KR 102100811 B1 KR102100811 B1 KR 102100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panese
hangul
pronunciation
verb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413A (ko
Inventor
장승익
장수형
Original Assignee
장승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익 filed Critical 장승익
Priority to KR1020160034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81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본어 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현대 한글 및 옛한글(고어)을 병기하여 제공함으로써, 한글을 하는 학습자라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일본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학습자가 일본어 발음을 보다 정확히 구별하여 발음 및 청취할 수 있도록 하며 문법적으로는 일본어의 동사가 활용되더라도 활용되기 전의 동사 기본형을 학습자가 한눈에 알아볼 수 있고, 일본식 한자의 동사 기본형과 발음도 쉽게 익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쉽고 효율적으로 일본어를 배울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글을 병기한 서적, 신문, 정기 간행물 등이 포함되는 기록매체에 적용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일본어를 접하고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Record mediumM marking for Hangul stage of Japanese pronunciation expression}
본 발명은 일본어 발음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문법적으로는 일본어의 동사와 명사의 구분 및 동사활용 되기전의 동사기본형과 일본식 한자의 동사기본형을 학습자가 쉽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현대 한글 및 옛한글(고어)을 병기하여 제공함으로써, 한글을 아는 학습자라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일본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어는 장음과 촉음과 받침음 그리고 동사 활용이 있고, 일본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려는 시도는 있었으나 현재까지도 그 발음 음가에 맞게 정확히 표기가 되지 않고 있으므로 초보자나 어린이가 학습하기에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본어를 학습하기 위한 다양한 학습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일본어 학습법에 관한 선행문헌들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특허문헌 1은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억부호 프라프라(++)를 이루는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를 나란히 배치하여, 제1 플러스(P1)와 제2 플러스(P2)로 구획되는 각 4반영역에 일본어의 4대구문중 하나인 명사문(또는 형용사문) 등을 배치하여 명사문(또는 형용사문) 결집화를 이룬 기억체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는 이미지 연상법을 이용한 일본어 문자 학습 교재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어 문자 학습 교재(100)는 책자 형태 또는 카드에 캐릭터이미지(110), 가나문자(120), 발음표시부(130), 캐릭터이름표시부(140)를 포함함으로써, 일본어의 가나문자를 특정 캐릭터와 연관지음으로써, 이미지 연상법에 의해 일본어 문자를 쉽게 학습 및 암기할 수 있으며, 캐릭터이미지를 사용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 2의 경우에는 기억부호 프라프라(++)형 또는 캐릭터이미지 등을 사용하여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을 제안하고 있지만, 일본어의 발음, 특히 일본식 한자어에 대한 발음을 정확히 익힐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어 발음을 보다 정확히 청취하고, 일본어의 동사 변형을 보다 쉽게 파악하고, 일본식 한자의 동사 기본형과 발음 등을 암기하기 쉬운 한글표기가 없기 때문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5906호(2012년 01월 06일 등록)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551호(2012년 03월 07일 공개) 이미지 연상법을 이용한 일본어 문자 학습 교재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본어 발음 음가에는 있지만 우리말에는 없는 음가에 대해서 학습자가 학습하기 용이하도록 한글을 병기하여 제공하되, 일본어의 발음을 한글로 표현함에 있어서, 일본어 동사의 기본형이 활용되어 일본어 음가가 바뀌더라도 일본어의 동사 기본형과 일본식 한자의 동사기본형을 학습자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글을 병기하여 표기하고, 일본식 한자의 경우에도 한글 표기함으로써, 한글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일본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한글을 병기한 서적, 신문, 정기 간행물 등과 같은 기록 매체에 적용하여 누구나 쉽게 일본어를 접하고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삭제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을 위한 본 발명은 일본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한글병기의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한글병기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한글은 일본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병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한 기록매체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 한글은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사용하여 아(
Figure 112016028033142-pat00001
)행 자모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02
(여린히읗)으로 표기하고, 우(う)단 자모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03
(아래아)로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글은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사용하여 장음으로 사용되는 이(い)와 우(う)의 자모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04
(이응+아래아)로 표기하고, 촉음(っ)의 자모가 명사에 사용될 경우에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05
으로 표기하고, 동사활용에 사용될 때에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06
으로 표기하며, 받침음(ん)의 자모가 명사에 사용될 경우에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07
으로 표기하고 동사활용에 사용될 경우에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08
으로 각각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글은 현대 한글 및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사용하여 카(か)행 자모의 경우 일본어 단어의 첫음절의 발음으로 표현될 때는 'ㅋ'을 표기하고, 그 외 음절에서 발음될 때는 'ㄲ'으로 표기하며, 타(た)행 자모의 경우 일본어 단어의 첫음절의 발음으로 표현될 때에는 'ㅌ'과 'ㅊ'으로 표기하고, 그 외 음절에서 발음될 때는 'ㄸ'과 'ㅉ'으로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일본어 발음을 한글로 표현함으로써 학습자가 일본어 발음을 보다 정확히 구별하여 발음 및 청취할 수 있도록 하며 문법적으로는 일본어의 동사와 명사의 구분 및 동사활용 되기 전의 동사기본형과 일본식 한자의 동사기본형을 학습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고, 일본식 한자의 발음도 쉽게 익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쉽고 효율적으로 일본어를 배울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글을 병기한 서적, 신문, 정기 간행물 등과 같은 기록 매체에 적용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일본어를 접하고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특허문헌 1의 방법에 의해 일본어 학습을 위한 명사문 결집화 체계 학습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특허문헌 2의 방법에 의해 일본어의'아'행 자음을 학습하기 위한 문자 학습 교재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의 한글 발음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의 한글 표기 예문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일본어 관련 출판 및 기록매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은, 일본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한글병기의 표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글은 일본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병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한글병기'라 함은 일본어 발음을 현대 한글 및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사용하여 일본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병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옛한글(고어)들의 명칭은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09
'은 '여린히읗'이라 칭하고,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10
'은 '아래아'라 칭하며,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11
'은 '이응+아래아'라 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은, 상기 한글은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사용하여 아(あ)행은
Figure 112016028033142-pat00012
(여린히읗)으로 표기하고, 우(う)단은
Figure 112016028033142-pat00013
(아래아)로 표기한다.
또한, 장음으로 사용되는 이(い)와 우(う)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14
(이응+아래아)로 표기하고, 촉음(っ)은 명사에 사용될 경우에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15
으로 표기하고 동사활용에 사용될 때에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16
으로 표기하며, 받침음(ん)이 명사에 사용될 경우에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17
으로 표기하고 동사활용에 사용될 경우에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18
으로 각각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참고로, 첨부 도면인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 발음을 한글로 표현하기 위한 발음표로서, 아래의 예시 (1) 내지 (6)은 첨부된 도면인 도 3의 한글 발음표를 기준으로 하고 일본어의 발음을 한글과 옛한글(고어)로 표기하였다.
(1) 아(あ)행 자모의 한글 표기
아(あ)행 자모는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사용하여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19
(여린히읗)'으로 표기한다. 즉, 아(あ)행 자모는 아래 [표 1]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옛한글(고어)을 사용하여 아(あ)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20
, 이(い)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21
, 에(え)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22
, 오(お)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23
로 각각 표기한다.
단, 우(う) 자모의 경우에는 아(あ)행 자모이므로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24
(여린히읗)'으로 표기함과 동시에 우(う)단 자모에도 속하므로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25
(아래아)'를 병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026
로 표기한다.
Figure 112016028033142-pat00027
(2) 우(う)단 자모의 한글 표기
우(う)단 자모는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사용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028
(아래아)로 표기한다. 우(う)단 자모의 경우 한글로 표기할 때 주로 쓰이고 있는 모음인 'ㅜ' 나 'ㅡ' 대신에 자음 밑에
Figure 112016028033142-pat00029
(아래아)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우(う)단 자모에
Figure 112016028033142-pat00030
(아래아)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일본어 동사의 기본형 어미는 우(う)단으로 끝나기 때문에 동사가 활용되어 사용되더라도 우(う)단 자모에 사용된
Figure 112016028033142-pat00031
(아래아)를 살려둔 채 동사의 활용형을 발음에 따라 한글 표기하게 되면 학습자가 동사가 활용되기 전의 동사 기본형을 한눈에 알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우(う)단 자모의 한글 표기는 상기의 원칙에 의해 아래 [표 2]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표기한다.
Figure 112016028033142-pat00032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한글병기 표기방법을 적용하여 우(う)단 자모에서
Figure 112016028033142-pat00033
(아래아)가 동사 활용에 적용된 사례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28033142-pat00034
예를 들면, 상기 [표 3]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Figure 112016028033142-pat00035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36
)는 '이야기하다'라는 뜻의 일본어 동사 기본형이고 동사 기본형 어미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37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38
)이다. 이때, 정중형인 '~ 입니다'로 바꾸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039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40
)로 표기하는데 일본어 문자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41
(스)가
Figure 112016028033142-pat00042
(시)로 문자 자체가 바뀌지만, 일본어 동사의 기본형 어미인
Figure 112016028033142-pat00043
의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44
(아래아)'를 살려둔 채
Figure 112016028033142-pat00045
로 표기하면, 동사 기본형 어미인
Figure 112016028033142-pat00046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47
)가 활용되어 정중형인
Figure 112016028033142-pat00048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49
)가 된 것을 바로 알 수 있다.
그리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050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51
)는 '가다'라는 뜻의 동사 기본형이고 동사 기본형의 어미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52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53
)이다. 이때, 사역형인 '~ 하게 시키다'로 활용되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054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55
)로 표기하는데 일본어 문자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56
(쿠)가
Figure 112016028033142-pat00057
(카)로 문자 자체가 바뀌지만, 일본어 동사의 기본형 어미인
Figure 112016028033142-pat00058
의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59
(아래아)'를 살려둔 채
Figure 112016028033142-pat00060
로 한글 표기하게 되면 일본어 동사의 기본형 어미
Figure 112016028033142-pat00061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62
)가 활용되어
Figure 112016028033142-pat00063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64
)가 된 것을 바로 알 수 있으며, 또한,
Figure 112016028033142-pat00065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66
)는 '죽다'라는 뜻의 일본어 동사의 기본형이고 동사 기본형 어미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67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68
)이다. 이때, 부정형인 '~ 아니다'로 바꾸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069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70
)가 되는데 일본어 문자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071
(네)가
Figure 112016028033142-pat00072
(나)로 글자 자체가 바뀌지만, 일본어 동사의 기본형 어미인
Figure 112016028033142-pat00073
의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74
(아래아)'를 살려둔 채
Figure 112016028033142-pat00075
로 한글 표기하게 되면, 일본어 동사의 기본형 어미인
Figure 112016028033142-pat00076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77
)가 활용되어
Figure 112016028033142-pat00078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79
)가 되는 것을 학습자가 바로 알아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3) 카(か)행과 타(た)행 자모의 한글 표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한글병기 표기방법을 적용하면, 카(か)행과 타(た)행 자모의 경우에는 단어의 첫음절 발음(어두)과 그 외 음절(어중, 어말)의 발음이 다르게 표현되므로 아래 [표 4]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또한, 상기 한글은 현대 한글 및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사용하여 카(か)행 자모의 경우 일본어 단어의 첫음절의 발음으로 표현될 때는 'ㅋ'을 표기하고, 그 외 음절에서 발음될 때는 'ㄲ'으로 표기하며, 타(た)행 자모의 경우 일본어 단어의 첫음절의 발음으로 표현될 때에는 'ㅌ'과 'ㅊ'으로 표기하고, 그 외 음절에서 발음될 때는 'ㄸ'과 'ㅉ'으로 표기한다.
Figure 112016028033142-pat00080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한글병기 표기방법을 적용하여 카(か)행과 타(た)행 자모가 사용된 단어 또는 문장이 적용된 사례를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28033142-pat00081
예를 들면, 일본어 상용한자인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82
'를 한글로 표기하면 단어의 첫음절(어두)에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83
(타)'가 오면 '타'가 되고, 어말에
Figure 112016028033142-pat00084
(카)가 오면 '까'가 되어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85
'가 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086
를 한글로 표기하면 단어의 첫음절(어두)에
Figure 112016028033142-pat00087
가 오면 '키'가 되고 그 외 음절(어중, 어말)에 오면 '끼'가 되어 '키끼'가 되며,
Figure 112016028033142-pat00088
를 한글로 표기해 보면 단어의 첫음절(어두)에
Figure 112016028033142-pat00089
(케)가 오면 '케'가 되고, 어말에
Figure 112016028033142-pat00090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91
)가 오면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92
'가 되어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93
'가 되며,
Figure 112016028033142-pat00094
를 한글로 표기해 보면 단어의 첫음절(어두)에
Figure 112016028033142-pat00095
(토)가 오면 '토'가 되고 그 외 음절(어중, 어말)에 오면 '또'가 되고, 어말에
Figure 112016028033142-pat00096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97
)가 오면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98
'가 되어 '
Figure 112016028033142-pat00099
'가 된다.
(4) 촉음(っ) 자모의 한글 표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한글병기 표기방법을 적용하면, 일본어 발음의 촉음(っ) 자모를 표기할 때에는 아래의 [표 6]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명사일 경우는 일본어의 발음에 따라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00
'으로 표기하고, 동사활용에 의해 촉음(っ) 자모가 사용될 때는 아래의 [표 6]에서와 같이
Figure 112016028033142-pat00101
(이응+아래아+시옷)에 일본어의 동사 기본형의 어미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02
'의 초성 자음과 함께 겹자음으로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03
'으로 표기함으로써 일본어의 동사와 명사의 구분 및 일본식 한자의 동사 기본형을 쉽게 알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Figure 112016028033142-pat00104
촉음(っ) 자모가 명사에 사용된 예를 들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105
는 촉음을
Figure 112016028033142-pat00106
(이응+아래아+기억)으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107
가 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108
는 촉음을
Figure 112016028033142-pat00109
(이응+아래아+시옷) 으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110
가 되며,
Figure 112016028033142-pat00111
는 촉음을
Figure 112016028033142-pat00112
(이응+아래아+비읍)으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113
가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촉음을 각 각
Figure 112016028033142-pat00114
으로 한글 표기하게 되면 일본어 단어가 명사라는 것을 학습자가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촉음(っ) 자모가 동사활용에 사용될 때에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115
(이응+아래아+시옷)을 대표음으로 표기하고, 여기에 동사 기본형 어미인
Figure 112016028033142-pat00116
의 초성 자음인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17
, ㄱ, ㄹ, ㅈ'을 대표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118
)의 종성인 'ㅅ'과 결합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119
로 한글 표기한다.
예를 들면,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20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21
)'는 동사 기본형이고 동사기본형 어미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122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23
)이다. 이때 연결형으로 바뀌면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24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25
)'가 되면서 촉음이 사용되는데 이때의 촉음은 동사기본형 어미
Figure 112016028033142-pat00126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27
)의 여린히읗(
Figure 112016028033142-pat00128
)이 촉음의 대표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129
)과 결합시켜
Figure 112016028033142-pat00130
(이응+아래아+여린히읗+시옷)이 되어
Figure 112016028033142-pat00131
로 한글 표기한다.
그리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132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33
)는 동사 기본형이고 동사기본형 어미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134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35
)이고, 이때 연결형으로 바뀌면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36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37
)'가 되면서 촉음이 사용되는데 이때의 촉음은 동사 기본형어미
Figure 112016028033142-pat00138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39
)의 기역(ㄱ)이 촉음의 대표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140
)에 기역(ㄱ)을 결합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141
(이응+아래아+기역+시옷)이 되어
Figure 112016028033142-pat00142
로 표기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143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44
)는 동사 기본형이고 동사기본형 어미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145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46
)이고, 이때 연결형으로 바뀌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147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48
)'가 되면서 촉음이 사용되는데 이때의 촉음은 동사기본형 어미
Figure 112016028033142-pat00149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50
)의 리을(ㄹ)이 촉음의 대표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151
)에 리을(ㄹ)을 결합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152
(이응+아래아+리을+시옷)이 되어
Figure 112016028033142-pat00153
로 표기하며,
Figure 112016028033142-pat00154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55
)는 동사 기본형이고 동사기본형 어미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156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57
)인데, 이때 연결형으로 바뀌면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58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59
)'가 되면서 촉음이 사용되는데 이때의 촉음은 동사 기본형어미
Figure 112016028033142-pat00160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61
)의 지읒(ㅈ)이 촉음의 대표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162
)에 지읒(ㅈ)을 결합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163
(이응+아래아+지읒+시옷)이 되어
Figure 112016028033142-pat00164
로 표기한다.
그리고, 과거형으로 바뀌면 연결형과 마찬가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165
Figure 112016028033142-pat00166
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167
Figure 112016028033142-pat00168
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169
Figure 112016028033142-pat00170
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171
Figure 112016028033142-pat00172
로 표기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촉음을
Figure 112016028033142-pat00173
와 같이 한글로 표기하게 되면 일본어 동사의 기본형 어미가 각각
Figure 112016028033142-pat00174
라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일본식 한자의 동사 기본형을 학습자가 쉽게 알 수 있다.
(5) 받침음(ん) 자모의 표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한글병기 표기방법을 적용하면, 일본의 발음의 받침음(ん) 자모를 표기할 때에는 아래 [표 7]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명사일 경우는 일본어의 발음에 따라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75
'으로 표기하고 일본어 동사의 활용에 의해 받침음(ん) 자모가 사용될 때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176
(이응+아래아+니은)에 일본어의 동사 기본형의 어미인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77
'의 초성 자음과 함께 겹자음으로 '
Figure 112016028033142-pat00178
'으로 표기함으로써 일본어의 동사와 명사의 구분 및 일본식 한자의 동사 기본형을 쉽게 알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Figure 112016028033142-pat00179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180
) 자모가 명사에 사용된 예를 들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181
은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182
)을
Figure 112016028033142-pat00183
(이응+아래아+이응)으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184
(빈혈)가 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185
는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186
)을
Figure 112016028033142-pat00187
(이응+아래아+니은)으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188
(반대)가 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189
는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190
)을
Figure 112016028033142-pat00191
(이응+아래아+미음)으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192
(꽁치)가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받침음을 각각
Figure 112016028033142-pat00193
으로 한글 표기하게 되면 일본어 단어가 명사라는 것을 학습자가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194
)이 동사활용에 사용될 때에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195
(이응+아래아+니은)을 대표음으로 표기하고, 여기에 동사 기본형 어미인
Figure 112016028033142-pat00196
의 초성 자음인 'ㄴ, ㅁ, ㅂ'을 대표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197
의 종성인 'ㄴ'과 결합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198
으로 한글 표기한다.
예를 들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199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00
)는 동사 기본형이고 동사기본형 어미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201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02
)이다. 이때 연결형으로 바뀌면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03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04
)'가 되면서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05
)이 사용되는데 이때의 받침음은 동사 기본형어미인
Figure 112016028033142-pat00206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07
)의 니은(ㄴ)이 받침음의 대표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08
)과 결합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209
(이응+아래아+니은+니은)이 되어
Figure 112016028033142-pat00210
로 표기한다.
그리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211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12
)는 동사 기본형이고 동사기본형 어미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213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14
)이다. 이때 연결형으로 바뀌면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15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16
)'가 되면서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17
)이 사용되는데 이때의 받침음은 동사 기본형어미
Figure 112016028033142-pat00218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19
)의 미음(ㅁ)이 받침음의 대표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20
)에 미음(ㅁ)을 결합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221
(이응+아래아+미음+니은)이 되어
Figure 112016028033142-pat00222
로 표기한다.
또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23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24
)는 동사 기본형이고 동사기본형 어미는
Figure 112016028033142-pat00225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26
)이다. 이때 연결형으로 바뀌면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27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28
)'가 되면서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29
)이 사용되는데 이때의 받침음은 동사 기본형어미
Figure 112016028033142-pat00230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31
)의 비읍(ㅂ)이 받침음의 대표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32
)에 비읍(ㅂ)을 결합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233
(이응+아래아+비읍+니은)이 되어
Figure 112016028033142-pat00234
로 표기한다.
그리고, 과거형으로 바뀌면 연결형과 마찬가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35
Figure 112016028033142-pat00236
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37
Figure 112016028033142-pat00238
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39
Figure 112016028033142-pat00240
로 각각 표기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받침음을
Figure 112016028033142-pat00241
와 같이 한글로 표기하게 되면 일본어 동사의 기본형 어미가 각각
Figure 112016028033142-pat00242
라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일본식 한자의 동사 기본형을 학습자가 쉽게 알 수 있다.
(6) 장음으로 사용되는 이(い) 및 우(う) 자모의 한글 표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한글병기 표기방법을 적용하면, 일본어의 발음에서 장음으로 표현되고 있는 이(い) 및 우(う) 자모를 한글로 표기할 때에는 아래 [표 8]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Figure 112016028033142-pat00243
(이응 + 아래아)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Figure 112016028033142-pat00244
예를 들면, 일본어 상용한자인
Figure 112016028033142-pat00245
는 '요리'라는 뜻의 명사로서 이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46
(우)가 장음이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47
(이응+아래아)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248
로 한글 표기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249
는 '휴가'라는 뜻의 명사로서 이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50
(우)가 장음이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51
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252
로 한글 표기하며,
Figure 112016028033142-pat00253
는 '영어'라는 뜻의 명사로서 이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54
(이)가 장음이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55
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256
로 한글 표기하며,
Figure 112016028033142-pat00257
의 '정차'라는 뜻의 명사로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58
는 장음이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59
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260
로 한글 표기한다.
참고로 ,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기 위한 한글 병기 표기방법으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61
를 한글로 표기해 보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262
Figure 112016028033142-pat00263
가 장음으로 발음되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64
(이응+아래아)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265
가 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266
(키)가 어말에 있으므로 '끼'가 되어
Figure 112016028033142-pat00267
로 표기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268
에 사용된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69
)은 명사이고 'ㅇ(이응)'발음이 나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70
(이응+아래아+이응)으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271
로 표기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272
에 사용된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73
)은 동사 기본형인
Figure 112016028033142-pat00274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75
)가 활용되어 사용되어 사용되었으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76
(이응+아래아+니은+니은)으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277
로 표기하여 각 각의 단어들을 결합하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278
로 한글 표기를 한다.
그리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279
를 한글로 표기해 보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280
에 사용된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81
)은 명사이고 'ㅇ(이응)발음이 나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82
(이응+아래아+이응)으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283
으로 표기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284
에 사용된 촉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85
)은 동사 기본형
Figure 112016028033142-pat00286
(
Figure 112016028033142-pat00287
) 가 활용되어 사용되었으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88
(이응+아래아+지읒+시옷)으로 표기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289
(테)는 어말에 있으므로 '떼'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290
로 표기해서 각 각의 단어들을 결합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291
로 한글 표기한다.
또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92
를 한글로 표기해 보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293
에 사용된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94
)은 명사이면서 'ㄴ(니은) 발음이 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295
(이)는 장음이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296
로 표기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297
에 사용된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298
)은 동사 기본형인
Figure 112016028033142-pat00299
(
Figure 112016028033142-pat00300
)가 활용되어 사용?으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301
(이응+아래아+미음+니은)으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302
로 표기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303
Figure 112016028033142-pat00304
(타)가 어중에 있으므로 '따'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305
(
Figure 112016028033142-pat00306
)는 어말에 있으므로 '
Figure 112016028033142-pat00307
'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308
로 표기하며, 각각의 단어들을 결합해서 표기하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309
로 한글 표기한다.
또한,
Figure 112016028033142-pat00310
를 한글로 표기해 보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311
Figure 112016028033142-pat00312
(카)가 어중에 있으므로 '까'로 표기되어
Figure 112016028033142-pat00313
로 표기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314
(우치)의
Figure 112016028033142-pat00315
(치)가 어말에 있으므로 '찌'가 되어
Figure 112016028033142-pat00316
로 표기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317
의 받침음(
Figure 112016028033142-pat00318
)은 명사이고 'ㅇ(이응)의 발음이 나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319
(이응+아래아+이응)으로 표기하여
Figure 112016028033142-pat00320
으로 표기하고,
Figure 112016028033142-pat00321
(요메)는 동사 기본형인
Figure 112016028033142-pat00322
(
Figure 112016028033142-pat00323
)의 명령형이므로
Figure 112016028033142-pat00324
(아래아)를 살려둔 채 한글 표기하면
Figure 112016028033142-pat00325
로 표기되며 각 각의 단어들을 결합해서
Figure 112016028033142-pat00326
로 한글 표기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일본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한글을 병기하여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매체로서, 서적, 신문, 정기 간행물 등이 포함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는 한글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쉽고 편리하게 정확한 성조에 의해 일본어를 배울 수 있고, 또한, 일본어 발음 음가에는 있지만 우리 말에는 없는 음가에 대한 새로운 한글 문자를 제공하여 일본어의 발음을 쉽고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한글을 병기한 서적, 신문, 정기 간행물 등과 같은 기록 매체에 적용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일본어를 접하고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일본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한글병기의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서적, 신문, 정기 간행물인 한글병기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한글은 일본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병기하되,
    상기 한글은 옛한글(고어)의 자모를 사용하여 아(あ)행 자모는
    Figure 112019128785645-pat00327
    (여린히읗), 우(う)단 자모는
    Figure 112019128785645-pat00328
    (아래아), 장음으로 사용되는 이(い)와 우(う)의 자모는
    Figure 112019128785645-pat00329
    (이응+아래아), 촉음(っ)의 자모는 명사로 사용될 경우
    Figure 112019128785645-pat00330
    , 동사 활용에 사용될 경우
    Figure 112019128785645-pat00331
    , 받침음(ん)의 자모는 명사에 사용될 경우
    Figure 112019128785645-pat00332
    , 동사 활용에 사용될 경우
    Figure 112019128785645-pat00333
    으로 각각 표기하고,
    상기 한글은 현대 한글의 자모를 사용하여 카(か)행 자모의 경우 일본어 단어의 첫음절의 발음으로 표현될 때에는 'ㅋ', 그 외 음절에서 발음될 때는 'ㄲ', 타(た)행 자모의 경우 일본어 단어의 첫음절의 발음으로 표현될 때에는 'ㅌ'과 'ㅊ', 그 외 음절에서 발음될 때는 'ㄸ'과 'ㅉ'으로 각각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한글병기 기록매체.
KR1020160034770A 2016-03-23 2016-03-23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KR102100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770A KR102100811B1 (ko) 2016-03-23 2016-03-23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770A KR102100811B1 (ko) 2016-03-23 2016-03-23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413A KR20170110413A (ko) 2017-10-11
KR102100811B1 true KR102100811B1 (ko) 2020-04-14

Family

ID=6013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770A KR102100811B1 (ko) 2016-03-23 2016-03-23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8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526B1 (ko) * 2019-04-12 2021-07-07 이가혜 영어 학습 시스템
WO2020218906A1 (ko) * 2019-04-26 2020-10-29 이가혜 발음 개선을 위한 학습 시스템
KR20220030666A (ko) * 2020-09-03 2022-03-11 정원수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KR20220030664A (ko) * 2020-09-03 2022-03-11 정원수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220030665A (ko) * 2020-09-03 2022-03-11 정원수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운율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112A (ko) * 2001-10-04 2001-11-14 서정수 국제 한글 음성 기호 입/출력법
KR100985201B1 (ko) * 2008-02-12 2010-10-05 유완선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KR20090095406A (ko) * 2008-03-05 2009-09-09 장길봉 국제음성기호한글식음성표기법
KR20100092541A (ko) * 2009-02-13 2010-08-23 빛누리 주식회사 중국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20001551U (ko) 2010-08-26 2012-03-07 김희정 이미지 연상법을 이용한 일본어 문자 학습 교재
KR101105906B1 (ko) 2011-05-25 2012-01-17 김경희 기억부호 프라프라(++)형을 이용한 일본어 학습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413A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811B1 (ko)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Walker-Jones Hebrew for biblical interpretation
CN101465078A (zh) 英语拼音教学辅助工具及其工业应用方法
Khansir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pelling and pronunciation in English language
Kan Colloquial Chinese: the complete course for beginners
Nuti Reconsidering Renaissance Greek grammars through the case of Chrysoloras’ Erotemata
US4565459A (en) Phonetic Chinese printing apparatus
Tualaulelei et al. Diacritical marks and the Samoan language
Ahmed Different types of spelling errors made by Kurdish EFL learners and their potential causes.
Appleyard Colloquial Amharic
KR102624420B1 (ko) 중국어 교재
Cook Background to the English writing system
Downing Is literacy acquisition easier in some languages than in others?
Bowles Dickens's shorthand manuscripts
Chiung Peh-oe-ji, a childish writing?
Sutton History of SignWriting
Vitrano-Wilson et al. Tone marks as vowel diacritics in two scripts: repurposing tone marks for non-tonal phenomena in Cado and other Southeast Asian languages
KR101857111B1 (ko) 중국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한어병음자모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Zhao The application study of note-taking of interpreting in college English course
Spear-Swerling Spelling an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Mountford Writing" and" Alphabet
Tawa Japanese Stage-Step Course: Writing Practice Book
Revell Sign and sound in the study of written texts
Colburn et al. Common Expositional Problems in Students' Papers and Theses
TW512291B (en) A kind of teaching aids for language combination permut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62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12

Effective date: 201909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