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664A -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664A
KR20220030664A KR1020200112276A KR20200112276A KR20220030664A KR 20220030664 A KR20220030664 A KR 20220030664A KR 1020200112276 A KR1020200112276 A KR 1020200112276A KR 20200112276 A KR20200112276 A KR 20200112276A KR 20220030664 A KR20220030664 A KR 20220030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syllable
rhythm
input
rh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수
진하용
안중혁
Original Assignee
정원수
진하용
안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수, 진하용, 안중혁 filed Critical 정원수
Priority to KR102020011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664A/ko
Publication of KR20220030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664A/ko
Priority to KR1020220167317A priority patent/KR102517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숫자를 입력받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상기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거나, 상하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음절표기생성수단,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 이후,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성조표기수단을 포함하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LANGUAGE WITH RHYTHM AND PROSODY}
본 발명은,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국어나 일본어 등과 같이 성조를 가진 언어들의 음운론적 특성과 음운현상을 고려하여 자음과 모음을 한글로 입력 / 표기토록 하는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컴퓨터나 휴대폰 따위와 같은 이동식 단말기 등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문자 중 한글은 애초 음소 문자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몇 가지 부호를 적절히 사용하면 여러 외국어의 문자로서의 기능을 훨씬 더 잘 발휘할 수 있다.
전 세계에는 아직도 문자 없이 문맹의 상태에 있는 지역 혹은 민족이 많은데, 그들의 말을 표기하는 문자로서 한글은 매우 최적화되어 있다. 결국 한글은 우리 한국어만을 표기하는 데에만 최적화가 되어 있는 문자가 결코 아니며, 그야말로 한글이 훌륭한 문자인 것은 어떤 인간의 언어일지라도 거의 다 표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졌기 때문이다.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것에 대해서는 종래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446553호 "기본자형의 조합을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과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599873호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등에서 한글자모를 이용하여 다양한 언어의 문자를 표기하도록 하는 방법 등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특허문헌에서 개시된 기술들은 일상 어문생활의 편리함을 위해 외래어로서의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으로서, 중국어의 음운론적 특성과 음운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편의적 그리고 실용적으로만 한글로 표기토록 하는 것에 머무른 것으로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867668호 "중국어 표기문자로서의 한글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을 통하여, 중국어를 가장 바람직하게 한글의 자모로 입력 / 표기토록 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중국어뿐만 아니라 성조를 가진 다양한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하기 위해, 단말기를 통한 입력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데에는 여전히 한계가 존재하였고, 또 해당 음절에 성조와 같은 운소가 실현되는 억양(intonation)이나 운율(prosody)을 나타내는 데에도 역시 한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필요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0867668 B1
본 발명은, 한글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하나의 음절에 손쉽게 성조부호를 표기하고 이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성조를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숫자를 입력받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상기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거나, 상하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음절표기생성수단,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 이후,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성조표기수단을 포함하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중국어인 경우, 상기 병서표기는 '
Figure pat00001
', 'ㅀ', ㅆ', 'ㅉ' 및 '
Figure pat00002
'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03
' 와 '
Figure pat00004
'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는, 'ㄱ', 'ㄷ' 및 'ㅂ'의 받침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중국어인 경우, 상기 모음은 'ㅏ', '
Figure pat00005
', 'ㅐ', 'ㅑ', '
Figure pat00006
', 'ㅓ',' ㅗ', 'ㅔ', 'ㅛ', 'ㅖ', 'ㅝ', 'ㅘ', '
Figure pat00007
', 'ㅡ' 및 'ㅣ'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중국어인 경우, 상기 숫자가 '1', '2', '3' 및 '4'일 때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성조부호는 'ㅡ', '/', 'V' 및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일본어인 경우, 상기 병서표기는 'ㄲ', 'ㄸ', 'ㅃ', 'ㅆ', 'ㅉ', 'ㅄ' 및 '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08
' 와 '
Figure pat00009
'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일본어인 경우, 상기 숫자가 '1', '2', '4', '5' 및 '6'일 때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성조부호는 'ㅡ', '/', '\', '∨' 및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영어인 경우, 상기 병서표기는 'ㅼ', '
Figure pat00010
', 'ㅆ' 및 '
Figure pat00011
'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12
' 와 '
Figure pat00013
'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영어인 경우, 상기 모음은 'ㅏ', '
Figure pat00014
', '
Figure pat00015
', '
Figure pat00016
', 'ㅐ', 'ㅑ', 'ㅓ',' ㅗ', 'ㅔ', 'ㅛ', 'ㅖ', 'ㅝ', 'ㅘ', 'ㅡ' 및 'ㅣ'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는,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힌디어, 아랍어, 터키어, 이탈리아어 및 포루투갈어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수단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받는 단계, 음절표기생성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상기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거나, 상하로 조합하여 연서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단계, 출력수단은,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수단은 숫자를 입력받는 단계, 및 성조표기수단은,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에 따르면, 한글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하나의 음절에 손쉽게 성조부호를 표기하고 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박자가 일정한 템포(tempo)를 지닌 채 무리를 지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소리의 흐름인 리듬(rhythm)에 운소(성조, 강세, 음자)를 얹혀 운율(prosody)로 함께 나타내도록 함으로써, 단어나 구절, 문장의 발화시 의미를 변화시켜 주는 운소를 음절(syllable)에 부여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의 한자 어휘의 음절에 적용되는 음운론적, 운율론적 현상과 규칙들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하여, 한자들의 뜻과 발음이 한중일 세 언어에서 각각 어떠한가를 익히게 함으로써, 한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만들어 내는 수십만 개의 한자 어휘를 피교육생들이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의 한 박자 리듬꼴들을 나열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의 반 박자 리듬꼴들을 나열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n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가 화면에 출력한 운율형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율표시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등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100)는, 한글의 자모(자음과 모음), 그리고 숫자를 입력받는 입력수단(110)과, 입력수단(1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거나, 상하로 조합하여 연서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음절표기생성수단(131)과,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수단(120)과,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 이후, 입력수단(110)에 의해 입력된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성조표기수단(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외국어를 한글로 이루어진 음절로 손쉽게 표기할 수 있음은 물론, 숫자 입력을 통해 그 음절에 성조부호를 표기하고 화면에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성조를 가진 언어에 대한 입력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한글입력장치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입력수단(110)은 사용자로부터 한글의 자모는 물론 숫자 등과 같은 각종 입력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 예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의 자판이나, 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의 자판일 수 있다.
출력수단(120)은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된 기능이나 동작의 과정이나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출력하거나,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으로 소리 출력 등을 할 수 있다. 출력 형태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부(130)는 한글입력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입력수단(1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한글의 자모를 조합하여 음절을 생성하고 이를 출력수단(120)을 통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입력수단(1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竝書)표기를 생성하거나, 또는 한글의 자음을 상하로 조합하여 연서(連書)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을 포함할 수 있다.
말소리(speech sound)는 발음시간이 긴 모음(vowel) 음소와 발음시간이 짧은 자음(consonant) 음소가 서로 모여 4가지 유형의 음절을 만들 수 있다. 즉,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한글의 자모를 조합하여, V형(모음 단독형), CV형(자음+모음형), VC형(모음+자음형), CVC형(자음+모음+자음형)의 4가지 유형의 음절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길고 짧은 소리인 모음과 자음이 모여서 박음절(beat syllable)을 만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한글리듬 법칙에 따라 만들어지는 4가지 유형의 음절들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pat00017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병서표기는 '
Figure pat00018
', 'ㅀ', 'ㅆ', 'ㅉ' 및 '
Figure pat00019
'을 포함할 수 있고,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20
' 와 '
Figure pat00021
'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중국어 음절의 받침(또는 종성) 중 'ㄱ', 'ㄷ' 및 'ㅂ'의 평파열음은 현대 중국어 한자음에서 찾아보기 어려우므로 이는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중국어의 권설음(설첨후음)과 설면음(구개음)은 음가가 서로 다른 자음 음소로 상정되어 온 것이 정설이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이들을 따로 구분하여 표기하지 않고 'ㅈ', 'ㅊ', 'ㅅ'으로 음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나하면, 권설음과 구개음은 각각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이 같기 때문에 음가가 동일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중국어에서 권설음 /zh/가 운모와 결합한 /zha/, /zhao/, /zhang/이라는 발음의 말은 있어도 /zhia/, /zhiao/, /zhiang/이라는 발음의 말이 없는 이유는 권설음 'zh'가 운모 /a/, /ao/, /ang/과는 결합해도 운모 /ia/, /iao/, /iang/과는 결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대로, 구개음 /j/가 운모와 결합한 /jia/, /jiao/, /jiang/이라는 발음의 말은 있어도 /ja/, /jao/, /jang/이라는 발음의 말이 없는 이유는 구개음 'j'가 운모 /ia/, /iao/, /iang/과는 결합해도 운모 /a/, /ao/, /ang/과는 결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권설음 /zh/는 구개음 /j/와 음가가 동일하며, 권설음 /ch/는 구개음 /q/와, 권설음 /sh/는 구개음 /x/와 그 음가가 서로 같다고 판단하여도 무방하며, /zh/와 /j/는 /ㅈ/으로 표기하고, /ch/와 /q/는 /ㅊ/으로, /sh/와 /x/는 /ㅅ/으로 표기하여도 좋다.
결국, 중국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2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22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한국어 모음체계에 없는 중국어의 이중모음 /ao/는 /
Figure pat00023
/로, /yao/는 /
Figure pat00024
/로, /yue/는 /
Figure pat00025
/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중모음 /you/는 성모가 앞에 오지 않을 경우 /iu/로 표기하며 그 음가는 [
Figure pat00026
]인데, 이 이중모음 /you/를 한글로는 /요/로 표기하는 것이 가장 좋다. 왜냐하면 이중모음 'you'의 음가 [
Figure pat00027
]는 [여우] →[
Figure pat00028
]처럼 표기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
Figure pat00029
]는 '[이]+[어우]'를 거쳐 '[이]+[오](ㅓ+ㅜ→ㅗ 간음화)'로 발음되는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중모음 'you'(iu)의 한글 표기는 /요/가 더 좋다.
/ㅓ/의 발음은 중국어 이중모음 /ㅔ/[ei], /ㅞ/[wei]에서는 [e] 발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shen me'에서 'me'의 'e'는 /ㅓ/[
Figure pat00030
] 발음을 나타내지만 이중모음 'ei'와 'wei'에서는 'ㅓ'가 [e] 발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ㅔ/는 [에이], /ㅞ/는 [웨이]라고 발음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ㅐ/가 현대 한국어에서는 [
Figure pat00031
]발음을 나타내지만, 중국어를 표기할 때는 이중모음 [ai] 발음을 적는 글자로 하는 것이 좋다.
결국, 중국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3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표 3]
Figure pat00032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일본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병서표기는 'ㄲ', 'ㄸ', 'ㅃ', 'ㅆ', 'ㅉ', 'ㅄ' 및 'ㄽ'을 포함할 수 있고,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33
' 와 '
Figure pat00034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어 한자음의 입성운미(/k/, /t/, /p/ 받침)는 현대 일본어에서 외파될 때와 내파될 때 모두를 받침으로 표기해 주는 것이 좋다. 즉, 그 받침이 약모음 'ㅡ'와 결합하여 CV형 음절을 만드는 경우에는 받침을 각각 {ㄱ, ㄽ, ㅄ}으로 표기하고 내파(불파)되는 경우에는 받침을 각각 {ㅋ, ㅅ, ㅂ/ㄷ}으로 표기하며, 그 받침이 약모음 'ㅣ'와 결합하여 CV형 음절을 만드는 경우에는 그 받침을 각각 {ㄲ,ㅆ,(없음)}으로 표기하도록 한다. 여기서 /p/를 받침으로 가진 한자는 외파될 때 받침이 약모음 'ㅣ'와 결합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형태음소적 표기형으로서의 심리적 음절이 음소적 표기형으로서의 물리적 음절로 분할되는 과정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일본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4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
[표 4]
Figure pat00035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일본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현대 일본어는 5단모음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모음 수가 많은 한국어의 입장에서 보면 일본어의 모음을 한글로 적는 문제는 큰 어려움이 없다.
결국, 일본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5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
[표 5]
Figure pat00036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あ는 한글로 'ㅏ', え는 'ㅔ', い는 'ㅣ', お는 'ㅗ', 그리고 う는 '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う는 さ행의 す나 ず, た행의 つ나 づ를 적을 경우 한글로 'ㅜ'보다는 'ㅡ'로 적는 것이 바람직하며, /ㅐ/가 현대 한국어에서는 [
Figure pat00037
]발음이지만, 일본어를 표기할 때는 이 /ㅐ/가 이중모음 [ai] 발음을 표기하는 글자로 하고, 한국어에 없는 일본어 이중모음 'ゆい' /yui/는 /ㆌ/로 표기하는 것이 좋다.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영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병서표기는 'ㅼ', '
Figure pat00038
', 'ㅆ' 및 '
Figure pat00039
'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40
' 와 '
Figure pat00041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
Figure pat00042
', '
Figure pat00043
', '
Figure pat00044
', 'ㅐ', 'ㅑ', 'ㅓ',' ㅗ', 'ㅔ', 'ㅛ', 'ㅖ', 'ㅝ', 'ㅘ',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영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6과 같이 표기할 수 있고, 영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7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표 6]
Figure pat00045
[표 7]
Figure pat00046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베트남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ㅿ' 이외에, 병서표기는 'ㄲ', '
Figure pat00047
', 'ㅆ', 'ㅉ'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48
' 와 '
Figure pat00049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ㅓ', '
Figure pat00050
', '
Figure pat00051
', 'ㅐ', 'ㅔ', 'ㅗ', 'ㅜ',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베트남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8과 같이 표기할 수 있고, 베트남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9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
[표 8]
Figure pat00052
[표 9]
Figure pat00053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독일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병서표기는 '
Figure pat00054
', 'ㅆ', 'ㅉ' 및 'ㆅ'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55
' 와 '
Figure pat00056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ㅓ', 'ㅚ', 'ㅟ', 'ㅐ', 'ㅔ', 'ㅗ', 'ㅜ',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독일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0과 같이 표기할 수 있고, 독일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1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표 10]
Figure pat00057
[표 11]
Figure pat00058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프랑스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ㅿ', '슈', '
Figure pat00059
' 및 '
Figure pat00060
' 이외에, 병서표기는 'ㄸ', '
Figure pat00061
' 및 'ㅃ'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62
' 와 '
Figure pat00063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
Figure pat00064
', 'ㅗ', 'ㅚ', '
Figure pat00065
', 'ㅙ', 'ㅔ', '
Figure pat00066
', 'ㅐ', '
Figure pat00067
', 'ㅜ', 'ㅟ',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프랑스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2와 같이 표기할 수 있고, 프랑스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3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표 12]
Figure pat00068
[표 13]
Figure pat00069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스페인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
Figure pat00070
' 이외에, 병서표기는 'ㄲ', ㄸ', '
Figure pat00071
', '
Figure pat00072
', 'ㅃ' 및 'ㅆ'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73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ㅔ', 'ㅗ', 'ㅜ',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스페인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4와 같이 표기할 수 있고, 스페인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5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
[표 14]
Figure pat00074
[표 15]
Figure pat00075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러시아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ㅿ', '
Figure pat00076
', '솨', '쩨', '쳬' 및 '시촤' 이외에, 병서표기는 'ㄲ', ㄸ', '
Figure pat00077
', 'ㅆ', 및 'ㅃ'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78
' 와 '
Figure pat00079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ㅗ', 'ㅔ', 'ㅜ',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러시아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6과 같이 표기할 수 있고, 러시아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7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표 16]
Figure pat00080
[표 17]
Figure pat00081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힌디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병서표기는 'ㄲ', 'ㄸ', '
Figure pat00082
', '
Figure pat00083
', 'ㅷ', 'ㅼ', 'ㅻ', '
Figure pat00084
', '
Figure pat00085
', '
Figure pat00086
', '
Figure pat00087
', '
Figure pat00088
', '
Figure pat00089
', 'ㅥ', ''ㅃ', 'ㅆ', 'ㅉ'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090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ㅗ', 'ㅜ', 'ㅔ', 'ㅐ', '
Figure pat00091
', '
Figure pat00092
'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힌디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8과 같이 표기할 수 있고, 힌디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19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
[표 18]
Figure pat00093
[표 19]
Figure pat00094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아랍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샤', 'ㅿ' 및 '
Figure pat00095
' 이외에, 병서표기는 'ㄲ', 'ㄸ', '
Figure pat00096
' 'ㅆ', '
Figure pat00097
', '
Figure pat00098
', 'ㆅ', 'ㆃ', 'ㅼ', '
Figure pat00099
' 및 'ㅃ'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100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ㅔ', 'ㅜ',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아랍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20과 같이 표기할 수 있고, 아랍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21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표 20]
Figure pat00101
[표 21]
Figure pat00102
한편,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한글 자모로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터키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쉐' 및 '
Figure pat00103
' 이외에, 병서표기는 '
Figure pat00104
' 및 'ㅆ'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105
' 와 '
Figure pat00106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음은 'ㅏ', 'ㅗ', 'ㅚ', 'ㅔ', 'ㅜ', 'ㅟ',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터키어의 자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22와 같이 표기할 수 있고, 터키어의 모음들은 한글로 하기 표 23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표 22]
Figure pat00107
[표 23]
Figure pat00108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음절표기생성수단(131)에 의해 만들어진 음절형태에, 성조부호를 부가하는 성조표기수단(1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조표기수단(132)은 성조부호를 부가할 때,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숫자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부가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성조부호를 음절에 부가하여 표기할 수 있다.
이때, 부가되는 성조부호는 병서표기나 연서표기된 한글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만들어진 글자의 오른쪽 위 또는 오른쪽 아래에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만들어진 글자를 인식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상기 성조부호는 만들어진 글자의 오른쪽 위아래에 표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일 예로서, 'ㅏ', 'ㅑ', 'ㅓ', 'ㅕ', 'ㅣ'의 모음에서는 그 모음 위에 표기되는 것이 좋고, 'ㅗ', 'ㅛ', 'ㅜ', 'ㅠ', 'ㅡ'의 모음에서는 그 모음의 오른쪽 아래에 표기되는 것이 좋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음절표기생성수단(131)에 의해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성조표기수단(132)은 숫자 '1'이 입력된 경우 '솔→솔'높이의 고장조를 나타내는 1성의 성조부호 'ㅡ'를 표기토록 하고, 숫자 '2'가 입력된 경우 '미→솔'높이의 상승조를 나타내는 2성의 성조부호 '/'를 표기토록 하며, 숫자 '3'이 입력된 경우 '미→도→파'높이의 저굴곡조를 나타내는 3성의 성조부호 'V'를 표기토록 하고, 숫자 '4'가 입력된 경우 '솔→도'높이의 급하강조를 나타내는 4성의 성조부호 '\'를 표기토록 하며, 숫자 '0'이 입력된 경우 경성으로 성조부호를 표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조표기생성수단(132)은 입력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기 만들어진 음절형태에 부가할 수 있으나, 이때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는 성조를 가진 외국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입력수단(110)을 이용하여 "건강은 어떻습니까?"라는 중국어인 "
Figure pat00109
"의 발음기호 "
Figure pat00110
"에 대하여, /ㄴ/, /ㅣ/, /3/, /ㅅ/, /ㅓ/, /ㄴ/, /1/, /ㅌ/, /ㅣ/, /3/, /ㅎ/, /ㅏ/, /ㅗ/, /3/, /ㅁ/, /ㅏ/, /?/를 순차로 입력하여 "
Figure pat00111
"를 입력할 수 있다.
동일하게 사용자는 입력수단(110)을 이용하여 "우리 함께 갑시다."라는 중국어인 "
Figure pat00112
"의 발음기호 "
Figure pat00113
"에 대하여, /ㅇ/, /ㅜ/, /ㅓ/, /3/, /ㅁ/, /ㅔ/, /ㄴ/, /ㅇ/, /ㅣ/, /ㄹ/, /4/, /ㅊ/, /ㅣ/, /3/, /ㅊ/, /ㅜ/, /ㅣ/, /3/, /ㅂ/, /ㅏ/, /./를 순차로 입력하여 "
Figure pat00114
"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음절표기생성수단(131)에 의해 만들어지는 음절형태가 일본어를 한글로 표기한 것이라면, 성조표기수단(132)은 숫자 '1'이 입력된 경우 '솔→솔' 높이의 고장조를 나타내는 1성의 성조부호 'ㅡ'를 표기토록 하고, 숫자 '2'가 입력된 경우 '미→솔' 높이의 상승조를 나타내는 2성의 성조부호 '/'를 표기토록 하며, 숫자 '3'이 입력된 경우 '미→도' 높이의 저장조를 나타내는 3성은 성조부호를 표기하지 않고, 숫자 '4'가 입력된 경우 '솔→도' 높이를 나타내는 급하강조를 나타내는 4성은 성조부호 '\'를 표기토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숫자 '5'가 입력된 경우 '솔' 높이의 고조를 나타내는 반1성(평판형)의 '∨'를 표기토록 하고, 숫자 '6'이 입력된 경우 '솔' 높이의 고조를 나타내는 반4성은 성조부호 '∧'를 표기토록 하며, 숫자 '7'이 입력된 경우 '솔솔' 높이의 고고조를 나타내는 7성은 성조부호 '^'을 표기토록 할 수 있다. 여기서 7성이 얹히는 음절 하나가 두 개의 음절로 분할되므로 성조부호 '^'를 분할된 두 개의 음절에 표기할 수 있다(예,
Figure pat00115
).
제2 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100)는 성조표기수단(132)에 의해 음절형태에 성조부호가 부가된 음절박(syllabic beat)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을 대응시키는 리듬꼴대응수단(133)을 포함할 수 있다.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모여서 형성된 음절(syllable)은 박(搏, beat)의 지위를 확보하여, 다시 곁에 있는 다른 음절들과 어울려 그 발음시간의 물리적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더 큰 말소리 단위인 균등한 시간 길이의 '박자'(拍子, time)를 만들 수 있다.
음악학에서는 리듬(rhythm), 멜로디(melody), 화성(harmony)을 음악의 3요소라고 일컬으며, 그 중 리듬은 길고 짧은 소리(搏, beat)가 모여 이루어진 박자가 일정한 템포(tempo)를 지닌 채 무리를 지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소리 흐름이다. 이 리듬에 운소(성조, 강세, 음장)가 얹혀 실현되면 운율(prosody)을 이룰 수 있다. 즉 단어나 구절, 문장의 발화시, 의미를 변화시켜주는 운소가 음절에 부여되면 운율형(또는 리듬꼴)이 발생할 수 있다.
리듬꼴은 반박자 리듬꼴과 한박자 리듬꼴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반박자 리듬꼴은 '
Figure pat00116
', '
Figure pat00117
', '
Figure pat00118
', '
Figure pat00119
' 및 '
Figure pat00120
'으로 이루어진 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일 수 있고, 또 한박자 리듬꼴은 '
Figure pat00121
', '
Figure pat00122
', '
Figure pat00123
', '
Figure pat00124
', '
Figure pat00125
', '
Figure pat00126
', '
Figure pat00127
', '
Figure pat00128
', '
Figure pat00129
', '
Figure pat00130
', '
Figure pat00131
', '
Figure pat00132
', '
Figure pat00133
', '
Figure pat00134
', '
Figure pat00135
', '
Figure pat00136
', '
Figure pat00137
', '
Figure pat00138
', '
Figure pat00139
', '
Figure pat00140
', '
Figure pat00141
', '
Figure pat00142
', '
Figure pat00143
', '
Figure pat00144
', '
Figure pat00145
', '
Figure pat00146
', '
Figure pat00147
', '
Figure pat00148
' 및 '
Figure pat00149
'으로 이루어진 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리듬과 운율을 형성하는 리듬꼴들 각각에 대하여 이를 지칭하는 이름을 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한 박자 리듬꼴들은 도 2a에 도시하였고, 반 박자 리듬꼴들은 도 2b에 도시하였다.
저장부(140)는 단어와 이에 대응하는 음절형태의 조합이 서로 매칭되도록 저장할 수 있고, 또 상기 음절형태의 조합에 대응하는 리듬꼴이 서로 매칭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절형태의 조합에 대해 이에 상응하는 리듬꼴을 추출할 수 있다.
출력수단(120)은 음절표기생성수단(131)에 의해 생성된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되, 이에 대응하는 상기 리듬꼴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듬꼴을 출력할 때 운소(성조, 강세, 음장)에 따른 높낮이가 표시되도록 오선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오선지에 표시되는 높낮이는 절대적인 음높이를 가진 것이 아니며 상대적인 음높이를 가진 것으로, 성조가 1성인 경우 고장조로서 기준 높낮이 대비 고고(高高, HH)로, 성조가 2성인 경우 상승조로서 기준 높낮이 대비 저고(低高, LH)로, 성조가 3성인 경우 저굴곡조로서 기준 높낮이 대비 중저중(中低中, MLM)으로, 그리고 성조가 4성인 경우 하강조로서 기준 높낮이 대비 고저(高低, HL)로 상기 오선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음율형은 오선지에 표시 가능한 높낮이가 있는 것으로, 출력수단(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한글 텍스트(text)를 음성(speech)으로 출력하되 상기 리듬꼴에 따라 높낮이를 적용하여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물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음성이 아닌 악기 따위로 출력할 수 있고, 리듬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언어에 대한 습득력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의 조합을 적어도 하나의 억양구로 나눌 수 있다. 통상 단어를 기준으로 리듬꼴이 기 정하여져 있으나, 제어부(130)는 리듬꼴의 조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억양구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어구를 기준으로 하거나, 쉼표와 같은 문장기호를 기준으로 하거나, 입력수단(110)을 통한 사용자 입력, 일 예로 "#"을 기준으로 하여, 억양구를 나눌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에 대하여 출력수단(120)은 화면에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예로, 제어부(130)는 상기 예시인 "
Figure pat00150
"의 음절박 조합에 대하여 '비둘기 중저형' + '쇠뜸부기 두고2형' # '비둘기 중저형'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오선지에 도 3a와 같이 표시하여 화면 출력하되, 억양구를 나누는 기준에 따라 "#"을 기준으로 2개의 억양구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동일하게 제어부(130)는 "
Figure pat00151
"의 음절박의 조합에 대하여 '비둘기 중저형' + '해오라기 두고형' # '기러기 두고형'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오선지에 도 3b와 같이 표시하여 화면 출력하되, 억양구를 나누는 기준에 따라 "#"을 기준으로 2개의 억양구로 나눌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언어와 무관하게 오선지에 도 3c 내지 3n 각각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의 조합으로 표시하여 화면 출력할 수 있다. 도 3c 내지 3n 각각은 순서대로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영어, 독일어, 불어, 스페인어, 터기어, 러시아어, 힌디어, 아랍어에 대한 리듬꼴을 나타낸다.
한편, 저장부(140)는 단어, 구절 또는 문장들로 이루어진 다양한 예시를 저장하되, 이때 예시인 단어, 구절 또는 문장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들의 조합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장부(130)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 NVRAM)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저장 장치로서, 일 예로, 롬(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디스켓 드라이브, 마그네틱 테이프), 광디스크 드라이브, 마그네틱 RAM, PRAM 등은 물론, 웹 상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웹 스토리지 형태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어부(130)는 현재 사용자 입력에 의한 음절형태에 대응하는 리듬꼴의 조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리듬꼴의 조합을 가진 예시 단어, 구절 또는 문장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언어와 무관하게 저장된 단어, 구절 또는 문장들 중 현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절형태에 대응하는 리듬꼴의 조합을 추출 및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어부(130)는 동일 언어에 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절형태에 따른 리듬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과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추출 및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언어에 대한 동일한 리듬을 가진 단어, 구절 또는 문장들을 확인하게 되어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단, 제어부(130)는 동일 언어에 한하지 않고, 다른 언어까지 확장하여, 리듬꼴들의 조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리듬꼴들로 이루어진 그룹을 검색하여 추출 및 분류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른 언어에 대해서도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그룹을 포함한 예시 단어, 구절 또는 문장에 대하여 검색할 때, 리듬꼴마다 지칭된 이름을 키워드로 활용하여, 리듬꼴들의 조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그룹을 검색할 때 검색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이나 동영상까지 확장하여, 리듬꼴들의 조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리듬꼴들로 이루어진 그룹을 검색하여 추출 및 분류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언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음절표기생성수단(134)은, 입력수단(11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지 않고, 저장매체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번역프로그램 따위에 의해 변환되거나, 또는 광학적 문자 판독장치(OCR) 등으로부터 읽어들인 발음기호를 근거로 하여 이에 대응하는 상기 음절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성조표기수단(135)은 상기 발음기호에 포함된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표기생성수단(134)에 의해 생성된 음절형태에 부가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번역프로그램에 "
Figure pat00152
"를 입력하였을 때 이를 발음기호 "
Figure pat00153
"로 변환하여 반환할 수 있고, 음절표기생성수단(134)은 상기 발음기호에 대하여 상기 표 2 및 3에 기재된 내용을 근거로 음절형태인 "
Figure pat00154
"로 변환할 수 있고, 성조표기수단(134)은 상기 발음기호에 포함된 성조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음절형태에 부가하여 최종 "
Figure pat00155
"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수단(110)은 마이크 따위로서 주변의 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제어부(130)는 입력수단(110)에 입력된 사용자의 목소리를 인식하고, 인식된 글자를 상기 번역프로그램에 입력할 수 있다. 번역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발음기호를 반환할 수 있고, 음절표기생성수단(134)은 이를 음절형태로 변환한 다음, 성조표기수단(134)은 상기 발음기호에 포함된 성조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음절형태에 부가하여 최종적으로 성조부호가 부가된 음절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리듬꼴을 대응시켜 출력하거나, 억양구로 나누는 등의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방법 등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율표시방법은, 입력수단(110)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받는 단계(S110), 음절표기생성수단(131)은 입력수단(1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거나, 상하로 조합하여 연서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단계(S120), 출력수단(120)은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S130), 입력수단(110)은 숫자를 입력받는 단계(S140), 및 성조표기수단(132)은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사용자는 성조를 가진 외국어를 한글로 이루어진 음절로 손쉽게 표기할 수 있음은 물론, 숫자 입력을 통해 그 음절에 성조부호를 표기하고 화면에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성조를 가진 언어에 대한 입력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운율표시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운율표시방법은, 리듬꼴대응수단(133)이 성조표기수단(132)에 의해 상기 음절형태에 성조부호가 부가된 음절박(syllabic beat)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을 대응시키는 단계(S160)와, 출력수단(120)이 성조부호가 부가된 상기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력하는 단계(S170)는 상기 음절형태와 함께 상기 음절형태에 대응하는 리듬꼴을 출력하되, 상기 리듬꼴을 성조에 따른 높낮이로 오선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운율표시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방법은, 발음기호를 읽어들이는 단계(S210), 음절표기생성수단(134)은 상기 발음기호를 근거로 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절형태 - 상기 음절형태는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한 병서표기 및 상기 자음을 상하로 조합한 연서표기를 포함함 - 를 생성하는 단계(S220), 성조표기수단(132)은 상기 발음기호에 포함된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단계(S230), 리듬꼴대응수단(133)은 성조표기수단(132)에 의해 상기 음절형태에 성조부호가 부가된 음절박(syllabic beat)의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듬꼴을 대응시키는 단계(S240), 및 출력수단(120)은 성조부호가 부가된 상기 음절형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되, 상기 리듬꼴에 따라 높낮이를 적용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것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방법, 운율표시방법과 음성출력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적용언어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등에서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는,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힌디어, 아랍어, 터키어, 이탈리아어 및 포루투갈어 등 모든 언어일 수 있고,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한글입력장치 110: 입력수단
120: 출력수단 130: 제어부
131: 음절표기생성수단 132: 성조표기수단
133: 리듬꼴대응수단 134: 음절표기생성수단
140: 저장부

Claims (11)

  1. 한글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숫자를 입력받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상기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거나, 상하로 조합하여 연서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음절표기생성수단;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 이후,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성조표기수단;
    을 포함하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중국어인 경우, 상기 병서표기는 '
    Figure pat00156
    ', 'ㅀ', 'ㅆ', 'ㅉ' 및 '
    Figure pat00157
    '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158
    ' 와 '
    Figure pat0015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는, 'ㄱ', 'ㄷ' 및 'ㅂ'의 받침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중국어인 경우, 상기 모음은 'ㅏ', '
    Figure pat00160
    ', 'ㅐ', 'ㅑ', '
    Figure pat00161
    ', 'ㅓ',' ㅗ', 'ㅔ', 'ㅛ', 'ㅖ', 'ㅝ', 'ㅘ', '
    Figure pat00162
    ',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중국어인 경우, 상기 숫자가 '1', '2', '3' 및 '4'일 때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성조부호는 'ㅡ', '/', 'V' 및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일본어인 경우, 상기 병서표기는 'ㄲ', 'ㄸ', 'ㅃ', 'ㅆ', 'ㅉ', 'ㅄ' 및 'ㄽ'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163
    ' 와 '
    Figure pat0016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일본어인 경우, 상기 숫자가 '1', '2', '4', '5' 및 '6'일 때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성조부호는 'ㅡ', '/', '\', '∨' 및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영어인 경우, 상기 병서표기는 'ㅼ', '
    Figure pat00165
    ', 'ㅆ' 및 '
    Figure pat00166
    '을 포함하고, 상기 연서표기는 '
    Figure pat00167
    ' 와 '
    Figure pat0016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가 영어인 경우, 상기 모음은 'ㅏ', '
    Figure pat00169
    ', '
    Figure pat00170
    ', '
    Figure pat00171
    ', 'ㅐ', 'ㅑ', 'ㅓ',' ㅗ', 'ㅔ', 'ㅛ', 'ㅖ', 'ㅝ', 'ㅘ', 'ㅡ' 및 'ㅣ'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는,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힌디어, 아랍어, 터키어, 이탈리아어 및 포루투갈어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11. 입력수단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받는 단계;
    음절표기생성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상기 한글의 자음을 좌우로 조합하여 병서표기를 생성하거나, 상하로 조합하여 연서표기를 생성하여 음절형태로 만드는 단계;
    출력수단은, 상기 만들어진 음절형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수단은 숫자를 입력받는 단계; 및
    성조표기수단은,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성조부호를 상기 음절형태에 부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방법.
KR1020200112276A 2020-09-03 2020-09-03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220030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76A KR20220030664A (ko) 2020-09-03 2020-09-03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1020220167317A KR102517021B1 (ko) 2020-09-03 2022-12-05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276A KR20220030664A (ko) 2020-09-03 2020-09-03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317A Division KR102517021B1 (ko) 2020-09-03 2022-12-05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64A true KR20220030664A (ko) 2022-03-11

Family

ID=808147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276A KR20220030664A (ko) 2020-09-03 2020-09-03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1020220167317A KR102517021B1 (ko) 2020-09-03 2022-12-05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317A KR102517021B1 (ko) 2020-09-03 2022-12-05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306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054A1 (ko) 2022-03-11 2023-09-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폭주 방지를 위한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68B1 (ko) 2006-11-27 2008-11-10 정원수 중국어 표기문자로서의 한글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632A (ko) * 2007-12-13 2009-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92541A (ko) * 2009-02-13 2010-08-23 빛누리 주식회사 중국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101036903B1 (ko) 2010-09-17 2011-05-25 신부용 한글을 이용한 다언어 문자 입출력 장치
KR20170057623A (ko) * 2015-11-17 2017-05-25 한국과학기술원 언어장애인을 위한 다언어 어휘의 발음 합성 및 문자화 장치
KR102100811B1 (ko) * 2016-03-23 2020-04-14 장승익 일본어 발음을 표현하기 위한 한글병기 표기방법에 의해 표기되는 기록매체
KR101859268B1 (ko) * 2016-04-20 2018-05-18 김혜정 영어 단어의 음절과 연동된 악보 제공 시스템
KR101936208B1 (ko) * 2016-12-05 2019-01-08 주동림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80069738A (ko) * 2016-12-15 2018-06-25 이카이스(주) 한글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 표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68B1 (ko) 2006-11-27 2008-11-10 정원수 중국어 표기문자로서의 한글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054A1 (ko) 2022-03-11 2023-09-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폭주 방지를 위한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021B1 (ko) 2023-03-31
KR20220167359A (ko)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bash Introduction to Arabic natural language processing
WO2021033865A1 (ko)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US201301911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cribing or Transliterating to an Iconphonological Orthography
KR101936208B1 (ko)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80000990A (ko)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71070A (ko) 음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발음 학습방법 및 학습장치
KR101060928B1 (ko)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로 표시 가능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을 성조를 나타내는 소정기호를 포함하는 한글 발음기호 표시 방법 및 중국어의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중국어 발음과 중국어 성조를 한글 발음기호로 표기하는 방법
JP7166580B2 (ja) 言語学習方法
KR102517025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KR102517021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WO2000060560A1 (en) Text processing and display methods and systems
US20070061143A1 (en) Method for collating words based on the words' syllables, and phonetic symbols
KR100985201B1 (ko)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KR102517024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운율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20220030662A (ko) 한국·중국·일본·베트남 등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220030663A (ko) 영국·독일·프랑스·스페인어 등 알파벳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10100112A (ko) 국제 한글 음성 기호 입/출력법
Odinye Phonology of mandarin chinese: a comparison of Pinyin and IPA
TW201104643A (en) Language teaching system
Ganjavi et al. ASCII based transcription systems for languages with the Arabic script: The case of Persian
KR20180133345A (ko) 영어 단어에 발음정보를 표시 방법
KR101777141B1 (ko) 한글 입력 키보드를 이용한 훈민정음 기반 중국어 및 외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0053248A2 (ko)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JP2014142762A (ja) 外国語の発音表記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KR102112059B1 (ko)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형성 방법,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표시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