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33865A1 -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33865A1
WO2021033865A1 PCT/KR2020/004392 KR2020004392W WO2021033865A1 WO 2021033865 A1 WO2021033865 A1 WO 2021033865A1 KR 2020004392 W KR2020004392 W KR 2020004392W WO 2021033865 A1 WO2021033865 A1 WO 20210338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yllable
phoneme
learning
wor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43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현욱
Original Assignee
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욱 filed Critical 정현욱
Publication of WO20210338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338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Korean.
  • Korean language content for foreigners is being supplied mainly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he univers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and textbook publishers, leading the supply, and mainly printed textbooks, electronic textbooks, apps, and electronic dictionaries are being provided.
  • the printed textbook words are categorized by category, and the TTS voice reads them using the supplied CD using the supplied CD, and the app and electronic textbooks categorize words by category.
  • the user selects the voice display by displaying a voice together, the TTS voice reads in full characters, and the electronic Korean dictionary provided on the website adopts a method of reading the full characters in TTS voice along with the meaning of words. There is a limit to accurately learning the pronunciation of Hangul with this whole letter TTS reading method.
  • 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94647 (2002.10.30.)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neme-based Hangul learn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neme-based Hangul learn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enabling phoneme-based Hangul learning for a word newly input by a user in addition to a previously registered word.
  • a phoneme-based Hangul learning method is provided.
  • a method of learning Hangul including outputting to a format may be provided.
  • the phonetic value of the word may be output in an audiovisual format in consideration of the phonetic rule.
  • the finality and the initial sounding are transonic, nasal, consonant assimilation, linkage law, sounding, adding sound, aspirating, palatalization
  • the phonological rul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target syllable and the trailing syllable, and the phoneme of the final consonant corresponds to the ending sound of the final consonant, "euck", “eun”, and (eut)", “eul”, “eum (eum), “eup (eup)” and “eung (eung)” at least one representative negative value may be output together with the finality.
  • step (c) at least one of a phoneme of each syllable, a phoneme of each phoneme, a phoneme of each syllable, a phoneme of a syllable, and a phoneme of a word may be output in an audiovisual format along with a predetermined foreign language notation.
  • the learning target data may be input through camera-base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or may be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interface.
  •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step (c) at least one of the phoneme phoneme, the syllable phoneme, and the word phoneme is output by reflecting a voice sample according to a user profile, and the user profile may be at least one of gender, age, and region.
  •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phoneme-based Hangul learning method is provided.
  •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to be learned;
  • A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syllable composition of the learning object data;
  • each syllable is classified into each phoneme unit according to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ity of each syllable, and control to output at least one of each phoneme phoneme, each syllable phoneme, and word phonetic value according to the sequential combination of syllables in an audiovisual format
  • a user terminal including a processor may be provided.
  • the input unit may be an input device interface or a camera, and the camera may recognize learning data based o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the processor may control to output the sound value of a word in an audiovisual format in consideration of the phonological rul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phoneme-based Hangul learning for words newly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words.
  • 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learning Kore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learning the initial phonetic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learning a neutral phon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learning a final phonetic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final consonant learn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learning Korean for words having the same reading and wri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word analysis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learning Korean for words having different reading and wri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word analysis table for FIG. 8.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learning Korean for words that are not registered in a word diction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learning Korean for unregistered wor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learning Korean in consideration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and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for learning Korean in consideration of the phonological rule according to FIG. 12;
  • 15 and 16 are diagrams showing a phoneme determination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supporting phoneme-based Hangul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8 to 20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honetic determination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learning Kore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data to be learned.
  • the data to be learned may be input through an input interface such as a keyboard or a touch pad, or may be input through camera-base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It is natural that the method of receiving the data to be learned can be input through various known methods.
  • the learning target data may be a word for which the user wants to learn Hangul, or may be a phrase or sentence.
  • the data to be learned may be words of one or more syllables, and may be basic consonants or meetings according to an initial, neutral, or final voice.
  • step 115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it is a single syllable by analyzing the syllable composition of the data to be learned.
  • step 120 the user terminal 100 divides the learning target data into phoneme units, and then the phoneme of at least two of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phonemes, and at least two of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The syllable sound value combined with is output in an audiovisual format.
  • the user terminal 100 may output the syllable phonetic value to which the representative phonetic phonetic rule is applied.
  • the user terminal 100 may output each phoneme phoneme in an audiovisual format and then output a syllable phoneme combining phonemes in an audiovisual format.
  • step 125 the user terminal 100 searches for a pre-stored word dictionary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presence or not.
  • the word dictionary includes 19 initial consonants, 21 neutral vowels, 27 final consonants, 399 one-syllable letters without ending, 10,773 one-syllable letters with ending, 1 without ending.
  • voices for each sound value may be stored as different voices according to age, gender, and region. Accordingly, each phonetic value (phoneme phoneme, syllable phoneme, word phoneme, etc.) may be output in an audio-visual format with a voice considering at least one of gender, age, and region according to the user profile.
  • step 130 the user terminal 100 separates the phonemes of each syllable of the learning target data.
  • step 135 the user terminal 100 extracts phonetic value data corresponding to each phoneme, and extracts phonetic value data corresponding to each syllable and phonetic value data corresponding to a word, respectively. Subsequently, the user terminal 100 outputs at least one of each phoneme, each phoneme phoneme, each syllable, each syllable phoneme, and word phoneme in an audiovisual format.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may output the word phonetic value by further considering the phonetic rule for the word phonetic value.
  • the user terminal 100 can determine whether to apply the phonological rul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ding letter and the initial sung, etc.,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pply the phonological rule. May be applied differently.
  • step 140 the user terminal 100 extracts a word analysis table corresponding to the data to be learned from the word dictionary, and then uses the word analysis table to determine the phonemes, phoneme phoneme, and each of the syllables. At least one of a syllable, each syllable sound value, and a word sound value is output in an audiovisual format.
  • each syllable phoneme when outputting each syllable phoneme in an audiovisual format, it is natural that each syllable phoneme can be output in an audiovisual format by reflecting whether or not the phonological rule of each syllable is applied.
  • each syllable of the learning target data is divided into phoneme units, and then the phoneme for each phoneme and the sound value for each syllable are sequentially audiovisual.
  • 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learning an initial phonetic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210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 selection of an initial consonant.
  • step 215 the user terminal 100 outputs a sound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itial consonant in an audiovisual format.
  • the initial consonant is a touch sound that cannot produce a sound by itself, a sound value combined with the vowel "-" (en) can be output.
  • the user terminal 100 may output the alphabet of a foreign language selected by the us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rresponding initial consonant.
  • Table 1 is an example of indicating alphabetic phonetic values according to initial consonants when the foreign language selected by the user is English.
  • Table 2 is an example of indicating alphabetic phonetic values according to initial consonants when the foreign language selected by the user is Russian.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learning a neutral phone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310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 selection of a neutral vowel.
  • step 315 the user terminal 100 outputs a sound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neutral vowel in an audiovisual format.
  • Vowels are monophonic sounds that can produce sounds by themselves, so Romanization below each vowel is output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 a foreign language alphabet selected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together.
  • Table 3 is a table that summarizes the sound values according to the neutral vowels.
  • FIG.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learning a final phonetic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410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a final consonant selected.
  • step 415 the user terminal 100 outputs a representative sound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inal consonant in an audiovisual format.
  • final consonants There are 27 final consonants, but they are represented by 7 phonemes such as " ⁇ ”, “ ⁇ ”, “ ⁇ ”, “ ⁇ ”, “ ⁇ ”, “ ⁇ ”, and “ ⁇ ”.
  • a table summarizing this is shown in FIG. 4.
  • the seven representative negative sound values are marked in English by applying the end sound of each consonant name, and the sound values are output in an audiovisual format.
  • “a” in “euck” (euck), "b” in nieun “eun” (eun), “c” in digut, “eut”, “ ⁇ ” in rieul, “eul” (eul ), " ⁇ ” can be expressed as “eum” in “mium”, “eup” in “ ⁇ ” bieup, and “eung” in “ ⁇ ”
  • the user terminal 100 may simultaneously highlight the consonants classified as representative phonetic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inal consonant and output them in an audiovisual format.
  • each phoneme phoneme may be output together with a phoneme notation corresponding to the final consonant and the initial consonant so that the next of the sound between the final consonant and the initial consonant can be identified.
  • a representative phonetic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nal consonant is output, and then, when the final consonant is used as an initial consonant, the phoneme notation and the phonetic value are selected. Can be printed.
  • This can be applied equally to the initial consonant learning. That is, when an initial consonant is selected, a phonetic value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initial consonant is output, and when the corresponding initial consonant is used as a final consonant, a representative phonetic phonetic value may be output to enable simultaneous learning.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b" as the final consonant, after outputting the representative phonetic phonetic value corresponding to "silver", the phonetic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 such as "N”, may be compared and output.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final consonant learn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sonants classified by a phonetic value such as "b” may be output together.
  • a phonetic value such as "b”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learning Korean for words that are the same in reading and wri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ord analysis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the user terminal 100 may search for a pre-stored word dictionary and select a word mapped to the learning target data when there is a word mapped to the learning target data because "grandmother", which is the learning target data, is two or more syllables.
  • a word analysis table for the selected word ie, data to be learned
  • the word analysis table includes information on phoneme classification, foreign language phonetic indication, each phoneme phoneme, and each syllable phoneme for each syllable of a word.
  • the user terminal 100 may sequentially output a phoneme phoneme, each syllable phoneme, and a word phoneme for the data to be learned based on the word analysis table in an audiovisual format.
  • the phonemes of each syllable are sequentially output, but the output phoneme and the corresponding phoneme phoneme may be output in an audiovisual format.
  • the phoneme " ⁇ ” may be output and a corresponding phoneme phoneme “heh” may be outputted. Subsequently, " ⁇ " is output, and "ah", which is a phoneme sound value, may be output.
  • the phoneme and phoneme phoneme of each syllable can be output in an audiovisual format.
  • each syllable and each syllable phoneme may be output.
  • outputting "hal” and corresponding syllable phoneme “hal”, outputting "mer” and corresponding syllable phoneme “mer” in audiovisual format, and outputting "ni” and corresponding syllable phoneme I can.
  • the following syllable is output at the rear end of the preceding syllable, and the syllable output in an audiovisual format may be output as visual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preceding syllable.
  • the word syllable and word sound value may be output in an audio-visual form.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learning Korean for words having different reading and wri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ord analysis table of FIG. 8.
  • the user terminal 100 may sequentially output a phoneme and a phoneme phoneme for each syllable, then output each syllable and each syllable phoneme, and finally output a word and a word phonetic value to which a phoneme rule is applied.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learning Korean for words not registered in a word diction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ach syllable is classified into phoneme units, and each phoneme, the foreign language representation of the phoneme, the phoneme phoneme, You can create a word analysis table including each syllable phonetic value.
  • the newly created word analysis table may be stored in its own word dictionary, and then used when learning the same word.
  • the corresponding learning target data is a word to which phonological rules are not applied, it is not separately stored.
  •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learning Korean for unregistered wor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ngle father" input in FIG. 11 is a word to which a phonological rule is applied, and information on a word sound value obtained by applying a phonological rule to the word sound value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word analysis table.
  • Whether or not the phonological rule of a word not included in the word dictionary is applied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honological rule is applied by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following syllable in the case of i) whether the syllable contains a ending or ii) a syllable containing a end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2.
  • FIG. 12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learning Korean in consideration of phonological r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1210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nd to the analysis target syllable.
  • step 1210 If the syllable to be analyzed does not contain the finality, the phonological rule is not applied, s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210.
  • the user terminal 100 extracts the initial sound of the following syllable.
  • the initial sound of the following syllable may be a consonant or a vowel.
  • the trailing syllable may be any one of a short vowel syllable and a double vowel syllable.
  • step 1220 the user terminal 100 analyzes whether or not the phonological rule of the end of the syllable to be analyzed and the initial sound of the following syllable is applied.
  • the user terminal 100 extracts the initial sound of the following syllabl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nding of each syllable, and compares the initial sound of the ending and subsequent syllables to apply phonological rules such as linkage law, sound addition phenomenon, palatal phonetic, and tense relationship. By analyzing whether it is an object, you can apply the corresponding phonological rules. Since each phonological rule is a matter known in Korean grammar books,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phonological rule will be omitted.
  • 15 and 16 are diagrams showing a phonological determination table.
  • 15 is a diagram showing a phonological determination table between final and initial consonants excluding "o".
  • each row (raw) is divided based on a consonant consonant and a representative phonetic value
  • each column (col) is divided into an initial consonant (excluding ⁇ ) of one syllable.
  • Each is separated by a first star.
  • information on a phonetic value set as a phonological rule between a final consonant and an initial consonant of a following syllable may be included.
  • the phonological rule determina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based on the'Korean spelling,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explanation' (published on December 21, 2018, the issuer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 the user terminal 100 may set the sound value of the'support consonant and the connected consonant' as the word sound value to'leave a string' and control the corresponding voice to be output.
  • a table listing the phonological rules for this is shown in FIG. 18.
  • the user terminal 100 may control to output a word phonetic value by applying a phonetic rule for a word whose initial consonant is a consonant and the initial consonant of a connected syllable (following syllable) is a consonant with reference to FIG. 18.
  • the names of the columns include short vowels and double vowels from "ah” to "i”, and they are separated into final vowels and initial vowels for each vowel.
  • information on a phonetic value set as a phonological rule according to a final consonant, a short vowel of a following syllable, and a double vowel may be included.
  • the phonation phenomenon is defined in Chapter 4, paragraphs 13 to 16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Act.
  • This softening phenomenon can be pronounc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vowel. That is, pronuncia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use of verbs, formal morphemes, and types of real morphemes.
  • Clause 13 when a single or double foot is combined with a vowel-based survey, a word, or a suffix, it can be pronounced by shifting to the first sound of the syllable after the first pitch.
  • paragraph 14 it is stipulated that when overlapping is combined with a vowel-started survey, ending, or suffix, only the support of the overlapping is transferred to the first sound of the following syllable.
  • ' ⁇ ' may be pronounced as hunsori.
  • a real morpheme starting with the vowels' ⁇ , ⁇ , ⁇ , ⁇ , ⁇ ' when a real morpheme starting with the vowels' ⁇ , ⁇ , ⁇ , ⁇ 'is connected behind the base, it can be changed to a representative phonetic and transferred to the first sound of a later syllable.
  • the word phonetic value can be set as'behind the tail' by applying the reference type and the law of linkage in paragraph 15.
  • a'gneath' which is not defined in the word dictionary i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spaces are spaced in the data to be learned, and if spaces are spaced, the user terminal 100 may distinguish between a real morpheme or a formal morpheme constructed in a word dictionary.
  • the sound value may be set as'go back' according to the ‘ ⁇ ’ of ‘ ⁇ ’ an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9. However, if spaces are not spaced, the user terminal 100 may set a sound value with'skewer'. A table listing phonological rules for this is shown in FIG. 19.
  • phonological rules when using a phonological determination table, phonological rules may be easily understood by students or foreigners in an audio-visual form.
  • a description of the selected phonological rule and an example word are output to display the phonetic value of each cell, thereby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honological rule.
  • FIG. 1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supporting phoneme-based Hangul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user terminal 100 includes an input unit 1710, a camera 1715, a display unit 1720, an audio output unit 1725, an analysis unit 1730, and a memory. (1735) and a processor (1740).
  • the input unit 1710 is a means for receiving various control commands, data, etc.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100.
  • the input unit 1710 may include at least one key button.
  • the input unit 17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 the input unit 1710 may receive the learning target data by recognizing the learning target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1715 described below through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the camera 1715 is a means for photographing a subject.
  • the user can take a picture of the learning object to be learned.
  •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function based on the camera 1715.
  •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the OCR function may not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00.
  • it is natural that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transmitted to a server (not shown), and the server may recognize the data to be learned through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00. .
  • the display unit 1720 is a means for outputting data input or stored through a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visual information.
  • the display unit 1720 may be a liquid crystal screen.
  • the sound output unit 1725 is a means for outputting audio data.
  • the sound output unit 1725 may be a speaker.
  • the analysis unit 1730 is a means for analyzing a syllable composition of data to be learned.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syllables, the analysis unit 1730 may analyze each phoneme unit when the data to be learned is not registered in the word dictionary. This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6,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 the memory 1735 is a means for storing various instructions (program codes) required to perform the phoneme-based Hangul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data derived from this process.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a word dictionary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35.
  • the processor 1740 includes internal components of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g, an input unit 1710, a camera 1715, a display unit 1720, and an audio output unit 1725 ). , Analysis unit 1730, memory 1735, etc.).
  • the processor 1740 may control to output at least one of each phoneme, phoneme phonetic value, each syllable, each syllable phonetic value, and word phonetic valu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object data in an audiovisual format.
  • 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한글 학습 방법은 (a) 학습 대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학습 대상 데이터의 음절 구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석된 음절 구성에 따라 각 음절의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따른 각 음소 단위로 분류하며, 각 음소, 음소 음가, 각 음절, 음절 음가 및 상기 각 음절의 순차적 조합에 따른 낱말 음가 중 적어도 하나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시아를 넘어 세계에 확산되고 있는 한류의 영향력 유지와 확대를 위한 많은 콘텐츠 중 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한국어 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보급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한글은 음절 알파벳 문자로서 음소 알파벳 언어를 사용하는 외국인들이 쉽게 한글을 읽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여성경제신문 2015년 05월 15일자 기사를 참조하면, 실제로 외국인이 한글을 배울 때 가장 어렵다고 느끼는 점은 ‘발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공급되고 있는 외국인 대상 한글 콘텐츠는 국립국어원을 중심으로, 대학 한국어 교육원, 교재 출판사 등이 공급을 주도하고 있으며, 주로 인쇄물 교재, 전자 교재, 앱, 전자 사전 등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쇄물교재는 카테고리 별로 낱말을 분류 영어음가와 함께 표기를 한 후 공급되는 CD를 이용 통글자로 TTS 음성이 읽어 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앱, 전자 교재는 카테고리 별로 낱말을 분류 영어음가와 함께 표기와 함께 음성 표시를 하여 사용자가 음성표시를 선택하면 통글자로 TTS 음성이 읽어 주는 방식이며,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전자국어사전은 낱말의 뜻과 함께 TTS 음성으로 통글자를 읽어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런 통글자 TTS 읽기방식으로는 한글의 발음을 정확하게 배우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종래의 한글 교육용 콘텐츠는 입력 기능이 없어 몇가지 예로 소개된 낱말만 학습이 가능하며, 전자 사전은 사전에 등록된 낱말만 읽기 연습이 가능한 수준에 머물러 있어 효율적인 한글 학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01)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 제20-0294647호(2002.10.30.)
본 발명은 음소 기반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등록된 낱말 이외에 사용자가 신규 입력된 낱말에 대해서도 음소 기반 한글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음소 기반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소 기반 한글 학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학습 대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학습 대상 데이터의 음절 구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석된 음절 구성에 따라 각 음절의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따른 각 음소 단위로 분류하며, 각 음소 음가, 각 음절 음가 및 음절의 순차적 조합에 따른 낱말 음가 중 적어도 하나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글 학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음운 규칙을 더 고려하여 낱말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대상 음절의 종성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음절의 종성과 후행 음절의 초성을 각각 추출한 후, 상기 종성과 상기 초성이 경음화, 비음화, 자음 동화, 연음 법칙, 유음화, 음의 첨가, 격음화, 구개음화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음운 규칙이 상기 대상 음절 및 상기 후행 음절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되, 상기 종성의 음가는 종성 자음의 끝소리에 상응하여 "윽(euck)", "은(eun)", "읃(eut)", "을(eul)", "음(eum), "읍(eup)" 및 "응(eung)" 중 적어도 하나의 대표 음화 음가로 종성과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각 음절의 음소, 각 음소 음가, 각 음절, 음절 음가 및 낱말 음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외국어 표기와 함께 시청각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카메라 기반 광학 문자 인식(OCR)을 통해 상기 학습 대상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른 음성 샘플을 반영하여 상기 음소 음가, 상기 음절 음가 및 상기 낱말 음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되,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성별, 나이 및 지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소 기반 한글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대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학습 대상 데이터의 음절 구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음절 구성에 따라 각 음절의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따른 각 음소 단위로 분류하며, 각 음소 음가, 각 음절 음가 및 음절의 순차적 조합에 따른 낱말 음가 중 적어도 하나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이거나 카메라이되, 상기 카메라는 광학 문자 인식(OCR) 기반으로 학습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음운 규칙을 더 고려하여 낱말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소 기반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음소 기반 알파벳에 익숙한 외국인의 한글 학습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등록된 낱말 이외에 사용자가 신규 입력된 낱말에 대해서도 음소 기반 한글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성 음가 학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성 음가 학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성 음가 학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성 자음자 학습 화면의 일부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읽기와 쓰기가 같은 낱말에 대한 한글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낱말 분석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읽기와 쓰기가 다른 낱말에 대한 한글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대한 낱말 분석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낱말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낱말에 대한 한글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록되지 않은 낱말에 대한 한글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운 규칙을 고려한 한글 학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 따른 음운 규칙을 고려한 한글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운 결정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소 기반 한글 학습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18 내지 도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운 결정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
[부호의 설명]
100: 사용자 단말
1710: 입력부
1715: 카메라
1720: 디스플레이부
1725: 음향 출력부
1730: 분석부
1735: 메모리
1740: 프로세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11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학습 대상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학습 대상 데이터는 키보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으며, 카메라 기반 광학 문자 인식을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학습 대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방법 자체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입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학습 대상 데이터는 사용자가 한글을 학습하고자 하는 낱말일 수도 있으며, 구 또는 문장일 수도 있다.
학습 대상 데이터는 1음절 이상의 단어일 수도 있으며, 초성, 중성, 종성에 따른 기본 자음 또는 모임일 수도 있다.
단계 11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학습 대상 데이터의 음절 구성을 분석하여 1음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학습 대상 데이터가 1음절인 경우, 단계 12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학습 대상 데이터를 음소 단위로 구분한 후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적어도 두개의 음소의 음가와 초성, 중성 및 종성 둥 적어도 두개를 조합한 음절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음절 음가를 출력함에 있어, 대표 음화 음운 규칙이 적용된 음절 음가를 출력할 수 있다. 음소 음가 및 음절 음가를 출력함에 있어, 사용자 단말(100)은 각각의 음소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한 후 음소를 조합한 음절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학습 대상 데이터가 2음절 이상인 경우, 단계 12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기저장된 낱말 사전을 검색하여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낱말 사전에는 19개의 초성 자음자, 21개의 중성 모음자, 27개의 종성 자음자, 종성 없는 1음절 글자 399개, 종성이 있는 1음절 글자 10,773개, 종성 없는 1음절 글자 399개와 종성 있는 1음절 글자 10,773개 총 11,172자를 음소로 분리한 데이터, 초성 자음의 음가 19개, 중성 모음의 음가 21개, 종성 자음 대표 음가 7개, 399개의 종성 없는 1음절 음가, 7개 대표음화에 따른 1음절 음가 2,793개 총 3239개 음가에 대한 음성, 한글 음가를 표기하는 외국어 표기, 가장 많이 쓰이는 한글 낱말과 읽기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음가에 대한 음성은 나이, 성별 및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음성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 성별, 나이 및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한 음성으로 각각의 음가(음소 음가, 음절 음가 및 낱말 음가 등)가 시청각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만일 낱말 사전에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13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학습 대상 데이터의 각 음절의 음소를 분리한다.
이어, 단계 13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각 음소에 대응하는 음가 데이터를 추출하고, 각 음절에 해당하는 음가 데이터, 낱말에 해당하는 음가 데이터를 각각 추출한다. 이어, 사용자 단말(100)는 각 음소, 각 음소 음가, 각 음절, 각 음절 음가 및 낱말 음가 중 적어도 하나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낱말 음가에 대해 음운 규칙을 더 고려하여 낱말 음가를 출력할 수 있다.
음운 규칙을 적용함에 있어, 사용자 단말(100)은 분석된 음소에서 종성 유무 파악, 종성 글자와 초성과의 관계 등을 분석하여 음운 규칙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음운 규칙 적용 여부에 따른 각 음절 음가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별도로 설명되고 있지 않으나, 각각의 음소 음가, 각 음절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함에 있어, 기설정된 외국어 표기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한글 학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낱말 사전에 존재하는 경우, 단계 14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낱말 사전에서 해당 학습 대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낱말 분석 테이블을 추출한 후 해당 낱말 분석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음절의 음소, 음소 음가, 각 음절, 각 음절 음가 및 낱말 음가 중 적어도 하나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한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각 음절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함에 있어, 각 음절의 음운 규칙 적용 여부를 반영하여 각 음절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학습 대상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로 취득한 후, 학습 대상 데이터의 각 음절을 음소 단위로 분리한 후 각 음소에 대한 음가와 각 음절에 대한 음가를 차례대로 시청각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음소 단위 알파벳을 사용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글을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성 음가 학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21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초성 자음자를 선택받는다.
단계 21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된 초성 자음자에 상응하는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한다. 여기서, 초성 자음은 그 자체로서는 소리를 낼 수 없는 닿소리이므로, 자음에 모음 "ㅡ"(en)와 결합한 음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국어의 알파벳을 해당 초성 자음에 대응하여 함께 출력할 수 있다. 표 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딘 외국어가 영어인 경우 초성 자음에 따른 알파벳 음가를 표기한 일 예이다.
초성자음
영어음가 g/k gg n d dd l/r m b bb s ss silent j jj ch k/c t p/f h
음성출력 무음
표 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딘 외국어가 러시아어인 경우 초성 자음에 따른 알파벳 음가를 표기한 일 예이다.
초성자음
러시아어음가 г/к кк н д/т тт р/ль м б/п пп с/щ сс/щщ без звука чж/ч чч чх кх тх пх х
음성 무음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성 음가 학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31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중성 모음자를 선택받는다.
단계 31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된 중성 모음자에 상응하는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한다. 모음은 그 자체로 소리를 낼 수 있는 홑소리이므로, 각 모음 아래 로마자 표기는 한국어 표준 발음법에 따라 출력된다. 초성 자음자와 마찬가지로 중성 모음자에 따른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함에 있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국어 알파벳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표 3은 중성 모음자에 따른 음가를 정리한 표이다.
중성모음
영어음가 a ae ya yae eo e yeo ye o wa wae oe yo u wo we wi yu eu ui
음성 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성 음가 학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종성 자음자를 선택받는다.
단계 41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된 종성 자음자에 상응하는 대표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한다. 종성 자음자는 표기상으로는 27개이나, "ㄱ", "ㄴ", "ㄷ", "ㄹ", "ㅁ", "ㅂ", "ㅇ" 등과 같이 7개의 음가로 대표된다. 이를 정리한 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종성자음
음가 k k k n n n t l l m l l l p l m p p t t ng t t k t p t
음성발음 euck eun eut eul eum eul eup eul eum eup eut eung eut euck eut eup eut
음성
7개의 대표 음화 음가는 각 받음자음 이름의 끝소리를 응용하여 영문으로 표기하고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ㄱ" 기역에서 "윽"(euck), "ㄴ" 니은에서 "은"(eun), "ㄷ" 디귿에서 "읃"(eut), "ㄹ"리을에서 "을"(eul), "ㅁ"미음에서 "음"(eum), "ㅂ"비읍에서 "읍"(eup), "ㅇ"이응에서 "응"(eung)으로 대표음화 음가를 표기할 수 있다. 또한, 종성 음가 학습시, 종성 자음자가 하나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종성 자음자에 상응하여 대표 음가로 분류된 자음자를 동시에 하이라이트하여 시청각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종성 자음자와 초성 자음자간의 소리의 다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종성 자음자와 초성 자음자에 상응하는 음소 표기와 함께 음소 음가를 각각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학습 대상 데이터로서 종성 자음자가 선택되는 경우, 종성 자음자에 상응하는 대표 음가를 출력한 후 해당 종성 자음자가 초성 자음자로 이용되는 경우 음소 표기와 음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초성 자음자 학습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초성 자음자가 선택되면, 해당 초성 자음자에 상응하는 음가를 출력한 후 해당 초성 자음자가 종성 자음자로 이용되는 경우 대표 음화 음가를 출력하여 동시에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종성 자음자로 "ㄴ"을 선택하는 경우, "은"에 해당하는 대표음화 음가를 출력한 후 "느"와 같이 초성 자음자에 상응하는 음가를 비교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성 자음자 학습 화면의 일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ㄴ"을 종성 자음자로 선택한 경우, "ㄴ"과 같은 음가로 분류되는 자음자들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종성 자음자에 따른 대표 음화 음가와 초성 자음자로 이용되는 경우 음가를 각 자음자와 함께 출력함으로써 비교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읽기와 쓰기가 같은 낱말에 대한 한글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낱말 분석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학습 대상 데이터로서 "할머니"가 입력된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학습 대상 데이터인 "할머니"가 2음절 이상이므로, 기저장된 낱말 사전을 검색하여 학습 대상 데이터에 매핑된 낱말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선택할 수 있다. 해당 낱말이 선택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낱말(즉, 학습 대상 데이터)에 대한 낱말 분석 테이블이 추출된다.
낱말 분석 테이블은 낱말의 각 음절에 대한 음소 분류, 외국어 음가 표시, 각 음소 음가, 각 음절 음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할"에 대한 음소 분류인 "ㅎ, ㅏ, ㄹ", 외국어 표기인 "h, a, l", 음소 음가인 "흐, 아, 을", 음절 음가인 "할"이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음절에 대해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포함된 낱말 분석 테이블의 "읽기 행"이 공란인 경우, 해당 낱말은 음운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낱말인 것을 나타낸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낱말 분석 테이블에 기초하여 학습 대상 데이터에 대한 음소 음가, 각 음절 음가 및 낱말 음가를 차례대로 시청각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음절의 음소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되, 출력되는 음소와 그에 따른 음소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ㅎ" 음소를 출력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음소 음가인 "흐"가 출력될 수 있다. 이어, "ㅏ"가 출력되며, 음소 음가인 "아"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음절의 음소와 음소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각각의 음소 및 음소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한 후 각 음절과 각 음절 음소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과 이에 따른 음절 음소인 "할"을 출력하고, "머"와 이에 따른 음절 음소인 "머"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고, "니"와 이에 따른 음절 음가를 출력할 수 있다. 후행하는 음절은 선행 음절의 뒷단에 출력되며, 시청각 형태로 출력되는 음절은 선행하는 음절과는 다른 시각 정보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음절 및 음절 음가에 대한 시청각 형태의 학습이 완료되면, 낱말 음절 및 낱말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읽기와 쓰기가 다른 낱말에 대한 한글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대한 낱말 분석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학습 대상 데이터로 "할아버지"가 입력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할아버지"에 대한 낱말 분석 테이블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9를 참조하면, 할아버지는 음운 규칙이 적용되는 낱말이다. 낱말 음가에 대해 "할아버지"에 대해 "하라버지"와 음운 규칙이 적용된다. 이와 같이 음운 규칙이 적용되는 경우, "읽기" 행에 음운 규칙에 따른 낱말 음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각각의 음절에 대한 음소, 음소 음가를 순차적으로 출력한 후 각각의 음절과 각 음절 음가를 출력하며, 최종적으로 낱말과 음운 규칙이 적용된 낱말 음가 순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낱말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낱말에 대한 한글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학습 대상 데이터로서 "헬마니"가 입력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학습 대상 데이터가 낱말 사전에 등록되어있는지를 검색한 후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각각의 음절을 음소 단위로 분류하고, 각 음소, 음소의 외국어 표기, 음소 음가, 각 음절 음가를 포함하여 낱말 분석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신규 생성된 낱말 분석 테이블은 자신의 낱말 사전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후 동일 낱말을 학습시 이용될 수 있다.
각 음소 단위 분류, 각 음소의 외국어 표기, 음소 음가, 음절 음가 및 낱말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는 방법 자체는 이미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해당 학습 대상 데이터는 음운 규칙이 적용되지 않은 낱말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별도로 저장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록되지 않은 낱말에 대한 한글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학습 대상 데이터로서 "홀아버지"가 입력된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각각의 음절의 음소 분류, 외국어 표기, 음소 음가, 각 음절 음가를 낱말 분석 테이블로 생성하는 방법 자체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과 달리, 도 11에서 입력된 "홀아버지"는 음운 규칙이 적용되는 낱말로, 낱말 음가에 음운 규칙을 적용한 낱말 음가에 대한 정보가 낱말 분석 테이블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낱말 사전에 포함되지 않은 낱말의 음운 규칙 적용 여부는 i) 음절의 종성 포함 여부 ii) 종성을 포함하는 음절인 경우 후행하는 음절의 초성 자음을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음운 규칙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운 규칙을 고려한 한글 학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121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분석 대상 음절에 종성 유무를 판단한다.
만일 분석 대상 음절이 종성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음운 규칙 적용되지 않으므로 단계 1210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분석 대상 음절이 종성을 포함하는 경우, 단계 121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후행 음절의 초성을 추출한다. 여기서, 후행 음절의 초성은 자음일 수도 있으며, 모음일 수도 있다. 모음은 후행 음절이 단모음 음절 및 이중 모음 음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계 122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분석 대상 음절의 종성과 후행 음절의 초성의 음운 규칙 적용 여부를 분석한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의 "홀머니"의 첫음절은 "홀"은 종성이 존재하므로 음운 규칙 적용 여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홀"에 후행하는 "머"의 초성 자음인 "ㅁ"을 추출한다. 대상 음절인 "홀"의 종성인 "ㄹ"과 후행하는 음절의 초성 자음인 "ㅁ"은 음운 규칙 적용 대상이 아니므로 음운 규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홀어닥각"과 같이 학습 대상 데이터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대상 음절인 "홀"은 종성이 존재하므로, 종성인 "ㄹ"을 추출하고, 후행 음절인 "어"의 초성을 추출한다. "ㄹ"과 "ㅇ"은 연음 규칙 대상이므로 이를 적용한다. 이어, 두번째 음절인 "어"는 종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통과하며 세번째 음절인 "닥"에 종성이 존재하므로 종성을 추출하고, 후행하는 네번째 음절의 초성인 "ㄱ"을 추출한다. "ㄱ"과 "ㄱ"은 경음 규칙 관계에 해당하므로 음운 규칙을 적용한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각 음절의 종성 존재 유무에 따라 후행 음절의 초성을 추출하여 종성과 후행 음절의 초성을 비교하여 연음 법칙, 음의 첨가 현상, 구개 음화, 경음 관계 등과 같은 음운 규칙 적용 대상인지를 분석하여 상응하는 음운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각 음운 규칙은 국어 문법책 등에 공지된 사항이므로 각각의 음운 규칙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은 음운 결정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ㅇ"을 제외한 종성과 초성 자음간의 음운 결정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의 행(raw)에는 받침 자음과 대표 음가를 기준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열(col)은 1음절의 초성자음(ㅇ 제외)으로 구분되며, 이는 다시 받침과 초성으로 각각 구분되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종성 자음과 후행 음절의 초성 자음 사이의 음운 규칙으로 설정된 음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음운 규칙 결정에 대해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해설'(발행일 2018년 12월 21일, 발행처 국립국어원)을 기준으로 음운 규칙을 결정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종성이 자음이고 후행 음절의 초성이 자음인 경우 음운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후행 음절의 초성이 'ㅇ'이 아닌 다른 자음에 대해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표준발음법 제6장 제18항에 음의 동화 중 비음화 현상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되는 것으로 비음화 현상이 규정되어 있다. 예를들어 ‘걱목’(사전에 없는 단어) 낱말을 입력하면 ‘걱’의 ‘ㄱ’ 종성과 연결음절(후행 음절) '목’의 첫 자음 ‘ㅁ’은 음의 동화 중 비음화 현상에 따라 종성 'ㄱ'이 'ㅇ’으로 발음되며, 연결 자음(후행 음절)의 'ㅁ’은 그대로 변함 없는‘ㅁ’이므로 ‘겅목’으로 발음되므로, 사용자 단말(100)은 낱말 음가로서 음의 동화 중 비음화 현상을 적용하여 '겅목’을 설정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음의 동화 중 유음화 현상에 대해 표준발음법 제6장 제20항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표준발음법 제6장 제20항을 참조하면,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첫소리 'ㄴ'이 'ㅀ, ㄾ' 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줄람기’(사전에 없음)가 입력되는 경우 ‘줄’의 ‘ㄹ’과 연결 음절(후행 음졸)의 초성 ‘ㄹ’을 ㅍ표에서 찾으면 ‘줄’의‘ㄹ’은‘ㄴ’로 연결되며, 음절의 초성 ‘ㄹ’은‘ㄹ’로 되어 있어 ‘줄남기’로 낱말 음가가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낱말 음가로서 '받침자음 및 연결자음의 음가를 ‘줄남기’로 설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음운 규칙을 정리한 테이블이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는 도 18을 참조하여 초성이 자음이고 연결 음절(후행 음절)의 초성이 자음인 낱말에 대한 음운 규칙을 적용하여 낱말 음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은 열(col) 명칭이 "아"에서부터 "이"까지 단모음, 이중모음을 포함하며, 이를 다시 각 모음에 대해 받침과 초성으로 분리한다. 이를 통해, 종성 자음과 후행하는 음절의 단모음, 이중 모음에 따른 음운 규칙으로 설정되는 음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연음화 현상은 표준발음법 제4장 제13 내지 제16항에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연음화 현상은 모음에 따라 다양하게 발음될 수 있다. 즉, 용언의 활용, 형식형태소, 실질 형태소의 종류에 따라 발음이 차이가 난다. 제13항을 참조하면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마,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될 수 있다. 또한, 제 14항을 참조하면,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겹받침의 뒷받침만을 후행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 'ㅅ'은 된소리로 발음될 수 있다.
제 15항을 참조하면, 받침 뒤에 모음 'ㅏ, ㅓ, ㅗ, ㅜ, ㅟ'들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화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꽃 위’는 제 15항을 참조자형, 연음법칙을 적용하여‘꼬 뒤’로 낱말 음가가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낱말 사전에 정의되지 않은‘곷위’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학습 대상 데이터의 띄어쓰기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띄어쓰기가 되어 있다면, 낱말 사전에 구축된 실질형태소 또는 형식형태소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위’는 실질 형태소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도 19를 참조하여 ‘곷’의 ‘ㅊ’과 ‘위’의 연음화 규칙에 따라 ‘고 뒤’로 음가가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띄어쓰기가 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꼬취’로 음가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음운 규칙을 정리한 테이블이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현재, 음운 규칙을 설명하는 교재들은 텍스트 기반으로, 예시 낱말을 들어 줄글로 설명하고 있는 실정이여서, 현장에서 가르치는 교사나 학생들이 가르치고 배우는데 많은 애로 사항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음운 결정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 시청각 형태로 음운 규칙을 학생들 또는 외국인들에게 쉽게 이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0에 예시된 음운 결정 테이블에서 음운 규칙을 선택하면, 선택한 음운 규칙에 관한 설명과 예시 낱말이 출력되어 각 셀의 음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어 음운 규칙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소 기반 한글 학습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입력부(1710), 카메라(1715), 디스플레이부(1720), 음향 출력부(1725), 분석부(1730), 메모리(1735) 및 프로세서(1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710)는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명령, 데이터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710)는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710)는 터치 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입력부(1710)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카메라(1715)에 의해 촬영된 학습 대상 데이터를 광학 문자 인식을 통해 인식함으로써 학습 대상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카메라(1715)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수단이다. 사용자는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대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카메라(1715)에 기반한 광학 문자 인식(OCR) 기능이 구비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사용자 단말(100)에 OCR 기능이 미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서버에서 광학 문자 인식을 통해 학습 대상 데이터를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디스플레이부(172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20)는 액정화면일 수 있다.
음향 출력부(1725)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725)는 스피커일 수 있다.
분석부(1730)는 학습 대상 데이터의 음절 구성을 분석하기 위한 수단이다. 분석부(1730)는 음절 구성 분석 이외에도, 학습 대상 데이터가 낱말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각각 음소 단위로 분석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모리(17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소 기반 한글 학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명령어들(프로그램 코드들), 이 과정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물론, 메모리(1735)에는 낱말 사전이 저장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프로세서(17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입력부(1710), 카메라(1715), 디스플레이부(1720), 음향 출력부(1725), 분석부(1730), 메모리(173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1740)는 학습 대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각 음소, 음소 음가, 각 음절, 각 음절 음가 및 낱말 음가 중 적어도 하나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상술한 바에 의해 충분히 이해되었을 것인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a) 학습 대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학습 대상 데이터의 음절 구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석된 음절 구성에 따라 각 음절의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따른 각 음소 단위로 분류하며, 각 음소, 음소 음가, 각 음절, 음절 음가 및 상기 각 음절의 순차적 조합에 따른 낱말 음가 중 적어도 하나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글 학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음절 구성이 2음절 이상인 경우, 음운 규칙을 더 고려하여 낱말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대상 음절의 종성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 음절의 종성과 후행 음절의 초성을 각각 추출한 후, 상기 종성과 상기 초성이 경음화, 비음화, 자음 동화, 연음 법칙, 유음화, 음의 첨가, 격음화, 구개음화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음운 규칙이 상기 대상 음절 및 상기 후행 음절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되,
    상기 종성의 음가는 종성 자음의 끝소리에 상응하여 "윽(euck)", "은(eun)", "읃(eut)", "을(eul)", "음(eum), "읍(eup)" 및 "응(eung)" 중 적어도 하나의 대표 음화 음가로 종성과 함께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각 음절의 음소, 각 음소 음가, 각 음절, 음절 음가 및 낱말 음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외국어 표기와 함께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카메라 기반 광학 문자 인식(OCR)을 통해 상기 학습 대상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른 음성 샘플을 반영하여 상기 음소 음가, 상기 음절 음가 및 상기 낱말 음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되,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은 성별, 나이 및 지역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방법.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제품.
  8. 학습 대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학습 대상 데이터의 음절 구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음절 구성에 따라 각 음절의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따른 각 음소 단위로 분류하며, 각 음소 음가, 각 음절 음가 및 음절의 순차적 조합에 따른 낱말 음가 중 적어도 하나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이거나 카메라이되,
    상기 카메라는 광학 문자 인식(OCR) 기반으로 학습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음운 규칙을 더 고려하여 낱말 음가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PCT/KR2020/004392 2019-08-16 2020-03-31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WO202103386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84A KR102078626B1 (ko) 2019-08-16 2019-08-16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9-0100184 2019-08-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33865A1 true WO2021033865A1 (ko) 2021-02-25

Family

ID=6963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4392 WO2021033865A1 (ko) 2019-08-16 2020-03-31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8626B1 (ko)
WO (1) WO2021033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626B1 (ko) * 2019-08-16 2020-02-18 정현욱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KR102265255B1 (ko) * 2020-07-21 2021-06-16 주식회사 한글이나르샤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기호를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KR102495280B1 (ko) * 2022-02-09 2023-02-07 주식회사 케이센 한글 읽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 및 이의 구동방법
KR20230167603A (ko) 2022-06-02 2023-12-11 최정임 한국어와 알파벳 음가 표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878A (ko) * 2003-08-08 2003-09-02 이좌진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유아 언어싸인 교육 및 일반인언어싸인 교육학습 및 오락 컨텐츠 시스템
KR20110107548A (ko) * 2010-03-25 2011-10-04 최종민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
KR20120026173A (ko) * 2010-09-09 2012-03-19 김태형 광학 문자 판독부를 구비한 전자 사전
KR20160082901A (ko) * 2014-12-29 2016-07-11 유창권 유창한글읽기교수법
KR20180000990A (ko) * 2016-06-24 2018-01-04 정현욱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102078626B1 (ko) * 2019-08-16 2020-02-18 정현욱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14992B (en) 1999-12-17 2002-12-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878A (ko) * 2003-08-08 2003-09-02 이좌진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유아 언어싸인 교육 및 일반인언어싸인 교육학습 및 오락 컨텐츠 시스템
KR20110107548A (ko) * 2010-03-25 2011-10-04 최종민 낱말의 활용형으로 검색하는 한국어사전
KR20120026173A (ko) * 2010-09-09 2012-03-19 김태형 광학 문자 판독부를 구비한 전자 사전
KR20160082901A (ko) * 2014-12-29 2016-07-11 유창권 유창한글읽기교수법
KR20180000990A (ko) * 2016-06-24 2018-01-04 정현욱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102078626B1 (ko) * 2019-08-16 2020-02-18 정현욱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626B1 (ko)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33865A1 (ko)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Zha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f Mandarin Chinese tones: Beyond first-language transfer
Karlina et al. Designing phonetic alphabets for Bahasa Indonesia (PABI) for the teaching of intelligible English pronunciation in Indonesia
KR20180000990A (ko) 영어 파닉스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Wells Why phonetic transcription is important
KR20140071070A (ko) 음소기호를 이용한 외국어 발음 학습방법 및 학습장치
Yarra et al. Indic TIMIT and Indic English lexicon: A speech database of Indian speakers using TIMIT stimuli and a lexicon from their mispronunciations
JP7166580B2 (ja) 言語学習方法
Protopapas From diacritics to the mental lexicon
KR102517021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102517025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TW202139177A (zh) 明確的自然發音系統
US20070061143A1 (en) Method for collating words based on the words' syllables, and phonetic symbols
Herry-Bénit et al. The interphonology of contemporary English corpus (IPCE-IPAC)
Butterweck et al. Easy construction of multimedia online language textbooks and linguistics papers with LARA
KR102517024B1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운율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Yang et al. Assessing speech production in Mandarin–English bilingual children: Comparison of Mandarin and English sound systems and special considerations
KR20200062910A (ko) 개선된 프랑스어 발음 학습 제공 시스템
TWI759003B (zh) 語音辨識模型的訓練方法
WO2016028008A1 (ko) 시청각 정보의 부분 통제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Yang Phonological processes of vowels from orthographic to pronounced words in the Buckeye Corpus by sex and age groups
JP2009075526A (ja) 音声合成利用の総合的英語学習システム
KR102112059B1 (ko)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형성 방법, 청음 기반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 표시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방법
Jaelani The Lingua Franca Core (LFC) and Its Impact on Pronunciation Teaching Practice in Indonesia
KR20220030662A (ko) 한국·중국·일본·베트남 등 한자문화권 언어들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548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548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