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632A -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632A
KR20090062632A KR1020070130000A KR20070130000A KR20090062632A KR 20090062632 A KR20090062632 A KR 20090062632A KR 1020070130000 A KR1020070130000 A KR 1020070130000A KR 20070130000 A KR20070130000 A KR 20070130000A KR 20090062632 A KR20090062632 A KR 20090062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tones
chinese
tonal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수
민재상
김익주
황영호
김순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632A/ko
Publication of KR2009006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성조를 입력하는 기존의 입력 방식을 유지하고, 성조의 표시시에는 판독이 용이한 성조 기호로 해당 발음 기호의 상부에 표시되도록 하여, 입력과 판독의 편리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숫자로 표시된 단문 메세지를 수신자에게 송부한 경우, 수신자측 단말기에서 상기 숫자를 자동으로 성조 기호로 변환하여 표시되도록 할 경우에 유리하다.
이동통신 단말기, 중국어, 발음 기호, 성조,

Description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for displaying Chinese tone}
본 발명은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국어의 성조를 문자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중국어에는 목소리의 가락, 즉 성조(聲調)가 존재한다. 같은 음이라 하더라도 성조에 따라 그 의미가 전혀 달라지게 되는데, 예를 들어 ma의 경우, 성조에 따라 엄마, 마 또는 삼, 말, 욕하다를 의미하게 된다.
중국어에서 성조는 기본적으로 4가지로 나누어지는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높은 음에서 같은 높이로 길게 지속하는 1성, 중간에서 가장 높은 음으로 올리는데 고음까지 단숨에 끌어올리는 2성, 중저음에서 저음으로 내렸다가 다시 올리는 3성, 고음에서 저음으로 급하강시키면서 짧고 세게 내는 4성이 이에 해당된다.
1성, 2성, 3성, 4성의 성조 표시는 주로 중국어 발음에 대응되는 영문표기를 기준으로 영문 모음의 상부에 각각  ̄, /, ∨,\의 기호를 표기함으로써 이루어지 게 된다.
중국어는 문자인 한자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입력시에 한자 대신 한자 발음에 근접한 영문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은 경우 같은 발음이더라도 다른 뜻을 나타내는 중국어의 특성상 이를 구별할 수 있는 성조의 표기가 반드시 요구된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문표기와 병행되는 성조의 표시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좋다'란 뜻의 hao는 3성의 성조를 갖는데, 이의 입력은 'h', 'a', 'o', '3'을 순서대로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그에 대한 화면 표시는 'hao3'과 같이 이루어진다.
물론, 성조를 나타내는 숫자 '3'의 입력은 특수 기능키와 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부분은 논외로 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기기에서 성조의 표시는 해당 단어의 뒤에 숫자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방식은 성조를  ̄, /, ∨,\의 기호를 사용하여 문자 위에 표시하는 표기에 익숙한 사용자가 읽을 시에 불편함으로 작용한다. 즉, 현재의 표기 방식은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바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중국어 사용자의 용이한 판독이 가능한 성조 표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서 가독성이 높은 중국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가독성을 통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특히, 입력이 용이하도록 성조의 입력은 숫자로 수행하되 표시는 가독성이 높은 성조 기호로 표시되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숫자로 표시된 성조를 포함하는 중국어 발음 기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성조를 대응되는 성조 기호로 변환하는 기호 변환부; 상기 변환된 성조 기호를 해당 발음 기호의 상부에 표시하는 성조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성조는 1성 내지 4성의 성조와 각각 대응되는 1 내지 4의 숫자 기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조 기호는 성조 표시 기호( ̄,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상기 중국어 발음 기호는 단문 메시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는 SMS를 통하여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상기 중국어 발음 기호를 그대로 표시하는 모드와, 상기 기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성조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표시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성조를 입력하는 기존의 입력 방식을 유지하고, 성조의 표시시에는 상기 입력된 숫자를 판독이 용이한 성조 기호로 변환하여 해당 발음 기호의 상부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입력과 판독의 편리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숫자로 표시된 단문 메세지를 수신자에게 송부한 경우, 수신자측 단말기에서 상기 숫자를 자동으로 성조 기호로 변환하여 표시되도록 할 경우에 유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로 표시된 성조를 포함하는 중국어 발음 기호가 입력되는 입력부(110); 상기 성조를 대응되는 성조 기호로 변환하는 기호 변환부(120); 상기 변환된 성조 기호를 해당 발음 기호의 상부에 표시하는 성조 표시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중국어 발음 기호 및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성조가 일정 수단에 의하여 입력된다.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에 의해서 직접 눌려지는 키패드가 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단문 메세지 또는 다른 발신자로부터 단문 메세지 서비스(SMS, short meassage service)를 통하여 수신된 단문 메세지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키패드를 통한 문자의 입력, 단문 메세지의 작성 시 성조 입력, 확인의 용이함, 정확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성조 입력 및 표시는 숫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국어 발음 기호로는 영어의 알파벳 형태가 주로 사용되며, 발음 기호로 표기시 동일한 음을 가진 다른 뜻의 문자를 표현하기 위하여 성조를 같이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성조는 일반적으로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성, 2성, 3성, 4성의 4개 성조가 주로 사용되는데, 그 입력 방식으로는 숫자 입력, 반복적 키누름에 의한 숫자 입력 방식이 대표적이다.
반복적 키누름에 의하여 1성 내지 4성의 숫자를 차례대로 변화시켜 입력하는 방식은 직접적으로 숫자를 입력하는 방식에 비하여 조작이 어렵고, 빠른 키조작시 덜 누르거나, 더 누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정확하고 빠른 입력이 어려우므로 직접적으로 숫자를 입력하여 성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접적인 숫자 입력에 의한 성조 표시는 서로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사용에 유리하다. 즉, 1성은 숫자 '1', 2성은 '2', 3성은 '3', 4성은 '4'로 인식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호 변환부(120)는 상기 숫자로 표시되는 성조를 대응되는 성조 기호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기호 변환부(120)는 성조를 의미하는 기호(숫자 또는 반복적인 누름)가 사용자에 의해서 직접 입력되는 경우 바로 성조 기호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숫자로 표시한 이후에 성조 기호로 변환하게 된다. 이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문자 입력시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단문 메세지의 경우 숫자로 성조가 표시된 단문 메세지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송받아 그 중에서 성조를 의미하는 숫자를 해당 성조 기호로 변환하게 된다.
이 경우, 일반 숫자와의 구분을 위한 다양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일예로, 일반 숫자는 사이띄기 후에 사용함으로써 성조를 표시하는 숫자와의 구별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성조 표시부(130)는 상기 기호 변환부(120)에서 변환된 성조 기호를 해당 발음 기호의 상부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성조 기호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나, 현재 통상적으로 중국 성조 표시시에 사용되는 성조 표시 기호  ̄(1성), /(2성), ∨(3성),\(4성)인 것이 바람직하 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가 숫자 상태로 성조를 표시하기를 원할 수도 있는 바, 도 3과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표시모드 선택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드 선택부(140)는 상기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상기 중국어 발음 기호를 그대로 표시하는 모드와, 상기 기호 변환부(120)를 통하여 변환된 성조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성조 표시부(130)는 상기 표시모드 선택부(140)를 통하여 선택된 모드에 따라 성조 또는 숫자를 해당 발음 기호의 상부나 우측 등에 표시하여야 할 것이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발음 기호를 입력하게 되며(S 210), 이때 일반적으로 영어의 알파벳이 사용된다. 필요에 따라 1성 내지 4성의 성조를 숫자로 입력하게 되는데(S 220), 성조 기호 변환 여부, 즉 표시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입력된 성조는  ̄(1성), /(2성), ∨(3성),\(4성)와 같은 성조 표시 기호로 변환되어(S 240) 화면에 표시되거나(S 250), 숫자 그대로 화면에 표시된다(S 260).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는 입력이 용이하고, 입력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이 용이한 숫자로 성조를 입력하고, 숫자로 표시된 성조를 확인하므로, 입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입력된 성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성조 기호로 변환되어 해당 발음 기호의 상부에 표시되거나, 숫자 상태 그대로 해당 발음 기호의 상부 또는 우측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가독을 편리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숫자로 입력된 성조가 어느 시점에서 성조 기호로 변환되어 표시될지가 문제될 수 있다.
일정 수의 단어를 표시한 후에 변환될 수도 있으며, 메세지 입력이 완료된 후 전송, 저장 등의 진입시에 변환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성조 기호 변환 시점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정 수의 단어를 표시한 후 성조를 변환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 과정에서 이미 성조 기호로 변환된 단어로 되돌아가서 처리할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 경우 되돌아간 단어의 성조를 숫자로 재변환하거나, 성조 기호 상태 그대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이 역시 설정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미 입력된 단어로 되돌아간다는 판단은 커서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신측에서 성조를 의미하는 숫자를 포함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해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수신측에서 숫자를 그대로 표시하면 가독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수신측에서는 표시시 상기 성조를 의미하는 숫자를 기호 변환부를 통하여 성조 기호로 변환하고 성조 표시부를 통하여 해당 발음 기호의 상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신측에서도 성조 표시를 숫자로 하기를 원할 경우도 있을 것이므로, 표시모드 선택부를 통하여 성조를 숫자로 표시할 것인지 성조 기호로 변환하여 표시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단문 메세지는 SMS를 통하여 전송이 이루어지며, 수신된 단문 메세지는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중국어를 발음 기호(영어, 알파벳)로 표시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중국어 성조 개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4는 도 3의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중국어 입력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입력부 120...기호 변환부
130...성조 표시부 140...표시모드 선택부

Claims (6)

  1. 숫자로 표시된 성조를 포함하는 중국어 발음 기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성조를 대응되는 성조 기호로 변환하는 기호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성조 기호를 해당 발음 기호의 상부에 표시하는 성조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성조는 1성 내지 4성의 성조와 각각 대응되는 1 내지 4의 숫자 기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조 기호는 성조 표시 기호( ̄,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상기 중국어 발음 기호는 단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SMS(short meassage service)를 통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상기 중국어 발음 기호를 그대로 표시하는 모드와, 상기 기호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성조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표시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130000A 2007-12-13 2007-12-13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062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000A KR20090062632A (ko) 2007-12-13 2007-12-13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000A KR20090062632A (ko) 2007-12-13 2007-12-13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632A true KR20090062632A (ko) 2009-06-17

Family

ID=4099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000A KR20090062632A (ko) 2007-12-13 2007-12-13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6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359A (ko) * 2020-09-03 2022-12-20 정진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220167361A (ko) * 2020-09-03 2022-12-20 정진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운율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20220167362A (ko) * 2020-09-03 2022-12-20 정진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359A (ko) * 2020-09-03 2022-12-20 정진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220167361A (ko) * 2020-09-03 2022-12-20 정진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운율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20220167362A (ko) * 2020-09-03 2022-12-20 정진우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26415A1 (en) Method for creating short messa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032357B2 (en) Phonetic input using a keypad
KR1005940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US20040176139A1 (e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voice recognition for entering text characters
KR100492967B1 (ko) 숫자키를이용한한글입력장치및방법
KR20090062632A (ko) 중국어 성조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2220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87874B1 (ko)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 및 방법
JP5507431B2 (ja) 文字コード選択装置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KR100243900B1 (ko) 전화기의 문자 송수신장치 및 휴대용 문자 송수신장치
KR100275773B1 (ko)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
US200401272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for electronic messaging
KR100353445B1 (ko)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KR100639881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14242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문자입력방법
KR100501896B1 (ko) 점자 입/출력 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 및 점자입/출력 방법
KR20040009071A (ko)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2006664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입력에 따른 음성출력 방법
KR1006072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KR2004005871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590557B1 (ko)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
KR10056529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문 전송 방법
KR20120066949A (ko) 휴대전화
KR20060125217A (ko) 병음과 획을 이용하여 중문을 입력하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중문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