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071A -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071A
KR20040009071A KR1020020042898A KR20020042898A KR20040009071A KR 20040009071 A KR20040009071 A KR 20040009071A KR 1020020042898 A KR1020020042898 A KR 1020020042898A KR 20020042898 A KR20020042898 A KR 20020042898A KR 20040009071 A KR20040009071 A KR 20040009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alphabet
word
input
alphab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1000B1 (ko
Inventor
양문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000B1/ko
Priority to US10/317,813 priority patent/US7958461B2/en
Publication of KR20040009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에 있어서, 이동 무선단말기 키입력부상에 구비된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 중에서 사용자의 버튼 누름에 의해 입력된 문자 다음에 올 수 있는 상기 문자들의 확률값을 미리 설정된 단어들에 대해 각 문자당 다음에 검출될 수 있는 문자의 검출 빈도수에 근거해서 계산하여 상기 이동 무선단말기의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제1과정과, 문자입력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제1 버튼 누름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버튼에 미리 정해진 제1 문자 배열 순서에 의거한 문자를 제1 입력 문자로서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제2과정과, 상기 키입력부상의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에 대해 상기 제1 입력 문자 다음에 올 수 있는 확률값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는 제3과정과, 상기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에 대해 상기 확률값이 높은 순서대로 제2 문자 배열 순서를 설정하는 제4과정과, 사용자로부터의 제2 버튼 누름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제2 버튼에 상기 제2 문자 배열 순서에 의거한 문자를 제2 입력 문자로서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무선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의 발달에 따라 개인이 이동 중에 통화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 무선단말기가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이동 무선단말기는 사용자가 음성뿐만 아니라 문자 등의 데이터도 송,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무선단말기에는 문자 등의 데이터 송, 수신시 필요한 문자 등의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키입력부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이동 무선단말기는 휴대 용이성을 위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가고 있다. 단말기의 부피가 작아짐에 따라 단말기에서 키입력부가 차지할 수 있는 면적도 점점 작아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요즈음의 대부분의 단말기는 기본적인 기능키 및 숫자키 만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어 필요한 키의 수는 늘어나는 추세이다. 따라서 하나의 키가 다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예컨대 키 눌림의 시간이나 횟수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하나의 일괄적인 동작(예를 들어 기능 모드의 선택은 "1"을 길게 누름)을 수행하기 위한 키의 설정은 용이하다. 하지만 다수의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동작에서는 단순히 키 눌림의 시간이나 횟수로만 각각의 문자에 해당하는 키를 설정하기에는 기본적으로 키입력부가 가진 키의 숫자가 작은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하나의 숫자키에 다수의 문자를 할당하고, 키가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단말기에 있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알파벳을 입력할 경우 키패드에 새겨진 순서에 따라 최소 1회부터 길게는 3회까지 반복해서 키를 눌러서 원하는 알파벳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키를 여러 번 눌러야 하기 때문에 시간의 낭비는 물론 키패드의 수명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무선단말기상에서 문자를 입력할 시에 사용자의 키 입력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 무선단말기상에서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동 무선단말기상에서 사용자가 알파벳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알파벳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확률값을 계산 및 데이터베이스화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상적으로 자주 쓰이는 3000단어들에 대한 확률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계산된 확률값이 데이터베이스화된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파벳 입력모드 흐름도.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에 있어서, 이동 무선단말기 키입력부상에 구비된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 중에서 사용자의 버튼 누름에 의해 입력된 문자 다음에 올 수 있는 상기 문자들의 확률값을 미리 설정된 단어들에 대해 각 문자당 다음에 검출될 수 있는 문자의 검출 빈도수에 근거해서 계산하여 상기 이동 무선단말기의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제1과정과, 문자입력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제1 버튼 누름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버튼에 미리 정해진 제1 문자 배열 순서에 의거한 문자를 제1 입력 문자로서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제2과정과, 상기 키입력부상의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에 대해 상기 제1 입력 문자 다음에 올 수 있는 확률값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는 제3과정과, 상기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에 대해 상기 확률값이 높은 순서대로 제2 문자 배열 순서를 설정하는 제4과정과, 사용자로부터의 제2 버튼 누름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제2 버튼에 상기 제2 문자 배열 순서에 의거한 문자를 제2 입력 문자로서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무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무선단말기는 제어부(16)와, 키입력부(10)와, 표시부(12)와, 메모리(14)와, 송신부(18)와, 수신부(20)와, 듀플렉서(24)와, 오디오부(22)와, 스피커(speaker; SPK)(26)와,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28)을 포함한다.
제어부(16)는 이동 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알파벳 입력모드에서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14)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파벳 입력 모드 수행 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송신부(18)는 제어부(16)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무선 변조하여 듀플렉서(24)로 전달한다. 듀플렉서(24)는 송신부(18)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20)로 전달한다. 수신부(20)는 듀플렉서(24)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16)로 전달하고 제어부(16)는 수신부(2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오디오부(22)는 제어부(16)의 제어 하에, 수신부(2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 SPK)(26)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28)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6)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부(22)는 제어부(16)의 제어 하에 수신부(20)로부터 수신된 착신신호를 스피커(26)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벨소리로 출력한다. 표시부(1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키입력부(1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 각종 기능 키 및 통화 또는 문자 입력 등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무선단말기는 사용자가 알파벳을 입력할 시에 사용자의 키 입력횟수를 최소화하여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버튼 누름에 의해 입력된 알파벳 다음에 올 수 있는 알파벳들의 확률값을 계산하고 이를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한다. 상기 확률값은 사전상의 어휘수 또는 실제사용빈도수를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킨 단어들을 이용하여 구해질 수 있다. 사전상의 어휘수 또는 실제사용빈도수는 고정적인 값이 아니며,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단어의 수 또한 사용자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상적으로 자주 쓰이는 3000단어들에 대해 상기 확률값을 이동 무선단말기의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화시킨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확률값을 계산 및 데이터베이스화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상적으로 자주 쓰이는 3000단어들에 대한 확률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계산된 확률값이 데이터베이스화된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확률값을 계산 및 데이터베이스화시키기 위한 제어 동작은 컴퓨터와 같은 외부의 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계산 및 데이터베이스화된 확률값은 이동 무선단말기의 메모리에 로드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확률값을 계산 및 이동 무선단말기에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200단계에서 변수 Y=1, Z=1로 초기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변수 Y는 통상적으로 자주 쓰이는 선택된 3000개의 단어들 각각의 단어행을 나타내는 값이고, 변수 Z는 상기 선택된 3000개의 단어들 각각의 알파벳열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Y는 1에서 3000까지의 자연수 값이고 Z는 1에서 i(i는 3000단어 각각의 알파벳 수이다.)까지의 자연수값이다.
도 2의 200단계를 수행한 후, 도 2의 202단계에서는 선택된 3000단어들 중 Y번째 단어의 Z번째 알파벳을 검출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선택된 3000개의 단어들 중 첫 번째 단어가 "APPLE"이면 Y=1, Z=1번째의 알파벳은 "A"이다.
그 후 도 2의 204단계에서는 검출한 Z(Z=1)번째 알파벳이 Y(Y=1)번째 단어의 마지막 알파벳인지를 판단한다. 검출한 Z번째 알파벳이 Y번째 단어의 마지막 알파벳이 아니면 도 2의 206단계에서 Z+1번째 알파벳을 검출한다. 도 3의 일 예를 들면, Y=1번째 단어 "APPLE"의 Z(=1)번째 알파벳이 첫 번째 알파벳인 "A"이므로 마지막 알파벳이 아니고, 그에 따라 도 2의 204단계로 진행하여 Z+1(=2)번째 알파벳인 "P"를 검출한다. 그 후 도 2의 208단계로 진행한다.
도 2의 208단계에서는 Z(=1)번째 알파벳 "A" 다음에 Z+1(=2)번째 알파벳 "P"가 검출된 빈도수를 1만큼 증가시킨다. 그 후 도 2의 210단계에서 Z(=1)값을 1만큼 증가시킨 후(Z=2), 도 2의 202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2의 202단계에서는 Y(=1)번째 단어의 Z(=2)번째 알파벳을 검출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Y(=1)의 단어 "APPLE"의 Z(=2)번째의 알파벳 "P"를 검출한다. 그 후 도 2의 204단계의 판단에서 검출한 Z(=2)번째 알파벳이 Y(=1)번째 단어의 마지막 알파벳이 아니므로 도 2의 206단계로 진행하여 Z+1(=3)번째 알파벳 "P"를 검출한다. 그 후 도 2의 208단계에서 Z(=2)번째 알파벳 "P" 다음에 Z+1(=3)번째 알파벳"P"가 검출된 빈도수를 1만큼 증가시키고, 도 2의 210단계에서 Z값을 1만큼 증가시킨 후(Z=3), 도 2의 202 단계로 다시 되돌아간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 2의 202단계 내지 도 2의 210단계를 반복하게 되면 첫 번째 단어의 각 알파벳당 즉, "A", "P", "P", "L" 다음에 검출될 수 있는 알파벳 "P", "P", "L", "E"의 검출 빈도수를 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 2의 202단계 내지 도 2의 210단계를 반복하다가 도 2의 204단계의 판단에서 Z번째 알파벳이 Y번째 단어의 마지막 알파벳이 되면 예컨대 도 3의 Y=1번째 단어 "APPLE"의 Z=5번째 알파벳 즉, 마지막 알파벳 "E"가 되면 도 2의 212단계로 진행한다.
도 2의 212단계에서는 Y값을 1만큼 증가시키고(Y=2) 도 2의 214단계로 진행한다. 이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Y(=1)번째 단어 "APPLE"의 다음번째 단어인 Y+1(=2)번째 단어 "ASK"에 대해 도 2의 202단계에서 210단계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도 2의 212단계 후 도 2의 214단계에서는 Y값이 3001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Y값이 3001이면 선택된 3000단어들 모두에 대해 각 단어의 알파벳당 다음에 검출될 수 있는 알파벳의 검출 빈도수를 구한 것이므로 도 2의 216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Y값이 3001이 되지 않으면 선택된 3000단어들 모두에 대해 각 단어의 알파벳당 다음에 검출될 수 있는 알파벳의 검출 빈도수가 구해지지 않은 것이므로 도 2의 202단계로 되돌아가서 도 2의 202단계 내지 214단계를 반복한다. 즉, 이러한 방법으로 Y가 3001이 될 때까지 도 2의 202단계에서 도 2의 214단계를 반복하면 선택된 3000단어들 모두에 대해 각 알파벳당 다음에 검출될 수 있는 알파벳의 검출 빈도수를 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 2의 202단계 내지 도 2의 214단계를 반복하다가 도 2의 214단계의 판단에서 Y가 3001이 되면 예컨대 도 3의 Y=3000번째 단어 "ZZZ"의 이후 번째가 되면 도 2의 216단계로 진행한다. 도 2의 216단계에서는 상기 선택된 3000단어 모두에 대해 각 알파벳당 다음에 검출될 수 있는 알파벳의 검출 빈도수 결과에 따라 각 알파벳이 검출된 후 다음번째 검출될 수 있는 26개 알파벳들 각각에 대한확률값을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알파벳 "A"가 검출된 후 다음번째 검출될 수 있는 "A~Z"의 알파벳 각각에 대한 확률값을 계산한다. 마찬가지로 알파벳 "B", "C", ~ ,"Z"가 각각 검출된 후 다음번째 검출될 수 있는 "A~Z"의 알파벳 각각에 대한 확률값을 계산한다.
도 2의 216단계 이후, 도 2의 218단계에서는 계산된 각 알파벳당 다음번째에 검출될 수 있는 26개의 알파벳들 각각에 대한 확률값을 이동 무선단말기의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화시킨다. 도 4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알파벳 "A"가 검출된 후 "A~Z"의 알파벳 중에서 다음번째에 알파벳 "B"가 검출될 확률은 20%이고, 알파벳 "Z"가 검출된 후 "A~Z"의 알파벳 중에서 다음번째에 알파벳 "A"가 검출될 확률은 20%임 등을 나타내는 테이블을 이동 무선단말기의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화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알파벳당 다음번째에 검출될 수 있는 26개의 알파벳들 각각에 대한 확률값을 이동 무선단말기에 데이터베이스화시키면 사용자가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알파벳을 입력할 시에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알파벳을 입력할 시에 각 알파벳당 다음번째에 검출될 수 있는 알파벳들 각각에 대한 확률값을 이용하면 키 입력횟수를 최소화하여 용이한 알파벳 입력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파벳 입력모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알파벳당 다음번째에 검출될 수 있는 26개의 알파벳들 각각에 대한 확률값을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화시킨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알파벳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6)는 도 6의 600단계에서 알파벳 입력모드인지를 판단하고 도 6의 602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알파벳 입력모드란 예컨대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스케쥴러를 작성할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알파벳 입력 동작이 필요한 모드를 말한다. 제어부(16)는 알파벳 입력모드이면 도 6의 6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10)의 버튼 입력을 판단한다. 버튼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와 알파벳들 및 한글들이 함께 새겨져 있는데 알파벳들은 "1"~"9"의 숫자가 표시된 버튼들 각각에 2~3개씩 할당되어 새겨져 있다.
제어부(16)는 사용자로부터 버튼 입력이 있으면 도 6의 604단계에서 해당 버튼이 눌려진 회수에 대응된 알파벳을 표시부(12)상에 표시한다. 즉, 사용자로부터 제1 버튼 누름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버튼에 미리 정해진 제1 알파벳 배열 순서에 의거한 알파벳을 제1 입력 알파벳으로서 표시부(12)상에 표시한다. 이때 제1 알파벳 배열 순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9"의 숫자가 표시된 버튼들 각각에 새겨진 미리 정해진 알파벳 배열 순서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5번 버튼을 1번 누르면 5번 버튼에 미리 정해진 알파벳 배열 순서 "J", "K", "L"에 따라 알파벳 "J"가 입력 알파벳으로서 표시부(12)상에 표시된다. 한편, 사용자가 5번 버튼을 반복해서 2회 누르면 5번 버튼에 미리 정해진 알파벳 배열 순서에 따라 1회 버튼을 누르면 먼저 알파벳 "J"가, 연속 2회 버튼을 누르면 알파벳 "K"가 입력 알파벳으로서 표시부(12)상에 표시된다.
그 후 제어부(16)는 도 6의 606단계에서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알파벳들 중에서 입력된 알파벳 다음번째에 올 수 있는 알파벳들의 확률값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읽는다. 즉, 제어부(16)는 키입력부상의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알파벳들에 대해 제1 입력 알파벳 다음에 올 수 있는 알파벳들 각각의 확률값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읽는다. 예컨대 제1 입력 알파벳으로서 알파벳 "B"가 표시부(12)상에 표시되고 있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 "B"다음에 올 수 있는 알파벳들 "A~Z"의 각각에 대한 확률값을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는다.
제어부(16)는 도 6의 608단계에서 버튼들 각각에 대해서 확률값이 높은 순서대로 알파벳 순서를 정렬시킨다. 즉,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알파벳들에 대해 확률값이 높은 순서대로 제2 알파벳 배열 순서를 설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들에 할당된 미리 결정된 알파벳들의 배열 순서인 제1 알파벳 배열 순서는 제1 입력 알파벳 다음에 올 수 있는 알파벳들 "A"~"Z"의 각각에 대한 확률값에 따라 제2 알파벳 배열 순서로 바뀌어 설정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2에 할당된 알파벳 "A", "B", "C"에 대해 "A"→"B"→"C"의 제1 알파벳 배열 순서에서 제2 알파벳 배열 순서에 의거해서 "B"→"A"→"C" 또는 "C"→"B"→"A"등의 제2 알파벳 배열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6)는 도 6의 610단계에서 키입력부(10)의 버튼 입력을 판단한다. 사용자로부터 버튼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6)는 도 6의 612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6)는 도 6의 612단계에서 상기 제2 알파벳 순서에 의거해서 해당버튼이 눌려진 횟수에 대응된 알파벳을 표시부(12)상에 표시한다. 즉, 사용자로부터의 제2 버튼 누름횟수에 의거하여 제2 버튼의 제2 알파벳 배열 순서에 의거한 알파벳을제2 입력 알파벳으로서 표시부(12)상에 표시한다. 이때 제2 알파벳 배열 순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9"의 숫자가 표시된 버튼들 각각에 대해 제1 입력 알파벳 다음에 올 수 있는 알파벳들 "A"~"Z"의 각각에 대한 확률값에 따라 바뀐 알파벳 배열 순서이다.
제어부(16)는 도 6의 614단계에서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알파벳들 중에서 입력된 알파벳 다음번째에 올 수 있는 알파벳들의 확률값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읽는다. 즉, 키입력부상의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에 대해 상기 제2 입력 알파벳 다음에 올 수 있는 확률값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는다. 예컨대 제2 입력 알파벳으로서 알파벳 "A"가 표시부상에 표시되고 있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 "A"다음에 올 수 있는 알파벳들 "A~Z"의 각각에 대한 확률값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16)는 도 6의 616단계에서 버튼 각각에 대해서 확률값이 높은 순서대로 알파벳 순서를 정렬시킨다. 즉, 키입력부상의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에 대해 상기 제2 입력 알파벳 다음에 올 수 있는 확률값에 따라 상기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에 대해 상기 확률값이 높은 순서대로 제2 문자 배열 순서를 재설정한다.
그 후 제어부(16)는 도 6의 618단계에서 단어입력완료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있으면 도 6의 602단계로 되돌아가고 단어 입력 완료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없으면 도 6의 620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단어 입력 완료에 대응되는 키는 띄어쓰기와 같은 하나의 단어 입력이 완료에 대응되는 키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6)는 도 6의 620단계에서 문장입력완료에 대응된 키 입력이 있으면도 6의 622단계로 진행하고, 문장입력완료에 대응된 키 입력이 없으면 도 6의 610단계로 되돌아가서 도 6의 610단계 내지 도 6의 620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즉, 제어부(16)는 한 단어에 대해서 도 6의 610단계 내지 도 6의 620단계를 반복 수행하면서 단어의 첫 번째 알파벳을 제외한 그 이후의 알파벳들을 제2 알파벳 배열 순서에 의거해서 하나씩 차례차례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도 2의 622단계에서 표시부상에 표시되고 있는 알파벳들을 문장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알파벳 입력 모드를 해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알파벳은 여러 문자들 중 하나의 예를 든 문자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한글이나 기타 언어들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키 입력부를 이용하여 문자의 입력 시 버튼들 각각에 대해 이전 입력된 문자에 따라 이전 입력된 문자 다음에 올 수 있는 확률이 가장 높은 문자들을 순서대로 정렬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 누름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이동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의 수명 연장도 가능하게 한다.

Claims (7)

  1.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에 있어서,
    이동 무선단말기 키입력부상에 구비된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 중에서 사용자의 버튼 누름에 의해 입력된 문자 다음에 올 수 있는 상기 문자들의 확률값을 미리 설정된 단어들에 대해 각 문자당 다음에 검출될 수 있는 문자의 검출 빈도수에 근거해서 계산하여 상기 이동 무선단말기의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제1과정과,
    문자입력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제1 버튼 누름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버튼에 미리 정해진 제1 문자 배열 순서에 의거한 문자를 제1 입력 문자로서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제2과정과,
    상기 키입력부상의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에 대해 상기 제1 입력 문자 다음에 올 수 있는 확률값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는 제3과정과,
    상기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에 대해 상기 확률값이 높은 순서대로 제2 문자 배열 순서를 설정하는 제4과정과,
    사용자로부터의 제2 버튼 누름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제2 버튼에 상기 제2 문자 배열 순서에 의거한 문자를 제2 입력 문자로서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5과정 후, 상기 키입력부상의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에 대해 상기 제2 입력 문자 다음에 올 수 있는 확률값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는 제6과정과,
    상기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문자들에 대해 상기 확률값이 높은 순서대로 제2 문자 배열 순서를 재설정하는 제7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단어입력완료에 대응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 2과정부터 다시 수행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문장입력완료에 대응된 키입력이 있으면 입력 문자들로서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되고 있는 문자들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미리 설정된 단어들 중 Y(Y는 자연수)번째 단어의 Z(Z는 자연수)번째 문자를검출하는 제1단계와,
    검출된 상기 Y번째 단어의 Z번째 문자가 Y번째 단어의 마지막 문자인지 판단하는 제2단계와,
    검출된 상기 Y번째 단어의 Z번째 문자가 Y번째 단어의 마지막 문자가 아니면 Y번째 단어의 Z+1번째 문자를 검출하고, 상기 Y번째 단어의 Z번째 문자 다음에 Y번째 단어의 상기 Z+1번째 문자가 검출된 빈도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제3단계와,
    검출된 상기 Y번째 단어의 Z번째 문자가 Y번째 단어의 마지막 문자이면 Y값을 1만큼 증가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Y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문자의 수보다 1만큼 큰 값인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Y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문자의 수보다 1만큼 큰 값이 아니면 상기 제1단계부터 다시 수행하는 제6단계와,
    상기 Y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문자의 수보다 1만큼 큰 값이면 상기 검출된 빈도수 결과에 따라 각 문자가 검출된 후 다음에 검출될 수 있는 문자들 각각에 대한 상기 확률값을 계산하는 제7단계와,
    상기 각 문자당 다음에 검출될 수 있는 문자들 각각에 대해 계산된 상기 확률값을 상기 이동 무선단말기의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제8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6.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에 있어서,
    이동 무선단말기 키입력부상에 구비된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알파벳들 중에서 사용자의 버튼 누름에 의해 입력된 알파벳 다음에 올 수 있는 상기 알파벳들의 확률값을 미리 설정된 단어들에 대해 각 알파벳당 다음에 검출될 수 있는 알파벳의 검출 빈도수에 근거해서 계산하여 상기 이동 무선단말기의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제1과정과,
    알파벳입력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제1 버튼 누름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버튼에 미리 정해진 제1 알파벳 배열 순서에 의거한 알파벳을 제1 입력 알파벳으로서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제2과정과,
    상기 키입력부상의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알파벳들에 대해 상기 제1 입력 알파벳 다음에 올 수 있는 확률값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는 제3과정과,
    상기 버튼들 각각에 할당된 알파벳들에 대해 상기 확률값이 높은 순서대로 제2 알파벳 배열 순서를 설정하는 제4과정과,
    사용자로부터의 제2 버튼 누름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제2 버튼에 상기 제2 알파벳 배열 순서에 의거한 알파벳을 제2 입력 알파벳으로서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미리 설정된 단어들 중 Y(Y는 자연수)번째 단어의 Z(Z는 자연수)번째 알파벳을 검출하는 제1단계와,
    검출된 상기 Y번째 단어의 Z번째 알파벳이 Y번째 단어의 마지막 알파벳인지 판단하는 제2단계와,
    검출된 상기 Y번째 단어의 Z번째 알파벳이 Y번째 단어의 마지막 알파벳이 아니면 Y번째 단어의 Z+1번째 알파벳을 검출하고, 상기 Y번째 단어의 Z번째 알파벳 다음에 Y번째 단어의 상기 Z+1번째 알파벳이 검출된 빈도수를 1만큼 증가시키는 제3단계와,
    검출된 상기 Y번째 단어의 Z번째 알파벳이 Y번째 단어의 마지막 알파벳이면 Y값을 1만큼 증가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Y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알파벳의 수보다 1만큼 큰 값인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 Y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알파벳의 수보다 1만큼 큰 값이 아니면 상기 제1단계부터 다시 수행하는 제6단계와,
    상기 Y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알파벳의 수보다 1만큼 큰 값이면 상기 검출된 빈도수 결과에 따라 각 알파벳이 검출된 후 다음에 검출될 수 있는 알파벳들 각각에 대한 상기 확률값을 계산하는 제7단계와,
    상기 각 알파벳당 다음에 검출될 수 있는 알파벳들 각각에 대해 계산된 상기 확률값을 상기 이동 무선단말기의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화시키는 제8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KR1020020042898A 2002-07-22 2002-07-22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881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898A KR100881000B1 (ko) 2002-07-22 2002-07-22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US10/317,813 US7958461B2 (en) 2002-07-22 2002-12-12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on a wireless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898A KR100881000B1 (ko) 2002-07-22 2002-07-22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071A true KR20040009071A (ko) 2004-01-31
KR100881000B1 KR100881000B1 (ko) 2009-02-03

Family

ID=3043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898A KR100881000B1 (ko) 2002-07-22 2002-07-22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58461B2 (ko)
KR (1) KR100881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818B1 (ko) 2007-08-13 2008-06-17 홍성찬 문자입력장치
KR101137567B1 (ko) * 2005-02-21 2012-04-19 주식회사 팬택 문자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406753A (pt) * 2003-08-26 2005-12-27 Yun-Kee Kang Métodos para introduzir letras em um terminal sem fios, e para introduzir letras em um dispositivo capaz de aceitar letras como entrada
WO2007012912A1 (en) * 2005-07-27 2007-02-0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ntering tex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5911A (en) * 1995-02-01 1998-09-08 Microsoft Corporation Word prediction system
US5761687A (en) * 1995-10-04 1998-06-02 Apple Computer, Inc. Character-based correction arrangement with correction propagation
JP2943791B2 (ja) * 1997-03-14 1999-08-30 オムロン株式会社 言語識別装置,言語識別方法および言語識別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028538A (en) * 1997-10-10 2000-02-22 Ericsson Inc. Method, keyboar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key characters
KR100322026B1 (ko) * 1998-12-30 2002-05-13 윤종용 무선단말기에서글자입력방법
US6204848B1 (en) * 1999-04-14 2001-03-20 Motorola, Inc. Data entry apparatus having a limited number of character keys and method
NZ519928A (en) * 1999-05-27 2004-07-30 America Online Inc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6848080B1 (en) * 1999-11-05 2005-01-25 Microsoft Corporation Language input architecture for converting one text form to another text form with tolerance to spelling, typographical, and conversion errors
KR20010056468A (ko) * 1999-12-15 2001-07-04 송문섭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100731617B1 (ko) * 2000-11-21 2007-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텍스트 입력방법
US6847706B2 (en) * 2001-03-20 2005-01-25 Saied Bozorgui-Nesbat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ing a keypad
KR20010069564A (ko) * 2001-04-17 2001-07-25 어윤형 한글 입력시스템
US6803864B2 (en) * 2001-05-18 2004-10-12 Sony Corporation Method of entering characters with a keypad and using previous characters to determine the order of character choice
KR100400553B1 (ko) * 2001-08-24 200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자동 입력장치 및 방법
DE10235548B4 (de) * 2002-03-25 2012-06-28 Agere Systems Guardian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ie Prädiktion einer Textnachrichteneingab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567B1 (ko) * 2005-02-21 2012-04-19 주식회사 팬택 문자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 및 그방법
KR100838818B1 (ko) 2007-08-13 2008-06-17 홍성찬 문자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12642A1 (en) 2004-01-22
KR100881000B1 (ko) 2009-02-03
US7958461B2 (en) 201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3462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selecting special charac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285312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문자입력 방법
KR20050114566A (ko) 검색된 전화번호에 대한 전화번호 연계 기능을 수행하는방법
KR100881000B1 (ko)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5571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KR20000044417A (ko) 영문자 간편 입력방법
KR1002856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6845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초성조합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238542B1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전자 사전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05179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53445B1 (ko)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KR100663505B1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한글입력방법과 그 입력장치
KR2005001504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KR20010011028A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영어단어 학습방법
KR200300921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열 자동변환방법
KR1011696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다이얼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80309A (ko) 자음과 모음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4242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문자입력방법
JP2001195175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携帯電話端末
JP2008234454A (ja) 携帯機器の文字入力装置
KR2005001807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20020055880A (ko) 이동단말에서의 영숫자 입력방법
KR20020008863A (ko) 이동전화기에서 문자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00044446A (ko)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편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