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9564A - 한글 입력시스템 - Google Patents

한글 입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9564A
KR20010069564A KR1020010020417A KR20010020417A KR20010069564A KR 20010069564 A KR20010069564 A KR 20010069564A KR 1020010020417 A KR1020010020417 A KR 1020010020417A KR 20010020417 A KR20010020417 A KR 20010020417A KR 20010069564 A KR20010069564 A KR 20010069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llable
word
input
word database
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윤형
최장성
Original Assignee
어윤형
홍성용
최장성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윤형, 홍성용, 최장성,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filed Critical 어윤형
Priority to KR102001002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9564A/ko
Publication of KR20010069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56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Abstract

본 발명은, 초·중·종성 입력키 및 기능키를 키를 포함하는 한글입력부와, 상기 한글입력의 입력신호의 순열에 대응하는 음절정보가 저장된 음절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음절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음절을 확정하는 음절결정부와, 입력되는 초·중·종성 및/또는 확정된 음절을 본문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구성부분의 작동관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종래 한글 입력시스템에 특수한 기능과 장치가 추가된 한글 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시스템은 입력하고자 하는 글에 대해 모든 음절을 입력키를 통해 입력하지 않아도 빠르게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한글 입력시스템{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본 발명은 한글 입력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한글 문자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 특히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장착되는 버튼(키)의 수가 제한되는 각종 휴대전화, PDA 등에서 한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입력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한글 문자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CDMA, PCS, TDMA, GSM, AMPS, IMT-2000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휴대전화, PDA, 호출기, 소형게임기, 리모콘, 카메라, 가전기구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들이 소형화, 첨단화되고 있다. 그러나 소형화아 더불어 기능이 향상되면서, 또한 전자기기에 문자를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전자기기에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필요성도 계속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한정된 버튼(키)을 활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각종 방법(장치)가 개발되었다.
초기 입력시스템은 가장 단순한 것으로서, 한글 입력모드가 되면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 모든 자음(초성)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커서를 사용하여 원하는 자음을 선택하고, 이어서 많은 수의 모음이 표시되면 역시 사용자가 커서를 움직여 원하는 모음을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하나의 음절을 결정하는 방식이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99-24320). 이후 모음에 대해서는 각 모음의 기본 형태소를 추출하여 ━,??, ┃를 3개의 버튼에 배치하고 이들의 순열을 통해 모든 모음을 입력하는 소위 "천지인 모음 입력방법(장치)"가 개발·정착되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97-2558).
자음 입력방법(장치)는 크게 ① 모든 자음을 2~3개씩 하나의 키에 배치하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특정 키를 누른 횟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자음을 결정하는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00-18394 및 00-41317), ② 형태상으로 핵심이 되는 자음들만을 각각 하나의 키에 배치하고 2 또는 3개의 기능키를 부가하여 키에 배치되지 않은 자음은 그와 형태상으로 가까운 자음이 배치된 키를 누른 후 소정 시간 이내에 기능키를 눌러서 자음을 선택하는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00-42231, 00-49346, 00-49347 및 00-54571) 및 ③ 각 자음을 형태학적으로 해체하고 형태상으로 공통되는 도형(또는 기호)을 추출하여 이들을 각 키에 배치하고 이들 키를 1~수회 누름으로써 그 순열에 의해 자음을 선택하는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00-17771)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종래 개발된 어떤 유형의 입력방법에 의하더라도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자음과 모음에 대하여 모두 키입력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사용자의 불편함을 유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전기 언급된 종래 한글 입력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하고자 하는 모든 글자에 대하여 초성-중성-종성을 입력하지 않아도 원하고 있거나, 원하는 것과 유사한 단어 내지 문자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단어 내지 문자를 선택하거나, 별도로 키입력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에 적용되는 한글 문자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첫 번째 입력방식 과정에 따른 표시부 상태 변화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입력방식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두 번째 입력방식 과정에 따른 표시부 상태 변화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입력방식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초·중·종성 입력키 및 기능키를 키를 포함하는 한글입력부와, 상기 한글입력의 입력신호의 순열에 대응하는 음절정보가 저장된 음절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음절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음절을 확정하는 음절결정부와, 입력되는 초·중·종성 및/또는 확정된 음절을 본문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구성부분의 작동관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종래 한글 입력시스템에 특수한 기능과 장치가 추가된 한글 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시스템은 특정 음절로 시작되는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으로서 소정의 사용빈도 순위 이상의 것이 저장된 단어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음절로 시작되는 것이므로 1음절의 단어 등은 저장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어"란 한글에서 품사에 해당되는 글의 단위를 의미하며, "단어의 활용형"이란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인 명사, 대명사, 수사에 적절한 조사가 결합된 형태 및 형태가 변하는 품사인 동사, 형용사의 어간에 활용형 어미가 결합된 형태를 의미한다. 예를들면, '품사', '에', '해당', '되는'은 "단어"이며, '품사에', '해당되는', '단어이다'는 "단어의 활용형"이다.
저장되는 단어 및 단어의 활용형의 종류 및 그의 사용빈도 순위의 결정은, 입력키의 숫자가 적은 전자기기, 예를들면, 휴대폰의 문자메시지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정보는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들면 분기별로 수정보완(update)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입력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에는 특수한 기능이 추가로 부여된다. 즉, 상기 음절결정부에 의하여 음절이 결정되면,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결정된 음절을 처음에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을 사용빈도 순위에 따라, 예컨데, 상위 5개를 표시부의 소정 부위에 디스플레이시키면서 디스플레이된 단어 중 어느 하나에 커서를 위치시키도록 하는 기능이 상기 제어부에 추가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적절한 기능키와 연동시켜 다음 순위의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을 소정 개수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시스템에서 상기 기능키는, 디스플레이된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 중에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이 있는 경우,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향키와, 커서에 의해 지정된 단어를 선택하여 본문에 추가하는 선택키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음절을 입력한 후 ① 방향키와 선택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한글입력을 하거나, ② 원하는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다음 음절을 입력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력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따라 단어의 활용형을 중심으로 처리하는 방식(활용형 처리방식)과, 활용형태가 고정된 단어와 활용이 가능한 단어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방식(연속형 처리방식)으로 구분된다.
이하 각각을 설명한다.
활용형 처리방식
단어의 활용형을 중심으로 처리하는 활용형 처리방식에서는 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는 활용이 불가능한 단어와, 상기 단어에 활용형 단어가 결합된 활용형이 각각 저장되게 된다.
즉,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는,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인 명사, 대명사, 수사 및 이들이 조사와 결합된 활용형; 활용형태가 변하는 동사, 형용사의 어간 및 이들이 활용형 어미와 결합된 활용형; 및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인 관형사, 부사 및 감탄사;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제어부는, 입력키 신호에 따라 최초로 결정되는 음절, 또는 앞에 결정된 음절과 한칸 이상의 스페이스를 두고 결정된 음절에 대하여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한다. 조회결과, 결정된 음절을 처음에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을 사용빈도 순위에 따라표시부의 소정 부위에 디스플레이시키면서 디스플레이된 단어 중 어느 하나에 커서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사용자는 방향키와 선택키를 활용하여 원하는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력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도 1).
사용자가 최초로, 또는 앞에 결정된 음절과 한칸 이상의 스페이스를 두고 '사'자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단어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사'자를 앞에 포함하면서 빈도수가 높은 소정 개수(예에서는 8개)의 단어를 표시부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한다(도 1의 A; 커서 표시됨). 사용자가 방향키 및 선택키를 활용하여 '사랑'을 선택하면, 본문에는 '사랑'이 표시되고, '사랑'을 포함하는 활용형들이 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서 조회되어 디스플레이된다(도 1의 B). 이하 동일한 과정을 거처 본문에 '사랑하면 매일마다'가 표시되는 것이다(도 1의 C ∼ F).
이러한 방식의 입력과정을 도 2에 흐름도로 표시하였다.
하나의 음절로 된 단어는 사용자가 입력함으로써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종래 모든 한글을 입력키를 통해 입력하는 방식에 비해 사용자의 키입력 타수 및 키입력 소요시간이 대폭 감소하여 매우 효율적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연속형 처리방식
연속형 처리방식은, 활용형태가 고정된 단어와 활용이 가능한 단어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및 감탄사 등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의 동사와, 형태가 고정된 동사, 형용사의 어간 등과 같은 활용형태가 고정된 단어와; 명사, 대명사, 수사에 결합하는 조사 및 동사, 형용사의 활용형 어미;가 각각 독립적 단어로 저장되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제어부는, 입력키 신호에 따라 최초로 결정되는 음절, 또는 앞에 결정된 음절과 한칸 이상의 스페이스를 두고 결정된 음절에 대하여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한다. 조회결과, 결정된 음절을 처음에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어를 사용빈도 순위에 따라표시부의 소정 부위에 디스플레이시키면서 디스플레이된 단어 중 어느 하나에 커서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사용자는 방향키와 선택키를 활용하여 원하는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력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도 3).
사용자가 최초로, 또는 앞에 결정된 음절과 한칸 이상의 스페이스를 두고 '사'자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단어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사'자를 앞에 포함하면서 빈도수가 높은 소정 개수(예에서는 8개)의 단어를 표시부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한다(도 2의 A; 커서 표시됨). 사용자가 방향키 및 선택키를 활용하여 '사랑'을 선택하면, 본문에는 '사랑'이 표시되고, '사랑'에 결합할 수 있는 조사 및 활용형 어미들이 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서 조회되어 디스플레이된다(도 3의 B). 이하 동일한 과정을 거처 본문에 '사랑하면 매일마다'가 표시되는 것이다(도 3의 C ∼ F).
이러한 방식의 입력과정은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와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상기 활용형 처리방식에 의하면 형태가 변하지 않는 모든 품사의 단어에 대해 각각 조사 또는 활용어미가 결합된 단어의 활용형을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단어데이터베이스부의 용량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이에 비해 연속형 처리방식에 의하면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의 단어와, 이에 결합될 조사 또는 활용어미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저장되므로 단어데이터베이스부의 용량이 대폭 감소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비활용형 단어의 종류에 따라 많이 결합되는 조사 또는 활용형 어미가 상당히 다른 경우가 많고, 처음 결정되는 음절은 반드시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연속식 처리방식의 경우, 선택-결정된 비활용형 단어에 관계없이 조사 또는 활용형 어미 중에서 평균적인 활용빈도가 높은 소정의 개수가 디스플레이되어 선택-결정된 비활용형 단어와의 연관관계가 약할 뿐 아니라, 처음서부터 모든 단어를 조회해야하는 시스템 부하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입력시스템의장치 및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도 4).
즉,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를 ①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인 명사, 대명사 및 수사; 동사, 형용사의 어간;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인 관형사, 부사 및 감탄사;가 저장된 불변단어데이터베이스부와: ② 명사, 대명사, 수사에 결합하는 조사; 및 동사, 형용사의 활용형 어미;가 저장된 활용단어데이터베이스부와: ③ 상기 불변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각 단어에 결합될 수 있는 활용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어 및 결합사용빈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상관관계데이터베이스부: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입력하게 되는 최초의 음절, 또는 앞에 결정된 음절과 한칸 이상의 스페이스를 두고 결정된 음절에 대하여는 상기 불변단어데이터베이스부만을 조회하여 단어를 디스플레이시키고, 디스플레이된 단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입력키 신호에 의해 연속된 음절이 결정되어 상기 불변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어에 해당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상관관계데이터베이스부 및 활용단어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선택-결정된 단어에 결합될 수 있는 조사 또는 활용어미를 사용빈도 순위별로 소정 개수 디스플레이시키면서 디스플레이된 단어 중 어느 하나에 커서를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선택-입력된 형태불변형 품사마다 그에 적합한 조사 또는 활용형 어미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도 4).
하나의 음절로 된 단어는 사용자가 입력함으로써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은 최소한 두 개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입력된 음절을 참조하여 그와 연관된 복수개의 음절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음절 하나하나를 입력키를 통해 입력시키는 방법과 무관하게, 어떤 입력방법을 활용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입력시스템은, 입력장치의 물리적인 구조와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구체적인 입력장치가 키보드,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시스템은 입력하고자 하는 글에 대해 모든 음절을 입력키를 통해 입력하지 않아도 빠르게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정된 수의 키로 이루어진 휴대전화 등 소형화-다기능화된 전자기기에 소형 키보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적용이 기대된다.

Claims (6)

  1. 초·중·종성 입력키 및 기능키를 키를 포함하는 한글입력부와, 상기 한글입력의 입력신호의 순열에 대응하는 음절정보가 저장된 음절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음절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음절을 확정하는 음절결정부와, 입력되는 초·중·종성 및/또는 확정된 음절을 본문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구성부분의 작동관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글 입력시스템에 있어서,
    (1) 특정 음절을 처음에 포함하는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으로서 소정의 사용빈도 순위 이상의 것이 저장된 단어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며;
    (2) 상기 음절결정부에 의하여 음절이 결정되면,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결정된 음절을 처음에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을 사용빈도 순위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소정 부위에 디스플레이시키면서 디스플레이된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 중 어느 하나에 커서를 위치시키도록 하는 기능이 상기 제어부에 추가되고;
    (3) 상기 기능키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향키와, 커서에 의해 지정된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을 선택하여 본문에 추가하는 선택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1)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는,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인 명사, 대명사, 수사 및 이들이 조사와 결합된 활용형; 활용형태가 변하는 동사, 형용사의 어간 및 이들이 활용형 어미와 결합된 활용형; 및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인 관형사, 부사 및 감탄사;가 각각 저장되어 있으며,
    (2) 최초의 음절, 또는 앞에 결정된 음절과 한칸 이상의 스페이스를 두고 결정된 음절에 대하여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1)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는,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인 명사, 대명사 및 수사; 동사, 형용사의 어간;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인 관형사, 부사 및 감탄사; 명사, 대명사, 수사에 결합하는 조사; 및 동사, 형용사의 활용형 어미;가 각각 저장되 있으며,
    (2) 최초의 음절, 또는 앞에 결정된 음절과 한칸 이상의 스페이스를 두고 결정된 음절에 대하여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1)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는,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인 명사, 대명사 및 수사; 동사, 형용사의 어간; 형태가 변하지 않는 품사인 관형사, 부사 및 감탄사;가 저장된 불변단어데이터베이스부와:
    명사, 대명사, 수사에 결합하는 조사; 및 동사, 형용사의 활용형 어미;가 저장된 활용단어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불변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각 단어에 결합될 수 있는 활용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어 및 결합사용빈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상관관계데이터베이스부:로 구성되며,
    (2) 최초의 음절, 또는 앞에 결정된 음절과 한칸 이상의 스페이스를 두고 결정된 음절에 대하여는 상기 불변단어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단어를 디스플레이시키고,
    (3) 디스플레이된 단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거나, 입력키 신호에 의해 연속된 음절이 결정되어 상기 불변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어에 해당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상관관계데이터베이스부 및 활용단어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선택-결정된 단어에 결합될 수 있는 조사 또는 활용어미를 사용빈도 순위별로 소정 개수 디스플레이시키면서 디스플레이된 단어 중 어느 하나에 커서를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단어 또는 단어의 활용형은 최소한 두 개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단어 및 특정 음절을 처음에 포함하는 단어들의 사용빈도 순위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시스템.
KR1020010020417A 2001-04-17 2001-04-17 한글 입력시스템 KR20010069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417A KR20010069564A (ko) 2001-04-17 2001-04-17 한글 입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417A KR20010069564A (ko) 2001-04-17 2001-04-17 한글 입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564A true KR20010069564A (ko) 2001-07-25

Family

ID=1970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417A KR20010069564A (ko) 2001-04-17 2001-04-17 한글 입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95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237B1 (ko) * 2005-10-25 2007-04-19 전한구 단말기의 문자열 처리 방법
KR100881000B1 (ko) * 2002-07-22 2009-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158361B1 (ko) * 2011-04-25 2012-06-25 전덕규 단말기 및 그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1233052B1 (ko) * 2005-08-25 2013-02-13 유-치 쳉 한자 후속글자의 입력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695A (ko) * 1996-11-25 1998-08-17 이데이노부유끼 문장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10020013A (ko) * 1999-08-31 2001-03-15 서평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10107388A (ko) * 2000-05-27 2001-12-07 강원희 사용 선호도와 입력문자에 근거한 휴대용 전자기기의단어입력방법
KR100322026B1 (ko) * 1998-12-30 2002-05-13 윤종용 무선단말기에서글자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695A (ko) * 1996-11-25 1998-08-17 이데이노부유끼 문장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22026B1 (ko) * 1998-12-30 2002-05-13 윤종용 무선단말기에서글자입력방법
KR20010020013A (ko) * 1999-08-31 2001-03-15 서평원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10107388A (ko) * 2000-05-27 2001-12-07 강원희 사용 선호도와 입력문자에 근거한 휴대용 전자기기의단어입력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00B1 (ko) * 2002-07-22 2009-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233052B1 (ko) * 2005-08-25 2013-02-13 유-치 쳉 한자 후속글자의 입력방법
KR100709237B1 (ko) * 2005-10-25 2007-04-19 전한구 단말기의 문자열 처리 방법
WO2007049890A1 (en) * 2005-10-25 2007-05-03 Han Koo Jeon Character input device for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character string
KR101158361B1 (ko) * 2011-04-25 2012-06-25 전덕규 단말기 및 그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23426A1 (en) Japanese language entry mechanism for small keypads
JP2001509290A (ja) 減少型キーボード曖昧さ除去システム
US20080204282A1 (en) Character Input Device for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Character String
KR100954413B1 (ko)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
JP2008059568A (ja) 数字キー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CN101398718B (zh) 键盘及其汉字输入方法
US20170371424A1 (en) Predictive Text Typing Employing An Augmented Computer Keyboard
Harbusch et al. An evaluation study of two-button scanning with ambiguous keyboards
CN102119375B (zh) 单词输入方法
KR20010069564A (ko) 한글 입력시스템
KR100434668B1 (ko) 한글 입력장치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434669B1 (ko) 한글 입력장치
TWI468984B (zh) 筆劃輸入法
KR101927972B1 (ko)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CN101228497A (zh) 输入文本的方法和设备
KR20000042959A (ko) 전화기 자판이 부착된 한글 입력장치 및 그방법
WO2002031636A1 (en)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the electronic apparatuses
KR100618951B1 (ko) 키 입력 방법
KR100647936B1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어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030257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KR200313360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