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951B1 - 키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키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951B1
KR100618951B1 KR1020040025152A KR20040025152A KR100618951B1 KR 100618951 B1 KR100618951 B1 KR 100618951B1 KR 1020040025152 A KR1020040025152 A KR 1020040025152A KR 20040025152 A KR20040025152 A KR 20040025152A KR 100618951 B1 KR100618951 B1 KR 10061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word
key
sen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1112A (ko
Inventor
이장휘
Original Assignee
이장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휘 filed Critical 이장휘
Priority to KR1020040025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95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Abstract

본 발명은 중국어, 일본어 등과 같이 발음되는 대로 다른 나라의 언어로 입력이 된 후 다시 해당 문자로 치환되는 제1문자입력방식과, 그 나라의 언어에 해당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제2문자입력방식이 구비되어 있으며, 단말기의 키에 다른 나라의 언어와 해당언어의 문자가 동시에 배열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문자입력 방식 중 하나를 기본으로 하여 키 입력치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됨과 동시에, 기본이 아닌 문자입력 방식에 의해 생성된 문자도 별도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입력된 상기 키 입력치에 해당하는 상기 제1및 제2문자입력방식의 문장데이터, 어구데이터, 단어데이터를 대응시켜 디스플레이하고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단말기의 하나의 입력모드에서 두 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식이 모두 사용되는 것이다.
단말기, 문자입력규칙, 키 배열, 단어, 문장, 멀티탭 방식,

Description

키 입력 방법{key input method}
도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말기의 버튼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키 입력을 위해 단말기가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키 입력 방법에 의한 데이터의 선택 및 편집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영어의 경우 키 입력시의 나타나는 키 값과 단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응답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6은 도5의 자동응답서비스를 이용한 곡명 및 가수의 선택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7은 ' 한글통일2000' 에 의한 버튼의 배열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한글의 경우 키 입력시의 보여지는 키 값과 단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9는 주 버튼(숫자포함 버튼)과 보조버튼으로 나누어진 캐 패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캐 패드 12 : 키
20 : 데이터베이스 22 : 문장데이터베이스
24 : 어구데이터베이스 26 : 단어데이터베이스
28 : 숫자데이터베이스 30 : 외국어데이터베이스
40,50 : 화면
본 발명은 키 입력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휴대전화, WAP 폰(Work Analysis Program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은 단말기의 키를 보다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로 휴대전화, WAP 폰, PDA, 웹 패드 등과 같은 단말기가 대중화되면서 기능 역시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즉, 단순한 통신기능에서 벗어나 인터넷 검색이나 각종 정보의 전송 등과 같은 기능이 추가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단말기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한정된 개수를 갖는 키패드(10)로 많은 알파벳을 입력 가능토록 하나의 키(12)에 하나 이상의 알파벳의 키 값이 부여된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를 이용한 종래의 멀티탭 방식으로 ' how' 라는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 4' 를 두번 눌러 ' h', ' 6' 을 세 번 눌러 ' o', ' 9' 를 한번 눌러 ' w' 를 입력한다. 즉, 하나의 알파벳 단위로 입력을 하는 것이다.
또한, 배열 순서 지정방식으로 ' how' 라는 단어를 입력할 경우 ' 4' 와 ' 2' 를 눌러 ' h' 를, ' 6' 과 ' 3' 을 눌러 ' o' 를,' 9' 와 ' 1' 을 눌러 ' w' 를 입력한다. 뿐만 아니라, " Tegic communications Inc.(www.Tegic com)" 에서 개발한 문자 입력 방법인 " T9(www.t9.com)"의 경우에는 단어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 how' 을 입력하고자 하면 도 1의 키 중 ' 4', ' 6', ' 9' 의 키를 한번씩 누르게 되면, ' 4' 에 부여된 ' g, h, i' 와, ' 6' 에 부여된 ' m, n, o' 와, ' 9' 에 부여된 ' w, x, y, z' 로 구성된 모든 단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LCD에 표시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표시된 단어 중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는 것으로 해당 단어를 입력한다.
" Zi Corp." 의 " EZtext" 경우는 " T9"의 방식에 단어예측 기능을 더하여 단어 코드의 일부분만을 입력하여도 이를 포함하는 코드값을 가지는 단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한다.
" T9"의 경우 멀티탭 모드보다는 입력이 간편해지나, 단어데이터만을 사용하므로 ' 4663' 의 코드값의 경우에는 ' good, gone, home, hood, hoof, hone, goof' 가 동시에 해당되는 것과 같이 하나의 코드에 해당하는 단어의 중복이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데이터에 없을 경우 멀티탭 모드로 전환하여 입력하고는 다시 " T9"모드로 돌아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 Zi Corp."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구나 문장을 구성하는 언어나 단말기의 키 배열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어구나 문장을 간단한 키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을뿐더러, 동일한 입력 모드에서 데이터에 없는 문자의 입력도 입력모드의 변화 없이 입력이 가능하며, 2가지 이상의 언어도 여러 가지 데이터베이스의 중복대응으로 선택적으로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키 입력 방법은, 중국어, 일본어 등과 같이 발음되는 대로 영어로 입력이 된 후 다시 해당 문자로 치환되는 제1문자입력방식과, 그 나라의 언어에 해당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제2문자입력방식이 구비되어 있으며, 단말기의 키에 다른 나라의 언어와 해당 언어의 문자가 동시에 배열되는 경우, 상기 제1문자 입력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키 입력치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됨과 동시에, 입력된 상기 키 입력치에 해당하는 상기 제2문자입력방식의 문장데이터, 어구데이터, 단어데이터를 대응시켜 디스플레이하고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단말기의 하나의 입력모드에서 두 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식이 모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치는, 하나의 입력 키 값에 대응된 데이터 중에서 사용빈도 또는 이미 입력된 단어 또는 문장과의 연계성이 가장 높은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키 입력치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다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경우 주된 용도는 시간약속, 안부, 인사, 감사의 표시, 위치확인, 사랑의 대화 등이 일반적이며, 그 이용대상은 친구, 애인, 부모 등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므로, 휴대폰, PDA 등에 쓰일 수 있는 단문메시지는 상당히 광범위 하지만 실제 쓰이는 문장과 단어는 그 빈도 수에서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이용하여 ' 지금 어디야?', ' 언제 끝나?', ' 나는 너를 사랑해' 와 같이 자주 쓰는 문장을 데이터화하고 문장을 구성하는 각 단어의 첫 음소에 해당하는 숫자키를 누름으로써 그 키 값에 해당하는 문장데이터를 쓸 수 있게 하였다. 이 경우 모든 데이터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추가 편집이 가능하다.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20)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장데이터(22), 두 단어이상으로 구성되는 어구데이터(24), 단어데이터(26), 숫자데이터(28), 외국어데이터(30)를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선별적으로 사용하여 입력된 키 값에 따라 생성되는 문자 또는 문자열과 함께 대응시킨다.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키 값에 대응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진 데이터들 중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열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중복된 데이터의 우선 순위는 빈도 수 또는 가나다순 또는 데이터의 종류별(문장, 단어, 어구)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후 선택키의 작동으로 최종 입력된다.
데이터에 없는 단어 또한 입력모드의 변환 없이 후순위 글자 입력키인 ' *' 를 사용하여 입력하므로, 하나의 입력모드에서 일반적 문자의 입력과 데이터를 사용한 입력이 동시에 가능한 것이다.
물론 데이터에 없는 문자의 입력을 기존에 쓰이는 멀티탭 방식으로 하고 입력된 키 값에 데이터를 동시에 대응시킬 수도 있다.
데이터에 없는 문장, 두 단어 이상으로 이루어진 어구, 또는 단어를 입력하였을 때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입력시 이를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영어와 같은 나열형의 언어와 한글과 같은 공간형의 언어를 포함한 대부분의 언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입력 모드에서 두 개의 언어데이터를 동시에 대응시킬 수도 있으므로 두 가지 이상의 언어를 같이 기술함이 옳으나, 기술의 방법상 실시예를 영어의 입력, 한글의 입력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그 후 영어와 한글의 동시 입력 일본어, 중국어 등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 전화 단말기에 쓰이는 10개의 숫자 키패드를 바탕으로 기술하나 10개 이상의 버튼 사용이 가능한 PDA 등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그 용도도 단문메시지 뿐만 아닌 컴퓨터 자판을 이용하여 일정한 형식의 글을 반복 작성할 경우에도 적용됨은 물론이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처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시 어떠한 문장 또는 어구 단어등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지 알 수 없다. 그러므로 데이터 알림기능을 더 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 된 문자열을 일반입력으로 하였을 경우, 해당 문자열이 데이터베이스에 있음을 알리는 기능을 갖게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일정한 기간의 문자입력을 통하여 어떠한 종류의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키 값의 일부만을 입력하여도 해당 키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음도 당면하다.
1. 영어입력의 경우
영어입력 방식의 경우, 도1의 버튼배열을 기초로 하여 기술한다.
문장데이터베이스(22), 단어데이터베이스(26)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두 단어 이상으로 구성된 어구데이터베이스(24) 역시 사용 가능하다.
입력된 키 값에 따라 입력규칙을 가지고 생성되는 문자와, 역시 입력된 키 값에 대응하여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장, 어구, 단어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어 질 수 있다. 데이터와는 별도로 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규칙은 멀티탭 방식을 포함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여기서는 ' * ' 를 후순위 키로 사용하는 방법을 예로 기술한다.
도1을 참조하면, 단어의 입력시 ' a' 는 ' 2', ' b' 는 ' 2*', ' c' 는 ' 2**' 의 값을 가지며 여타의 버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대문자는 해당키를 길게 누른다. 즉 ' B' 의 경우 ' 2' 를 길게 누르고 ' *' 를 누르던지(a-AB), 아니면 ' 2' 를 누르고 ' *' 를 길게 누른다(ab-B).
예를 들면, 입력값 ' 459' 의 의미는 다음의 두 가지의 의미로 나뉠 수 있는 데, 먼저 첫 단어는 ' ghi' 중 하나로 시작되고 두 번째 단어는 ' jkl' 중 하나로 시작되며 세번째 단어는 ' wxyz' 중 하나로 시작되는 세 단어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진 문장을 의미한다. 그리고, 첫 알파벳은 ' ghi' 중 하나이고 두 번째는 ' jkl' 중 하나이며 세번째는 ' wxyz' 중 하나인 세 개의 알파벳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진 단어, 또는 'gjw'를 의미한다.
즉, 키 값으로 생성되는 문자열과 키값에 대응하는 문장데이터와 단어데이터를 같이 표시하고 그 중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열 또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하나의 입력코드에 대응된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중 쓰이는 빈도 수에서 우월한 데이터가 있다면 그것을 우선 대응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입력 코드값 ' 459' 의 경우 ' I love you' 라는 문장에 해당된다. 그러나 ' 459' 의 코드값을 갖는 사전상의 단어는 없다.
사용자가 ' I love you'라는 문장을 입력하기 위하여, 문장데이터 베이스를 선택(S2)(S4)하고, I love you'를 구성하는 단어의 첫글자 ' I, l, y' 에 해당하는 키를 한번씩 눌러 ' 459' 라는 키 값을 입력할 경우(S6), 화면에는 ' 459' 버튼의 가장 앞 글자인 ' gjw' 가 키 값의 입력 때마다 한 글자씩 디스플레이 되고(S8), 상기 키 값이 복수개인지 확인한다(S10). 이때 하나의 입력 키 값에 복수개의 문장이 해당된다면 사용 빈도수를 체크(S12)하여 빈도수가 높은 순, 또는 알파벳순으로 표시되도록 한다(S14).
이때 화면의 하단에는 ' I love you', 즉 입력된 키 값에 대응하는 문장데이 터가 디스플레이 되며(S14), 사용자는 자신이 의도한 ' I love you' 를 선택한다(S16). 그리고 데이터를 편집할 필요가 있는 경우(S18), 선택한 데이터를 편집할 수도 있으며, 사용시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편집하여 사용하는 것이다(S20).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추가 및 편집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S22)(S24).
' 459' 의 코드값을 갖는 단어란, 도 1의 버튼 배열에 의거하여 상기에 언급한대로 첫 알파벳은 ' ghi' 중 하나이고 두 번째는 ' jkl' 중 하나이며 세 번째는 ' wxyz' 중 하나인 세 개의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의미한다.
다른 예로서, ' 46' 이라는 키 값의 입력시 화면(40)에는 ' gm' 이라는 글자가 디스플레이 되고 ' Hi mom!' 과 ' go' 가 함께 대응한다.
먼저, ' Hi mom!' 은 두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으로서, 첫 단어는 ' ghi' 중 하나로 시작하고 두 번째는 ' mno' 로 시작하는 문장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 go' 는 두 개의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단어이며, 첫 알파벳은 ' ghi' 중 하나이고, 두 번째는 ' mno'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때 사용자는 대응된 데이터 중 자신이 의도한 문장 또는 단어를 골라 입력하면 된다.
물론, 해당하는 단어데이터가 있을 경우 해당 데이터를 우선순위로 디스플레이 될 수 도 있다.
즉, ' 46' 의 코드의 경우 ' gm' 이라는 단어는 쓰이지 않기에 ' gm' 대신 ' go' 가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화면의 하단에 ' Hi mom!' 이 나타나게 할 수 도 있는 것이다. ' Hi mom!' 의 경우에는 어구데이터베이스(24)를 이용해 각 알파벳의 키 값인 ' 44666' 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문장데이터와 단어데이터는 사용자가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단어는 후순위 지정키인 ' *' 키를 입력함으로 데이터의 코드값과의 중복을 줄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문장생성규칙, 문장데이터베이스(22), 어구데이터베이스(24), 단어데이터베이스(26)와 같이 서로 입력방식이 다른 입력방법을 하나의 입력모드에서 처리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 go' 를 일반적인 입력으로 하게 되면 ' 4' 를 눌러 ' g' 를 입력하고 ' 6' 을 눌러 ' m' 을 입력한 후 ' *' 를 두 번 눌러 ' m' 을 ' 0' 로 변환한다. 문장데이터베이스(22) 및 단어데이터베이스(26)에는 ' *' 를 포함하는 키 값이 없으므로 당연히 키값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예는 어구데이터베이스(24)도 마찬가지이다.
' go home' 이라는 자주 쓰이는 두 단어 이상의 글귀 입력시 ' T9'의 방법인 단어데이터베이스(26) 만을 사용해서 입력을 하게 되면 ' 46' 을 입력 후 키 값에 대응하는 ' go, in, ho' 등의 단어에서 ' go' 를 선택 후 띄어쓰기를 하고 다시 ' 4663' 을 입력하여 대응되는 단어인 ' good, gone, home, hood, hoof, hone, goof' 중에서 ' home' 을 골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 go home' 은 자주 쓰는 어구이므로 이를 따로 데이터베이스화하면 ' 464663' 을 입력하므로 어구를 마치 띄어쓰기를 생략한 단어데이터화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하나의 코드에는 중복이 많은 단어도 두 단어 이상을 코드화하면, 대응하는 데이터가 줄게 되므로 단어 데이터만을 쓰는 것보다 입력이 편리해진다. 물론 ' go home'을 문장 데이터에 넣게 되면 그 값은 각 단어의 앞글자인 ' gh' 의 코드값인 ' 44' 가 된다.
어떠한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것인지는 사용자의 선택이며 단말기는 입력된 코드에 해방하는 데이터를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와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열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 입력 규칙에 따라 입력 후 다시 저장 할 수 있고, 처음 입력시점에서 같은 입력모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는 입력을 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상기의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자리 또는 세 자리의 입력값을 예로 사용하였지만 입력코드의 자리수가 늘어날수록 입력값에 대응하는 문장과 단어데이터의 중복이 없어짐은 당연하다.
일례로 'I love you honey(4594)', 'Where are you going?(9294)', 'How are you doing?(4293)', 'That's a good idea(8244)', 'Meeting is running late(6475)' 등의 문장코드에는 같이 대응하는 사전상의 단어데이터 코드는 없다.
즉, 문장데이터베이스(22)와 어구데이터베이스(24), 단어데이터베이스(26)는 하나의 입력코드에 중복적으로 대응하지만 실제의 중복은 많이 일어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에 없을 수밖에 없는 고유명사 등의 입력도 같은 입력모드에서 하므로 문자의 입력이 편해지는 것이다.
참고로, 전화기 버튼의 경우 모음 ' a, e, i, o, u' 가 ' 2, 3, 4, 6, 8' 의 키 값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으므로 ' 2, 3, 4, 6, 8' 이 규칙적으로 포함되어야 단어데이터 코드가 되는데 반해, 문장데이터 코드는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첫 음소에 해당하는 키값, 즉 주로 자음의 키 값을 가지므로 중복이 적은 것이다.
문장데이터베이스(22)의 사용에 있어서, 'I love you' 를 입력시 각 단어의 첫글자를 ' Ily' 로 정확히 입력하여 데이터의 중복을 줄인다든지, 각 단어마다의 첫 글자와 끝 글자를 입력하여 문장을 입력하는 것, 또는 두 문장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문단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각 문장의 첫 음소만을 입력하여 문단을 입력하는 것, 문장데이터베이스(22)의 사용시 각 단어의 머리글자에 해당하는 키 입력을 띄어쓰기와 함께 해 사용자가 의도하는 데이터베이스가 문장데이터임을 표시할 수 있는 것 등의 내용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문장데이터가 하나의 입력코드에 두 개 이상 대응할 경우 하나의 화면에 한꺼번에 디스플레이 되기 어려우므로 ' I Love You'를 ' ILY'로 각 단어의 앞머리만을 표시하고 커서가 해당 ' ILY' 에 갈 경우 별도의 표시 부분에 'I Love You'가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자주 쓰이는 문장 중 그 문장의 패턴이 고유명사와 같이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어려운 단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단어의 코드를 ' *' 로 처리해 문장 선택 후 ' *'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의 입력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입력모드의 변화는 없다.
숫자 입력의 경우 ' #' 키를 누른 상태에서 키보드를 누르면 문자가 아닌 숫 자가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다.
즉, 영어의 입력모드에서 ' 2' 번 키를 누르게 되면 ' a' 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나, ' #' 키를 누른 상태에서 ' 2' 번 키를 누르게 되면 숫자 ' 2' 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는 전화번호와 같은 간단한 숫자의 입력시 입력모드의 변화 없이 간단히 숫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해준다.
' #' 키가 단독적으로 작동할 경우 커서 이동키의 역할을 함은 물론이다.
문장데이터 입력시 문장의 성격을 정해주는 ' !?. ' 등을 지정함으로 같은 코드에 대응되는 문장데이터의 수를 줄 일 수 있기도 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주소록에 'Carmen Electra' 와 같은 이름을 입력하고 전화번호를 저장할 때 그 단축다이얼 번호를 각 단어의 앞머리인 ' C E' 에 해당하는 ' 23' 으로 단말기가 자동 지정하여 주고 사용자는 전화를 걸고자 하는 사람의 이름의 머리글만을 눌러 단축 다이얼을 외우지 않고도 외운 것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누르는 ' Carmen Electra' 의 앞머리인 ' CE' 를 누름으로 이는 결국 ' Carmen Electra' 의 단축 다이얼 번호인 ' 23' 을 누르는 결과가 되는 것이다.
하나의 코드에 중복되는 데이터는 물론 알파벳/가나다순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는 물론 ARS의 데이터의 선별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5를 참조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ARS 시스템(42)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44)를 이용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일례로 노래의 제목을 ARS로 선별하고자 할 때 그 코드를 문장데 이터와 단어데이터에 쓰이는 방법으로 지정하여 주면 사용자는 전화기의 버튼을 연상되는 문자대로 누름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고를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노래의 제목이 한 단어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는, 예를 들면 ' yesterday' 와 같이, 근접한 단어가 입력되면 해당 노래의 제목이 표시되고, 가수가 여러 명일 경우에는 그에 대한 세부적인 가수명들이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노래의 제목이 두 단어 이상으로 긴 경우에는, 예를 들면 ' My Way' 와 같이, 각 단어의 앞글자에 해당하는 키 값을 갖되 하나의 단어로 된 노래제목은 중복이 많을 수 있으므로 하나의 단어로 된 노래제목에 한해 알파벳당 한번의 키를 누름으로 생기는 키 값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가수가 여럿일 경우에는 그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다.
도5 및 도6의 경우 알파벳당 한번의 키를 누르는 것이므로 글자의 정확한 표시가 되지 않는다. 즉 'yesterday' 가 ' yesterday' 로 정확히 입력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ARS이므로 문자의 입력이 아닌 숫자코드로 처리되기 때문에 ARS의 경우 문자의 디스플레이는 없다고 할 수 있고, 문자로 찾는 경우도 ' yesterday' 가 정확히 입력되지는 않는다. 다만 이해를 돕기 위해 위와 같이 설명한다.
사용자는 전화기 상으로 노래의 제목을 선택시 한 단어로 된 노래의 제목은 각 알파벳에 해당하는 키를 한번씩 누르는 것으로, 두 단어 이상은 각 단어의 첫 알파벳에 해당하는 키 값을 한번씩 누르는 것으로 원하는 노래제목을 고를 수 있는 것이다.
노래가사로 원하는 곡을 검색할 경우에도 가사를 이루는 각 단어의 첫 글자 에 해당하는 버튼을 한번씩만 눌러 줌으로 생성되는 코드값으로 노래를 찾을 수 있기도 하다. 가사의 일부만을 단어당 하나의 키 값 입력하여 원하는 노래를 찾는 것이다.
가수명으로 찾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나의 입력 키 값에 여러 가지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함이 특징이므로 하나의 입력 키 값에 가수명, 노래제목, 가사를 모두 적용시킬 수도 있다.
자주 쓰는 전화번호의 입력시 각 번호의 앞자리만을 단축 다이얼화할 수도 있다. 즉, ' 123-456-7890' 에 전화를 걸 경우 각 숫자열의 첫 글자인 ' 147' 을 누름으로 전화를 거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외우고 있을 경우 모든 전화번호를 모두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준다.
' 147' 을 누르고 ' 통화' 버튼을 놀러 ' 123-456-7890' 에 전화를 걸게 한다.
또는 ' 147' 을 누를 경우 화면에 ' 147' 과 ' 123-456-7890' 이 같이 표시되는 것이다. ' 147'로 시작되는 전화번호에 전화를 거는 경우 계속 번호를 입력하면 되고 ' 123-456-7890' 이 원하는 번호이면 ' 123-456-7890' 을 선택 후 통화버튼을 누르면 된다.
별도의 검색모드가 아닌 일반적 전화걸기 모드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같은 코드에 두개 이상의 전화번호가 대응할 경우 선택할 수 있게 하여 준다.
2. 한글의 경우
영어의 경우는 도 1과 같이 이미 표준화된 버튼의 배열이 있으므로 그를 적 용해 기술하였지만, 한글의 경우는 아직 표준화된 배열이 없고 문자의 형식 역시 영어와 같은 나열형이 아니므로 그 입력방법과 버튼의 배열은 다양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기본적 문자 생성규칙을 갖고, 그와는 별도로 문장데이터베이스(22), 어구데이터베이스(24), 단어데이터베이스(26)를 사용하며 하나의 입력모드에서 입력하므로 어떠한 버튼의 배열을 사용하는가에 관계없이 그 원리는 같다.
데이터에 없는 한글의 입력방식은 본 출원인이 1998년 3월 30일에 출원되어 특허된 출원번호 10-1998-0011031호에 기초한 입력방식(이하, ' 한글통일2000' 이라 한다)을 바탕으로 기술한다.
도8은 ' 한글통일2000' 에 의한 버튼의 배열이며, 아래의 표는 그 입력방법을 나타내었다.
[표1]
' 한글통일2000' 에 의한 키의 입력예
Figure 112004505801928-pat00001
표1을 참조하면, 한글은 19개의 초성(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ㄸㅃㅆㅉ)과 21개의 중성(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ㅐㅒㅔㅖㅘㅙㅚㅝㅞㅟㅢ), 그리고 27개의 종성(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ㄳㄵㄶㄺㄻㄼㄽㄾㄿㅀㅄㅆ)으로 이루어진다.
한글의 경우는 나열형 문자인 영어와는 다른, 초성;중성;종성이 하나의 글자를 이루는 공간형 문자라 할 수 있다. 한글은 초성과 종성에는 자음이 중성에는 모음이 쓰이며 그 쓰는 순서는 언제나 초성, 중성, 종성순이다.
이를 이용해 ' 한글통일2000' 은 하나의 버튼에 자음과 모음을 같이 배열하고도, 자음 모음의 구분키 없이 처음 눌러지는 버튼은 초성으로, 두 번째 누르는 버튼은 중성으로, 세 번째 누르는 버튼은 종성으로 자동 인식한다.
종성이 없는 글자는 종성대신 ' #' 키를 누름으로 다음 글자로 넘어갈 때의 순서를 지키며, 기본 자모음에 없는 복자음 복모음은 선순위 자음 또는 모음을 선 택한 후 ' *'키로 선택한다.
예를 들면,
1) 홍길동 : '348586448' (9타)
2) 꽃 : ' 5**40*' (6타)
3) 넋 : ' 975*' (4타)
- '
Figure 112004505801928-pat00011
' 의 글자는 KSX1001에 없으므로 종성이 ' ㄱ'에서 ' ㄳ' 으로 변환한다
4) 돼지 : '44***#08" (8타) 이다.
상기에 기술하고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상기 ' 한글통일2000' 의 입력방식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아래에 기술하기로 한다.
영어의 입력에서도 언급하였듯 본 발명은 문장데이터베이스, 어구데이터베이스, 단어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 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 오빠 지금 어디야?' 라는 문장을 문장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입력하고자 할 경우 각 단어의 첫 자음인 ' ㅇㅈㅇ' 을 누르면 도7 의 배열에 따라 이는 곧 ' 808' 을 누르는 결과가 된다.
그러므로 화면에는 ' 한글통일2000' 의 입력규칙에 따라 두 번째 입력하는 ' ㅈ' 은 모음' ㅜ' 로 인식케 되므로 ' 웅' 이라는 문자가 디스플레이 된다. 즉, LCD에 ' 웅'이라는 글자가 디스플레이되고, 그 하단에는 ' 오빠 지금 어디야?' 라는 문장데이터가 나타나는 것이다.
사용자는 하단에 디스플레이된 ' 오빠 지금 어디야?' 라는 문장을 선택함으로써 4번의 키 조작으로 ' 오빠 지금 어디야?' 라는 문장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문장데이터베이스(22)와 함께 단어데이터베이스(26)를 사용하면 ' 808' 의 입력은 ' 웅' 이라는 문자가 디스플레이 됨은 물론, 세 단어 또는 그 이상으로 된 문장 중 첫 단어는 ' ㅇ' 으로 두 번째 단어는 'ㅈㅊㅉ' 중 하나로 세 번째 단어는 ' ㅇ' 으로 시작되는 문장, 또는 첫 글자의 초성은 ' ㅇ' 으로 두 번째 글자의 초성은 ' ㅈㅊㅉ' 중 하나로 세 번째 글자의 초성은 ' ㅇ' 으로 하는 단어가 동시에 대응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 유치원' 이 될 수 있다.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머리글만을 입력하였으나 원하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는 같은 입력모드에서 다시 중성과 종성을 포함하여 입력하면 된다.
물론 입력도중 후순위 입력을 위한 ' *' 나 종성이 없을 경우 누르게 되는 ' #' 키를 작동하게 되면 데이터의 키 값에는 ' *' 나 ' #' 를 갖는 코드값이 없으므로 대응하는 데이터는 없게 된다. 물론 ' 안녕 하세요' , ' 안녕' 과 같이 자주 쓰는 단어는 문장데이터에 기록해 ' ㅇ' 만을 눌러도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도 있다.
어구데이터베이스에는 두 단어, 내지는 총 5~7글자 가량의 글을 데이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날 받아줘' 같은 경우의 짧은 글은 문장데이터의 입력방식으로 입력하기에는 ' 91(ㄴㅂ)' 이라는 2개의 코드로 데이터의 중복이 많을 수 있고, 단어데이터의 입력방식으로 ' 9(ㄴ)' 와 ' 180(ㅂㅇㅈ)' 을 따로 입력시 역시 중복이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 날 받아줘' 를 하나의 단어로 보고 각 글자의 첫머리인 ' 9180(ㄴㅂㅇㅈ)'을 입력하는 것이다. 이 경우 화면에는 ' 냥ㅈ' 이 디스플레이 된다. 즉, '9180' 이라는 입력값은 ' ㄴ,ㅂㅍㅃ,ㅇ,ㅈㅊㅉ' 을 머리글자로 하는 4글자 이상의 단어, 그리고 각 단어의 머리자음이 ' ㄴ,ㅂㅍㅃ,ㅇ,ㅈㅊㅉ' 인 네 단어 이상의 문장, 그리고 어구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되어 있는 ' 날 받아줘' 와 같이 ' ㄴ,ㅂㅍㅃ,ㅇ,ㅈㅊㅉ(9180)' 의 코드를 갖는 어구데이터 또는 ' 냥ㅈ' 이다.
이는 단문메시지에 많이 쓰이는 시간을 기록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쓰인다. 예로써 ' 5 시30분' 이라는 문자를 숫자입력모드로 변화없이 머리글로 입력을 하고자 한다면 이는 곧 ' 5ㅅ30ㅂ(57301)' 이 되고 화면에는 ' 한글통일2000'에 따라 ' 겋쟈' 라는 글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 역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다면 ' 5시30분' 이라는 문자열로 바꿀 수 있다.
' 한글통일2000' 의 경우 자음과 숫자가 10개의 버튼에 배열되어 있으므로 5번의 입력만으로 ' 10의 5승' 의 코드를 갖게 된다.
사용자가 자주 쓰는 전화번호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 숫자모드의 변환이 없이 입력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시 말하면, ' 사랑해 잘 자' 라는 문장을 문장데이터로 입력시, 사용자는 각 단어의 머리글인 ' ㅅㅈ(70)' 에 해당되는 키를 누르면 화면에는 ' 수'가 디스플레이되며, 어구데이터로 입력시에는 ' ㅅㄹㅎㅈㅈ(76300)'에 해당하는 키를 누르고 화면에는 ' 슈휴ㅈ' (KSX1001에 의거 '
Figure 112004505801928-pat00012
' 의 글자는 쓰이지 않는다) 가 디스플레이 된다. 단어데이터 사용시에는 ' ㅅㄹㅎ(763)' 을 눌러 ' 사랑해' 선택후 ' ㅈㅈ' 를 눌러 ' 잘자' 를 선택한다.
물론, 데이터베이스의 사용 없이 입력도 가능하다. ' 사랑해 잘 자' 의 경우 총 5글자로 이루어진 두 단어의 문장이므로 어구데이터의 입력 방식인 'ㅅㄹㅎㅈㅈ(76300)'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이 중복을 줄이는 길이다.
어떠한 방식으로 입력하는 가는 사용자의 권한이며 그에 따른 입력모드의 변환은 없다. 단말기는 사용자가 지정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키 값에 따라 해당데이터들을 불러온다. 물론, 단말기가 갖고 있는 문자 생성규칙에 따른 문자열은 별도로 디스플레이 된다.
모든 데이터베이스(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단어데이터를 염두에 둔 입력은 3글자 이상으로 하고, 2글자 이하의 단어를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두 단어 이상 총 4~7글자를 연달아 띄어쓰기가 없는 머리글로 입력하여, 어구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단순한 2글자 이하의 단어는 단어데이터베이스(26) 사용시 중복이 많을 수 있으므로 ' 한글통일2000' 의 방법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위에 나열한 어떠한 입력도 하나의 입력모드에서 처리한다.
한글입력의 경우 본 발명의 본 출원인이 개발한 ' 한글통일2000' 을 바탕으로 기술하였으나 ' 한글통일2000' 과는 다른 한글입력방법에 적용하여도 마찬가지가 된다. 즉, 자음과 모음이 분리되어 있는 키 배열의 경우에는 머리글을 누르면 자음만이 입력되므로 이는 곧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자음이 배열되어 있는 키가 보통 5~7개이므로 데이터의 중복이 많아진다. 그러므로 모든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추가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 다.
' 오빠 지금 어디야' 를 각 단어의 첫 글자인 ' 오지어' 로 입력을 하고 이에 대응하는 문장을 찾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문장데이터베이스에 원하는 문장이 없을 경우 다시 입력하기가 용이하다.
한글의 경우, 같은 뜻의 문장도 상대에 따라 높임말과 낮춤말로 표현이 가능하며 그 차이는 주로 문장의 마지막에 나타나므로, 문장데이터의 경우 단어의 첫 음소 또는 글자로 코드를 이루므로 불필요한 중복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첫 문장데이터를 높임말을 사용하여 입력하였으면 두 번째 입력문장도 높임말을 우선적으로 화면에 표시하여 줌으로 해결 가능하다. 한번 단문메시지를 송부한 후에는 그 번호를 단말기가 기억하고 사용한 문장의 높임말 여부를 기억하게 할 수도 있다. 이미 쓰이고 있는 주소록 기능에 관계를 기록하여 사용케 할 수도 있을 것이다.
3. 영어와 한글의 동시 입력
본 발명의 특징은 하나의 입력값에 여러 가지 입력방법과 여러 가지 사용방법이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입력 값에 문장, 어구, 단어, 시간데이터베이스를 동시에 대응하듯이 그 키 값에 다른 나라 언어의 데이터도 같이 대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7의 배열을 바탕으로 한글문장데이터베이스와 영어단어데이터베이스를 같이 사용하고 기본 디스플레이는 한글로 한다면, 'LOVE' 라는 글의 입력할 때 이는 곧 ' 5683' 이라는 코드를 갖고 화면에는 ' 규요' 라는 글이 표시된다. 그 의미는 첫 단어는 ' ㄱㅋㄲ' 중 하나로 시작하고 두 번째 단어는 ' ㄹ' 로 시작하며, 세 번째 단어는 ' ㅇ'으로 시작하고 네 번째 단어는 ' ㅎ' 으로 시작하는 한글문장, 또는 첫 글자는 ' jkl' 중 하나이고 두 번째는 ' mno' 중 하나이며 세 번째는 ' tuv' 중 하나이고 네번째는 ' def'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영어 단어, 또는 ' 규요' 이다(KSX1001에 의거 '
Figure 112004505801928-pat00013
' 은 없다).
단말기는 입력 키 값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며 사용자는 의도한 한글문장 또는 영어단어 또는 ' 규요' 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 한글의 단어데이터와 영어의 문장데이터를 첨부할 수도 있다.
4. 일본어의 입력
일본어의 입력방식은 현재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쓰이고 있다. 일본어 자체로 입력하는 방법과 영어로 소리나는 대로 표기 후 일본어로 치환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 나는' 을 일본어 그대로 ' あたしは' 로 입력하는 것과, 영어로 ' atasiha' 로 입력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상기에 기술한 방법을 응용하여 쓸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다만 일본어의 경우 띄어쓰기를 하지 않으나 일본어를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띄어쓰기가 없어도 단어(어절)를 구분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에 언급하였듯이 일본어 역시 문장데이터베이스(22), 어구데이터베이스(24), 문장데이터베이스(26) 등을 영어 또는 한국어와 같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말기의 버튼에 일본어와 영어 알파벳이 같이 배열되어 있다면, 하나의 입 력 키 값에 일본어 자체로 입력하는 방법과 소리나는대로 영어로 표기하는 방식을 같이 적용하여 두 가지 입력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는 문자열을 모두 디스플레이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 있기도 하다.
사용자는 두 가지 방법 중 자신이 의도하는 문자 또는 문자열을 빨리 입력할 수 있는 방법으로 키를 누르고 입력된 키 값에 대응하여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응되어 디스플레이 된 문자 또는 문자열 중 자신이 의도한 문자 또는 문자열을 선택하면 된다.
5. 중국어의 입력
중국어 역시 일본과 마찬가지로 영어로 표기 후 중국어로 치환을 하는 방법과 한자자체로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영어로 표기하는 방법은 역시 상기와 같으며 한자의 표기 역시 한자의 첫 획만을 입력하는 것을 연달아 하는 방법, 또는 첫 획과 마지막 획을 입력하는 것 등의 방법으로 단어데이터 또는 문장데이터를 쓸 수 있는 것이다.
중국어 역시 한자자체로 입력하는 방법과 영어로 표기하여 한자로 치환하는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하나의 키 값에 두 가지 방법으로 생성된 문자를 동시에 대응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 역시 일본어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두 가지 방법 중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문자열을 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입력 방식의 구분 없이 입력을 하면 된다.
단말기는 두 가지 입력방법에서 입력 키 값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각각 화면 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데이터 중 자신이 의도한 데이터를 선택하면 되는 것이다. 물론, 별도의 지정키를 두어 기본적 입력방법 외의 방법으로 입력을 할 경우 키 값의 입력전 또는 후에 별도의 지정키를 눌러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종류를 지정해 줄 수 있음도 당연하다.
입력된 코드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많은 언어의 경우는, 도9와 같이 버튼을 주버튼(숫자포함버튼, 52)과 보조버튼(54, 56)으로 나누어 전화를 걸고자 전화번호를 누를 때는 가운데 숫자가 쓰여 있는 버튼만을 작동되게 한다. 그리고 문자 입력모드에서는 각각의 버튼이 별개로 작동하도록 하여 10개의 버튼을 그 이상으로 확대하여 입력값의 정확성을 높여줌으로써 입력 키 값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 펜과 같이 뾰족한 터치펜(Touch Pen)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화걸기 모드에서는 가운데 주버튼만을 작동하게 하므로 보조버튼의 터치여부에 관계없이 키를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핸드폰의 10개의 숫자 키패드를 예로써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키패드의 숫자를 늘릴 수 있는 PDA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컴퓨터의 자판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전화, WAP폰, PDA, 웹패드 등과 같은 각종 단말기의 키를 조작하여 단어나 문장 등을 입력할 때 최소한의 키 조작으로 어구나 문장을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어구나 문장을 구성하는 언어나 단말기의 키 배열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어구나 문장을 간단한 키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을 뿐더러 전화번호나 주소, 그리고 ARS나 인터넷상에서 각종 정보를 입력할 때에 키 조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중국어, 일본어 등과 같이 발음되는 대로 다른 나라의 언어로 입력이 된 후 다시 해당 문자로 치환되는 제1문자입력방식과,
    그 나라의 언어에 해당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제2문자입력방식이 구비되어 있으며,
    단말기의 키에 다른 나라의 언어와 해당 언어의 문자가 동시에 배열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문자입력 방식 중 하나를 기본으로 하여 키 입력치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됨과 동시에,
    기본이 아닌 문자입력 방식에 의해 생성된 문자도 별도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입력된 상기 키 입력치에 해당하는 상기 제1및 제2문자입력방식의 문장데이터, 어구데이터, 단어데이터를 대응시켜 디스플레이하고 선택하며 입력함으로써,
    단말기의 하나의 입력모드에서 두 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식이 모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치는, 하나의 입력 키 값에 대응된 데이터 중에서 사용빈도 또는 이미 입력된 단어 또는 문장과의 연계성이 가장 높은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치는, 그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될 경우,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다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KR1020040025152A 2004-04-12 2004-04-12 키 입력 방법 KR100618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152A KR100618951B1 (ko) 2004-04-12 2004-04-12 키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152A KR100618951B1 (ko) 2004-04-12 2004-04-12 키 입력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693A Division KR100450459B1 (ko) 2002-02-22 2002-02-22 키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112A KR20040041112A (ko) 2004-05-13
KR100618951B1 true KR100618951B1 (ko) 2006-09-01

Family

ID=3733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152A KR100618951B1 (ko) 2004-04-12 2004-04-12 키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9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112A (ko)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7683C (zh) 通信终端
KR100377432B1 (ko) 문자/단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CA2263498A1 (en) Speed typ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4534425A6 (ja) 迅速テキストタイピングをサポートするハンドヘルド装置
KR20000064556A (ko) 키이입력장치
GB2399202A (en) Input of data from keyboard
CA3036940C (en) Device with character input user interface
JP4504571B2 (ja) 表意文字言語および非表意文字言語用テキスト入力システム
KR20050056277A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2004500610A (ja) スピードタイピング装置及び方法
KR100365284B1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0450459B1 (ko) 키 입력 방법
KR100618951B1 (ko) 키 입력 방법
KR100517029B1 (ko)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KR20020021182A (ko) 성조 표현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97509B1 (ko) 전화기자판이부착된한글입력장치및그방법
KR1010453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2002229721A (ja) 日本語の音節表記に基づく簡易型文字入力装置
KR20020054059A (ko)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NZ751167B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20012824A (ko) 2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