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4059A -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4059A
KR20020054059A KR1020000082682A KR20000082682A KR20020054059A KR 20020054059 A KR20020054059 A KR 20020054059A KR 1020000082682 A KR1020000082682 A KR 1020000082682A KR 20000082682 A KR20000082682 A KR 20000082682A KR 20020054059 A KR20020054059 A KR 20020054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bile phone
key button
key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미
최영조
김정은
Original Assignee
홍경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경
Priority to KR102000008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4059A/ko
Publication of KR2002005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05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의 키패드 상에 자음과 모음을 따로 구별하여 배치하고 또한, 상하좌우로 입력커서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한글이나 문자를 입력하거나 수정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문자입력을 위해 휴대 전화기의 캐패드 상의 우측에는 주로 모음을 배치하고 우측에는 자음을 배치하여 모음과 자음의 배열이 혼성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하거나 다른 키를 전용하여 입력커서의 조종에 사용함으로 수정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 Method for inputting and correcting hangul characters in the cellular phone }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음 및 모음을 각기 달리 좌우의 키패드에 배치하고 입력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작성중인 메시지를 수정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한글메시지를 작성함에 있어 편리성과 용이성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입력과 수정방법에는 휴대 전화기의 숫자 키패드를 조작하여 한글을 입력하지만 이러한 대부분의 방법들은 사용자의 자모 입력횟수가 많으며 입력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글자를 입력한 후 수정할 경우 입력커서를 이동함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여러 번 방향키를 조작해야만 하기 때문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상기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 1과 도 2를 가지고 설명한다.
도 1에 배열된 휴대 전화 숫자 키패드만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 자음과 모음의 배열이 사용자의 편의성을 기반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지 않다. 왜냐하면 자음과 모음의 배치가 키패드 상단과 하단을 기반으로 하여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할 때 자신이 원하는 자음,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을 따라 각각 입력하지만 이 때 상기 기술한 이유로 모음 입력 시 상당히 불편한 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 1의 숫자 키패드에 따라 "홍길동 만세"라는 글자를입력한다고 하면 다음과 같다.
"홍"자의 경우, 먼저 6번 키버튼을 2회 눌러서 "ㅎ"자를 입력하고 8번 키버튼을 눌러서 "ㅗ"자를 입력한 후, 6번 키버튼을 눌러서 "ㅇ"자를 입력한다. 따라서, "홍"자를 한 글자를 입력하는 데 모두 4번의 키 입력이 필요하게 된다.
"길"자의 경우, 먼저 1번 키버튼을 눌러서 "ㄱ"자를 입력하고, 0번 키를 2회 눌러서 "ㅣ"자를 입력하고, 2번 키버튼을 눌러서 "ㄹ"자를 입력한다. 따라서, "길"자를 입력하는데 총 3회의 키 입력이 필요하다.
"동"자의 경우, 먼저 3번 키버튼을 눌러서 "ㄷ"자를 입력하고, 8번 키버튼을 눌러서 "ㅗ"자를 입력하고, 6번 키버튼을 눌러서 "ㅇ"자를 입력한다. 따라서, "동"자를 입력하는데 모두 3회의 키 입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만세"를 입력하기 전에 한 칸 띄우기 위해 "#"키버튼을 눌러서 입력커서를 한칸 이동시킨다.
"만"자 입력의 경우, 5번 키버튼을 2회 눌러서 "ㅁ"자를 입력하고, 7번 키버튼을 눌러서 "ㅏ"자를 입력하고, 2번 키버튼을 눌러서 "ㄴ"을 입력한다. 따라서, "만"자를 입력하려면 총 4회의 키 입력이 필요하다.
"세"자 입력의 경우, 9번 키버튼을 눌러서 "ㅅ"을 입력한 뒤 0번 키버튼을 2회 눌러서 "ㅣ"를 입력하여 이중모음 "ㅔ"를 입력한다. 따라서, "세"자를 입력하는데 총 4회의 키 입력이 필요하다.
위의 순서대로 "홍길동 만세"라는 간단한 문장을 입력하기 위해 모두 총 21 회의 키 입력이 필요하다. 즉, "홍" 자 4회 + "길" 자 5회 + "동" 자 3회 + 띄우기1회 + "만" 자 4회 + "세" 자 4회로서 이를 도합하면 총 21회이다.
한글의 특성상 "ㅒ", "ㅐ", "ㅔ", "ㅖ"와 같은 이중모음들은 "ㅏ", "ㅑ", "ㅓ", "ㅕ"와 같은 단모음에 "ㅣ" 모음을 합친 형태이다. 이런 이중모음들은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ㅡ"모음을 이용한 이중모음의 사용횟수보다 더욱 많기 때문에 종래의 한글 입력방식에서 이용하는 모음의 배치에서 "ㅡ", "ㅣ"로 되어 있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쓸데없는 키 입력 횟수를 하나 늘리는 효과만을 가져올 뿐이다.
또한, 종래의 한글 입력 방식에서 자음과 모음의 배치는 대개 자음이 숫자 키패드 상에서 1, 2, 3, 4, 5, 6 번의 키버튼에, 모음이 7, 8, 9, 0, *, #번의 키버튼에 배치되어 상하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휴대전화가 더욱 발전하면 할수록 그 크기는 작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숫자 키패드 또한 휴대 전화기의 크기와 비례하여 점점 작아지고 있다.
이렇게 되면 한글의 특성상 모음이 많이 사용되는데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할 때 자음을 입력하면서 사용자 자신의 손가락으로 모음이 있는 키패드를 가리게 되어 다음에 입력할 모음이 위치한 숫자 키패드를 찾는데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한글 입력 시간을 더욱 줄이고 빠른 입력을 유도하기 위해 자음, 모음의 상하 숫자 키패드 배치는 큰 걸림돌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 상의 한글자모 배치뿐만 아니라 종래의 문자입력에 있어서 많은 수의 글자가 현재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 문장의 중간에 위치한 문자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문자를 입력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대개 종래의 한글 입력방식을 보면 숫자 키패드 상의 "#" 키버튼과 "*" 키버튼을 이용하여 입력커서를 이동시킨다. 단, 이때 입력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은 오로지 좌우 두 방향만 이동이 가능할 뿐이다. 가령 도 2에서 "니"(200)를 "나"로 수정하고 싶다면 종래의 방법으로는 입력커서(210)를 좌측 방향으로 "니"(200)라는 글자가 나올 때가지 19회나 좌측방향키(도 1의 110)를 눌러서 이동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 화면상에 많은 수의 글자가 있는 경우 수정하고 싶은 글자를 찾아가거나 새로운 글자를 입력할 위치를 찾아갈 때 오로지 좌우만을 이용하여 입력커서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여러 번 해당 키버튼("#" 키버튼(110)과 "*" 키버튼(100))을 눌러야하는 번잡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판을 보고 용이하게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있다.
또한, 입력된 메시지를 수정하고자 할 때 입력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해당 문자를 수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 전화기의 키패드 상에 배열되는 한글문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한글 입력방식에서 입력커서의 이동을 보여주는 일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자모의 자판(字板)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방식에서 입력커서의 이동을 보여주는 일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방식에서 입력커서의 이동을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은 방향키 없는 휴대 전화기인 경우 다른 키를 방향키로 전용시킨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휴대 전화기의 키패드 상에 자음과 모음을 따로 구별하여 배치하고 또한, 상하좌우로 입력커서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한글이나 문자를 입력하거나 수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문자입력을 위해 휴대 전화기의 캐패드 상의 우측에는 주로 모음을 배치하고 좌측에는 자음을 배치하여 모음과 자음의 배열이 혼성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하거나 다른 키를 전용하여 입력커서의 조종에 사용함으로 수정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자모의 자판(字板)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자모의 자판배열은 크게 키패드 상의 우측에 배열된 모음과 좌측에 배열된 자음 등 2개의 분류로 구성되어진다. 왜냐하면 종래의 키패드 상에 배열된 모음구조로는 사용자 자신의 손가락에 의해 한글을 입력하는 중에 모음이 배치된 키패드를 가릴 수 있기 때문에 모음을 입력할 때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휴대 전화기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컴퓨터의 자판에 꽤 익숙해 있기 때문에 은연중에라도 자음은 좌측 키패드 상에 위치하고 모음은 우측 키패드 상에 위치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종래의 자판을 숙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리고 자음과 모음의 배치는 서로 유사한 글자들만으로 구성하였고 한글의 특성상 복모음이나 단모음을 생성함에 있어 사용량이 많은 "ㅣ"와 "ㅡ"는 2번 키버튼에 배치하여 사용자들이 더욱 빨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면 이에 따른 자음과 모음의 배열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⑴ 자음의 경우:
① "1"번 키버튼: "ㄱ"과 "ㅋ", "ㄲ"("ㄲ"은 키패드에 표시되지 않으나 "1"번 키버튼에 속함)
② "4"번 키버튼: "ㄷ"과 "ㅌ", "ㄸ"("ㄸ"은 키패드에 표시되지 않으나 "4"번 키버튼에 속함)
③ "5"번 키버튼: "ㄴ"과 "ㄹ"
④ "7"번 키버튼: "ㅁ"과 "ㅅ", "ㅆ"("ㅆ"은 키패드에 표시되지 않으나 "7"번키버튼에 속함)
⑤ "8"번 키버튼: "ㅂ"과 "ㅍ", "ㅃ"("ㅃ"은 키패드에 표시되지 않으나 "8"번 키버튼에 속함)
⑥ "*" 키버튼: "ㅈ"과 "ㅊ", "ㅉ"("ㅉ"은 키패드에 표시되지 않으나 "*" 키버튼에 속함)
⑦ "0"번 키버튼: "ㅇ"과 "ㅎ"
⑵ 모음의 경우:
① "2"번 키버튼: "ㅣ"과 "ㅡ"
② "3"번 키버튼: "ㅏ"과 "ㅑ"
③ "6"번 키버튼: "ㅓ"과 "ㅕ"
④ "9"번 키버튼: "ㅗ"과 "ㅛ"
⑤ "#" 키버튼: "ㅜ"과 "ㅠ"
이러한 자판배열에 따라 자모의 입력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음의 입력예를 설명한다.
상기 자음의 자판배열에 따라 자음입력은 3가지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① 해당 키버튼을 1회 눌러서 입력하는 자음(키버튼 상의 우측 상단에 위치한 첫 번째 글자): "ㄱ"(1번 키버튼), "ㄷ"(4번 키버튼), "ㄴ"(5번 키버튼), "ㅁ"(7번 키버튼), "ㅂ"(8번 키버튼), "ㅈ"(* 키버튼), "ㅇ"(0번 키버튼)
② 해당 키버튼을 2회 눌러서 입력하는 자음(키버튼 상의 우측 상단에 위한 두 번째 글자): "ㅋ"(1번 키버튼), "ㅌ"(4번 키버튼), "ㄹ"(5번 키버튼), "ㅅ"(7번 키버튼), "ㅍ"(8번 키버튼), "ㅊ"(* 키버튼), "ㅎ"(0번 키버튼)
③ 해당 키버튼을 3회 눌러서 입력하는 자음: "ㄲ"(1번 키버튼), "ㄸ"(4번 키버튼), "ㅆ"(7번 키버튼), "ㅃ"(8번 키버튼), "ㅉ"(* 키버튼)
여기서 경음인 쌍자음 "ㄲ", "ㄸ", "ㅆ", "ㅃ", "ㅉ" 등은 키버튼에 새겨진 자음으로부터 쉽게 유출할 수 있어 굳이 키버튼 상에 이를 기입할 필요가 없다. 즉, 1번 키버튼에 "ㄱ", "ㅋ"이 새겨져 있으므로 3회를 연속하여 누르면 "ㄲ"이 입력될 것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사용자들은 유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모음 자판의 배열에 따라 자음의 입력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모음의 입력이 구성된다. 모음의 구성은 크게 3가지로 이루어지며 그중 2가지는 자판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다.
① 해당 키버튼을 1회 눌러서 입력하는 모음(키버튼 상의 우측 상단에 위치한 첫 번째 글자): "ㅣ"(2번 키버튼), "ㅏ"(3번 키버튼), "ㅓ"(6번 키버튼), "ㅗ"(9번 키버튼), "ㅜ"(# 키버튼)
② 해당 키버튼을 2회 눌러서 입력하는 모음(키버튼 상의 우측 상단에 위치한 두 번째 글자): "ㅡ"(2번 키버튼), "ㅑ"(3번 키버튼), "ㅕ"(6번 키버튼), "ㅛ"(9번 키버튼), "ㅠ"(# 키버튼)
③ 상기 ①과 ②의 모음입력 방법을 제외한 복모음인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등은 모음 키버튼을 조합하여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ㅒ" = 3번 키버튼 → 3번 키버튼 → 2번 키버튼 즉, "ㅑ" + "ㅣ"
"ㅔ" = 6번 키버튼 → 2번 키버튼 즉, "ㅓ" + "ㅣ"
"ㅖ" = 6번 키버튼 → 6번 키버튼 → 2번 키버튼 즉, "ㅕ" + "ㅣ"
"ㅘ" = 9번 키버튼 → 3번 키버튼 즉, "ㅗ" + "ㅏ"
"ㅙ" = 9번 키버튼 → 3번 키버튼 → 2번 키버튼 즉, "ㅗ" + "ㅏ" + "ㅣ"
"ㅚ" = 9번 키버튼 → 2번 키버튼 즉, "ㅗ" + "ㅣ"
"ㅝ" = # 키버튼 → 6번 키버튼 즉, "ㅜ" + "ㅓ"
"ㅟ" = # 키버튼 → 2번 키버튼 즉, "ㅜ" + "ㅣ"
"ㅢ" = 2번 키버튼 → 2번 키버튼 → 2번 키버튼 즉, "ㅡ" + "ㅣ"
"ㅞ" = # 키버튼 → 6번 키버튼 → 2 번 키버튼 즉, "ㅜ" + "ㅓ" + "ㅣ"
여기서, "→"는 입력순서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나의 키버튼을 누른 후, 다음 키버튼을 누르는 것을 상정한 것이다.
상기 모음의 입력방법 중 복모음의 경우에 "ㅣ"모음에 대한 사용빈도가 상당히 높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2"번 키버튼에 "ㅡ"보다 "ㅣ"를 먼저 배치하여 한글입력시 키버튼의 누르는 횟수를 줄이고 한글 입력 속도를 더욱 향상시켰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라 "홍길동 만세"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다.
"홍" = 0번 키버튼 → 0 키버튼 → 9번 키버튼 → 0번 키버튼, 따라서 총 4회의 키버튼 조작이 필요하다.
"길" = 1번 키버튼 → 2번 키버튼 → 5번 키버튼 → 5번 키버튼, 따라서 총 4회의 키버튼 조작이 필요하다.
"동" = 4번 키버튼 → 9번 키버튼 → 0번 키버튼, 따라서 총 3회의 키버튼 조작이 필요하다.
그리고, "만세"를 입력하기 전에 한 칸 띄우기 위해서 숫자 키패드 상단에 있는 " )"방향키(300)를 한 번 누른다. 종래의 숫자 키패드에 있는 "#"키(100)에 방향을 알리는 "▶"를 배치하면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하나의 키버튼에 너무 많은 입력이 이루어져서 사용자들의 혼동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네비게이션 키 패드(310)를 이용하여 상하좌우로 입력커서를 움직여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한글이나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만" = 7번 키버튼 → 3번 키버튼 → 5번 키버튼 따라서, 총 3회의 키버튼 조작이 필요하다.
"세" = 7번 키버튼 → 7번 키버튼 → 6번 키버튼 → 2번 키버튼 따라서, 총 4회의 키버튼 조작이 필요하다.
위의 방식에 따라, "홍길동 만세"라는 문장을 입력하는데 모두 총 20회(4회 + 4회 + 4회 + 1회 + 3회 + 4회)의 키조작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방식에서 입력커서의 이동을 보여주는 일실시예이다.
휴대 전화기가 발전하고 무선 인터넷의 사용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한글의 입력에 있어서 간단한 문장의 입력보다는 더욱 길고 복잡한 문장의 입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간단하게 20 문자 분량의 한글입력이 주류였지만 근래에 들어 20자 이상의 한글은 물론 더욱 복잡한 특수기호를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하여 작성한 한글문장을 수정할 필요성이 많이 늘어나게 되었다.
만일 사용자가 메시지를 작성하였다 하고 이 메시지 중에서 일부를 수정한다면 이를테면 "니"(400)를 "나"로 수정할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우선 입력커서(410)를 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방향키인 "▲"(420)을 2회 눌러 첫 번째 줄로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다시 입력커서(41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방향키인 "( "(430)을 3회 눌러 "니"(400)자 앞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총 5회 키조작으로 원하는 수정지점까지 입력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방식에서 입력커서의 이동을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이다.
입력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방식이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입력커서의 최상위와 최하위 이동방식도 구현된다.
이는 방향키 "("(530)과 ")"(540)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최상위 이동의 수행은 입력커서(500)를 "가"(510)자의 앞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방향키 "("(530)을 일정시간 누르고 있으면 입력커서(500)가 최상위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최하위 이동의 수행은 우측 이동 방향키 ")"(540)을 일정시간 누르고 있으면 입력커서(500)가 최하위 지점인 "교"(520)자의 바로 뒤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 4에서 상측이동과 좌측이동을 이용한 경우 총 5회의 방향키 조작이 필요하지만 최상위 이동을 이용할 경우 좌측 이동의 길게 입력 한번과 우측이동 한번으로 수정하고자 하는 글자(550) 앞으로 입력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2회의 방향키조작만으로도 입력커서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도 6은 방향키 없는 휴대 전화기인 경우 다른 키를 방향키로 전용시킨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3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입력커서 이동은 방향키(네비게이션 키)(310)가 있는 휴대 전화기에서는 매우 쉽고 직관적으로 입력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휴대 전화기의 특성상 네비게이션 키가 있는 휴대 전화기도 있고 네비게이션 키가 없는 휴대 전화기도 있다. 이는 휴대 전화기를 만드는 제조사마다 자기 회사 나름대로의 키패드 배치를 이용하는데 이렇게 되면 입력커서의 이동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휴대 전화기에서 메뉴키, 선택키, 통화키 또는 녹음키, 재생키, 에티켓키 등 각 휴대 전화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숫자 키패드 이외에도 몇 개의 키가 더 있다. 이런 키들을 이용하여 입력커서의 상하좌우, 최상위, 최하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6에서 메뉴키(600), 통화키(610), 녹음키(620), 재생키(630)를 이용하여 상하좌우 및 최상위, 최하위로 입력커서를 이동할 수 있게 전용할 수 있다. 즉, 녹음키(620)는 상방향으로 재생키(630)는 하방향으로, 그리고 메뉴키(600)는 우방향으로 통화키(610)를 좌방향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메뉴키(600)를 일정시간 누르면 최상위로 입력커서를 이동시키며 통화키(610)를 일정시간 누르면 최하위로 입력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서 대부분의 휴대 전화기가 가지고 있는 선택키를 방향키로 적용하지 않은 것은 한글입력을 마치고자 할 경우 대개 선택키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상기 다른 키를 방향키로 전용한 것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방법으로도 방향키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숫자 키패드 외의 다른 키에 방향키를 적용시킬 때 상하좌우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키패드 위에 글자를 새겨주던지 하는 것은 휴대 전화기 제조사의 생산방법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과 실시예를 가지고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음과 모음이 좌우로 키패드 상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한글 입력도중 자음을 입력하고 모음을 입력할 때 손쉽게 문자를 찾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미 입력된 메시지를 수정할 때 입력커서의 위치를 수정하려는 글자에 가져갈 때 입력커서의 이동을 상하좌우 또는 최상위, 최하위방향으로 쉽게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메시지를 수정할 수 있다.

Claims (14)

  1. 다수의 한글입력을 위한 키버튼이 구비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한글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7개의 키버튼에 각각 제 1 자음과 제 2 자음을 표시하고, 한글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다른 5개의 키버튼에 각각 제 1 모음과 제 2 모음을 표시하여 키패드를 구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키버튼을 눌러 입력함에 따라, 휴대 전화기가 상기 입력된 문자를 휴대 전화기의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음은 해당 키버튼을 1회 눌러서 입력되는 것과,
    상기 제 2 자음은 해당 키버튼을 2회 눌러서 입력되는 것으로 이루어진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자음에는 해당 키버튼을 3회 눌러서 입력하는 제 3 자음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4. 제 2 항에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음에는 ㄱ, ㄷ, ㄴ, ㅁ, ㅂ, ㅈ, ㅇ이 할당되는 것과,
    상기 제 2 자음에는 ㅋ, ㅌ, ㄹ, ㅅ, ㅍ, ㅊ, ㅎ이 할당되는 것과,
    상기 제 3 자음에는 ㄲ, ㄸ, ㅆ, ㅃ, ㅉ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음과 제 2 자음과 제 3 자음은 2개 내지 3개의 문자로 묶이어 군으로 그룹화되며 "ㄱ"군에는 ㄱ, ㅋ, ㄲ이, "ㄷ"군에는 ㄷ, ㅌ, ㄸ이, "ㄴ"군에는 ㄴ, ㄹ이, "ㅁ"군에는 ㅁ, ㅅ, ㅆ이, "ㅂ"군에는 ㅂ, ㅍ, ㅃ이, "ㅈ"군에는 ㅈ, ㅊ, ㅉ이, "ㅇ"군에는 ㅇ, ㅎ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음은 해당 키버튼을 1회 눌러서 입력하는 것과,
    상기 제 2 모음은 해당 키버튼을 2회 눌러서 입력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음에는 ㅣ, ㅏ, ㅓ, ㅗ, ㅜ를 할당되는 것과,
    상기 제 2 모음에는 ㅡ, ㅑ, ㅕ, ㅛ, ㅠ를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음과 제 2 모음은 2개의 문자로 묶이어 군으로 그룹화되며 "ㅣ"군에는ㅣ, ㅡ가, "ㅏ"군에는 ㅏ, ㅑ가, "ㅓ"군에는 ㅓ, ㅕ가, "ㅗ"군에는 ㅗ, ㅛ가, "ㅜ"군에는 ㅜ, ㅠ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ㅣ"군에는 ㅣ, ㅡ가 순서대로 키버튼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10. 다수의 한글입력을 위한 키버튼이 구비된 휴대 전화기에서의 문자 수정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메시지가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이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 상에 배치되어 있는 방향키를 조작하면 입력커서가 상하좌우 또는 최상위, 최하위의 위치로 이동하여 수정하고자 하는 문자의 전후에 위치하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문자 수정방법.
  11. 상기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방향키가 휴대 전화기 상에 4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문자 수정방법.
  12. 상기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위와 최하위 이동을 위한 방향키는 상기 상하좌우로 입력커서를 이동시키는 방향키 중 2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2개중 하나의 방향키를 일정시간동안 누르면 입력커서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문자 수정방법.
  13. 상기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위 이동은 입력커서가 수정할 메시지의 첫 글자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문자 수정방법.
  14. 상기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위 이동은 입력커서가 수정할 메시지의 마지막 글자의 바로 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에서의 문자 수정방법.
KR1020000082682A 2000-12-27 2000-12-27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KR20020054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682A KR20020054059A (ko) 2000-12-27 2000-12-27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682A KR20020054059A (ko) 2000-12-27 2000-12-27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059A true KR20020054059A (ko) 2002-07-06

Family

ID=2768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682A KR20020054059A (ko) 2000-12-27 2000-12-27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40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345Y1 (ko) * 2002-10-16 2003-02-07 한민수 빠르고 간편한 한글입력자판
KR100433173B1 (ko) * 2002-02-25 2004-05-27 넷코덱(주)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및 한글 입력 방법
KR100470698B1 (ko) * 2001-12-24 2005-02-21 주식회사 텔컴전자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698B1 (ko) * 2001-12-24 2005-02-21 주식회사 텔컴전자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433173B1 (ko) * 2002-02-25 2004-05-27 넷코덱(주)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및 한글 입력 방법
KR200303345Y1 (ko) * 2002-10-16 2003-02-07 한민수 빠르고 간편한 한글입력자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4190B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US20030027601A1 (e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0035585A1 (ja) 携帯端末、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WO2002088920A1 (fr) Organe de saisie a touches tactiles
KR20050056277A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1599227B1 (ko) 한글과 영문 등의 문자 입력이 용이한 터치 스크린용 면촉 자판
JP2008059568A (ja) 数字キー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KR100365284B1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CN102422621A (zh)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KR20020054059A (ko)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JP3738066B2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JPH11327762A (ja) マウス機能付きキー入力装置
KR20190140135A (ko) 일본어 키패드
KR1999006496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JP2004310543A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キャラクター入力方法、キャラクター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110061737A (ko)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
KR20060000389A (ko) 스마트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CN1971483A (zh) 五键拼音输入法
KR20230121558A (ko) 일본어 pc용 키보드 및 게임용 키보드
KR20060107646A (ko)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KR20020001918A (ko)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100618951B1 (ko) 키 입력 방법
JP2005078107A (ja) 電子機器に対する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