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135A - 일본어 키패드 - Google Patents

일본어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135A
KR20190140135A KR1020180066497A KR20180066497A KR20190140135A KR 20190140135 A KR20190140135 A KR 20190140135A KR 1020180066497 A KR1020180066497 A KR 1020180066497A KR 20180066497 A KR20180066497 A KR 20180066497A KR 20190140135 A KR20190140135 A KR 20190140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row
keypad
line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민
Original Assignee
유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민 filed Critical 유승민
Priority to KR1020180066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0135A/ko
Publication of KR2019014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손가락의 피로를 줄이면서 일본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으로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ら행,을 대표하는 행버튼을 두고,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을 대표하는 단버튼을 두고, 행버튼들과 단버튼들이 분리된 키패드의 서로 다른 쪽에 설치되어, 단버튼과 행버튼의 조합으로 일본어를 입력함으로써 일본어 자판의 숫자를 줄여서 효과적으로 일본어를 입력하게 하고, 양손을 교차해서 단버튼과 행버튼을 연속으로 입력함으로써 일본어 입력을 보다 빠르고 편하게 할 수 있고, 손가락의 가동범위를 최소화 함으로써 손가락의 피로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본어 키패드 {Japanese Keypad for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일본어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어, 일본어 구성원리를 반영해서 양손을 교차해서 입력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고, 손가락의 가동범위를 최소화 함으로써 손가락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스마트폰의 문자메세지나 다양한 SNS의 활성화로 인해서 스마트폰의 키패드를 통해서 글자를 적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해서 전 세계에서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고 있고 일본어 또한 스마트폰의 키패드를 통해서 입력을 할 수 있다.
현재 스마트폰을 사용해서 일본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영어발음을 활용하는 방법이 널리 쓰이고 있으나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한테는 불편하고, 하나의 일본어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여러 번 눌러야 하고, 일본어의 50자음 체계와는 상관이 없기 때문에 처음 사용하는 사람은 익숙해 지기까지 연습이 필요하다.
일본어 히라가나를 개별적으로 직접 입력하는 방식도 있으나 일본어 50자음을 주어진 버튼 숫자에 맞추기 위해 한 개의 버튼으로 여러 일본어 글자를 입력하게 하면 한 자의 일본어를 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누르는 횟수가 많아져서 번거롭고, 한 글자의 일본어를 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누르는 횟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버튼의 숫자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적절한 버튼의 숫자로 적은 횟수의 버튼 누름으로 일본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스마트폰의 문자 활용 빈도가 높아지면서 손가락의 피로가 쌓여서 손의 피로가 쌓여서 건강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스마트폰의 디자인이 다양해 지면서 스마트폰의 폭이 넓거나 아이와 같이 손이 작은 경우에는 멀리 있는 버튼을 누르기 위해서는 손가락이나 관절을 무리하게 뻗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이 개발되고 있고, 이러한 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은 펼쳤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스크린의 폭이 넓어서 기존의 바 형태의 스마트폰에 사용했던 키패드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새로운 스마트폰의 디자인에 적합한 효율적인 일본어 키패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본어가 행과 단의 조합으로 50음도를 나타낼 수 있는 원리를 반영해서 버튼을 적게 누르고 쉽게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고, 양손으로 일본어를 입력할 경우에 행과 단을 다른 손으로 입력할 수 있게 버튼을 배치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일본어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행을 입력하는 버튼과 단을 입력하는 버튼을 분리시키고 스마트폰을 양손으로 잡았을 때 손가락이 닿을 수 있게 배치함으로써 손가락의 피로를 최소화하고 보다 편하게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함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는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으로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ら행을 대표하는 행버튼을 두고,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을 대표하는 단버튼을 두고, 행버튼과 단버튼의 조합으로 일본어를 효율적으로 보다 적은 버튼 누름으로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키패드에서 왼손으로 터치하기 쉬운 위치에 행버튼들을 설치하고 오른손으로 터치하기 쉬운 위치에 단버튼들을 설치해서, 양손을 번갈아 가면서 행버튼과 단버튼을 조합해서 입력해서 보다 빠르게 행과 단으로 조합된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키패드를 양쪽으로 분리하고 행버튼들과 단버튼들이 분리된 키패드의 서로 다른 쪽에 설치되어, 분리된 키패드가 각각 왼손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있는 위치와, 오른손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로 나누어져 있고, 한쪽에는 행버튼들을 배열하고 반대쪽에는 단버튼들을 배열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면서 넓은 폭을 가진 스마트폰에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으로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ら행을 대표하는 행버튼을 두고,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을 대표하는 단버튼을 두고, や, ゆ, よ, ゎ, を음을 입력할 수 있는 개별 버튼들을 두어서 행버튼과 단버튼의 조합으로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어서, 일본어 50음도를 아는 정도의 일본어 지식만 있으면 누구든지 쉽게 입력할 수 있고 하나의 일본어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 눌러야 하는 버튼의 터치 횟수를 줄여서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한다.
행버튼들과 단버튼들이 분리된 키패드의 서로 다른 쪽에 배열되어, 양손을 교차해서 행버튼과 단버튼을 연속으로 입력함으로써 일본어 입력을 보다 빠르고 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키패드를 양쪽으로 분리하고 행버튼들과 단버튼들이 분리된 키패드의 서로 다른 쪽에 배열되어, 스마트폰의 폭이 넓은 경우나 접는 스마트폰을 펼쳐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혹은 아이와 같이 손이 작아서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입력하기 어려운 사용자에 대해서는, 분리된 키패드를 각각 왼손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있는 위치와, 오른손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로 분리되어 배열하고, 분리 된 양쪽의 키패드에 행버튼들과 단버튼들이 따로 배열되어 있어서 손가락의 움직임과 피로를 최소화 해서 건강한 스마트폰 생활을 제공할 수 있다.
도1. 일본어 50음도표와 발음
도2. 본 발명에 의해 행버튼 1회 터치와 단버튼 1회 터치로 입력할 수 있는 일본어 글자(あ행의 글자는 단버튼 1회터치 만으로 입력)
도3. 본 발명의 실시예
도4. 본 발명에 의해 일본어 50음도의 글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방법 (50음도의 모든 일본어를 1회 혹은 2회의 터치로 입력 가능 함)
도5. 영어 Qwerty 자판
도6. 분리된 키패드에 적용한 제 2 실시예
도7. 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에 적용한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드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어를 스마트폰에 입력하기 위해서는 50자음표에 있는 일본어 히라가나나 가타가나를 입력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50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각각의 버튼을 만들면 자판이 너무 많아서 손으로 입력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일본어 글자에 대해서 버튼을 만드는 것이 아니고 일본어 50자음의 생성원리를 반영해서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ら행을 대표하는 행버튼을 두고,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을 대표하는 단버튼을 두어서 행버튼과 단버튼의 조합으로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め(메)라는 글자를 입력하고 싶으면 め가 ま행에 え단의 글자이므로, 행버튼에서 ま를 누르고 이어서 え를 누르면 め를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ら행과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에 해당하는 8(행의 수) x 5(단의 수) = 40개의 일본어는 7(행의 수) + 5(단의 수) = 12개의 버튼으로 모두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あ행의 경우에는 따로 あ행을 의미하는 버튼을 두지 않고, あ단의 버튼을 이용해서 입력할 수 있다.
や행은 や, ゆ, よ 3개만 있고, ゎ행은 ゎ와 を 2개만 있기 때문에 や행과 ゎ행을 대표하는 행버튼을 두지 않고, や, ゆ, よ, ゎ, を 의 글자 버튼 5개를 독립적으로 두었고, ん의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글자 버튼 1개를 독립적으로 둘 수 있다.
や, ゆ, よ의 경우 일본어 요음을 나타내는 데도 사용된다. 요음은 い를 제외한 い단 자음의 오른쪽 밑에 や, ゆ, よ를 작게 붙여서 한 글자처럼 발음하는 것이다. 요음도 행버튼과 や, ゆ, よ의 조합으로 단 두 개의 버튼을 눌러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きゃ를 표현하고 싶으면 か행버튼 + や를 눌러서 2번의 버튼 터치로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か행버튼 + い단버튼 + や로도 きゃ를 표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버튼을 3회 터치해서 입력해야 한다.
일본어의 탁음을 나타내기 위한 탁점을 입력하는 버튼을 둘 수 있다. 또한, 일본어의 반탁음을 나타내기 위한 반탁점을 입력하는 버튼을 둘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한 버튼은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ら행과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을 대표하는 버튼 14개와, や, ゆ, よ, ゎ, を, ん의 글자 버튼 6개와, 탁점을 입력하는 버튼 1개(141), 반탁점을 입력하는 버튼 1개(142), 도합 22개 일 수 있다. 기타 스페이스키, 백스페이스키, 히라가나-가타가나 전환버튼 등의 기능 버튼을 포함한 키패드의 실시예가 도 3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행버튼끼리 묶은 행버튼묶음(111, 112)과 단버튼끼리 묶은 단버튼묶음(120)이 설치되어서 양 손으로 입력을 할 경우에 한 손으로 행버튼을 터치하고 다른 손으로 단버튼을 터치하는 교차 입력으로 쉽게 일본어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요음의 경우에도 단버튼묶음(120)에 가깝게 설치 된 요음버튼묶음(130)을 두어서 행버튼+요음의 조합을 양손으로 교차해서 입력하기 쉽게 설치할 수 있다. 행버튼에 표시되는 글자는 각 행의 あ단의 글자를 표시할 수도 있고(111), 요음을 입력할 때 실수하지 않기 위해서 い단의 글자까지 같이 표시할 수도 있다(112). 하지만, 이는 행버튼들을 표시방법에 대한 한 가지 사용예이며, 각각의 버튼을 표시하는 방법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50자음의 일본어 글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의 조합을 각각의 일본어 글자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50자음의 모든 일본어 글자가 한 개 혹은 두 개의 버튼 조합으로 쉽게 입력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도1에 표시된 일본어 글자의 영어 표현과 비교해 볼 때, 현재 스마트폰의 일본어 입력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식인 qwerty 영문 키패드에 비해서 더 적은 버튼 터치로 입력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영문 qwerty와 도 3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본 발명이 양손교차 입력에 더 유리하고 이로 인해 보다 빠르게 일본어 입력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영문 qwerty 키패드는 일본어 입력을 고려해서 만든 키패드가 아닌 데 반해서 본 발명은 일본어 50자음의 형성 원리를 반영하고 행버튼묶음(111,112)과 단버튼묶음(120)으로 버튼을 분리해서 배열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일본어 さ를 입력한다면 qwerty 키패드의 경우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s버튼을 입력하고 바로 옆에 있는 a버튼을 입력하기 때문에 한손으로 입력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하면 행버튼묶음(111,112)에서 さ행버튼을 입력하고 떨어져 있는 あ단 버튼을 입력하기 때문에 교차입력이 더 수월하다.
이러한 교차입력의 수월성은 스마트폰의 폭이 넓거나 접는 스마트폰을 펴서 사용할 경우에, 행버튼묶음(111,112)과 단버튼묶음(120)을 분리해서 설치한 키패드를 사용하는 실시예에서 더욱 유리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키패드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키패드의 한쪽(100-1)에는 행버튼묶음(111,112)의 행버튼들을 배열하고, 분리된 키패드의 반대쪽(100-2)에는 단버튼묶음(120)의 단버튼들을 배열한 스마트폰을 도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접는 스마트폰을 펼쳤을 때, 펼쳐진 스마트폰의 양면에 각각 키패드가 분리되어 배열하고, 한쪽(100-1)에는 행버튼묶음(111,112)의 행버튼들을 배열하고 분리된 키패드의 반대쪽(100-2)에는 단버튼묶음(120)의 단버튼들을 배열한 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을 도시하였다. 분리 된 키패드에 적용할 경우 や행의 や, ゆ, よ 3개의 버튼들은 단버튼묶음(120)과 같은 쪽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의 폭이 넓기 때문에 손이 작은 사람은 스마트폰의 가운데에 버튼이 있으면 손가락을 무리하게 움직여서 버튼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에 무리한 피로를 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키패드를 분리해서 양 손의 손가락들이 쉽게 닿을 수 있는 범위에 분리된 키패드들(100-1,100-2)을 배열하고, 행버튼묶음(111,112)의 행버튼들과 단버튼묶음(120)의 단버튼들 분리된 키패드의 양쪽에 따로 배치함으로써 양손의 교차입력을 통해서 일본어 글자를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고 손가락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 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스마트폰
100: 키패드
100-1: 분리되는 키패드의 한쪽
100-2: 분리되는 키패드의 반대쪽
111, 112: 행버튼묶음
120: 단버튼묶음
130: 요음버튼묶음
141: 탁점버튼
142: 반탁점버튼

Claims (12)

  1.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ら행을 대표하는 7개의 행버튼과;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을 대표하는 5개의 단버튼과;
    や, ゆ, よ, ゎ, を, ん를 각각 입력할 수 있는 독립된 버튼 6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か행버튼, さ행버튼, た행버튼, な행버튼, は행버튼, ま행버튼, ら행버튼 중 한 개를 1회 터치하고 상기 あ단버튼, い단버튼, う단버튼, え단버튼, お단버튼 중 한 개를 1회 터치해서 상기 7개 행과 상기 5개 단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35개의 일본어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あ단버튼, い단버튼, う단버튼, え단버튼, お단버튼 중 한 개를 터치해서 あ행의 일본어 글자인 あ, い, う, え, お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か행버튼, さ행버튼, た행버튼, な행버튼, は행버튼, ま행버튼, ら행버튼 중 중 한 개를 터치하고 요음을 입력할 수 있는 や버튼, ゆ버튼, よ버튼 중 한 개를 터치 해서 요음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본어 글자를 입력한 이후에 탁점버튼을 터치해서 일본어 글자를 탁음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본어 글자를 입력한 이후에 반탁점버튼을 터치해서 일본어 글자를 반탁음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か행버튼, さ행버튼, た행버튼, な행버튼, は행버튼, ま행버튼, ら행버튼들을 가까이 묶어서 키패드의 한쪽으로 배열하고 상기 あ단버튼, い단버튼, う단버튼, え단버튼, お단버튼들을 가까이 묶어서 키패드의 반대쪽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か행버튼, さ행버튼, た행버튼, な행버튼, は행버튼, ま행버튼, ら행버튼들을 가까이 묶어서 키패드의 한쪽으로 배열하고 상기 や버튼, ゆ버튼, よ버튼을 가까이 묶어서 키패드의 반대쪽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가 분리가 되어서, 분리된 키패드의 한쪽에는 か행버튼, さ행버튼, た행버튼, な행버튼, は행버튼, ま행버튼, ら행버튼들이 배열되어 있고, 분리된 키패드의 반대쪽에는 あ단버튼, い단버튼, う단버튼, え단버튼, お단버튼들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이 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스마트폰을 펼쳤을 때 키패드가 양면에 분리되어 나타나고, か행버튼, さ행버튼, た행버튼, な행버튼, は행버튼, ま행버튼, ら행버튼들은 분리된 키패드의 한쪽에 배열되고 あ단버튼, い단버튼, う단버튼, え단버튼, お단버튼들은 접는 스마트폰의 반대면에 분리된 키패드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가 분리가 되어서, 분리된 키패드의 한쪽에는 か행버튼, さ행버튼, た행버튼, な행버튼, は행버튼, ま행버튼, ら행버튼들이 배열되어 있고, 분리된 키패드의 반대쪽에는 や버튼, ゆ버튼, よ버튼들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이 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스마트폰을 펼쳤을 때 키패드가 양면에 분리되어 나타나고, か행버튼, さ행버튼, た행버튼, な행버튼, は행버튼, ま행버튼, ら행버튼들은 분리된 키패드의 한쪽에 배열되고 や버튼, ゆ버튼, よ버튼들은 접는 스마트폰의 반대면에 분리된 키패드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키패드.
KR1020180066497A 2018-06-10 2018-06-10 일본어 키패드 KR20190140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497A KR20190140135A (ko) 2018-06-10 2018-06-10 일본어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497A KR20190140135A (ko) 2018-06-10 2018-06-10 일본어 키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135A true KR20190140135A (ko) 2019-12-19

Family

ID=6905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497A KR20190140135A (ko) 2018-06-10 2018-06-10 일본어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01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3343B2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キー入力方法
JPH1139078A (ja) コンピュータ入力システム
KR101126734B1 (ko)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90140135A (ko) 일본어 키패드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30069391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1129689B1 (ko) 2개국 겸용 속기 키보드
CN101359258A (zh) 四节输入法及其键盘布局
CN101692186B (zh) 四节输入法键盘
JPS63278114A (ja) 相対母音法日本語入力方式
KR100371869B1 (ko)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JPH0721797B2 (ja) 中国語入力装置
JP4761234B2 (ja) 携帯入力端末の入力方式
KR20020035698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문자입력 키패드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100914884B1 (ko)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JP3130693B2 (ja) パソコン用日本語混合文入力装置
KR100398668B1 (ko) 한글자모 배열과 입력방법
JP2002229721A (ja) 日本語の音節表記に基づく簡易型文字入力装置
KR20040070140A (ko) 가로세로막대 한글입력키패드
KR101509571B1 (ko) 대기시간이 없는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JP2005078107A (ja) 電子機器に対する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00348B1 (ko) 휴대전화의 자판을 이용한 훈민정타 한글 입력 시스템
KR20130038427A (ko) 터치스크린 한글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