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646A -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646A
KR20060107646A KR1020050029866A KR20050029866A KR20060107646A KR 20060107646 A KR20060107646 A KR 20060107646A KR 1020050029866 A KR1020050029866 A KR 1020050029866A KR 20050029866 A KR20050029866 A KR 20050029866A KR 20060107646 A KR20060107646 A KR 20060107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pressed
basic
conso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근
Original Assignee
김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근 filed Critical 김상근
Priority to KR1020050029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7646A/ko
Publication of KR2006010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10Stands for golf clubs, e.g. for use on the course ; Golf club holders, racks or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50Supports, e.g. with devices for anchoring to the gr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x3격자형 이상의 입력수단과 방향키부를 함께 구비한 디지털 단말기 문자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문자입력 장치는 문자가 배정된 3x3격자형 자판부와 방향키부를 연동시켜 운용하는 것이며, 정규로 구비된 자판부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규칙과 방향키부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규칙이 동일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에 구비된 정규 자판부에서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본형과, 사용자가 자신의 타자 환경이나 취향에 따라 방향키부에서도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연동형 가운데 어느 하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형식 중에서 연동형을 선택해 문자를 입력할 경우는, 단말기에 정규로 구비된 자판부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된 방향키부 만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문자입력, 방향키부, 배치, 배열, 배정, 선행결합키.

Description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Hangeul Inputting System for digital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8방향키부가 연동 구성된 형식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8방향키부의 공통 입력규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4방향키부가 연동 구성된 형식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4방향키부의 입력규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4방향키부 독립형식에 한글자모를 배치/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3x3격자형 이상의 입력수단과 방향키부를 함께 구비한 디지털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자가 배정된 3x3격자형 정규 자판부와 방향키부를 연동시키되, 정규 자판부에서의 입력규칙과 방향키부에서의 입력규칙이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정규 자판부에서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본형과, 정규 자판부와 방향키부에서 동시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연동형을 제공하게 되는 문자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단말기 문자입력 수단은 대개 특수키 2개(*,#)를 포함한 3x4형식 12키형 자판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그와 같이 정규로 구비된 자판부를 통해서 문자를 입력해왔다. 얼마 전까지는 문자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았던, 또는 구비할 필요까지 없었던 기기들도 단말기 간의 복합·융합 추세가 보편화됨에 따라 그러한 기기들에도 문자정보처리 기능을 탑재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여전히 종래의 12키형 문자 입력방식 한 가지만을 모든 형태의 단말기에 똑같이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 출시되는 다종다양한 단말기들 가운데,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 MP3플레이어에도 문자입력 기능이 탑재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문자입력이 주기능이 아닌 경우에도 종래의 12키형 정규 자판부 입력방식을 그대로 적용해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요즘 출시되는 휴대폰들은 보면 기능키부가 외부로 노출돼 있는 폴더형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폴더형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려면 반드시 폴더를 열어 정규로 구비된 자판부를 통해서만이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종래의 문자입력방식에서는 방향키부를 단순히 방향키나 칸띄기 기능으로만 이용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 방향키부에서도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규 자판부에서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본형과, 사용자의 타자환경이나 취향에 따라 정규 자판부와 동일한 입력규칙을 적용하는 방향키부를 연동시킨 연동형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한층 높인 문자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판부 중앙키 선행 입력방식에 기반한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은, 정규로 구비된 자판부에 10개의 한글 기본자음군을 5조{ㄱㅁ, ㄴㄷ, ㄹㅂ, ㅅㅎ, ㅇㅈ}로 분리하여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의 좌측에 배정하고, 6개의 한글 기본모음군을 3조{ㅏㅗ, ㅣㅡ, ㅓㅜ}로 분리하여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의 우측에 배정하여, 상기 자음 5조와 모음 3조가 배정된 3x3격자형의 정중앙에 제9의 선행결합키가 더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정규 자판부의 3x3격자형을 8방향키부 또는 4방향키부에 그대로 전이시켜 양자가 연동되도록 하는데, 이 때 정규 자판부와 방향키부는 그 입력규칙이 공유된 상태에서 실행된다.
상기 정규 자판부 입력방식과 방향키부 입력방식은 하나로 연동시켜 두 입력부에서 동시에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고, 굳이 그러한 연동 형태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는 두 가지 방식 가운데 어느 하나만 선택 할 수도 있으며, 이 때 두 가지 방식을 왕복하도록 하는 변환키가 개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운데 '배치/배열'이라함은, 문자가 자판의 버튼 위에 인쇄되어 눈에 보이도록 된 상태를 말하고, '배정'이라함은 소형자판이라는 공간적인 제약 등으로 인하여 버튼에 인쇄되지 못한 문자를 그와 형태적 음성적 상관성이 긴밀한 기본자 위치에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앙키 선행 입력원리에 기반한 문자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후면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보인 문자입력시스템은 전화기 형태의 입력수단(10)과 폰트 및 문자테이블(32)을 포함하는 제어수단(31)을 구비하며, 디스플레이 수단(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화기 형태의 자판이라 함은, 숫자키 10개와 두 개(*, #)의 특수키를 정규로 구비하고 있는 형태를 의미하며, 반드시 전화기 자판 형태에만 국한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 자판 형태의 문자입력 장치는 일반적인 전화기류, 휴대용 통신단말기류, 정보처리 단말기류 및 각종 리모컨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와 같은 형태의 입력수단을 구비한 모든 문자입력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 보이는 한글 입력부(10)는 자판에 정규로 구비된 10개의 숫자버튼(1~9,0)과 특수 기능키(*,#)로 이루어진 3x4형식 자판으로써, 자판에 구비된 8개의 숫자버튼에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한글자모가 배열/배정돼 있고, 중앙 선행결합키는 숫자키 앞에서 다음에 눌리는 숫자키의 예비결합자 역할을 하게 된다.
표시부(20)는 LCD등과 같이 입력되는 문자 또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입력하고 있는 문자가 정확하게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자모를 입력할 때마다 해당 자모가 출력되며, 특히 입력되는 자모의 전후관계를 고려하여 독립된 형태의 자모, 또는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형태인지 구분하여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31)는 상기 한글입력부(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체크하여 폰트 및 문자테이블에서, 대응하는 한글자음 및 모음을 미리 정의된 조합규칙에 따라 한글음절로 구성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시스템의 입력부(10)인 전화기 자판형태의 각 숫자키에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이 배열된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8방향키부가 연동 구성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에 단순히 4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키부를 포함하는 형식은 기본형이 되고, 그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3x3격자형과 그와 동일한 문자배정 형식으로 구성된 입력부를 갖춘 8방향키부는 그 입력규칙을 기본형과 공유함으로써 양자는 형식과 내용면에서 완전한 연동형이 된다.
한글자음을 입력부(10)에 배정함에 있어, 도 2a에 보인 바와 같이 기본자음 10개는 5조{ㄱㅁ, ㄴㄷ, ㄹㅂ, ㅅㅎ, ㅇㅈ}로 분리하여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의 좌측에 배정하고, 기본모음 6개는 3조{ㅏㅗ, ㅣㅡ, ㅓㅜ}로 분리하여 문자배정부의 우측에 배정하며,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의 정중앙에는 제9의 선행결합키를 배치하되,
상단 좌측에 ㄱ-ㅁ, 상단 중앙에 ㄴ-ㄷ, 상단 우측에 ㅏ-ㅗ,
중단 좌측에 ㄹ-ㅂ, 중단 중앙에 *모양, 중단 우측에 ㅣ-ㅡ,
하단 좌측에 ㅅ-ㅎ, 하단 중앙에 ㅇ-ㅈ, 하단 우측에 ㅓ-ㅜ,
와 같은 순서로 구성된다.
그리고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연동되는 8방향키부에는 기본자음 5조{ㄱㅁ, ㄴㄷ, ㄹㅂ, ㅅㅎ, ㅇㅈ}와 기본모음 3조{ㅏㅗ, ㅣㅡ, ㅓㅜ}가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동일한 형식과 순서로 배정될 뿐만 아니라, 그 입력규칙도 양자가 공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부터 구현되는 문자입력시스템은 비록 동일키에 배치된 기본 자음이나 모음의 위치를 서로 바꾸는 정도의 변형은 가능할지 몰라도, 상기와 같은 문자 배열원칙을 준수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이 추구하는 문자 배열방법에 있어서의 실질적이고 유효한 특장점은 결코 변형되지 않을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8방향키부의 입력규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기본형과 연동형 양자의 입력규칙이 완전히 동일함을 보이고 있다.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자음 10개{ㄱㅁ, ㄴㄷ, ㄹㅂ, ㅅㅎ, ㅇㅈ} 가운데 제1 순위 배치자 5개{ㄱ,ㄴ,ㄹ,ㅅ,ㅇ}는 해당 자음이 배치된 키를 각각 1회 누름으로써 입력되고, 제2 순위 배치자 5개{ㅁ,ㄷ,ㅂ,ㅎ,ㅈ}는 중앙키가 1회 선행 입력된 뒤 제2 순위자가 배치된 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된다.
그리고, 센소리 자음 4개{ㅋ,ㅌ,ㅍ,ㅊ} 및 {ㅆ}은 중앙키가 2회 연속 선행 입력된 뒤 해당 기본자음이 배치된 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되고, 쌍자음 4개{ㄲ,ㄸ,ㅃ,ㅉ}는 중앙키가 3회 연속 선행 입력된 뒤 해당 기본자음이 배치된 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된다.
또한, 모음의 경우는 제1 순위 배치자 3개{ㅏ,ㅣ,ㅓ}는 해당 모음이 배치된 키가 각각 1회 눌려 입력되고, 제2 순위 배치자 3개{ㅗ,ㅡ,ㅜ}는 해당 모음이 배치된 키가 각각 2회 연속 눌려 입력되며, 기본 모음키 3개에 배정된 복모음 3개{ㅘ,ㅢ,ㅝ}는 해당 기본모음이 배치된 키가 각각 3회 연속 눌려 입력되고, 모음 {ㅑ,ㅕ}는 중앙키가 1회 선행 입력된 뒤 해당 기본자가 배치된 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되며, 모음 {ㅛ,ㅠ}는 중앙키가 2회 선행 입력된 뒤 해당 기본자가 배치된 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된다.
특히, 상기 모음 입력규칙에서는 중앙키와 모음 {ㅣㅡ}가 배치된 버튼이 차례로 눌릴 경우, 칸띄기(공백)가 되도록 구성돼 있어, 소형자판부에서 통상적으로 칸띄기 기능키로 이용하고 있는 우향 방향키를 대신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칸띄기를 할 때마다 방향키가 있는 상부 기능키부까지 손가락이 오르내리지 않아도 되므로 손가락이 움직이는 거리가 상당히 단축되는 효과가 있으며, 게다가 중앙 선행결합키와 모음{ㅣㅡ}가 배치된 키버튼이 좌우로 연접해 있어, 손가락이 좌에서 우로 움직이는 형태가 되어 우향 방향키가 지시하는 방향과 똑같은 동선을 그리게 된다.
다음은 한글 전체자모 40개 가운데 상기 설명에서 다룬 자음 19개, 모음 13개 외에 복모음 8개{ㅐ,ㅔ,ㅚ,ㅟ,ㅒ,ㅖ,ㅙ,ㅞ}의 조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복모음은 통상적으로 그 기본모음을 조합하여 생성하게 되는데 그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ㅐ = ㅏ + ㅣ
ㅔ = ㅓ + ㅣ
ㅚ = ㅗ + ㅣ
ㅟ = ㅜ + ㅣ
ㅒ = ㅑ + ㅣ
ㅖ = ㅕ + ㅣ
ㅙ = ㅘ + ㅣ
ㅞ = ㅝ + ㅣ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시스템의 입력부(10)인 전화기 자판형태의 각 숫자키에 한글자음 및 한글모음이 배열된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4방향키부가 연동 구성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의 좌측 도시된 바와 같이, 3x3격자형 입력부에 단순히 4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키부를 포함하는 형식은 기본형이 되고, 그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3x3격자형과 그와 동일한 문자배정 형식으로 구성된 입력부를 갖춘 4방향키부는 그 입력규칙의 개념을 기본형과 공유함으로써 양자는 형식면에서 연동형이 된다.
도 3a의 우측에 도시된 연동형의 4방향키부는 8방향키부와 비교해 4방향이 부족하다. 따라서, 그 부족한 4방향에는 문자가 배치되지 못하므로, 부족한 그 4방향에 8방향키부와 동일한 형식으로 문자가 배정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4방향키부는 8방향키부와 동일한 형식으로 문자가 배정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4방향키부의 입력규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기본형과 연동형 양자의 입력규칙이 그 원리면에서 동일함을 보이고 있다.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자음 10개{ㄱㅁ, ㄴㄷ, ㄹㅂ, ㅅㅎ, ㅇㅈ} 가운데 제1 순위 배치자 3개{ㄴ,ㄹ,ㅇ}는 해당 자음이 배치된 방향키를 각각 2회 연속 누름으로써 입력되고, 제2 순위 배치자 3개{ㄷ,ㅂ,ㅈ}는 기본형 자판부와 동일한 규칙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4방향키부에 배치된 기본자음 6개{ㄴㄷ, ㄹㅂ, ㅇㅈ}를 제외한 나머지 자음 가운데 상향키와 좌향키 사이에 배정된 {ㄱ,ㅁ}은 각각 상향키-좌향키, 중앙키-상향키-좌향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되고, 하향키와 좌향키 사이에 배정된 {ㅅ,ㅎ}은 각각 하향키-좌향키, 중앙키-하향키-좌향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된다.
또한, 센소리 자음{ㅋ,ㅌ,ㅍ,ㅊ} 및 쌍자음{ㄲ,ㄸ,ㅃ,ㅆ,ㅉ} 가운데 4방향키부에 그 기본자가 배치돼 있는 6개{(ㄷ)-ㅌ-ㄸ, (ㅂ)-ㅍ-ㅃ, (ㅈ)-ㅊ-ㅉ}는 기본형 자판부와 동일한 규칙으로 입력되고, 상기 6개를 제외한 나머지 3개{ㅋ,ㄲ,ㅆ} 가운데 {ㅋ}은 중앙키 2회-상향키-좌향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되고, {ㄲ}은 중앙키 3회-상향키-좌향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되며, {ㅆ}은 중앙키 2회-하향키-좌향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된다.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음의 경우는, 4방향키부에 배치된 모음 3개{ㅣ,ㅡ,ㅢ}는 기본형 자판부와 동일한 규칙으로 입력되고, 4방향키부의 상향키와 우향키 사이에 배정된 {ㅏ}는 상향키-우향키가, {ㅑ}는 중앙키-상향키-우향키가, {ㅗ}는 상향키-우향키-상향키-우향키가, {ㅛ}는 중앙키 2회-상향키-우향키가, {ㅘ}는 상향키-우향키-상향키-우향키-상향키-우향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된다.
그리고, 4방향키부의 하향키와 우향키 사이에 배정된 {ㅓ}는 하향키-우향키가, {ㅕ}는 중앙키-하향키-우향키가, {ㅜ}는 하향키-우향키-하향키-우향키가, {ㅠ}는 중앙키 2회-하향키-우향키가, {ㅝ}는 하향키-우향키-하향키-우향키-하향키-우향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되고, 나머지 복모음 8개{ㅐ,ㅔ,ㅚ,ㅟ,ㅒ,ㅖ,ㅙ,ㅞ}는 상기 모음끼리 조합되어 입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4방향키부 독립형식에 한글자모를 배치/배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인데, 이 것은 4방향키부 형식이 기본형과 관계없이 별개로 실행되는, 즉 연동체가 아닌 경우를 상정해본 것으로서, 문자의 배정형식과 입력규칙은 연동형 4방향키부에서와 완전히 동일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에 구비된 정규 자판부와 방향키부가 연동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은, 정규 자판부에서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본형과, 사용자의 타자환경이나 취향에 따라 방향키부에서도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연동형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한층 높였으며, 또한 이 두 가지 형식 가운데 연동형을 선택해 문자를 입력할 경우는 단말기에 정규로 구비된 자판부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된 방향키부만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Claims (6)

  1. 디지털 단말기에 통상적으로 구비된 3x4형식 자판부와, 4방향 또는 8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키부를 함께 포함하는 문자입력수단에 있어서,
    10개의 한글 기본자음군을 5조{ㄱㅁ, ㄴㄷ, ㄹㅂ, ㅅㅎ, ㅇㅈ}로 분리하여 3x3격자형의 좌측에 배정한 자음부와;
    6개의 한글 기본모음군을 3조{ㅏㅗ, ㅣㅡ, ㅓㅜ}로 분리하여 3x3격자형의 우측에 배정한 모음부와;
    상기 기본자음군 5조와 기본모음군 3조가 배정된 3x3격자형의 정중앙에 위치한 제9의 선행 결합키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고;
    여기에 상기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연동되는 4방향 또는 8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키부와;
    상기 방향키부의 정중앙에 위치한 제5 또는 제9의 선행 결합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기본자음 5조{ㄱㅁ, ㄴㄷ, ㄹㅂ, ㅅㅎ, ㅇㅈ}와 기본모음 3조{ㅏㅗ, ㅣㅡ, ㅓㅜ}가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에 배정됨에 있어,
    상단 좌측에 ㄱ-ㅁ, 상단 중앙에 ㄴ-ㄷ, 상단 우측에 ㅏ-ㅗ,
    중단 좌측에 ㄹ-ㅂ, 중단 중앙에 *모양, 중단 우측에 ㅣ-ㅡ,
    하단 좌측에 ㅅ-ㅎ, 하단 중앙에 ㅇ-ㅈ, 하단 우측에 ㅓ-ㅜ,와 같은 순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연동되는 4방향 또는 8방향키부에 상기 한글 기본자음 5조{ㄱㅁ, ㄴㄷ, ㄹㅂ, ㅅㅎ, ㅇㅈ}와 기본모음 3조{ㅏㅗ, ㅣㅡ, ㅓㅜ}가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동일한 형식과 순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연동되도록 구성된 2가지(4방향, 8방향) 방향키부 형식은, 기기에 구비된 문자입력수단의 조건에 따라 자판부와 방향키부가 각각 독립형태로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5. 상기 3x3격자형 문자배정부와 8방향키부가 연동된 상태에서,
    한글자음 5조{ㄱㅁ, ㄴㄷ, ㄹㅂ, ㅅㅎ, ㅇㅈ}와 모음 3조{ㅏㅗ, ㅣㅡ, ㅓㅜ} 가운데 제1 순위자 8개{ㄱ,ㄴ,ㄹ,ㅅ,ㅇ,ㅏ,ㅣ,ㅓ}는 해당키가 각각 1회 눌려 입력되고,;
    상기 10개의 자음군 가운데 제2 순위자 5개{ㅁ,ㄷ,ㅂ,ㅎ,ㅈ}는 중앙키가 1회 선행입력된 뒤 제2 순위자가 배치된 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되며;
    상기 6개의 모음군 가운데 제2 순위자 3개{ㅗ,ㅡ,ㅜ}는 해당 문자가 배치된 키가 각각 2회 연속 눌려 입력되고;
    기본 모음키 3개에 각각 배정된 복모음 3개{ㅘ,ㅢ,ㅝ}는 해당 기본모음이 배치된 키가 각각 3회 연속 눌려 입력되며;
    센소리 자음 4개{ㅋ,ㅌ,ㅍ,ㅊ} 및 {ㅆ}은 중앙키가 2회 연속 선행 입력된 뒤 해당 기본자음이 배치된 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되고;
    쌍자음 4개{ㄲ,ㄸ,ㅃ,ㅉ}는 중앙키가 3회 연속 선행 입력된 뒤 해당 기본자음이 배치된 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6. 상기 4방향키부에서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 방향키부에 인쇄 또는 배정된 자모는,
    한글자음 3조{ㄴㄷ, ㄹㅂ, ㅇㅈ} 가운데, 제1 순위자 3개{ㄴ,ㄹ,ㅇ}는 해당키가 각각 2회 연속 눌려 입력되고;
    자음군 3조 가운데 제2 순위자 3개{ㄷ,ㅂ,ㅈ}는 중앙키가 1회 선행입력된 뒤 제2 순위자가 배치된 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되며;
    모음군 가운데 제1 순위자 {ㅣ}는 해당키가 1회, 제2 순위자 {ㅡ}는 해당키가 2회, 동일 키에 배정된 복모음{ㅢ}는 해당키가 3회 연속 눌려 입력되고;
    센소리 자음 3개{ㅌ,ㅍ,ㅊ}는 중앙키가 2회 연속 선행 입력된 뒤 해당 기본자음이 배치된 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되며;
    쌍자음 3개{ㄸ,ㅃ,ㅉ}는 중앙키가 3회 연속 선행 입력된 뒤 해당 기본자음이 배치된 키가 차례로 눌려 입력되고;
    그리고 4방향키부에 인쇄되지 않은 자모는,
    상향키와 좌향키가 차례로 눌리면 ㄱ이, 중앙키-상향키-좌향키가 차례로 눌리면 ㅁ이, 중앙키 2회-상향키-좌향키가 차례로 눌리면 ㅋ이, 중앙키 3회-상향키-좌향키가 차례로 눌리면 ㄲ이 입력되고;
    하향키와 좌향키가 차례로 눌리면 ㅅ이, 중앙키-하향키-좌향키가 차례로 눌리면 ㅎ이, 중앙키 2회-하향키-좌향키가 차례로 눌리면 ㅆ이 입력되며;
    상향키와 우향키가 차례로 눌리면 ㅏ가, 중앙키-상향키-우향키가 차례로 눌리면 ㅑ가, 중앙키 2회-상향키-우향키가 차례로 눌리면 ㅛ가 입력되고;
    하향키와 우향키가 차례로 눌리면 ㅓ가, 중앙키-하향키-우향키가 차례로 눌리면 ㅕ가, 중앙키 2회-하향키-우향키가 차례로 눌리면 ㅠ가 입력되며;
    상향키와 우향키가 3회 연속 차례로 눌리면 ㅘ가, 하향키와 우향키가 3회 연속 차례로 눌리면 ㅝ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KR1020050029866A 2005-04-11 2005-04-11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KR20060107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866A KR20060107646A (ko) 2005-04-11 2005-04-11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866A KR20060107646A (ko) 2005-04-11 2005-04-11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646A true KR20060107646A (ko) 2006-10-16

Family

ID=3762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866A KR20060107646A (ko) 2005-04-11 2005-04-11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76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300B1 (ko) * 2011-01-16 2012-06-25 경무수 일본어 가나 입력을 위한 문자 배열 방법 및 입력 방법
KR101243853B1 (ko) * 2011-08-17 2013-03-28 최정원 한글 문자입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300B1 (ko) * 2011-01-16 2012-06-25 경무수 일본어 가나 입력을 위한 문자 배열 방법 및 입력 방법
KR101243853B1 (ko) * 2011-08-17 2013-03-28 최정원 한글 문자입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9909B2 (ja) 日本語入力システム
KR2002005858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0894382B1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KR10065182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KR20060107646A (ko)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KR1003486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65274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20130069517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100432267B1 (ko) 간편한 한글자판
KR100637745B1 (ko) 한글 키패드
KR20050042115A (ko) 필기 획순 원리에 따른 한글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892856B1 (ko) 한글입력단말기
KR200289579Y1 (ko) 휴대폰 키패드의 숫자키 여백을 활용한 추가 보조 키버튼설치 및 문자 배열 시스템
KR20100007041A (ko) 원터치 한글입력시스템
KR100800606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KR1005568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80064258A (ko) 디지털단말기 한글 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4922990B2 (ja) キー入力装置
KR20060108065A (ko) 디지털 단말기 알파벳 입력시스템
JP2006178755A (ja) 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装置
KR100451191B1 (ko) 휴대단말기용 키 패드의 한글 문자 배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