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345Y1 - 빠르고 간편한 한글입력자판 - Google Patents

빠르고 간편한 한글입력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345Y1
KR200303345Y1 KR20-2002-0030807U KR20020030807U KR200303345Y1 KR 200303345 Y1 KR200303345 Y1 KR 200303345Y1 KR 20020030807 U KR20020030807 U KR 20020030807U KR 200303345 Y1 KR200303345 Y1 KR 200303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once
keyboard
input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수
Original Assignee
한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수 filed Critical 한민수
Priority to KR20-2002-0030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3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3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휴대기기와 정보기기 등의 한글입력자판에 관한 것으로 국내 사용자들의 한글입력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보다 편리한 한글문자입력자판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바, 본 발명으로 12개의 자판을 이용 한글의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으며 자음과 모음을 분리하여 모음의 조합을 쉽게 표현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편한 한글입력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빠르고 간편한 한글입력자판{Easy Hangul Keyboard}
개인용 휴대기기 및 정보기기 등의 문자입력은 그 동안 영문으로 입력하고 표현했으나 국내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한글입력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편리한 한글입력장치의 요구가 증대되는바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쉬운 자판 익힘과 빠른 입력을 위한 한글입력자판에 관한 것이다.종래 기술을 보면 한 자판 위에 많은 문자들을 배정해 놓았고 한글을 입력하기엔 한글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한 채 빠르고 쉽게 입력하기엔 다소 무리인 구조였다.
기존의 기술은 복잡한 자판 구성과 그 조합방법으로 간편하고 빠른 입력의 걸림돌이 되었기에 본 발명은 자판의 자음과 모음의 확실한 분리 및 독창적인 모음의 배치를 통해 빠르고 편한 입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숫자자판에 자음과 모음을 배치한 도면
위와 같은 이유로 고안된 본 발명은 핸드폰과 같은 개인휴대기기나 정보기기 등에 한글을 입력할 때 필요한 여러 가지 요소 중, 숫자판에 모음의 독창적이고 익히기 쉬운 배치방법과 그 조합방법에 관한 사항으로 한글입력이 빠르고 간편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상세한 설명은 도 1을 참고로 하며 다음과 같다.
숫자판 1 ~ 7 에는 자음을 배치하고 8, *, 0, #에는 'ㅗ'형으로 모음을 배치하고, 9에는 '.', ',', '?', '!'과 같은 기호를 배치하며 자판의 배치는 변형할 수 있고, 모음을 'ㅗ'모양이나 'ㅜ'모양으로 배치할 수 있다.
1 ㄱㄴ 2 ㄷㄹ 3 ㅁㅂ
4 ㅅㅇ 5 ㅈㅊ 6 ㅋㅌ
7 ㅍㅎ 8 9 .
* 0 #
한글입력방법은 각 숫자판을 누르면 해당되는 자음이 입력되며, 2회 누르면 ㄴ, ㄹ, ㅂ, ㅇ, ㅊ, ㅌ, ㅎ 과 같이 동일한 숫자판에 있는 두 번째 자음이 선택되고, 첫 번째 자음과 두 번째 자음은 횟수에 따라 교대로 바뀌면서 선택되며 자음자판을 길게 누르고 있으면 'ㄲ', 'ㄸ', 'ㅃ', 'ㅆ', 'ㅉ' 과 같은 된소리 표기 자음이 입력된다. 모음을 입력하고자 할 때, 4개의 'ㅗ', 'ㅓ', 'ㅜ', 'ㅏ' 자판을 이용하여 표현되는 문자는 표 1과 같다.
8 : ㅗ * : ㅓ 0 : ㅜ # : ㅏ
입력식 표현 입력식 표현 입력식 표현 입력식 표현
_ _ _ _
. . . .
.. ._ .. ._
.. ..
.._ .._
'_'은 숫자판의 길게 누름을 '.'은 숫자판의 짧게 누름을 뜻함.
입력의 예로 '예의지국'을 입력하려고 할 때 필요한 숫자판의 입력식은 다음과 같다. ('-'는 입력의 길게 누름을 뜻함)예 : 44 ***- ('4'자판 짧게 두번, '*'자판 짧게 두번, '*'자판 길게 한번 누름)의 : 44 0-#- ('4'자판 짧게 두번, '0'자판 길게 한번, '#'자판 길게 한번 누름)지 : 5 #- ('5'자판 짧게 한번, '#'자판 길게 한번 누름)국 : 1 0 1 ('1'자판 짧게 한번, '0'자판 짧게 한번, '1'자판 짧게 한번 누름)모음의 조합 중 한글에서 'ㅗㅜ', 'ㅗㅓ' 'ㅓㅏ' 'ㅜㅏ'의 조합은 없으므로 이런 각각의 조합에 미리 상용구를 저장해놓고, 그 조합을 입력할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상용구가 바뀌어 입력되어 입력에 속도를 놓일 수 있으며,
조합에 필요한 자음을 미리 저장해 놓고 모음만 입력했을 경우 미리 저장했던 자음이 자동으로 조합되어 완성된 문자로 바뀌어져 입력되어 보다 간편한 입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ㅇ'을 미리 저장해두면 'ㅢ'를 입력했을 경우 '의'라는 완전한 문자로 바뀌어져 입력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으로 모음자판의 독창적인 배치를 이용 간편하게 한글을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알기 쉽게 4개로만 이루어진 모음자판을 통해 길거나 짧은 누름시간으로 하나의 자판을 통해 모음을 조합할 수 있는 점은 모음조합의 속도향상을 주어 전체적인 입력속도와 편리함도 커지게 된다.

Claims (5)

  1. 한글 입력을 위한 12개의 자판중 4개의 자판에만 모음을 'ㅗ'모양이나 'ㅜ'모양으로 배치하되, 'ㅗ'모양으로 배치 할 경우, 모음'ㅗ'를 기준으로 배치하고 'ㅜ'를 'ㅗ'의 밑에 'ㅓ'를 'ㅜ'의 왼쪽에, 'ㅏ'를 'ㅜ'의 오른쪽에 배치하고, 'ㅜ'모양으로 배치 할 경우, 모음'ㅗ'를 기준으로 배치하고 'ㅜ'를 'ㅗ'밑에 'ㅓ'를 'ㅗ'의 왼쪽에, 'ㅏ'를 'ㅗ'의 오른쪽에 배치하며, 나머지 8개의 자판중 7개의 자판에 자음을 2개씩 묶어 배열하고 남은 1개의 자판에 특수기호가 배치된 한글 입력 자판
  2. 제 1항에 있어서, 4개의 모음자판으로 모음을 입력할 때, 자판 누름 시간의 길고 짧음과 자판의 짧은 누름의 횟수를 통해 모음을 조합하되 'ㅗ'자판을 길게 한번 누르면 'ㅡ'가, 짧게 한번 누루면 'ㅗ'가, 짧게 두번 누르면 'ㅛ'가 입력되고, 'ㅜ'자판을 길게 한번 누르면 'ㅡ'가, 짧게 한번 누루면 'ㅜ'가, 짧게 두번 누르면 'ㅠ'가 입력되고, 'ㅗ'자판을 길게 한번 누르면 'ㅡ'가, 짧게 한번 누루면 'ㅗ'가, 짧게 두번 누르면 'ㅛ'가 입력되고, 'ㅓ'자판을 길게 한번 누르면 'ㅣ'가, 짧게 한번 누루면 'ㅓ'가, 짧게 두번 누르면 'ㅕ'가, 짧게 한번 누르고 이어서 길게 한번 누르면 'ㅔ'가 짧게 두번 누르고 이어서 길게 한번 누르면 'ㅖ'가 한 입력되고, 'ㅏ'자판을 길게 한번 누르면 'ㅣ'가, 짧게 한번 누루면 'ㅏ'가, 짧게 두번 누르면 'ㅑ'가, 짧게 한번 누르고 이어서 길게 한번 누르면 'ㅒ'가 짧게 두번 누르고 이어서 길게 한번 누르면 'ㅖ'가 한 입력되는 한글 입력 자판
  3. 제 2항에 있어서, 한글에는 사용하지 않는 모음 조합인 'ㅗ'와 'ㅜ'의 조합 'ㅗㅜ', 'ㅗ'와 'ㅓ'의 조합 'ㅗㅓ', 'ㅜ'와 'ㅏ'조합 'ㅜㅏ', 'ㅓ'와 'ㅏ'의 조합 'ㅓㅏ'에 각각 상용구를 미리 저장하고 그 조합이 입력될 경우, 상응하는 상용구로 자동으로 바뀌어 입력되는 한글 입력 자판
  4. 제 2항에 있어서, 미리 기본적으로 들어갈 자음을 저장한 뒤, 자음없이 모음만을 입력했을 경우에도 그 모음조합이 저장된 자음과 자동으로 조합되어 완전한 문자로 바뀌어 입력되는 한글 입력 자판
  5. 삭제
KR20-2002-0030807U 2002-10-16 2002-10-16 빠르고 간편한 한글입력자판 KR200303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07U KR200303345Y1 (ko) 2002-10-16 2002-10-16 빠르고 간편한 한글입력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07U KR200303345Y1 (ko) 2002-10-16 2002-10-16 빠르고 간편한 한글입력자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345Y1 true KR200303345Y1 (ko) 2003-02-07

Family

ID=4933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807U KR200303345Y1 (ko) 2002-10-16 2002-10-16 빠르고 간편한 한글입력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34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795Y1 (ko) * 2000-02-22 2000-11-15 김용선 단축한글조합 장치
KR20010108593A (ko) * 2000-05-30 2001-12-08 김종한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KR20020008978A (ko) * 2000-07-21 2002-02-01 대표이사 서승모 문자입력을 위한 키패드 배열 구조
KR20020054059A (ko) * 2000-12-27 2002-07-06 홍경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795Y1 (ko) * 2000-02-22 2000-11-15 김용선 단축한글조합 장치
KR20010108593A (ko) * 2000-05-30 2001-12-08 김종한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KR20020008978A (ko) * 2000-07-21 2002-02-01 대표이사 서승모 문자입력을 위한 키패드 배열 구조
KR20020054059A (ko) * 2000-12-27 2002-07-06 홍경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3345Y1 (ko) 빠르고 간편한 한글입력자판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006833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36274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340789B1 (ko) 문자입력을 위한 키패드 배열 구조
KR20010106807A (ko) 전화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100432267B1 (ko) 간편한 한글자판
KR200276555Y1 (ko) 3접점 키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200289579Y1 (ko) 휴대폰 키패드의 숫자키 여백을 활용한 추가 보조 키버튼설치 및 문자 배열 시스템
JP3130693B2 (ja) パソコン用日本語混合文入力装置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JP2002140149A (ja) 携帯電話及び携帯端末機の文字入力キー配列及び文字入力方法
CN201332421Y (zh) 手机qwerty键盘改进结构
KR20010060266A (ko) 문자입력 패널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970031661A (ko) 전화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KR20190084865A (ko) 문장 예측입력시스템
KR2004002959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20030081862A (ko) 휴대폰 키패드의 숫자키 여백을 활용한 추가 보조 키버튼설치 및 문자 배열 방법
KR1005568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603531B1 (ko) 문자입력장치
KR20000060607A (ko) 한글 고유코드를 만들 수 있는 한글 입력용 전화기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