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531B1 -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531B1
KR100603531B1 KR1020040005438A KR20040005438A KR100603531B1 KR 100603531 B1 KR100603531 B1 KR 100603531B1 KR 1020040005438 A KR1020040005438 A KR 1020040005438A KR 20040005438 A KR20040005438 A KR 20040005438A KR 100603531 B1 KR100603531 B1 KR 100603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igned
key
numeric
keyboard
numeric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590A (ko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이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102004000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53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유/무선 전화기에 설치되는 문자입력자판키패드에 배정되는 문자의 배열과 입력방식을 표준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서로 다른 한글 자음과 모음이 하나씩 배정된 다수의 숫자 자판키를 포함하는 자판키가 4행과 3열로 배열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자판키 누름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한글자모가 액정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에 의한 동일한 숫자 자판키 누름횟수에 따라,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 또는 상기 자음에 대한 격음 또는 경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여 액정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자입력장치, 휴대폰, 액정표시부, 오토메타

Description

문자입력장치{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블록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자판키패드를 휴대폰에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키 자판 누름에 의한 문자 생성 기능에 관해 도시한다.
도 3 은 종래 휴대폰의 문자입력자판키패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유/무선 전화기에 설치되는 문자입력자판키패드에 배정되는 문자의 배열과 입력방식을 표준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유선 전화기는 물론 무선 전화기 특히 휴대폰은 개인이 상시적으로 휴대할 만큼 널리 보급되고 있다. 현재 무선 전화기는 PDA, 휴대폰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실시에 따라 인터넷 을 통해 게임/동영상 다운로드, 전자메일 송수신, 인터넷 검색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무선 전화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음성통화와 문자를 입력하고 전송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일예로 휴대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연령층인 학생들은 음성통화와 문자전송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특히 휴대폰에서의 문자 전송 요금이 음성 통화 요금보다 훨씬 저렴하여 학생들은 주로 휴대폰에 의한 음성통화보다 문자전송으로 의사소통을 한다.
이하, 종래 이동통신사에서 제조되는 휴대폰의 문자입력자판키패드를 설명한다. 도 3 은 종래 휴대폰의 문자입력자판키패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애니콜(Anycall)을, 도 3b는 싸이언(Cyon)을, 도 3c는 모토로라(Motorola)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0∼9까지 숫자가 배정된 자판키와 '*'자판키와 '#'자판키로 구성된 문자입력자판키는 4행 3열로 배열된다.
도 3a에 도시된 애니콜(Anycall)은 2행부터 4행까지의 1열부터 3열(4행 1,3열 제외)에 즉, 0, 4∼9까지 숫자 자판키에 모든 자음이 배정되되 각 숫자 자판키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자음이 배정되고, 1행 1열부터 3열에 천(ㆍ), 지(ㅡ), 인(ㅣ)이 배정되어 있다. 애니콜(Anycall) 사용자는 상기 1행 1열부터 3열에 배정된 천(ㆍ), 지(ㅡ), 인(ㅣ)을 이용하여 단모음과 복모음을 만들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싸이언(Cyon)은 1행부터 4행까지의 1열과 2열(4행 1열 제외)에 즉, 1,2,4,5,7,8,0 숫자 자판키에 소정의 서로 다른 자음이 하나씩만 배정되고, 1행부터 4행까지의 3열(4행 3열 제외)에 즉, 0,3,6,9 숫자 자판키에 역시 소정의 서로 다른 모음이 하나씩만 배정되어 있다. 여기서, '*'자판키는 획추가 시에 '#'자판키는 쌍자음을 입력할 시에 사용된다. 싸어언(Cyon) 사용자는 '*'자판키와 '#'자판키를 사용하여 숫자 자판키에 배정되지 않은 다른 자음과 모음을 만들어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모토로라(Motorola)는 1행부터 4행까지의 1열과 2열에 즉, 0,1,2,4,5,7,8 숫자 자판키와 '*'자판키에 소정의 서로 다른 자음이 배정되고, 1행부터 3행까지의 3열에 즉, 3,6,9 숫자 자판키에 소정의 서로 다른 복수의 모음이 배정되어 있다. 여기서, '*'자판키는 획추가 시에 '#'자판키는 쌍자음을 입력할 시에 사용된다. 이에 모토로라(Motorola) 사용자는 '*'자판키와 '#'자판키를 사용하여 숫자 자판키에 배정되지 않은 다른 자음과 모음을 만들어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종래 휴대폰에 채택된 문자입력키패드는 제조사마다 제각기 다양한 방식으로 자음과 모음을 배정 및 배열하고, 자음이나 모음의 입력방식도 단말기별로 상이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기존 문자입력키패드에 배정되는 문자의 배열 및 사용방식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는 휴대폰을 바꾸면 새로이 문자 입력방법을 익혀야 하므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휴대폰에 채택된 문자입력자판키패드는 자음+모음 또는 자음+모음+자음을 조합해서 한글을 쓰지 않고, 인위적인 방법 예컨대, 획추가 및 쌍자음 자판키를 사용하여 한글을 만들게 되어 있다. 예컨대, 도 3a에서 '사'를 입력하려 면, 'ㅅ' + 'ㅣ' + '·'에 해당하는 자판키를 눌러야 한다. 또한, 도 3b, 도3c에서 '싸'를 입력하려면, 'ㅅ' + '#' + 'ㅏ'에 해당하는 자판키를 눌러야 한다. 이는 정확한 한글 쓰기를 익혀야할 초/중/고생에게 대단히 비교육적이다. 특히 중년층에게는 글자를 인위적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이 엄청나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문자입력자판키패드에 배정되는 문자의 배열 및 문자입력방식을 표준화할 수 있는 문자입력자판키패드를 채택한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한글 쓰기 원리에 부합되는 문자입력자판키패드를 채택한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외관상 단순하고, 문자입력이 쉽고, 빠른 문자입력자판키패드를 채택한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일 양상에 따르면, 서로 다른 한글 자음과 모음이 하나씩 배정된 다수의 숫자 자판키를 포함하는 자판키가 4행과 3열로 배열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자판키 누름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한글자모가 액정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에 의한 동일한 숫자 자판키 누름횟수에 따라,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 또는 상기 자음에 대한 격음 또는 경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여 액정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자판키패는 외관상 단순하면서도, 시각적으로 한글 자판키를 쉽고 편안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어 문자입력자판키패드에 배정되는 문자의 배열을 표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입력장치는 키 입력부(4)와 제어부 (5)와 액정표시부(6)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4)는 행(R0∼R3)과 열(C0∼C2)의 키 배열로 구성되어지며 사용자에 의한 키 누름신호에 따라 해당 키 벡터를 출력한다. 제어부(5)는 상기 키 입력부(4)로부터 키 벡터를 입력받아 자음과 모음의 신호로 분리하는 자모분리기와, 해당 자모 코드벡터를 출력하는 자모음처리수단과, 상기 자모 코드벡터와 키 버퍼에 기 저장된 표준 코드벡터를 비교하여 해당 음소코드를 발생하는 문자코드발생수단과, 상기 음소코드를 조합하여 음절의 한글코드를 발생하는 오토메타와, 상기 한글코드에 대응한 폰트 데이터를 액정표시부(6)로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의 구현기술은 이미 선출원되어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 구성과 작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숫자 자판키 누름횟수에 따라 복수의 자음과 모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액정표시부(6)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는 영문자와 특수기호에 해당하는 폰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 영문자와 특수기호에 해당하는 키 벡터가 입력되면 상기 영문자와 특수기호에 해당하는 폰트 데이터를 액정표시부 (6)로 출력한다. 액정표시부(6)는 문자나 그래픽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액정 표시 장치가 채택될 수 있다. 통상 액정표시장치는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액정패널과, 백라이트(backlight)가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백라이트 조명이 안내되어 확산되는 도광판(light guide)과, 백라이트를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문자입력장치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는 도 1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자판키패드를 휴대폰에 표시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문자입력자판키패드를 휴대폰에 적용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 전화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자판키패드는 모든 자음과 영문알파벳, 특수기호를 모두 표시할 수 없는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단순하게 표시한 자판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자판키패드는 0∼9까지의 숫자가 배정된 숫자 자판키와 별표(*)와 우물정(#)이 배정된 특수문자 자판키를 포함하는 자판키가 4행 3열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다수의 숫자키에는 서로 다른 한글 자음과 모음이 각각 하나씩 배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1' 숫자키에는 자음'ㄱ'과 모음'ㅏ'가, '2' 숫자키에는 자음'ㄴ'과 모음'ㅑ'가, '3' 숫자키에는 자음'ㄷ'과 모음'ㅓ'가, '4' 숫자키에는 자음'ㄹ'과 모음'ㅕ'가, '5' 숫자키에는 자음' ㅁ'과 모음'ㅗ'가, '6' 숫자키에는 자음'ㅂ'과 모음'ㅛ'가, '7' 숫자키에는 자음'ㅅ'과 모음'ㅜ'가, '8' 숫자키에는 자음'ㅇ'과 모음'ㅠ'가, '9' 숫자키에는 자음'ㅈ'과 모음'ㅡ'가, '0' 숫자키에는 자음'ㅎ'과 모음'ㅣ'가 배정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1∼9까지의 숫자키에는 자판키 순서에 대응하여 한글 자음이 순서대로 배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1' 숫자키에는 자음'ㄱ'이, '2' 숫자키에는 자음'ㄴ'이, '3' 숫자키에는 자음'ㄷ'이, '4' 숫자키에는 자음'ㄹ'이, '5' 숫자키에는 자음'ㅁ' 등과 같이 순서대로 배정된다.
또한, 0∼9까지의 숫자키에는 자판키 순서에 대응하여 한글 모음이 순서대로 배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1' 숫자키에는 모음'ㅏ'가, '2' 숫자키에는 모음'ㅑ'가, '3' 숫자키에는 모음'ㅓ'가, '4' 숫자키에는 모음'ㅕ'가, '5' 숫자키에는 모음'ㅗ' 등과 같이 순서대로 배정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자판키패드는 외관상 단순하면서도, 시각적으로 한글 자판키를 쉽고 편안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어 문자입력자판키패드에 배정되는 문자의 배열을 표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2∼9까지의 숫자키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영문자가 배정될 수 있다. 또한, 1과 0의 숫자키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특수문자가 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1' 숫자키에는 '&','-','@'와 같은 특수문자가, '0' 숫자키에는 '?', '!'와 같이 서로 다른 복수의 특수문자가 배정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사용자는 문자입력자판키패드를 통해 인터넷 주소를 입력할 때 혹은 문자입력 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메뉴버튼을 사용하여 골뱅이(@)나 물음표(?)나 느낌표(!)와 같은 특수문자를 선택할 필요가 없어 문자입력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 키 자판 누름에 의한 문자 생성 기능에 관해 도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제어부(도 1의 5)는 사용자에 의한 동일한 숫자 자판키 누름횟수에 따라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 또는 상기 자음에 대한 격음(激音) 또는 경음(硬音) 또는 모음을 선택하여 액정표시부(도 1의 6)에 표시되도록 구현된다. 여기서, 격음(激音)은 대기음(帶氣音), 유기음(有氣音) 또는 거센소리라고도 하며, 국어에는 모두 네 개의 격음 ' ㅍ ·ㅌ ·ㅊ ·ㅋ '이 있다. 경음(硬音)은 된소리 또는 농음(濃音)이라고도 하며, 국어에는 ' ㄲ·ㄸ·ㅃ·ㅆ·ㅉ '이 이에 속한다.
전술한 도 2a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자판키패에는 모든 한글 자모가 배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자판키 누름횟수에 따라 새로운 자음을 액정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손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한글쓰기에서 종성에 해당하는 ㄳ, ㅄ, ㄼ 등과 같은 자음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해당 자음이 배정된 서로 다른 자판키 예컨대, 'ㄳ'의 경우 'ㄱ' + 'ㅅ' 에 해당하는 자판키를 누르면 된다.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키입력부는 별표(*)가 배정된 특수문자 자판키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제1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상기 별표(*)가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가 차례로 입력되면, 상기 제1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글자를 액정표시부에 표시한다. 예컨대, 도 2b 실시예에서 문자입력장치는 사용자가 '1'이 배정된 숫자 자판키와 별표(*)가 배정된 특수문자 자판키, 즉 '1'+'*' 를 차례로 누르면 액정표시부에 '가'라는 글자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가 키입력부로부터 제1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2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가 차례로 입력되면, 상기 제1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과 제2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이 조합된 글자를 액정표시부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는 첫자가 자음이면 다음 자는 모음을 조합하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도 2b 실시예에서 문자입력장치는 사용자가 '1'이 배정된 숫자 자판키와 '2'가 배정된 숫자 자판키, 즉 '1'+'2'를 차례로 누르면 액정표시부에 '갸'라는 글자가 표시된다. 마찬가기로 '2'+'*'을 누르면 '냐'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키입력부가 우물정(#)이 배정된 특수문자 자판키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제1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별표(*)가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 또는 제2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우물정(#)이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3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가 차례로 입력되면, 제1 숫자 자판키 또는 제2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과 상기 제3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이 합성된 모음을 포함하는 글자를 액정표시부에 표시한다.
예컨대, 도 2b 실시예에서 문자입력장치는 사용자가 '0'이 배정된 숫자 자판키와 '1'가 배정된 숫자 자판키와 '0'이 배정된 숫자 자판키, 즉 '0'+'1'+'0' 을 차례로 누르면 액정표시부에 '하ㅎ'라는 글자가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해'라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0'+'1'+'#'+'0'을 차례로 눌러야 한다. 부연하면, 한글쓰기에서 중성에 해당하는 ㅐ,ㅔ,ㅒ,ㅖ 등과 같은 겹모음은 모음과 모음 사이에 우물정(#)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가 키입력부로부터 제1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별표(*)가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 또는 제2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3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우물정(#)이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4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가 차례로 입력되면, 제1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과 제1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 또는 제2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이 조합된 글자와, 제3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과 제4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이 조합된 글자를 액정표시부에 표시한다.
예컨대, 도 2b 실시예에서 문자입력장치는 사용자가 '1'+'5'+'9'+'9'+'7'를 차례로 누르면, '
Figure 112004003453968-pat00001
ㅅ'라는 글자가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고추'라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1'+'5'+'9'+'9'+'#'+'7'를 차례로 눌러야 한다. 부연하면, 도 2b 실시예에서 문자입력장치는 사용자가 '9'+'9'+'7'를 차례로 누르면, '추'라는 글자가 만들진다. 그러나 '고'와 '추'를 함께 이어쓰기를 하는 경우와 같이, 첫글자가 받침으로 끝나지 않으면 다음 글자의 첫모음을 선택할 경우에 반드시 우물정(#)이 배정된 자판키를 누르고, 해당 모음이 배정된 숫자 자판키를 눌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추'의 '추'를 만들기 위해서는 '9'+'9'+'7'이 아니라 '9'+'9'+'#'+'7'를 차례로 눌러야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도 2b 실시예에서 문자입력장치는 사용자가 '곱추'와 같이, 첫글자가 받침으로 끝나면 다음 글자의 첫모음을 선택할 경우에 우물정(#)이 배정된 자판키를 누르지 않아도 된다. 즉, 사용자는 '곱추'를 만들기 위해 '1'+'5'+'6'+'9'+'9'+'#'+'7'이 아니라 '1'+'5'+'6'+'9'+'9'+'7'를 차례로 누르면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가 키입력부로부터 제1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별표(*)가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 또는 제2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3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소정 시간 경과 후 제3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별표(*)가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 또는 제4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가 차례로 입력되면, 제1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과 제1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 또는 제2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과 제3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이 조합된 글자와, 제3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과 제3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 또는 제4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이 조합된 글자를 액정표시부에 표시한다.
예컨대, 도 2b 실시예에서 문자입력장치는 사용자가 '1'+'*'+'1'+'1'+'5'를 차례로 누르면, '
Figure 112004003453968-pat00002
ㅁ'이라는 글자가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각고'라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 '1'+'*'+'1'를 차례로 누르고, 소정 시간 경과 후 '1'+'5'를 차례로 눌러야 한다. 부연하면, 도 2b 실시예에서 문자입력장치는 사용자가 '각'과 '고'를 함께 이어쓰기를 하는 경우와 같이, 첫글자가 받침으로 끝나고 첫글자의 끝자음이 다음 글자의 첫자음과 같거나, 같은 자판에 있는 자음을 선택할 경우 반드시 첫글자와 다음글자 입력 시 소정 시간 간격을 두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 시간은 사용자가 자판을 누르는데 걸리는 시간으로서, 일실시예에 있어서, 2∼3초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소정 시간은 프로그램적으로 사용자가 자판을 누르는 시간을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와 종래 문자입력장치에서의 글자 입력방식에 따른 실시예를 도 2b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정리하면 아래 표1과 같다.
글자 본원발명 애니콜 싸이언
'0'+'5'+'#'+'1'+'4' '8'+'8'+'2'+'3'+'1'+'2'+'5'+'5' '8'+'*'+'6'+'3'+'4'
과 거 '1'+'5'+'#'+'1' '4'+'2'+'3+'1'+'2' '1'+'6'+'3'
'1'+'#'+'3' '4'+'2'+'1' '1'+'3'+'3'
꽹 과 리 '1'+'1'+'1'+'5'+'#'+'1'+'#'+'0'+'8' '4'+'4'+'4'+'2'+'3'+ '1'+'2'+'1'+'0' '1'+'#'+'6'+'3'+'1'+'8'
'1'+'5'+'#'+'1' '4'+'2'+'3'+'1'+'2' '1'+'6'+'3'
'4'+'#'+'0' '5'+'5'+'1' '4'+'9'
잘 지 내 니 '9'+'1'+'4' '9'+'1'+'2'+'5'+'5' '7'+'*'+'3'+'4'
'9'+'0' '9'+'1' '7'+'*'+'9'
'2'+'#'+'1'+'#'+'0' '5'+'1'+'2'+'1' '2'+'3'+'9'
'2'+'#'+'0' '5'+'1' '2'+'9'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와 종래 문자입력장치에서의 글자 입력방식에 따른 자판 누름횟수와 자판변환횟수를 도 2b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정리하면 아래 표2와 같다.
표본예문 누름횟수 자판변환횟수
본원발명 20 18
애니콜 47 26
싸이언 29 22
모토로라 25 19
여기서, 표본예문은 '어딨어?빨리와.'이다. 자판변환횟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해당 자판키로 이동하는 횟수를 의미한다. 또한, 자판 누름횟수는 해당 한글자모를 입력하기 위해 자판키을 누르는 횟수를 의미한다. 표 1에서 보듯이, 본원 발명은 종래기술보다 자판 누름횟수와 자판변환횟수가 적다.
이에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사용할 경우 문자입력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채택된 문자입력자판키패는 숫자 자판키에 기본적인 자음과 모음을 배정하여 외관상 단순하면서도, 시각적으로 누구나 한글 자판키를 쉽고 편안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어 문자입력자판키패드에 배정되는 문자의 배열을 표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는 숫자 자판키에 기본적인 자음과 모음을 배정하고, 자판키 누름횟수에 따라 다른 자음과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문자메세지 입력시 글자만들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음+모음 또는 자음+모음+자음을 조합해서 한글 쓰기를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는 휴대폰에서 문자메세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용자가 주로 학생들인 점을 감안할 때 올바른 한글쓰기를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장년층의 휴대폰 사용자도 문자입력키패드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문자입력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특수문자가 배정된 숫자 자판키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자판 키를 사용할 필요없이 문자메세지 입력시 의사표시를 강조하거나 감정을 이입할 수 있어 사용자는 원하는 문장의 한글을 보다 신속하게 입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종래기술보다 자판 누름횟수와 자판변환횟수가 적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사용할 경우 문자입력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서로 다른 한글 자음 하나와 한글 모음 하나가 배정된 숫자 자판키들과 제1 특수문자가 배정된 특수문자 자판키를 포함하는 자판키가 4행과 3열로 배열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자판키 누름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한글자모가 액정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에 의한 동일한 숫자 자판키 누름횟수에 따라,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 또는 상기 자음에 대한 격음 또는 경음 또는 모음을 선택하여 액정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제1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상기 제1 특수문자가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가 차례로 입력되면, 상기 제1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글자를 액정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제1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2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가 차례로 입력되면, 상기 제1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과 제2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이 조합된 글자를 액정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가:
    상기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숫자의 순서에 대응하여 한글 자음이 순서대로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가:
    상기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숫자의 순서에 대응하여 한글 모음이 순서대로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가:
    '1'이 배정된 숫자키에 'ㄱ, ㅏ'가 배정되고,
    '2'가 배정된 숫자키에 'ㄴ, ㅑ'가 배정되고,
    '3'이 배정된 숫자키에 'ㄷ, ㅓ'가 배정되고,
    '4'가 배정된 숫자키에 'ㄹ, ㅕ'가 배정되고,
    '5'가 배정된 숫자키에 'ㅁ, ㅗ'가 배정되고,
    '6'이 배정된 숫자키에 'ㅂ, ㅛ'가 배정되고,
    '7'이 배정된 숫자키에 'ㅅ, ㅜ'가 배정되고,
    '8'이 배정된 숫자키에 'ㅇ, ㅠ'가 배정되고,
    '9'가 배정된 숫자키에 'ㅈ, ㅡ'가 배정되고,
    '0'이 배정된 숫자키에 'ㅎ, ㅣ'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가 상기 숫자 자판키에 서로 다른 복수의 특수문자가 배정된 자판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에 의한 동일한 숫자 자판키 누름횟수에 따라 자판키에 배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특수문자를 선택하여 액정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가 상기 숫자 자판키에 서로 다른 복수의 영문자가 배정된 자판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에 의한 동일한 숫자 자판키 누름횟수에 따라 자판키에 배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영문자를 선택하여 액정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의 자판키가 제2 특수문자가 배정된 특수문자 자판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제1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1 특수문자가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 또는 제2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2 특수문자가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3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가 차례로 입력되면,
    제1 숫자 자판키 또는 제2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과 상기 제3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이 합성된 모음을 포함하는 글자가 액정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제1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1 특수문자가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 또는 제2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3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2 특수문자가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4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가 차례로 입력되면,
    제1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과 제1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 또는 제2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이 조합된 글자와, 제3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과 제4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이 조합된 글자를 액정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제1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1 특수문자가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 또는 제2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3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소정 시간 경과 후 제3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와 제1 특수문자가 배정된 자판키 누름신호 또는 제4 숫자 자판키 누름신호가 차례로 입력되면,
    제1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과 제1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 또는 제2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과 제3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이 조합된 글자와, 제3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자음과 제3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 또는 제4 숫자 자판키에 배정된 모음이 조합된 글자를 액정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20040005438A 2004-01-28 2004-01-28 문자입력장치 KR100603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438A KR100603531B1 (ko) 2004-01-28 2004-01-28 문자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438A KR100603531B1 (ko) 2004-01-28 2004-01-28 문자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590A KR20050077590A (ko) 2005-08-03
KR100603531B1 true KR100603531B1 (ko) 2006-07-25

Family

ID=3726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438A KR100603531B1 (ko) 2004-01-28 2004-01-28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5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607A (ko) * 2001-03-26 2002-10-05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607A (ko) * 2001-03-26 2002-10-05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0418820000
10200200756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590A (ko)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549B1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20000007129A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KR1005571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603531B1 (ko) 문자입력장치
KR20000044417A (ko) 영문자 간편 입력방법
JP2003087389A (ja) 移動電話装置
KR100860837B1 (ko) 디스플레이 변환형 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이동통신단말기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JP2000276288A (ja) 携帯端末
KR100265582B1 (ko)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635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코드 발생 장치
KR100905575B1 (ko)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2차원 문자 입력 방법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KR2004002959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00060607A (ko) 한글 고유코드를 만들 수 있는 한글 입력용 전화기자판
KR20020004465A (ko) 전화기의 키패드와 문자입력방법
KR100650567B1 (ko)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 및 입력방법
KR101188133B1 (ko) 휴대단말의 문자입력 키패드
KR100198271B1 (ko) 전화기 버튼을 이용한 한글문자의 구현방법
KR20040069231A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