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129A -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 Google Patents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129A
KR20000007129A KR1019990053659A KR19990053659A KR20000007129A KR 20000007129 A KR20000007129 A KR 20000007129A KR 1019990053659 A KR1019990053659 A KR 1019990053659A KR 19990053659 A KR19990053659 A KR 19990053659A KR 20000007129 A KR20000007129 A KR 20000007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input
consonants
consonant
inpu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은숙
Original Assignee
호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은숙 filed Critical 호은숙
Priority to KR101999005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129A/ko
Publication of KR2000000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12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과 그 자판배열에 관한 것으로, 한정된 키패드를 가진 정보통신기기에서 한글의 창제원리에 기초하는 한글의 자소구조를 바탕으로 최소한의 키 입력 조합으로 쉽고 편리하게 모든 한글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특별한 교육이나 자판 배열에 대한 암기 없이도 쉽게 입력할 수 있고 자판을 보지 않거나 이동 중에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보통신기기의 문자 입력을 편하게 하고 그 장치를 간단하게 만들게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Input Method of the Korean Alphabet fo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Keyboard Layout thereof}
본 발명은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과 그 자판배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정된 키패드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기(예를 들면, 개인휴대통신 단말기(PDA), 셀룰라폰, 호출기, HPC(hand-held PC)나 가정용 전화기, 무선 전화기, 공중전화기 등)에서 한글의 창제원리(創製原理)에 기초하는 한글의 자소구조(字素構造)를 바탕으로 최소한의 키 입력 조합으로 쉽고 편리하게 모든 한글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배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정보단말기(PDA), 휴대전화, 전자수첩, 호출기, 소형노트북 컴퓨터(HPC:hand-held PC) 등 휴대용 정보통신기기들이 일반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글입력 방법은, 1) 키보드를 축소한 형태로 쓰거나, 2) 선택키를 이용하는 방법, 3) 문자 인식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1)의 방법은 키보드를 휴대용 기기에 적용하다 보니 개개의 키의 크기가 작아져 불편하거나 키의 크기가 불편하지 않을 만큼 크게 하다보면 자판이 전체 기기의 크기를 결정할 만큼 커지게 되어 휴대성에 문제가 발생하고, 2)의 방법은 한글을 입력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실용성 면에서 문제가 있으며, 3)의 방법은 기술적으로 많은 진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문자인식률이 95% 이하인 상황이며, 조금이라도 이동 중에는 입력이 불가하므로 정확한 문자 입력에는 적절치 않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정보통신기기, 예컨대 휴대폰의 경우에는 문자 입력의 정확성과 기기 소형화 추세를 감안하여, 상기 방법 중 2)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었던 바, 이러한 종래의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으로는 각 다이얼 버튼마다 복수 개의 자음을 할당하여 누르는 횟수에 따라 자음을 선택하는 방법, 각 다이얼 버튼에 한글 자음 하나씩을 지정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문자들의 초성만을 지정하는 방법이나, 각 다이얼 버튼에 자음 순서별로 초성 자음을 지정하고 키입력수단에 의해 한글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을 선택한 후 그 자음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를 표시하고서 선택하는 방법 등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한글 입력방법에 관해서는, 공고특허공보 91-375호 (1987.10.10. 출원), 공고특허공보 92-5581호(1989.8.11. 출원), 등록특허공보 특0154150호(1994.12.15.출원), 공개특허공보 특1998-44150호(1996.12.6. 출원),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36122호(1996.12.11 출원),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46224호(1996.12.24. 출원),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58105호(1997.2.19. 출원),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14261호(1998.2.18. 출원), 공개특허공보 특1999-23097호(1998.3.23. 출원),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59494호(1998.7.7. 출원), 공개특허공보 특1999-37740호(1999.1.11. 출원) 등 다수개의 발명이 출원되었거나 특허받은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한글 입력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키에 복수의 자음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자음의 선택을 위하여 해당 키를 여러 번 눌러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각각의 키에 할당되어 있는 자음의 암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눈으로 보면서 입력하여야 하므로 한글의 입력에 상당한 불편과 시간적 손실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한정된 키패드를 가진 정보통신기기에서 한글의 창제원리에 기초하는 한글의 자소구조를 바탕으로 최소한의 키 입력 조합으로 쉽고 편리하게 모든 한글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정보통신기기기의 한글 입력방법과 그 자판배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0개의 획소(모음부 3개 획소 포함)를 전화기 등 단말기기의 숫자 자판에 배열한 도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한글 자음을 'ㄱ, ㄴ, ㅁ, ㅅ, ㅇ'의 기본 자음 획소와 '-, ='의 보조 획소로 구성하여, 기본 자음 'ㄱ, ㄴ, ㅁ, ㅅ, ㅇ'은 각각 할당된 기본 자음 획소를 단독으로 입력하는 단계와, 그 가획자나 파생음인 'ㅋ, ㄹ, ㄷ, ㅌ, ㅂ, ㅍ, ㅈ, ㅊ, ㅎ'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획소인 '-, ='를 선 입력하고 각각의 기본 자음 획소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글 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자판 배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는 바, 본 발명은 한글 자음을 기본 자음 획소와 보조 획소의 조합에 의해 입력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우선 훈민정음 창제시의 제자원리에 대하여 살펴 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이를 살펴 보면, 한글은 발음되는 상태에서의 입안의 모양에서 기초하는 기본 자음 ㄱ, ㄴ, ㅁ, ㅅ, ㅇ의 다섯 음을 바탕으로 하여, 각각의 기본글자가 파생음을 갖도록 하는 제자원리를 기초로 하여 창제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한글 창제원리에 입각하여 한글 자음 입력시의 자음을 기본 자음 획소와, 이와 보조 획소의 조합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10개의 획소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상기 표 2에서 기본 자음 획소 외의 보조 획소는 기본 자음 획소 앞에 붙여져서 가획자를 만든다. 여기에서 보조 획소는 각각 '-'는 기본 자음 획소에 수평 획을 가획하거나 반복하는 것을 의미하는 획소이며, '='는 기본 자음 획소에 수평획을 2개 가획하는 것을 의미하는 획소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본 자음 획소와 보조 획소에 의한 한글 자음의 키 구성을 보면 다음의 표 3-1과 표 3-2와 같다.
표 3-1은 좌측의 기본 자음 획소와 상단의 보조 획소 '-'과 '='의 조합으로 한글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기본 자음 ㄱ, ㄴ, ㅁ, ㅅ, ㅇ의 경우는 각각의 할당된 키를 통하여 입력하며, 기본 자음 ㄱ, ㄴ, ㅁ, ㅅ, ㅇ에서 파생되는 'ㅋ, ㄹ, ㄷ, ㅌ, ㅂ, ㅍ, ㅈ, ㅊ, ㅎ'은 파생음 입력을 위한 보조 획소 '-' 또는 '='를 선 입력하고 해당 기본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통하여 입력한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가획자들은 그들이 속하는 기본 자음과 파생음 입력을 위한 보조 획소 키의 조합으로 입력된다. 다만 'ㄹ'의 경우에는 기본 자음은 'ㄴ'이나, 각각의 기본 자음에 대한 파생음의 수를 2개 이하로 한정하기 위하여, 파생음의 수가 하나인 'ㄱ'의 가획자로 취급하여 실행하도록 한다.
표 3-2는 쌍자음 입력을 위한 획소 들의 조합을 도시한 것으로서, 보조 획소 '-'를 두 번 선 입력하여 다음에 오는 자음이 반복, 즉 쌍자음임을 의미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ㄲ'의 경우 쌍자음 입력을 위한 키 '- -'를 선 입력한 다음 기본 자음 'ㄱ'을 입력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복자음의 입력방법은 단자음의 입력방법과 동일하다. 즉, 'ㄺ'을 입력하려면, 'ㄹ'에 해당하는 키 조합인 '= ㄱ'을 입력한 후 'ㄱ'에 해당하는 키인 'ㄱ'을 입력하면 된다.
다음의 표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음 입력시 그 획소 조합형태와 그 입력횟수를 분석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10개의 획소(모음부 3개 포함)를 일반적인 전화기 자판 배열에 적용 구성한 것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음 7개 획소와 모음 3개 획소를 전화기 자판의 1, 2, 3, 4, 5, 6, 7, 8, 9, 0에 각각 대응하여 배열한다. 즉 전화기 자판의 1, 2에 가획자 입력 키인 '-'와 '='를 할당하고, 자판 4, 5, 7, 8, 0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 자음 획소 'ㄱ', 'ㄴ', 'ㅁ', 'ㅅ', 'ㅇ'을 각각 할당한다. 또한 전화기 자판의 3, 6, 9에는 모음 입력을 위한 'ㆍ', 'ㅣ', 'ㅡ'를 할당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자판 배열은 좌측 상단에서 우측으로 두 번째 위치까지 가획자 입력키를, 그 아래로 기본 자음 해당 키를 배열하며, 우측 상단에서부터 아래로 3번째 위치까지 모음 입력을 위한 키를 배열함으로써 자판의 배열을 쉽게 암기할 수 있으며, 손가락의 움직임이 적고 직접 손으로 쓰듯이 입력하도록 하였다. 이는 한글 입력시 자판을 직접 보면서 입력하는 불편을 해소하므로 편리함은 물론 자판 입력의 시간과 수고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정보통신기기의 문자 입력에 있어서 특별한 교육이나 자판 배열에 대한 암기 없이도 쉽게 입력이 가능하며, 자판을 보지 않거나 특히 이동 중에도 입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점은 전자수첩, PDA 등의 문자 입력을 편하게 하고 그 장치를 간단하게 만들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대한 하나의 표준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설계될 휴대용 정보통신기기 뿐만 아니라 기존의 기기에도 응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공중 전화기를 이용하여 문자 전송 호출 신호를 발송할 수 있게 해주며, 향후 공중 전화기를 통해서도 이메일(e-mail) 발송이 가능해지는 등 국가 전체적인 정보화 및 지식기반의 확립에 공헌을 하게 하는 발명이다.

Claims (2)

  1.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한글 자음을 'ㄱ, ㄴ, ㅁ, ㅅ, ㅇ'의 기본 자음 획소와 '-, ='의 보조 획소로 구성하여,
    기본 자음 'ㄱ, ㄴ, ㅁ, ㅅ, ㅇ'은 각각 할당된 기본 자음 획소를 단독으로 입력하는 단계와,
    그 가획자나 파생음인 'ㅋ, ㄹ, ㄷ, ㅌ, ㅂ, ㅍ, ㅈ, ㅊ, ㅎ'는 보조 획소인 '-' 또는 '='를 선 입력하고 각각의 기본 자음 획소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방법.
  2. 한글 입력을 위한 정보통신기기의 자판 배열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한글 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
KR1019990053659A 1999-11-29 1999-11-29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KR20000007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659A KR20000007129A (ko) 1999-11-29 1999-11-29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659A KR20000007129A (ko) 1999-11-29 1999-11-29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129A true KR20000007129A (ko) 2000-02-07

Family

ID=1962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659A KR20000007129A (ko) 1999-11-29 1999-11-29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129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05A (ko) * 2001-05-12 2001-07-25 김보식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359512B1 (ko) * 2000-10-12 2002-11-04 (주)아이소프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70421B1 (ko) * 2000-09-21 200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100641448B1 (ko) * 2000-03-14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
KR100683338B1 (ko) * 2000-03-16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744230B1 (ko) * 2004-11-10 2007-07-30 박주연 한글입력장치
KR100803323B1 (ko) * 2006-08-02 2008-02-14 장준우 텐키 방식 키패드의 한글모음 생성방법
KR100803322B1 (ko) * 2006-08-02 2008-02-14 장준우 텐키 방식 키패드의 한글모음 생성방법
KR100804024B1 (ko) * 2006-08-08 2008-02-18 김예은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 장치
KR101308249B1 (ko) * 2006-01-26 2013-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376442B1 (ko) * 2012-12-03 2014-03-19 윤혜경 사칙 연산을 이용한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448B1 (ko) * 2000-03-14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
KR100683338B1 (ko) * 2000-03-16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370421B1 (ko) * 2000-09-21 200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100359512B1 (ko) * 2000-10-12 2002-11-04 (주)아이소프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10069805A (ko) * 2001-05-12 2001-07-25 김보식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744230B1 (ko) * 2004-11-10 2007-07-30 박주연 한글입력장치
KR101308249B1 (ko) * 2006-01-26 2013-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803323B1 (ko) * 2006-08-02 2008-02-14 장준우 텐키 방식 키패드의 한글모음 생성방법
KR100803322B1 (ko) * 2006-08-02 2008-02-14 장준우 텐키 방식 키패드의 한글모음 생성방법
KR100804024B1 (ko) * 2006-08-08 2008-02-18 김예은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 장치
KR101376442B1 (ko) * 2012-12-03 2014-03-19 윤혜경 사칙 연산을 이용한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549B1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CN101595449A (zh) 用于在电子设备中输入中文字符的交叉媒体输入系统和方法
KR20000007129A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KR20010106807A (ko) 전화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JP2002351599A (ja) 電子機器の文字入力装置
KR20010104193A (ko) 기본자형의 조합을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100766717B1 (ko) 문자입력방법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JP2000276288A (ja) 携帯端末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823307B1 (ko) 문자입력방법
KR100891931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3109642U (ja) 携帯韓国語入力装置
KR101039482B1 (ko) 스마트 조합식 문자 입력 키패드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JP3072312U (ja) 情報機器用片手操作キーボード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324244Y1 (ko)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을 위한 키패드
JP2002116862A (ja)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KR200407401Y1 (ko) 한글입력장치
KR20000060607A (ko) 한글 고유코드를 만들 수 있는 한글 입력용 전화기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