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230B1 - 한글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한글입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4230B1 KR100744230B1 KR1020050004053A KR20050004053A KR100744230B1 KR 100744230 B1 KR100744230 B1 KR 100744230B1 KR 1020050004053 A KR1020050004053 A KR 1020050004053A KR 20050004053 A KR20050004053 A KR 20050004053A KR 100744230 B1 KR100744230 B1 KR 1007442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delete delete
- hangul
- consonants
- strok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자음 및 모음 입력키를 구비하여 한글을 표현하는 콤패트 키보드형 한글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한글 자음 입력키는, 상기 한글 자음 중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이 배당된 제1 가로획 입력키, 상기 한글 자음 중 ㄱ 및 ㅋ의 공통적인 제1 세로획(ㅣ)이 배당된 제1 세로획 입력키, 상기 한글 자음 중 ㄹ, ㅁ, ㅅ, ㅇ을 입력하기 위해 각각 배당된 ㄹ, ㅁ, ㅅ, ㅇ 입력키, 상기 한글 자음 중 거센소리를 입력하는 거센소리 입력키, 및 상기 한글 자음의 나란히쓰기를 입력하는 나란히쓰기 입력키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문자입력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며, 눈으로 보면 한글이 보이는 형태로서 실제 글을 쓰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자음, 모음, 한글, 한글입력장치.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입력키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입력키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입력키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입력키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입력키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입력키 구성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한글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글 자음과 모음의 기호로 형상화하여 형성화된 기호를 키버튼에 적응적으로 배치함으로써, 키패드에 직관적인 한글 모형이 드러나게 함으로써 펜입력방식과 같이 글자를 손으로 쓰듯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 자음의 우하변에 모음을 배치함으로써 글자를 쓰는 순서인 좌에서 우로, 자음에서 모음으로 쓸 수 있도록 기호를 배치하여 문자입력을 쉽고 빠르게 하는 키패드의 구성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콤팩트 기패드형 한글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Ubiquitous computing(Ubicomp. 편재컴퓨팅)이란 언제 어느 곳에나 컴퓨터가 존재하는 환경으로 이러한 개념은 컴퓨터를 기존의 테스크탑 모양에서 이동이 가능한 소형컴퓨터(노트북, PDA, 휴대폰)로 더 나아가 우리 주변의 사물(책상, 냉장고, 벽 등)이 컴퓨터화 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Ubicomp devices(모바일기기)인 휴대폰은 초기에는 음성을 주고받는 전화로만 이용되었으나, 곧 문자를 기반으로 한 문자메세지(short message service)의 사용이 활발해졌다. 또한, 무선인터넷의 이용으로 인하여 휴대폰을 이용하여 이메일, 메신저, 채팅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이용자가 이동 중이거나 움직이면서 정보를 찾거나 검색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 면서 휴대폰이나 PDA 등을 통해 문자를 입력할 필요가 증가하였다. 또한, 주변의 사물(책상, 냉장고, 벽 등)이 컴퓨터화 되면 그 사물에서 직접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문자입력 방식은 데스크탑의 대형 키보드 방식이 아니라 휴대폰의 소형 키패드 방식이 될 것이다. 또한 디지털 TV, 오디오, MP3 등에서도 검색 등을 위한 문자입력이 필요하고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도 몸에 부착된 컴퓨터에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야 하는 등의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작업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기존의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형태의 컴퓨터의 경우, 기본적으로 숫자키버튼, 문자키버튼이 분리되어 있으며, 전체버튼이 100 여개 이상이며 특수문자를 포함해 문자키버튼만 해도 40 여개 이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10개의 손가락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자입력의 불편함이 거의 없었다. 반면, 휴대폰이나 PDA로 대변되는 휴대할 수 있는 소형컴퓨터들은 기존의 컴퓨터와 달리, 단지 12 개의 입력버튼이 있으며 숫자와 문자 버튼이 분리되어 있지 않으며 주로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문자를 입력해야 한다. 바로 이점이 문자입력 시스템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켜야 하는 필요성을 제기하며 쉽고 빠르게 효율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필요로 하게 한다.
한글은 자음 + 모음 (+ 자음)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글자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글자조합과 배치의 문제들이 존재한다. 즉, 자,모음의 배열, 위치, 조합방식에 따라 여러 입력방식으로 구분된다.
이에 대표적인 종래 기술들을 표 1 내지 표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ㅣ | 2 ㆍ | 3 ㅡ |
4 ㄱ ㅋ | 5 ㄴ ㄹ | 6 ㄷ ㅌ |
7 ㅂ ㅍ | 8 ㅅ ㅎ | 9 ㅈ ㅊ |
* | 0 ㅇ ㅁ | # |
1 ㄱ | 2 ㄴ | 3 ㅏ ㅓ |
4 ㄹ | 5 ㅁ | 6 ㅗ ㅜ |
7 ㅅ | 8 ㅇ | 9 ㅡ ㅣ |
* 덧쓰기 | 0 띄기 | # 나란히 |
1 ㄱ ㅠ | 2 ㄴ ㅓ | 3 ㄷ ㅑ |
4 ㄹ ㅕ | 5 ㅁ ㅗ | 6 ㅂ ㅛ |
7 ㅅ ㅏ | 8 ㅇ ㅜ | 9 ㅈ ㅡ |
* | 0 ㅎ ㅣ | # |
1 ㄱ | 2 ㄴ | 3 ∧ |
4 ㅇ | 5 ㅡ | 6 ㅣ |
7 ㆍ | 8 ㅡ | 9 ㅣ |
* | 0 | # |
1 ㅡ | 2 ∧ | 3 ㅣ |
4 ㅡ | 5 ㆍ | 6 ㅣ |
7 ㅡ | 8 ∧ | 9 ㅣ |
* | 0 ㅇ | # |
종래의 기술은 경음(ㄲ, ㄸ, ㅆ, ㅃ, ㅉ)을 제외한 14개의 자음 입력방식에 있어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로는 14 개의 자음 모두를 키버튼에 표시하고 입력하는 방식으로 14개의 자음을 각 칸에 두 개씩 두어 모두 키버튼에 표시하는 방법(표 1)(천지인 방식)과 6 내지 10 개의 자음만을 키버튼에 표시하고 가획의 원리를 사용하여 입력하 는 방법(표 2, 표 3)(나랏글2000, 한국특허 등록번호10-0372741)으로 나누어진다. 표 1 형식의 경우에는 각 키버튼마다 2 내지 3 개의 자음이 중복됨으로써, 같은 키버튼의 자음이 연속적으로 입력되어야 할 경우에는 기다리거나 커서를 움직여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표 2, 표 3의 방법과 같은 가획의 원리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경우에는 기본자음을 쓰고, 여기에 가획 버튼을 눌러야 하는데, 이때 우리가 글을 쓰는 사고 과정과는 괴리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ㅊ"을 쓰는 경우에 실제로는 "ㆍ + ㅈ" 을 인식하여 쓰는데 반하여, 가획식 입력방법의 경우에는 "ㅈ + 가획" 이라고 인식하여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자음 입력방식에 있어서, 자음들을 단순배열하여 사용자들이 자음이 놓인 위치를 찾아 하나하나 입력해야만 한다.
두 번째로는 키버튼에 보여진 자음이나 획을 보고 자음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간단한 기본 자음(ㄱ, ㄴ, ㅅ, ㅇ)은 키버튼에 쓰고 가획의 원리를 도입한 방식(표 4)(한국특허 공개번호 2002-0019720)과 한글을 획으로 더욱 분리하여 배치하여 조합의 방식을 취하는 방법(표 5, 표 6)(한국특허 공개번호 2002-0055833, 한국특허 등록번호 10-0434669)이 있다. 표 4의 방식은 ㄱ,ㄴ,ㅅ,ㅇ 은 키버튼에 배치하고 그 위의 글자를 조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경음을 제외한 자음을 만들기 위해서 네 번의 클릭(ㅍ:5665 클릭)이 필요한 경우가 생긴다. 조합의 형식으로 인해 하나의 자음을 만들기 위해 너무 많은 클릭을 해야 하고 도형이 키버튼에 단순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글자를 쓸 때마다 하나하나의 획을 생각하고 또 그것이 어디에 있는가를 찾아야 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표 5, 6 의 방식은 표 4 보다 더욱 획을 해체하여 한글을 조합하는 방식이다. 표 5 및 6은 자음의 한획한획을 모두 눌러서 조합해야 하므로 더욱 많은 클릭수가 필요하며 이 역시 글자를 쓸 때마다 하나하나의 획을 생각하고 또 그것이 어디에 있는가를 찾아야 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또한 표 5 의 경우 곡선으로 되어 있어 한글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인지하기가 쉽지 않다.
종래의 기술들은 모음 입력 방식에 있어서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첫 번째는 천지인 방식(표 1, 4, 5, 6)이고, 두 번째는 기본이 되는 모음들을 키버튼에 배치하여 조합하는 방식(표 2, 3)이다. 첫 번째의 방식은 천지인을 단순 배열한 것으로, 사용자들은 모음 조합에 실제로 글을 쓸 때와 반대의 방향으로 모음이 구성되는 등 인지적 부담감을 가지게 된다. 두번째의 방식은 모음들을 일일이 찾아 다녀야 하며 모음 구성에 가획의 원리를 이용해 실제로 모음을 쓸 때의 인지과정과 달라 부담감을 가지게 된다 이처럼 종래 기술들은 모음 입력 방식을 택함에 있어서도 모음들을 단순배열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모음 입력의 획들을 찾아 조합하게 하여 인지적 노력이 많이 든다.
상기와 같이 소형단말기의 문자입력 방식은 상이하다. 테스크탑의 키보드 방식을 채택(표 1, 2, 3)함으로써 키버튼의 수가 현저히 작은 상황에서 문자입력을 어렵게 하고 있다. 자소해체를 통한 조합방식을 택한 경우(표 4, 5, 6)는 클릭수가 너무 많아 시간이 많이 걸리며 조합을 할 때 사용자가 조합의 원리를 생각하는 인지적 부담감이 너무 커 상용화되기 힘든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방식들은 키버튼 어디에 어떠한 글자가 배치되어 있는가를 외우지 않고는 빨리 문자를 입력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를 인지하는 방식에 따라 적응적으로 적은 수의 입력키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입력하는 콤패트 키보드형 한글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자음 및 모음 입력키를 구비하여 한글을 표현하는 콤패트 키패드형 한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한글 자음 중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이 배당된 제1 가로획 입력키, 상기 한글 자음 중 ㄱ 및 ㅋ의 공통적인 제1 세로획(ㅣ)이 배당된 제1 세로획 입력키, 상기 한글 자음 중 ㄹ, ㅁ, ㅅ, ㅇ을 입력하기 위해 각각 배당된 ㄹ, ㅁ, ㅅ, ㅇ 입력키, 상기 한글 자음 중 거센소리를 입력하는 거센소리 입력키, 및 상기 한글 자음의 나란히쓰기를 입력하는 나란히쓰기 입력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음 입력키는 상기 한글 자음 중 ㄴ을 입력하기 위해 배당된 ㄴ 입력키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음 입력키는, 상기 한글 자음 중 ㄴ의 가로획 및 ㄷ의 가로획을 입력하기 위해 배당된 제2 가로획 입력키, 및 상기 한글 자음 중 ㄴ의 세로획 및 ㄷ의 세로획을 입력하기 위해 배당된 제2세로획 입력키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음 입력키는, 상기 한글 자음 중 ㅂ을 입력하기 위해 배당된 ㅂ입력키를 더 포함한다. 제1 가로획 입력키는 상기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ㅡ)기호와, ㅁ에서 ㅂ의 추가획( )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 )기호를 포함한다. 상기 거센소리 입력키는 ㅊ과 ㅎ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 )와, ㅋ, ㅌ, ㅍ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세로획 입력키 및 제2 가로획 입력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모음 입력키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입력키이다. 상기 모음입력키는 상기 공통입력키와 조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기본획(ㆍ) 및 (ㅡ)이 각각 배당된 입력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음입력키는 상기 공통입력키와 조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배당된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ㅢ), (ㅐ), (ㅔ), (ㅒ), 및 (ㅖ)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음 입력키는 조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기본획 (ㅣ), (ㆍ) 및 (ㅡ)이 각각 배당된 (ㅣ), (ㆍ) 및 (ㅡ) 입력키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도 1 내지 도 6은 각각 제1 실시 예부터 제6 실시 예까지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자음 입력키 및 모음 입력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를 중복하여 사용하고, 한글 자음 ㄱ의 세로획, 또는 ㅋ의 세로획, 또는 ㄱ 및 ㅋ의 세로획(ㅣ)과 한글 모음 ㅣ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한글입력장치를 예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도 1 내지 도 5는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는 입력키를 중복하여 사용하는 방법의 대표적 유형을 보여주는 것이다.
두 번째, 도 6은 제6 실시 예를 예시하는 도면으로,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자음 입력키 및 모음 입력키를 중복하여 사용하지 않는 한글 입력장치를 예시하는 것이다.
두 번째, 도 6은 제6 실시 예를 예시하는 도면으로,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자음 입력키 및 모음 입력키를 중복하여 사용하지 않는 한글 입력장치를 예시하는 것이다.
삭제
따라서, 우선 제1 실시 예부터 제6 실시 예를 각 실시 예 별로 상세하게 설명한 후, 제6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입력키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한글 입력 장치는 한글 자음 중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이 배당된 제1 가로획 입력키, 및 상기 한글 자음의 나란히쓰기 및 거센소리를 각각 입력하는 나란히쓰기 및 거센소리 입력키를 포함한다. 또한, 본 한글 입력 장치는 ㄱ 및 ㅋ의 세로획을 입력할 수 있는 세로획 입력키(ㅣ)와,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모음 입력키를 더 포함한다. 세로획 입력키(ㅣ)는 모음 입력키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입력키이다.
본 제1 실시 예의 제1 가로획 입력키에는 ㄱ·ㄷ·ㅈ의 공통획(상변의 가로획)과 ㅁ에서 ㅂ으로의 추가획( )을 합친 가획기호( )가 표시되어 있으며, 거센소리 입력키에는 거센소리 기호()가 표시되어 있으며, 나란히쓰기 입력기에는 "나란히 쓰기" 라고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표시된 입력키들을 사용하여 한글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ㄱ"해체입력형·"ㄴ"추출형(ㄴ, ㄹ, ㅁ, ㅅ, ㅇ 추출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예에서는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기본획(·, ㅡ)가 각각 배당된 입력키와, 공통입력키는 세로획 입력키(ㅣ)를 조합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한글 입력 장치에서는 ㄱ과 ㄷ과 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을 추출하여 공통으로 사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며, ㄱ·ㄷ·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ㅁ에서 ㅂ으로의 추가획( )을 합친 가획기호( )를 사용하여 입력하고, ㄴ, ㄹ, ㅁ, ㅅ, ㅇ입력키, 가획기호( ), 우변의 세로획, 거센소리 기호( ), 나란히쓰기를 사용하여 한글 자음을 입력한다. ㅂ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와 ㅁ의 연속 입력에 의한다.
한편, 자음 배열은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기호와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으며,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기호와는 ㄹ 또는 ㅇ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고, 거센소리 기호( )와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다만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두 기호를 대표하여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고,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를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다.
거센소리 기호로는 , , , , , 을 사용하지만,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그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라면 다양한 기호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 는 과 의 두 가지 기호를 모아놓은 형태이다. 기호는 ㅊ과 ㅎ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차청의 가획기호)이고, 는 ㅋ과 ㅌ과 ㅍ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이다. 즉 ㅊ은 과 ㅅ, ㅎ은 과 ㅇ의 결합으로 만들어지고, ㅋ은 과 ㅣ, ㅌ은 과 ㄴ, ㅍ은 과 ㅁ의 결합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 입력키(ㅡ)와 ㅇ입력키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원래 ㆆ 이 생성되나 현재에는 사용하지 않는 글자 이기에 ㅎ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입력키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한글 입력 장치는 한글 자음 중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이 배당된 제1 가로획 입력키, 및 상기 한글 자음의 나란히쓰기 및 거센소리를 각각 입력하는 나란히쓰기 및 거센소리 입력키를 포함한다. 또한, 본 한글 입력 장치는 ㄱ 및 ㅋ의 세로획을 입력할 수 있는 세로획 입력키(ㅣ)와,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모음 입력키를 더 포함한다. 세로획 입력키(ㅣ)는 모음 입력키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입력키이다.
본 제1 실시 예의 제1 가로획 입력키에는 ㄱ·ㄷ·ㅈ의 공통획(상변의 가로획)과 ㅁ에서 ㅂ으로의 추가획( )을 합친 가획기호( )가 표시되어 있으며, 거센소리 입력키에는 거센소리 기호()가 표시되어 있으며, 나란히쓰기 입력기에는 "나란히 쓰기" 라고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표시된 입력키들을 사용하여 한글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ㄱ"해체입력형·"ㄴ"추출형(ㄴ, ㄹ, ㅁ, ㅅ, ㅇ 추출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 예에서는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기본획(·, ㅡ)가 각각 배당된 입력키와, 공통입력키는 세로획 입력키(ㅣ)를 조합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한글 입력 장치에서는 ㄱ과 ㄷ과 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을 추출하여 공통으로 사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며, ㄱ·ㄷ·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ㅁ에서 ㅂ으로의 추가획( )을 합친 가획기호( )를 사용하여 입력하고, ㄴ, ㄹ, ㅁ, ㅅ, ㅇ입력키, 가획기호( ), 우변의 세로획, 거센소리 기호( ), 나란히쓰기를 사용하여 한글 자음을 입력한다. ㅂ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와 ㅁ의 연속 입력에 의한다.
한편, 자음 배열은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기호와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으며,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기호와는 ㄹ 또는 ㅇ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고, 거센소리 기호( )와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다만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두 기호를 대표하여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고,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를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다.
거센소리 기호로는 , , , , , 을 사용하지만,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그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라면 다양한 기호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 는 과 의 두 가지 기호를 모아놓은 형태이다. 기호는 ㅊ과 ㅎ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차청의 가획기호)이고, 는 ㅋ과 ㅌ과 ㅍ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이다. 즉 ㅊ은 과 ㅅ, ㅎ은 과 ㅇ의 결합으로 만들어지고, ㅋ은 과 ㅣ, ㅌ은 과 ㄴ, ㅍ은 과 ㅁ의 결합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 입력키(ㅡ)와 ㅇ입력키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원래 ㆆ 이 생성되나 현재에는 사용하지 않는 글자 이기에 ㅎ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 한글 자음 입력 >
한글 자음 | 입력 순서 |
ㄱ | 2,6 |
ㄴ | 4 |
ㄷ | 2,4 |
ㄹ | 7 |
ㅁ | 1 |
ㅂ | 2,1 |
ㅅ | 5 |
ㅇ | 3 |
ㅈ | 2,5 |
ㅊ | 2,2,5 |
ㅋ | 2,2,6 |
ㅌ | 2,2,4 |
ㅍ | 2,2,1 |
ㅎ | 2,3 또는 2,2,3 |
ㄲ | 2,6,0 |
ㄸ | 2,4,0 |
ㅃ | 2,1,0 |
ㅆ | 5,0 |
ㅉ | 2,5,0 |
< 한글 모음 입력형 >
한글 모음 | 입력 순서 |
ㅏ | 6,9 |
ㅑ | 6,9,9 |
ㅓ | 9,6 |
ㅕ | 9,9,6 |
ㅗ | 9,8 |
ㅛ | 9,9,8 |
ㅜ | 8,9 |
ㅠ | 8,9,9 |
ㅡ | 8 |
ㅣ | 6 |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입력키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한글 입력 장치는 한글 자음 중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가로획(ㅡ)이 배당된 제1 가로획 입력키, 및 상기 한글 자음의 거센소리 및 나란히쓰기를 각각 입력하는 거센소리 입력키 및 나란히쓰기 입력키를 포함한다. 또한, 본 한글 입력 장치는 ㄱ 및 ㅋ의 세로획을 입력할 수 있는 제1 세로획 입력키(ㅣ)와,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모음 입력키와, ㄴ과 ㄷ을 입력할 수 있는 제2 가로획 입력키 및 제2 세로획 입력키를 더 포함한다. 제1 세로획 입력키(ㅣ) 및 제2 가로획 입력키(ㅡ)는 공통입력키로 모음 입력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 예에는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기본획(ㆍ)이 각각 배당된 입력키와, 공통입력키인 제1 세로획 입력키(ㅣ) 및 제2 가로획 입력키(ㅡ)를 조합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한글 입력 장치는 한글 자음 중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가로획(ㅡ)이 배당된 제1 가로획 입력키, 및 상기 한글 자음의 거센소리 및 나란히쓰기를 각각 입력하는 거센소리 입력키 및 나란히쓰기 입력키를 포함한다. 또한, 본 한글 입력 장치는 ㄱ 및 ㅋ의 세로획을 입력할 수 있는 제1 세로획 입력키(ㅣ)와,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모음 입력키와, ㄴ과 ㄷ을 입력할 수 있는 제2 가로획 입력키 및 제2 세로획 입력키를 더 포함한다. 제1 세로획 입력키(ㅣ) 및 제2 가로획 입력키(ㅡ)는 공통입력키로 모음 입력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 예에는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기본획(ㆍ)이 각각 배당된 입력키와, 공통입력키인 제1 세로획 입력키(ㅣ) 및 제2 가로획 입력키(ㅡ)를 조합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
본 제2 실시 예의 제1 가로획 입력키에는 ㄱ·ㄷ·ㅈ의 공통획(상변의 가로획)과 ㅁ에서 ㅂ으로의 추가획( )을 합친 가획기호( )가 표시되어 있으며, 거센소리 입력키에는 거센소리 기호( )가 표시되어 있으며, 나란히쓰기 입력키에는 “나란히쓰기”라고 표시되어 있으며, “ㄱ 및 ㅋ”을 입력하기 위한 세로획 입력키에는 (ㅣ)가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표시된 입력키들을 사용하여 한글 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ㄱ, ㄴ” 해체입력형· ㄹ, ㅁ, ㅅ, ㅇ 추출형으로 분류한다.
상기 제2 실시 예에서는 ㄱ과 ㄷ과 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을 추출하여 공통으로 사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며, ㄱ·ㄷ·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ㅁ에서 ㅂ으로의 추가획( )을 합친 가획기호( )를 사용하여 입력하고, ㄹ, ㅁ, ㅅ, ㅇ입력키를 이용하여 ㄹ, ㅁ, ㅅ, ㅇ을 입력하고, 가획기호( ), 좌변의 세로획, 우변의 세로획, 하변의 가로획, 거센소리 기호( ), 나란히쓰기를 사용하여 한글 자음을 입력하고, ㅂ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와 ㅁ의 연속입력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예에서는 ㄱ과 ㄷ과 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을 추출하여 공통으로 사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며, ㄱ·ㄷ·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ㅁ에서 ㅂ으로의 추가획( )을 합친 가획기호( )를 사용하여 입력하고, ㄹ, ㅁ, ㅅ, ㅇ입력키를 이용하여 ㄹ, ㅁ, ㅅ, ㅇ을 입력하고, 가획기호( ), 좌변의 세로획, 우변의 세로획, 하변의 가로획, 거센소리 기호( ), 나란히쓰기를 사용하여 한글 자음을 입력하고, ㅂ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와 ㅁ의 연속입력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자음 배열은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기호와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으며,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와는 ㄹ 또는 ㅇ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고, 거센소리 기호( )와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좌변의 세로획과는 ㄹ, ㅁ, ㅅ 또는 ㅇ 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다만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두 기호를 대표하여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고,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를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다.
거센소리 기호로는 , , , , , 을 사용하지만,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그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라면 다양한 기호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거센소리 기호로는 , , , , , 을 사용하지만,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그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라면 다양한 기호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삭제
한편 본 발명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과 ㅇ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원래 ㆆ이 생성되나 현재에는 사용되지 않는 글자이기에 ㅎ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삭제
제2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한다.
< 한글 자음 입력 >
한글 자음 | 입력 순서 |
ㄱ | 2,6 |
ㄴ | 4,8 |
ㄷ | 2,4,8 |
ㄹ | 7 |
ㅁ | 1 |
ㅂ | 2,1 |
ㅅ | 5 |
ㅇ | 3 |
ㅈ | 2,5 |
ㅊ | 2,2,5 |
ㅋ | 2,2,6 |
ㅌ | 2,2,4,8 |
ㅍ | 2,2,1 |
ㅎ | 2,3 또는 2,2,3 |
ㄲ | 2,6,0 |
ㄸ | 2,4,8,0 |
ㅃ | 2,1,0 |
ㅆ | 5,0 |
ㅉ | 2,5,0 |
< 한글 모음 입력형 >
한글 모음 | 입력 순서 |
ㅏ | 6,9 |
ㅑ | 6,9,9 |
ㅓ | 9,6 |
ㅕ | 9,9,6 |
ㅗ | 9,8 |
ㅛ | 9,9,8 |
ㅜ | 8,9 |
ㅠ | 8,9,9 |
ㅡ | 8 |
ㅣ | 6 |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입력키 구성도이다.
본 제3 실시 예의 한글 입력 장치는 한글 자음 중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가로획(ㅡ)이 배당된 제1 가로획 입력키, 및 상기 한글 자음의 거센소리 및 나란히쓰기를 각각 입력하는 거센소리 및 나란히쓰기 입력키를 포함한다. 또한, 본 한글 입력 장치는 ㄱ 및 ㅋ의 세로획을 입력할 수 있는 세로획 입력키(ㅣ)와,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모음 입력키를 더 포함한다. 세로획 입력키(ㅣ)는 모음 입력키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입력키이다. 제3 실시 예는 상변의 가로획 입력키를 이용하여 한글자음을 입력하고, “ㄱ”해체입력·“ㄴ”추출형(ㄴ,ㄹ,ㅁ,ㅂ,ㅅ,ㅇ 추출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제3 실시 예에는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기본획(ㆍ, 및 ㅡ)이 각각 배당된 입력키를 더 포함하며, 더 포함된 모음 기본획 입력키와 공통입력키인 세로획 입력키(ㅣ)를 조합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ㄱ과 ㄷ과 ㅈ의 첫 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을 추출하여 공통으로 사용하여 해체 입력 가능한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ㄴ, ㄹ, ㅁ, ㅂ, ㅅ, ㅇ을 입력하기 위해 각각 배당된 각각의 ㄴ, ㄹ, ㅁ, ㅂ, ㅅ, ㅇ입력키와, ㄱ·ㄷ·ㅈ의 첫 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우변의 세로획과, 거센소리 기호( )가 표시되어 있는 커센소리 입력키와, 나란히쓰기 입력키를 사용하여 한글 자음을 입력한다.
ㄱ과 ㄷ과 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을 추출하여 공통으로 사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며, ㄹ, ㅁ, ㅂ, ㅅ, ㅇ입력키, ㄱ·ㄷ·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 하변의 가로획, 좌변의 세로획, 우변의 세로획, 거센소리 기호( ), 나란히쓰기를 사용하여 한글 자음을 입력한다.
자음 배열은 ㄱ·ㄷ·ㅈ의 첫 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ㄹ 또는 ㅂ이 각각 이 버튼에 같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ㄱ·ㄷ·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ㄱ·ㄷ·ㅈ의 첫 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ㄹ, ㅂ, ㅇ 중 어느 하나가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고, 거센소리 기호( )와는 ㄹ, ㅂ 중 어느 하나가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다만 ㄱ·ㄷ·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ㄱ·ㄷ·ㅈ의 첫 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을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고, ㄱ·ㄷ·ㅈ의 첫 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두 기호를 대표하여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다.
거센소리 기호로는 , , , , , 등과 다른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거센소리 기호는 과 의 두 가지 기호를 모아놓은 형태이다. 기호는 ㅊ과 ㅎ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차청의 가획기호)이고, 는 ㅋ과 ㅌ과 ㅍ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이다. 즉 ㅊ은 과 ㅅ, ㅎ은 과 ㅇ의 결합으로 만들어지고, ㅋ은 과 ㅣ, ㅌ은 과 ㄴ, ㅍ은 과 ㅁ의 결합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과 ㅇ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원래 ㆆ이 생성되나 현재에는 사용되지 않는 글자이기에 ㅎ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3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한다.
< 한글 자음 입력 >
< 한글 자음 입력 >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글 자음 | 입력 순서 |
ㄱ | 2,6 |
ㄴ | 4 |
ㄷ | 2,4 |
ㄹ | 2,2 |
ㅁ | 7 |
ㅂ | 2,1 |
ㅅ | 5 |
ㅇ | 3 |
ㅈ | 2,5 |
ㅊ | 1,5 |
ㅋ | 1,6 |
ㅌ | 1,4 |
ㅍ | 1,7 |
ㅎ | 1,3 |
ㄲ | 2,6,0 |
ㄸ | 2,4,0 |
ㅃ | 1,1,0 |
ㅆ | 5,0 |
ㅉ | 2,5,0 |
< 한글 모음 입력 >
한글 모음 | 입력 순서 |
ㅏ | 6,9 |
ㅑ | 6,9,9 |
ㅓ | 9,6 |
ㅕ | 9,9,6 |
ㅗ | 9,8 |
ㅛ | 9,9,8 |
ㅜ | 8,9 |
ㅠ | 8,9,9 |
ㅡ | 8 |
ㅣ | 6 |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입력키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제4 실시 예의 한글 입력 장치는 한글 자음 중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가로획(ㅡ)이 배당된 제1 가로획 입력키, 및 상기 한글 자음의 거센소리 및 나란히쓰기를 각각 입력하는 거센소리 및 나란히쓰기 입력키를 포함한다. 또한, 본 한글 입력 장치는 ㄱ 및 ㅋ의 세로획을 입력할 수 있는 제1 세로획 입력키(ㅣ)와, ㄴ 및 ㄷ의 가로획을 입력할 수 있는 제2 세로획 입력키와, 제2 가로획 입력키와,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모음 입력키를 포함한다. 세로획 입력키(ㅣ)는 모음 입력키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입력키이다.
제4 실시 예는 상변의 가로획 입력키를 이용하여 한글자음을 입력하고, “ㄱ·ㄴ”해체입력형이며 ㄹ,ㅁ,ㅂ,ㅅ,ㅇ 추출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제4 실시 예에는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기본획(ㆍ)이 배당된 입력키를 더 포함하며, 모음 기본획 입력키와 공통입력키인 제1 세로획 입력키(ㅣ) 및 제2 가로획 입력키를 조합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4 실시 예에서는, ㄱ과 ㄷ과 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을 추출하여 공통으로 사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며, ㄹ, ㅁ, ㅂ, ㅅ, ㅇ을 입력하는 입력키, ㄱ·ㄷ·ㅈ의 첫 획인 제1 가로획(상변의 가로획), 제2 가로획(하변의 가로획), 좌변의 세로획(제1 세로획), 우변의 세로획(제2 세로획), 거센소리 기호( )가 입력되어 있는 거센소리 입력키, 나란히쓰기 입력키를 사용하여 한글 자음을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자음 배열은 ㄱ·ㄷ·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버튼과는 ㄹ, ㅂ이 같이 설정될 수 있고, 좌변의 세로획과는 ㄹ, ㅁ, ㅂ, ㅅ, ㅇ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으며, 한편, ㄱ·ㄷ·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좌변의 세로획과는 ㄹ, ㅁ, ㅂ, ㅅ, ㅇ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고, ㄱ·ㄷ·ㅈ의 첫 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는 ㄹ, ㅁ, ㅂ, ㅇ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고, 거센소리 기호( )와는 ㄹ, ㅂ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다만, ㄱ·ㄷ·ㅈ의 첫 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ㄱ·ㄷ·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을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고, ㄱ·ㄷ·ㅈ 의 첫 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두 기호를 대표하여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다.
거센소리 기호로는 , , , , , 등과 다른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거센소리 기호는 과 의 두 가지 기호를 모아놓은 형태이다. 기호는 ㅊ과 ㅎ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차청의 가획기호)이고, 는 ㅋ과 ㅌ과 ㅍ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이다. 즉 ㅊ은 과 ㅅ, ㅎ은 과 ㅇ의 결합으로 만들어지고, ㅋ은 과 ㅣ, ㅌ은 과 ㄴ, ㅍ은 과 ㅁ의 결합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과 ㅇ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원래 ㆆ이 생성되나 현재에는 사용되지 않는 글자이기에 ㅎ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한다.
< 한글 자음 입력 >
한글 자음 | 입력 순서 |
ㄱ | 2,6 |
ㄴ | 4,8 |
ㄷ | 2,4,8 |
ㄹ | 2,2 |
ㅁ | 7 |
ㅂ | 1,1 |
ㅅ | 5 |
ㅇ | 3 |
ㅈ | 2,5 |
ㅊ | 1,5 |
ㅋ | 1,6 |
ㅌ | 1,4,8 |
ㅍ | 1,7 |
ㅎ | 1,3 |
ㄲ | 2,6,0 |
ㄸ | 2,4,8,0 |
ㅃ | 1,1,0 |
ㅆ | 5,0 |
ㅉ | 2,5,0 |
< 한글 모음 입력 >
한글 모음 | 입력 순서 |
ㅏ | 6,9 |
ㅑ | 6,9,9 |
ㅓ | 9,6 |
ㅕ | 9,9,6 |
ㅗ | 9,8 |
ㅛ | 9,9,8 |
ㅜ | 8,9 |
ㅠ | 8,9,9 |
ㅡ | 8 |
ㅣ | 6 |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입력키 구성도이다. 본 제5 실시 예는 한글 자음 "ㄱ" 및 "ㅋ"의 세로획과 한글 모음 "ㅣ"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입력키 구성도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10 모음 배열 및 14 모음 배열로 구분되어 상술한다. 여기서, 한글 자음 "ㄱ" 및 "ㅋ"의 세로획과 한글 모음 "ㅣ"는 공통키로 사용된다.
여기서, 나란히쓰기를 기호 로 표현하지만, 나란히쓰기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그 형상 또는 그 표시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표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a) 내지 도 5(e)는 10 모음 배열도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f) 내지 도 5(i)는 14 모음 배열도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i)의 자음 및 모음 배열도를 이용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하는 방법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a) 내지 도 5(e)는 10 모음 배열도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f) 내지 도 5(i)는 14 모음 배열도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i)의 자음 및 모음 배열도를 이용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하는 방법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시한다.
우선, 도 5(a)에 개시된 첫 번째 10 모음 배열도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할 수 있다.
< 한글 자음 입력 >
한글 자음 | 입력 순서 |
ㄱ | 2,6 |
ㄴ | 4 |
ㄷ | 2,4 |
ㄹ | 7 |
ㅁ | 1 |
ㅂ | 2,1 |
ㅅ | 5 |
ㅇ | 3 |
ㅈ | 2,5 |
ㅊ | 2,2,5 |
ㅋ | 2,2,6 |
ㅌ | 2,2,4 |
ㅍ | 2,2,1 |
ㅎ | 2,3 또는 2,2,3 |
ㄲ | 2,6,2,2,2 |
ㄸ | 2,4,2,2,2 |
ㅃ | 2,1,2,2,2 |
ㅆ | 5,2,2,2 |
ㅉ | 2,5,2,2,2 |
< 한글 모음 입력 >
한글 모음 | 입력 순서 |
ㅏ | 9 |
ㅑ | 9,9 |
ㅓ | # |
ㅕ | #,# |
ㅗ | 8 |
ㅛ | 8,8 |
ㅜ | 0 |
ㅠ | 0,0 |
ㅡ | * |
ㅣ | 6 |
ㅢ | *,6 |
ㅐ | 9,6 |
ㅔ | #,6 |
ㅒ | 9,9,6 |
ㅖ | #,#,6 |
도 5(b)에 개시된 두 번째 10 모음 배열도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할 수 있다.
< 한글 자음 입력 >
한글 자음 | 입력 순서 |
ㄱ | 2,6 |
ㄴ | 4 |
ㄷ | 2,4 |
ㄹ | 2,2,2 |
ㅁ | 1 |
ㅂ | 2,1 |
ㅅ | 5 |
ㅇ | 3 |
ㅈ | 2,5 |
ㅊ | 2,2,5 |
ㅋ | 2,2,6 |
ㅌ | 2,2,4 |
ㅍ | 2,2,1 |
ㅎ | 2,3 또는 2,2,3 |
ㄲ | 2,6,7 |
ㄸ | 2,4,7 |
ㅃ | 2,1,7 |
ㅆ | 5,7 |
ㅉ | 2,5,7 |
< 한글 모음 입력 >
한글 모음 | 입력 순서 |
ㅏ | 9 |
ㅑ | 9,9 |
ㅓ | # |
ㅕ | #,# |
ㅗ | 8 |
ㅛ | 8,8 |
ㅜ | 0 |
ㅠ | 0,0 |
ㅡ | * |
ㅣ | 6 |
ㅢ | *,6 |
ㅐ | 9,6 |
ㅔ | #,6 |
ㅒ | 9,9,6 |
ㅖ | #,#,6 |
도 5(c)에 개시된 세 번째 10 모음 배열도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할 수 있다.
< 한글 자음 입력 >
한글 자음 | 입력 순서 |
ㄱ | 2,6 |
ㄴ | 4 |
ㄷ | 2,4 |
ㄹ | 7 |
ㅁ | 1 |
ㅂ | 2,1 |
ㅅ | 5 |
ㅇ | 3 |
ㅈ | 2,5 |
ㅊ | 2,2,5 |
ㅋ | 2,2,6 |
ㅌ | 2,2,4 |
ㅍ | 2,2,1 |
ㅎ | 2,3 또는 2,2,3 |
ㄲ | 2,6,* |
ㄸ | 2,4,* |
ㅃ | 2,1,* |
ㅆ | 5,* |
ㅉ | 2,5,* |
< 한글 모음 입력 >
한글 모음 | 입력 순서 |
ㅏ | 9 |
ㅑ | 9,9 |
ㅓ | # |
ㅕ | #,# |
ㅗ | 8 |
ㅛ | 8,8 |
ㅜ | 0 |
ㅠ | 0,0 |
ㅡ | 6,6 |
ㅣ | 6 |
ㅢ | 6,6,6 |
ㅐ | 9,6 |
ㅔ | #,6 |
ㅒ | 9,9,6 |
ㅖ | #,#,6 |
도 5(d)에 개시된 네 번째 10 모음 배열도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할 수 있다.
< 한글 자음 입력 >
한글 자음 | 입력 순서 |
ㄱ | 2,6 |
ㄴ | 4 |
ㄷ | 2,4 |
ㄹ | 7 |
ㅁ | 1 |
ㅂ | 2,1 |
ㅅ | 5 |
ㅇ | 3 |
ㅈ | 2,5 |
ㅊ | 2,2,5 |
ㅋ | 2,2,6 |
ㅌ | 2,2,4 |
ㅍ | 2,2,1 |
ㅎ | 2,3 또는 2,2,3 |
ㄲ | 2,6,* |
ㄸ | 2,4,* |
ㅃ | 2,1,* |
ㅆ | 5,* |
ㅉ | 2,5,* |
< 한글 모음 입력 >
한글 모음 | 입력 순서 |
ㅏ | 9 |
ㅑ | 9,9 |
ㅓ | # |
ㅕ | #,# |
ㅗ | 8 |
ㅛ | 8,8 |
ㅜ | 0,0 |
ㅠ | 0,0,0 |
ㅡ | 0 |
ㅣ | 6 |
ㅢ | 0,6 |
ㅐ | 9,6 |
ㅔ | #,6 |
ㅒ | 9,9,6 |
ㅖ | #,#,6 |
도 5(e)에 개시된 다섯번째 10 모음 배열도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할 수 있다.
< 한글 자음 입력 >
한글 자음 | 입력 순서 |
ㄱ | 2,6 |
ㄴ | 4 |
ㄷ | 2,4 |
ㄹ | 7 |
ㅁ | 1 |
ㅂ | 2,1 |
ㅅ | 5 |
ㅇ | 3 |
ㅈ | 2,5 |
ㅊ | 2,2,5 |
ㅋ | 2,2,6 |
ㅌ | 2,2,4 |
ㅍ | 2,2,1 |
ㅎ | 2,3 또는 2,2,3 |
ㄲ | 2,6,* |
ㄸ | 2,4,* |
ㅃ | 2,1,* |
ㅆ | 5,* |
ㅉ | 2,5,* |
< 한글 모음 입력 >
한글 모음 | 입력 순서 |
ㅏ | 9 |
ㅑ | 9,9 |
ㅓ | # |
ㅕ | #,# |
ㅗ | 8,8 |
ㅛ | 8,8,8 |
ㅜ | 0 |
ㅠ | 0,0 |
ㅡ | 8 |
ㅣ | 6 |
ㅢ | 8,6 |
ㅐ | 9,6 |
ㅔ | #,6 |
ㅒ | 9,9,6 |
ㅖ | #,#,6 |
도 5(f)에 개시된 첫 번째 14 모음 배열도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할 수 있다.
< 한글 자음 입력 >
한글 자음 | 입력 순서 |
ㄱ | 2,6 |
ㄴ | 4 |
ㄷ | 2,4 |
ㄹ | 7 |
ㅁ | 1 |
ㅂ | 2,1 |
ㅅ | 5 |
ㅇ | 3 |
ㅈ | 2,5 |
ㅊ | 2,2,5 |
ㅋ | 2,2,6 |
ㅌ | 2,2,4 |
ㅍ | 2,2,1 |
ㅎ | 2,3 또는 2,2,3 |
ㄲ | 2,6,2,2,2 |
ㄸ | 2,4,2,2,2 |
ㅃ | 2,1,2,2,2 |
ㅆ | 5,2,2,2 |
ㅉ | 2,5,2,2,2 |
< 한글 모음 입력 >
한글 모음 | 입력 순서 |
ㅏ | 9 |
ㅑ | 9,9 |
ㅓ | # |
ㅕ | #,# |
ㅗ | 8 |
ㅛ | 8,8 |
ㅜ | 0 |
ㅠ | 0,0 |
ㅡ | * |
ㅣ | 6 |
ㅢ | *,6 |
ㅐ | 9,6 또는 6,6 |
ㅔ | #,6 또는 6,6,6 |
ㅒ | 9,9,6 또는 9,9,9 |
ㅖ | #,#,6 또는 #,#,# |
도 5(g)에 개시된 두 번째 14 모음 배열도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할 수 있다.
< 한글 자음 입력 >
한글 자음 | 입력 순서 |
ㄱ | 2,6 |
ㄴ | 4 |
ㄷ | 2,4 |
ㄹ | 2,2,2 |
ㅁ | 1 |
ㅂ | 2,1 |
ㅅ | 5 |
ㅇ | 3 |
ㅈ | 2,5 |
ㅊ | 2,2,5 |
ㅋ | 2,2,6 |
ㅌ | 2,2,4 |
ㅍ | 2,2,1 |
ㅎ | 2,3 또는 2,2,3 |
ㄲ | 2,6,7 |
ㄸ | 2,4,7 |
ㅃ | 2,1,7 |
ㅆ | 5,7 |
ㅉ | 2,5,7 |
< 한글 모음 입력 >
한글 모음 | 입력 순서 |
ㅏ | 9 |
ㅑ | 9,9 |
ㅓ | # |
ㅕ | #,# |
ㅗ | 8 |
ㅛ | 8,8 |
ㅜ | 0 |
ㅠ | 0,0 |
ㅡ | * |
ㅣ | 6 |
ㅢ | *,6 |
ㅐ | 9,6 또는 6,6 |
ㅔ | #,6 또는 6,6,6 |
ㅒ | 9,9,6 또는 9,9,9 |
ㅖ | #,#,6 또는 #,#,# |
도 5(h)에 개시된 세 번째 14 모음 배열도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할 수 있다.
< 한글 자음 입력 >
한글 자음 | 입력 순서 |
ㄱ | 2,6 |
ㄴ | 4 |
ㄷ | 2,4 |
ㄹ | 7 |
ㅁ | 1 |
ㅂ | 2,1 |
ㅅ | 5 |
ㅇ | 3 |
ㅈ | 2,5 |
ㅊ | 2,2,5 |
ㅋ | 2,2,6 |
ㅌ | 2,2,4 |
ㅍ | 2,2,1 |
ㅎ | 2,3 또는 2,2,3 |
ㄲ | 2,6,* |
ㄸ | 2,4,* |
ㅃ | 2,1,* |
ㅆ | 5,* |
ㅉ | 2,5,* |
< 한글 모음 입력 >
한글 모음 | 입력 순서 |
ㅏ | 9 |
ㅑ | 9,9 |
ㅓ | # |
ㅕ | #,# |
ㅗ | 8 |
ㅛ | 8,8 |
ㅜ | 0,0 |
ㅠ | 0,0,0 |
ㅡ | 0 |
ㅣ | 6 |
ㅢ | 0,6 |
ㅐ | 9,6 또는 6,6 |
ㅔ | #,6 또는 6,6,6 |
ㅒ | 9,9,6 또는 9,9,9 |
ㅖ | #,#,6 또는 #,#,# |
도 5(i)에 개시된 네 번째 14 모음 배열도는 다음과 같은 입력키 조합에 의하여 자음 및 모음을 표현할 수 있다.
< 한글 자음 입력 >
한글 자음 | 입력 순서 |
ㄱ | 2,6 |
ㄴ | 4 |
ㄷ | 2,4 |
ㄹ | 7 |
ㅁ | 1 |
ㅂ | 2,1 |
ㅅ | 5 |
ㅇ | 3 |
ㅈ | 2,5 |
ㅊ | 2,2,5 |
ㅋ | 2,2,6 |
ㅌ | 2,2,4 |
ㅍ | 2,2,1 |
ㅎ | 2,3 또는 2,2,3 |
ㄲ | 2,6,* |
ㄸ | 2,4,* |
ㅃ | 2,1,* |
ㅆ | 5,* |
ㅉ | 2,5,* |
< 한글 모음 입력 >
한글 모음 | 입력 순서 |
ㅏ | 9 |
ㅑ | 9,9 |
ㅓ | # |
ㅕ | #,# |
ㅗ | 8,8 |
ㅛ | 8,8,8 |
ㅜ | 0 |
ㅠ | 0,0 |
ㅡ | 8 |
ㅣ | 6 |
ㅢ | 0,6 |
ㅐ | 9,6 또는 6,6 |
ㅔ | #,6 또는 6,6,6 |
ㅒ | 9,9,6 또는 9,9,9 |
ㅖ | #,#,6 또는 #,#,# |
전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 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음(ㄱ 및 ㅋ)을 입력하는 세로획 입력키(ㅣ)는 한글 모음의 (ㅣ)를 입력할 수 있는 공통키로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의 개략적인 입력키 구성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6을 참조하면, 제6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는 ㄱ·ㄷ·ㅈ의 공통획(상변의 가로획)을 추출하여 한글자음을 입력하고, 자음 입력키 및 모음 입력키를 중복하여 사용하지 않는 대표적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한글입력장치의 키패드 상부에 한글 모음 ㅣ, ㆍ, ㅡ 획이 각각 배당된 입력키가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의 한글 입력장치는 한글 자음중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이 배당된 입력키와, ㄱ과 ㅋ의 세로획을 입력하는 제1 세로획 입력키(ㅣ)와, 한글 모음 ㅣ, ㆍ, ㅡ 획이 각각 배당된 입력키와, 거센소리 입력키와, 나란히쓰기 입력키를 포함한다.
즉, 제6 실시 예에 개시된 한글 입력장치는 "ㄱ, ㄴ" 해체입력형(ㄹ,ㅁ,ㅅ,ㅇ 추출형)(a), "ㄱ" 해체입력ㆍ"ㄴ"추출형(ㄴ,ㄹ,ㅁ,ㅅ,ㅇ 추출형)(b)으로 구분된다.
도 6(a)에 개시된 한글 입력장치는 ㄴ 및 ㄷ의 공통적인 가로획을 입력할 수 있는 제2 가로획(ㅡ)이 배당된 입력키와, ㄴ 및 ㄷ의 세로획을 입력하는 제2 세로획 입력키(ㅣ)를 더 포함하고, 대신 ㄴ입력키를 별도로 생성하지는 않는다. 도 6(b)에 개시된 한글 입력장치는 ㄴ입력키를 별도로 생성하는 구조이므로, 제2 가로획 및 세로획 입력키를 포함시키지 않는다. 도 6(a) 및 도 6(b)에서 ㅂ은 ㅁ입력키와 ㅂ으로의 추가획( )을 합친 가획기호( )를 사용하여 한글자음을 입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의 한글 입력장치는 한글 자음중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이 배당된 입력키와, ㄱ과 ㅋ의 세로획을 입력하는 제1 세로획 입력키(ㅣ)와, 한글 모음 ㅣ, ㆍ, ㅡ 획이 각각 배당된 입력키와, 거센소리 입력키와, 나란히쓰기 입력키를 포함한다.
즉, 제6 실시 예에 개시된 한글 입력장치는 "ㄱ, ㄴ" 해체입력형(ㄹ,ㅁ,ㅅ,ㅇ 추출형)(a), "ㄱ" 해체입력ㆍ"ㄴ"추출형(ㄴ,ㄹ,ㅁ,ㅅ,ㅇ 추출형)(b)으로 구분된다.
도 6(a)에 개시된 한글 입력장치는 ㄴ 및 ㄷ의 공통적인 가로획을 입력할 수 있는 제2 가로획(ㅡ)이 배당된 입력키와, ㄴ 및 ㄷ의 세로획을 입력하는 제2 세로획 입력키(ㅣ)를 더 포함하고, 대신 ㄴ입력키를 별도로 생성하지는 않는다. 도 6(b)에 개시된 한글 입력장치는 ㄴ입력키를 별도로 생성하는 구조이므로, 제2 가로획 및 세로획 입력키를 포함시키지 않는다. 도 6(a) 및 도 6(b)에서 ㅂ은 ㅁ입력키와 ㅂ으로의 추가획( )을 합친 가획기호( )를 사용하여 한글자음을 입력한다.
삭제
이상,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도 6(a)에 개시된 "ㄱ,ㄴ" 해체 입력형(ㄹ,ㅁ,ㅅ,ㅇ 추출형)(a)은 ㄱ과 ㄷ과 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을 추출하여 공통으로 사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며, ㄱ·ㄷ·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ㅁ에서 ㅂ으로의 추가획( )을 합친 가획기호( )를 사용하여 입력하고, ㄹ, ㅁ, ㅅ, ㅇ, 가획기호( ), 좌변의 세로획, 우변의 세로획, 하변의 가로획, 거센소리 기호( ), 나란히쓰기를 사용하여 한글 자음을 입력한다.
한편, 자음 배열은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기호와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좌변의 세로획과 하변의 세로획과는 ㄹ, ㅁ, ㅅ, ㅇ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고, 우변의 세로획과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와는 ㄹ 또는 ㅇ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고, 거센소리 기호( )와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좌변의 세로획과 하변의 세로획과는 ㄹ, ㅁ, ㅅ, ㅇ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고, 우변의 세로획과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나란히쓰기는 하변과 우변의 세로획과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다만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두 기호를 대표하여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고, 가획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를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거센소리 기호는 과 의 두 가지 기호를 모아놓은 형태이다. 기호는 ㅊ과 ㅎ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차청의 가획기호)이고, 는 ㅋ과 ㅌ과 ㅍ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이다. 즉 ㅊ은 과 ㅅ, ㅎ은 과 ㅇ의 결합으로 만들어지고, ㅋ은 과 ㅣ, ㅌ은 과 ㄴ, ㅍ은 과 ㅁ의 결합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과 ㅇ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원래 ㆆ이 생성되나 현재에는 사용되지 않는 글자이기에 ㅎ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자음 배열은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기호와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좌변의 세로획과 하변의 세로획과는 ㄹ, ㅁ, ㅅ, ㅇ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고, 우변의 세로획과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와는 ㄹ 또는 ㅇ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고, 거센소리 기호( )와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좌변의 세로획과 하변의 세로획과는 ㄹ, ㅁ, ㅅ, ㅇ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고, 우변의 세로획과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나란히쓰기는 하변과 우변의 세로획과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다만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두 기호를 대표하여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고, 가획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를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거센소리 기호는 과 의 두 가지 기호를 모아놓은 형태이다. 기호는 ㅊ과 ㅎ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차청의 가획기호)이고, 는 ㅋ과 ㅌ과 ㅍ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이다. 즉 ㅊ은 과 ㅅ, ㅎ은 과 ㅇ의 결합으로 만들어지고, ㅋ은 과 ㅣ, ㅌ은 과 ㄴ, ㅍ은 과 ㅁ의 결합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과 ㅇ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원래 ㆆ이 생성되나 현재에는 사용되지 않는 글자이기에 ㅎ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6(b)에 개시된 "ㄱ" 해체입력ㆍ"ㄴ"추출형(ㄴ,ㄹ,ㅁ,ㅅ,ㅇ 추출형)은 ㄱ과 ㄷ과 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을 추출하여 공통으로 사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며, ㄱ·ㄷ·ㅈ의 첫획인 가로획(상변의 가로획)과 ㅁ에서 ㅂ으로의 추가획( )을 합친 가획기호( )를 사용하여 입력하고, ㄴ, ㄹ, ㅁ, ㅅ, ㅇ입력키, 가획기호( ), 우변의 세로획, 거센소리 기호( ), 나란히쓰기를 사용하여 한글 자음을 입력한다.
한편, 자음 배열은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우변의 세로획과도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와는 ㄹ, ㅇ이 각각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고, 거센소리 기호( )와는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우변의 세로획과도 ㄹ이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나란히 쓰기는 우변의 세로획과 같은 버튼에 설정될 수 있다. 다만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같은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두 기호를 대표하여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고, 가획기호( )와 거센소리 기호( )가 다른 버튼에 설정되는 경우에는 가획기호( )를 가획을 의미하는 용어나 다른 기호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거센소리 기호는 과 의 두 가지 기호를 모아놓은 형태이다. 기호는 ㅊ과 ㅎ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차청의 가획기호)이고, 는 ㅋ과 ㅌ과 ㅍ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이다. 즉 ㅊ은 과 ㅅ, ㅎ은 과 ㅇ의 결합으로 만들어지고, ㅋ은 과 ㅣ, ㅌ은 과 ㄴ, ㅍ은 과 ㅁ의 결합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과 ㅇ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원래 ㆆ이 생성되나 현재에는 사용되지 않는 글자이기에 ㅎ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거센소리 기호는 과 의 두 가지 기호를 모아놓은 형태이다. 기호는 ㅊ과 ㅎ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차청의 가획기호)이고, 는 ㅋ과 ㅌ과 ㅍ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거센소리 기호이다. 즉 ㅊ은 과 ㅅ, ㅎ은 과 ㅇ의 결합으로 만들어지고, ㅋ은 과 ㅣ, ㅌ은 과 ㄴ, ㅍ은 과 ㅁ의 결합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과 ㅇ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원래 ㆆ이 생성되나 현재에는 사용되지 않는 글자이기에 ㅎ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1 실시 예 내지 제6 실시 예에 제시된 한글 입력키 구성도에 대한 자음 및 모음 입력키 조합은 본 실시예에 제시된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제시된 입력키의 조합과 유사하거나 제시된 입력키 구성의 범위내에서 변형하여 원하는 한글 자모를 입력하는 방법도 본 발명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한글입력장치는 자음 입력시 중복현상이 없는 연속자음입력방식으로서, 자음을 중복적으로 키버튼에 배치한 종래의 기술(S사)은 자음 입력시, 종성과 다음 글자의 초성이 같은 자음인 경우, 자음충돌 현상이 발생하여 일정 시간을 기다리거나 우측방향키를 눌러 다음 칸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글자를 연속적으로 쓰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문자입력의 시간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종성과 겹치는 초성의 자음에 계속적으로 주의를 요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자음충돌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입력방식으로 계속적으로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인지적 부담감을 덜어준다.
또한, 한글을 쓰는 순서와 동일한 자음입력방식으로서, 가획의 원리를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L사)은 실제 글을 쓰는 순서와 반대로 기본자음을 쓰고 가획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이는 실제로 한글 자음을 쓰는 방식과 반대의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들로 하여금 문자 입력시 한글 원리를 생각하게 함으로써 인지적 부담감을 겪게 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실제 펜으로 글을 쓸 때와 같은 순서로 문자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이다.
또한, 자음은 상변·좌변에 배치하고, 모음은 하변·우변에 배치한 알기 쉬운 자판 구조로서, 종래의 기술은 자음과 모음의 위치에 있어서, 모음을 상변에 배치시키는 방식(S사)과 우변과 하변에 배치시키는 방식(L사)이 있다. 실제 글을 쓰는데 있어서 모음은 자음의 우변과 하변에 위치하게 됨으로 상변에 모음을 배치한 방식은 자음의 입력 후 모음을 입력하기 위하여 상변으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이러한 방식은 특히 양손 입력시 효율성이 더욱 저하되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기존의 우변과 하면에 배치시키는 방식은 ㅗ 와 ㅜ 는 하변에 위치하 는 모음임에도 불구하고 우변에 배치시킴으로써 실제로 글을 쓰는 것과 다르게 입력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실제로 글을 쓰는 방식과 동일하게 자음은 상변, 좌변에 배치하고 실제 모음의 위치에 맞도록 하변과 우변에 각각 배치하여 쓰기 쉽도록 한 방식이다.
또한, 글씨를 펜으로 쓰는 것과 인지구조가 동일하여 실재감이 뛰어난 문자입력방식으로서, 문자입력 방식에서 사용자의 인지적 부담감을 덜어주는 가장 좋은 방법은 펜으로 글씨를 쓰는 것과 같은 형태의 방식이다. 그러나 완전히 획을 해체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한글 입력을 위해 너무 많은 키조작이 필요하여 오히려 더 불편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문자입력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획의 해체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이다.
또한, 최소의 기호와 문자를 사용함으로써 초소형 제품에 적합한 입력방식으로서, 소형기기의 문자입력 방식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버튼의 수를 늘릴 수 없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들은 하나의 버튼에 여러 개의 자음과 모음을 배치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아주 작은 버튼을 사용해야 하는 초소형 제품들의 경우 여러 개의 문자를 표시하기가 어렵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버튼 하나에 최소의 기호와 문자를 사용함으로써 아무리 작은 버튼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최소의 기호와 문자를 사용함으로써 자판 암기가 용이한 입력방식으로서, 본 발명은 최소의 기호와 문자를 사용함으로써 자판이 단순화되어 자판 암기가 용이한 방식이다.
또한, 한손입력과 양손입력의 모든 방법에 편리한 입력방식으로서, 본 발명은 자음과 모음의 조합에 있어서 각 키버튼을 거리가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한손 입력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하나의 키버튼에 최소의 자음과 모음을 배치시킴으로써 하나의 키버튼을 연속해서 눌러야 하는 경우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양손입력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단 한번의 설명이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쉬운 입력방식으로서, 본 발명은 글자의 모양이 키버튼에서 보여지는 대로 입력하는 가장 단순한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누구나 한번의 설명으로 쉽게 사용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누구나 쉽게 분당 300타 이상이 가능한 기존의 어떤 방식보다 빠른 입력속도로 입력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본 발명은 자음충돌 현상이 없어 계속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한글을 실제 쓰는 방식과 같은 순서로 입력하게 하는 방식으로 장문을 입력하는 경우 더욱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핸드폰이나 PDA들이 소형컴퓨터화 되는 시점에서 이러한 문자입력 방식은 더욱 유용하다.
또한, 오락게임보다 재미있고 입력자의 언어감성을 그대로 유지시켜주는 언어감성입력방식으로서, 본 발명은 시각적 디자인을 이용한 입력방법이다. 사용자에게 가장 편하고 단순한 원리를 채택함으로써 문자 입력에 대한 부담감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이는 그대로 문자를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어 문자를 입력하는 그 자체에 신경을 쓰기 보다는 자신의 인지적 사고와 감성을 그대로 유지한 채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천지인의 세 개의 기호로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 한글고어의 입력에 있어서 ㆎ, ㆌ, 등의 경우에 ㅓ, ㅝ, ㅏ 과 구별하여 한글 고어 등을 입력할 수 없다. 또한, 모음 입력시 우에서 좌로, 하에서 상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실제 글을 쓰는 순서와 다르게 모음을 입력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의 4모음을 이용하여 모음을 조합하는 방법은 좌상의 ㆍ와 우하의 ㆍ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경우 ㆍ로 설정함으로써 한글고어의 입력에 있어서 ㆎ, 등의 경우에 ㅓ, ㅏ 과 구별할 수 있게 되어 모든 한글의 모음을 완벽하게 구현해 낼 수 있다. 또한 ㆍ의 음과 양을 구별하여 배치함으로써 ㆌ와 ㅝ를 구별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모음 입력시 좌에서 우로, 상에서 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실제 글을 쓰는 순서와 동일하게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Claims (12)
-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자음 및 모음 입력키를 구비하여 한글을 표현하는 콤팩트 키패드형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상기 자음 입력키는,상기 한글 자음 중 ㄱ, ㄷ, 및 ㅈ의 공통적인 제1 가로획(ㅡ)이 배당된 제1 가로획 입력키,상기 한글 자음 중 ㄱ 및 ㅋ의 공통적인 제1 세로획(ㅣ)이 배당된 제1 세로획 입력키,상기 한글 자음 중 ㄹ, ㅁ, ㅅ, ㅇ을 입력하기 위해 각각 배당된 ㄹ, ㅁ, ㅅ, ㅇ 입력키,상기 한글 자음 중 거센소리를 입력하는 거센소리 입력키, 및상기 한글 자음의 나란히쓰기를 입력하는 나란히쓰기 입력키를 포함하는 콤팩트 키패드형 한글 입력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자음 입력키는 상기 한글 자음 중 ㄴ을 입력하기 위해 배당된 ㄴ 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콤팩트 키패드형 한글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자음 입력키는,상기 한글 자음 중 ㄴ의 가로획 및 ㄷ의 가로획을 입력하기 위해 배당된 제2 가로획 입력키, 및상기 한글 자음 중 ㄴ의 세로획 및 ㄷ의 세로획을 입력하기 위해 배당된 제2세로획 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콤팩트 키패드형 한글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자음 입력키는, 상기 한글 자음 중 ㅂ을 입력하기 위해 배당된 ㅂ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콤팩트 키패드형 한글입력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세로획 입력키 및 제2 가로획 입력키는 상기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모음 입력키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입력키인 콤팩트 키패드형 한글입력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모음입력키는 상기 공통입력키와 조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기본획(ㆍ) 및 (ㅡ)이 각각 배당된 입력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콤팩트 키패드형 한글입력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모음입력키는 상기 공통입력키와 조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배당된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ㅢ), (ㅐ), (ㅔ), (ㅒ), 및 (ㅖ)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콤팩트 키패드형 한글입력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모음 입력키는 조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기본획 (ㅣ), (ㆍ) 및 (ㅡ)이 각각 배당된 (ㅣ), (ㆍ) 및 (ㅡ) 입력키를 포함하는 콤팩트 키패드형 한글입력장치.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1587 | 2004-11-10 | ||
KR20040091587 | 2004-11-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2861A KR20060042861A (ko) | 2006-05-15 |
KR100744230B1 true KR100744230B1 (ko) | 2007-07-30 |
Family
ID=3714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4053A KR100744230B1 (ko) | 2004-11-10 | 2005-01-17 | 한글입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4230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7129A (ko) * | 1999-11-29 | 2000-02-07 | 호은숙 |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
KR20000059919A (ko) * | 1999-03-10 | 2000-10-16 | 허진호 |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자음/모음 입력방법 |
KR20020019720A (ko) * | 2000-09-06 | 2002-03-13 | 윤종용 | 무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KR20030049443A (ko) * | 2001-12-15 | 2003-06-25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
KR20040070140A (ko) * | 2004-07-13 | 2004-08-06 | 서영환 | 가로세로막대 한글입력키패드 |
-
2005
- 2005-01-17 KR KR1020050004053A patent/KR10074423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9919A (ko) * | 1999-03-10 | 2000-10-16 | 허진호 |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자음/모음 입력방법 |
KR20000007129A (ko) * | 1999-11-29 | 2000-02-07 | 호은숙 |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
KR20020019720A (ko) * | 2000-09-06 | 2002-03-13 | 윤종용 | 무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KR20030049443A (ko) * | 2001-12-15 | 2003-06-25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
KR20040070140A (ko) * | 2004-07-13 | 2004-08-06 | 서영환 | 가로세로막대 한글입력키패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2861A (ko) | 2006-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369187B (zh) | 汉字输入方法 | |
KR100881549B1 (ko) |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
CN101980125B (zh) | 六角连触拼音输入法 | |
CN101620480A (zh) | 触摸屏上实现手写笔画输入的方法 | |
CN101021763A (zh) | 一种触摸屏幕上软键盘布局快速输入方法 | |
CN1896940A (zh) | 触摸屏输入方法 | |
JP6681518B2 (ja) | 文字入力装置 | |
CN101414213A (zh) | 人类语言、文字、符号点划式人机界面 | |
CN101986250B (zh) | 一种基于虚拟键盘的滑笔输入系统 | |
KR101126734B1 (ko) |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 |
US8711100B2 (en) | Sign language keyboard and sign language searc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Niu et al. | Stroke++: A new Chinese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mobile phones | |
KR100744230B1 (ko) | 한글입력장치 | |
CN1310119C (zh) | 一种用于触摸屏的软键盘及输入方式 | |
JP2005228016A (ja) | 文字表示方法 | |
CN101719023A (zh) | 手持式汉字输入键盘及操作方法 | |
KR101921586B1 (ko) |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 |
CN104571705B (zh) | 用于触摸屏设备的中文输入系统 | |
KR20190066161A (ko) |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 |
KR101927972B1 (ko) | 전자 기기의 한글 입력 시스템 | |
KR20120080474A (ko) | 선긋기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 |
JP2012113685A (ja) | 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 |
KR101785649B1 (ko) |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 |
CN104808927A (zh) | 从空格键向左或向右滑行显示输入首拼语句的方法和系统 | |
CN202205162U (zh) | 一种基于触摸屏的移动终端键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