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567B1 -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 및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 및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567B1
KR100650567B1 KR1020030000954A KR20030000954A KR100650567B1 KR 100650567 B1 KR100650567 B1 KR 100650567B1 KR 1020030000954 A KR1020030000954 A KR 1020030000954A KR 20030000954 A KR20030000954 A KR 20030000954A KR 100650567 B1 KR100650567 B1 KR 100650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dial
pressing
dial button
con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3504A (ko
Inventor
김우찬
Original Assignee
김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찬 filed Critical 김우찬
Priority to KR1020030000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5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6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에 구비되는 하나의 다이얼버턴에 한글 자음하나와 모음하나를 배열하고 이를 순서에 입각하여 배열함으로서 문자 입력시 한글 자음과 모음의 순서만 알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문자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익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에 구비되는 다이얼버턴(30,31)을 이용하여 한글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이얼버턴(30,31)의 1에서 0까지 자음(32,33)과 모음(34,35)의 본래의 순서에 입각하여 배열하여 보다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되;
다이얼버턴 1에는 자음 ㄱ과 모음 ㅏ를, 다이얼버턴 2에는 자음 ㄴ과 모음 ㅑ를, 다이얼버턴 3에는 자음 ㄷ과 모음 ㅓ를, 다이얼버턴 4에는 자음 ㄹ과 모음 ㅕ를, 다이얼버턴 5에는 자음 ㅁ과 모음 ㅗ를, 다이얼버턴 6에는 자음 ㅂ과 모음 ㅛ를, 다이얼버턴 7에는 자음 ㅅ과 모음 ㅜ를, 다이얼버턴 8에는 자음 ㅇ과 모음 ㅠ를, 다이얼버턴 9에는 자음 ㅈ과 모음 ㅡ를, 다이얼버턴 0에는 자음 ㅎ과 모음 ㅣ를 배열하여 기본적인 문자는 다이얼버턴을 연속적으로 눌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다이얼버턴 0의 양측에 구비되는 기는버턴 중 별표(*)버턴(40)은 각각의 자음이나 모음을 결합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고, 샤프(#)버턴(41)은 자간 간격띄울 때 사용하는 스페이스(Space)기능과 자음과 모음 및 자음 중 한가지가 없을 때 사용하도록 하여;
다이얼버턴에 배열된 자음과 모음 및 기능버턴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자모음은 물론 자음 된소리와 자음거친소리, 모음복합음 및 연기받침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폰, 문자

Description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 및 입력방법{Arrangement method of a letter for mobile phone and input method}
도 1은 종래 기술의 방법으로 문자가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휴대폰의 다이얼버턴부를 발췌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의 방법으로 문자가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휴대폰의 다이얼버턴부를 발췌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문자가 배열된 휴대폰의 다이얼버턴을 이용하여 자음 된소리를 입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표.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문자가 배열된 휴대폰의 다이얼버턴을 이용하여 자음 거친소리를 입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표.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문자가 배열된 휴대폰의 다이얼버턴을 이용하여 모음 복합음을 입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표.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문자가 배열된 휴대폰의 다이얼버턴을 이용하여 연기받침을 입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표.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31; 다이얼버턴
32,33; 자음
34,35; 모음
40; 기능버턴
본 발명은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 및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구비되는 다이얼버턴에 문자입력을 위한 문자(한글)배열을 새롭게 하여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력하여 다양하게 문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 문자 배열방법과 입력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이동통신 전화기를 일컫는 것으로서 그 종류 또한 다양한 것이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또는 모빌폰)과,
개인휴대통신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를 약칭하여 이르는 피시에스(PCS)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폰은 각 지역에 설치되는 중계기지국에 의하여 송,수신파를 전달받아 통화가 가능하게 되고, 현재 널리 보급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개개인이 상시 휴대하여 다니면서 통화는 물론 각종의 문자를 입력하여 메세지로 보내는 등 그 활용도가 많은 것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폰의 문자배열을 도 1을 통하여 살펴보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이얼버턴(1,2)이 구비되고 상기 다이얼버턴에는 0에서 9까지의 아라비아 숫자(3,4)를 크게 배열하고 있으며, 부수적으 로는 영문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영문알파벳(5,6)과 한글의 자음(7,8)과 모음((10)을 배열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송신을 위한 전화번호의 입력은 다이얼버턴에 구비되는 아라비아 숫자를 전화번호와 동일한 숫자를 입력한 후 통화버턴을 눌러줌으로서 다이얼링이 이루어져 전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휴대폰에 구비되는 전화번호 입력이나 메모, 문자메세지 보내기 등과 같이 각종의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문자를 입력하게 되는데. 이떼 다이얼버턴에 함께 배열된 영문 알파벳이나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한글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의 휴대폰 마다 문자(자음과 모음)의 배열상태가 상이하기 때문에 각 기종마다 적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한글문자의 배열상태가 아라비아 숫자와 영문 알파벳에 비하여 복잡하고 작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한글로 문자를 입력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특히, 휴대폰의 구비되는 문자의 특성상 하나의 버턴에 다수의 문자가 배열되고 하나의 버턴에 배열된 문자를 사용할 때에는 배열 순서에 맞게 해당 버턴을 눌러줌으로서 입력할 수 있게된다.
즉, 하나의 다이얼첫번째 문자는 해당버턴을 한번 누르고 두번째 문자는 해당버턴을 두번 누르고, 세번째 문자는 해당버턴을 세번 눌러줌으로서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한 후 다른 다이얼버턴에 배열된 자음 또는 모음을 한번이상 입력하여 하나의 글자를 완성하고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하나의 단어 또는 문장을 입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문자를 입력할 때에는 언급한 바와같이 하나의 글자를 완성하기 위해서도 한글 자음과 모음의 배열과는 다르게 배열되어 있어 이를 찾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문자 입력이 용이하지 않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휴대폰에 구비되는 하나의 다이얼버턴에 한글 자음하나와 모음하나를 배열하고 이를 순서에 입각하여 배열함으로서 문자 입력시 한글 자음과 모음의 순서만 알면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문자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의 방법으로 문자가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휴대폰의 다이얼버턴부를 발췌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문자가 배열된 휴대폰의 다이얼버턴을 이용하여 자음 된소리를 입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표,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문자가 배열된 휴대폰의 다이얼버턴을 이용하여 자음 거친소리를 입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표,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문자가 배열된 휴대폰의 다이얼버턴을 이용하여 모음 복합음을 입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표,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문자가 배열된 휴대폰의 다이얼버턴을 이용하여 연기받침을 입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표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에 구비되는 다이얼버턴(30,31)에 한글문자 자음(32,33)과 모음(34,35)을 배열함에 있어 한글문자의 자음(32,33)과 모음(34,35)의 본래의 순서에 입각하여 다이얼버턴(30,31)의 1에서 0까지 배열하여 보다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이얼버턴 1에는 자음 ㄱ과 모음 ㅏ를 배열하고,
다이얼버턴 2에는 자음 ㄴ과 모음 ㅑ를 배열하고,
다이얼버턴 3에는 자음 ㄷ과 모음 ㅓ를 배열하고,
다이얼버턴 4에는 자음 ㄹ과 모음 ㅕ를 배열하고,
다이얼버턴 5에는 자음 ㅁ과 모음 ㅗ를 배열하고,
다이얼버턴 6에는 자음 ㅂ과 모음 ㅛ를 배열하고,
다이얼버턴 7에는 자음 ㅅ과 모음 ㅜ를 배열하고,
다이얼버턴 8에는 자음 ㅇ과 모음 ㅠ를 배열하고,
다이얼버턴 9에는 자음 ㅈ과 모음 ㅡ를 배열하고,
다이얼버턴 0에는 자음 ㅎ과 모음 ㅣ를 배열한다.
그리고, 다이얼버턴 0의 양측에 구비되는 별표(*)버턴(40)은 각각의 자음이나 모음을 결합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고, 샤프(#)버턴(41)은 자간 간격띄울 때 사용하는 스페이스(Space)기능과 자음과 모음 및 자음 중 한가지가 없을 때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에 배열된 자음과 모음 및 기능버턴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자모음은 물론 자음 된소리와 자음거친소리, 모음복합음 및 연기받침을 다이얼버턴 1에서 0까지 기 배열된 자음과 모음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이얼버턴과 기능버턴을 이용하여 자음 된소리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ㄲ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자음ㄱ을 두번 결합하여 만들어지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1과 별표버턴(40) 및 다시 다이얼버턴 1을 눌러 입력한다.
ㄸ의 경우에는 다이얼버턴 3과 별표버턴(40) 및 다시 다이얼버턴 3을 눌러 입력하고,
ㅃ은 다이얼버턴 6과 별표버턴(40) 및 다시 다이얼버턴 6을 눌러 입력하고,
ㅆ은 다이얼버턴 7과 별표버턴(40) 및 다시 다이얼버턴 6을 눌러 입력하고,
ㅉ은 다이얼버턴 9와 별표버턴(40) 및 다시 다이얼버턴 9를 눌러 입력한다.
자음거친소리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ㅊ은 자음ㅈ과 자음ㅎ을 결합시켜 입력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9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도록 하고,
ㅋ은 자음ㄱ과 자음ㅎ을 결합시켜 입력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1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도록 하고,
ㅌ은 자음ㄷ과 자음ㅎ을 결합시켜 입력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3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도록 하고,
ㅍ은 자음ㅂ과 자음ㅎ을 결합시켜 입력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6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도록 한다.
모음복합음을 독립적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ㅐ의 경우에는 모음ㅏ와 모음ㅣ를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모음선택을 위한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1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0을 눌러 입력하고,
ㅒ의 경우에는 모음ㅑ와 모음ㅣ를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모음선택을 위한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2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ㅔ의 경우에는 모음 ㅓ와 모음 ㅣ를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모음선택을 위한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3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ㅖ의 경우에는 모음 ㅕ와 모음 ㅣ를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모음선택을 위한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ㅘ의 경우에는 모음 ㅗ와 모음 ㅏ를 결합하여 완성함으로서 모음선택을 위한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5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1을 눌러 입력하고,
ㅙ의 경우에는 모음 ㅗ와 모음 ㅏ와 모음 ㅣ를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모음선택을 위한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5와 별표버턴(40), 다이얼버턴 1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ㅚ의 경우에는 모음 ㅗ와 모음 ㅣ를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모음선택을 위한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5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ㅝ의 경우에는 모음 ㅜ와 모음 ㅓ를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모음선택을 위한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7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3을 눌러 입력하고,
ㅞ의 경우에는 모음 ㅜ와 모음 ㅓ 및 모음 ㅣ를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모음선택을 위한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7과 별표버턴(40), 다이얼버턴 3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터 0을 눌러 입력하고,
ㅟ의 경우에는 모음 ㅜ와 모음 ㅣ를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모음선택을 위한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7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ㅢ의 경우에는 모음 ㅡ와 모음 ㅣ를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모음선택을 위한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9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도록 구성한다.
물론, 상기 모음복합음의 앞에 자음이 붙을 경우에는 모음선택을 위한 샤프버턴(41)을 누르지 않고,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버턴을 누른 후 해당 모음복합음에 해당하는 버턴을 눌러 입력하면 된다.
연기받침의 경우에는,
ㄳ은 자음 ㄱ과 자음 ㅅ을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1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7을 눌러 입력하고,
ㄵ은 자음 ㄴ과 자음 ㅈ을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2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9를 눌러 입력하고,
ㄶ은 자음 ㄴ과 자음 ㅎ을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2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ㄺ은 자음 ㄹ과 자음 ㄱ을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1을 눌러 입력하고,
ㄻ은 자음 ㄹ과 자음 ㅁ을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5를 눌러 입력하고,
ㄼ은 자음 ㄹ과 자음 ㅂ을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6을 눌러 입력하고,
ㄽ은 자음 ㄹ과 자음 ㅅ을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7을 눌러 입력하고,
ㄾ은 자음 ㄹ과 자음 ㅌ을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다이얼버턴 3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ㄿ은 자음 ㄹ과 자음 ㅍ을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4와 별 표버턴(40), 다이얼버턴 6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로 입력하고,
ㅀ은 자음 ㄹ과 자음 ㅎ을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로 입력하고,
ㅄ은 자음 ㅂ과 자음 ㅅ을 결합하여 완성되도록 함으로서 다이얼버턴 6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7을 눌러 입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가이얼버턴에 배열된 자음과 모음을 이용하여 보다 쉽게 문자를 입력(만들)할 수 있게되는 데, 간단 한 예로서 글자 "가"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이얼버턴 1을 연속하여 두번과 샤프버턴(41)을 눌러줌으로서 자음 ㄱ과 모음 ㅏ가 순차적인 결합에 의하여 "가"가 입력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나는 간다"의 경우에는 다이얼버턴 2와 다이얼버턴 1과 샤프버턴(41)을 눌로 "나"를 입력하고, 다시 다이얼버턴 2와 다이얼버턴 9 및 다이얼버턴 2를 눌러 "는"을 입력하고 별표버턴(40)을 이용하여 자간 간격을 띄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다이얼버턴 1,1,2,3,1과 샤프버턴(41)을 순차적으로 눌러줌으로서 "간다"가 입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자음과 모음의 단순결합으로 문자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다이얼버턴에 배열된 자음과 모음에 해당되는 버턴을 눌러줌으로서 쉽게 입력할 수 있게되고, 자음 된소리나 자음 거친소리, 모음복함음 및 연기받침과 같이 다이얼버턴의 연속적인 누름에 의하여 문자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더하기 기능을 가지는 기능버턴(*=40)을 이용하여 문자의 구성에 필요한 자음 된소리나 자음 거친 소리, 모음복함음 및 연기받침을 만들 수 있게된다.
이러한 예를 살펴보면,
자음된소리가 들어가는 "밖에"의 "밖"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이얼버턴 6과 1을 연속적으로 눌러 "바"를 입력하고, 다이얼버턴 1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1을 눌러 "ㄲ"을 입력하여 "밖"을 입력하면 되는 것이다.
자음거친소리가 들어가는 "탁구"의 "탁"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이얼버턴 3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ㅌ"자를 입력하고, 연이어 다이얼버턴 1을 연속하여 두번 눌어주어 "탁"자를 완성하여 입력하면 되는 것이다.
모음복합음이 들어가는 "애국가"의 "애"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이얼버턴 8을 눌러 "ㅇ"을 입력하고, 연이어 다이얼버턴 1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과 샤프버턴(41;받침이 없기 때문에)을 눌러 "ㅐ"자를 입력하여 "애"자자 되도록 하면된다.
연기받침이 들어가는 "밝은달"의 "밝"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이얼버턴 6과 1을 순차적으로 눌러 "바"를 입력하고,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1을 눌러 "ㄺ"을 더하여 "밝"자를 입력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순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지는 문자는 해당 자음과 모음이 배열된 다이얼버턴을 연속적으로 눌러서 문자를 입력하게 되고, 특수한 글자체의 경우에는 다이얼버턴과 기능버턴의 조합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 휴대폰을 이용하여 문자의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폰은 물론 일반적인 전화기나 전자수첩, 컴퓨터의 뉴 메릭키보드등에 적용하여도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주에 속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휴대폰에 구비되는 하나의 다이얼버턴에 한글 자음하나와 모음하나를 배열하고 이를 순서에 입각하여 배열함으로서 문자 입력시 한글 자음과 모음의 순서만 알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문자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익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휴대폰에 구비되는 다이얼버턴(30,31)을 이용하여 한글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에 있어서;
    다이얼버턴(30,31)의 1에서 0까지 자음(32,33)과 모음(34,35)의 본래의 순서에 입각하여 배열하여 보다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다이얼버턴 1에는 자음 ㄱ과 모음 ㅏ를, 다이얼버턴 2에는 자음 ㄴ과 모음 ㅑ를, 다이얼버턴 3에는 자음 ㄷ과 모음 ㅓ를, 다이얼버턴 4에는 자음 ㄹ과 모음 ㅕ를, 다이얼버턴 5에는 자음 ㅁ과 모음 ㅗ를, 다이얼버턴 6에는 자음 ㅂ과 모음 ㅛ를, 다이얼버턴 7에는 자음 ㅅ과 모음 ㅜ를, 다이얼버턴 8에는 자음 ㅇ과 모음 ㅠ를, 다이얼버턴 9에는 자음 ㅈ과 모음 ㅡ를, 다이얼버턴 0에는 자음 ㅎ과 모음 ㅣ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
  2. 휴대폰에 구비되는 다이얼버턴(30,31)을 이용하여 한글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에 있어서;
    다이얼버턴(30,31)의 1에서 0까지 자음(32,33)과 모음(34,35)의 본래의 순서에 입각하여 배열하여 보다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다이얼버턴 1에는 자음 ㄱ과 모음 ㅏ를, 다이얼버턴 2에는 자음 ㄴ과 모음 ㅑ를, 다이얼버턴 3에는 자음 ㄷ과 모음 ㅓ를, 다이얼버턴 4에는 자음 ㄹ과 모음 ㅕ를, 다이얼버턴 5에는 자음 ㅁ과 모음 ㅗ를, 다이얼버턴 6에는 자음 ㅂ과 모음 ㅛ를, 다이얼버턴 7에는 자음 ㅅ과 모음 ㅜ를, 다이얼버턴 8에는 자음 ㅇ과 모음 ㅠ를, 다이얼버턴 9에는 자음 ㅈ과 모음 ㅡ를, 다이얼버턴 0에는 자음 ㅎ과 모음 ㅣ를 배열하여 기본적인 문자는 다이얼버턴을 연속적으로 눌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다이얼버턴 0의 양측에 구비되는 기는버턴 중 별표(*)버턴(40)은 각각의 자음이나 모음을 결합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고, 샤프(#)버턴(41)은 자간 간격띄울 때 사용하는 스페이스(Space)기능과 자음과 모음 및 자음 중 한가지가 없을 때 사용하도록 하여;
    다이얼버턴에 배열된 자음과 모음 및 기능버턴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자모음은 물론 자음 된소리와 자음거친소리, 모음복합음 및 연기받침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문자 입력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자음 된소리의 입력은,
    ㄲ은 다이얼버턴 1과 별표버턴(40) 및 다시 다이얼버턴 1을 눌러 입력하고,
    ㄸ은 다이얼버턴 3과 별표버턴(40) 및 다시 다이얼버턴 3을 눌러 입력하고,
    ㅃ은 다이얼버턴 6과 별표버턴(40) 및 다시 다이얼버턴 6을 눌러 입력하고,
    ㅆ은 다이얼버턴 7과 별표버턴(40) 및 다시 다이얼버턴 6을 눌러 입력하고,
    ㅉ은 다이얼버턴 9와 별표버턴(40) 및 다시 다이얼버턴 9를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문자 입력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자음거친소리의 입력은,
    ㅊ은 다이얼버턴 9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ㅋ은 다이얼버턴 1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ㅌ은 다이얼버턴 3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ㅍ은 다이얼버턴 6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문자 입력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모음복합음의 독립적인 입력은,
    ㅐ는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1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0을 눌러 입력하고,
    ㅒ는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2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ㅔ는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3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ㅖ는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ㅘ는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5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1을 눌러 입력하고,
    ㅙ는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5와 별표버턴(40), 다이얼버턴 1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ㅚ는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5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ㅝ는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7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3을 눌러 입력하고,
    ㅞ는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7과 별표버턴(40), 다이얼버턴 3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터 0을 눌러 입력하고,
    ㅟ는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7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ㅢ는 샤프버턴(41)과 다이얼버턴 9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문자 입력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연기받침의 입력은,
    ㄳ은 다이얼버턴 1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7을 눌러 입력하고,
    ㄵ은 다이얼버턴 2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9를 눌러 입력하고,
    ㄶ은 다이얼버턴 2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ㄺ은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1을 눌러 입력하고,
    ㄻ은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5를 눌러 입력하고,
    ㄼ은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6을 눌러 입력하고,
    ㄽ은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7을 눌러 입력하고,
    ㄾ은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다이얼버턴 3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러 입력하고,
    ㄿ은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다이얼버턴 6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로 입력하고,
    ㅀ은 다이얼버턴 4와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0을 눌로 입력하고,
    ㅄ은 다이얼버턴 6과 별표버턴(40) 및 다이얼버턴 7을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문자 입력방법.
KR1020030000954A 2003-01-08 2003-01-08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 및 입력방법 KR100650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954A KR100650567B1 (ko) 2003-01-08 2003-01-08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 및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954A KR100650567B1 (ko) 2003-01-08 2003-01-08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 및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504A KR20040063504A (ko) 2004-07-14
KR100650567B1 true KR100650567B1 (ko) 2006-11-27

Family

ID=3735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954A KR100650567B1 (ko) 2003-01-08 2003-01-08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 및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5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504A (ko)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9976B1 (ko) 단축형 키패드를 사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7695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자모 배치구조
KR20000044417A (ko) 영문자 간편 입력방법
KR100650567B1 (ko)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 및 입력방법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20010039239A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20030005546A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자 입력방법
CN100464285C (zh) 手机码手机输入平台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2004004227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WO2000024179A1 (en) Method of searching stored telephone numbers in cellular phones
JP2000276288A (ja) 携帯端末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20080023068A (ko) 영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장치
KR100651400B1 (ko) 가로세로막대한글에 의한 핸드폰한글입력 방법
KR100377416B1 (ko)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7959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JP3071704B2 (ja) キー入力装置
KR200378650Y1 (ko) 한글 입력 가능한 무선 단말기
KR100603531B1 (ko) 문자입력장치
KR19990043657A (ko) 전화기의 숫자 및 기능버튼을 이용한 문자 발생방법
KR20000060703A (ko) 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00054571A (ko) 휴대전화기 숫자판에서의 한글입력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