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173B1 -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및 한글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및 한글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173B1
KR100433173B1 KR10-2002-0009853A KR20020009853A KR100433173B1 KR 100433173 B1 KR100433173 B1 KR 100433173B1 KR 20020009853 A KR20020009853 A KR 20020009853A KR 100433173 B1 KR100433173 B1 KR 100433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hangul
consonant
keypad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0341A (ko
Inventor
설영욱
Original Assignee
넷코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넷코덱(주) filed Critical 넷코덱(주)
Priority to KR10-2002-0009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1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및 한글 입력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 및 # 의 12개 각 키패드(keypad)에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한글 자모가 할당된 전화기에 있어서, 한글 음절 구성시의 사용 빈도와 기하학적인 유사성에 따라 상기 12개 키패드 중 일부에 모음과 중복되지 않도록 자음이 배정된 복수의 자음 패드, 자음과 중복되지 않도록 소정의 6개의 단모음이 배정된 복수의 모음 패드 및 자음 패드 및 모음 패드가 눌러지는 순서와 그 눌러지는 시간 간격에 따라 한글 문자를 생성하는 한글생성부를 포함하여, 많이 사용되는 순서로 배치되면서도 한글 자소의 순서대로 배치되며 외형적으로 연관성이 큰 자음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자소 순서대로 배치된 단모음들을 이용해서 필기할 때와 마찬가지의 순서대로 복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기 등에서 축소된 한글 자판 혹은 키패드를 통해 한글 입력을 할 때에, 최소 회수의 키패드 입력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및 한글 입력 방법 {Keypad telephone with Korean character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using the keypad}
본 발명은 전화기를 이용해서 한글을 입력하는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히는 효율적으로 그리고 최소한의 입력으로 복모음을 포함하는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전화기와 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전화기의 키패드 혹은 자판을 이용해서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 대한 것은 많이 소개되어 있고 또 사용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한글 입력 방식은 자음군과 모음군을 구분하여 특정한 방식으로 자음군과 모음군을 자판에 할당하고, 그 자판을 조작하여 하나 이상의 한글 음절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자음과 모음을 자판에 할당한 후 실제로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하고자 할 때에 입력 방식에 따라 또는 그 입력 방식에 따른 한글 입력 자판의 배열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편이성과 입력 속도는 많은 차이가 생긴다.
전화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에 대한 기존의 기술들은 자음 분류에 대해 자의적으로 적용을 하거나 혹은 한글 자소 생성의 원리적인 면이 강조되어 실제로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하고자 할 때의 효율과 속도가 간과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특1996-043680호의 발명에서 천지인의 3가지 자판으로 모든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모음을 3개의 키로만 입력하는 탁월한 효율을 보이지만, 오히려 3개의 기본 요소로 모든 모음을 합성하기 때문에 자연히 사용자의 자판 조작 횟수가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즉 하나의 글자 중에서 모음을 입력하는 데 있어 과다한 키 패드 입력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또한 전화기의 한정된 숫자를 가진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것에는 동일한 키패드를 중복해서 사용하여 다수의 자소를 표현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특히 한글의 자음은 모음에 비하여 그 기하학적인 구조가 복잡하므로 어떤 특징적인 요소 도형을 추출하여 합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하나의 키패드에 두 개 이상의 자음을 할당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인지와 기억 등의 학습 효과를 고려하여 자의적 혹은 원리적 자음 할당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음 할당이 이루어진 키패드를 사용하는 것에 익숙해지기까지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야 하는 문제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화기의 키패드에 확률적 자음 빈도와 기하학적인 유사성에 따라 자음을 배열하여 자음 키패드 조작을 최소로 하며, 사용자가 인지하기 쉬운 개수만큼의 기본 모음을 사용하여 모든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면서도 자판인 키패드의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전화기를 이용해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전화기의 각 키패드에 한글의 자음들과 모음들이 할당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전화기의 도 2와 같은 한글 자소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 및 # 의 12개 각 키패드(keypad)에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한글 자모가 할당된 전화기는, 한글 음절 구성시의 사용 빈도와 기하학적인 유사성에 따라 상기 12개 키패드 중 일부에 모음과 중복되지 않도록 자음이 배정된 복수의 자음 패드; 자음과 중복되지 않도록 소정의 6개의 단모음이 배정된 복수의 모음 패드; 및 상기 자음 패드 및 모음 패드가 눌러지는 순서와 그 눌러지는 시간 간격에 따라 한글 문자를 생성하는 한글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 상기 각 자음 패드는 6개이며, 각 자음 패드에는 'ㄱ ㅋ ㄲ', 'ㄴ ㅁ ㄹ', 'ㄷ ㅌ ㄸ', 'ㅂ ㅎ ㅍ ㅃ', 'ㅇ ㅅ ㅆ', 'ㅈ ㅊ ㅉ'의 자음군이 각각 할당되며, 전화기의 키패드들이 가로 4행 세로 3열로 구성될 때에, 상기 복수의 자음 패드는 상기 키패드들 중에 가로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행 중에서 세로 첫 번째 및 두 번째 행의 키패드들에 자음 순서에 따라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6개의 각 모음 패드에는 ㅏ, ㅓ, ㅗ, ㅜ, ㅡ, ㅣ의 모음이 각각 할당되며, 상기 전화기의 키패드들이 가로 4행 세로 3열로 구성될 때에, 상기 복수의 모음 패드는 상기 키패드들 중에서 세로 세 번째 열과 네 번째 행의 키패드들에 모음의 순서에 따라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 및 # 의 12개 키패드(keypad) 중 일부에 자음이 배정된 복수의 자음 패드와 ㅏ, ㅓ, ㅗ, ㅜ, ㅡ, ㅣ의 단모음이 배정된 복수의 모음 패드를 포함하는 전화기에서 자음 및 모음 패드를 눌러 복모음을 포함하는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은, (a) 상기 자음 패드들 중에서 필요한 패드를 눌러 초성 자음을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ㅏ, ㅓ, ㅗ, ㅜ, ㅡ, ㅣ 모음 패드들 중에서 필요한 모음 키패드를 한글의 단모음 자소 입력 순서에 따라 눌러 복모음을 포함하는 모음을 입력하는 단계; 및 (c) 필요시에는 상기 자음 패드들 중에서 필요한 패드를 눌러 종성 자음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 상기 (b) 단계에서 모음 키패드를 두 번 이상 눌러 복모음을 입력할 때에는 모음 키패드를 누르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다음 모음 키패드를 눌러 복모음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모음 ㅑ, ㅕ, ㅛ, ㅠ을 입력할 때에 각각 ㅏ, ㅓ, ㅗ, ㅜ 키패드를 소정의 시간이내에 두 번 연속하여 눌러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전화기는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 및 # 의 12개 각 키패드(keypad)에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한글 자모가 할당된 전화기이며, 한글 음절 구성시의 사용 빈도와 기하학적인 유사성에 따라 상기 12개 키패드 중 일부에 모음과 중복되지 않도록 자음이 배정된 복수의 자음 패드(100), 자음과 중복되지 않도록 소정의 6개의 단모음이 배정된 복수의 모음 패드(110) 및 자음 패드(100) 및 모음 패드(110)가 눌러지는 순서와 그 눌러지는 시간 간격에 따라 한글 문자를 생성하는 한글생성부(120)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별도의 설명은 없지만 도 1의 전화기는 송수화 기능부 등과 같은 통상의 전화기가 가지고 있는 기능적인 부분들을 포함하고 있다.
자음 패드(100)는 한글 음절을 사용하는 데 있어, 한글 음절 구성시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배치하며 또한 동시에 자음 자소간의 기하학적인 유사성에 따라 배치한다. 그리고 모음 자소와는 중복되지 않도록 즉, 자음과 모음이 하나의 키패드에 할당되지 않도록 한다.
이런 조건에 따라 자음을 분류하면 자음 패드는 6개이며, 각 각 자음 패드에는 'ㄱ ㅋ ㄲ', 'ㄴ ㅁ ㄹ', 'ㄷ ㅌ ㄸ', 'ㅂ ㅎ ㅍ ㅃ', 'ㅇ ㅅ ㅆ', 'ㅈ ㅊ ㅉ'의 자음군이 각각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키패드에 'ㄱ ㅋ ㄲ' 의 3개의 자음이 할당되며, 다른 키패드들에도 상기의 자음군이 각각 할당된다.
모음의 경우에는 여섯 개의 기본 모음인 ㅏ, ㅓ, ㅗ, ㅜ, ㅡ, ㅣ이 각각 6개의 모음 패드(200) 각각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음 패드들에도 자음은 할당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6개의 기본 모음만으로 복모음을 포함한 모든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설명할 것이다.
자판에 자음 패드와 모음 패드가 할당될 때에 자음과 모음이 양쪽으로 나누어져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두 손을 사용하여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한글의 모든 완성된 글자는 자음이 먼저 시작되므로 자음들의 위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왼쪽의 키패드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의 전화기의 키패드들이 가로 4행 세로 3열로 구성될 때에, 복수의 자음 패드(100)는 상기 키패드들 중에 가로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행 중에서 세로 첫 번째 및 두 번째 행의 키패드들에 자음 순서에 따라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때에 복수의 모음 패드(110)는 상기 키패드들 중에서 세로 세 번째 열과 네 번째 행의 키패드들에 모음의 순서에 따라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전화기의 각 키패드에 한글의 자음들과 모음들이 할당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전화기의 키패드들은 가로 4행 세로 3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키패드에는 숫자 0 - 9와 * 및 # 표시가 기본적으로 할당되어 있다. 이는 전화기 키패드에 한글을 할당하는 방법과 관계없이 설정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의 자음 할당의 조건에 맞추어, 가로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행 중에서 세로 첫 번째 및 두 번째 행의 키패드들(숫자를 기준으로 1, 2, 4, 5, 7, 8의 키패드)에 'ㄱ ㅋ ㄲ', 'ㄴ ㅁ ㄹ', 'ㄷ ㅌ ㄸ', 'ㅂ ㅎ ㅍ ㅃ', 'ㅇ ㅅ ㅆ', 'ㅈ ㅊ ㅉ'의 자음군들이 차례로 할당되어 있다.
각 자음군에는 기하학적인 형상이 유사한 자음끼리 군을 형성하였으며, 같은 자음군 내에서는 사용 빈도가 높은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자음군끼리는 자음 자소의 차례에 따라 자음들이 배열되어 각 자음군별로 키패드들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의 모음 할당의 조건에 맞추어, 세로 세 번째 열과 네 번째 행의 키패드들(숫자 혹은 기호를 기준으로 3, 6, 9, #, *, 0 의 키패드)에 ㅏ, ㅓ, ㅗ, ㅜ, ㅡ, ㅣ의 모음들이 차례로 할당되어 있다. 각 단모음들이 모음의 순서에 따라 키패드들에 할당된 것이다.
도 2와 같은 자판에는 영문의 알파벳이 할당될 수 있을 것이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는 관련되어 있지 않다.
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전화기의 키패드를 이용해서 한글을 입력할 때에 사용자는 왼손으로는 자음을 입력하고, 오른손으로 모음을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며, 혹은 한손으로 한글을 입력할 때에도 초성인 자음을 먼저 입력하고 필기하는 순서인 자음 패드들의 오른쪽(혹은 아래)에 위치한 모음을 나중에 입력하게 되어 손으로 필기하는 순서와 같은 방향으로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을 입력할 수 있어 일상적인 생활 방법과 같은 순서에 의해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편이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누리면서 자음 혹은 모음 패드들의 할당 방법은 부분적으로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ㄱ ㅋ ㄲ', 'ㄴ ㅁ ㄹ', 'ㄷ ㅌ ㄸ', 'ㅂ ㅎ ㅍ ㅃ', 'ㅇ ㅅ ㅆ', 'ㅈ ㅊ ㅉ' 자음군들은 각각 숫자 1, 4, 7, 2, 5, 8에 해당되는 키패드에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모음의 경우 ㅏ, ㅓ, ㅗ, ㅜ, ㅡ, ㅣ의 모음들은 각각 숫자 혹은 기호 3, 6, 9, *, 0, #에 해당되는 키패드에 할당될 수 있을 것이며, 혹은 ㅏ, ㅓ, ㅗ, ㅜ, ㅡ, ㅣ의 모음들은 각각 숫자 혹은 기호 3, 6, 9, #, 0, *에 해당되는 키패드에 할당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모습들로 키패드들에 자음과 모음이 할당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내의 표시라고 할 수 있다.
한글생성부(120)는 자음 패드(100) 및 모음 패드(110)가 눌러지는 순서와 그 눌러지는 시간 간격에 따라 한글 문자를 생성한다.
소정의 방법을 사용하여 한글 입력이 시작될 수 있는 환경에서 'ㄱ ㅋ ㄲ'이 할당된 키패드를 한번 누르면 ㄱ이 선택된 것이며, 모음 패드 중의 하나를 누르면 해당 글자를 생성한다. 그런데 'ㄱ ㅋ ㄲ'이 할당된 키패드를 두 번 연속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누르면 ㅋ이 선택된 것이며, 'ㄱ ㅋ ㄲ'이 할당된 키패드를 세 번 연속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누르면 ㄲ이 선택된 것이다. 이때에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는 것은 키패드를 잘 못 누르는 것에 대해 잘못된 한글이 입력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다른 자음들을 입력하는 것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실행된다.
받침인 종성을 입력할 때에도 마찬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에 이번 글자의 받침인 종성과 다음 글자의 초성이 입력되는 것인가를 구별하기 위해 그 다음 입력되는 키패드가 모음인 경우에는 지금 키패드가 눌려져서 입력되는 자소는 다음 글자의 초성인 것으로 인식하여 한글 문자를 생성한다. 복자음의 종성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종성 입력시에 연속되는 3개의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 앞의 두 개의 종성은 복자음 받침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여 한글 문자를 생성한다.
다만 복자음 받침으로 입력되는 자음의 구성이 받침을 이룰 수 없는 구성인 경우에는 제대로 된 한글이 생성되지 않을 것이며, 이때에는 한글 자소 단위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글자를 이룰 수 없는 연속적인 모음 키패드의 입력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전화기의 도 2와 같은 한글 자소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자음 패드(100)들 중에서 필요한 패드를 눌러 초성 자음을 입력하고(300 단계), ㅏ, ㅓ, ㅗ, ㅜ, ㅡ, ㅣ 모음 패드들 중에서 필요한 모음 키패드를 한글의 단모음 자소 입력 순서에 따라 눌러 복모음을 포함하는 모음을 입력하고(310 단계), 및 받침인 종성을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자음 패드(100)들 중에서 필요한 패드를 눌러 종성 자음을 입력한다(320 단계). 한글생성부(120)는 이렇게 입력된 한글 자소에 따라 한글 문자를 생성한다.
참조번호 300 및 320 단계의 자음입력은 이미 설명이 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모음의 입력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참조번호 310 단계에 모음 키패드를 눌러 단모음을 입력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단모음들이 자소의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모음을 찾아 그 키패드를 눌러 한글을 입력한다.
이때에 복모음을 입력할 때에는, 모음 키패드를 두 번 이상 눌러 복모음을 입력할 때에는 모음 키패드를 누르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다음 모음의 자소 순서에 따라 해당되는 모음 키패드를 눌러 복모음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복모음 ㅑ, ㅕ, ㅛ, ㅠ을 입력할 때에 각각 ㅏ, ㅓ, ㅗ, ㅜ 키패드를 소정의 시간이내에 두 번 연속하여 눌러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ㅑ, ㅕ, ㅛ, ㅠ, ㅐ, ㅔ, ㅗ, ㅚ, ㅟ, ㅘ, ㅝ, ㅒ, ㅖ, ㅙ, ㅞ, ㅢ 등의 복모음을 입력하여 한글을 생성할 수 있다. 글자를 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사이띄기(space) 문자 입력이나 뒤로 지움(back-space)과 같은 기능은 상기에 설명된 키패드의 입력과는 별개의 화살표 키패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사상과는 무관한 것이다.l
다음은 상기의 설명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혹은 입력된 문자를 합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왼쪽은 예로 드는 한글 문자이며, 오른쪽은 본 발명에 따라 그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혹은 합성하는 키패드 입력의 예를 든 것이다.
아 : ㅇ ㅏ
야 : ㅇ ㅏ ㅏ
어 : ㅇ ㅓ
여 : ㅇ ㅓ ㅓ
요 : ㅇ ㅗ ㅗ
유 : ㅇ ㅜ ㅜ
애 : ㅇ ㅏ ㅣ
에 : ㅇ ㅓ ㅣ
외 : ㅇ ㅗ ㅣ
위 : ㅇ ㅜ ㅣ
와 : ㅇ ㅗ ㅏ
워 : ㅇ ㅜ ㅓ
얘 : ㅇ ㅏ ㅏ ㅣ
예 : ㅇ ㅓ ㅓ ㅣ
왜 : ㅇ ㅗ ㅏ ㅣ
웨 : ㅇ ㅜ ㅓ ㅣ
의 : ㅇ ㅡ ㅣ
상기의 모음 입력을 보면 복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 미리 준비된 ㅏ, ㅓ, ㅗ, ㅜ, ㅡ, ㅣ 모음 키패드의 모음을 한글 모음의 자소의 순서대로 입력하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아' 내지 '의'까지의 한글을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특1996-043680의 방법 혹은 소위 천지인 한글 입력 방법에 따라 입력하는 방법과 비교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17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36번의 키패드 입력이 필요한 반면, 천지인 한글 입력 방법의 경우에는 56번의 키패드 입력이 필요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한 글자당 평균 2.118회의 키패드 입력이 있는 것이며, 천지인 입력의 경우에는 한 글자당 평균 3.294 회의 키패드 입력이 있어야 한다.
상기의 비교에서 보듯이 작은 회수의 키패드 입력만으로 모든 모음을 표현할 수 있으며, 그 모음 키패드들의 입력 순서는 필기의 순서와 같으며 또한 중복되는 글자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종래 방식보다 효율적인 한글 입력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입력 순서에 따라 한글을 생성하는 한글생성부(120)는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과정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적인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와 한글의 자형이나 사용가능한 복자음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 등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한글은 전화기에 포함되는 액정 화면과 같은 디스플레이수단에 표시될 수도 있고, ARS, 홈 뱅킹과 같은 분야에서 한글을 입력할 필요가 있을 때에 사용될 수 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의 설명에 포함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이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의 예들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태양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일부 단계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 및 # 의 12개 각 키패드(keypad)에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한글 자모가 할당된 전화기에 있어서, 한글 음절 구성시의 사용 빈도와 기하학적인 유사성에 따라 상기 12개 키패드 중 일부에 모음과 중복되지 않도록 자음이 배정된 복수의 자음 패드, 자음과 중복되지 않도록 소정의 6개의 단모음이 배정된 복수의 모음 패드 및 자음 패드 및 모음 패드가 눌러지는 순서와 그 눌러지는 시간 간격에 따라 한글 문자를 생성하는 한글생성부를 포함하여, 많이 사용되는 순서로 배치되면서도 한글 자소의 순서대로 배치되며 외형적으로 연관성이 큰 자음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자소 순서대로 배치된 단모음들을 이용해서 필기할 때와 마찬가지의 순서대로 복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전화기 등에서 축소된 한글 자판 혹은 키패드를 통해 한글 입력을 할 때에, 최소 회수의 키패드 입력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음성 외에 상당량의 데이터 등을 편집하여 전송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근래의 통신 환경에서 제한된 공간에서 할당된 자판 혹은 키패드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데이터를 편집 전송할 수 있는 사회, 산업, 문화 등의 여러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8)

  1.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 및 # 의 12개 각 키패드(keypad)에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한글 자모가 할당된 전화기에 있어서,
    한글 음절 구성시의 사용 빈도와 기하학적인 유사성에 따라 상기 12개 키패드 중 일부에 모음과 중복되지 않도록 자음이 배정된 복수의 자음 패드;
    자음과 중복되지 않도록 소정의 6개의 단모음이 배정된 복수의 모음 패드; 및
    상기 자음 패드 및 모음 패드가 눌러지는 순서와 그 눌러지는 시간 간격에 따라 한글 문자를 생성하는 한글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자음 패드는 6개이며, 각 자음 패드에는 'ㄱ ㅋ ㄲ', 'ㄴ ㅁ ㄹ', 'ㄷ ㅌ ㄸ', 'ㅂ ㅎ ㅍ ㅃ', 'ㅇ ㅅ ㅆ', 'ㅈ ㅊ ㅉ' 의 자음군이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의 키패드들이 가로 4행 세로 3열로 구성될 때에, 상기 복수의 자음 패드는 상기 키패드들 중에 가로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행 중에서 세로 첫 번째 및 두 번째 행의 키패드들에 자음 순서에 따라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6개의 각 모음 패드에는 ㅏ, ㅓ, ㅗ, ㅜ, ㅡ, ㅣ의 모음이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의 키패드들이 가로 4행 세로 3열로 구성될 때에, 상기 복수의 모음 패드는 상기 키패드들 중에서 세로 세 번째 열과 네 번째 행의 키패드들에 모음의 순서에 따라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6.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 및 # 의 12개 키패드(keypad) 중 일부에 자음이 배정된 복수의 자음 패드와 ㅏ, ㅓ, ㅗ, ㅜ, ㅡ, ㅣ의 단모음이 배정된 복수의 모음 패드를 포함하는 전화기에서 자음 및 모음 패드를 눌러 복모음을 포함하는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자음 패드들 중에서 필요한 패드를 눌러 초성 자음을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ㅏ, ㅓ, ㅗ, ㅜ, ㅡ, ㅣ 모음 패드들 중에서 필요한 모음 키패드를 한글의 단모음 자소 입력 순서에 따라 눌러 복모음을 포함하는 모음을 입력하는 단계; 및
    (c) 필요시에는 상기 자음 패드들 중에서 필요한 패드를 눌러 종성 자음을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한글 자소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모음 키패드를 두 번 이상 눌러 복모음을 입력할 때에는 모음 키패드를 누르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다음 모음 키패드를 눌러 복모음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한글 자소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복모음 ㅑ, ㅕ, ㅛ, ㅠ을 입력할 때에 각각 ㅏ, ㅓ, ㅗ, ㅜ 키패드를 소정의 시간이내에 두 번 연속하여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한글 자소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KR10-2002-0009853A 2002-02-25 2002-02-25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및 한글 입력 방법 KR100433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853A KR100433173B1 (ko) 2002-02-25 2002-02-25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및 한글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853A KR100433173B1 (ko) 2002-02-25 2002-02-25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및 한글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341A KR20030070341A (ko) 2003-08-30
KR100433173B1 true KR100433173B1 (ko) 2004-05-27

Family

ID=3222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853A KR100433173B1 (ko) 2002-02-25 2002-02-25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및 한글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3173A1 (en) * 2003-11-26 2005-06-09 Wang-Don Choi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character input apparatus
KR100679696B1 (ko) * 2004-10-01 2007-02-09 김예은 한글의 간편 입력방법과 단말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862A (ko) * 1997-11-14 1999-06-05 김용선 전화기 번호판 및 입력 키보드 활용 한글조합방법
KR20020019631A (ko) * 2000-09-06 2002-03-13 박원배 한글 키보드
KR20020022384A (ko) * 2000-09-20 2002-03-27 다카노 야스아키 전화 단말기용 키패드
KR20020028078A (ko) * 2000-10-06 2002-04-16 김병훈 휴대폰의 문자판및 문자입력시스템
KR20020054059A (ko) * 2000-12-27 2002-07-06 홍경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KR100373332B1 (ko) * 2001-04-09 2003-02-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862A (ko) * 1997-11-14 1999-06-05 김용선 전화기 번호판 및 입력 키보드 활용 한글조합방법
KR20020019631A (ko) * 2000-09-06 2002-03-13 박원배 한글 키보드
KR20020022384A (ko) * 2000-09-20 2002-03-27 다카노 야스아키 전화 단말기용 키패드
KR20020028078A (ko) * 2000-10-06 2002-04-16 김병훈 휴대폰의 문자판및 문자입력시스템
KR20020054059A (ko) * 2000-12-27 2002-07-06 홍경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KR100373332B1 (ko) * 2001-04-09 2003-02-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341A (ko) 200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78211A (ja) 中国語入力プログラム
JP3995093B2 (ja) ハングル文字入力方法,ハングル文字入力装置,ハングル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0433173B1 (ko)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및 한글 입력 방법
US200902012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ing a keypad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00604293B1 (ko) 기본문형을 적용한 한글문자입력장치
KR1006833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366806B1 (ko)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JP3259619B2 (ja) 仮名入力装置
KR20050007859A (ko)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입력방법
KR20060025256A (ko)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679421B1 (ko)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397509B1 (ko) 전화기자판이부착된한글입력장치및그방법
KR20050023584A (ko)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2649139B2 (ja) ローマ字入力用のキーボード
JP2003131793A (ja) 仮名文字入力装置および仮名文字入力方法
KR20020086449A (ko) 한자 입력 방법
JP3088476B2 (ja) ミャンマー語入力装置
KR100530491B1 (ko)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664535B1 (ko)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KR20010034982A (ko) 신규한 한글 입력방식 및 그를 이용한 장치
KR20020028078A (ko) 휴대폰의 문자판및 문자입력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