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491B1 -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491B1
KR100530491B1 KR10-2003-0013754A KR20030013754A KR100530491B1 KR 100530491 B1 KR100530491 B1 KR 100530491B1 KR 20030013754 A KR20030013754 A KR 20030013754A KR 100530491 B1 KR100530491 B1 KR 100530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honeme
button
buttons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923A (ko
Inventor
송우찬
Original Assignee
송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우찬 filed Critical 송우찬
Priority to KR10-2003-001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4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6Wing-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 3개 ×세로 4개의 버튼(1~9,0,*,#)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키패드 입력수단과 상기 키패드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키패드의 각 버튼이 동작하여 발생되는 각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신호 시퀀스를 생성하는 수단과; 임의의 버튼 입력 신호의 순차적인 시퀀스로 이루어지는 음소 시퀀스 및 한국어 음소 표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소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수단으로서, 여기서 하나의 한국어 음소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음소 시퀀스와 연관되며, 상기 음소 시퀀스는 상기 키패드의 복수의 분할된 입력영역 중 하나의 입력영역에 속하는 버튼들의 입력 신호들만으로 구성되는, 음소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수단과; 하나의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버튼 입력 신호 또는 일련의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음소 목록을 검색하고 대응하는 음소 표현을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음소 검색 및 출력 수단과; 상기 출력된 음소를 조합하여 음절을 결정하기 위한 음절 결정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Korean Language Input Apparatus Using A Numerical Keypad}
본 발명은 전화기 등의 숫자입력을 위한 숫자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자음/모음에 따라 전용 입력 버튼 영역을 지정하고 예컨대 한 손가락으로 필기식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한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무선 통신의 발전에 따라, 이동 전화의 기능에는 단순한 음성 통화 기능 외에,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과 전화번호를 저장해두는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문자를 입력해야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작은 크기의 휴대 기기의 특성상 입력 장치가 커지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입력 장치의 크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또는 종래의 3 ×4 버튼식 숫자 키패드를 그대로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여럿 제안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문자입력방식 중 하나는, 상기 숫자 키패드의 각 숫자 버튼에 자음 또는 모음의 일부 기본적인 음소를 고정적으로 할당하고, * 버튼 또는 # 버튼을 한번 이상 추가로 눌러 다른 음소들을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런 방식은 문자의 위치를 암기하거나 눈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들을 확인하면서 버튼을 눌러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버튼 고정식 문자 할당 방식은, 종래의 두 손을 사용하는 타자기 방식을 변형한 것이다. 그러나, 휴대기기에 있어서는 버튼의 수가 적기 때문에 두 손으로 타자를 치듯 버튼을 누르는 것은 불가능하고, 대부분 하나 또는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는 문자를 입력할 때 손가락의 움직임이 매우 불규칙하게 되므로, 완전히 능숙하게 숙달된 사람이 아닌 경우에는 문자입력이 불편하였다.
이러한 버튼 고정식 문자 할당 방식을 개선하여, 하나의 손가락으로도 쉽게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문자 형태를 본떠 필기하는 형태로 인접하여 배치된 여러개의 버튼을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해당 문자를 입력하자는 제안이 있었다. 예컨대 LG전자 주식회사의 한국 특허출원 번호 제 1994-0035027 호, 손미라의 한국 특허출원 번호 제 2002-0000126 호, 김국환의 한국 특허출원 번호 제 2002-0072567 호 들의 특허공개공보에 그런 방식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필기식 입력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숫자 키패드(10)를 이용한다. 통상적으로, 숫자 키패드(10)는 1 내지 9와 0을 입력할 수 있는 10개의 숫자 버튼 영역(12)이 있으며, 특수 문자 입력이나 빈칸, 또는 가획규칙을 적용하기 위한 기능키인 기능키 버튼 영역(14)이 있다. 입력모드를 한국어에서 영어로 전환한다든가 하는 모드 전환을 위한 버튼(16)이 별도로 제공되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이러한 공개된 종래의 한국어 필기식 입력 방식에 있어서는, 단순히 버튼 입력의 형태를 필기식으로 정의한 것에 불과하다. 예컨대, "ㄱ"이라는 음소 표현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 버튼 중에서 1, 2, 5를 연달아 누르거나 1, 2, 3, 6, 9를 연달아 누른다는 식으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방식을 정의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필기식 입력 방법은 단순히 버튼을 누르는 순서만을 정의하고 있을 뿐이다. 실지로 응용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 즉 실제로 버튼을 입력하면 어떤 방식으로 어떤 알고리즘을 거쳐 음소 표현이 추출되고 디스플레이되는가에 대해서는 구체화되어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개공보들에 개시된 것에는, 이용자가 숫자 키패드를 이용하여 실제로 문자를 입력하면 이를 처리하는 과정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아 그 구현이 가능한지가 검증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래의 필기식 한국어 입력 방식에 있어서는, 예컨대, 자음과 모음을 연달아서 입력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버튼들의 시퀀스 중에서 각 음소들을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한 수단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음소를 입력할 때 정의되어 있는 것과는 관계없는 버튼을 오입력하는 경우에 이를 정정할 수 있는 처리 수단도 제시되어 있지도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키패드의 버튼을 누를때마다 적절한 음소를 디스플레이하며 음절을 확정할 수 있고, 또한 실수로 눌러지는 잘못된 버튼 신호의 경우 정정이 가능한 한국어 입력 기술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한국어 필기식 입력 기술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새로운 추가적인 장점들을 구비하는 한국어 입력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숫자 키패드를 각 음소의 종류, 예컨대 자음 및 모음, 또는 자음의 청음, 자음의 격음/경음, 모음을 위한 전용의 영역으로 구분함으로써, 각 영역별로 특정한 종류의 음소만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한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문자의 필기식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여러개의 숫자 키패드의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름으로써 해당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음소 표현에 하나 이상의 키패드 버튼 입력 신호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소 시퀀스를 연관시킨 음소 목록을 저장하고, 하나의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음소 목록을 검색하여 가장 적절한 음소 표현을 출력하거나 및/또는 음소 표현을 추출할 수 있는 한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버튼 동작을 잘못하여 오입력한 경우에도 자동으로 정정될 수 있는,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가로 3개 ×세로 4개의 버튼(1~9,0,*,#)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키패드 입력수단과 상기 키패드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한국어 표현을 출력하기 위한 처리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키패드의 각 버튼이 동작하여 발생되는 각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임의의 버튼 입력 신호의 순차적인 시퀀스로 이루어지는 음소 시퀀스 및 한국어 음소 표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소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수단으로서, 여기서 하나의 한국어 음소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음소 시퀀스와 연관되며, 상기 음소 시퀀스는 상기 키패드의 복수의 분할된 입력영역 중 하나의 입력영역에 속하는 버튼들의 입력 신호들만으로 구성되는, 음소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수단과; 하나의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버튼 입력 신호 또는 일련의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음소 목록을 검색하고 대응하는 음소 표현을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음소 검색 및 출력 수단과; 상기 출력된 음소를 조합하여 음절을 결정하기 위한 음절 결정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소 목록의 상기 음소 시퀀스 각각은, 그 연관된 음소의 필기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기 키패드 상에서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에 의한 입력 신호에 의해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력영역은 한글 자음 입력영역, 한글 모음 입력영역, 기능키 입력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자음 입력영역은 청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 입력영역 및 격음/경음(ㅊ,ㅋ,ㅌ,ㅍ,ㅎ,ㄲ,ㄸ,ㅃ,ㅆ,ㅉ) 입력영역으로 더 분할되고; 상기 모음 입력영역은 중앙, 상, 하, 좌, 우측 버튼으로 이루어진 십자 형상 배열의 5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키 입력영역은 상기 키패드에서 숫자 입력 버튼을 제외한 *, #키를 포함하며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청음 입력영역은 정방형 배열을 하는 4개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격음/경음 입력영역은 정방형 배열을 하는 4개의 버튼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청음 입력영역과 상기 격음/경음 입력영역은 적어도 2개의 버튼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격음/경음 입력영역은 상기 청음 입력영역에 속하지 않은 하나의 가획버튼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격음/경음의 입력은 먼저 획이 적은 유사한 형태의 청음을 입력한 후 상기 가획버튼을 적어도 한번 입력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가로 3개 ×세로 4개의 버튼(1~9,0,*,#)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키패드 입력수단과 상기 키패드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한국어 표현을 출력하기 위한 처리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키패드 입력수단은: 한국어 자음의 청음 표현(ㄱ,ㄴ,ㄷ,ㄹ,ㅁ,ㅂ,ㅅ,ㅈ,ㅇ)만을 입력하도록 지정된 상기 키패드의 1,2,4,5 숫자 버튼으로 이루어진 청음 전용 입력영역과; 한국어 자음의 격음 표현(ㅊ,ㅋ,ㅌ,ㅍ,ㅎ) 및 경음(ㄲ,ㄸ,ㅃ,ㅉ,ㅆ)만을 입력하도록 지정된 상기 키패드의 2,3,5,6 숫자 버튼으로 이루어진 격음/경음 전용 입력영역과; 한국어 모음 표현(ㅏ,ㅑ,ㅓ,ㅕ,ㅜ,ㅠ,ㅡ,ㅣ...)만을 입력하도록 지정된 상기 키패드의 5,7,8,9,0 숫자 버튼으로 이루어진 모음 전용 입력영역과; 특수 문자입력 및 입력모드 전환을 위한 기능만을 위하여 지정된 상기 키패드의 *,# 버튼으로 이루어진 기능키 전용 입력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소 목록의 상기 음소 버튼 시퀀스 각각은, 그 연관된 음소의 필기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기 키패드의 각 전용 입력영역 상에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에 의한 입력 신호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음소 버튼 시퀀스의 두 인접한 신호들은 키패드의 두 인접 버튼에 의해 발생되거나 또는 한 버튼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기식 또는 인접식 버튼 입력방식이라는 특징에 의해, 예컨대 하나의 손가락만으로도 연달아서 버튼을 누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청음 전용 입력영역에서 입력되는 각 청음 음소를 위한 상기 음소 버튼 시퀀스의 마지막 버튼은 예컨대 5번 버튼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격음 및 경음 전용 입력영역에서 입력되는 각 격음 또는 경음 음소를 위한 상기 음소 버튼 시퀀스의 마지막 버튼은 예컨대 6번 버튼으로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음소 버튼 시퀀스는 임의의 자음(ㄱ,ㄴ,ㄷ...)에 대응하는 음소 버튼 시퀀스를 입력한 후 미리 지정된 가획버튼을 적어도 한번 추가 입력하면 상기 자음의 형태에 획이 하나 더 많은 자음(ㄲ/ㅋ,ㄷ/ㄸ...)에 대응하는 음소 버튼 시퀀스가 된다. 상기 가획버튼은 6번 버튼이다. 상기 모음 전용 입력영역은 상기 중앙 버튼이 긴 수평 및 수직 획(━,┃)에 대응하고, 상기 상, 하, 좌, 우측 버튼은 각각 십자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 가지 형태에 대응하며, 각 모음의 형태에 대응하는 이러한 버튼들의 입력 신호 시퀀스에 의해 각 모음에 대응하는 음소 버튼 시퀀스가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모음 전용 입력영역은 상기 중앙 버튼이 긴 수평 및 수직 획(━,┃)에 대응하고, 상기 상, 하, 좌, 우측 버튼은 각각 모음 오(╇), 우(╈), 어(╉), 아(╊) 형태에 대응하며, 각 모음의 형태에 대응하는 이러한 버튼들의 입력 신호 시퀀스에 의해 각 모음에 대응하는 음소 버튼 시퀀스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모음 입력영역은 상, 하, 좌, 우측 버튼으로 이루어진 십자형상의 4개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숫자 키패드의 5,7,9,0 버튼만을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모음의 긴 수평 및 수직 획(━,┃)에 대응하는 중앙 버튼(예컨대 8번 버튼)이 없다. 그 대신, 긴 수평획(━)은 7, 9 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긴 수직획(┃)은 5,0 버튼을 눌러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능키 전용 입력영역의 버튼의 입력 신호들을 조합한 버튼 신호 입력 시퀀스에 의해, 리셋, 빈칸 입력, 쉼표, 마침표, 최종입력 음소/음절의 삭제, 및 입력모드 전환 기능 들을 포함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개시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입력 장치는 3×4 숫자키패드가 아니라도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게임기용 패드와 같이, 상, 하, 좌, 우 방향키 배열 및 다른 적어도 3 ×3 버튼 배열을 포함하는 소형 키패드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모음 입력영역은 상기 방향키 배열 상의 상, 하, 좌, 우 버튼을 이용할 수 있고, 나머지 3 ×3 버튼 배열을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가로 3개 ×세로 4개의 버튼(1~9,0,*,#)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키패드의 각 버튼이 동작하여 발생되는 각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하나의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입력된 버튼 입력 신호를 추가한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이용하여, 임의의 버튼 입력 신호의 순차적인 시퀀스로 이루어지는 음소 시퀀스 및 한국어 음소 표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소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하나의 한국어 음소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음소 시퀀스와 연관되며, 상기 음소 시퀀스는 상기 키패드의 복수의 분할된 입력영역 중 하나의 입력영역에 속하는 버튼들의 입력 신호들만으로 구성되는, 음소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음소 표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색된 음소 표현을 출력하고, 다음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소 목록 검색을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음소 표현들을 조합하여 음절 표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일련의 버튼 입력 신호들로 이루어진 음소 시퀀스 및 상기 음소 시퀀스와 연관된 음소 표현들을 구비하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소 목록을 검색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에 따라 음소 표현을 출력하여 이루어지는 한국어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버튼 입력 신호를 대기하는 제 1 대기 단계와; 수신된 버튼 입력 신호룰 추가하여 버튼 입력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음소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상기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에 대응하는 음소 시퀀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소 시퀀스와 연관된 음소 표현을 출력하고 상기 제 1 대기 단계로 되돌아가는 예비 음소추출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상기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에 대응하는 음소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와 대응하는 시퀀스를 부분으로서 포함하는 음소 시퀀스가 있는지 결정하고, 이러한 부분 포함 음소 시퀀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대기 단계로 되돌아가는 제 2 대기 단계와; 상기 부분 포함 음소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전에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의 검색단계 다음에 상기 예비 음소추출단계가 존재하였었는지를 결정하고,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라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무시하고 상기 제 1 대기단계로 되돌아가는 제 1 오입력 정정 단계와; 존재하였던 경우, 그 출력된 음소 표현이 한국어 음소조합 시퀀스 규칙에 따르는지를 결정하여, 규칙에 따르는 경우라면 그 출력된 음소 표현을 확정된 음소로서 추출하여 다음 음절 조합단계로 전송하고, 현재 수신된 버튼 입력 신호만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다시 생성하여 상기 검색단계로 되돌아가는 확정 음소추출단계와; 규칙에 따르지 않는 경우, 현재 수신된 버튼 입력 신호만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다시 생성하여 상기 검색단계로 되돌아가는 제 2 오입력 정정 단계와; 상기 확정 음소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일련의 음소들을 한글 음소 조합 규칙에 따라 조합하여 음절을 확정하는 음절확정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소 시퀀스는 음소 종류에 따라 다수의 전용 입력 버튼 영역으로 분할되고; 하나의 버튼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음소 목록의 검색단계 이전에, 상기 입력된 버튼 신호의 전용 입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소 목록의 음소 시퀀스 각각은, 그 연관된 음소의 필기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기 전용 입력 버튼 영역 상에서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에 의한 입력 신호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오입력 정정 단계는 오류임을 알리는 음향이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버튼 입력 신호는 가로 3개 ×세로 4개의 버튼(1~9,0,*,#)을 포함하는 키패드의 버튼이 동작하여 입력되는 신호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을 구현하는 각 단계들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입력장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입력 신호를 문자(음소, 음절) 표현으로서 출력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에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나 스피커 또는 데이터 전송부와 같이 추가 처리를 위한 장치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소형의 전자장치, 예컨대 휴대전화나 PDA 등의 입력장치로서 응용될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입력 장치는 종래의 전화기 등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가로 3개 ×세로 4개의 버튼(1~9,0,*,#)을 포함하는 숫자 키패드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버튼 누르는 순서에 따라 숫자 키패드(100)의 버튼을 누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누르는 때에 인접된 버튼들을 연달아서 누를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버튼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엄지손가락과 같이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필기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의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숫자 키패드(10)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 입력 신호는 순차적으로 처리부(20)로 입력된다. 입력된 버튼 신호들은 차례로 음소추출부(21)를 통해 자음 또는 모음의 각 음소 표현으로 추출된다. 이때, 예컨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은,미리 정해진 버튼 입력 신호의 시퀀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음소 시퀀스에 각 음소가 연관되어 있는 음소목록이 검색되어 음소가 추출된다. 음소 목록의 검색은 하나의 버튼이 눌려졌을 때마다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된 음소들은 한국어의 음소/음절 조합 규칙에 따라 조합되어 한국어 음절로 조합된다. 일반적으로 한국어에 있어서, 자음은 초성과 종성으로 더 구별되며, 모음의 경우 중성만이 가능하다.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기초음절을 형성하는 모듈(23) 및 목록(24)이 먼저 음절을 조합하고, 종성을 조합하기 위해 자음을 해석하는 모듈(25) 및 목록(26)을 이용하여 종성을 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져 확정음절모듈(27)에 의해 음절이 확정된다. 종성이 확정되기 전에 기초음절은 음절스택(28)에 저장될 수 있다. 확정된 음절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30)로 출력되거나 또는 문자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송신부(40) 등으로 보내질 수 있다. 일련의 버튼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음소가 추출되는데, 이렇게 음소가 추출된 이후의 음절조합과정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한국어 음절조합 규칙을 사용하여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숫자 키패드(100)의 각 음소 종류별로 전용의 입력을 위한 영역이 분할되어 표시된다. 도시된 예에서, 키패드(100)의 전체 영역은 크게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과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 구별된다. 자음 입력 영역은 자음의 청음, 격음, 경음에 따라 그 입력 영역이 더 구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자음의 청음 표현(ㄱ,ㄴ,ㄷ,ㄹ,ㅁ,ㅂ,ㅅ,ㅈ,ㅇ)만을 입력하도록 청음 전용 입력영역(120)이 지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청음 전용 입력영역은 4개의 버튼 즉 1,2,4,5 숫자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한국어 자음의 격음 표현(ㅊ,ㅋ,ㅌ,ㅍ,ㅎ) 및 경음(ㄲ,ㄸ,ㅃ,ㅉ,ㅆ)만을 입력하도록 두번째 자음 입력영역이 지정될 수 있다. 이 격음/경음 전용 입력영역(140)은 4개의 버튼 즉 2,3,5,6 숫자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한국어 모음 표현(ㅏ,ㅑ,ㅓ,ㅕ,ㅜ,ㅠ,ㅡ,ㅣ...)만을 입력하도록 모음 전용 입력영역(160)이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모음 전용 입력영역은 5개의 버튼 즉 5,7,8,9,0 숫자 버튼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특수 문자입력 및/또는 입력모드 전환을 위한 기능 등을 위하여 기능키 전용 입력영역(180)을 지정할 수 있는데, 이는 키패드의 *,#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손가락으로 필기하듯이 버튼을 눌러 입력하는 방식이지만 특히 음소의 종류 즉 자음 또는 모음에 따라 전용으로 입력하는 영역들이 분리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입력되는 버튼 시퀀스를 분석하여 자음과 모음을 추출하는 과정이 매우 단순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전용의 입력 영역에서 문자 즉 음소 표현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해당 문자의 필기식 형태와 유사하게 배열된 버튼을 누르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자음의 입력 패턴의 일예가 예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ㄱ"을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125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버튼은 연달아서 "ㄱ"형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가락 하나로 금을 긋듯이 "ㄱ"의 필기식 문자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해당 버튼들을 누른다. 한편 "ㅋ"의 경우는 청음인 "ㄱ"을 입력하는 영역과는 구별되는 격음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에서 2,3,6버튼을 눌러 입력할 수 있다. 경음의 경우, 예컨대 "ㄲ"의 경우는 2,3,6,6버튼을 눌러 입력한다. 이런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음 입력 방식의 일예에 있어서, 모든 자음 표현에 대하여, 각각 청음 및 격음/경음을 입력하기 위한 전용의 영역을 분리하고, 1개 내지 5개로 이루어지는 서로 구별되는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연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구체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자음에 대응하는 버튼 신호 시퀀스의 마지막 버튼을 일정하게 지정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청음에 대해서는 5번 버튼이 마지막이며, 격음 또는 경음 음소를 위한 상기 음소 버튼 시퀀스의 마지막 버튼은 6번 버튼으로 지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규칙성은 음소 추출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버튼 입력에 따른 음소 표현의 디스플레이의 응답성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을 가진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가획 규칙에 따라 자음을 입력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즉, 미리 지정된 가획버튼(본 예에서는 6번 버튼)을 눌러 청음에서 청음/격음/경음으로 전환시키는 방식이다. 예컨대, 1,2,5 버튼을 누르면 "ㄱ"이 되지만, 연달아서 6번을 누르면 "ㅋ"으로 되고, 또 다시 6번을 한번 더 누르면 "ㄲ"이 되도록 하는 규칙을 정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기본적인 자음 입력 방식에 가획규칙을 추가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예는 가획 규칙과 영역 분리 방식을 혼합하여 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가획버튼은 6번으로 정해지는 것은 자음의 마지막 버튼을 통일시키기 위하여이다. 따라서, 마지막 버튼을 다르게 통일시킨 경우에는 가획버튼도 다른 버튼으로 정해질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좀더 능숙하게 숙달된 사용자를 위한 단축 입력 방식이 추가로 지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버튼 입력수가 4개이상인 경우가 있는데, 이는 필기방식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6에 도시된 예는 단축된 필기방식으로서 하나의 자음 음소 표현에 대해 최대 3개의 버튼입력이 지정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밖에 자음의 청음 영역과 격음/경음 영역이 구별되는 점은 단축되지 않은 필기방식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모음을 필기식으로 입력하는 것을 설명한다. 모음 전용 입력 영역은, 모음의 모양이 상,하,좌,우의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십자형 배열을 이루는 5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 구성이 가능하다. 먼저, 각 버튼에 대해 획을 할당하는 방식인 자획구성이 가능하며, 획이 하나 더해진 음소를 할당한 음소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필기방식에 더 가까운 자획구성인 경우, 도 7의 (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버튼(본 예에서는 8번 버튼)이 긴 수평 및 수직 획(━,┃)에 대응하고, 상기 상, 하, 좌, 우측 버튼(5,0,7,9 버튼)은 각각 십자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 가지 형태에 대응하게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할당은 버튼의 위치에 의해 쉽게 상상이 되기 때문에 버튼에 인쇄되는 등의 조치는 필요없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ㅏ"를 입력할 때는 중앙버튼과 우측버튼인 8,9를 누르면 된다. 이때 9,8을 눌러도 "ㅏ"가 입력되도록 정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버튼에 음소가 할당되는 자판배열식 음소구성의 경우, 도 7의 (b)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버튼(8번 버튼)이 마찬가지로 긴 수평 및 수직 획(━,┃)에 대응하고, 상기 상, 하, 좌, 우측 버튼(5,0,7,9 버튼)은 각각 모음 오(╇), 우(╈), 어(╉), 아(╊)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자획구성에 비하여 버튼 입력 횟수가 줄어든다는 장점을 가진다. 예컨대, "ㅏ"를 입력할 때는 단지 우측 버튼인 9번 버튼만을 입력하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모음 입력영역은 5개의 버튼이 아닌 4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버튼은 상, 하, 좌, 우측 버튼으로 이루어진 십자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3×4 숫자 키패드의 5,7,9,0 버튼만을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모음의 긴 수평 및 수직 획(━,┃)에 대응하는 중앙 버튼(예컨대 8번 버튼)이 없다. 그 대신, 긴 수평획(━)은 7, 9 버튼(좌, 우 버튼)을 눌러 입력하고, 긴 수직획(┃)은 5,0 버튼(상, 하 버튼)을 눌러 입력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도 7,8,9에 예시된 것에서 중앙 버튼인 8번 버튼 대신에 긴 수평 및 수직 획에 대한 것만 바꾸고 나머지 부분을 그대로 사용하면 쉽게 응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기능키 전용 입력영역의 버튼의 입력 신호들을 조합한 버튼 신호 입력 시퀀스에 의해, 리셋, 빈칸 입력, 쉼표, 마침표, 최종입력 음소/음절의 삭제, 및 입력모드 전환 기능 들을 포함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개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한글입력모드로의 전환은 * 버튼과 #버튼을 차례로 누르면 실행되고, 한글입력모드를 해지하고 본래의 숫자입력모드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버튼과 *버튼을 차례로 눌러 실행시킬 수 있다. 이밖에, 특수문자입력이나 영문자판입력모드, 중국어나 일본어의 입력모드로의 전환도 *버튼과 #버튼의 누르는 횟수와 누르는 시간을 정함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음소 표현을 위한 버튼 입력 시퀀스는, 모든 음소에 대하여 중복됨이 없이 독립적으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는 수가 표현하고자 하는 문자인 한국어의 각 음소보다 더 많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라, 각 음소에 대한 버튼 입력 순서의 예가 도시된다. 여기서 모음의 경우에 "ㅇ(이응)"이 더 표시되어 있으나, 상기 이응은 자음의 일종인 독립적인 음소이며,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참고로 덧붙인 것이지 각각의 모음 음소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지적해둔다. 도 10에 도시된 예는 많은 가능성 중에서 한 예에 불과하며, 여러가지 조합이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한국어 입력 장치가 12개의 버튼을 가지는 3×4 숫자 키패드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반드시 본 발명이 이러한 12개 버튼 숫자 키패드만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게임기용 패드와 같이, 상(↑), 하(↓), 좌(←), 우(→) 방향키 배열 및 다른 적어도 3 ×3 버튼 배열을 포함하는 소형 키패드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모음 입력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은 4개의 버튼을 이용하는 모음 전용 입력영역으로서 상기 방향키 배열 상의 상, 하, 좌, 우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3 ×3 버튼 배열을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가로 3개 ×세로 4개의 버튼(1~9,0,*,#)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리 정해진 음소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처리부(20)에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버튼을 입력하면 입력된 버튼 신호를 처리하여 결과적으로 음절이 결정된다. 도 11에는 입력된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로부터 음소를 추출하는 과정이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11에 도시된 순서에 따라 자음 또는 모음의 음소가 추출되면, 이 음소들은 한국어 음소 조합 규칙에 따라 음절로 조합되어 예컨대 휴대전화기의 LCD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될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음소추출과정(200)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대응하는, 예컨대 DTMF 신호가 발생한다. 이 신호는 도 2의 처리부(20)에서 수행되는 음소추출과정을 거친다. 음소추출과정(200)은, 버튼 입력 신호를 대기하는 제 1 대기 단계(220)와, 버튼 입력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235), 음소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245), 음소 표현을 출력하고 상기 제 1 대기 단계로 되돌아가는 예비 음소추출단계(255,256), 예비 음소추출없이 제 1 대기 단계로 되돌아가는 제 2 대기 단계(265),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무시하는 제 1 오입력 정정 단계(275), 음소를 추출하고 상기 검색단계로 되돌아가는 확정 음소추출단계(285), 음소 추출없이 검색단계로 되돌아가는 제 2 오입력 정정 단계(2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소추출과정(200)을 거쳐 추출된 음소들은 소정의 한글 음소 조합 규칙, 즉 한국어 음소/음절 조합 규칙에 따라 조합{단계(300)}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입력된 신호 시퀀스가 미리 저장된 음소 목록에 포함된 음소 시퀀스와 비교됨으로써 음소가 추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음소 목록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버튼 입력 신호들로 이루어진 음소 시퀀스 및 상기 음소 시퀀스와 연관된 음소 표현들이 포함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버튼과 # 버튼을 차례로 누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모드가 시작된다{단계(210)}. 초기화단계(215)에서는 카운트(i)가 0으로 초기화되고, 음소 표현을 나타내는 음소값(m), 버튼 영역값(A), 및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I)도 예컨대 널(null)로 초기화된다.
제 1 대기 단계(220)에서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기를 기다린다. 신호가 입력되면, 카운트(i)가 하나 증가되고, 현재 입력되어 수신된 버튼 입력 신호룰 추가하여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I)를 생성한다{단계(235)}. 이 생성단계(235)에서 생성된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I)은 음소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음소 시퀀스와 비교됨으로써, 연관된 음소 표현이 검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기본적으로, 이 생성단계(235) 전에 버튼 신호가 리셋 버튼인지 또는 타기능으로 전환하는 버튼인지 또는 한글입력을 위한 버튼(키)인지가 결정될 것이다{단계(225)}. 리셋 버튼인 경우에는 초기화단계(215)로 되돌아가며, 타 기능키인 경우에는 해당 기능이 개시될 것이다{단계(230)}.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I)가 생성되면, 음소 목록을 검색하여 생성된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I)와 대응하는 음소 시퀀스가 있는지를 비교함으로써 탐색한다{단계(245)}. 음소 목록을 검색하기 전에 입력된 버튼 입력 신호(Ii)의 입력영역(Ai)(즉, 모음 전용 입력영역인지, 자음 전용 입력영역인지)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240)}. 그 결과 자음 영역이거나 또는 자음 중 청음이라고 결정되면, 비교하여야 하는 음소시퀀스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검색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상기 음소 목록의 검색단계에서,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I)에 대응하는 음소 시퀀스 및 연관된 음소 표현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한다{단계(250)}. 존재하는 경우, 예비 음소추출단계로서 그 연관된 음소 표현(mi)을 출력하고{단계(255)}, 음소값(m)에 음소 표현(mi)를 추가한 후{단계(256)}, 상기 제 1 대기 단계(220)로 되돌아간다. 예컨대, 한글입력모드에서 처음으로 사용자가 1번 버튼을 입력하면,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 I는 1번 버튼 입력 신호만으로 구성된다. 이것과 대응하는 것은 도 10의 표를 참조하면 음소 "ㅇ(이응)"이므로, "ㅇ"이 예컨대 디스플레이되고 다음 버튼 입력을 기다리게 될 것이다. 이 단계에서 추출된 음소는 확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단계는 예비적인 음소추출단계이다. 음소가 확정적으로 추출되기 위해서는 이 예비 음소추출단계를 거쳐야만 한다.
상기 검색단계에서 상기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에 대응하는 음소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250)의 NO인 경우}, 상기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와 대응하는 시퀀스를 부분으로서 포함하는 음소 시퀀스가 있는지 결정한다{단계(260)}. 이러한 부분 포함 음소 시퀀스가 존재하는 경우(YES), 제 2 대기 단계로서 아무런 출력없이 상기 제 1 대기 단계로 되돌아간다{단계(265)}.
예컨대, 사용자가 1번, 2번 버튼을 입력한 경우에, 도 10의 표에 있어서, 1, 2인 시퀀스에 의해 결정되는 유일한 음소는 존재하지 않지만 이것을 부분적으로 가지는 음소가 "ㄱ", "ㄹ", "ㄲ"로서 다수 존재한다. 이 경우 하나의 음소가 정해질 수 없으므로, 현재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음소가 없이 다음 버튼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이때, 이전 버튼 입력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었던 "ㅇ"이 그대로 디스플레이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부분 포함 음소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NO), 이전에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의 검색단계 다음에 상기 예비 음소추출단계가 존재하였었는지를 결정한다{단계(270)}. 예비 음소추출단계가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mi-1이 없음)라면, 제 1 오입력 정정 단계로 진행한다. 즉,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무시(모든 변수들을 초기화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만을 초기화할 수 있다)하고 상기 제 1 대기단계로 되돌아간다(미도시됨). 이 때, 오입력을 알리는 경고음(bip)이 출력될 수 있다{단계(275)}.
예컨대, 사용자가 1,2,6을 입력하면, 도 10의 표에서 해당하는 음소를 찾을 수 없으므로 현재까지 입력되었던 버튼 입력 신호들이 모두 무시되고, 경고음의 출력과 함께 다음 버튼 입력을 기다리는 단계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삭제를 위한 버튼 조작을 할 필요없이 원하는 글자를 위한 버튼 입력을 새로 시작하면, 오입력된 버튼 시퀀스는 자동으로 삭제된다.
상기 예비 음소추출단계가 존재(mi-1이 존재)하였던 경우, 그 출력된 음소 표현이 한국어 음소조합 시퀀스 규칙에 따르는지를 결정한다{단계(280)}. 이러한 규칙은 예컨대, "모음이후에 또 모음이 올 수 없다", "자음 이후에 또 자음이 올때는 초성과 종성의 관계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등의 한국어의 초중종성 조합 규칙일 것이다. 이러한 규칙일 에 따르는 경우라면 그 출력된 음소 표현을 확정된 음소로서 추출하여 다음 음절 조합단계(300)로 전송한다{단계(285)}. 그후 현재 수신된 버튼 입력 신호만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다시 생성하여{단계(290)}, 상기 검색단계로 되돌아간다. 이 과정은 확정 음소추출단계이다. 이 단계에 의해서만 음소가 확정적으로 추출되어 음절 조합단계로 진행하게 될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2,1,4,5,1 버튼을 누른 때는 대응하는 음소를 찾을 수 없지만, 직전에 2,1,4,5까지 입력된 경우 "ㄷ"이 디스플레이되었을 것이다. 마지막 입력 신호는 자음("ㅇ"에 해당)이고, 이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것도 자음(mi-1는 "ㄷ"에 해당)이다. 이때, "ㄷ"이전에 모음이 추출되었을 경우에는 한국어 음소 조합 규칙에 어긋나지 않으므로 "ㄷ"이 확정되어 음소로서 추출되고, 현재 입력된 버튼인 1번 버튼으로만 음소 목록이 검색되어 "ㅇ"이 디스플레이되는 예비 음소추출단계로 넘어갈 것이다.
한국어 음소조합 시퀀스 규칙에 따르지 않는 경우, 이전까지 수신된 버튼 입력 신호들은 모두 무시하고, 현재 수신된 버튼 입력 신호만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다시 생성하여{단계(290)} 상기 검색단계로 되돌아간다. 이 과정은 제 2 오입력 정정 단계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2,1,4,5,1 버튼을 누른 때는 대응하는 음소를 찾을 수 없지만, 직전에 2,1,4,5까지 입력된 경우 "ㄷ"이 디스플레이되었을 것이다. 마지막 입력 신호는 자음("ㅇ"에 해당)이고, 이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것도 자음(mi-1는 "ㄷ"에 해당)이다. 이때, "ㄷ"이전에 자음 예컨대 "ㄲ"이 추출되었을 경우에는 "ㄷ"은 규칙에 어긋나므로 무시된다. 이 경우, 현재 입력된 버튼인 1번 버튼으로만 음소 목록이 검색되어 "ㅇ"이 디스플레이되는 예비 음소추출단계로 넘어갈 것이다. 본 단계에 따라, 상기 제 1 오입력 정정 단계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별도의 삭제를 위한 버튼 조작을 할 필요없이 원하는 글자를 위한 버튼 입력을 새로 시작하면, 한글 맞춤법에 어긋나게 오입력된 음소가 자동으로 삭제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을 구현하는 각 단계들은 입력된 버튼 신호를 논리적으로 처리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목록을 검색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휴대 전화 등의 12버튼 숫자 키패드 또는 게임기용 패드의 버튼 구성을 이용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설명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2개 또는 13개 정도의 버튼을 구비하면 숫자와 문자 등의 입력이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소형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로서 응용가능하다.
예컨대 손목시계 모양과 크기를 가지는 웨어러블 전화기나 컴퓨터 자판 등을 위한 입력장치로서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범위 및/또는 여러 청구항들에 의해 표현된 기술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 조합들이 쉽게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기술 범위 및 그와 균등한 기술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한국어 필기식 입력 기술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롭고 실제로 구현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숫자 키패드를 각 음소의 종류, 예컨대 자음 및 모음, 또는 자음의 청음, 자음의 격음/경음, 모음을 위한 전용의 영역으로 구분함으로써, 각 영역별로 특정한 종류의 음소만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음 또는 모음에 따라 구별된 입력 영역을 가지는 한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문자의 필기식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여러개의 숫자 키패드의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름으로써 해당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 음소 표현에 하나 이상의 키패드 버튼 입력 신호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소 시퀀스를 연관시킨 음소 목록을 저장하고, 하나의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음소 목록을 검색하여 가장 적절한 음소 표현을 출력하거나 및/또는 음소 표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버튼 동작을 잘못하여 오입력한 경우에도 자동으로 정정될 수 있어, 문자 입력에 있어 큰 편리성을 제공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소형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로서 채용되고 있는 종래의 숫자 키패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입력 방법에 있어서 자음 및 모음의 입력을 위한 서브영역들을 표시한 개략도.
도 4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입력 규칙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입력 규칙에 있어서, 버튼 입력 신호로 이루어진 음소 시퀀스와 이에 연관된 음소 표현을 예시하는 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입력 방법에 있어서, 버튼 입력에 따라 음소 표현이 추출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100 : 숫자 키패드 12 : 숫자 버튼 영역
14 : 기능 버튼 영역 16 : 모드전환 버튼
20 : 버튼 입력 신호 처리부 21 : 음소추출모듈
22 : 음소목록 30 : 디스플레이
40 : 데이터송신부 120 : 제 1 자음영역
140 : 제 2 자음영역 160 : 모음영역
180 : 기능버튼영역

Claims (27)

  1. 가로 3개 ×세로 4개의 버튼(1~9,0,*,#)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키패드 입력수단과 상기 키패드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한국어 표현을 출력하기 위한 처리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키패드의 각 버튼이 동작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이를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로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임의의 버튼 입력 신호의 순차적인 시퀀스로 이루어지는 음소 시퀀스 및 한국어 음소 표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소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수단으로서, 여기서 하나의 한국어 음소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음소 시퀀스와 연관되며, 상기 음소 시퀀스는 상기 키패드의 복수의 분할된 입력영역 중 하나의 입력영역에 속하는 버튼들의 입력 신호들만으로 구성되는, 음소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수단과;
    하나의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버튼 입력 신호 또는 일련의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음소 목록을 검색하고 대응하는 음소 표현을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음소 검색 및 출력 수단과;
    상기 출력된 음소를 조합하여 음절을 결정하기 위한 음절 결정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입력영역은:
    상기 키패드의 숫자 입력 버튼들 중 6개의 사각형 배열의 숫자 입력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한글 자음만을 입력하는 자음 전용 입력영역으로서, 청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만을 입력하는 청음 전용 입력영역 및 격음/경음(ㅊ,ㅋ,ㅌ,ㅍ,ㅎ,ㄲ,ㄸ,ㅃ,ㅆ,ㅉ)만을 입력하는 격음/경음 전용 입력영역으로 더 구별되는, 자음 전용 입력영역과;
    상기 키패드의 숫자 입력 버튼들 중 중앙, 상, 하, 좌, 우측 버튼으로 이루어진 십자 형상 배열의 5개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한글 모음만을 입력하는 모음 전용 입력영역; 및
    상기 키패드에서 숫자 입력 버튼을 제외한 *,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특수 문자 입력 및 입력 모드 전환을 위한 기능만을 위한 기능키만을 입력하는 기능키 전용 입력영역을 포함하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 목록의 상기 음소 시퀀스 각각은, 그 연관된 음소의 필기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기 키패드 상에서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에 의한 입력 신호에 의해 구성되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 입력영역은 정방형 배열을 하는 4개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격음/경음 입력영역은 정방형 배열을 하는 4개의 버튼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청음 입력영역과 상기 격음/경음 입력영역은 적어도 2개의 버튼이 서로 다른,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 입력영역은 정방형 배열을 하는 4개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격음/경음 입력영역은 상기 청음 입력영역에 속하지 않은 하나의 가획버튼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격음/경음의 입력은 먼저 획이 적은 유사한 형태의 청음을 입력한 후 상기 가획버튼을 적어도 한번 입력하여 이루어지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6. 가로 3개 ×세로 4개의 버튼(1~9,0,*,#)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키패드 입력수단과 상기 키패드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한국어 표현을 출력하기 위한 처리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키패드 입력수단은:
    한국어 자음의 청음 표현(ㄱ,ㄴ,ㄷ,ㄹ,ㅁ,ㅂ,ㅅ,ㅈ,ㅇ)만을 입력하도록 지정된 상기 키패드의 1,2,4,5 숫자 버튼으로 이루어진 청음 전용 입력영역과;
    한국어 자음의 격음 표현(ㅊ,ㅋ,ㅌ,ㅍ,ㅎ) 및 경음(ㄲ,ㄸ,ㅃ,ㅉ,ㅆ)만을 입력하도록 지정된 상기 키패드의 2,3,5,6 숫자 버튼으로 이루어진 격음/경음 전용 입력영역과;
    한국어 모음 표현(ㅏ,ㅑ,ㅓ,ㅕ,ㅜ,ㅠ,ㅡ,ㅣ...)만을 입력하도록 지정된 상기 키패드의 5,7,8,9,0 숫자 버튼으로 이루어진 모음 전용 입력영역과;
    특수 문자입력 및 입력모드 전환을 위한 기능만을 위하여 지정된 상기 키패드의 *,# 버튼으로 이루어진 기능키 전용 입력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 목록의 상기 음소 버튼 시퀀스 각각은, 그 연관된 음소의 필기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기 키패드의 각 전용 입력영역 상에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에 의한 입력 신호에 의해 구성되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 시퀀스를 이루는 버튼 입력 신호의 인접된 두 신호는 상기 키패드 상의 하나 또는 두 인접 버튼에 의해 발생되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 전용 입력영역에서 입력되는 각 청음 음소를 위한 상기 음소 버튼 시퀀스의 마지막 버튼은 5번 버튼이고, 상기 격음 및 경음 전용 입력영역에서 입력되는 각 격음 또는 경음 음소를 위한 상기 음소 버튼 시퀀스의 마지막 버튼은 6번 버튼인,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 버튼 시퀀스는 임의의 자음(ㄱ,ㄴ,ㄷ...)에 대응하는 음소 버튼 시퀀스를 입력한 후 미리 지정된 가획버튼을 적어도 한번 추가 입력하면 상기 자음의 형태에 획이 하나 더 많은 자음(ㄲ/ㅋ,ㄷ/ㄸ...)에 대응하는 음소 버튼 시퀀스가 되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획버튼은 6번 버튼인,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전용 입력영역은 상기 중앙 버튼이 긴 수평 및 수직 획(━,┃)에 대응하고, 상기 상, 하, 좌, 우측 버튼은 각각 십자의 상측(╀), 하측(╁), 좌측(┽), 우측(┾) 가지 형태에 대응하며, 각 모음의 형태에 대응하는 이러한 버튼들의 입력 신호 시퀀스에 의해 각 모음에 대응하는 음소 버튼 시퀀스가 구성되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전용 입력영역은 상기 중앙 버튼이 긴 수평 및 수직 획(━,┃)에 대응하고, 상기 상, 하, 좌, 우측 버튼은 각각 모음 오(╇), 우(╈), 어(╉), 아(╊) 형태에 대응하며, 각 모음의 형태에 대응하는 이러한 버튼들의 입력 신호 시퀀스에 의해 각 모음에 대응하는 음소 버튼 시퀀스가 구성되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 전용 입력영역의 버튼의 입력 신호들을 조합한 버튼 신호 입력 시퀀스에 의해, 리셋, 빈칸 입력, 쉼표, 마침표, 최종입력 음소/음절의 삭제, 및 입력모드 전환 기능 들을 포함하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개시시키도록 구성되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15. 가로 3개 ×세로 4개의 버튼(1~9,0,*,#)을 포함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각 버튼이 동작하여 발생되는 각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하나의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입력된 버튼 입력 신호를 추가한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이용하여, 임의의 버튼 입력 신호의 순차적인 시퀀스로 이루어지는 음소 시퀀스 및 한국어 음소 표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소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하나의 한국어 음소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음소 시퀀스와 연관되며, 상기 음소 시퀀스는 상기 키패드의 복수의 분할된 입력영역 중 하나의 입력영역에 속하는 버튼들의 입력 신호들만으로 구성되는, 음소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음소 표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색된 음소 표현을 출력하고, 다음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소 목록 검색을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음소 표현들을 조합하여 음절 표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입력영역은:
    상기 키패드의 숫자 입력 버튼들 중 6개의 사각형 배열의 숫자 입력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한글 자음만을 입력하는 자음 전용 입력영역으로서, 청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만을 입력하는 청음 전용 입력영역 및 격음/경음(ㅊ,ㅋ,ㅌ,ㅍ,ㅎ,ㄲ,ㄸ,ㅃ,ㅆ,ㅉ)만을 입력하는 격음/경음 전용 입력영역으로 더 구별되는, 자음 전용 입력영역과;
    상기 키패드의 숫자 입력 버튼들 중 중앙, 상, 하, 좌, 우측 버튼으로 이루어진 십자 형상 배열의 5개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한글 모음만을 입력하는 모음 전용 입력영역; 및
    상기 키패드에서 숫자 입력 버튼을 제외한 *,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특수 문자 입력 및 입력 모드 전환을 위한 기능만을 위한 기능키만을 입력하는 기능키 전용 입력영역을 포함하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 목록의 상기 음소 시퀀스 각각은, 그 연관된 음소의 필기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기 키패드 상에서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에 의한 입력 신호에 의해 구성되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방법.
  17. 삭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 입력영역은 정방형 배열을 하는 4개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격음/경음 입력영역은 정방형 배열을 하는 4개의 버튼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청음 입력영역과 상기 격음/경음 입력영역은 적어도 2개의 버튼이 서로 다른,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 입력영역은 정방형 배열을 하는 4개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격음/경음 입력영역은 상기 청음 입력영역에 속하지 않은 하나의 가획버튼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격음/경음의 입력은 먼저 획이 적은 유사한 형태의 청음을 입력한 후 상기 가획버튼을 적어도 한번 입력하여 이루어지는,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방법.
  20. 일련의 버튼 입력 신호들로 이루어진 음소 시퀀스 및 상기 음소 시퀀스와 연관된 음소 표현들을 구비하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소 목록을 검색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에 따라 음소 표현을 출력하여 이루어지는 한국어 입력 방법에 있어서:
    버튼 입력 신호를 대기하는 제 1 대기 단계와;
    수신된 버튼 입력 신호룰 추가하여 버튼 입력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음소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상기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에 대응하는 음소 시퀀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소 시퀀스와 연관된 음소 표현을 출력하고 상기 제 1 대기 단계로 되돌아가는 예비 음소추출단계와;
    상기 검색단계에서 상기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에 대응하는 음소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와 대응하는 시퀀스를 부분으로서 포함하는 음소 시퀀스가 있는지 결정하고, 이러한 부분 포함 음소 시퀀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대기 단계로 되돌아가는 제 2 대기 단계와;
    상기 부분 포함 음소 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전에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의 검색단계 다음에 상기 예비 음소추출단계가 존재하였었는지를 결정하고,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라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무시하고 상기 제 1 대기단계로 되돌아가는 제 1 오입력 정정 단계와;
    존재하였던 경우, 그 출력된 음소 표현이 한국어 음소조합 시퀀스 규칙에 따르는지를 결정하여, 규칙에 따르는 경우라면 그 출력된 음소 표현을 확정된 음소로서 추출하여 다음 음절 조합단계로 전송하고, 현재 수신된 버튼 입력 신호만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다시 생성하여 상기 검색단계로 되돌아가는 확정 음소추출단계와;
    규칙에 따르지 않는 경우, 현재 수신된 버튼 입력 신호만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 신호 시퀀스를 다시 생성하여 상기 검색단계로 되돌아가는 제 2 오입력 정정 단계와;
    상기 확정 음소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일련의 음소들을 한글 음소 조합 규칙에 따라 조합하여 음절을 확정하는 음절확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소 시퀀스는 음소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버튼 입력영역으로부터 입력되는데,
    여기서, 상기 복수의 입력영역은:
    상기 키패드의 숫자 입력 버튼들 중 6개의 사각형 배열의 숫자 입력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한글 자음만을 입력하는 자음 전용 입력영역으로서, 청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만을 입력하는 청음 전용 입력영역 및 격음/경음(ㅊ,ㅋ,ㅌ,ㅍ,ㅎ,ㄲ,ㄸ,ㅃ,ㅆ,ㅉ)만을 입력하는 격음/경음 전용 입력영역으로 더 구별되는, 자음 전용 입력영역과;
    상기 키패드의 숫자 입력 버튼들 중 중앙, 상, 하, 좌, 우측 버튼으로 이루어진 십자 형상 배열의 5개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한글 모음만을 입력하는 모음 전용 입력영역; 및
    상기 키패드에서 숫자 입력 버튼을 제외한 *,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특수 문자 입력 및 입력 모드 전환을 위한 기능만을 위한 기능키만을 입력하는 기능키 전용 입력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하나의 버튼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음소 목록의 검색단계 이전에, 상기 입력된 버튼 신호의 전용 입력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력 신호 시퀀스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방법.
  21. 삭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 목록의 음소 시퀀스 각각은, 그 연관된 음소의 필기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기 전용 입력 버튼 영역 상에서 배열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에 의한 입력 신호에 의해 구성되는, 입력신호 시퀀스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입력 정정 단계는 오류임을 알리는 음향이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력신호 시퀀스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입력 신호는 가로 3개 ×세로 4개의 버튼(1~9,0,*,#)을 포함하는 키패드의 버튼이 동작하여 입력되는 신호인, 입력신호 시퀀스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방법.
  25. 제 15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단계들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입력영역은 상, 하, 좌, 우측 버튼으로 이루어진 십자형상의 4개 버튼인,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27. 제 26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한국어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수단은 상, 하, 좌, 우 방향키 배열 및 다른 적어도 3 ×3 버튼 배열을 포함하는 소형 키패드이며, 상기 모음 입력영역은 상기 방향키 배열인,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KR10-2003-0013754A 2003-03-05 2003-03-05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530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754A KR100530491B1 (ko) 2003-03-05 2003-03-05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754A KR100530491B1 (ko) 2003-03-05 2003-03-05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923A KR20040078923A (ko) 2004-09-14
KR100530491B1 true KR100530491B1 (ko) 2005-11-22

Family

ID=3736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754A KR100530491B1 (ko) 2003-03-05 2003-03-05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49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923A (ko) 2004-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23426A1 (en) Japanese language entry mechanism for small keypads
JP2001509290A (ja) 減少型キーボード曖昧さ除去システム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JP2004500610A (ja) スピードタイピング装置及び方法
US20040105714A1 (en) Arabic-persian alphabet input apparatus
US7352295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inputting alphabets using a reduced keypad
KR100530491B1 (ko)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JP3259619B2 (ja) 仮名入力装置
JP3222445B2 (ja) 文字入力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10108653A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16862A (ja)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KR100433173B1 (ko) 한글 자판이 배치된 키패드 전화기 및 한글 입력 방법
KR2010011007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JP2002189490A (ja) ピンイン音声入力の方法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JP4227891B2 (ja) キーボードを用いた文書入力システムと該システム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562965B1 (ko) 한글입력방법
KR20050059763A (ko) 휴대폰의 한글 입력방법
KR20050092587A (ko)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및 영어입력방법
JP2006217557A (ja) 携帯・固定電話およびコンピュータキーボードの日本語とアルファベット表示入力装置
KR20040010105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78319A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