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965B1 - 한글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한글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965B1
KR100562965B1 KR1020030040108A KR20030040108A KR100562965B1 KR 100562965 B1 KR100562965 B1 KR 100562965B1 KR 1020030040108 A KR1020030040108 A KR 1020030040108A KR 20030040108 A KR20030040108 A KR 20030040108A KR 100562965 B1 KR100562965 B1 KR 10056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consonants
hangul
con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0681A (ko
Inventor
장준우
김용휘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30040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965B1/ko
Publication of KR2004011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의 키를 이용하여 한글입력시 사용자가 쌍자음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한글입력방법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은 적어도 0에서 9까지의 아홉 개의 키와 두 개의 다른 기능을 갖는 키를 포함하는 4 ×3 형식의 키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어떤 글자에 연속하여 받침과 초성이 입력되는 경우에, 그 받침과 초성 다음에 오는 모음의 입력이 일정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그 받침과 초성을 그 받침과 초성을 합하여 쌍자음 초성으로 결정하거나, 어떤 글자에 연속하여 받침과 초성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받침 입력 후나 상기 받침과 초성 입력 후에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받침과 초성을 쌍자음으로 처리하도록 하여, 더욱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글입력, 휴대폰, 쌍자음, 타이머

Description

한글입력방법 {Korean language input method}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에 의해 쌍자음이 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쌍자음이 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쌍자음이 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의 제3실시 예에 따라 쌍자음이 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한글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의 키를 이용하여 한글입력시 사용자가 쌍자음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한글입력방법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무선통신기술과 그 주변 기술의 급격한 발달에 힘입어 휴대단말기인 소위 휴대폰은 거의 필수품화되어 각 개인마다 휴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폰은 전화통화를 위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정보를 문자나 그림을 사용하여 주고받는 기능 또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이동키나 기능키들을 제외하고 통상 0부터 9, 그리고 *키와, #키로 이루어지는 4 ×3키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4 ×3키는 일반적인 컴퓨터 자판과 달리 장소가 협소할 뿐만 아니라, 키의 수가 적어서 한글을 입력하도록 배열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배열이 된 상태에서도 한글을 입력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휴대폰의 한글입력의 현재 추세는 키에 배치한 자소의 키 입력 횟수, 즉 뎁스(depth)의 최소화와 이동키나 타이머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 가능한 연속입력의 구현을 그 핵심으로 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부가적인 처리 없이 "오빠", "합니까", "알까기" 등의 문장을 처리할 때 연속적인 입력을 받으면, KS5601C 문자 코드에서 제공하는 경우에는 각각 "옵바", "합닉가", "앍가기"로 문장이 조합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 중에서 "오빠"를 입력하기 위하여, 소위 나랏글 2000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ㅇ"키 + "ㅗ"키 + "ㅂ"키 + "쌍자음"키 + "ㅏ"키를 눌러 완성하게 된다. 위의 네모는 입력되는 글자가 인쇄되는 화면을 나타내고, 아래에는 입력한 키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모두 같다.
또한, 종래기술 중에 "오빠"를 입력하기 위하여, 동일키의 입력을 더 요구하 는 멀티프레스방식을 요구하는 소위 천지인 방식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ㅇ"키 + "ㅗ"키 + "ㅂ"키 + "ㅂ"키 + "ㅂ"키 + "ㅏ"키를 눌러 완성하게 된다.
한편, 종래기술 중에 "오빠"를 입력하기 위하여, 소위 어필 새한글 방식으로 등록된 대한민국특허 제0372664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ㅇ"키 + "ㅗ"키 + "ㅂ"키 + "ㅂ"키의 긴 입력 + "ㅏ"키를 눌러 완성하게 된다.
상기 언급한 불편 사항을 개선하는 방법의 키는 사용자가 쌍자음 처리의 결과가 원하는 결과가 되지 않음을 예상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거나, 그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쉽게 원하는 글자로 변환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그 방법으로는 팝업창 등을 이용하여 미리 준비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선택하거나, 추가적인 키의 조작을 통한 쉬운 수정을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전자방식은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함으로써 차지하는 메모리 소모와 글자입력시 글자의 선택을 위한 추가적인 부가조작의 복잡성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나랏글 2000 등의 방식들은 입력방식 알고리즘들이 겹자쓰기 기능과 덧쓰기 기능과 모음첨가 쓰기기능의 기능을 개별적으로 나누고 있거나, 덧쓰기에 모음첨가쓰기까지 포함한 기능과 겹자쓰기 기능으로 나누고 있고, 세 가지 기능을 축약하고 싶어도 자판 배열 및 기능의 제약으로 인하여 세 가지 기능을 한 개의 키에 축약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자연스러운 알고리즘의 범위 내에서 혹은 한글의 보편적인 알고리즘을 수정하지 않고 쌍자음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한글입력방법을 단순한 키의 복잡한 입력보다 개념적인 단계에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과 같은 특정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늘 사용자가 쌍자음 처리 이후에 모음의 추가 입력을 하는 경우에 한정되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문제의 발생시 쉽게 원하는 글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오류 복원의 원활함을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제가 발생할 것을 예상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해주므로 입력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은 적어도 0에서 9까지의 아홉 개의 키와 두 개의 다른 기능을 갖는 키를 포함하는 4 ×3 형식의 키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어떤 글자에 연속하여 받침과 초성이 입력되는 경우에, 그 받침과 초성 다음에 오는 모음의 입력이 일정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그 받침과 초성을 그 받침과 초성을 합하여 쌍자음 초성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은 적어도 0에서 9까지의 아홉 개의 키와 두 개의 다른 기능을 갖는 키를 포함하는 4 ×3 형식의 키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어떤 글자에 연속하여 받침과 초성이 입력되는 경우 에, 그 받침과 초성이 입력된 후 일정시간동안 입력이 없으면, 그 받침과 초성을 그 받침과 초성을 합하여 쌍자음 초성으로 결정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은 적어도 0에서 9까지의 아홉 개의 키와 두 개의 다른 기능을 갖는 키를 포함하는 4 ×3 형식의 키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어떤 글자에 연속하여 받침과 초성이 입력되는 경우에, 그 받침의 입력 후 일정시간동안 입력이 없으면, 그 받침을 상기 어떤 글자 다음에 입력되는 초성자음으로 결정하되 그 후 또 다른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받침과 함께 쌍자음으로 처리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참조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에 의해 쌍자음이 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쌍자음이 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쌍자음이 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의 제3실시 예에 따라 쌍자음이 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의 제1실시 예는 도 4 내지 도 6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빠"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ㅇ"키 + "ㅗ"키 + "ㅂ"키 + "ㅂ"키 + "ㅏ"키의 긴 입력을 통하여 달성할 수 있다. 즉, 쌍자음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자음을 두 번 연속 입력한 다음에, 그 다음에 오는 모음을 길게 입력하여 쌍자음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한 것이다. 긴 입력은 너무 긴 시간을 요구 할 필요는 없고 종래에 해왔던 것처럼 적절한 시간으로 정할 수 있다. 이 시간은 통상 0.5초에서 1.5초 내에서 결정된다.
다른 입력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 경우에는 "합니까"를 입력하는 경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ㅎ"키 + "ㅏ"키 + "ㅂ"키 + "ㄴ"키 + "ㅣ"키 + "ㄱ"키 + "ㄱ"키 + "ㅏ"키의 긴 입력으로 입력을 완료하게 된다. 이것은 도 4를 설명할 때와 동일한 방법이다.
또 다른 입력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알까기"를 입력하는 경우에, "ㅇ"키 + "ㅏ"키 + "ㄹ"키 + "ㄱ"키 + "ㄱ"키 + "ㅏ"키의 긴 입력 + "ㄱ"키 + "ㅣ"키의 입력으로 입력을 완료하게 된다. 이 예도 도 4에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쌍자음 입력을 처리한 예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의 제2실시 예는 제1실시 예의 쌍자음 다음 모음의 긴 입력을 통해 쌍자음 입력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타이머를 이용한 것이다. 즉, 타이머의 동작을 오토마타 알고리즘에 있어서의 하나의 이벤트로 수용함으로써 아래와 같이 처리하도록 하면 자동 오토마타 알고리즘의 기능이 제공된다. 받침이 입력되는 부분과 다음 초성에 글자가 들어가는 부분에 타이머 이벤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원하는 글자를 순서대로 입력한 후, 일정한 타이머가 만료되면 다시 글자를 재 조합하여 다른 글자로 변경하는 방법이다. 특히 이 경우에 한정하면 동일한 글자가 초성과 앞글자의 종성에 나뉘어서 만날 경우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니까"를 입력하는 경우에 "ㅎ"키 + "ㅏ"키 + "ㅂ"키 + "ㄴ"키 + "ㅣ"키 + "ㄱ"키 + "ㄱ"키를 입력한 다음, 일정시간이 흘러 타이머 작동시간이 완료된 다음, "ㅏ"키를 입력하여 완성한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도면상에 세 개의 점(…)으로 표시된 것은 시간이 흘러 타이머가 작동되어 완료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알까기"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ㅇ"키 + "ㅏ"키 + "ㄹ"키 + "ㄱ"키 + "ㄱ"키를 입력 한 다음, 시간이 흘러 타이머가 만료된 후, "ㅏ"키 + "ㄱ"키 + "ㅣ"키를 입력하여 입력을 완료한다. 이것은 도 7에 도시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의 제3실시 예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받침에 입력할 경우, 무조건 타이머가 만료될 때 다음 초성으로 밀어버리는 경우 겹자음 받침일 경우 두 번째로 입력한 받침을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밀어주는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까기"를 입력하는 경우에, "ㅎ"키 + "ㅏ"키 + "ㅂ"키 + "ㄴ"키 + "ㅣ"키 + "ㄱ"키를 입력한 다음, 타이머가 만료된 후, "ㄱ"키 + "ㅏ"키를 입력하여 입력을 완료한다.
같은 방법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까기"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ㅇ"키 + "ㅏ"키 + "ㄹ"키 + "ㄱ"키를 입력한 다음에 타이머가 만료된 후, "ㄱ"키 + "ㅏ"키 + "ㄱ"키 + "l"키를 입력하여 완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은 어필 새한글이 원래 한글 입력을 연속적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한글의 격자음(ㅋ,ㅌ,ㅍ,ㅊ,ㅎ)과 모음 첨가음(ㅑ,ㅕ,ㅛ,ㅠ,ㅢ)을 한글 기본자의 확장글자 개념으로 기능키를 구현하고 있 고 여기에 겹자음쓰기의 기능까지 기능키에 포함할 수 있는 자판배열 및 알고리즘의 동작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세 개의 실시 예의 기능이 모두 한 개의 기능키에 주어질 수 있어 한글입력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작시성과 쉬운 입력의 기능을 잘 구현하고 있는 가운데, 사용자에게 발생시키는 맹점을 보완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한글 입력방식의 추세에 부합하고 경쟁력 있는 입력알고리즘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적어도 0에서 9까지의 아홉 개의 키와 두 개의 다른 기능을 갖는 키를 포함하는 4 ×3 형식의 키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어떤 글자에 연속하여 받침과 초성이 입력되는 경우에, 그 받침과 초성이 입력된 후 일정시간동안 입력이 없으면, 그 받침과 초성을 그 받침과 초성을 합하여 쌍자음 초성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3. 적어도 0에서 9까지의 아홉 개의 키와 두 개의 다른 기능을 갖는 키를 포함하는 4 ×3 형식의 키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어떤 글자에 연속하여 받침과 초성이 입력되는 경우에, 그 받침의 입력 후 일정시간동안 입력이 없으면, 그 받침을 상기 어떤 글자 다음에 입력되는 초성자음으로 결정하되 그 후 또 다른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받침과 함께 쌍자음으 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방법.
KR1020030040108A 2003-06-20 2003-06-20 한글입력방법 KR10056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108A KR100562965B1 (ko) 2003-06-20 2003-06-20 한글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108A KR100562965B1 (ko) 2003-06-20 2003-06-20 한글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681A KR20040110681A (ko) 2004-12-31
KR100562965B1 true KR100562965B1 (ko) 2006-05-23

Family

ID=3738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108A KR100562965B1 (ko) 2003-06-20 2003-06-20 한글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9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681A (ko) 200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1706C (zh) 一种数据输入速率得到提高的移动终端
JP2011524595A (ja) 個々のテキストフィールドのデータ入力をカスタマイズするための方法
US7352295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inputting alphabets using a reduced keypad
KR100562965B1 (ko) 한글입력방법
KR100388301B1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KR20000042790A (ko) 도트매트릭스 키패드의 키버튼을 통한 한글 입력 장치
JP3328245B2 (ja)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文字入力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10039239A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JP2000276288A (ja) 携帯端末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436426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JP2004030442A (ja) かな/カナ文字入力装置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JP3071704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JPS63128468A (ja) キヤラクタ入力装置
KR20060093264A (ko) 한자 입출력 장치
KR200289449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JP2002229721A (ja) 日本語の音節表記に基づく簡易型文字入力装置
KR100288379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화번호부 검색 및 입력 방법
KR100530491B1 (ko)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650567B1 (ko)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 및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