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698B1 -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70698B1 KR100470698B1 KR10-2001-0084019A KR20010084019A KR100470698B1 KR 100470698 B1 KR100470698 B1 KR 100470698B1 KR 20010084019 A KR20010084019 A KR 20010084019A KR 100470698 B1 KR100470698 B1 KR 1004706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onant
- vowel
- group
- keypad
- ke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6)
-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10개의 숫자키(0 키∼9 키)와 두 개의 기호 키(* 키, # 키)가 장치의 키패드상에 형성되고,상기 키 중 임의의 키에 한글의 기본 자음인 제1 자음군(ㄱ,ㄷ,ㅂ,ㅅ,ㅈ)과, 기본 단모음인 제1 모음군(ㅏ,ㅓ,ㅗ,ㅜ,ㅡ,ㅣ)이 구분되어 각각 배치되되, 이중모음인 제2 모음군(ㅑ,ㅕ,ㅛ,ㅠ)은 상기 제1 모음군의 기본 단모음과 연관되는 해당하는 키에 중복 배치되며, 격자음과 겹자음이 생성되지 않는 자음인 제2 자음군(ㄴ,ㅁ,ㄹ,ㅇ,ㅎ)은 상기 제1 자음군의 키에 중복 배치되며,상기 기본 자음군에 해당하는 격자음과 겹자음의 선택을 위한 기능키가 자음과 모음 키를 제외한 임의의 키 위치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본 자음군(ㄱ,ㄷ,ㅂ,ㅅ,ㅈ)의 각 자음은 키패드의 좌측부위에, 상기 기본 모음군(ㅏ,ㅓ,ㅗ,ㅜ,ㅡ,ㅣ)의 각 모음은 키패드의 우측부위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기능키는 키패드의 좌측 하단에 배치되게 하여 양손의 사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2 자음군의 배치 시 복자음을 구성할 수 있는 자음끼리는 같은 키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자음군(ㄱ,ㄷ,ㅂ,ㅅ,ㅈ)의 각 자음은 4행 3열로 이루어진 한글자판 키패드에 그 순서대로 배치되되, 키패드의 1행 1열, 1행 2열, 2행 1열, 2행 2열, 3행 1열의 순으로 배치되고, 제2 자음군(ㄴ,ㅁ,ㄹ,ㅇ,ㅎ)의 각 자음은 상기 제1 자음군의 각 자음이 배치된 동일 위치에 중복 배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본 모음군(ㅏ,ㅓ,ㅗ,ㅜ,ㅡ,ㅣ)의 각 모음은 그 순서대로 4행 3열로 이루어진 한글자판 키패드에 있어서, 1행 3열, 2행 3열, 3행 2열, 3행 3열, 4행 2열, 4행 3열로 배열되고, 이중모음인 제2 모음군(ㅑ,ㅕ,ㅛ,ㅠ)은 상기 제1 모음군의 단모음과 연관되는 해당하는 키에 중복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모음부에 숫자, 자음, 모음을 제외한 여러 가지 기호가 배치되며, 4행 1열에 상기 기능키가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10개의 숫자키(0 키∼9 키)와 두 개의 기호 키(* 키, # 키)를 키패드에 각각 형성하고,상기 키 중 임의의 키에 한글의 기본 자음인 제1 자음군(ㄱ,ㄷ,ㅂ,ㅅ,ㅈ)과 기본 단모음인 제1 모음군(ㅏ,ㅓ,ㅗ,ㅜ,ㅡ,ㅣ)을 구분하여 배치하되, 이중모음인 제2 모음군(ㅑ,ㅕ,ㅛ,ㅠ)은 상기 제1 모음군의 기본 단모음과 연관되는 해당하는 키에 중복 배치하며,격자음과 겹자음이 생성되지 않는 자음인 제2 자음군(ㄴ,ㅁ,ㄹ,ㅇ,ㅎ)을 상기 제1 자음군의 키에 중복 배치하며,상기 기본 자음군에 해당하는 격자음과 겹자음의 선택을 위한 기능키를 자음과 모음 키를 제외한 임의의 키 위치에 별도로 구비하여 격자음과 겹자음은 해당 기본자음을 선택한 후 기능키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입력하며,이중모음이나 삼중모음의 복모음은 상기 단모음을 연속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입력함으로써 문자의 입력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84019A KR100470698B1 (ko) | 2001-12-24 | 2001-12-24 |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84019A KR100470698B1 (ko) | 2001-12-24 | 2001-12-24 |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53971A KR20030053971A (ko) | 2003-07-02 |
KR100470698B1 true KR100470698B1 (ko) | 2005-02-21 |
Family
ID=3221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84019A KR100470698B1 (ko) | 2001-12-24 | 2001-12-24 |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7069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3178B1 (ko) | 2008-11-07 | 2011-11-11 |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1733B1 (ko) * | 2002-01-21 | 2004-05-17 | 최보성 | 축소형 키패드를 사용하는 휴대통신기기에 적합한한글입력 처리장치 및 그 방법 |
KR20020062611A (ko) * | 2002-06-28 | 2002-07-26 | 박병진 | 이동식 단말기 한글입력방법 |
KR100616225B1 (ko) * | 2004-10-20 | 2006-08-25 | 주식회사 팬택 |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KR100800606B1 (ko) * | 2006-09-26 | 2008-02-05 | (주)대한기독교서회미디어 | 한글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6989A (ko) * | 1997-10-10 | 1999-05-25 | 모토로라, 인크 | 문자 입력의 최적화를 위한 통신 장치 및키패드 |
KR20000074759A (ko) * | 1999-05-25 | 2000-12-15 | 윤종용 | 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
KR20010091340A (ko) * | 2000-03-14 | 2001-10-23 | 서평원 |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 |
KR20010091356A (ko) * | 2000-03-14 | 2001-10-23 | 이경도 |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
KR20020028078A (ko) * | 2000-10-06 | 2002-04-16 | 김병훈 | 휴대폰의 문자판및 문자입력시스템 |
KR20020054059A (ko) * | 2000-12-27 | 2002-07-06 | 홍경 |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
-
2001
- 2001-12-24 KR KR10-2001-0084019A patent/KR10047069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6989A (ko) * | 1997-10-10 | 1999-05-25 | 모토로라, 인크 | 문자 입력의 최적화를 위한 통신 장치 및키패드 |
KR20000074759A (ko) * | 1999-05-25 | 2000-12-15 | 윤종용 | 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
KR20010091340A (ko) * | 2000-03-14 | 2001-10-23 | 서평원 |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 |
KR20010091356A (ko) * | 2000-03-14 | 2001-10-23 | 이경도 |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
KR20020028078A (ko) * | 2000-10-06 | 2002-04-16 | 김병훈 | 휴대폰의 문자판및 문자입력시스템 |
KR20020054059A (ko) * | 2000-12-27 | 2002-07-06 | 홍경 |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3178B1 (ko) | 2008-11-07 | 2011-11-11 |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103452B1 (ko) | 2008-11-07 | 2012-01-09 |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53971A (ko) | 2003-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0653B1 (ko) | 한글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100470698B1 (ko) |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 |
KR100370427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 |
KR100683338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 |
KR100586319B1 (ko) |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 |
KR20010039239A (ko) |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 |
KR100637745B1 (ko) | 한글 키패드 | |
JP3110695B2 (ja) | キー入力装置 | |
KR20020009204A (ko) | 휴대폰 문자입력코드 발생 장치 | |
KR100577675B1 (ko) | 한글 키패드 | |
KR100451191B1 (ko) | 휴대단말기용 키 패드의 한글 문자 배열 구조 | |
KR101850674B1 (ko) |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입력 자판 및 입력방법 | |
KR20100110072A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
JP3071704B2 (ja) | キー入力装置 | |
JP2001075708A (ja) |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 |
KR100421545B1 (ko) | 한글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전화기 | |
KR20080023068A (ko) | 영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장치 | |
KR100901719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 |
KR200369339Y1 (ko) |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 |
KR100422379B1 (ko) |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 |
KR100875334B1 (ko) |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 |
KR20080013806A (ko) |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 장치 | |
KR20000054244A (ko) | 키패드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방법 | |
KR20010034982A (ko) | 신규한 한글 입력방식 및 그를 이용한 장치 | |
KR20110000062A (ko) | 한글 키패드,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문자 생성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8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407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