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178B1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178B1
KR101083178B1 KR1020090107761A KR20090107761A KR101083178B1 KR 101083178 B1 KR101083178 B1 KR 101083178B1 KR 1020090107761 A KR1020090107761 A KR 1020090107761A KR 20090107761 A KR20090107761 A KR 20090107761A KR 101083178 B1 KR101083178 B1 KR 101083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button
key buttons
vowe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1578A (ko
Inventor
박종화
강영희
홍상혁
정승기
김정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51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단말기에 적용되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글 입력용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 손을 사용하여 한글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음 키버튼을 역 니은자 형태로 배치하여 'ㅣ/ㅡ' 키버튼을 기준으로 하여 천지인(天地人) 중 지(地)를 가지는 모음(ㅗ, ㅛ, ㅜ, ㅠ) 키버튼과 인(人)을 가지는 모음(ㅏ, ㅑ, ㅓ, ㅕ) 키버튼을 분리하되, 'ㅣ/ㅡ' 키버튼이 엄지손가락의 기본 위치로 설정될 수 있도록 'ㅣ/ㅡ' 키버튼을 4행 3열에 배치시키며, 자음 키버튼의 대표자음(키버튼을 1회 눌렀을 때 입력되는 자음)을 ㄱ, ㄴ, ㄷ, ㅇ, ㅂ, ㅅ, ㅈ으로 하고 'ㅁ'을 'ㅅ' 및 'ㅆ'과 동일한 키버튼에 할당하고, 키버튼의 확장이나 축소가 가능하며, 자음 키버튼과 모음 키버튼을 구별시키거나 자음충돌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된다.
한글, 키패드, 모음, 자음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소형의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 입력에 관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 단말기는 생활에 필요한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의 기능 이외에도 수많은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중 문자입력이 필요한 기능으로 SMS(Shot Message Service) 기능, 이동통신 메신저 서비스 기능, 전화번호의 저장 및 메모 기능, 이름 검색 기능, 일정관리 기능 등이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소형의 이동단말기에는 문자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구비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기존의 숫자 입력용 키패드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
숫자 입력용 키패드는 12개의 키버튼이 4행(Row) 3열(Colurmn)로 배치되어 있으며, 0 ~ 9까지의 숫자와 * 및 #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한글은 발음 시 혀의 형태를 바탕으로 한 14개의 기본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및 5개의 복합 자음(ㄲ, ㄸ, ㅃ, ㅆ, ㅉ), 천지인의 제자 원리를 바탕으로 한 10개의 기본 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및 11개의 복합 모음(ㅢ, ㅐ, ㅒ, ㅔ, ㅖ, ㅘ, ㅚ, ㅙ, ㅝ, ㅟ, ㅞ)의 선택적인 조합으로 음절이 구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숫자 입력용 키버튼을 그대로 활용한 소형 키패드의 사용은 12개로 제한된 키버튼 개수의 한계와 한글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인지적 부하가 크기 마련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는 휴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크기에 제한을 가지기 까닭에, 기존의 숫자 키버튼 외에 별도의 키버튼 구비를 자제하는 대신 12개의 키버튼을 활용하여 상기한 자모음들을 모두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키버튼에 복수의 자음이나 모음을 할당하거나 경음(ㄲ, ㄸ, ㅃ, ㅆ, ㅉ), 격음(ㅋ, ㅌ, ㅊ, ㅍ), 또는 복합 모음(ㅢ, ㅐ, ㅒ, ㅔ, ㅖ, ㅘ, ㅚ, ㅙ, ㅝ, ㅟ, ㅞ) 을 입력하기 위하여 특수 키버튼(예 : 획추가 버튼)을 구비하는 등의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의 인지적 부하가 큰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인하여 사용자의 인지적 부하나 사용상의 제약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사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자모음 배열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성과 관련하여 Nielsen(1993)은 그 구성 요인들로 사용상의 효율성(efficient to use), 학습용이성(easy to learn), 기억의 용이성(easy to remember), 작업오류의 최소화(few errors), 제품에 대한 만족도(subjectively pleasing)를 정의하고 있다. 그러한 Nielsen의 사용성 요인을 이동단말기의 한글입력에 적용하면, 효율성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한글입력 시 버튼의 조작횟수나 운지거리를 줄이는 것으로 말할 수 있고, 학습용이성은 이동단말기의 한글입력방식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어야 하는 것으로 말할 수 있으며, 기억의 용이성은 사용자가 키버튼의 배열을 쉽게 기억할 수 있느냐는 것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작업오류의 최소화는 키버튼 조작의 오류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말하며, 제품에 대한 만족도는 사용자들이 한글입력방식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제품에 대한 만족감으로 말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사용성은 개발자가 한글 입력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의 개발 시에 반드시 고려해야만 하는 사항이다.
키패드 개발의 초기에는 그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12개의 키버튼을 양 손으로 조작한다는 개념이 도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 손 입력에 최적화된 키버튼의 배열에 따른 사용성을 고려하였으나, 실제 많은 사용자들이 양 손을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에 따라 근자에는 양 손 입력에 최적화된 키버튼의 배열에 따른 사용성을 고려하게 되었다.
또한, 근자에는 터치스크린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면을 확장시킨 일명 ‘터치폰’이라는 이동전화가 주로 출시되고 있어서,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이동전화에서의 문자입력의 사용성도 고려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이동단말기에 적용되는 한글입력방식은 그 키버튼 구성의 최소 화로 인하여 자음충돌의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ㄱ/ㅋ/ㄲ 을 입력시킬 수 있는 키버튼이 구비된 경우 ‘국가’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국’을 입력한 후 ‘ㄱ’을 곧바로 입력할 수가 없게 된다. 왜냐하면 그러할 경우 미리 입력된 ‘국’이
Figure 112009068793938-pat00001
으로 전환되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오타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약 3초 정도 기다리거나 이동키를 이용해 다음 글자 입력임을 제어수단에 인식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초래하고 그 조작오류를 증대시킨다.
본 발명은 양 손 입력에 최적화된 자모음 배열을 가지며,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이동단말기에서의 사용성이 좋고, 자음충돌 없는 한글입력이 가능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동단말기는, 각종 필요한 정보, 문자와 숫자나 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특수키 등의 기능 실현에 필요한 키버튼들을 화면 상에 출력시키기 위한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의해 화면 상에 출력된 키버튼들에 대한 상용자의 각종 조작 상태 를 파악하고, 파악된 해당 조작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의해 화면 상에 출력되는 7개의 자음 입력용 키버튼들과 5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들은 4행(Row) 3열(Colurmn)로 배치되고, 상기 7개의 자음 입력용 키버튼들에는 자음이 배열되고, 상기 5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들에는 모음이 배열되며, 상기 5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들이 역 니은 자 형태('」')로 배치되고, 역 니은 자 형태의 꼭지점 부분에 'ㅣ/ㅡ' 또는 'ㅡ/ㅣ' 입력용 키버튼이 배치되되, 상기 'ㅣ/ㅡ' 또는 'ㅡ/ㅣ' 입력용 키버튼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두 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은 천지인(天地人) 중 지(地)를 가지는 'ㅏ/ㅑ' 및 'ㅓ/ㅕ' 입력을 위해 구비되고, 상기 'ㅣ/ㅡ' 또는 'ㅡ/ㅣ' 입력용 키버튼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두 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은 천지인(天地人) 중 인(人)을 가지는 'ㅗ/ㅛ' 및 'ㅜ/ㅠ' 입력을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문자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용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상기 문자 입력용 화면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출력되는 정보창과 상용자의 문자 입력을 위해 필요한 상기한 키버튼들이 배열되는 입력창이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나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입력창을 확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창의 확대에 따라 상기한 키버튼들의 크기가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되어진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이동단말기 는, 각종 필요한 정보, 문자와 숫자나 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특수키 등의 기능 실현에 필요한 키버튼들을 화면 상에 출력시키기 위한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의해 화면 상에 출력된 키버튼들에 대한 상용자의 각종 조작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해당 조작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의해 화면 상에 출력되는 7개의 자음 입력용 키버튼들과 5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들은 4행(Row) 3열(Colurmn)로 배치되고, 상기 7개의 자음 입력용 키버튼들에는 자음이 배열되고, 상기 5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들에는 모음이 배열되며, 상기 5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들이 역 니은 자 형태('」')로 배치되고, 역 니은 자 형태의 꼭지점 부분에 'ㅣ/ㅡ' 또는 'ㅡ/ㅣ' 입력용 키버튼이 배치되되, 상기 'ㅣ/ㅡ' 또는 'ㅡ/ㅣ' 입력용 키버튼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두 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은 천지인(天地人) 중 인(人)을 가지는 'ㅏ/ㅑ' 및 'ㅓ/ㅕ' 입력을 위해 구비되고, 상기 'ㅣ/ㅡ' 또는 'ㅡ/ㅣ' 입력용 키버튼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두 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은 천지인(天地人) 중 지(地)를 가지는 'ㅗ/ㅛ' 및 'ㅜ/ㅠ' 입력을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문자 입력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용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상기 문자 입력용 화면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출력되는 정보창과 상용자의 문자 입력을 위해 필요한 상기한 키버튼들이 배열되는 입력창이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나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입력창을 확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창의 확 대에 따라 상기한 키버튼들의 크기가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되어진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문자 또는 숫자 입력을 위한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여기서 상기 문자 또는 숫자 입력을 위한 화면은 상측의 정보창과 하측의 입력창으로 나뉘고, 상기 정보창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나 숫자가 출력되며, 상기 입력창은 사용자에 의한 문자나 숫자 입력을 위해 필요한 키버튼들이 배열됨- 및 사용자의 입력창 확대 또는 입력창 축소 명령에 따라 상기 입력창을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창이 확대될 때에는 상기 정보창이 축소되고, 상기 입력창이 축소될 때에는 상기 정보창이 확대되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들이 'ㅣ'가 포함되는 모음 키버튼들과 'ㅡ'가 포함되는 모음 키버튼들의 확연히 구분되는 방향성을 쉽게 숙지할 수 있어서 직관적인 인식이 용이하여 키버튼 위치의 학습 및 기억이 쉽고(사용성 중 학습용이성 및 기억의 용이성), 'ㅣ'가 포함되는 모음 키버튼들과 'ㅡ'가 포함되는 모음 키버튼들이 분리되어 있을 뿐아니라 확연히 구분되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모음 입력 패턴에 의해 'ㅣ' 가 포함되는 모음 키버튼들과 'ㅡ'가 포함되는 모음 키버튼들의 사용상의 혼란(혼동)함 및 조작오류를 없앨 수 있다(사용성 중 작업오류의 최소화).
둘째, 화면상에서 정보창과 입력창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자음 키버튼과 모음 키버튼을 쉽게 구별할 수 있어서 문자 입력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문자 입력 시의 자음충돌을 제거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전화에 대한 실시예 >
도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10)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10)는, 이동전화에 대한 예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 터치스크린부(12), 제어부(13) 및 저장부(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1)는 이동통신을 위해서 마련된다. 물론, 통신이 필요하지 않은 오락용 이동단말기나 음악 청취용 이동단말기 등에는 통신부의 구성이 필수적이지는 않다.
터치스크린부(12)은 각종 필요한 정보(영상, 전화번호, 문자 등), 문자와 숫 자나 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특수키 등의 기능 실현에 필요한 키버튼들을 출력시키기 위해서 구비된다.
제어부(13)는 화면 상에 출력된 키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각종 조작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해당 조작 상태에 대응하여 통신부(11)와 터치스크린부(12)를 제어한다.
저장부(13)는 화면 상에 출력될 필요성이 있는 각종 이미지(키버튼, 캐릭터, 도안 등) 등을 저장한다.
<문자 입력을 위한 키버튼 배열에 대한 실시예 >
도2는, 사용자가 문자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부(12)를 통해 출력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버튼 배열을 도시한 것으로, 자모음이 4행 3열 형태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음은 1행의 1열, 1행의 2열, 1행의 3열, 2행의 1열, 2행의 2열, 3행의 1열, 3행의 2열에 배열되는 데, 1행의 1열에는 ㄱ, ㅋ, ㄲ(ㄱ/ㅋ/ㄲ)이, 1행의 2열에는 ㄴ, ㄹ(ㄴ/ㄹ)이, 1행의 3열에에는 ㄷ, ㅌ, ㅍ(ㄷ/ㅌ/ㅍ)이, 2행의 1열에는 ㅇ, ㅎ(ㅇ/ㅎ)이, 2행의 2열에는 ㅂ, ㅍ, ㅃ(ㅂ/ㅍ/ㅃ)이, 3행의 1열에는 ㅅ, ㅁ, ㅆ(ㅅ/ㅁ/ㅆ)이, 3행의 2열에는 ㅈ, ㅊ, ㅉ(ㅈ/ㅊ/ㅉ)이 배열되어 있다.
위의 자음 배열에서 ㄱ, ㄴ, ㄷ, ㅇ, ㅂ, ㅅ, ㅈ은 키버튼의 1회 조작에 의해 입력이 수행되는 대표 자음으로 구비되고, ㄹ, ㅁ 및 ㅎ과 격음인 ㅋ, ㅌ, ㅍ, ㅊ은 키버튼 2회 조작에 의해 입력이 수행되도록 구비되며, 경음인 ㄲ, ㄸ, ㅃ, ㅆ, ㅉ은 키버튼 3회 조작에 의해 입력이 수행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평음과 형태적으로 유사한 격음 및 경음은 각각 동일 키버튼에 배열(ㄱ/ㅋ/ㄲ, ㄷ/ㅌ/ㄸ, ㅂ/ㅍ/ㅃ, ㅈ/ㅊ/ㅉ)되도록 되어 있으나, ㅅ과 형태적으로 유사한 격음은 없기 때문에 ㅁ을 ㅅ 및 ㅆ과 같은 키버튼에 배열하고, ㅁ을 키버튼의 2회 조작으로 입력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경음이 키버튼의 3회 조작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격음 입력에 통일적으로 적용된 키버튼의 조작방법을 쉽게 숙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음은 2행의 3열, 3행의 3열, 4행의 1열, 4행의 2열, 4행의 3열에 배열되는 데, 2행의 3열에는 ㅏ, ㅑ(ㅏ/ㅑ)가, 3행의 3열에는 ㅓ, ㅕ(ㅓ/ㅕ)가, 4행의 1열에는 ㅗ, ㅛ(ㅗ/ㅛ)가, 4행의 2열에는 ㅜ, ㅠ(ㅜ/ㅠ)가, 4행의 3열에는 ㅣ, ㅡ(ㅣ/ㅡ)가 배열되어 있다.
위의 모음 배열에서 ㅗ, ㅜ, ㅏ, ㅓ, ㅣ는 키버튼의 1회 조작에 의해 입력이 수행되는 대표 모음으로 구비되고, ㅛ, ㅠ, ㅑ, ㅕ, ㅡ는 키버튼 2회 조작에 의해 입력이 수행되도록 구비된다. 물론, 'ㅣ/ㅡ' 입력용 키버튼의 경우에는 실제 사용 빈도에 따라서 ㅡ를 대표 모음으로 구비(이럴 경우 'ㅡ/ㅣ' 입력용 키버튼)시킬 수도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 입력용 키버튼들은 역 니은 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역 니은 자 형태의 꼭지점 부분인 4행의 3열에는 'ㅣ/ㅡ' 입력용 키버튼이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 등에 적용되는 소형 키패드는 엄지손가락만을 이용 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때문에 양 손으로 파지할 시에 한글 입력을 위한 엄지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면서도 가장 자주 사용되는 키버튼의 위치에 엄지손가락을 위치시키도록 키버튼을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글에는 기본 모음의 개수보다 복합모음(11개, 키버튼을 2회 이상 눌러야 입력되는 모음으로서 'ㅢ, ㅐ, ㅒ, ㅔ, ㅖ, ㅘ, ㅚ, ㅙ, ㅝ, ㅟ, ㅞ'가 있다)이 많기 때문에 복합모음 입력에 주로 사용되는 'ㅣ' 키버튼의 사용이 많을 수밖에는 없다.
또한, 키패드를 가진 이동단말기를 한글 입력을 위해 파지할 때는 엄지손가락이 약간 구부러져 있는 것이 가장 편안한 파지 자세이다. 이러한 자세에서 엄지손가락을 기본 위치에서 상측이나 좌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은 편한 데 반하여 엄지손가락을 기본 위치에서 하측이나 우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은 부하가 발생하여 불편하다(실제 이동전화를 양 손으로 흔들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버튼 1개를 건너뛰는 동작을 해보면 명확히 알 수 있음).
즉, 엄지손가락의 기본 위치를 기준으로 엄지손가락의 이동방향에서 하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벡터가 섞여 있으면 엄지손가락의 이동이 불편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2에서 참조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키패드는, 기본 위치에서 엄지손가락이 이동할 시에 하측방향이나 우측방향으로의 이동벡터가 섞이지 않도록, 'ㅣ/ㅡ' 입력용 키버튼을 역 니은자 형태의 꼭지점인 4행의 3열의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기본 위치를 자주 사용하는 'ㅣ/ㅡ' 키버튼 이 되도록 이동단말기를 파지하게 되면, 도3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이동패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모음 키버튼을 조작하기 위한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이동이 상측 방향, 좌측방향, 또는, 회전방향('ㅘ' 또는 'ㅝ'입력 시 이루어 짐)으로 편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ㅣ/ㅡ' 입력용 키버튼을 기준으로, 상측 2행의 3열 및 3행의 3열에는 각각 천지인(天地人) 중 인(人)을 가지는 'ㅏ/ㅑ' 및 'ㅓ/ㅕ' 입력을 위한 'ㅏ/ㅑ' 입력용 키버튼과 'ㅓ/ㅕ' 입력용 키버튼이 위치되어, 궁극적으로, 'ㅏ/ㅑ' 입력용 키버튼, 'ㅓ/ㅕ' 입력용 키버튼 및 'ㅣ/ㅡ' 입력용 키버튼이 상에서 하방향으로 순서적으로 나란히 위치되며, 좌측 4행의 1열 및 2열에는 각각 천지인(天地人) 중 지(地)를 가지는 'ㅗ/ㅛ' 및 'ㅜ/ㅠ' 입력을 위한 'ㅗ/ㅛ' 입력용 키버튼과 'ㅜ/ㅠ' 입력용 키버튼이 위치되어, 궁극적으로, 'ㅗ/ㅛ' 입력용 키버튼, 'ㅜ/ㅠ' 입력용 키버튼 및 'ㅣ/ㅡ' 입력용 키버튼이 좌에서 우방향으로 순서적으로 나란히 위치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ㅏ/ㅑ' 입력용 키버튼, 'ㅓ/ㅕ' 입력용 키버튼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ㅗ/ㅛ' 입력용 키버튼과 'ㅜ/ㅠ' 입력용 키버튼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이 때, 복함 모음에는 ㅣ가 주로 활용되나, ㅘ는 ㅗ와 ㅏ가 쌍을 이루고, ㅝ는 ㅜ와 ㅓ가 쌍을 이루어 조합되므로, ㅘ와 ㅝ의 조합 시에 엄지손가락의 회전 패턴이 동일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도2에서와 같이, 'ㅏ/ㅑ' 입력용 키버튼이 2행의 3열에 위치되면 'ㅗ/ㅛ' 입력용 키버튼이 4행의 1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만일 'ㅏ/ㅑ' 입력용 키버튼이 3행의 3열에 위치되면 'ㅗ/ㅛ' 입력용 키버튼이 4행의 2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ㅏ/ㅑ' 입력용 키버튼과 'ㅓ/ㅕ' 입력용 키버튼이 'ㅣ/ㅡ' 입력용 키버튼의 좌측에 위치되고, 'ㅗ/ㅛ' 입력용 키버튼과 'ㅜ/ㅠ' 입력용 키버튼이 'ㅣ/ㅡ' 입력용 키버튼의 상측에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속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키패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의 키버튼 배열을 가지는 경우 한글 입력을 위해 별도의 특수 기능키를 가지지 않는 대신, 한글의 음절 필기 순서를 따라서 키버튼 상에 배열된 자모음을 순서적으로 입력시키기만 하면 한글에서 사용하는 모든 음절이 표현되게 되어 있어서 별도의 기능키 사용방법을 습득할 필요를 없게 한다.
또한, 도2의 키버튼 배열에 따르면, 'ㅣ/ㅡ' 키버튼을 기준으로 하여 'ㅏ/ㅑ' 및 'ㅓ/ㅕ' 키버튼들은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상측으로 움직여서 도달되도록 하고 'ㅗ/ㅛ' 및 'ㅜ/ㅠ' 키버튼들은 엄지손가락을 좌측으로 움직여서 도달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입력 패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에 따르면, 서로 간에 확연히 구분되어지는 3개의 기본 패턴(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패턴, 좌우 수평 방향으로의 패턴, 회전 패턴)만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ㅘ'와 'ㅝ'(복합모음들 중 'ㅣ'가 활용되지 않는 두 개의 복합모음 임)의 입력은 엄지손가락이 약간 펼쳐진 상태나 약간 구부러진 상태에서 동일한 회 전패턴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2를 참조한 키버튼 배열에 대한 설명에서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키패드가 언급되었지만, 설명된 키버튼 배열은 실시하기에 따라서 종래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에서의 구현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문자 입력을 위한 입력창 확대/축소에 대한 실시예 >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는 그 휴대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서 소형으로 제작되기 마련이어서, 그에 대응되게 숫자나 문자 또는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의 크기도 작을 수밖에는 없다. 이러한 경우 손가락이 굵거나 조작에 서투른 사용자는 키버튼 조작이 용이하지 않아서 조작오류를 빈번하게 발생시켜 사용성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10)에서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키버튼의 크기를 축소 또는 확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도4의 (a)는 현재 사용자의 문자 입력 명령에 따라 제어부(13)가 터치스크린부(12)를 제어하여 문자 입력용 화면(W)을 활성화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문자 입력용 화면(W)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출력되는 정보창(W1)과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위해 필요한 키버튼들이 배열되는 입력창(W2)이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나뉘어 있다.
도4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정보창(W1)과 입력창(W2)의 경계지점(B)을 터치한 상태로 상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면, 도4의 (b)의 일 예에 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입력창(W2)은 상방향으로 확대되어 넓어지면서 각각의 키버튼들이 확대되고 이에 반하여 정보창(W1)은 축소되게 된다. 물론, 정보창(W1)이나 입력창(W2)의 크기는 최대와 최소 범위 내에서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정보창(W1)과 입력창(W2)의 경계지점(B)을 터치한 상태로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면, 그 명령에 따라서 제어부(13)가 터치스크린부(12)를 제어함으로써 도4의 (c)의 일 예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입력창(W2)은 하방향으로 축소되어 좁아지면서 각각의 키버튼들이 축소되고 정보창(W1)은 확대되게 된다.
따라서 정보창(W1)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의 양보다 키버튼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사용이 편리한 사용자는 도4의 (b) 상태에서 이동단말기(10)를 사용하면 되고, 소형 키버튼 조작에 자신이 있으면서 정보창(W1)을 더 넓게 활용하고 싶은 사용자는 도4의 (c) 상태에서 사용하면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키버튼 조작의 용이성 증가나 출력되는 정보의 양의 증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실시에에서는 정보창(W1)과 입력창(W2)의 확대 및 축소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손가락의 터치 및 드래그를 사용하고 있지만, 별도의 기능키를 두어 해당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리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도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창(W2)이 확 대되었을 시에 키버튼들은 확대시키지 않는 대신, 상측과 하측의 키버튼들 간에 공간을 형성하여 조작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도5의 (a), (b) 및 (c)에서와 같이 전화를 걸거나 전자계산을 위한 숫자 입력용 화면(W)에서도 상측의 정보창(W1)과 하측의 입력창(W2)이 사용자의 임의적인 사용조작에 따라서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또는 숫자 입력을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3)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터치스크린부(12)를 제어하여 문자 또는 숫자 입력을 위한 화면(W)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의 입력창 확대(정보창의 축소) 또는 입력창 축소(정보창의 확대) 명령에 따라 제어부(13)가 터치스크린부(13)를 제어하여 입력창(W2)을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키며, 사용자의 키버튼 조작에 따른 문자 또는 숫자를 정보창(W1)에 표시하게 된다.
<모음 키버튼과 자음 키버튼의 구별에 대한 실시예 >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시에 모음 키버튼과 자음 키버튼을 손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예에 관한 것이다.
도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위한 화면(W)을 출력시키면, 정보창(W1)의 하측에 문자 입력을 위한 키버튼들이 배열된 입력창(W2)이 전시되는 데, 이 때, 자음 키버튼과 모음 키버튼은 서로 다른 색상의 이미지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자음 키버튼과 모음 키버튼을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도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자음 키버튼 부분과 모음 키버튼 부분을 경계선(L)으로 구분하거나, 도8a 및 도8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의 크기나 형태(색상, 글씨체나 글자선 굵기 등)를 서로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음 키버튼과 모음 키버튼을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쉽게 자음 키버튼과 모음 키버튼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여, 기억이 용이하고 조작 오류가 줄어들어 전반적인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을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3)가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위한 화면 출력 명령을 수신한 후, 터치스크린부(12)를 제어하여 문자 또는 숫자 입력을 위한 화면(W)을 활성화시킨다. 이 때, 해당 화면(W)은 입력한 문자를 출력하는 정보창(W1)과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들이 배열된 입력창(W2)으로 나뉘는 데, 여기서 입력창(W2)의 자음 키버튼들과 모음 키버튼들은 그 색상이 서로 다르거나, 자음과 모음의 크기나 형태가 서로 다르게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버튼 조작에 따른 문자를 정보창(W1)에 표시하게 된다.
<모음 확대에 대한 실시예 >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시에 모음 키버튼과 자음 키버튼을 손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예에 관한 것이다.
도9의 (a)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문자 입력을 위한 화면(W)을 출력시키면 정보창(W1)의 하측에 문자 입력을 위한 키버튼들이 배열된 입력창(W2)이 전시되는 데, 사용자가 자음 키버튼을 조작하면 도9의 (b)에서와 같이 모음 키버튼들을 확대시키고, 사용자가 모음 키버튼을 조작하면 도9의 (c)에서와 같이 자음 키버튼들을 확대시킴으로써 다음에 입력이 필요한 키버튼들을 찾기 쉽게 하고 그 조작의 오류도 줄일 수 있게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을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3)가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위한 화면 출력 명령을 수신한 후, 터치스크린부(12)를 제어하여 문자 또는 숫자 입력을 위한 화면(W)을 활성화시킨 후, 사용자의 이전 자모입력에 대응하여 다음 자모입력을 위한 키버튼들을 확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버튼 조작에 따른 문자를 정보창(W1)에 표시하게 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도10의 (a)-기본인 경우-, (b)-앞의 자모가 자음인 경우- 및 (c)-앞의 자모가 모음인 경우-에서와 같이 색상을 다르게 하여 다음에 입력될 자모를 찾기 쉽도록 구현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자음 충돌에 대한 실시예 >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시에 자음끼리 충돌할 경우에 조작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예에 관한 것이다.
자음충돌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의 음절이 받침(종성)이 있을 때 앞의 음절의 종성과 다음에 이어지는 뒤의 음절의 자음(초성)이 서로 동일하 거나 ㄴ, ㄹ과 같이 하나의 키버튼에 의해서 조작이 이루어져야 할 경우에 발생한다.
자음 충돌의 예로는 ‘국가’(ㄱ/ㅋ/ㄲ 키버튼에 의해 ㄱ이 입력됨), ‘안락’(ㄴ/ㄹ 키버튼에 의해 ㄴ과 ㄹ이 입력됨), ‘닫다’(ㄷ/ㅌ/ㄸ 키버튼에 의해 ㄷ이 입력 됨) 등등을 들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사용자(특히, 키버튼 조작에 서툴러서 키버튼만 보고 문자를 입력하는 초보 사용자)는 줄곧 입력 오류를 일으키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가 자음충돌 여부를 판단한 후 자음충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키버튼의 조작 횟수에 상당하는 앞의 음절의 종성과 다음 음절의 초성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국가’라는 단어의 경우 사용자는 ㄱ/ㅋ/ㄲ 키버튼을 조작하여 앞의 음절인 ‘국’을 입력하면, 도11a의 화면(W)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정보창(W1)에는 ‘국’이라는 음절이 표시된다. ‘국’자의 표시에 이어서 사용자가 ㄱ/ㅋ/ㄲ 키버튼 다시 1회 더 조작하여 다음 음절의 초성인 ‘ㄱ’을 입력하면 정보창(W1)에는 도11b의 화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Figure 112009068793938-pat00002
이 표시된다. 이러한 이유는 사용자의 입력 의도는 ‘국ㄱ’이지만 제어부에서는 해당 키버튼이 2회 조작되었으므로 앞 음절의 종성을 ‘ㅋ’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사용자가 뒤 음절의 모음(중성)인 ‘ㅏ’를 입력하면 ‘ㅏ’는 자체적으로 음절을 형성시키지 못하므로, 제어부(13)는 앞 음절의 ‘국’의 종성과 뒤 음절의 ‘가’의 종성을 입력 을 위해 사용자가 ㄱ/ㅋ/ㄲ 키버튼을 연속적으로 2회 조작한 것으로 판단하여 도11c에 표시된 바와 같이 ‘국가’라는 단어를 정보창(W1)에 표시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안락’이라는 단어에서도 앞 음절인 ‘안’의 종성과 뒤 음절인 ‘락’의 초성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ㄴ/ㄹ 키버튼을 연속적으로 3회 조작하는 방식에 의해 ‘안락’이라는 단어를 입력할 경우에 정보창(W1)에는 ‘안’ -> ‘알’ -> ‘안’ -> ‘안라’ -> ‘안락’으로 표시된다. 물론, ㄴ/ㄹ 키버튼의 3회 조작에 의해 ‘안락’이 아닌 ‘알낙’이 표시되는 오류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오류는 한글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시키고 이에 따른 빠른 검색을 통해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3회 조작에 따른 오류를 없애기 위해서 자음충돌에 따른 입력오류방지 기능을 키버튼의 2회 조작인 경우에만 적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고려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자음충돌의 해결과 관련하여 각 단계별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3)는 앞 음절의 종성이 입력된 후 뒤 음절의 중성이 입력되면 앞 음절의 종성 입력 시에 이루어진 해당 종성 입력용 키버튼의 조작 횟수를 판단한다. 해당 판단에 따라 앞 음절의 종성 입력 시에 해당 종성 입력용 키버튼의 조작 횟수가 복수회이면(만일 복수회가 아니라면 오타 또는 의도적인 입력으로 판단하여 그대로 표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는 횟수를 나누어 해당 횟수에 대응하는 종성 입력용 키버튼의 대응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과 뒤 음절의 초성으로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부(12)를 제어한다. 여기서 종성 입력용 키버튼의 조작 횟수 가 2회인 경우에는 앞 음절의 종성과 뒤 음절의 초성 모두가 키버튼 1회 조작 시에 표시되는 대표 자음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터치스크린 방식이 아닌 종래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키버튼을 가지는 키패드에서의 구현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동단말기에 적용되는 자모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도2의 자모배열의 일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4 내지 도11C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전화
11 : 통신부 12 : 터치스크린부
13 : 제어부 14 : 저장부
W : 화면
W1 : 정보창 W2 : 입력창

Claims (6)

  1. 각종 필요한 정보, 문자와 숫자나 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특수키 등의 기능 실현에 필요한 키버튼들을 화면 상에 출력시키기 위한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의해 화면 상에 출력된 키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각종 조작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해당 조작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의해 화면 상에 출력되는 7개의 자음 입력용 키버튼들과 5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들은 4행(Row) 3열(Colurmn)로 배치되고,
    상기 7개의 자음 입력용 키버튼들에는 자음이 배열되고, 상기 5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들에는 모음이 배열되며,
    상기 5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들이 역 니은 자 형태('」')로 배치되고, 역 니은 자 형태의 꼭지점 부분에 'ㅣ/ㅡ' 또는 'ㅡ/ㅣ' 입력용 키버튼이 배치되되,
    상기 'ㅣ/ㅡ' 또는 'ㅡ/ㅣ' 입력용 키버튼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두 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은 천지인(天地人) 중 지(地)를 가지는 'ㅏ/ㅑ' 및 'ㅓ/ㅕ' 입력을 위해 구비되고, 상기 'ㅣ/ㅡ' 또는 'ㅡ/ㅣ' 입력용 키버튼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두 개의 모음 입력용 키버튼은 천지인(天地人) 중 인(人)을 가지는 'ㅗ/ㅛ' 및 'ㅜ/ㅠ' 입력을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107761A 2008-11-07 2009-11-09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83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0528 2008-11-07
KR1020080110528 2008-11-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645A Division KR101103452B1 (ko) 2008-11-07 2009-12-09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578A KR20100051578A (ko) 2010-05-17
KR101083178B1 true KR101083178B1 (ko) 2011-11-11

Family

ID=422772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761A KR101083178B1 (ko) 2008-11-07 2009-11-09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090121645A KR101103452B1 (ko) 2008-11-07 2009-12-09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645A KR101103452B1 (ko) 2008-11-07 2009-12-09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083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3327B2 (en) 2013-06-04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key pad input received on touch screen of mobile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698B1 (ko) 2001-12-24 2005-02-21 주식회사 텔컴전자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628076B1 (ko) 2004-12-03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KR100637745B1 (ko) 2003-10-20 2006-10-23 박찬용 한글 키패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076A (ko) * 2005-09-14 2007-03-19 김준 한글 모음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698B1 (ko) 2001-12-24 2005-02-21 주식회사 텔컴전자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637745B1 (ko) 2003-10-20 2006-10-23 박찬용 한글 키패드
KR100628076B1 (ko) 2004-12-03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3327B2 (en) 2013-06-04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key pad input received on touch screen of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580A (ko) 2010-05-17
KR20100051578A (ko) 2010-05-17
KR101103452B1 (ko) 201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3211B2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100984450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문자 입력 처리 방법
KR101391080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EP1988444A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WO2003067417A1 (en) Input device, mobile telephone, and mobile information device
JP2002062973A (ja) 改良型データ入力装置
JP2007514363A (ja) 通信端末機の文字・数字入力装置及び該入力方法
DK2439614T3 (en) Frequency converter with text editor
KR20120097836A (ko)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KR20050048758A (ko)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031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08317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426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2457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랍어 및 이란어 문자 입력 방법
KR20110082310A (ko) 문자 입력 방법
KR1010453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6972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20090065340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03015805A (ja) 携帯端末、及びその文字入力方法
JP2013033553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JP2004310543A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キャラクター入力方法、キャラクター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917034B1 (ko)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KR20080045023A (ko) 차량 운전자 정보시스템의 조그다이얼을 활용한문자입력방법
JP3109642U (ja) 携帯韓国語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