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675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675A
KR20130042675A KR1020110105966A KR20110105966A KR20130042675A KR 20130042675 A KR20130042675 A KR 20130042675A KR 1020110105966 A KR1020110105966 A KR 1020110105966A KR 20110105966 A KR20110105966 A KR 20110105966A KR 20130042675 A KR20130042675 A KR 20130042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input
point
direction key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좌창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5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2675A/ko
Priority to US13/652,938 priority patent/US20130095454A1/en
Publication of KR20130042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방향키를 이용하여 점자 입력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는 입력 모드 수행시 점자 입력기를 구동하는 점자 입력기 구동부와,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와,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점자키 확인부와,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파악하여 입력된 점자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BRAILLE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방향키를 이용하여 점자 입력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 게임, 스케쥴러,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이메일, 모닝콜, MP 3,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영역이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정상인들 중심으로 서비스가 제공되어 왔으며, 장애인들은 이동통신 서비스의 소비자 층에서 소외되어 왔다. 더욱이, 시각 장애인들은 휴대용 단말기 조작에 필요한 기본적인 키버튼 등을 식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점자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시각 장애인용 휴대용 단말기는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를 국제 표준형 점자로 표기시킨 형태이다.
그러나, 종래의 시각 장애인용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는 키버튼 상의 좁은 공간 내에서 돌기를 통해 점자를 표시한 것으로, 돌기 간격이 좁아 점자를 쉽게 인식하기 어려움이 발생한다.
더하여, 최근에는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진동 발생 기능으로 표현(진동으로 점자를 표현)하고, 키패드 입력 대신에 사용자가 직접 핸드라이팅하여 문자를 작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진동 기능을 통해 메시지 내용을 표현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에 적용할 수 없으며, 핸드라이팅 기능은 문자 인식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 성능을 개선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방향키를 이용하여 점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 절차를 단순화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는 입력 모드 수행시 점자 입력기를 구동하는 점자 입력기 구동부와,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와,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점자키 확인부와,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파악하여 입력된 점자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방법은 입력 모드 수행시 점자 입력기를 구동하는 과정과,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파악하여 입력된 점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방향키를 이용하여 점자표의 점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점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점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점자 입력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점자 입력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알파벳에 대한 점자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및 숫자에 대한 점자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방향키를 이용하여 점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점자 입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여기에서, 방향키는 이동통신 단말기, 키보드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자판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점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점자키 확인부(102), 점자 입력기 구동부(104), 메모리부(106), 입력부(108), 표시부(110) 및 통신부(11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방향키를 감지하여 점자 입력기의 점을 선택하고,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점자를 확인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점자 입력기는 사용자의 점자 입력을 문자로 변환해주는 것으로, 6개의 점으로 표현하는 점자표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점자 인식이 완료되는 시점에 점자 입력 상태를 통보하여 사용자에 의한 점자 입력 상황을 알리도록 처리한다.
점자키 확인부(102)는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방향키에 해당하는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파악하여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이때, 점자키 확인부(102)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점자 입력기의 6개 점 가운데 사용자가 선택한 점의 위치, 취소하고자 하는 점의 위치, 사용자가 점을 입력하고자 하는 열을 파악하는 것이다.
점자 입력기 구동부(104)는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6개의 점으로 구성된 점자표를 구동시켜 방향키에 해당하는 점의 위치를 확인한다. 더하여 사용자에 의한 점 위치 선택 과정이 종료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를 확인하여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메모리부(106)는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롬은 제어부(100), 점자키 확인부(102) 및 점자 입력기 구동부(104)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은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알파벳, 한글, 숫자 등에 대한 국제 표준형 점자표를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08)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더하여, 입력부(108)는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점 위치 선택을 위한 방향키)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점의 위치를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표시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표시부(110)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부(110)는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터치 입력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112)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점자키 확인부(102) 및 점자 입력기 구동부(104)의 역할은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201단계에서 입력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입력 모드는 한글(자음, 모음), 숫자, 알파벳, 약자(예; 가, 나, 그러므로, 그래서 등), 문장 부호(예; ", ?, ~ 등)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드를 말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점자 입력기를 구동한다. 여기에서, 점자 입력기는 사용자의 점자 입력을 문자로 변환해주는 것으로, 6개의 점으로 표현하는 점자표와 같을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는 점자표의 점 가운데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점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키를 말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 또는 키보드 상의 상, 하, 좌, 우 키가 될 수 있다.
더하여,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는 키보드 상의 자판을 점자 위치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판 1, 2, 3, 4, 5, 6을 점자 위치로 정의하거나, 자판 A를 좌측 이동키, 자판 W를 상측 이동키, 자판 D를 우측 이동키, 자판 S를 하측 이동키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방향키는 점자표의 점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만일, 205단계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방향키 입력을 감지하는 205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205단계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방향키에 해당하는 점자를 확인한 후, 209단계로 진행하여 확인한 점자를 점자 입력기에 입력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점자 입력이 완료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211단계에서 점자 입력이 완료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점자 입력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203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211단계에서 점자 입력이 완료됨을 확인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301단계에서 문자 입력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문자 입력 모드는 점자를 이용하는 문자 입력 모드로, SMS 작성 모드, MMS 작성 모드, 전자 메일 작성 모드, 메신져 모드, 메모 작성 모드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점자 입력기를 구동한다. 여기에서, 점자 입력기는 사용자의 점자 입력을 문자로 변환해주는 것으로, 6개의 점으로 표현하는 점자표와 같을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는 점자표의 점 가운데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점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키를 말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 또는 키보드 상의 상, 하, 좌, 우 키가 될 수 있다. 점자 입력기는 2개의 열로 구성되며 각각의 열은 3개의 점자 표현이 가능한 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측 방향키는 1열 또는 2열의 상측 점을 선택할 수 있고, 좌측 방향키는 1열 또는 2열의 중간 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방향키는 1열 또는 2열의 하측 점을 선택할 수 있고, 우측 키는 점 선택을 위한 열을 변경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만일, 305단계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방향키 입력을 감지하는 305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305단계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방향키에 해당하는 점을 확인한 후, 309단계로 진행하여 확인한 점을 점자 입력기의 1열에 입력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입력 상태 알림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입력 상태 알림 과정은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를 이용하여 선택된 점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선택된 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숫자를 음성으로 제공하거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을 이용한 입력 상태 알림 과정은 진동의 횟수를 최소화해서 전력 소모를 줄이고, 빠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방향키 다른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방향키가 입력된 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현재 입력된 방향키가 좌 우측 방향키인지 상하측 방향키인지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 우측 방향키가 입력되면 짧은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 하측 방향키기 입력되면 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우측 방향키는 열을 변경하고, 다음 점자를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으로, 열을 변경하기 위한 우측 방향키 입력을 감지하면 한 번의 짧은 진동을 발생시키고 다음 점자 입력을 위한 우측 방향키 입력을 감지하면 두번의 짧은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2열 입력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1열의 점의 위치를 결정한 후, 2열의 점 위치가 결정된 점자 입력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점자를 확인하는 것으로, 점 선택을 위한 열을 변경하는데 사용하는 키 입력을 감지하는 것이다. 이때, 점 선택을 위한 열을 변경하는데 사용하는 키 입력이 감지되도,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 상태 알림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313단계에서 2열 입력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1열에 대한 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305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313단계에서 2열 입력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315단계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방향키 입력을 감지하는 315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315단계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방향키에 해당하는 점을 확인한 후, 확인한 점을 점자 입력기의 2열에 입력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입력 상태 알림 과정을 수행한 후, 321단계로 문자 입력이 완료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321단계에서 문자 입력이 완료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문자 입력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303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321단계에서 문자 입력이 완료됨을 확인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점자 입력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점자 입력기는 사용자의 점자 입력을 확인하는 것으로, 참조부호(a)와 같이 6개의 점으로 표현된 점자표와 같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결정된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확인하여 입력되는 점자를 확인할 수 있다.
점자 입력기의 각 점은 넘버링이 부여되며, 사용자는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점자에 해당하는 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더하여, 점자 입력기의 점은 두개의 열로 구분되며, 사용자는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각 열에 대한 점의 위치를 결정하여 점자를 입력할 수 있다.
만일, 상, 하, 좌, 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키를 점자 입력의 위한 입력 버튼으로 사용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참조부호(b)와 같이 상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첫번째 점을 결정할 수 있다.
더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참조부호(c)와 같이 좌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2번째 점을 결정하고, 참조부호(c)와 같이 하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3번째 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점자 입력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 일 예로, 참조부호 (a)와 같이 상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첫번째 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버튼에 해당하는 점의 위치를 음성이나 진동을 통해 통보하며, 통보를 통해 사용자는 정상적인 버튼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정상적인 입력을 수행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사용자는 기 입력된 점의 위치를 삭제해야한다. 이때, 사용자는 기 입력한 버튼을 재입력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동일 버튼의 입력을 감지할 경우, 기 입력된 버튼의 점을 점자 입력기에서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입력된 점자를 삭제하거나 하나의 점자를 입력하는 도중에 점자 입력을 취소할 경우, 미리 정해진 취소 버튼(예; 취소 버튼, 지움 버튼)을 입력하여 점자 입력을 삭제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또한, 방향키를 이용하여 점자 입력기의 구분된 두 열의 점 가운데 한 열을 점을 선택하도록 설계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점 선택을 위한 열을 변경하는 버튼을 감지하여 두번째 열에 대한 점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즉, 참조부호(b)와 같이 상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1열의 첫번째 점을 결정한 후, 우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 입력을 감지할 경우, 점자 입력기의 열을 이동시킨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좌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2열의 두번째 점을 결정한다.
더하여, 점 선택을 위한 열을 변경하는 버튼은 다음 점자 입력을 위한 키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첫번째 점 선택을 위한 열을 변경하는 버튼 입력은 1열에서 2열로의 열 변경을 수행하도록 하고 두번째 점 선택을 위한 열을 변경하는 버튼 입력은 다음 점자의 1열로의 이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알파벳에 대한 점자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a)을 참조하면, 장애인들은 도시된 바와 같은 알파벳에 대한 점자표를 이용하여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점자표의 6개의 점 가운데 첫번째 점만을 표시하여 알파벳 "A"에 대한 점자를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방향키 입력을 통해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상, 하, 좌, 우측의 이동을 가능하는 방향키를 이용한다.
먼저, 방향키 가운데 상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키(↑)는 1열 또는 2열의 상측 점을 선택할 수 있고, 좌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키(←)는 1열 또는 2열의 중간 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키(↓)는 1열 또는 2열의 하측 점을 선택할 수 있고, 우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키(→)는 점 선택을 위한 열을 변경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알파벳 "A"에 해당하는 점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점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방향키 (↑)을 입력하면 되고, 알파벳 "B"에 해당하는 점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방향키 (↑)와 (←)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된다.
더하여, 사용자는 알파벳 "C"에 해당하는 점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점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방향키 (↑)을 입력한 후, 열을 바꾸는 키 (→)를 입력하여 열을 변경하고, (←)를 입력하면 된다.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및 숫자에 대한 점자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b)을 참조하면, 장애인들은 도시된 바와 같은 한글에 대한 점자표를 이용하여 점자에 해당하는 문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점자표의 6개의 점 가운데 첫번째 점만을 표시하여 중성 "ㄱ"에 대한 점자를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방향키 입력을 통해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상, 하, 좌, 우측의 이동을 가능하는 방향키를 이용한다.
먼저, 방향키 가운데 상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키(↑)는 1열 또는 2열의 상측 점을 선택할 수 있고, 좌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키(←)는 1열 또는 2열의 중간 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키(↓)는 1열 또는 2열의 하측 점을 선택할 수 있고, 우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키(→)는 점 선택을 위한 열을 변경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초성 자음 "ㄱ"에 해당하는 점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점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열을 바꾸는 키 (→)를 입력한 후, 방향키 (↑)을 입력하면 되고, 모음 "ㅏ"에 해당하는 점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방향키 (↑)와 (←)를 입력한 후, 열을 바꾸는 키 (→)를 입력하여 열을 변경하고, (↓)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된다.
더하여, 사용자는 숫자 "1"에 해당하는 점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점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방향키 (↑)을 입력하면 된다.
이때, 사용자는 미리 정한 점자를 이용하여 한글, 숫자, 알파벳을 위한 입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각각의 방향키에 점의 위치를 할당하여 방향키를 이용하여 점자를 표현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는 6개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각각의 점의 위치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각각의 방향키에 점의 위치와 열 바꿈 명령을 할당하여 방향키를 이용하여 점자를 표현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는 3개의 방향키에 대하여 점의 위치를 할당하고, 1개의 방향키에 열 바꿈 명령을 할당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6개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점자를 입력하거나 점의 위치를 선택하는 3개의 방향키와 점자표의 열을 변경하는 1개의 키를 이용하여 점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의 참조부호(a)와 같이 6개의 점으로 구성된 점자표에서 동일한 행에 대한 점을 모두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방향키 입력이 가능한다.
즉, 6개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점자를 입력하는 경우, 동일 행에 배열된 점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점 위치 1, 4 또는 2, 5 또는 3, 6에 해당하는 버튼을 입력해야한다. 이는 한 행의 배열된 점을 모두 선택하기 위하여 두번의 방향키 입력을 수행해야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4개의 방향키(점의 위치를 선택하는 3개의 방향키와 점자표의 열을 변경하는 1개의 키)를 이용하여 점자를 입력하는 경우, 1 열에 대한 점의 위치를 선택하고, 열을 바꾼 후 2열에 대한 점의 위치를 선택해야한다. 이는 한 행의 배열된 점을 모두 선택하기 위하여 세번의 방향키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하고, 열을 바꾸는 방향키를 필수로 입력해야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동일 행에 대한 점을 선택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단순화시킬 수 있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는 열을 바꾸는 방향키를 이용하여 동일 행에 대한 점을 선택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을 바꾸는 방향키가 1회 입력되면 점의 위치를 선택하는 열이 변경되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2회 입력하는 경우, 동일 행에 포함된 점을 모두 선택하는 것으로 열을 바꾸는 방향키가 2 회 입력된 후 입력되는 방향키에 해당하는 점 위치의 1열 점과 2열 점을 모두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즉, 참조부호(a)와 같이 (→)를 두번 입력((→)(→))한 후, 상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키(↑)를 입력하면, 1열 및 2열의 상측 점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키 (↑)를 길게 입력하는 경우, 1열 및 2열의 상측 점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방향키 (↑)를 입력한 후, 방향키 (→)을 입력하여 열을 변경한 후, 방향키 (↑)를 입력하는 과정과 동일한 것이다.
더하여, 참조부호(b)와 같이 (→)를 두번 입력((→)(→))한 후, 좌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키 (←)를 입력하면, 1열 및 2열의 중간 점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좌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키 (←)를 길게 입력하는 경우, 1열 및 2열의 중간 점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방향키 (←)를 입력한 후, 방향키 (→)을 입력하여 열을 변경한 후, 방향키 (←)를 입력하는 과정과 동일한 것이다.
더하여, 참조부호(c)와 같이 (→)를 두번 입력((→)(→))한 후, 하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키 (↓)를 입력하면, 1열 및 2열의 하측 점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키 (↓)를 길게 입력하는 경우, 1열 및 2열의 하측 점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방향키 (↓)를 입력한 후, 방향키 (→)을 입력하여 열을 변경한 후, 방향키 (↓)를 입력하는 과정과 동일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6개의 점자를 선택할 수 있는 방향키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6개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점자표의 각 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도 8의 참조부호 (a)와 같이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방향키 1을 이용하여 점자표 1열의 첫번째 점을 선택하고, 방향키 2를 이용하여 점자표 2열의 첫번째 점을 선택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방향키 4, 7을 이용하여 점자표 1열의 두번째 점 및 세번째 점을 선택하고, 방향키 5, 8을 이용하여 점자표 2열의 두번째 점 및 3번째 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2열의 점을 선택하는 방향키가 입력된 후 1열의 점을 선택하는 방향키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글자 입력이 완료되어 다음 글자를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더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6개의 방향키와 글자 입력을 완료하는 키를 이용하여 점자표의 각 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도 8의 참조부호 (b)와 같이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방향키 1을 이용하여 점자표 1열의 첫번째 점을 선택하고, 방향키 2를 이용하여 점자표 2열의 첫번째 점을 선택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방향키 4, 7을 이용하여 점자표 1열의 두번째 점 및 세번째 점을 선택하고, 방향키 5, 8을 이용하여 점자표 2열의 두번째 점 및 3번째 점을 선택할 수 있다. 더하여 방향키 6을 이용하여 글자 입력을 완료하고 연속적으로 다음 글자를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다.
도 8의 방향키의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방향키의 구성 및 키 배열은 사용자 또는 사업자의 편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어부 102: 점자키 확인부 104: 점자 입력기 구동부

Claims (18)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입력 모드 수행시 점자 입력기를 구동하는 점자 입력기 구동부와,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와,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점자키 확인부와,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파악하여 입력된 점자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한 후, 결정된 점 위치에 대한 정보를 통보하도록 처리하되,
    결정된 점 위치에 대한 정보는,
    음성 발생, 진동 발생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점자 입력기는,
    사용자의 점자 입력을 문자로 변환해주는 것으로, 6개의 점으로 표현된 점자표임을 특징으로 하되,
    점자 입력기는 2열로 점을 표현하며, 각각의 열에 3개의 점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는,
    상측 점, 중간 점, 하측 점을 선택하는 방향키, 열 바꿈 방향키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점자키 확인부는,
    제 1열의 점을 선택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고, 열 바꿈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점 선택을 위한 열을 변경한 후, 제 2열의 점을 선택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점자키 확인부는,
    열 바꿈 방향키의 입력이 감지되기 전에 동일한 방향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위치의 점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점자키 확인부는,
    동일 행의 점을 선택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1열 및 2열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점자키 확인부는,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의 지속 입력을 감지하여 1열 및 2열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는,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가 매핑된 입력 버튼으로 구성하거나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가 매핑된 입력 버튼과 글자 입력을 완료하는 버튼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입력 모드 수행시 점자 입력기를 구동하는 과정과,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파악하여 입력된 점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방법은,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한 후, 결정된 점 위치에 대한 정보를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결정된 점 위치에 대한 정보는,
    음성 발생, 진동 발생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점자 입력기는,
    사용자의 점자 입력을 문자로 변환해주는 것으로, 6개의 점으로 표현된 점자표임을 특징으로 하되,
    점자 입력기는 2열로 점을 표현하며, 각각의 열에 3개의 점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는,
    상측 점, 중간 점, 하측 점을 선택하는 방향키, 열 바꿈 방향키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은,
    제 1열의 점을 선택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열 바꿈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점 선택을 위한 열을 변경하는 과정과,
    제 2열의 점을 선택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은,
    열 바꿈 방향키의 입력이 감지되기 전에 동일한 방향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위치의 점을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은,
    동일 행의 점을 선택하는 방향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1열 및 2열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은,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의 지속 입력을 감지하여 1열 및 2열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향키는,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가 매핑된 입력 버튼으로 구성하거나, 점자 입력기의 점 위치가 매핑된 입력 버튼과 글자 입력을 완료하는 버튼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105966A 2011-10-17 2011-10-17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42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66A KR20130042675A (ko) 2011-10-17 2011-10-17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652,938 US20130095454A1 (en) 2011-10-17 2012-10-16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braille i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66A KR20130042675A (ko) 2011-10-17 2011-10-17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675A true KR20130042675A (ko) 2013-04-29

Family

ID=4808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966A KR20130042675A (ko) 2011-10-17 2011-10-17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95454A1 (ko)
KR (1) KR201300426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36A (ko) * 2014-10-21 2016-04-29 유진희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그 방법
CN107067893A (zh) * 2017-07-03 2017-08-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盲文显示面板、盲文显示装置及盲文显示方法
CN112598974A (zh) * 2020-12-17 2021-04-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盲文显示方法、盲文显示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9943B2 (en) 2017-04-05 2019-01-01 Hart Intercivic, Inc. Haptic feed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lection vo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7821B2 (en) * 1997-10-09 2002-04-23 Avaya Technology Corp. Display-based interface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2002149320A (ja) * 2000-10-30 2002-05-24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入力装置、通信用端末、携帯型通信用端末、音声フィードバックシステム、音声フィードバックサー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36A (ko) * 2014-10-21 2016-04-29 유진희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그 방법
CN107067893A (zh) * 2017-07-03 2017-08-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盲文显示面板、盲文显示装置及盲文显示方法
CN107067893B (zh) * 2017-07-03 2019-08-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盲文显示面板、盲文显示装置及盲文显示方法
US11189194B2 (en) 2017-07-03 2021-11-3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Braille information
CN112598974A (zh) * 2020-12-17 2021-04-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盲文显示方法、盲文显示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2598974B (zh) * 2020-12-17 2022-06-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盲文显示方法、盲文显示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95454A1 (en)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8834B2 (ja) 文字入力システム
KR101349230B1 (ko) 휴대 단말
KR201100180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40088060A (ko) 입력장치, 휴대전화기 및 휴대정보기기
EP2404230A1 (en) Improved text input
JP2009181531A (ja) 文字入力システム
KR201300426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3449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JP2009169789A (ja) 文字入力システム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261227B1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JP2010134719A (ja)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6972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10108317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25935B1 (ko) 액정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입력 문자 표시 방법
JP2014089503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12897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5002256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환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91815B1 (ko) 모션 센서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12079198A (ja) 文字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384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9151688A (ja) 電子機器、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制御プログラム、タッチ入力ペン、及び携帯端末装置
JP2011223517A (ja) 携帯電話端末、携帯電話端末のキー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52905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스크린 키패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