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436A -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436A
KR20160046436A KR1020140142275A KR20140142275A KR20160046436A KR 20160046436 A KR20160046436 A KR 20160046436A KR 1020140142275 A KR1020140142275 A KR 1020140142275A KR 20140142275 A KR20140142275 A KR 20140142275A KR 20160046436 A KR20160046436 A KR 20160046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braille
point
point location
phone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289B1 (ko
Inventor
유진희
김지원
윤영미
Original Assignee
유진희
윤영미
김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희, 윤영미, 김지원 filed Critical 유진희
Priority to KR102014014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2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널을 통해 점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점자의 점 위치 입력순서를 근거로 연속되게 입력되는 점자를 자동 분리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점자 입력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은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점자입력판을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점자입력판 상에 태핑 입력된 점 위치정보를 순차로 수신하여 이루어지는 점 위치스트림정보를 점 위치 입력순서를 근거로 음소 단위의 점자로 자동 분리하여 분석함으로써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생성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자입력판은 점자를 구성하는 6개 점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영역이 분할 구성되되, 점자 입력순서에 따라 점1 영역과 점2 영역 및 점3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1 입력영역과, 점4 영역과 점5 영역 및 점6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2 입력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점자입력판을 통해 순차로 입력되는 점 위치스트림정보에서 제2 입력영역의 점위치 번호가 입력된 후 제1 입력영역의 점위치 번호가 입력되는 부분을 서로 다른 점자의 점 위치번호로 자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그 방법{Touch control apparatus for inputting brail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패널을 통해 점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점자의 점 위치 입력순서를 근거로 연속되게 입력되는 점자를 자동 분리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점자 입력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통신단말은 정전식 또는 감압식 전면 터치패널을 채택한 장치로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태핑(tapping) 또는 플리킹(flicking) 등의 모션을 감지하여 정보를 입력받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터치패널로 표시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에게 있어서는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어떠한 정보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정보입력에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시각장애인들도 터치패널을 구비한 각종 통신단말 즉, 터치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터치패널을 통해 시각장애인들의 문자인 점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안되고 있는 터치패널을 이용한 점자 입력방법은 사용자가 하나의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음소에 대응되는 점자를 탭핑(tapping) 또는 플리킹(flicking) 입력한 후, 하나의 음소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탭핑 또는 플리킹 형태의 기능정보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수"에 대한 점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음소 "ㅎ","ㅗ","ㅅ","ㅜ"에 대한 점자정보 사이에 해당 음소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일정 방향으로의 플리킹(F) 기능 입력처리를 수행하여야 한다. 다시말해, "호수"를 입력하기 위해 해당 점자정보 이외에 음소 단위 점자 간 4번의 플리킹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점자 입력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에 대응되는 점자정보의 입력 이외에 음소 단위로 별도의 플리킹 기능 입력처리를 반복하여 여러번 수행하여야 하므로, 점자정보의 입력에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점자정보의 입력 속도가 늦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선행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413277호 (발명의 명칭 :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기호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2. 한국공개특허 제2012-0136900호 (발명의 명칭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점자의 점 위치 입력순서를 근거로 연속되게 입력되는 점자를 자동 분리하여 분석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점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점자입력 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점자입력판을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점자입력판 상에 태핑 입력된 점 위치정보를 순차로 수신하여 이루어지는 점 위치스트림정보를 점 위치 입력순서를 근거로 음소 단위의 점자로 자동 분리하여 분석함으로써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생성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자입력판은 점자를 구성하는 6개 점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영역이 분할 구성되되, 점자 입력순서에 따라 점1 영역과 점2 영역 및 점3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1 입력영역과, 점4 영역과 점5 영역 및 점6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2 입력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점자입력판을 통해 순차로 입력되는 점 위치스트림정보에서 제2 입력영역의 점위치 번호가 입력된 후 제1 입력영역의 점위치 번호가 입력되는 부분을 서로 다른 점자의 점 위치번호로 자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제1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한 점자분석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제2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서 마지막 입력 점 위치번호를 클리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이 제공된다.
또한, 문자에 대응되는 정보를 음성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제3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 분석된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음성출력수단을 통해 음성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이 제공된다.
또한,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제4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 분석된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점 위치 영역번호가 제1 입력영역으로 끝나는 제1 음소와, 점 위치 영역번호가 제2 입력영역으로 시작하는 제2 음소에 해당하는 점자가 연속 되는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서는 제1 음소와 제2 음소의 점자로 분리되도록 설정된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정보를 미리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점 위치스트림을 음소 단위의 점자로 분리한 후, 분리된 음소 단위의 점자에 해당하는 점 위치스트림을 상기 기 저장된 연속 점 위치스트림과 비교하여 연속 점 위치스트림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음소에 해당하는 점자로 분리하여 문자 생성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의 이전과 이후의 점자가 모음인 경우에 한하여 해당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에 대한 점자 분리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패널을 통해 점자입력판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점자입력판을 태핑하여 입력되는 점 위치정보를 근거로 점자를 분석하고, 분석된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치단말의 점자입력 방법에 있어서, 점자를 구성하는 6개 점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영역이 분할 구성되되, 점자 입력순서에 따라 점1 영역과 점2 영역 및 점3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1 입력영역과, 점4 영역과 점5 영역 및 점6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2 입력영역으로 구성되는 점자입력판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표시출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표시출력되는 점자입력판을 통해 순차로 태핑 입력되는 점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수신된 다수의 점 위치정보로 이루어지는 점 위치스트림정보에서 점자입력판의 제2 입력영역의 점 위치번호 입력 이후 제1 입력영역의 점 위치번호가 입력되는 부분을 서로 다른 음소단위 점자에 해당하는 점 위치스트림으로 구분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구분된 음소 단위의 점 위치스트림에 해당하는 점자정보를 근거로 해당 점자에 대응되는 음소를 획득함과 더불어, 획득된 음소를 근거로 문자를 생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단말에서의 점자 입력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을 통한 플리킹 입력을 근거로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단말에서의 점자 입력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플리킹 입력단계는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제1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한 점자분석처리를 수행하고, 제2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서 마지막 입력 점 위치번호를 클리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단말에서의 점자 입력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플리킹 입력단계는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제3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 분석된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음성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단말에서의 점자 입력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플리킹 입력단계는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제4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 분석된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단말에서의 점자 입력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점 위치 영역번호가 제1 입력영역으로 끝나는 제1 음소와, 점 위치 영역번호가 제2 입력영역으로 시작하는 제2 음소에 해당하는 점자가 연속 되는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 제1 음소와 제2 음소의 점자로 분리되도록 설정된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 단계에서 점 위치스트림을 음소 단위의 점자로 분리한 후, 분리된 음소 단위의 점자에 해당하는 점 위치스트림을 상기 기 저장된 연속 점 위치스트림과 비교하여 연속 점 위치스트림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음소에 해당하는 점자로 분리하여 문자 생성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의 이전과 이후의 점자가 모음인 경우에 한하여 해당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에 대한 점자 분리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단말에서의 점자 입력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자의 점 위치 입력순서를 근거로 연속되게 입력되는 점자를 자동 분리하여 분석함으로써, 점자에 대응되는 점위치정보의 입력 이외에 최소한의 기능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시각장애인이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점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터치단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터치패널을 이용한 점자 입력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2는 점자테이블을 예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 기능을 갖는 터치단말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4는 도3에 도시된 터치패널(100)을 통해 표시출력되는 점자입력판(110)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5는 도3에 도시된 제어수단(4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6은 도3에 도시된 터치단말에서의 점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도6에 도시된 점자분리 및 문자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는 도7에 도시된 점자분리 및 문자생성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9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 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점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점자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시각장애인들의 문자인 점자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2에는 한글 입력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첫소리 자리에 쓰이는 자음(도2a) 즉, 초성과, 기본 모음(도2b) 즉 중성, 받침으로 쓰이는 자음(도2c) 즉, 종성에 대한 점자 테이블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는 통상 6개의 점의 채워짐 및 비워짐의 조합으로 된 점형으로 구성된다. 이때, 6개 점은 좌측 세로 라인 상측부터 순차로 점1 내지 점3 영역이 설정되고, 우측 세로 라인의 상측부터 순차로 점4 내지 점6 영역이 설정되어 구성된다. 즉, 도2에서 한글에서 초성으로 쓰이는 "ㄴ"에 해당하는 점자의 점 위치는 "점1 영역과 점4 영역"이 된다.
본 발명은 점자에 대응되는 점 위치의 입력순서를 근거로 점자를 분석하여 점자를 판단하도록 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2에 도시된 점자 테이블과 같이 점자의 마지막이 우측 세로라인 즉, "점4 내지 점6"으로 마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통상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이 점자정보를 입력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점 위치 순서, 즉 점1 -> 점2 -> 점3 -> 점4 -> 점5 -> 점6의 순서로 입력한다는 것에 기인하여 점자를 자동 분리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문자"는 한글이나 영문자, 숫자 및 기호를 포함하는 모든 입력정보를 포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으로 이루어지는 문자 또는 문자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터치단말"이라 함은 터치패널을 통해 정보를 입출력하는 모든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스마트기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 기능을 갖는 터치단말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자입력 기능을 갖는 터치단말은 정보의 입력처리 및 정보를 표시출력하는 터치패널(100)과, 점자 입력 관련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메모리(200), 점자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음성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300) 및, 상기 터치패널(100)을 통해 점자 입력을 위한 점자입력판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점자입력판을 통해 입력되는 점자정보에 대응되도록 문자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터치단말은 외부기기(10)로 입력된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문자전송수단(500)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패널(100)은 시각장애인 즉, 사용자(이하, 사용자라 칭함)가 점자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기 위한 점자입력판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점자입력판의 태핑(tapping) 영역에 대응되는 점 위치정보 및 플리킹(flicking) 동작에 따른 입력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터치패널(100)을 통해 표시출력되는 점자입력판(110) 정보는 점자의 6개 점 위치에 대응되도록 분할 구성되되, 점1 영역과 점2 영역 및 점3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1 입력영역과, 점4 영역과 점5 영역 및 점6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2 입력영역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점자입력판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6개의 점 입력영역이 가로방향으로 2개 영역이 형성되면서, 세로방향으로 3개의 영역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점자입력판(110)은 점자의 입력 순서에 따라 좌측 세로 라인 상측부터 순차로 점1 내지 점3 영역(111,112,113)으로 이루어진 제1 입력영역이 설정되고, 우측 세로 라인의 상측부터 순차로 점4 내지 점6 영역(114,115,116)으로 이루어진 제2 입력영역이 설정된다. 즉, 사용자는 터치패널(100)의 점자입력판(110)에서 점1(111) 영역과 점4(114) 영역을 순차로 태핑 입력하여 첫소리 자음 "ㄹ"을 입력한다(도2a 참조).
또한, 상기 데이터메모리(200)는 상기 터치패널(100)로 제공되는 점자입력판(110) 정보와, 각종 점자에 대응되는 점위치정보로 구성되는 점자테이블(도2) 및, 플리킹 동작에 대응되는 기능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점자 입력 관련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플리킹 기능정보는 점자에 대응되는 점 위치 태핑입력 이외에 정보 입력 관련 다양한 기능설정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에 대한 입력완료 기능을 수행하는 제1 플리킹 기능정보와, 입력된 점자정보, 보다 상세하게는 점위치 번호정보를 클리어시키기 위한 제2 플리킹 기능정보, 입력된 점자정보를 음성으로 확인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제3 플리킹 기능정보 및, 입력된 정보를 문자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제4 플리킹 기능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플리킹 기능정보는 "입력완료" 기능을 수행하는 제1 플리킹 기능은 우측방향 플리킹 입력으로 설정되고, "취소" 기능을 수행하는 제2 플리킹 기능은 좌측방향 플리킹 입력으로 설정되며, "음성확인" 기능을 수행하는 제3 플리킹 기능은 시계방향 회전 플리킹으로 설정되고, "문자전송"기능을 수행하는 제4 플리킹 기능은 하측방향 플리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완료"에 해당하는 제1 플리킹 입력은 현재까지 입력한 점위치 문자 생성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뛰어쓰기 구간 또는 마침표 구간에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한 플리킹 기능은 동작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방법으로 이용되어 질 수 있다. 예컨대, 점자 입력모드에서의 취소 플리킹 입력에 대해서는 현재 입력한 점 위치번호를 클리어시키는 기능으로 사용되고, 음성확인모드에서의 취소 플리킹 입력에 대해서는 음성출력을 취소하는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기능에 대한 플리킹동작은 각 기능별로 서로 다른 형태의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400)는 상기 터치패널(100)로부터 입력되는 점위치정보를 근거로 점자를 분석하고, 분석된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생성하여 음성출력 또는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4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분석처리부(410)와, 문자생성처리부(420), 플리킹 분석부(430) 및, 정보출력처리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점자분석처리부(410)는 기본적으로 터치패널(100)로부터 연속하여 순차 입력되는 점위치 스트림정보를 근거로 음소단위의 점자를 구분하고, 구분된 음소 단위 점 위치번호정보를 근거로 해당 점자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점자분석처리부(410)는 순차 입력되는 점 위치스트림의 각 점위치 번호를 확인하여 점 위치번호가 "점4 또는 점5 또는 점6" 중 하나가 입력된 후, "점1 또는 점2 또는 점3"이 입력되는 부분을 서로 다른 점자의 점 위치번호로 자동으로 구분한다. 즉, 점위치 스트림에서 해당 구분점을 근거로 각 음소단위의 점자에 대응되는 점 위치스트림을 구분하게 된다. 이어, 상기 점자분석처리부(410)는 점자에 대응되는 점 위치스트림을 근거로 해당 점자에 대응되는 음소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문자생성처리부(420)는 상기 점자분석처리부(410)에서 획득한 음소정보를 조합하여 문자를 생성한다. 특히, 한글은 일반적으로 초성과 중성, 또는 초성과 중성 및 종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각 초성, 중성, 종성에 해당하는 음소를 기 설정된 문자조합 규칙에 따라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초성과 종성은 자음으로 이루어지고 중성은 모음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문자생성처리부(420)는 점자분석처리부(410)로부터 "ㅎ,ㅗ,ㅅ,ㅜ" 음소가 순차 입력되는 경우,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호수" 문자를 생성한다.
상기 플리킹분석처리부(430)는 상기 터치패널(100)로부터 제공되는 플리킹 입력정보를 근거로 입력된 방향성에 대응되는 기능처리를 수행한다. 즉, 취소 플리킹 입력에 대해서는 상기 점자분석처리부(410)를 통해 입력된 점위치 번호 중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점위치번호 하나를 클리어시키도록 요구한다. 또한, 입력완료 플리킹 입력에 대해서는 상기 점자분석처리부(410)로 점자분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함과 더불어 상기 문자생성처리부(420)를 통해 점자분석된 음소단위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생성하도록 요구한다. 또한, 음성확인 플리킹 입력에 대해서는 상기 정보출력처리부(440)를 통해 상기 문자생성처리부(420)에서 생성되는 문자를 음성출력하도록 요구한다. 또한, 문자전송 플리킹 입력에 대해서는 상기 문자생성처리부(420)에서 생성된 문자를 외부기기(10)로 문자전송하도록 요구한다.
상기 정보출력처리부(440)는 상기 플리킹분석처리부(430)로부터 음성확인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문자생성처리부(420)에서 생성된 문자를 상기 음성출력부(300)로 제공하여 음성출력하도록 요구한다. 또한, 상기 정보출력처리부(440)는 상기 플리킹분석처리부(430)로부터 문자전송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문자생성처리부(420)에서 생성된 문자를 상기 문자전송부(500)로 제공하여 외부기기(10)로 문자전송하도록 요구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터치단말에서의 점자입력방법을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점자입력판(110)정보와, 각 음소에 대응되는 점자별 점 위치정보 및, 플리킹 동작에 대응되는 기능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점자 입력관련정보가 데이터메모리(200)에 미리 등록설정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단말을 통해 점자입력요구를 수행하게 되면, 제어수단(400)는 터치패널(100)을 통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점자입력판(110) 정보를 표시출력한다(ST10).
사용자는 상기 터치패널(100)을 통해 표시출력되는 점자입력판(110)에서 자신이 입력하고자하는 음소에 대응되는 점자의 점 위치영역을 순차 태핑함으로써, 점위치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패널(100)의 점자입력판(110)을 통해 입력하는 영역의 점 위치정보, 즉 점 위치번호는 제어수단(400)에서 순차 수신한다(ST20).
이어,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점자입력판(110)을 통해 태핑 입력되는 점위치번호를 분석하여 음소 단위 점자에 해당하는 점 위치스트림을 구분하고, 구분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응되는 점자의 음소를 획득하며, 획득한 음소를 조합하여 문자를 생성한다(ST30).
이후, 상기 제어수단(4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ST30 단계에서 생성된 문자정보를 음성출력부(300)를 통해 음성출력한다(ST40).
또한, 상기 제어수단(4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ST30 단계에서 생성된 문자정보를 문자전송부(500)를 통해 외부기기로 문자 전송한다(ST50).
이어, 상기 도7을 참조하여 상기 점자 분리 및 문자 생성과정(ST3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터치패널(100)의 점자입력판(110)을 통해 태핑 입력되는 점위치 스트림은 제어수단(400)의 점자분석처리부(410)로 수신된다(ST31). 이때, 상기 점자분석처리부(410)로 수신되는 점위치 스트림은 입력되는 연속되는 점 위치영역의 번호정보로써, 도8의 (A)와 같이 "…2,4,5,1,3,6,6,1,3,4…"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제어수단(400)의 플리킹분석처리부(430)는 터치패널(100)로부터 특정 플리킹 입력이 이루어지는지를 감시한다(ST32).
상기 플리킹분석처리부(430)는 상기 ST32 단계에서 플리킹 입력이 수신되면, 입력된 플리킹 기능이 "입력완료" 플리킹 기능정보인지를 판단한다(ST33).
상기 플리킹분석처리부(430)는 상기 ST33단계에서 입력된 플리킹 기능정보가 "입력완료"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플리킹 기능정보가 "취소" 플리킹 기능정보인지를 판단한다(ST34).
상기 플리킹분석처리부(430)는 상기 ST34단계에서 현재 입력된 플리킹 기능정보가 "취소"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점자분석처리부(410)를 통해 현재 입력된 점위치 스트림에서 마지막 점위치 번호를 클리어시키도록 한다(ST35).
또한, 상기 플리킹분석처리부(430)는 상기 ST34단게에서 현재 입력된 플리킹 기능정보가 "취소"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메모리(300)에 저장된 해당 플리킹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구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T36). 예컨대, 입력된 플리킹 기능정보에 따라 제어수단(400)의 문자생성처리부(420)에서 생성된 문자를 음성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T33단계에서 상기 플리킹분석처리부(40)는 현재 입력된 플리킹 기능정보가 "입력완료"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점자분석처리부(410) 및 문자생성처리부(420)로 "점자분석"요구를 수행한다.
이때, 먼저 점자분석처리부(410)는 현재까지 수신된 점 위치스트림에서 점 위치번호를 근거로 음소단위 점자에 대응되는 점 위치번호를 분리한다. 즉, 점자분석처리부(410)는 점 위치스트림에서 제2 점영역 즉, "점4, 점5, 점6"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점위치 번호가 입력된 후 제1 점영역 즉, "점1, 점2, 점3" 영역중 어느 하나의 점위치 번호가 입력되는 부분을 서로 다른 점자의 점 위치번호로 자동으로 구분한다. 예컨대, 도8의 (A)와 같은 점위치 스트림 "2,4,5,1,3,6,6,1,3,4"를 (B)와 같이 음소 단위의 점자에 대해 구분점을 갖는 "245/136/6/134" 형태의 점위치 스트림으로 변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소 단위의 점자에 해당하는 점위치정보가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점자분석처리부(410)는 각 음소 단위의 점 위치번호를 근거로 해당 점자에 대응되는 음소를 획득한다. 예컨대, 도8의 (B)와 같이 음소 단위로 구분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자테이블을 근거로 (C)와 같은 "ㅎ,ㅗ,ㅅ,ㅜ"의 음소를 획득한다.
이어, 점자분석처리부(410)는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 획득한 음소정보를 문자생성처리부(420)로 제공하고, 문자생성처리부(420)는 음소를 조합하여 문자를 생성한다(ST38). 즉, 도8의 (C)와 같은 음소를 기 설정된 문자 조합규칙에 따라 조합하여 (D)와 같은 "호수" 형태의 문자를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부 점 위치스트림에 대한 점자 구분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도9a에 도시된 "축구"와 같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 자음(종성)과 자음(초성)에 해당하는 점 위치번호가 연속되는 경우, 이 자음(종성)과 자음(초성)이 연속하는 영역(Z)에서 점자의 구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즉, 한글문자에서 자음(종성)의 마지막 점 위치번호가 "점1, 점2, 점3" 으로 이루어지는 제1 입력영역 중 하나로 끝나고, 자음(초성)의 시작 점 위치번호가 "점4, 점5, 점6"으로 이루어지는 제2 입력영역중 하나의 점 위치번호 시작하는 경우, 두 음소 점자가 하나의 점자로 분석되어 질 수 있다. 예컨대,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종성)으로 "ㄱ"에 해당하는 "점1"이 입력되고, 이와 연속하는 자음(초성)으로 "ㄱ"에 해당하는 "점4"가 입력되는 경우, "점1, 점4"에 해당하는 "ㄴ"으로 점자가 분석되어 질 수 있다. 즉, 도9a에서 "축구"는 "추누"로 분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 두 음소에 해당하는 점 위치정보로 구분되도록 두 음소 점위치스트림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해당 점위치스트림이 입력되는 경우, 두 음소 점위치스트림정보와 비교하여 두 음소에 대한 점위치스트림으로 구분하여 점자 분석처리를 수행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정보는 모음과 모음 사이에 영역에서 적용될 수 있는 바, 음소 단위 점자를 분석하여 모음과 모음 사이에 상술한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이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점 위치스트림을 두 음소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상기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정보의 구분처리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플리킹을 통한 요구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실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점자정보를 음성확인하여 두 음소 점위치스트림의 분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응되는 플리킹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두 음소 점위치스트림에 대한 구분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장애인인 사용자가 점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음소 단위로 플리킹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문자 또는 문자열 또는 문장에 대응되는 점 위치정보를 순차적으로 연속 입력한 후 최소한의 플리킹 입력만을 수행하여 점자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패널을 통해 보다 간단하고 빠르게 점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글점자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영문자(알파벳)나 숫자에 대해서도 점 위치정보를 근거로 점자를 구분하여 해당 점자를 분석하도록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한글, 영문, 숫자, 기호 등의 입력모드 변환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플리킹 입력을 통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터치패널, 110 : 점자입력판,
111,112,113,114,115,116 : 점 입력영역,
200 : 데이터메모리, 300 : 음성출력수단,
400 : 제어수단, 410 : 점자분석처리부,
420 : 문자생성처리부, 430 : 플리킹분석처리부,
440 : 정보출력처리부, 500 : 문자전송수단.

Claims (13)

  1.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점자입력판을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점자입력판 상에 태핑 입력된 점 위치정보를 순차로 수신하여 이루어지는 점 위치스트림정보를 점 위치 입력순서를 근거로 음소 단위의 점자로 자동 분리하여 분석함으로써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생성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자입력판은 점자를 구성하는 6개 점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영역이 분할 구성되되, 점자 입력순서에 따라 점1 영역과 점2 영역 및 점3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1 입력영역과, 점4 영역과 점5 영역 및 점6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2 입력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점자입력판을 통해 순차로 입력되는 점 위치스트림정보에서 제2 입력영역의 점위치 번호가 입력된 후 제1 입력영역의 점위치 번호가 입력되는 부분을 서로 다른 점자의 점 위치번호로 자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제1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한 점자분석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제2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서 마지막 입력 점 위치번호를 클리어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문자에 대응되는 정보를 음성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제3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 분석된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음성출력수단을 통해 음성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제4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 분석된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점 위치 영역번호가 제1 입력영역으로 끝나는 제1 음소와, 점 위치 영역번호가 제2 입력영역으로 시작하는 제2 음소에 해당하는 점자가 연속 되는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서는 제1 음소와 제2 음소의 점자로 분리되도록 설정된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정보를 미리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점 위치스트림을 음소 단위의 점자로 분리한 후, 분리된 음소 단위의 점자에 해당하는 점 위치스트림을 상기 기 저장된 연속 점 위치스트림과 비교하여 연속 점 위치스트림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음소에 해당하는 점자로 분리하여 문자 생성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의 이전과 이후의 점자가 모음인 경우에 한하여 해당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에 대한 점자 분리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7. 터치패널을 통해 점자입력판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점자입력판을 태핑하여 입력되는 점 위치정보를 근거로 점자를 분석하고, 분석된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치단말의 점자입력 방법에 있어서,
    점자를 구성하는 6개 점 위치에 대응되도록 입력 영역이 분할 구성되되, 점자 입력순서에 따라 점1 영역과 점2 영역 및 점3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1 입력영역과, 점4 영역과 점5 영역 및 점6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제2 입력영역으로 구성되는 점자입력판을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표시출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표시출력되는 점자입력판을 통해 순차로 태핑 입력되는 점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수신된 다수의 점 위치정보로 이루어지는 점 위치스트림정보에서 점자입력판의 제2 입력영역의 점 위치번호 입력 이후 제1 입력영역의 점 위치번호가 입력되는 부분을 서로 다른 음소단위 점자에 해당하는 점 위치스트림으로 구분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구분된 음소 단위의 점 위치스트림에 해당하는 점자정보를 근거로 해당 점자에 대응되는 음소를 획득함과 더불어, 획득된 음소를 근거로 문자를 생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단말에서의 점자 입력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을 통한 플리킹 입력을 근거로 문자 입력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단말에서의 점자 입력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킹 입력단계는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제1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한 점자분석처리를 수행하고,
    제2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서 마지막 입력 점 위치번호를 클리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단말에서의 점자 입력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킹 입력단계는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제3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 분석된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음성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단말에서의 점자 입력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킹 입력단계는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제4 플리킹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입력된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 분석된 점자에 대응되는 문자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단말에서의 점자 입력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점 위치 영역번호가 제1 입력영역으로 끝나는 제1 음소와, 점 위치 영역번호가 제2 입력영역으로 시작하는 제2 음소에 해당하는 점자가 연속 되는 점 위치스트림에 대해 제1 음소와 제2 음소의 점자로 분리되도록 설정된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 단계에서 점 위치스트림을 음소 단위의 점자로 분리한 후, 분리된 음소 단위의 점자에 해당하는 점 위치스트림을 상기 기 저장된 연속 점 위치스트림과 비교하여 연속 점 위치스트림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음소에 해당하는 점자로 분리하여 문자 생성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의 이전과 이후의 점자가 모음인 경우에 한하여 해당 두 음소 점 위치스트림에 대한 점자 분리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단말에서의 점자 입력방법.
KR1020140142275A 2014-10-21 2014-10-21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그 방법 KR102195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275A KR102195289B1 (ko) 2014-10-21 2014-10-21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275A KR102195289B1 (ko) 2014-10-21 2014-10-21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436A true KR20160046436A (ko) 2016-04-29
KR102195289B1 KR102195289B1 (ko) 2020-12-24

Family

ID=5591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275A KR102195289B1 (ko) 2014-10-21 2014-10-21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2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8643A (ja) * 2010-11-30 2012-06-21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点字式墨字入力方法、点字式墨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点字式墨字入力装置
KR20130042675A (ko) * 2011-10-17 2013-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8643A (ja) * 2010-11-30 2012-06-21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点字式墨字入力方法、点字式墨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点字式墨字入力装置
KR20130042675A (ko) * 2011-10-17 2013-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289B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5995B2 (ja) 音声認識誤り修正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Hoste et al. SpeeG: a multimodal speech-and gesture-based text input solution
Watanabe et al. Advantages and drawbacks of smartphones and tablet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analysis of ICT user survey results——
JP2000020196A (ja) 視線入力装置
WO2020105349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819022B1 (ko) 시각장애인용 터치스크린 기반 점자입출력장치 및 이에 의한 점자입출력방법
JP5907231B1 (ja) 入力情報支援装置、入力情報支援方法および入力情報支援プログラム
KR102009150B1 (ko)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및 방법
US202103431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60046436A (ko) 점자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단말 및 그 방법
KR102432132B1 (ko) 뇌세포 자극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및 방법, 뇌세포 자극 어플리케이션용 키보드
JP2021015189A (ja) マルチモーダル音声認識装置およびマルチモーダル音声認識方法
KR20150134850A (ko) 닿소리 키패드의 입력 장치 및 방법
JP6112239B2 (ja) 入力情報支援装置、入力情報支援方法および入力情報支援プログラム
KR101610714B1 (ko) 점자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
KR1009803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2261214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쓰기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160027633A (ko) 멀티터치를 이용한 한손 한글입력 방법
KR1004571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852020B1 (ko) 문자입력방법
JP2016119107A (ja) 入力情報支援装置、入力情報支援方法および入力情報支援プログラム
KR20160077602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문자 판별 및 장치
KR101656865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1080228B1 (ko) 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