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714B1 - 점자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점자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714B1
KR101610714B1 KR1020140168269A KR20140168269A KR101610714B1 KR 101610714 B1 KR101610714 B1 KR 101610714B1 KR 1020140168269 A KR1020140168269 A KR 1020140168269A KR 20140168269 A KR20140168269 A KR 20140168269A KR 101610714 B1 KR101610714 B1 KR 101610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raille
input
mapp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준
조한슬
임성현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자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요소 내지 제 6 요소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는 6 개 이내의 요소점으로 구성되는 점자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입출력 장치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으로 가로, 세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점자의 각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를 판단하여 매핑 규칙에 따라 점자를 매핑하는 매핑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및 출력의 매핑 규칙이 동일하여 점자의 입력 및 해석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고, 촉각만을 이용하여 점자를 읽고 쓸 수 있어서 사용자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점자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APPARATUS FOR BRAILLE INPUT/OUTPUT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자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촉각만을 이용하여 점자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자(點字, dot patterns)는 맹인용 문자를 뜻하는데, 지면에 돌기한 점을 일정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손가락으로 만져서 맹인이 스스로 읽고 쓸 수 있도록 만든 것을 말한다. 점자는 양각된 작은 6개의 점(세로로 3점, 가로로 2점)으로 구성되었으며, 직사각형의 점칸(braille cell)에 점의 수와 위치에 의하여 63개의 서로 다른 점형(點型)이 만들어지고, 각 점형에 글자를 배정하여 문자체계를 이룬다. 6개의 점 하나하나에 고유번호를 붙여 왼쪽 위에서 아래로 1, 2, 3점을,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4, 5, 6점이 각각 배정된다. 점자는 브레일(braille)이라고도 부르는데 그 이유는 점자를 발명한 사람의 이름이 브라유(Braille, L)이기 때문이다.
도 1은 점자의 점칸(braille cell)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직사각형의 점칸을 6개의 요소(cell)로 나누어 제1 요소(cell 1) 내지 제6 요소(cell 6)로 구별하였다. 그리고 각 요소(cell)에 있는 점을 제1 요소점(dot 1) 내지 제6 요소점(dot 6)으로 표시하기로 한다. 진하게 표시된 원은 요소점이 존재하는 것이고 테두리만 표시된 원은 요소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도 1의 점자는 한글 '가'의 점자를 약자로 표시한 것이다.
컴퓨터 장치 및 그 밖의 전자계산 장치를 이용하여 점자를 입력하고 출력하는데 있어서 종래에 터치 스크린 기반의 다양한 입력과 출력 인터페이스 기술이 있어 왔다. 입력 방식으로는 첫째로 한 손을 활용한 방식이 있었다. 이 방식은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 점자를 이루는 6개의 점과 대응되는 6개의 버튼이 나타나 있다.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점자를 이루는 각 점에 대응되는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점자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1번 점만 입력된 a를 입력할 경우, 사용자는 1번 점과 대응되는 1번 버튼을 터치한 후 일정 시간 동안 기다리면 글자 a가 입력되게 된다.
둘째로는 두 손을 활용한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모바일 기기를 양 손으로 잡고서, 양 손의 검지, 중지, 약지 손가락을 터치 스크린에 올려놓고서 입력을 진행한다. 6개의 손가락은 각각이 한 개의 버튼을 터치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좌측 검지는 1번 점과 대응되는 형식이다. 점자를 입력할 때 1, 5, 6 번 점을 입력해야 한다면 해당하는 버튼을 손가락으로 동시에 1, 5, 6번 버튼을 터치하면 점자가 입력되게 된다.
출력 방식으로는 첫째로 리듬을 활용한 방식이 있다. 6개의 점을 이뤄진 점자를 리듬으로 패턴화 한 후, 진동을 이용하여 그 리듬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손을 대고서 진동을 느낌으로써 글자를 이해하게 된다.
둘째로는 화면을 스캔하는 방식이 있다. 화면 자체가 6개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있다. 물론 이 6개의 구간은 점자를 이루는 6개의 점과 대응 된다. 사용자는 6개의 구간을 천천히 스타일러스 펜으로 스캔한다. 특정 구간에서 진동이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파악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점자를 이해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종래에 다양한 기술이 있어 왔지만, 한 손을 사용한 입력 방식과 스캔을 활용한 출력 방식의 경우 6개의 버튼과 6개의 구간을 계속해서 인지해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의 위치가 계속 바뀌어야 하며, 따라서 눈이 보이지 않는 시각장애인들이 큰 불편함을 겪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 손을 사용한 입력 방식의 경우, 6개의 손가락이 한 번에 터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사고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체적으로 모든 입력, 출력 방식에 있어서는 입력과 출력이 각자 다른 접근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고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력을 하다가 리듬을 활용한 출력을 하고, 혹은 입력을 하다가 스캔을 활용한 출력을 한다는 것은 계속해서 손의 자세를 바꿔야 할 뿐만 아니라 한 문자에 대해서도 입력 방식과 출력 방식에서 취하는 각기 다른 규칙을 계속해서 전환해서 사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것은 시각 장애인에게 불편함을 주기 때문에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5235호(2013.09.02 등록)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촉각만을 이용하여 점자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요소(cell 1) 내지 제 6 요소(cell 6)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는 6개 이내의 요소점(dot)으로 구성되는 점자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점자 입출력 장치는 제1 버튼(button 1)과 제2 버튼(button 2)으로 가로, 세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점자의 각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를 판단하여 매핑 규칙에 따라 점자를 매핑하는 매핑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핑부는, 상기 제1 버튼과 제2 버튼 누름의 순서로 상기 요소점을 구별하되, 상기 제1 버튼 누름에 대해서는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매핑하고, 상기 제2 버튼 누름에 대해서는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핑부는, 상기 제1 버튼과 제2 버튼 누름의 순서로 상기 요소점을 구별하되, 상기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2 버튼의 1회 누름에 대해서는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매핑하고, 상기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2 버튼 중에서 어느 한 버튼의 연속된 복수회 누름에 대해서는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회 누름 및 상기 연속된 복수회 누름은 제1 버튼과 제2 버튼 사이에서 서로 교대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자를 출력하기 위해서 입력된 상기 점자의 매핑 규칙을 적용하여 해당 점자의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점자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진동을 상기 제1 버튼과 제2 버튼을 모두 이용하여 발생시키거나, 상기 제1 버튼 또는 제2 버튼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버튼과 제2 버튼은, 탄성 소자를 이용한 기계적 방식 또는 터치 스크린 상에 전자식으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핑된 점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요소 내지 제 6 요소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는 6 개 이내의 요소점으로 구성되는 점자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에 있어서, 점자 입출력 방법은 제1 버튼과 제2 버튼으로 가로, 세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점자의 각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를 판단하여 매핑 규칙에 따라 점자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한 손만을 사용하여 점자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입력 및 출력의 매핑 규칙이 동일하여 점자의 입력 및 해석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고, 촉각만을 이용하여 점자를 읽고 쓸 수 있어서 사용자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점자의 점칸(braille cell)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입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매핑 규칙에 의한 매핑 순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서로 다른 매핑 규칙에 따라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눌려지는 순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입력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자 입출력 방법의 부분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점자 입출력 방법의 부분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입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입출력 장치(100)는 입력부(110), 매핑부(120), 출력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하는데, 제1 버튼과 제2 버튼으로 가로, 세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점자의 각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순서는 도 3a 및 도 3b과 같이 제1 요소점에서 시작하여 제6 요소점에서 종료되는 여러가지 순서 중에서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점자의 각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는 입력 신호로서 매핑부(120)로 전송된다.
매핑부(120)는 입력부(110)의 입력 신호를 판단하여 매핑 규칙에 따라 점자를 매핑한다.
매핑 규칙은 제1 버튼과 제2 버튼 누름을 이용하여 하나의 점자를 완성하는 것에 대한 규칙이다. 여기서, 버튼(button)을 누르는 동작은 버튼(button) 또는 키(keyboard)를 터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입출력 장치(100)가 수행하는 매핑에 관한 매핑 규칙에 대해서는 점자 입출력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출력부(130)는 점자를 출력하기 위해서 점자의 매핑 규칙을 적용하여 해당 점자의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점자를 출력한다. 즉, 제1 버튼과 제2 버튼 누름을 이용하여 점자를 완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출력부(130)는 완성된 문자에 대응하는 버튼의 누름을 진동으로 변환시키고, 제1 버튼 또는 제1 버튼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출력부(130)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을 모두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제1 버튼 또는 제2 버튼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점자 입출력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버튼과 제2 버튼은 기계적 방식 또는 스크린 상에 전자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기계적 방식에 의하는 경우 스프링 또는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키보드의 키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식 방식에 의하는 경우라면,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버튼과 제2 버튼의 구성은 동일하며 매핑 규칙에 따라 표시하려는 점자를 구성하는 요소점이 서로 다르게 제1 버튼과 제2 버튼에 지정될 수 있다.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점자 입출력 장치(100)에서 구비되는 위치는 한 손에 의한 터치가 가능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 손을 사용하여 하나의 손에 하나의 버튼이 터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그 위치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편리할 것이다.
표시부(140)는 매핑된 점자를 표시하는 표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디스플레이 화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이 사용자인 경우라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점자를 표시하는 것은 크게 실용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평면 상에 양각의 촉이 솟아 오르는 형태로 입력된 점자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매핑 규칙에 의한 매핑 순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매핑 규칙에 따르면 매핑은 제1 요소에서 시작되어 제1 열을 마치고 제2 열의 제4 요소로 이어지고 제6 요소에서 마친다.
도 3a에 나타낸 점자는 한글 '가'를 약자로 나타낸다. 각 요소에 있는 점요소를 표현하기 위해 제1 버튼과 제2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버튼은 해당 요소에 점요소가 존재할 때 눌려지고 제2 버튼은 해당 요소에 점요소가 존재하지 않을 때 눌려진다. 한글 '가'는 제1 점요소, 제2 점요소, 제4 점요소 및 제6 점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한글 '가'를 버튼을 사용해서 표현하기 위해서는 도3 (a)의 매핑 순서에 따라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의 요소에서 제1 버튼이 눌려지면 되고, 세 번째, 다섯 번째의 요소에서 제2 버튼이 눌려지면 된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서로 다른 매핑 규칙에 따라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눌려지는 순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것처럼,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한글 '가'는 제1 버튼-제1 버튼-제2 버튼-제1 버튼-제2 버튼- 제1버튼이 순서대로 눌러짐으로써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순서대로 버튼이 눌러지면 매핑부(120)는 눌러진 해당 버튼을 한글 '가'로 매핑한다.
도 3b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매핑 규칙에 따르면 매핑은 제1 요소에서 시작되어 1행, 2행 및 3행으로 이어지고 제 6요소에서 마친다.
도 3b에 나타낸 점자도 한글 '가'를 약자로 나타낸다. 각 요소에 있는 점요소를 표현하기 위해 제1 버튼과 제2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매핑 규칙에서는 매핑의 순서가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번갈아 가면서 교대로 눌러지므로 제1 열의 요소점(제1 요소점 내지 제3 요소점)에 대해서는 제1 버튼 누름으로 표현하고, 제2 열의 요소점(제4 요소점 내지 제6 요소점)에 대해서는 제2 버튼 누름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요소점의 유무에 대해서는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면 버튼을 복수회 누르고,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지 않으면 버튼을 1회 누름으로써 점자를 표현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한글 '가'는 제1 버튼 복수회-제2 버튼 복수회-제1 버튼 복수회-제2 버튼 1회-제1 버튼 1회- 제2버튼 복수회의 순서대로 눌러짐으로써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순서대로 버튼이 눌러지면 매핑부(120)는 해당 누름을 한글 '가'로 매핑한다. 여기서, 복수회는 2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2회인 경우 간소하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도 4 (b)에서
Figure 112014115774723-pat00001
는 제1 버튼의 복수회 누름을,
Figure 112014115774723-pat00002
는 제2 버튼의 복수회 누름을 나타낸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입출력 장치(100)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매핑 규칙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그 밖의 실시예에 따라 6개의 점요소가 매핑되는 순서는 다르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입력 및 출력 방법과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입력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입력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S510).
다음으로 사용자의 누름(또는 터치, 이하 동일) 동작에 따라 제1 버튼 또는 제2 버튼 누름이 감지된다(S520). 여기서, 버튼 누름에 따른 신호를 인식하는 인식부(미 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나, 버튼 입력에 따른 신호가 매핑부(120)에 직접 전달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매핑부(120)는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매핑 규칙을 이용하여 점자를 매핑한다(S530).
마지막으로, 표시부(140)는 매핑된 점자를 표시할 수 있다(S540).
여기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매핑 규칙을 이용한 매핑에 대해서는 도 7을 이용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 출력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점자 입출력 장치(100)에서 출력될 점자가 선정된다(S610).
다음으로 매핑부(120)는 출력된 점자에 관한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다(S620).
다음으로 출력부(130)는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매핑 규칙에 따라 진동 신호를 발생시킨다(S630).
마지막으로, 출력부(130)는 진동 신호를 제1 버튼 또는 제2 버튼을 이용하여 표시하거나 청각 신호를 이용하여 점자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S640).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따라 출력하는 경우 제1 버튼과 제2 버튼을 구별하여 제1 버튼과 제2 버튼을 모두 사용하여 진동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라 출력하는 경우에는 제1 버튼과 제2 버튼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제1 버튼과 제2 버튼 중에서 어느 하나의 버튼만을 사용하여 진동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매핑 규칙을 이용한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점자 입출력 방법의 부분 순서도이다.
도 7의 순서로, 버튼 입력에 따라 한글 '가' 글자가 매핑되는 점자 입력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버튼 입력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다(S710). 즉, 1-1-2-1-2-1 순서대로 버튼이 입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미도시)에 의해 버튼 누름이 감지될 수 있으며 입력부(110)의 입력 신호가 직접 매핑부(120)에 전달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매핑부(120)는 눌러진 버튼이 제1번 버튼인지 제2 버튼인지 판단한다(S720). 제1 실시예의 매핑 규칙에 따르면, 눌러진 버튼이 제1 버튼이면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게 되고, 눌러진 버튼이 제2 버튼이면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매핑부(120)는 점자가 완성될 때까지 요소점의 유무를 판단한다(6회). 그리고 점자가 완성되면 매핑부(120)는 요소점에 해당하는 점자를 매핑한다(S730). 즉, 눌러진 버튼과 그 순서가 1-1-2-1-2-1이고, 도 3a의 매핑 순서에 따라서 매핑하면 도 3a와 같은 점자가 매핑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점자 입출력 방법의 부분 순서도이다.
도 8의 순서로, 버튼 입력에 따라 한글 '가' 글자가 매핑되는 점자 입력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버튼 입력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다(S810). 즉, 11-22-11-2-1-22 순서대로 버튼이 입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미도시)에 의해 버튼 누름이 감지될 수 있으며 입력부(110)의 입력 신호가 직접 매핑부(120)에 전달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매핑부(120)는 눌러진 버튼이 연속된 누름인지 1회의 누름인지 판단한다(S820). 제2 실시예의 매핑 규칙에 따르면, 연속된 복수회 누름은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함을 뜻하고(S821), 1회 누름은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지 않음을 뜻한다(S822).
다음으로 매핑부(120)는 눌러진 버튼이 제1 버튼인지 제2 버튼인지 판단한다(S830). 눌러진 버튼이 제1 버튼이면 해당 요소가 제1 열 요소임을 뜻하고(S831), 눌러진 버튼이 제2 버튼이면 해당 요소가 제2 열 요소임을 뜻한다(S832).
다음으로 매핑부(120)는 점자가 완성될 때까지 요소점의 유무와 해당 열을 판단한다(6회). 그리고 점자가 완성되면 매핑부(120) 요소점에 해당하는 점자를 매핑한다(S840). 즉, 눌러진 버튼과 그 순서가 11-22-11-2-1-22이고, 도 3b의 매핑 순서에 따라서 매핑하면 도 3b와 같은 점자가 매핑된다.
지금까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점자 입력방식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점자 출력방법도 이와 동일한 매핑 규칙에 따라 점자 입출력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에 따르면, 한 손만을 사용하여 점자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입력 및 출력의 매핑 규칙이 동일하여 점자의 입력 및 해석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고, 촉각만을 이용하여 점자를 읽고 쓸 수 있어서 사용자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점자 입출력 장치, 110: 입력부,
120: 매핑부, 130: 출력부,
140: 표시부

Claims (16)

  1. 제1 요소(cell 1) 내지 제 6 요소(cell 6)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는 6 개 이내의 요소점(dot)으로 구성되는 점자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제1 버튼(button 1)과 제2 버튼(button 2)으로 가로, 세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점자의 각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를 판단하여 매핑 규칙에 따라 점자를 매핑하는 매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부는,
    상기 제1 버튼과 제2 버튼 누름의 순서로 상기 요소점을 구별하되,
    상기 제1 버튼 누름에 대해서는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매핑하고,
    상기 제2 버튼 누름에 대해서는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매핑하는 점자 입출력 장치.
  2. 삭제
  3. 제1 요소(cell 1) 내지 제 6 요소(cell 6)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는 6 개 이내의 요소점(dot)으로 구성되는 점자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제1 버튼(button 1)과 제2 버튼(button 2)으로 가로, 세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점자의 각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를 판단하여 매핑 규칙에 따라 점자를 매핑하는 매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부는,
    상기 제1 버튼과 제2 버튼 누름의 순서로 상기 요소점을 구별하되,
    상기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2 버튼의 1회 누름에 대해서는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매핑하고,
    상기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2 버튼 중에서 어느 한 버튼의 연속된 복수회 누름에 대해서는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매핑하는 점자 입출력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회 누름 및 상기 연속된 복수회 누름은 제1 버튼과 제2 버튼 사이에서 서로 교대로 발생하는 점자 입출력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자 입출력 장치는,
    점자를 출력하기 위해서 입력된 상기 점자의 매핑 규칙을 적용하여 해당 점자의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점자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점자 입출력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버튼 및 제2 버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점자 입출력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과 제2 버튼은,
    탄성 소자를 이용한 기계적 방식 또는 터치 스크린 상에 전자식으로 구현되는 점자 입출력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핑된 점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점자 입출력 장치.
  9. 제1 요소 내지 제 6 요소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는 6 개 이내의 요소점으로 구성되는 점자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에 있어서,
    제1 버튼과 제2 버튼으로 가로, 세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점자의 각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입력 신호를 판단하여 매핑 규칙에 따라 점자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자를 매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버튼과 제2 버튼 누름의 순서로 상기 요소점을 구별하되,
    상기 제1 버튼 누름에 대해서는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매핑하고,
    상기 제2 버튼 누름에 대해서는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매핑하는 점자 입출력 방법.
  10. 삭제
  11. 제1 요소 내지 제 6 요소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는 6 개 이내의 요소점으로 구성되는 점자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에 있어서,
    제1 버튼과 제2 버튼으로 가로, 세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점자의 각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입력 신호를 판단하여 매핑 규칙에 따라 점자를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자를 매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버튼과 제2 버튼 누름의 순서로 상기 요소점을 구별하되,
    상기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2 버튼의 1회 누름에 대해서는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매핑하고,
    상기 제1 버튼 또는 상기 제2 버튼 중에서 어느 한 버튼의 연속된 복수회 누름에 대해서는 해당 요소에 요소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매핑하는 점자 입출력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1회 누름 및 상기 연속된 복수회 누름은 제1 버튼과 제2 버튼 사이에서 서로 교대로 발생하는 점자 입출력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점자 입출력 방법은,
    점자를 출력하기 위해서 입력된 상기 점자의 매핑 규칙을 적용하여 해당 점자의 요소점의 유무에 대한 정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점자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자 입출력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점자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버튼 및 제2 버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점자 입출력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과 제2 버튼은,
    탄성 소자를 이용한 기계적 방식 또는 터치 스크린 상에 전자식으로 구현되는 점자 입출력 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매핑된 점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자 입출력 방법.
KR1020140168269A 2014-11-28 2014-11-28 점자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 KR101610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269A KR101610714B1 (ko) 2014-11-28 2014-11-28 점자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269A KR101610714B1 (ko) 2014-11-28 2014-11-28 점자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714B1 true KR101610714B1 (ko) 2016-04-08

Family

ID=5590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269A KR101610714B1 (ko) 2014-11-28 2014-11-28 점자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184B1 (ko) 2016-12-28 2018-04-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점자시스템 및 터치스크린 기반 진동점자 구현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8762A (ja) 2012-02-15 2013-08-29 Panasonic Corp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入力方法
KR101305235B1 (ko) 2012-10-18 2013-09-17 박동현 점자 지원 기능이 구비된 터치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8762A (ja) 2012-02-15 2013-08-29 Panasonic Corp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入力方法
KR101305235B1 (ko) 2012-10-18 2013-09-17 박동현 점자 지원 기능이 구비된 터치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184B1 (ko) 2016-12-28 2018-04-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점자시스템 및 터치스크린 기반 진동점자 구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98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building virtual keyboard
US82177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touch text input
CN106959814A (zh) 一种虚拟键盘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
EP3190482A1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KR101305235B1 (ko) 점자 지원 기능이 구비된 터치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247237A1 (en) Finger Expressions for Touch Screens
Watanabe et al. Advantages and Drawbacks of Smartphones and Tablet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Analysis of ICT User Survey Results——
CN106105251B (zh) 用户终端设备、电子设备、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00003831A (ko) 중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1554256B1 (ko) 햅틱 패턴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문자 표시 방법, 이 방법이 적용된 터치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067552A1 (en) Input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finger touch interface
KR20150022089A (ko)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시각장애인용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00039650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
KR101610714B1 (ko) 점자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입출력 방법
JP2012156607A (ja) 視覚障がい者向け携帯端末装置
CN107437015A (zh) 用于电子设备上的物体的方向感测的系统和方法
KR101485679B1 (ko)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JP2016004405A (ja) 情報入力用プレート、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入力システム
Nasser et al. Fingertalkie: Designing a low-cost finger-worn device for interactive audio labeling of tactile diagrams
JP5652871B2 (ja) 点字式墨字入力方法、点字式墨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点字式墨字入力装置
Palani Making graphical information accessible without vision using touch-based devices
KR101568716B1 (ko)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Yang et al. TapSix: A Palm-Worn Glove with a Low-Cost Camera Sensor that Turns a Tactile Surface into a Six-Key Chorded Keyboard by Detection Finger Taps
KR20100027195A (ko)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0662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