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089A -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시각장애인용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시각장애인용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2089A KR20150022089A KR20130099397A KR20130099397A KR20150022089A KR 20150022089 A KR20150022089 A KR 20150022089A KR 20130099397 A KR20130099397 A KR 20130099397A KR 20130099397 A KR20130099397 A KR 20130099397A KR 20150022089 A KR20150022089 A KR 201500220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ion
- flipping
- touch screen
- mobile device
- smart mobi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서 시각장애인용 한글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글 입력 방법은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에서 발생한 모션(motion)을 인식하는 과정과, 여섯 종류의 결정모션을 통해 대응하는 상기 모션과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과정과, 데이터베이스를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한글 입력 방법은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에서 발생한 모션(motion)을 인식하는 과정과, 여섯 종류의 결정모션을 통해 대응하는 상기 모션과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과정과, 데이터베이스를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장치 및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기존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 전면 터치스크린을 채택한 장치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태핑(tapping) 또는 플리핑(flipping) 등의 모션을 감지하여 정보를 입력받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에 따를 경우, 터치스크린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에게는 어떠한 개체가 선택되고 입력되는지 알 수 없어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통한 문자입력에 제한이 있다. 특히 개체의 크기가 작을 경우 입력의 제한이 더욱 크다.
이러한 경우, 선택된 개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TTS; text to speech)을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음성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매번 음성신호를 듣고 판단하기 번거롭고 주변 환경의 제약이 따른다.
배경기술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발명의 명칭), 2011-0056099(출원번호), 2011.06.10(공개일자)
배경기술 : 시각 장애인용 휴대폰(발명의 명칭), 2010-0103237(출원번호), 2010.10.22(공개일자)
배경기술 : 시각 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기기 및 그 동작 방법(발명의 명칭), 2011-0067990(출원번호),2011.07.08(공개일자)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경우 화면에 표시된 개체를 터치하여 입력받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화면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음성으로 정보를 입력하거나 특수한 물리적 장치를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개시된 기술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장치 및 문자입력의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기술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화면상에서 실행되는 기준페이지의 기준개체를 결정하고, 상기 기준 페이지의 상기 기준개체에 포커스를 위치시키는 동작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저장장치(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메모리)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읽고 UI(User Interface)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로부터 가해지는 모션의 종류 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한 상기모션의 종류 또는 위치에 따른 UI변형 또는 햅틱(Haptic)반응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션의 의미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모션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결정모션과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메인메모리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데이터를 터치스크린 그리고 외장 음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 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해야 한다거나 다음 효과만을 표현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도 스마트 모바일기기를 통한 정확한 한글 입력이 가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종래기술인 선택된 개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과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은 시각장애인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 사용에 있어서 익숙한 점자체계를 채택하여 접근성이 향상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평면식 터치스크린에서 진동방법을 통해 중심점을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은 개체 선택이 아닌 간단한 모션을 사용하여 시각적 효과가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햅틱(haptic)반응 방법을 채택하여 촉각을 자극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초기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기존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초기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UI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모션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문자의 완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초기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기존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초기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UI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모션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문자의 완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에서 시각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손쉽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점자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안을 제안한다. 상기 점자는 맹인용 문자로써, 지면에 돌기한 점을 일정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손가락으로 만져서 맹인이 스스로 읽고 쓸 수 있도록 만든 것을 말한다. 작은 6개의 점(종으로 3점, 횡으로 2점)으로 구성되어있다.
점자의 입력은 다수의 탭핑(tapping)패턴들을 정의하고, 각 패턴에 각 점의 위치를 대응시킨다. 또한 모션의 입력은 다수의 플리핑(flipping)패턴들을 정의하고 각 패턴에 따른 모션을 대응시킨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술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점자 입력은 하나의 글자를 표현하는 6개의 점들을 단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6개의 점들을 식별하기 위한 태핑(tapping)이 필요하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는 도 4와 같은 기본 UI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모션에 의해 입력되며 상기 모션에 따라 정보의 차이를 둔다. 또한 기본 UI의 형태 상 점자체계의 개체와 대응되므로 시각장애인의 편의를 도모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는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1) 블록 그리고 (S2) 블록에서 터치스크린 상에서 기준페이지의 기준개체를 결정하고 기준페이지의 기준개체에 포커스를 위치시키는 동작신호를 결정한다. 이 실시 예 단계는 도 3을 참조함으로써 상세히 보인다.
도 3에서 터치 스크린 상에서 기준 개체에 포커스를 위치시키게 되면 도 1에서 다음 (S3)블록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S3) 블록에서는 (S2) 블록인 기준 개체에 포커스를 위치시키는 상기 동작신호가 결정되었으므로 저장장치로부터 UI 정보를 읽어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한다. 이 실시 예 단계는 도 4를 참조함으로써 상세히 보인다.
도 4는 본 출원의 UI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 분할된 화면(버튼)은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에서 (S1) 블록, (S2) 블록, (S3)블록을 차례대로 진행을 한 경우 (S4)블록으로 진행을 한다. (S4) 블록에서는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를 통해 모션을 감지한다. 모션의 종류에는 태핑(tapping), 밀기(flipping) 등이 있다.
한 번 이상 태핑(tapping)이 일어나며 (S5)블록이 진행될 경우에는 결정모션의 종류인 밀기(flipping)가 일어날 때까지 (S5)블록을 반복하게 된다.
(S5) 블록은 모션의 종류에 따라 순서도의 변화가 나타나며 실시 예에서는 옳은 예로 계속 진행한다. 이 실시 예 단계는 도 5를 참조함으로써 상세히 보인다.
도 1에서 (S4)의 블록까지 진행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터치 스크린 상에서는 도 4와 같은 UI가 출력이 되며 도 2와 같은 분할 구성을 갖는다.) '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 2에서 202단계를 태핑(tapping)한다. 도 5와 같이 점자체계에서 'ㄱ'에 해당하는 부분을 태핑(tapping)을 한다.
태핑(tapping)이 끝난 후 (S6)블록에서는 입력된 상기 모션에 대한 결정 모션을 감지한다. 도 6과 같은 밀기(flipping)를 실시하였을 경우 도 1의 (S6)블록에 의해 띄어쓰기 또는 문자 입력을 완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 예에서는 옳은 예로 진행하여 문자 입력 단계를 완료하여 'ㄱ'이라는 글자가 상단 화면부에 출력이 된다. 이 실시 예 단계는 도 6 그리고 도 7을 참조함으로써 상세히 보인다.
도 1의 (S7) 블록에서는 상기 결정 모션에 따라 다음 알고리즘 (종료)이 실행된다.
Claims (10)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서 점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a)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화면상에서 실행되는 기준페이지의 기준개체를 결정하고, 상기 기준 페이지의 상기 기준개체에 포커스를 위치시키는 동작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저장장치(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메모리)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읽고 UI(User Interface)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로부터 가해지는 모션의 종류 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d) 감지한 상기모션의 종류 또는 위치에 따른 UI변형 또는 햅틱(Haptic)반응을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모션의 의미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모션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
(f) 상기 결정모션과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메인메모리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g) 검색된 상기 데이터를 터치스크린 그리고 외장 음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 동작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은, 터치스크린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태핑(tapping)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연속된 밀기 동작 플리핑(flipp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태핑(tapping) 모션은,
6점식 점자 체계를 본따 2열 3행으로 여섯 분할된 각 버튼(201~206)을 한 번 태핑(tapping)하여 해당 점의 입력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핑(flipping) 모션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의 플리핑(flipping)으로 정의되며, 점자체계에서의 약어를 사용하기 위한 기능을 지정하는 제 1 모션(604),
시계방향을 따라 원 모양으로 회전하는 플리핑(flipping)으로 정의되며, 입력된 모든 문자를 읽어주는(TTS; text to speech) 기능을 지정하는 제 2 모션(605),
반시계방향을 따라 원 모양으로 회전하는 플리핑(flipping)으로 정의되며, 중심점 찾기 기능을 지정하는 제 3모션(606),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플리핑(flipping)으로 정의되며, 띄어쓰기 또는 문자 입력의 완료를 결정하는 제 4 모션(601),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플리핑(flipping)으로 정의되며, 삭제(backspace)기능을 결정하는 제 5 모션(602),
위쪽에서 아래쪽으로의 플리핑(flipping)으로 정의되며, 문장 입력의 완료(enter)를 결정하는 제 6 모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6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d) 단계는 (c) 단계의 피드백으로 발생하는 진동(vibration) 햅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점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
(a)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화면상에서 실행되는 기준페이지의 기준개체를 결정하고, 상기 기준 페이지의 상기 기준개체에 포커스를 위치시키는 동작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저장장치(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메모리)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읽고 UI(User Interface)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로부터 가해지는 모션의 종류 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d) 감지한 상기모션의 종류 또는 위치에 따른 UI변형 또는 햅틱(Haptic)반응을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모션의 의미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모션의 종류를 감지하는 단계;
(f) 상기 결정모션과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메인메모리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g) 검색된 상기 데이터를 터치스크린 그리고 외장 음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은, 터치스크린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태핑(tapping)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연속된 밀기 동작 플리핑(flipp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태핑(tapping) 모션은,
6점식 점자 체계를 본따 2열 3행으로 여섯 분할된 각 버튼(201~206)을 한 번 태핑(tapping)하여 해당 점의 입력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핑(flipping) 모션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의 플리핑(flipping)으로 정의되며, 점자체계에서의 약어를 사용하기 위한 기능을 지정하는 제 1 모션(604),
시계방향을 따라 원 모양으로 회전하는 플리핑(flipping)으로 정의되며, 입력된 모든 문자를 읽어주는(TTS; text to speech) 기능을 지정하는 제 2 모션(605),
반시계방향을 따라 원 모양으로 회전하는 플리핑(flipping)으로 정의되며, 중심점 찾기 기능을 지정하는 제 3모션(606),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플리핑(flipping)으로 정의되며, 띄어쓰기 또는 문자 입력의 완료를 결정하는 제 4 모션(601),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플리핑(flipping)으로 정의되며, 삭제(backspace)기능을 결정하는 제 5 모션(602),
위쪽에서 아래쪽으로의 플리핑(flipping)으로 정의되며, 문장 입력의 완료(enter)를 결정하는 제 6 모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6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d) 단계는 (c) 단계의 피드백으로 발생하는 진동(vibration) 햅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9397A KR20150022089A (ko) | 2013-08-22 | 2013-08-22 |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시각장애인용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US14/466,230 US20150154003A1 (en) | 2013-08-22 | 2014-08-22 | Braille implementation in touch sensitiv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9397A KR20150022089A (ko) | 2013-08-22 | 2013-08-22 |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시각장애인용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2089A true KR20150022089A (ko) | 2015-03-04 |
Family
ID=5302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99397A KR20150022089A (ko) | 2013-08-22 | 2013-08-22 |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시각장애인용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154003A1 (ko) |
KR (1) | KR2015002208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8194B1 (ko) * | 2017-03-23 | 2018-09-12 | 최한솔 | 점자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장치의 동작 방법 |
CN112041899A (zh) * | 2018-02-16 | 2020-12-04 | 世界线公司 | 用于识别用户的设备和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84448B2 (en) * | 2014-02-11 | 2017-06-20 | Sumit Dagar | Device input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impaired users |
RU2703101C2 (ru) * | 2018-08-07 | 2019-10-15 | Альберт Фаридович Гайнутдинов | Тактильный дисплей с объединенными компонентами |
WO2020240578A1 (en) * | 2019-05-24 | 2020-12-03 | Venkatesa Krishnamoorthy |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text on a keyboard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17787B2 (en) * | 2009-07-14 | 2012-07-10 |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touch text input |
US20110020771A1 (en) * | 2009-07-23 | 2011-01-27 | Rea Ryan M | Electronic braille typing interface |
US20130316312A1 (en) * | 2012-05-22 | 2013-11-28 | Joy Qiu Jin | Apparatus for Displaying Braille on an Attachable Device and Method Thereof |
-
2013
- 2013-08-22 KR KR20130099397A patent/KR20150022089A/ko unknown
-
2014
- 2014-08-22 US US14/466,230 patent/US20150154003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8194B1 (ko) * | 2017-03-23 | 2018-09-12 | 최한솔 | 점자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장치의 동작 방법 |
CN112041899A (zh) * | 2018-02-16 | 2020-12-04 | 世界线公司 | 用于识别用户的设备和方法 |
CN112041899B (zh) * | 2018-02-16 | 2023-03-10 | 银捷尼科比利时公司 | 用于识别用户的设备和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154003A1 (en) | 2015-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06474B2 (en) | Touch screen finger tracing device | |
KR101323281B1 (ko) |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 |
US20150242120A1 (en) | Data input peripherals and methods | |
Alnfiai et al. | SingleTapBraille: Developing a text entry method based on braille patterns using a single tap | |
CN104704453A (zh) | 在触敏输入面板上使用形状书写来进行文本输入 | |
KR20090025610A (ko)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처리 방법 및 한글 입력장치 | |
KR101474856B1 (ko) | 음성인식을 통해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20150022089A (ko) |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시각장애인용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JPWO2013084560A1 (ja) | 電子文書の表示を行う方法、並びにその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US9760278B2 (en) | Finger expressions for touch screens | |
US20140173522A1 (en) | Novel Character Spec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Uses Remote Selection Menu and Touch Screen Movements | |
KR20150024107A (ko) |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JP6057441B2 (ja) | 携帯装置およびその入力方法 | |
EP2891968B1 (en) | Soft keyboard with keypress markers | |
US20170229039A1 (en) | Abacus calculation type mental arithmetic learning support device, abacus calculation type mental arithmetic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abacus calculation type mental arithmetic learning support method | |
KR102245706B1 (ko) |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EP413977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ntering logograms into an electronic device | |
Robest | “VisionTouch Phone” for the blind | |
US11244138B2 (en) | Hologram-based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 |
US9529530B2 (en) | Electronic device and gesture input method of item selection | |
KR101646688B1 (ko) | 소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키보드 입력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
CN108062921B (zh) | 显示装置、显示系统、显示方法以及记录介质 | |
US20150347004A1 (en) | Indic language keyboard interface | |
JP6391064B2 (ja) | 音声出力処理装置、音声出力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音声出力処理方法 | |
KR101821125B1 (ko) | 터치앤드래그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