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107A -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107A
KR20150024107A KR20130101142A KR20130101142A KR20150024107A KR 20150024107 A KR20150024107 A KR 20150024107A KR 20130101142 A KR20130101142 A KR 20130101142A KR 20130101142 A KR20130101142 A KR 20130101142A KR 20150024107 A KR20150024107 A KR 20150024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electronic device
axis
handwritten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우
김송근
이재호
정혜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4107A/ko
Publication of KR2015002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필기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의 기준 선(base line)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한 상기 기준 선이 소정의 축에 대응하도록 상기 객체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술한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동일 또는 유사한 범위에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ALIGNING INPUT OBJECT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기울어진 상태로 입력된 객체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데이터 입력 장치의 하나로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장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 장치는 표시부에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정보 또는 터치 스크린의 일정 영역을 터치 또는 호버링하는 제스처를 통해 제스처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의 기능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터치 스크린에 객체를 입력하고, 입력한 객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한 객체를 전자 장치의 데이터로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한 다양한 정보를 이미지 형태의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고, 입력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다양한 필체로 입력한 객체를, 입력한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로 변환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를 재설정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필기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의 기준 선(base line)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한 상기 기준 선이 소정의 축에 대응하도록 상기 객체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로 생성되며, 상기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는 소정의 개수 이상의 스트로크가 검출되는 경우에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축은, 좌표계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 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는 기호, 철자, 글자, 숫자, 단어, 무늬,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은 상기 기준선을 상기 축에 일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동일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rotation)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 선은,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의 제 1 요소의 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 및 제 2 요소의 상기 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각형 격자는,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에 대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설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계에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를 구성한 각각의 철자 또는 각각의 철자에 대하여 높이 최소점, 높이 최대점, 너비 최소점 및 너비 최대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 선은, 1차원 또는 다차원 함수를 무게 함수(weight function)로 정하고, 상기 축과 수직한 축의 절편이 최소 또는 최대일 때 결정되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사각형 격자의 두 좌표점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선 위의 한 점을 축으로 상기 기준 선에 대응하는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하는 단계는, 호도법(라디안법)으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를 회전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선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된 객체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축과 평행하도록 투영(projection)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선에 대응하는 상기 필기 입력된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에서 결정되는 일정한 점을 상기 축에 대응하여 위치시키도록 상기 객체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필기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필기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의 기준 선(base line)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한 상기 기준 선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설정한 축에 대응하도록 상기 객체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할 수 있고, 상기 객체 검출은 상기 객체 입력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추가적인 스트로크 입력이 없는 경우에 수행하고, 상기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은 상기 기준선을 상기 축에 일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동시에 회전(rotation)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객체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입력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입력된 객체 정보를 처리하는 객체 처리 모듈 및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터치 스크린에 필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의 기준 선(base line)을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기준 선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설정한 축에 대응하도록 상기 객체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로 생성되며,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는 소정의 개수 이상의 스트로크가 검출되는 경우에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좌표계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 축을 상기 소정의 축으로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기호, 철자, 글자, 숫자, 단어, 무늬,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상기 객체로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기준선을 상기 축에 일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동일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rotation)하여 상기 이동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의 제 1 요소의 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 및 제 2 요소의 상기 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을 연결하여 상기 기준 선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에 대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설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계에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를 구성한 각각의 철자 또는 각각의 철자에 대하여 높이 최소점, 높이 최대점, 너비 최소점 및 너비 최대점으로 상기 사각형 격자를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1차원 또는 다차원 함수를 무게 함수(weight function)로 정하고, 상기 축과 수직한 축의 절편이 최소 또는 최대일 때 결정되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사각형 격자의 두 좌표점을 연결하여 상기 기준 선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기준 선 위의 한 점을 축으로 상기 기준 선에 대응하는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호도법(라디안법)으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를 회전하는 방향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기준 선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된 객체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축과 평행하도록 투영(projection)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이동으로 상기 기준 선에 대응하는 상기 필기 입력된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에서 결정되는 일정한 점을 상기 축에 대응하여 위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객체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입력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입력된 객체 정보를 처리하는 객체 처리 모듈 및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요소로 이루어진 상기 객체 입력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추가적인 스트로크 입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입력한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한 상기 입력한 객체의 기준 선(base line)을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기준선이 상기 축에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요소를 동시에 회전(rotati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입력한 객체가 기울어져 있는 경우 해당 객체를 검출하거나 디지털 객체로 변환함에 있어서 오류의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00)에 기울기를 가진 상태로 필기 입력된 객체를 인식함에 있어서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가 전자 장치(1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기준의 기울기를 만족하지 못한 경우 다른 객체로 인식하거나 에러 메시지를 발생하는 등의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혹은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동작과 표시부를 통한 표시 동작을 물리적인 한 화면에서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구성에서 표시부와 입력 장치는 따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표시부를 표현하는 경우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있거나, 입력장치를 표시부로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만 국한되지 않고, 표시부와 입력 장치가 물리적으로 분리 구분되어 있거나, 표시부와 입력 장치 중에서 하나만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터치 스크린으로 표시되는 장치는, 터치 입력 장치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터치 입력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표시부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같이 다양한 표시부를 하나 또는 그 이상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100)는 이동 통신 사용자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C(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TV(smart TV),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C),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 와치(smart watch), HMD(Head Mount Display) 및 MPEG-1 Audio Layer-3 Player(MP3P)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을 포함하고, 주변 장치로는 입출력 처리부(130), 표시부(131), 터치 입력 장치(132), 오디오 처리부(140), 통신 시스템(150) 및 다른 주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2)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22)의 동작으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부(112)에는 전자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정보를 미리 정하여 테이블(table)이나 리스트(list)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117), 통신 제어 프로그램(118)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들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응용 프로그램(119)은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1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에 입력한 객체를 구성하는 철자의 스트로크(stroke)를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은 스트로크를 감지함으로써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한 좌표계 상에서 철자가 위치한 상태를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은 입력한 객체의 기울어진 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입력한 객체가 전자 장치(1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로 입력되었는지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에 입력한 객체에 표시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를 통해서 철자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직사각형 격자를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철자에 표시한 직사각형 격자를 통해서 입력한 객체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고, 베이스 라인의 기울기를 재설정함으로써 베이스 라인에 대응하는 객체의 기울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이 처리하는 객체는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된 철자, 기호, 숫자, 기하학적 무늬, 기하학적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117)은 미디어 처리 프로그램(116)을 통해 미디어 데이터 리코딩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소리를 입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117)은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하는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하는 제스처를 시간 순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 또는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제어 프로그램(118)은 통신 시스템(150)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제어 프로그램(118)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다른 전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만일, 통신 연결을 위한 다른 전자 장치가 검색된 경우, 통신 제어 프로그램(118)은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위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통신 제어 프로그램(118)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와의 성능 검색 및 세션 성립 절차를 수행하여 통신 시스템(150)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예: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메모리(1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10)는 용도에 따라서 프로그램 저장부(111)만의 기능을 할 수도 있고 데이터 저장부(112)만의 기능을 할 수도 있으며, 두 가지 모두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의 특성상 메모리(110) 내부의 물리적 영역 구분이 명확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1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할 수도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21)는 프로세서(1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110)로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21)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입출력 처리부(130)을 통해 표시부(131)로 전자 장치의 UI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터치 입력 장치(132)가 전자 장치(100) 외부로부터의 명령을 입력받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출력 처리부(130)는 표시부(131) 및 터치 입력 장치(132)와 같은 입출력 장치(133)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31)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외부에서 입력하는 객체, 동화상 이미지 또는 정화상 이미지의 화상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서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132)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처리부(13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 장치(132)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서 제어 버튼만으로 구성되거나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 장치(132)는 입출력이 한 화면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표시부(131)에 함께 입출력 장치(133)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출력 장치(133)에 사용되는 터치 입력 장치(132)는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압력 감지)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초음파 방식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 장치(132)의 입력 방식은 상기 직접 터치 스크린(133)을 직접 터치하여 입력하는 방식 외에도 입력하는 입력 수단이 터치 스크린(133)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되면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 처리하는 방식일 수 있고 호버링(hovering) 터치, 플로팅 터치(floating touch), 간접 터치, 근접 터치 또는 비접촉 입력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33)는 물리적으로 표시부(131) 상에 터치 입력 장치(132)를 한 화면에 결합한 장치로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있어서 표시부(131)에 표시하고 있는 화면 구성을 터치(touch)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일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전자 장치(100)의 UI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부(131)와 외부의 명령을 전자 장치(100)에 입력하는 터치 입력 장치(132)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하 설명에서 표시부(131) 및 터치 입력 장치(132)를 포함하여 터치 스크린(133)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 패널과 펜 터치 패널이 함께 구현된 복합 터치 패널로 구성된 터치 스크린(133)을 도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3)은 복합 터치 패널로 구성된 터치 스크린에 한정하지 않고 펜 터치만이 가능한 펜 터치 패널이 적용된 터치 스크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스피커(141) 및 마이크로폰(142)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50)은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150)은 기지국을 통하는 이동 통신, 유선 통신, 위성 통신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과 연결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적외선 통신(infrared transmission),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통신,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WiFi) 통신, NFC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무선랜 통신 및 유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150)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통신 시스템(150)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이 하나의 통신 시스템 모듈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적외선 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전자 장치(10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서(122)가 제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 모듈(미도시)에 의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에 표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출력은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3)에 동화상, 정화상 또는 GUI 동작을 표시하거나 스피커(141)로 신호음 또는 음성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용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의 의미로 표시 또는 출력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고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따로 설명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을 통해 객체를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확인함에 있어서,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스트로크(stroke)를 확인할 수 있고, 입력한 객체의 스트로크로 구성된 철자 또는 다수 개의 철자로 구성한 객체의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기울기를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3)에서 기준이 되는 기울기로 재설정할 수 있고, 재설정한 객체를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객체라 함은, 텍스트, 기호, 숫자, 패턴 등 기록으로 표시되는 형상을 의미한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는 각 국가의 언어를 포함할 수 있고, 기하학적 무늬, 표식 및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객체는 전자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언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어로 구성될 수 있고, 단어는 철자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철자의 한 예는 영어의 알파벳일 수 있고, 한글과 같이 자음과 모음이 조합되어 음절을 결정하는 언어의 경우 자음 및/또는 모음을 철자로 나타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글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자음 및 적어도 하나의 모음으로 구성된 한 음절을 글자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한글에서 철자 및 글자는 구분해서 표시하지 않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음 및 모음으로 구성되는 한 음절(글자)를 철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철자는 스트로크(stroke)를 통해서 형상화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상측 위치에는 소리를 표출할 수 있는 스피커(141)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의 하측에는 클릭으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 중 하나인 버튼(201)을 포함할 수 있고, 고정된 위치에서 터치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버튼(203 또는 205)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전자 장치(100)의 외부 소리를 입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142)을 전자 장치(100) 외부로 노출되어 소리를 입력할 수 있는 위치에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면부에 표시부(131) 또는 터치 스크린(133)을 포함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의 UI 동작을 표시부(131) 또는 터치 스크린(133)을 통해서 표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을 터치하는 동작을 통해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한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0)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을 포함한 것으로 설명한다.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스피커(141), 마이크로폰(142), 버튼(201) 또는 터치 버튼(203 또는 205) 및 터치 스크린(133)에 대해 도시하지 않더라도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 스피커(141), 버튼(201) 또는 터치 버튼(203 또는 205), 터치 스크린(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임의의 기울기를 가진 상태에서 객체를 필기 입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This is memo', 'Korea', 'Hawaii'로 구성된 객체를 다양한 기울기를 적용하여 터치 스크린(133)에 필기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필기 입력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입력한 객체를 필기 입력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모듈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객체를 검출하여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하는 광학식 객체 판독기(Optical Character Reader, OCR)와 같은 방법을 통해 필기 입력된 객체에서 디지털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지털 객체를 획득함에 있어서, 'Korea' 또는 'Hawaii'와 같이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가 전자 장치(100)에서 검출할 수 있는 기준 기울기를 만족하지 못한 경우, 입력한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를 결정하지 못하거나,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의 기울기를 결정함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133)에 좌표계를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된 좌표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 는 임의의 기울기를 가지고 필기 입력된 객체를 검출함에 있어서 각각의 스트로크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각각의 철자를 입력한 스트로크를 검출할 수 있고, 각각의 철자에 좌표를 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좌표에 따라서 철자를 둘러싼 직사각형 격자를 결정할 수 있고, 각각 직사각형 격자의 기준이 되는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좌표에 따라서 철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철자로 구성된 단어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객체가 입력된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객체의 기울기를 결정함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된 좌표계에서 한 좌표축을 기준으로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한 기울기는 tan(tangent)함수, 또는 actan함수와 같은 삼각함수를 통해 결정한 라디안(radian) 값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라디안 값에 따라서 입력한 객체의 베이스 라인(base line)을 결정할 수 있고, 베이스 라인에 해당하는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철자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한 객체 'Korea'의 각각의 철자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검출한 각각의 철자에서 기준이 되는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좌표를 통해서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가 양(+)의 값을 가지는지 음(-)의 값을 가지는지 결정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를 결정함에 있어서, 각각의 철자에 대한 기준 좌표를 통해서 결정할 수도 있고, 기준 좌표를 통해 구한 베이스 라인을 통해서 결정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는 라디안으로 결정할 수 있고, 'Korea'의 경우 결정한 라디안은 음(-)의 값을 가질 것이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라디안을 양(+)과 음(-)으로 결정함에 있어서, 라디안의 범위를 -파이(π)보다 크고 파이보다 작은 값의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또는 철자의 기울기가 -파이보다 크고 0보다 작은 값의 범위로 결정한 경우 음(-)의 기울기로 결정할 수 있고, 0보다 크고 파이보다 작은 값의 범위로 결정한 경우 양(+)의 기울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Hawaii'의 기울기는 양(+)의 값을 가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기울기를 가진 상태로 입력한 객체를 전자 장치(100)에서 기준이 되는 기울기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에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하지 못한 경우, 객체의 기울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객체의 기울기를 재설정하는 방법은 기울어진 상태로 입력한 객체의 임의의 점을 기준으로 객체를 회전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는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에 대한 기울기를 결정하여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할 때까지 각각의 철자를 임의의 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법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Korea'의 음(-)의 값으로 결정한 기울기가 전자 장치(100)에서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하지 못한 경우, 입력한 객체 'Korea'의 기울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Korea'를 미리 정한 임의의 회전 축(예: 가장 좌측에 위치한 철자 중에서 베이스 라인의 한 점)을 기준으로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할 때까지 또는 0의 라디안을 만족할 대까지 양(+)의 방향(예: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Hawaii'의 음(+)의 값으로 결정한 기울기가 전자 장치(100)에서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하지 못한 경우, 입력한 객체 'Hawaii'의 기울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Hawaii'를 미리 정한 임의의 회전 축(예: 가장 좌측에 위치한 철자 중에서 베이스 라인의 한 점)을 기준으로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할 때까지 또는 0의 라디안을 만족할 대까지 음(-)의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객체 또는 단어의 베이스 라인으로 기울기를 재설정하는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각각 철자의 기준이 되는 점에 대한 기울기를 기준으로 각각의 철자를 회전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검출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하도록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베이스 라인의 기울기가 전자 장치(100)에서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하지 못한 경우 입력한 객체 'Korea'의 각각의 철자에 대해서 터치 스크린(133)의 기준이 되는 좌표 축으로부터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고, 각각의 철자 'K', 'o', 'r', 'e' 및 'a'를 미리 정한 임의의 회전 축(예: 가장 좌측에 위치한 철자 중에서 베이스 라인의 한 점)을 기준으로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할 때까지 또는 0의 라디안을 만족할 대까지 양(+)의 방향(예: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00)에 가상의 좌표계를 설정할 수 있고, 터치 또는 호버링을 통한 제스처의 입력 위치를 가상의 좌표계의 좌표축을 기반으로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되지 않은 가상의 'x 축(311)' 및 가상의 'y축(313)'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c에 표시된 두 개의 'x 축(311)'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좌표를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서 추가된 가상의 'x 축(311)'을 확장해서 나타낸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에 표시된 좌표의 'x 축'은 양(+)의 값을 가지고, 'y 축'은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에 입력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에서 기준이 되는 철자를 결정할 수 있고, 기준이 되는 철자의 주위 일정 영역에 다른 철자가 입력되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Kore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K'를 'Korea'의 기준이 되는 철자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K'의 주위 일정 영역(301)에 다른 철자가 입력되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거리에 따라서 한 단어에 포함된 철자인지 다른 단어에 포함된 철자인지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K'의 주위 일정 영역에서 'o'를 검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o'는 주위 일정 영역에서 'K' 및 'r'을 검출할 수 있고, 'r'은 주위 일정 영역에서 'o' 및 'e'를 검출할 수 있고, 'e'은 주위 일정 영역에서 'r' 및 'a'를 검출할 수 있고, 'a'은 주위 일정 영역에서 'e'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검출한 철자들이 한 단어로 결정할 수 있는 미리 정한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한 단어인 'Korea'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Hawaii'에서 'H'의 주위 일정 영역에서 'a'를 검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a'는 주위 일정 영역에서 'H' 및 'w'을 검출할 수 있고, 'w'은 주위 일정 영역에서 'a' 및 'a'를 검출할 수 있고, 'a'은 주위 일정 영역에서 'w' 및 'i'를 검출할 수 있고, 'i'는 주위 일정 영역에서 'i'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검출한 철자들이 한 단어로 결정할 수 있는 미리 정한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한 단어인 'Hawaii'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This is memo'의 경우 'this'의 's'는 주위 일정 영역에서 'this'의 'i' 및 'is'의 'i'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검출한 'this'의 'i'가 한 단어로 결정할 수 있는 미리 정한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 한 단어인 'this'에 포함된 단어로 결정할 수 있고, 'is'의 'i'가 한 단어로 결정할 수 있는 미리 정한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다른 단어(is)에 포함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한 단어에 포함되는 철자인지 다른 단어에 포함되는 철자인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주위 일정 영역에 위치한 철자의 상대적인 거리를 적용해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하나의 단어, 또는 하나의 기울기(하나의 문장으로 결정할 수 있는 기울기의 범위에 속하는)를 가진 것으로 결정된 두 개 이상의 단어들에서 각각의 철자에 대해서 기준이 되는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기준이 되는 좌표를 통해서 하나의 단어 또는 하나의 기울기를 가진 두 개 이상의 단어들이 입력된 기울기의 특징(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한 객체 'Hawaii'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에서 기준이 되는 좌표점을 결정함에 있어서 입력된 철자 각각의 스트로크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각각의 철자를 입력한 스트로크를 검출할 수 있고, 각각의 철자에 좌표를 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Hawaii'의 'H'에서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한 죄표계에 따라서 'x 축' 최소값 'a' 및 최대값 'b'를 결정할 수 있고, 'y 축' 최소값 'c' 및 최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좌표를 통해서 'H'를 둘러싸는 직사각형(rectangle) 격자(315)를 결정할 수 있고, 철자 'H'의 기준이 되는 좌표점(317)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각각의 나머지 철자에 대한 기준이 되는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소문자 'i' 또는 'j'와 같이 두 부분으로 나누어 입력하는 철자의 경우 기준이 되는 좌표점을 각각의 부분에 대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Hawaii'에서 마지막 입력한 'i'의 경우 두 개의 기준이 되는 좌표점(321 및 322))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좌표에 따라서 철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철자로 구성된 단어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객체가 입력된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Hawaii'의 방향성을 결정함에 있어서, 각각의 철자에 대해서 결정한 좌표점 사이를 잇는 선분의 기울기 또는 기준이 되는 좌표 축으로부터 각각의 결정한 좌표점이 가지는 기울기의 크기가 양(+)수인지 음(-)수인지 여부에 따라서 입력한 객체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좌표점(317) 및 좌표점(319)을 잇는 선분을 통해서 기울기를 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좌표점(317) 및 좌표점(319)을 잇는 선분을 통해서 기울기를 구한 경우 양(+)의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좌표점(322) 및 좌표점(321)을 잇는 선분을 통해서 기울기를 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좌표점(322) 및 좌표점(321)을 잇는 선분을 통해서 기울기를 구한 경우 음(-)의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결정한 좌표점 사이를 잇는 선분의 기울기가 양(+)인 값의 수 및 음(-)인 값의 수를 결정할 수 있고, 양(+)인 값의 수가 음(-)인 값의 수보다 많으면 점점 위로 올려가며 입력한 객체, 양(+)인 값의 수가 음(-)인 값의 수보다 적으면 점점 아래로 내려가며 입력한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기준이 되는 좌표 축에서 각각의 결정한 좌표점이 가지는 기울기에 따라서 입력한 객체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Hawaii'에서 최초 입력한 철자 'H'의 기준이 되는 좌표점(317)을 회전 축으로 두 번째 입력한 철자 'a'의 기준이 되는 좌표점(319)이 'y 축'에서 더 큰 값을 가진 경우 점점 위로 올려가며 입력한 객체로 결정할 수 있고, 'y 축'에서 더 작은 값을 가진 경우 점점 위로 내려가며 입력한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Hawaii'에서 최초 입력한 철자 'H'의 기준이 되는 좌표점(317)을 회전 축으로 마지막 입력한 철자 'i'의 기준이 되는 좌표점(322 또는 321)이 'y 축'에서 더 큰 값을 가진 경우 점점 위로 올려가며 입력한 객체로 결정할 수 있고, 'y 축'에서 더 작은 값을 가진 경우 점점 위로 내려가며 입력한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른 실시 예는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입력하는 객체에 적용할 수 있고,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입력하는 객체의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기준이 되는 회전 축을 최초 입력한 철자로 결정함으로써 객체가 입력된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울기를 결정하거나 입력한 철자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tan(tangent)함수, 또는 actan함수와 같은 삼각함수를 통해 라디안(radian)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좌표를 통해서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가 양(+)의 값을 가지는지 음(-)의 값을 가지는지 결정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를 결정함에 있어서, 각각의 철자에 대한 기준 좌표를 통해서 결정할 수도 있고, 기준 좌표를 통해 구한 베이스 라인을 통해서 결정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는 라디안으로 결정할 수 있고, 'Hawaii'의 경우 결정한 라디안은 양(+)의 값을 가질 것이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라디안을 양(+)과 음(-)으로 결정함에 있어서, 라디안의 범위를 -파이(π)보다 크고 파이보다 작은 값의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또는 철자의 기울기가 -파이보다 크고 0보다 작은 값의 범위로 결정한 경우 음(-)의 기울기로 결정할 수 있고, 0보다 크고 파이보다 작은 값의 범위로 결정한 경우 양(+)의 기울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입력한 철자를 회전하기 위한 베이스 라인(base line)을 결정할 수 있고, 베이스 라인에 해당하는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철자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고 부호가 반대인 상수로 구성된 1차 함수 또는 다차원 함수를 통해서 'y 축'에 대한 절편을 최소 또는 최대로 하는 입력한 객체의 'x 축' 좌표 및 'y 축'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함수의 수학식은,
Figure pat00001
과 같은 일차 함수일 수 있다.
- 'a'는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고 부호가 반대인 상수일 수 있고, 한 실시 예에 따르면, '1/2' 및 '-1/2'일 수 있다.
- (x, y) 좌표는 'y 축'에 대한 절편 'h'를 최소로 가지는 입력된 철자의 직사각형 격자 위의 한 점을 나타내는 좌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가 'Hawaii'와 같이 양(+)의 라디안을 가진 경우 상수 'a'가 양(+)수인 경우 'y 축'에 대한 절편 'h'를 최소로 가지는 (x, y) 좌표 및 상수 'a'가 음(-)수인 경우 'y 축'에 대한 절편 'h'를 최소로 가지는 (x, y)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수 'a'가 양(+)수인 경우 또는 상수 'a'가 음(-)수인 경우 'y 축'에 대한 절편 'h'가 최소인 값을 만족하는 둘 이상의 좌표를 가진 경우, 전자 장치(100)는 더 작은 'y' 값을 가지는 좌표를 'h'를 최소로 가지는 좌표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a'가 음(-)수인 경우, 입력한 객체 'Hawaii'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에 대한 직사각형 격자 위의 좌표들 중에서 'h'를 최소로 가지는 좌표점(a, c)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a'가 양(+)수인 경우, 입력한 객체 'Hawaii'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에 대한 직사각형 격자 위의 좌표들 중에서 'h'를 최소로 가지는 좌표점(e, f)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h'를 최소로 가지는 (x, y) 좌표를 결정함에 있어서, 입력된 객체의 각각의 철자에서 결정한 기준 좌표들 중에서 'h'를 최소로 가지는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입력한 객체 'Hawaii'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입력된 객체의 각각의 철자에서 결정한 기준 좌표들 중에서 'h'를 최소로 가지는 좌표를 좌표점(317) 및 좌표점(321)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3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e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회전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100)에서 결정한 일정한 좌표를 기준으로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3d를 참조하여 결정한 기준 좌표들을 통해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입력한 객체 'Hawaii'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의 각각의 철자에서 결정한 기준 좌표들 중에서 'h'를 최소로 가지는 좌표를 좌표점(317) 및 좌표점(321)으로 결정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 결정한 좌표점을 연결하여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베이스 라인의 한 점을 회전축으로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회전 축에 따라서 입력한 철자 'Hawaii'를 회전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Hawaii'에서 처음 입력한 철자 'H'의 기준 좌표가 되는 좌표점(317)을 회전 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양(+)의 값으로 결정한 베이스 라인의 기울기가 전자 장치(100)에서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하지 못한 경우, 입력한 객체 'Hawaii'의 기울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Hawaii'를 미리 정한 임의의 회전 축(예: 가장 좌측에 위치한 철자 중에서 베이스 라인의 한 점)을 기준으로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할 때까지 또는 0의 라디안을 만족할 대까지 음(-)의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객체 또는 단어의 베이스 라인으로 기울기를 재설정하는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각각 철자의 기준이 되는 점에 대한 기울기를 기준으로 각각의 철자를 회전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검출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하도록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베이스 라인의 기울기가 전자 장치(100)에서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하지 못한 경우 입력한 객체 'Hawaii'의 각각의 철자에 대해서 터치 스크린(133)의 기준이 되는 좌표 축으로부터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고, 각각의 철자 'H', 'a', 'w', 'a', 'i', 'i'를 미리 정한 임의의 회전 축(317)을 기준으로 기준이 되는 기울기를 만족할 때까지 또는 0의 라디안을 만족할 대까지 음(-)의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를 도 3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회전 축에 따라서 베이스 라인 또는 입력한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를 회전하는 방법으로 객체의 기울기를 재설정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 'T(361)', 'u(363)', 'r(365)', 'k(367)', 'e(369)', 'y(371)'에서 결정한 기준 좌표점의 'y 축' 값이 각각 다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철자 'T(361)', 'u(363)', 'r(365)', 'k(367)', 'e(369)', 'y(371)'의 기준 좌표점의 'y 축' 값을 일정한 값으로 재설정함으로써 입력한 객체 'Turkey'의 기울기를 재설정할 수도 있다.
도 3f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Turkey'에서 각각의 철자에 대하여 스트로크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검출한 스트로크를 통해서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된 좌표계에 대응하여 각각 철자의 높이를 나타내는 'y 축'의 최소점 및 최대점, 너비를 나타내는 'x 축'의 최소점 및 최대점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철자 중에서 기준이 될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철자 'T'의 'y 축'의 최소점을 기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T'의 'y 축'의 최소점을 지나고 'x 축'과 평행한 선을 베이스 라인(381)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Turkey'를 구성하는 각각 철자의 'y 축'의 최소점을 베이스 라인(381)과 일치하도록 '-y 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f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Turkey' 각각의 철자에 대한 최소값을 베이스 라인(381)과 일치하도록 이동할 수 있고, 기울기를 가진 상태로 입력한 객체 'Turkey'를 전자 장치(100)는 일정한 기울기를 가진 객체로 재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하는 객체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한 객체를 구성하는 철자를 기준으로 미리 정한 기준 거리 내에 인접한 철자를 단어를 구성하는 객체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객체 그룹에서 각각의 철자별로 기준이 되는 좌표점을 결정할 수 있고, 기준이 되는 좌표점을 통해서 객체 그룹이 양(+)의 기울기(예: 라디안)를 가지는지 음(-)의 기울기를 가지는지 결정할 수 있고, 기준이 되는 좌표점을 통해서 입력한 객체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고, 객체 그룹의 한 점을 객체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 축으로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회전 축을 기준으로 입력한 객체의 베이스 라인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동작(401)에서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하는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한 객체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한 객체가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검출한 객체를 광학식 객체 판독기(Optical Character Reader, OCR)와 같은 모듈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디지털 객체로 결정하기 위해서 입력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동작(403)에서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객체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각각의 철자 단위로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검출한 철자의 일정 영역 내에 다른 철자가 위치한 경우 하나의 단어 둘 이상의 연결된 단어를 이루는 객체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this is memo'에서 'this'는 동일한 단어를 이루는 객체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고, 'this is'는 동일한 단어는 아니지만, 연결된 객체를 이루는 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객체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405)에서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에서 기준이 되는 좌표점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철자에 대해서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한 좌표계에 대응하는 'x 축' 최소값 및 최대값, 'y 축' 최소값 및 최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 입력한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에 대한 직사각형(rectangle) 격자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철자에 결정한 직사각형 격자에서 'y 축' 최소점 및 각각의 철자에 결정한 직사각형 격자의 'x 축' 최소점과 최대점의 중점의 교점을 각각의 철자에 대한 기준 좌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는 각각의 철자에서 기준이 되는 좌표점을 결정함에 이어서, 상술한 좌표점을 결정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좌표점을 결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정하여 기준이 되는 좌표점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철자에 결정한 직사각형 격자에서 'y 축' 최대점 및 각각의 철자에 결정한 직사각형 격자의 'x 축' 최소점 과 최대점의 중점의 교점을 각각의 철자에 대한 기준 좌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철자에 결정한 직사각형 격자에서 'y 축' 최소점과 최대점의 중점 및 각각의 철자에 결정한 직사각형 격자의 'x 축' 최소점과 최대점의 중점의 교점을 각각의 철자에 대한 기준 좌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철자에 결정한 직사각형 격자에서 'y 축' 최소점 및 각각의 철자에 결정한 직사각형 격자의 'x 축' 최소점의 교점과 같이 직사각형 격자의 네 꼭짓점 중에서 하나의 꼭짓점을 각각의 철자에 대한 기준 좌표점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동작(409)에서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에서 결정한 기준 좌표점을 통해서 입력한 객체가 기울어진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한 2차원 'xy 축' 좌표 평면에서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는 함수를 통해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tan를 이용한 함수 또는 actan를 이용한 함수를 통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각각의 철자에 대한 기준 좌표점으로 철자 또는 객체의 기울기 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기울기는 양(+)의 값 또는 음(-)의 값을 가지는 라디안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4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각각의 철자에서 결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준 좌표점을 통해서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미리 정한 상수 'a'값을 기울기로 가지는 1차원 함수에서 상수 'a'의 값은 같고 부호만 다른 2개의 함수를 적용하여 'y 축'에 대한 절편 'h'가 최소가 되는 두 개의 좌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두 개의 좌표점 사이를 잇는 선분을 입력한 객체의 베이스 라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두 개의 좌표점 중에서 한 점을 정하여 객체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 축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베이스 라인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두 점에서 'x 축' 또는 ‘y 축’ 값이 작은 좌표점을 객체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 축으로 결정할 수 있고, 'x 축' 또는 ‘y 축’ 값이 큰 좌표점을 객체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 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표시한 객체를 회전하기 위한 좌표축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술한 베이스 라인을 결정하는 두 점 중에서 한 점으로 결정하는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상술한 베이스 라인의 기준이 되는 두 점 중에서 한 점을 회전 축으로 결정할 수 있고, 베이스 라인상의 임의의 한 점을 회전 축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한 점의 ‘y 축’ 좌표(예: 터치 스크린 상에 객체를 표시하는 ‘y 축’ 위치)를 유지하면서 객체를 회전할 수 있다.
동작(415)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가 전자 장치(1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기울기를 만족할 때까지 결정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에서 기울어진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기울기의 라디안으로 결정할 수 있는 최대값이 양(+) 또는 음(-)의 1/2π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양(+) 또는 음(-)의 1/2π를 넘어가는 기울기로 입력된 객체는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베이스 라인의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한 베이스 라인의 기울기가 양(+) 또는 음(-)의 1/2π보다 큰 경우 결정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베이스 라인의 기울기가 양(+) 또는 음(-)의 1/2π 내의 값을 가질 때까지 또는 0(라디안) 값을 가질 때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동작(415)을 수행하면 도 4의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된 좌표계의 한 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입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객체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한 객체의 기준 선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기준 선을 터치 스크린의 한 축에 대응하도록 객체를 이동할 수 있다.
동작(501)에서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한 객체를 검출함에 있어서, 객체를 구성하는 철자의 스트로크를 기반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503)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점을 기준으로 객체를 구성하는 철자의 터치 스크린(133)에서 설정한 좌표계에 대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직사각형 격자를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직사각형 격자를 참고하여, 입력된 객체의 기울어진 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입력한 객체의 베이스 라인(기준 선)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505)에서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베이스 라인을 기반으로 위치한 객체를 전자 장치(100)에서 철자를 인식할 수 있는 기울기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를 위치 이동하는 방법은, 객체의 한 점 또는 객체 외부의 한 점을 기준으로 객체를 회전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를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한 한 축을 따라서 이동하는 방법일 수 있고 또는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에 표시한 한 점을 전자 장치(100)에서 결정한 베이스 라인과 일치시킴으로써 객체를 이동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울어진 객체의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객체의 기울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기울어진 필기 인식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필기 입력 객체의 스트로크(stroke)를 검출하는 단계, 필기 입력 객체의 스트로크가 일정 점들 (예를 들어, 시작된 점과 끝난 지점 포함하는 다수의 점)을 기준으로 스트로크의 기준선을 추출하는 단계, 입력된 스트로크의 기준선이 전자 장치 스크린의 한 축과 수평화되는 방향으로 회전 및 수직으로 이동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이러한 경우 스트로크의 객체 인식률을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객체는 철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다.
객체의 스트로크의 기준선은, 객체의 좌측 끝 스트로크의 좌측 끝 특정 기준 값과 우측 끝 특정 기준 값을 잇는 선이다. 특정 기준 값은 객체를 구성하는 철자 등을 사각형 격자 안에 포함시킨, 사각형 격자의 일정 점(예를 들어, 끝점)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기준선은 1차 함수 혹은 다차원 함수를 가중(weight) 함수로 지정하여 최고 혹은 최저 가준(weight) 값을 가지는 객체의 양끝 스트로크의 특정 기준 값을 잇는 선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터치 스크린에 필기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필기 입력한 객체의 기준 선(base line)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한 기준 선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설정한 축에 대응하도록 상기 객체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객체 검출은 객체 입력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추가적인 객체 입력이 없는 경우에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2개 이상의 객체고, 이동은 기준선을 상기 축에 일치하도록 2개 이상의 객체를 동시에 회전(rotation)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10)가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통해 수행할 수 있고, 프로세서(122)에 의해서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2)가 제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 모듈을 통해서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100)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100)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전자 장치 133: 터치 스크린
311: x 좌표축(터치 스크린) 313: -y 좌표축(터치 스크린)

Claims (27)

  1.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필기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의 기준 선(base line)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한 상기 기준 선이 소정의 축에 대응하도록 상기 객체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로 생성되며,
    상기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는 소정의 개수 이상의 스트로크가 검출되는 경우에 수행하는 입력된 객체의 검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축은,
    좌표계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 축으로 결정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기호, 철자, 글자, 숫자, 단어, 무늬,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객체의 정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은 상기 기준선을 상기 축에 일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동일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rotati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선은,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의 제 1 요소의 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 및 제 2 요소의 상기 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격자는,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에 대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설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계에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를 구성한 각각의 철자 또는 각각의 철자에 대하여 높이 최소점, 높이 최대점, 너비 최소점 및 너비 최대점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선은,
    1차원 또는 다차원 함수를 무게 함수(weight function)로 정하고, 상기 축과 수직한 축의 절편이 최소 또는 최대일 때 결정되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사각형 격자의 두 좌표점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선 위의 한 점을 축으로 상기 기준 선에 대응하는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는 단계는,
    호도법(라디안법)으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를 회전하는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선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된 객체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축과 평행하도록 투영(projection)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선에 대응하는 상기 필기 입력된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에서 결정되는 일정한 점을 상기 축에 대응하여 위치시키도록 상기 객체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14.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필기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의 기준 선(base line)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한 상기 기준 선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설정한 축에 대응하도록 상기 객체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객체 검출은 상기 객체 입력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추가적인 스트로크 입력이 없는 경우에 수행하고,
    상기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은 상기 기준선을 상기 축에 일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동시에 회전(rotation)하는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15. 전자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객체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입력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입력된 객체 정보를 처리하는 객체 처리 모듈; 및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터치 스크린에 필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의 기준 선(base line)을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기준 선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설정한 축에 대응하도록 상기 객체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로 생성되며,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는 소정의 개수 이상의 스트로크가 검출되는 경우에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좌표계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 축을 상기 소정의 축으로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기호, 철자, 글자, 숫자, 단어, 무늬,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상기 객체로 포함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기준선을 상기 축에 일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동일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rotation)하여 상기 이동 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의 제 1 요소의 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 및 제 2 요소의 상기 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을 연결하여 상기 기준 선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에 대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설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계에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를 구성한 각각의 철자 또는 각각의 철자에 대하여 높이 최소점, 높이 최대점, 너비 최소점 및 너비 최대점으로 상기 사각형 격자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1차원 또는 다차원 함수를 무게 함수(weight function)로 정하고, 상기 축과 수직한 축의 절편이 최소 또는 최대일 때 결정되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직사각형 격자의 두 좌표점을 연결하여 상기 기준 선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기준 선 위의 한 점을 축으로 상기 기준 선에 대응하는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호도법(라디안법)으로 상기 필기 입력한 객체를 회전하는 방향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기준 선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된 객체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축과 평행하도록 투영(projection)하여 상기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이동으로 상기 기준 선에 대응하는 상기 필기 입력된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에서 결정되는 일정한 점을 상기 축에 대응하여 위치시키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7. 전자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객체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입력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입력된 객체 정보를 처리하는 객체 처리 모듈; 및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요소로 이루어진 상기 객체 입력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추가적인 스트로크 입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입력한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한 상기 입력한 객체의 기준 선(base line)을 결정하고, 결정한 상기 기준선이 상기 축에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요소를 동시에 회전(rotation)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20130101142A 2013-08-26 2013-08-26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24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142A KR20150024107A (ko) 2013-08-26 2013-08-26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142A KR20150024107A (ko) 2013-08-26 2013-08-26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107A true KR20150024107A (ko) 2015-03-06

Family

ID=5302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142A KR20150024107A (ko) 2013-08-26 2013-08-26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41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016B1 (ko) * 2015-08-21 2017-01-16 김영수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시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8920A (ko) * 2017-12-11 2019-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필기 입력 장치 및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US11482024B2 (en) 2019-12-10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writing inpu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016B1 (ko) * 2015-08-21 2017-01-16 김영수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시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8920A (ko) * 2017-12-11 2019-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기 입력 장치의 문자 인식 방법, 필기 입력 장치 및 필기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US10614330B2 (en) 2017-12-11 2020-04-07 Hyundai Motor Company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of handwriting input device,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US11482024B2 (en) 2019-12-10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writing inp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4683B2 (en) Arced or slanted soft input panels
US8341558B2 (en) Gesture recognition on computing device correlating input to a template
JP5349645B1 (ja)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文書処理方法
US9019308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9378427B2 (en) Displaying handwritten strokes on a device according to a determined stroke direction matching the present direction of inclination of the device
KR102347554B1 (ko) 디지털 잉크를 뷰티파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9647A (ko) 문자열에 문자를 삽입하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JP5395927B2 (ja)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文書検索方法
CN108701215B (zh) 用于识别多对象结构的系统和方法
KR20160064925A (ko)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277745A1 (en) Computer input using hand drawn symbols
KR20150024107A (ko)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4057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mage data in electronic device
JP5284523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処理方法
US10007420B2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5735126B2 (ja) システムおよび筆跡検索方法
JP6599504B2 (ja) タッチエラー校正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13186720A (ja) 文字列選択装置
JP5330576B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筆跡検索方法
US11216691B2 (en) Input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JP6223687B2 (ja)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文書検索方法
JP6582464B2 (ja) 情報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373664B2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031016A1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72629B2 (ja) 情報処理装置、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文字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