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650A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39650A KR20100039650A KR1020080098700A KR20080098700A KR20100039650A KR 20100039650 A KR20100039650 A KR 20100039650A KR 1020080098700 A KR1020080098700 A KR 1020080098700A KR 20080098700 A KR20080098700 A KR 20080098700A KR 20100039650 A KR20100039650 A KR 201000396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acter
- drag
- input
- drag operation
- detec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은 한글 입력모드 진입시 터치 스크린의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에 대해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된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할당된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도모하는 동시에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 한글, 드래그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기술분야는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 등의 단말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기능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메뉴 키 또는 버튼들도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증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복잡함으로 인해서 단말의 사용자는 신속하게 특정 기능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 또는 설정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사용자의 편리함을 위하여, 물리적인 방식을 벗어난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장치 또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단말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은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과 수기 입력(Handwriting recognition)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이란, 단말에서 일반 키보드와 마우스의 휴대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키보드 형태의 입력창을 띄워서 클릭 동작을 통해 입력을 받는 방식을 말한다. 또한 수기 입력 방식은 사람의 수기(즉, 필 기체)를 인식하여 데이터 코드로 변환시켜 주는 방식이다.
그러나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은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키보드의 작은 버튼을 일일이 눌러야 하기 때문에 입력하는 데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또한 간혹 옆의 버튼을 잘못 누르는 경우가 발생하여 다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나아가 이 방식은 물리적인 방식과 유사한 형태로 터치의 강점을 사용자에게 제대로 제공하지 못한다. 한편, 필기체로서 문자를 입력하는 수기 입력 방식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정확하게 기재하지 않으면 의도되지 않은 문자가 입력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며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은, 한글 입력모드 진입시 터치 스크린의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에 대해 일정한 방향의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드래그 동작의 종결 지점에 할당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은 천(ㆍ), 지(ㅡ), 인(ㅣ) 삼재가 각각 할당된 키들과 하나의 키에 적어도 두 개의 자음이 할당된 키들로 이루어진 형태 또는 기본문자와 상기 기본문자와 유사한 확장문자로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는 방향 변화에 따른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감지된 연속적인 드래그 동작에 기초하여 생성된 문자를 드래그 동작 이전의 문자와 결합 또는 생성된 문자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또는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감지된 연속적인 드래그 동작이 종결되면 하나의 완성된 음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감지된 드래그 동작이 복수의 문자입력영역 중에서 서로 다른 문자입력영역에서 이루어지면, 드래그 동작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문자와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할당되는 문자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감지된 드래그 동작이 복수의 문자입력영역 중에서 동일한 문자입력영역에서 이루어지면, 드래그 동작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음소를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할당되는 음소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는 터치 스크린의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을 포함하는 입력부,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코드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한글 입력모드 진입시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에 대해 일정한 방향의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는 드래그 감지부 및 감지된 드래그 동작의 종결 지점에 할당된 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며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즉,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에 있어서, 종래의 클릭 방식 아닌 드래그 방식의 문자 입력이 가능함에 따라 실제로 글을 쓰는 것처럼 연속적으로 자연스러운 한글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한 번에 한 단어씩 입력이 가능하므로, 한글의 입력 속도가 향상되며 드래그 동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이미 익숙해진 문자입력배열 중 하나인 천지인 형태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새로운 것을 익히는데 요구되는 재교육의 시간 낭비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1)의 구성도이다. 여기서, 한글 입력장치(1)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이다. 단말은 휴대 전화,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DA), MP3 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네비게이션, 전자사전, 전자수첩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의 표면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포함되며, 디스플레이 화면에 터치 센서가 배치된다. 터치센서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손가락 대용의 포인팅 장치의 접촉에 따라 변화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터치 센서, 접촉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 등의 접촉식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 광학센서, 광선차단, 전기장, 열 감지, 소리감지 등을 이용한 비접촉식 터치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1)는 종래의 클릭 방식이 아닌 드래그 방식의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한글 입력모드 진입시 터치 스크린의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에 대해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된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할당된 문자를 입력받는다. 이하 드래그 방식을 이용하는 한글 입력장치(1)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1)는 입력부(10), 메모리부(20), 드래그 감지부(30), 제어부(40) 및 출력부(50)를 포함한다. 입력부(1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받는 수단으로서, 터치 스크린 형태인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은 천(ㆍ), 지(ㅡ), 인(ㅣ) 삼재가 각각 할당된 키들과 하나의 키에 적어도 두 개의 자음이 할당된 키들로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기본문자와 기본문자와 유사한 확장문자로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
천, 지, 인 삼재가 각각 할당된 키들과 하나의 키에 적어도 두 개의 자음이 할당된 키들로 이루어진 문자배열은 휴대 전화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천지인 문자입력배열과 유사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미 익숙해진 문자입력배열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새로운 것을 익히는데 요구되는 재교육의 시간 낭비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드래그 감지부(30)는 한글 입력모드 진입시 입력부(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에 대해 일정한 방향의 드래그 동작을 감지한다. 드래그 동작은 터치 인터페이스의 장점을 최대한으로 이용한 입력 동작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입력 동작 중에서 드래그 동작이 아닌 클릭을 포함한 동 작들은 터치 인터페이스가 아닌 일반적인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마우스에서 입력 동작의 느낌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한 드래그 동작은 일반적인 인터페이스의 그것과 느낌이 다르다. 즉 마우스는 가상의 공간에 드래그를 하는 것이므로 드래그한 위치에 해당되는 값과 실제로 드래그한 거리는 다를 수 있다. 그러나 터치 인터페이스에서의 드래그는 사용자가 드래그한 거리가 터치 스크린에 직접 일 대 일로 맵핑될 수 있다. 따라서 드래그 방식은 현실 기반의 직감적인 방법이며 빠른 문자 입력이 가능한 형태이다.
제어부(40)는 전술한 입력부(10), 메모리부(20), 드래그 감지부(30) 및 출력부(50)의 각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드래그 감지부(30)를 통해 감지된 드래그 동작의 종결 지점에 할당된 문자를 메모리부(2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를 출력부(50)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부(20)는 입력부(10)의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코드값을 저장한다. 한편, 제어부(40)의 드래그 동작에 따른 문자입력 제어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도 3과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한글 입력장치는 천, 지, 인 삼재가 각각 할당된 키들과 하나의 키에 적어도 두 개의 자음이 할당된 키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 지, 인 삼재 키와 (ㄲㄱㅋ), (ㄴㄹ), (ㄸㄷㅌ), (ㅃㅂㅍ), (ㅆㅅㅎ), (ㅉㅈㅊ), (ㅇㅁ)의 자 음 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방식은 천, 지, 인 삼재 키와 (ㄱㅋ), (ㄴㄹ), (ㄷㅌ), (ㅂㅍ), (ㅅㅎ), (ㅈㅊ), (ㅇㅁ)의 자음 키로 구성된 천지인 방식과 유사하다.
이때 한글 입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은 기본문자와 기본문자와 유사한 확장문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ㄲㄱㅋ)는 기본문자인 'ㄱ'과 'ㄱ'의 확장문자인 (ㄲ,ㅋ)이 하나의 문자입력영역에 할당된 경우이다. 여기서 기존의 천지인 배열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미 익숙해진 문자입력배열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며, 새로운 것을 익히는데 요구되는 재교육의 시간 낭비 또는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문자입력영역의 배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동작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즉, 종래의 클릭 방식 아닌 드래그 방식의 문자 입력을 통해 한 번에 한 단어씩의 문자 입력이 가능하므로, 한글의 입력 속도가 향상된다.
예를 들면, 종래의 천지인 방식에 있어서 클릭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받는 경우, "삼성"이라는 단어를 입력받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ㅅ)→(ㅣ)→(ㆍ)→(ㅁ)[(ㅇㅁ)키 두 번 누름]→(ㅅ)→(ㆍ)→(ㅣ)→(ㅇ) 순으로 해당되는 키를 입력받아야만 한다. 이 과정에서 클릭 동작이 9번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드래그 동작을 이용하는 경우,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면 9번의 클릭 동작 없이 단지 연속된 두 번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삼성"이라는 단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러 번의 반복된 클릭 동작 없이 연속된 드 래그 동작만 실시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고 느끼게 되며, 입력 속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의 클릭 방식이 아닌 드래그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는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데, 이 경험은 마치 실제 사물을 옮기는 것과 같은 현실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그것과 일치한다. 즉, 사용자의 손을 포함한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일대일 매핑 방식인 드래그 방식을 통해 직감적이며 실감적인 한글 입력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한글은 각 음소(a phoneme) 하나 하나가 일차원적으로 나열되는 영어, 불어, 독어 및 한자 등과는 다르다. 즉, 각 음소가 초성(the initial consonant of a Korean syllable), 중성(the vowels consonant of a Korean syllable) 및 종성(the initial final of a Korean syllable)으로 구분되어 초성과 중성 또는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져 이차원적으로 배열되면서 하나의 음절(a syllable)을 형성하는 문자체계를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한글 입력모드 진입(S100)시 터치가 감지(S110)되면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할당된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S120). 이는 한글의 초성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삼성"의 'ㅅ'이 이에 해당된다. 이어서 첫 터치에 이어서 일정한 방향의 드래그가 감지(S130)되면 감지된 드래그 동작의 종결 지점에 할당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지는 문자영역에 따라(S140), 감지된 연속적인 드 래그 동작에 기초하여 생성된 문자를 드래그 동작 이전의 문자와 결합하거나 생성된 문자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된 드래그 동작이 복수의 문자입력영역 중에서 서로 다른 문자입력영역에서 이루어지면, 드래그 동작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문자와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할당되는 문자를 결합(S150)하여 디스플레이(S170)한다. 예를 들면, 도 4a를 참조하면 (ㅅ) 영역에서 (ㅣ)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드래그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ㅅ)과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할당된 문자인(ㅣ)가 결합된 형태인 (시)가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비하여 감지된 드래그 동작이 복수의 문자입력영역 중에서 동일한 문자입력영역에서 이루어지면, 드래그 동작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문자(정확히는 음소)를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할당되는 문자(정확히는 음소)로 변환(S160)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70). 여기서 동일한 문자입력영역에서의 문자변환은 좌우 방향의 드래그 감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c를 참조하면, (ㅇㅁ)영역 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드래그 동작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문자('상'의 음소 'ㅇ')를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할당된 문자('삼'의 음소'ㅁ')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 다른 예로 (ㅃㅂㅍ) 영역 내에서 왼쪽 방향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드래그 동작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음소 'ㅂ'을 음소 'ㅃ'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나아가 드래그가 감지되는 문자입력영역이 초성 또는 종성에 해당되는 자음인 경우, 인접한 문자입력영역에서 드래그가 감지되면 이를 무시함에 따라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인접입력영역으로의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 다. 또는 다른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된 경우, 새로운 음절의 시작인 초성으로 간주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문자 결합 또는 변환 방식은 기존의 천지인 방식을 활용하되, 클릭 방식이 아닌 드래그 방식을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시 편리함을 느낄 수 있으며, 동시에 드래그 동작을 통한 문자 입력이라는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연속된 드래그를 감지(S180)하면 전술한 문자 결합 또는 변환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이때 연속된 드래그는 손 또는 손 대용의 포인팅 장치의 터치가 지속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이다. 또한 감지되는 드래그의 방향이 변화됨에 따라 해당 문자를 완성해갈 수 있다. 한편, 연속된 드래그 동작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영역에서 손을 뗀 경우 하나의 완성된 음절을 디스플레이한다(S190). 예를 들면 도 4c를 참조하면 '삼성'의 '삼'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전술한 과정은 1음절을 완성하는 과정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1음절씩 완성해갈 때마다 전술한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삼성'이라는 2음절로 구성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두 번 반복되며, 이 경우 단지 두 번의 연속된 드래그 동작만이 요구된다. 여기서, 특정 문자입력영역에 대한 새로운 클릭 동작이 감지되면 감지된 클릭 동작에 따라 새로운 문자의 초성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 그 외의 다 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연속된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클릭 동작이 감지된 경우 이를 새로운 음절의 입력이라고 간주할 수도 있으나, 특정 음절의 종성 입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다른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된 경우, 새로운 음절의 시작인 초성으로 간주하여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한글을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단말의 문자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삼성'이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 해당된다. 우선 한글 입력모드 진입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성'의 'ㅅ')을 입력받기 위하여 (ㅆㅅㅎ)에 해당되는 문자입력영역에서의 클릭 동작이 감지되면, 이 영역에 할당된 기본문자인 'ㅅ'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ㅆㅅㅎ)에 해당되는 문자입력영역에서 (ㅣ)에 해당되는 문자입력영역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ㅅ'와 'ㅣ'가 결합된 '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으로 (ㅣ) 영역에서 (ㆍ)영역으로의 드래그가 이루어지면 (시)와 (ㆍ)가 결합된 (사)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ㆍ) 영역에서 (ㅇㅁ)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고, (ㅇㅁ)영역 내에서 오른쪽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된 경우 (사)에 'ㅁ'이 결합된 형태인 (삼)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더 이상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지 않으며, 터치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1음절의 문자 입력이 종결되었다 고 판단한다.
이어서, 새로운 터치가 감지된 경우, 이를 새로운 음절의 초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에 이어 새로운 음절의 시작인 '성'의 'ㅅ'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ㅆㅅㅎ) 영역의 터치를 감지한다. 이어서 (ㆍ)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고, 연속적으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ㆍ) 영역에서 (ㅣ)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삼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ㅣ) 영역에서 (ㅇㅁ)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최종적으로 '삼성'이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며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클릭 방식 아닌 드래그 방식의 문자 입력이 가능함에 따라 실제로 글을 쓰는 것처럼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자연스러운 한글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한 번에 한 단어씩 입력이 가능하므로, 한글의 입력 속도가 향상되며 드래그 동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기존의 천지인 형태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미 익숙해진 문자입력배열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새로운 것을 익히는데 요구되는 재교육의 시간 낭비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 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한글을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부 20 : 메모리부
30 : 드래그 감지부 40 : 제어부
50 : 출력부
Claims (15)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한글 입력모드 진입시 상기 터치 스크린의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에 대해 일정한 방향의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상기 감지된 드래그 동작의 종결 지점에 할당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글 입력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은 천(ㆍ), 지(ㅡ), 인(ㅣ) 삼재가 각각 할당된 키들과 하나의 키에 적어도 두 개의 자음이 할당된 키들로 이루어진 형태인 한글 입력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은 기본문자와 상기 기본문자와 유사한 확장문자로 이루어진 형태인 한글 입력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방향 변화에 따른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며,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상기 감지된 연속적인 드래그 동작에 기초하여 생성된 문자를 상기 드래그 동작 이전의 문자와 결합 또는 상기 생성된 문자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한글 입력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또는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상기 감지된 연속적인 드래그 동작이 종결되면 하나의 완성된 음절을 디스플레이하는 한글 입력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상기 감지된 드래그 동작이 상기 복수의 문자입력영역 중에서 서로 다른 문자입력영역에서 이루어지면, 상기 드래그 동작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문자와 상기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할당되는 문자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한글 입력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상기 감지된 드래그 동작이 상기 복수의 문자입력영역 중에서 동일한 문자입력영역에서 이루어지면, 상기 드래그 동작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음소를 상기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할당되는 음소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한글 입력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상기 드래그 동작에 따라 상기 동일한 문자입력영역 내에서 할당된 음소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한글 입력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상기 드래그가 감지되는 문자입력영역이 초성 또는 종성에 해당되는 자음인 경우, 인접한 문자입력영역에서 상기 드래그가 감지되면 이를 무시하는 한글 입력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상기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에 대한 클릭 동작을 감지하며,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상기 감지된 클릭 동작에 따라 새로운 문자의 초성을 디스플레이하는 한글 입력방법.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에 있어서,상기 터치 스크린의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을 포함하는 입력부;상기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의 코드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한글 입력모드 진입시 상기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에 대해 일정한 방향의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는 드래그 감지부; 및상기 감지된 드래그 동작의 종결 지점에 할당된 문자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한글 입력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부의 복수의 문자입력영역은 천(ㆍ), 지(ㅡ), 인(ㅣ) 삼재가 각각 할당된 키들과 하나의 키에 적어도 두 개의 자음이 할당된 키들로 이루어진 형태인 한글 입력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감지부는방향 변화에 따른 일련의 연속적인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며,상기 제어부는상기 감지된 연속적인 드래그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된 문자를 상기 드래그 동작 이전의 문자와 결합 또는 상기 생성된 문자로 변환하는 한글 입력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감지된 드래그 동작이 상기 복수의 문자입력영역 중에서 서로 다른 문자입력영역에서 이루어지면, 상기 드래그 동작 이전에 추출되어 디스플레이된 문자와 상기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할당된 문자를 결합하는 한글 입력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감지된 드래그 동작이 상기 복수의 문자입력영역 중에서 동일한 문자입력영역에서 이루어지면, 상기 드래그 동작 이전에 추출되어 디스플레이된 음소를 상기 드래그 동작에 따라 할당된 음소로 변환하는 한글 입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8700A KR20100039650A (ko) | 2008-10-08 | 2008-10-08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8700A KR20100039650A (ko) | 2008-10-08 | 2008-10-08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9650A true KR20100039650A (ko) | 2010-04-16 |
Family
ID=4221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8700A KR20100039650A (ko) | 2008-10-08 | 2008-10-08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39650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42606A2 (ko) * | 2010-05-13 | 2011-11-17 | (주)아이티버스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
EP2423788A1 (en) * | 2010-08-23 | 2012-02-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Letter input method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
KR101253645B1 (ko) * | 2010-05-13 | 2013-04-11 | (주)아이티버스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
CN103576884A (zh) * | 2012-08-01 | 2014-02-12 |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 可控制多个电脑的输入装置及其控制多个电脑的方法 |
WO2014027798A1 (ko) * | 2012-08-11 | 2014-02-20 | Kil Jae-Su |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CN106325721A (zh) * | 2015-06-18 | 2017-01-11 | 联想移动通信软件(武汉)有限公司 | 一种终端触摸屏感应区域的操作方法、装置及终端 |
-
2008
- 2008-10-08 KR KR1020080098700A patent/KR2010003965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42606A2 (ko) * | 2010-05-13 | 2011-11-17 | (주)아이티버스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
WO2011142606A3 (ko) * | 2010-05-13 | 2012-03-01 | (주)아이티버스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
KR101253645B1 (ko) * | 2010-05-13 | 2013-04-11 | (주)아이티버스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
EP2423788A1 (en) * | 2010-08-23 | 2012-02-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Letter input method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
CN103576884A (zh) * | 2012-08-01 | 2014-02-12 |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 可控制多个电脑的输入装置及其控制多个电脑的方法 |
CN103576884B (zh) * | 2012-08-01 | 2017-05-10 |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 可控制多个电脑的输入装置及其控制多个电脑的方法 |
WO2014027798A1 (ko) * | 2012-08-11 | 2014-02-20 | Kil Jae-Su |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CN106325721A (zh) * | 2015-06-18 | 2017-01-11 | 联想移动通信软件(武汉)有限公司 | 一种终端触摸屏感应区域的操作方法、装置及终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59101B2 (en) |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 |
KR101636705B1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
KR100478020B1 (ko) | 화면표시식키이입력장치 | |
US20060119588A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using a touchpad | |
US20140139440A1 (en) | Touch oper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
JP2006524955A (ja) | タッチスクリーン及び縮小型キーボードのための曖昧でないテキスト入力方法 | |
KR20110018075A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
KR20100039650A (ko)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장치 | |
KR20120097836A (ko) |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 |
JP2009110092A (ja) | 入力処理装置 | |
KR20090115831A (ko) | 다중 접촉 터치패드를 위한 누름 스위치 | |
KR20110058171A (ko) | 터치 키패드를 이용한 가상건반 모델 | |
JP2010257197A (ja) | 入力処理装置 | |
US20090116745A1 (en) | Input processing device | |
JP2012156607A (ja) | 視覚障がい者向け携帯端末装置 | |
KR20110082956A (ko) | 터치스크린의 한글 입력 방법 | |
KR20150001014A (ko) |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
KR100656779B1 (ko) |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 |
KR20120083293A (ko) |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 |
KR20100069089A (ko) |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100506231B1 (ko)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101835674B1 (ko) | 포스 터치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100356037B1 (ko) |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방법 | |
KR20100027195A (ko) |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 |
KR20100067192A (ko) |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