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836A -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836A
KR20120097836A KR1020110017304A KR20110017304A KR20120097836A KR 20120097836 A KR20120097836 A KR 20120097836A KR 1020110017304 A KR1020110017304 A KR 1020110017304A KR 20110017304 A KR20110017304 A KR 20110017304A KR 20120097836 A KR20120097836 A KR 20120097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text
drag
controller
soft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근
민이규
이경구
손병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7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7836A/ko
Priority to US13/188,889 priority patent/US20120218272A1/en
Publication of KR2012009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텍스트 작성 모드 시, 텍스트 작성 화면에 소프트 키들이 타원형으로 배열되는 소프트 키패드를 표시하고, 소프트 키패드에서 소프트 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경유하는 드래그 감지 시, 드래그에 의해 경유된 소프트 키에 할당된 문자로 텍스트를 작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에서 소프트 키들이 타원형으로 배열됨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문자들이 각각 할당된 소프트 키들을 연속하여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XT IN TERMINAL}
본 발명의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단말기는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의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고 유지 관리하는 데에도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의 단말기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대신하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 즉 단말기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 상에 다수개의 문자 키들로 이루어지는 키패드를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를 감지하여 텍스트를 작성한다. 특히 근래에 휴대 단말기가 첨단화됨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사용한 텍스트 작성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문자 키들을 배열하여 키패드를 표시하기 때문에,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키패드 표시 시, 단말기의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키들을 연속하여 터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는 키패드에서 단말기의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키들의 간격이 멀수록 더욱 심각하다. 이로 인하여, 단말기에서 텍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서 텍스트를 용이하게 작성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은, 텍스트 작성 모드 시, 텍스트 작성 화면에 소프트 키들이 타원형으로 배열되는 소프트 키패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소프트 키패드에서 상기 소프트 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경유하는 드래그 감지 시, 상기 드래그에 의해 경유된 소프트 키에 할당된 문자로 텍스트를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소프트 키들을 동심원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의 원들에 분할하여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소프트 키들을 상호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하여, 상기 소프트 키들 사이에 상기 드래그가 통과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상기 소프트 키패드에서 상기 소프트 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감지 시, 상기 선택된 소프트 키에 할당된 문자로 상기 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상기 텍스트 작성 화면에서 상기 드래그의 드롭 발생 시, 상기 경유된 소프트 키에 할당된 문자로 단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 키패드에서 다른 드래그 발생 시, 상기 생성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상기 드래그가 상기 소프트 키패드의 중심 영역을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설정된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장치는, 텍스트 작성 모드 시, 텍스트 작성 화면에 소프트 키들이 타원형으로 배열되는 소프트 키패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소프트 키패드에서 상기 소프트 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경유하는 드래그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과, 상기 드래그에 의해 경유된 소프트 키에 할당된 문자로 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소프트 키들을 동심원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의 원들에 분할하여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소프트 키들을 상호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하여, 상기 소프트 키들 사이에 상기 드래그가 통과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프트 키패드에서 상기 소프트 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감지 시, 상기 선택된 소프트 키에 할당된 문자로 상기 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작성 화면에서 상기 드래그의 드롭 발생 시, 상기 경유된 소프트 키에 할당된 문자로 단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작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가 상기 소프트 키패드의 중심 영역을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설정된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는, 단말기에서 텍스트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즉 단말기에서 소프트 키들이 타원형으로 배열됨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문자들이 각각 할당된 소프트 키들을 연속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편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이용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텍스트 작성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3은 도 2에서 텍스트 작성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서 텍스트 작성 모드 절차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들의 일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2에서 텍스트 작성 모드 절차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들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문자(character)"라는 용어는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의사소통을 위한 시각적인 기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문자는 문자 유형에 따라 분류된다. 즉 문자는 영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숫자, 특수 문자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타원(ellipse)"이라는 용어는 닫힌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도형을 의미한다. 이 때 타원은 원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타원은 다수개의 선분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터치(touch)"라는 용어는 단말기의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상에 손가락을 접촉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드래그(drag)"라는 용어는 단말기의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즉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동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드롭(drop)"이라는 용어는 단말기의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즉 접촉하고 있는 손가락을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떼는 행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키 입력부(120), 터치 스크린(130), 메모리(140), 제어부(150) 및 오디오 처리부(16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키 입력부(120)는 각종 기능 등을 설정하고 실행시키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터치 스크린(130)은 표시부(131)와 터치 패널(133)을 포함한다. 표시부(131)는 단말기(100)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 때 표시부(131)는 LCD 등이 영상 출력 장치로 구현되며, 영상 출력 장치 제어부, 표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영상 표시소자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133)은 표시부(131) 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이러한 터치 패널(133)은 표시부(131)에 장착되며, 터치 감지부(도시되지 않음)와 신호 변환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터치 감지부는 물리량, 예컨대 저항, 정전용량 등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의 발생을 감지한다. 또한 신호 변환부는 물리량의 변화를 터치 신호로 변환한다.
메모리(14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 작성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개의 문자 유형들 각각에 대응하여 각각의 문자들의 할당된 소프트 키패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신호 변환부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패널(133)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드래그, 드롭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 작성 모드에서 텍스트 작성 화면에 소프트 키패드를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들을 타원형으로 배열하여 소프트 키패드를 구성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들을 동심원(concentric circle)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의 타원들에 분할하여 배열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작성 화면에서 드래그 감지 시,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프트 키들에서 드래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들 중 드래그에 의해 경유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텍스트 작성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텍스트 작성 절차는, 제어부(150)가 211단계에서 텍스트 작성 모드에 진입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즉 텍스트 작성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요청이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텍스트 작성 모드에 진입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213단계에서 문자 유형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단말기(100)에서 지원하는 문자 유형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영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숫자, 특수 문자 등의 문자 유형들을 목록으로 나열할 수 있다. 이 후 문자 유형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2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7단계에서 텍스트 작성 모드를 수행한 다음, 텍스트 작성 절차를 종료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문자 유형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까지 문자 유형 선택 화면을 계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텍스트 작성 모드에서 적어도 두 개의 문자들을 조합하여 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에서 텍스트 작성 모드를 수행하는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서 텍스트 작성 모드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서 텍스트 작성 모드 절차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들의 일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들이다. 이 때 본 예에서 문자 유형이 영어에 해당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텍스트 작성 모드 수행 시, 제어부(150)는 311단계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작성 화면(400)을 표시한다. 이 때 텍스트 작성 화면(400)은 텍스트 표시창(410) 및 소프트 키패드(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410)에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411)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421)들을 타원형으로 배열하여 소프트 키패드(420)를 구성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421)들에 특정 문자 유형에 해당하는 문자들을 개별적으로 할당한다. 즉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421)들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여 문자들을 개별적으로 할당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421)들을 동심원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의 타원들에 분할하여 배열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50)는 각각의 타원에서 각각의 소프트 키(421)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의 타원에 내부의 타원 보다 많은 수의 소프트 키(421)들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영어에서 유성음(voiced sound)에 해당하는 문자들, 즉 'a, d, e, g, i, j, l, m, n, o, r, u, v, w, y, z'를 외부의 소프트 키(421)들에 할당하고, 무성음(voiceless sound)에 해당하는 문자들, 즉 'b, c, f, h, k, p, q, s, t, x'를 내부의 소프트 키(421)들에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쿼티(QWERTY) 자판에서 좌측에 배열되는 문자들, 즉 'q, w, e, r, t, y, a, s, d, f, g, h, z, x, c, v, b'를 외부의 소프트 키(421)들에 할당하고, 우측에 배열되는 문자들, 즉 'u, i, o, p, j, k, l, n, m'를 내부의 소프트 키(421)들에 할당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패드(420)의 중심 영역에서 드래그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 감지 영역(423)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각각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부가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가 기능은 띄어쓰기(spacing) 기능, 후진(backspace) 기능 및 현재의 문자 유형으로부터 다른 문자 유형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패드(4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버튼(425)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소프트 버튼(425)에 텍스트 작성을 중단하거나 텍스트 작성을 완료하여 텍스트 작성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소프트 버튼(425)에 현재의 문자 유형으로부터 다른 문자 유형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
이어서, 텍스트 작성 화면(400)에서 터치 발생 시, 제어부(150)가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5단계에서 터치가 소프트 키(421)에 대응하여 발생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50)는 텍스트 작성 화면(400)에서 터치의 위치 좌표를 검출하고, 해당 위치 좌표에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315단계에서 터치가 소프트 키(421)에 대응하여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317단계에서 해당 소프트 키(421)의 문자로 텍스트를 작성한다. 즉 제어부(150)는 터치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문자를 검출하여, 텍스트의 일부로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410)에서 커서(411)의 위치에 문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텍스트 표시창(410)에 미리 표시되고 있는 문자가 있으면, 제어부(150)는 미리 표시되는 문자와 조합하여 텍스트를 작성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410)에서 커서(411)를 텍스트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텍스트 작성 화면(400)에서 드래그 발생 시, 제어부(150)가 3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1단계에서 드래그가 소프트 키(421)를 경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50)는 텍스트 작성 화면(400)에서 드래그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해당 이동 경로 상에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321단계에서 드래그가 소프트 키(421)를 경유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323단계에서 해당 소프트 키(421)의 문자로 텍스트를 작성한다. 즉 제어부(150)는 드래그의 이동 경로 상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문자를 검출하여, 텍스트의 일부로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410)에서 커서(411)의 위치에 문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텍스트 표시창(410)에 미리 표시되고 있는 문자가 있으면, 제어부(150)는 미리 표시되는 문자와 조합하여 텍스트를 작성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410)에서 커서(411)를 텍스트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321단계에서 드래그가 소프트 키(421)를 경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드래그가 방향 감지 영역(423)을 경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드래그가 방향 감지 영역(423)을 경유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드래그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텍스트 작성 화면(400)에서 드래그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해당 이동 경로 상에 부가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방향 감지 영역(423)에서 드래그의 이동 방향을 파악하고, 해당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부가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410)에서 커서(411)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텍스트에서 일부 문자를 편집하거나, 현재의 문자 유형을 다른 문자 유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감지 영역(423)에서 드래그의 이동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드래그에 대응하여 띄어쓰기 기능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는 방향 감지 영역(423)에서 드래그의 이동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드래그에 대응하여 후진 기능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는 방향 감지 영역(423)에서 드래그의 이동 방향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현재의 문자 유형을 다른 문자 유형으로, 예컨대 영어 소문자에서 영어 대문자에 대응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텍스트 작성 화면(400)에서 드롭 발생 시, 제어부(150)가 3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텍스트 작성 화면(400)을 유지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410)에 텍스트를 계속해서 표시한다. 그리고 텍스트 작성 화면(400) 표시 중 텍스트 작성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요청이 발생하면, 제어부(150)는 32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텍스트 작성 모드를 종료한 다음, 도 2로 리턴한다.
한편, 325단계에서 드롭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319단계 내지 325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의 이동 경로(430) 상의 문자들을 조합하여 텍스트(440)를 작성한다. 즉 드래그의 이동 경로(430) 상에 다수개의 문자들이 할당되어 있으면, 제어부(150)는 드래그의 이동 경로(430)에 따라 순차적으로 문자들을 검출한다. 여기서, 드래그의 이동 경로(430)가 특정 소프트 키(421) 상에서 타원으로 이루어지면, 제어부(150)는 해당 소프트 키(421)의 문자를 반복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50)는 해당 문자들을 조합하여 텍스트(440)를 작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410)에서 커서(411)의 위치에 문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텍스트 표시창(410)에 미리 표시되고 있는 문자가 있으면, 제어부(150)는 미리 표시되는 문자와 조합하여 텍스트(440)를 작성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드래그의 이동 경로(430)를 따라 'c, h, o, o, s, e'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이들을 'choose'로 조합하여 텍스트 표시창(410)에 텍스트(440)로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410)에서 커서(411)를 텍스트(440)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327단계에서 텍스트 작성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요청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311단계 내지 327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의 위치 좌표 또는 드래그의 이동 경로(430) 상의 문자들을 조합하여 텍스트(440)를 작성한다. 즉 텍스트 작성 화면(400)에서 터치가 소프트 키(421)에서 발생되거나 드래그가 소프트 키(421)를 경유하도록 발생되면, 제어부(150)는 순차적으로 문자들을 검출한다. 이 후 제어부(150)는 해당 문자들을 조합하여 텍스트(440)를 작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410)에서 커서(411)의 위치에 문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텍스트 표시창(410)에 미리 표시되고 있는 문자가 있으면, 제어부(150)는 미리 표시되는 문자와 조합하여 텍스트(440)를 작성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드래그의 이동 경로(430)를 따라 'd, a, y, , o, r'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이들을 'choose'와 더불어 'day or'로 조합하여 텍스트 표시창(410)에 텍스트(440)로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410)에서 커서(411)를 텍스트(440)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전술된 예에서 문자 유형이 영어에 해당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전술된 예에서 소프트 키패드(420)가 두 개의 타원들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7 내지 도 9는 그러한 예로서, 도 2에서 텍스트 작성 모드 절차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들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들이다.
즉 문자 유형이 한국어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311단계에서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작성 화면(500)을 표시한다. 이 때 텍스트 작성 화면(500)은 텍스트 표시창(510) 및 소프트 키패드(5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510)에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511)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521)들을 타원형으로 배열하여 소프트 키패드(520)를 구성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521)들에 특정 문자 유형에 해당하는 문자들을 개별적으로 할당한다. 즉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521)들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여 문자들을 개별적으로 할당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521)들 중 일부를 타원형으로 배열하고, 소프트 키(521)들 중 나머지를 중심 영역에 일렬로 배열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50)는 각각의 소프트 키(521)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의 타원에 내부의 타원 또는 중심 영역 보다 많은 수의 소프트 키(521)들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한국어에서 자음(consonant)에 해당하는 문자들, 즉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를 외부의 소프트 키(521)들에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한국어에서 모음(vowel)에 해당하는 문자들, 즉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l' 또는 제어부(150)는 한국어에서 모음을 구성하기 위한 요소에 해당하는 문자들, 즉 'ㅡ, ?, l'를 내부의 소프트 키(521)들에 할당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패드(520)의 중심 영역에서 드래그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 감지 영역(523)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각각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부가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가 기능은 띄어쓰기 기능, 후진 기능 및 현재의 문자 유형으로부터 다른 문자 유형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패드(5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버튼(525)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소프트 버튼(525)에 텍스트 작성을 중단하거나 텍스트 작성을 완료하여 텍스트 작성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소프트 버튼(525)에 현재의 문자 유형으로부터 다른 문자 유형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311단계 내지 327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텍스트 작성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의 위치 좌표 또는 드래그의 이동 경로(530) 상의 문자들을 조합하여 텍스트(540)를 작성한다. 즉 텍스트 작성 화면(500)에서 터치가 소프트 키(521)에서 발생되거나 드래그가 소프트 키(521)를 경유하도록 발생되면, 제어부(150)는 순차적으로 문자들을 검출한다. 이 후 제어부(150)는 해당 문자들을 조합하여 텍스트(540)를 작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510)에서 커서(511)의 위치에 문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텍스트 표시창(510)에 미리 표시되고 있는 문자가 있으면, 제어부(150)는 미리 표시되는 문자와 조합하여 텍스트(540)를 작성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드래그의 이동 경로(530)를 따라 'ㄱ, l, ㅎ, ㅡ, o'을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이들을 '기흥'으로 조합하여 텍스트 표시창(510)에 텍스트(540)로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510)에서 커서(511)를 텍스트(540)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터치, 드래그 및 드롭으로 이루어지는 한 차례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여 하나의 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문자 유형이 중국어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311단계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작성 화면(600)을 표시한다. 이 때 텍스트 작성 화면(600)은 텍스트 표시창(610) 및 소프트 키패드(6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610)에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611)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621)들을 타원형으로 배열하여 소프트 키패드(620)를 구성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621)들에 특정 문자 유형에 해당하는 문자들을 개별적으로 할당한다. 즉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621)들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여 문자들을 개별적으로 할당한다.
참고로, 중국어는 십만 개 이상의 한자들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그리고 중국에서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체자가 사용되고 있으며, 단말기에서 한자를 입력하는 데 한어 병음이 이용되고 있다. 이 때 한어 병음은 한자의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발음 부호를 나타낸다. 또한 한어 병음은 21 개의 성모들과 36 개의 운모들로 이루어진다. 성모는 음절의 자음을 나타내며, 운모는 음절의 자음에 조합되거나 음절에서 성모 없이 이용 가능한 모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성모는 하기 <표 1>과 같이 존재하고, 운모는 하기 <표 2> 및 <표 3>과 같이 존재한다. 즉 성모와 적어도 하나의 운모의 조합 또는 하기 <표 3>의 결합운모와 같이 다수개의 운모들의 조합으로 모든 한자의 발음이 표기될 수 있다. 여기서, 성모가 생략되고 운모로만 이루어진 발음도 존재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이 때 제어부(150)는 텍스트 작성 화면(600)에서 소프트 키(621)들을 동심원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의 타원들에 분할하여 배열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50)는 각각의 타원에서 각각의 소프트 키(621)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의 타원에 내부의 타원 보다 많은 수의 소프트 키(621)들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중국어에서 성모를 구성하기 위한 요소에 해당하는 문자들, 즉 'b, p, m, f, d, t, n, l, g, k, h, j, q, x, z, c, s, r'를 외부의 소프트 키(621)들에 할당하고, 운모를 구성하기 위한 요소에 해당하는 문자들, 즉 'a, o, e, i, u,
Figure pat00004
'을 내부의 소프트 키(621)들에 할당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중국어에서 성모를 구성하기 위한 요소에 해당하는 문자들 중 운모로 구성 가능한 일부, 즉 'n, g, h, r'을 내부의 소프트 키(621)들에 더 할당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패드(620)의 중심 영역에서 드래그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 감지 영역(623)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각각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부가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가 기능은 띄어쓰기 기능, 후진 기능, 현재의 문자 유형으로부터 다른 문자 유형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능 및 중국어의 성조 입력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소프트 키패드(6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버튼(625)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소프트 버튼(625)에 텍스트 작성을 중단하거나 텍스트 작성을 완료하여 텍스트 작성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소프트 버튼(625)에 현재의 문자 유형으로부터 다른 문자 유형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311단계 내지 327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텍스트 작성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의 위치 좌표 또는 드래그의 이동 경로(630) 상의 문자들을 조합하여 텍스트(640)를 작성한다. 즉 텍스트 작성 화면(600)에서 터치가 소프트 키(621)에서 발생되거나 드래그가 소프트 키(621)를 경유하도록 발생되면, 제어부(150)는 순차적으로 문자들을 검출한다. 이 후 제어부(150)는 해당 문자들을 조합하여 텍스트(640)를 작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610)에서 커서(611)의 위치에 문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텍스트 표시창(610)에 미리 표시되고 있는 문자가 있으면, 제어부(150)는 미리 표시되는 문자와 조합하여 텍스트(640)를 작성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드래그의 이동 경로(630)를 따라 'm, a, m, a'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이들을 '
Figure pat00005
'으로 조합하여 텍스트 표시창(610)에 텍스트(640)로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텍스트 표시창(610)에서 커서(611)를 텍스트(640)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터치, 드래그 및 드롭으로 이루어지는 한 차례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여 하나의 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예에서 제어부(150)가 한어 병음을 이용하여 중국어를 입력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가 주음 부호를 이용하여 중국어를 입력하는 데,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 때 주음 부호를 사용한 입력 방법은 한자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동일한 발음을 갖는 대표 한자가 표시된 키를 선택하는 입력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주음 부호는 21 개의 성모들과 38 개의 운모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성모는 하기 <표 4>와 같이 존재하고, 운모는 하기 <표 5> 및 <표 6>과 같이 존재한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 소프트 키패드의 중심 영역에 방향 감지 영역이 배치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소프트 키패드의 중심 영역에 각각의 부가 기능이 할당된 소프트 버튼을 배치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에서 텍스트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즉 단말기에서 소프트 키들이 타원형으로 배열됨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문자들이 각각 할당된 소프트 키들을 연속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편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이용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2)

  1.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에 있어서,
    텍스트 작성 모드 시, 텍스트 작성 화면에 소프트 키들이 타원형으로 배열되는 소프트 키패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소프트 키패드에서 상기 소프트 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경유하는 드래그 감지 시, 상기 드래그에 의해 경유된 소프트 키에 할당된 문자로 텍스트를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작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소프트 키들을 동심원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의 타원들에 분할하여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작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
    상기 소프트 키들을 상호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하여, 상기 소프트 키들 사이에 상기 드래그가 통과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작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상기 소프트 키패드에서 상기 소프트 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감지 시, 상기 선택된 소프트 키에 할당된 문자로 상기 텍스트를 작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작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상기 텍스트 작성 화면에서 상기 드래그의 드롭 발생 시, 상기 경유된 소프트 키에 할당된 문자로 단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 키패드에서 다른 드래그 발생 시, 상기 생성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작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과정은,
    상기 드래그가 상기 소프트 키패드의 중심 영역을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설정된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가 기능은 띄어쓰기 기능, 후진 기능 및 상기 소프트 키들에 할당되는 문자들의 유형을 변환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작성 방법.
  7.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장치에 있어서,
    텍스트 작성 모드 시, 텍스트 작성 화면에 소프트 키들이 타원형으로 배열되는 소프트 키패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소프트 키패드에서 상기 소프트 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경유하는 드래그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과,
    상기 드래그에 의해 경유된 소프트 키에 할당된 문자로 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작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소프트 키들을 동심원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의 타원들에 분할하여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작성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소프트 키들을 상호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하여, 상기 소프트 키들 사이에 상기 드래그가 통과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작성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프트 키패드에서 상기 소프트 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감지 시, 상기 선택된 소프트 키에 할당된 문자로 상기 텍스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작성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작성 화면에서 상기 드래그의 드롭 발생 시, 상기 경유된 소프트 키에 할당된 문자로 단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작성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가 상기 소프트 키패드의 중심 영역을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설정된 부가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부가 기능은 띄어쓰기 기능, 후진 기능 및 상기 소프트 키들에 할당되는 문자들의 유형을 변환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작성 장치.
KR1020110017304A 2011-02-25 2011-02-25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KR20120097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304A KR20120097836A (ko) 2011-02-25 2011-02-25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US13/188,889 US20120218272A1 (en) 2011-02-25 2011-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ext i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304A KR20120097836A (ko) 2011-02-25 2011-02-25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836A true KR20120097836A (ko) 2012-09-05

Family

ID=4671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304A KR20120097836A (ko) 2011-02-25 2011-02-25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218272A1 (ko)
KR (1) KR2012009783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755A (ko) * 2014-04-08 2015-10-16 이승환 키패드 제공장치 및 이동단말 제어방법
KR20150130569A (ko) * 2014-05-13 2015-11-24 김진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1652646B1 (ko) * 2015-09-25 2016-08-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70036337A (ko) * 2015-09-24 2017-04-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US10732817B2 (en) 2015-08-05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text input method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596B1 (ko) * 2015-07-10 2017-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20147793A1 (zh) * 2019-01-18 2020-07-23 沈阳三翔科技有限公司 基于安卓系统的韩民族韩语输入法
CN109901777B (zh) * 2019-01-22 2020-09-01 上海趣虫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扩展现实的输入法及处理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5717A (en) * 1995-06-07 1998-04-28 Vayda; Mark Graphical menu providing simultaneous multiple command selection
US7821503B2 (en) * 2003-04-09 2010-10-26 Tegic Communications, Inc. Touch screen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US7199786B2 (en) * 2002-11-29 2007-04-03 Daniel Suraqui Reduced keyboards system using unistroke input and having automatic disambiguating and a recognition method using said system
US7250938B2 (en) * 2004-01-06 2007-07-31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user input on personal computing devices
US20070013662A1 (en) * 2005-07-13 2007-01-18 Fauth Richard M Multi-configurable tactile touch-screen keyboard and associated methods
JP2007156548A (ja) * 2005-11-30 2007-06-2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切り替え方法
US20080077393A1 (en) * 2006-09-01 2008-03-27 Yuqing Gao Virtual keyboard adaptation for multilingual input
TWI416399B (zh) * 2007-12-28 2013-11-21 Htc Corp 手持式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
US8456425B2 (en) * 2008-01-30 2013-06-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adapting keypad
WO2009100018A2 (en) * 2008-02-01 2009-08-13 Spy Rock, Llc Ergonomic user interface for hand held devices
CN101667091A (zh) * 2008-05-15 2010-03-10 杭州惠道科技有限公司 实时预测用户输入的人机界面
EP2350779A4 (en) * 2008-11-25 2018-01-10 Jeffrey R. Spetalnick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data input, compression, recognition, correction, and translation through frequency-based language analysis
KR101626621B1 (ko) * 2009-12-30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20162078A1 (en) * 2010-12-28 2012-06-28 Bran Ferren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755A (ko) * 2014-04-08 2015-10-16 이승환 키패드 제공장치 및 이동단말 제어방법
KR20150130569A (ko) * 2014-05-13 2015-11-24 김진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US10732817B2 (en) 2015-08-05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text input method for the same
KR20170036337A (ko) * 2015-09-24 2017-04-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652646B1 (ko) * 2015-09-25 2016-08-3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18272A1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70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20097836A (ko)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KR201100180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TWI397001B (zh) 電子裝置之注音輸入系統與方法
JP5372605B2 (ja) 入力装置
US20120162086A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KR101085702B1 (ko) 터치스크린의 한글 입력 방법, 기록매체
KR20150001014A (ko)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090011755A (ko) 한글문자 입력방법 및 이의 입력장치
CN103729137B (zh) 终端设备的字符输入方法和字符输入设备
KR20120099987A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45617A (ko)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110082310A (ko) 문자 입력 방법
KR101157084B1 (ko)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KR20150134850A (ko) 닿소리 키패드의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14140236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20090012196A (ko) 한글문자 입력방법 및 이의 입력장치
KR101255801B1 (ko)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20120124835A (ko) 한글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100883116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40067592A (ko) 입력창 이동 방식의 필기입력장치 및 입력창의 위치이동방법
KR10107564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그 방법 및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KR100852020B1 (ko) 문자입력방법
KR101086590B1 (ko)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