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801B1 -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801B1
KR101255801B1 KR1020110123155A KR20110123155A KR101255801B1 KR 101255801 B1 KR101255801 B1 KR 101255801B1 KR 1020110123155 A KR1020110123155 A KR 1020110123155A KR 20110123155 A KR20110123155 A KR 20110123155A KR 101255801 B1 KR101255801 B1 KR 101255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key
hangul
vowel ke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영
Original Assignee
유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영 filed Critical 유성영
Priority to KR1020110123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표시 영역 및 키패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키패드 영역에 한글 자음키들, 제1 모음키 및 제2 모음키가 배열된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키패드의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 각각의 단독 터치에 의해서 또는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의 조합 터치에 의해서 한글 모음이 입력되고, 상기 제1 모음키 및 제2 모음 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의 후속 터치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는 모음들을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에 표시한다.

Description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MOBIL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들에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여 화면 상에 표시된 가상 키패드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터치 또는 드래그를 통한 입력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전자기기의 소형화와 표시 화면의 대형화라는 서로 상반된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키면서도 키패드의 구성이 자유롭고, 간단한 터치나 드래그로 한글, 숫자 등과 같은 다양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그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 방식의 키패드를 통한 문자 입력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터치 또는 드래그를 통해 가능하므로 양손을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용 키보드나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비해 문자 입력 속도 향상에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메일, 트위터, 문자 메시지 등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쿼티(qwerty) 키패드를 채용한 휴대 전화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쿼티 키패드는 타자기나 컴퓨터 키보드에서 양손을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휴대폰과 같은 이동형 단말기에서 한 손을 사용하여 키를 입력하는데에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오른손 또는 왼손 중 어느 한 손으로 한글을 입력할 때 이동 거리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키 입력 편의성이 향상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는: 표시 영역 및 키패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키패드 영역에 한글 자음키들, 제1 모음키 및 제2 모음키가 배열된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키패드의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 각각의 단독 터치에 의해서 또는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의 조합 터치에 의해서 한글 모음이 입력되고, 상기 제1 모음키 및 제2 모음 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의 후속 터치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는 모음들을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에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음키는 한글 모음 ‘ㅣ’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모음키는 한글 모음 ‘ㅡ’에 대응하고, 초기 모음 상태에서 상기 제1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ㅣ’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01
'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ㅡ’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02
'가 표시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초기 모음 상태에서 상기 제1 모음키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ㅓ’ 및 ‘ㅕ’가 더 표시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ㅏ’ 및 ‘ㅑ’가 더 표시되고, 상기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2 모음키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ㅜ’ 및 ‘ㅠ’가 더 표시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ㅗ’ 및 ‘ㅛ’가 더 표시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음키에 한글 모음 ‘ㅓ’ 및 ‘ㅕ’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모음키의 연속 터치 횟수에 따라서 한글 모음 ‘ㅓ’ 및 ‘ㅕ’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 한글 모음 ‘ㅏ’ 및 ‘ㅑ’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모음키의 연속 터치 횟수에 따라서 한글 모음 ‘‘ㅏ’ 및 ‘ㅑ’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음키에 한글 모음 ‘ㅓ’ 및 ‘ㅕ’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의 후속 터치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는 모음들을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에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한글 1음절의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 분리키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음키가 1회 터치될 때 상기 신호 분리키에는 한글 모음 ‘ㅢ’가 더 표시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음키가 1회 터치된 후 상기 신호 분리키가 터치되면 한글 모음 ‘ㅢ’가 입력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한글 자음키들, 제1 모음키 및 제2 모음키가 배열된 제1 내지 제4 행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는 상기 제2 행의 중앙에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음키들 중 일군의 한글 자음키들 각각은 복수의 한글 자음에 대응하고, 타군의 한글 자음키들 각각은 하나의 한글 자음에 대응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한글 자음키들 각각은 연속 터치 횟수에 따라서 대응하는 복수의 한글 자음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고, 상기 타군의 한글 자음키들 각각은 1회 터치에 의해서 입력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표시 영역 및 키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은: 한글 자음키들, 제1 모음키 및 제2 모음키가 배열된 키패드를 상기 키패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모음키 및 제2 모음 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의 후속 터치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는 모음들을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에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음키는 한글 모음 ‘ㅣ’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모음키는 한글 모음 ‘ㅡ’에 대응하고, 초기 모음 상태에서 상기 제1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ㅣ’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03
'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ㅡ’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04
'가 표시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모음 상태에서 상기 제1 모음키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ㅓ’ 및 ‘ㅕ’가 더 표시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ㅏ’ 및 ‘ㅑ’가 더 표시되고, 상기 초기 모음 상태에서 상기 제2 모음키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ㅜ’ 및 ‘ㅠ’가 더 표시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ㅗ’ 및 ‘ㅛ’가 더 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 2개의 모음키들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제1 모음키와 제2 모음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될 때 제1 모음키와 제2 모음키의 후속 터치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는 모음들을 제1 모음키와 제2 모음키에 각각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키입력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모음키들 만으로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손가락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8은 도 3 내지 도 17에서 설명된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의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휴대폰의 키패드 중 문장부호키가 터치될 때 키패드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로서 휴대폰을 도시하고 설명하나, 본 발명의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휴대폰에 국한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 PDA, 호출기, 도어록, 소형 게임기, 리모콘, 마우스, 카메라, 가전기구, 택배운송장 입출력 기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 기기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100)은 터치 스크린부(110)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부(110)는 휴대폰(10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다양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부(110)는 터치 패널(touch panel)을 포함하여 손끝이나 기타 물체에 의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부(110)에 나타낸 문자나 그림 정보를 손으로 접촉하면, 휴대폰(100)은 접촉한 화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처리한다. 터치 스크린부(110)는 표시부(112)와 키패드(114)로 구성된다. 키패드(114)는 전화번호 입력, 문자메시지 전송, 메모리 기록 등 특정 프로그램이 수행될 때 선택적으로 터치 스크린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
키패드(114)는 제1 내지 제4행(L1-L4)을 포함한다. 키패드(114)의 제1 내지 제4행(L1-L4)에는 한글 자음키들, 한글 모음키들 및 기능키들이 배열된다. 즉, 제1행(L1)에는 한글 자음 'ㅈ' 및 'ㅊ'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 자음 'ㄷ' 및 'ㅌ'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 자음 'ㄱ' 및 'ㅋ'에 대응하는 자음키, 그리고 후진 키(backspace key)가 배열된다. 제2행(L2)에는 한글 자음 'ㅂ' 및 'ㅍ'에 대응하는 자음키, 제1 모음 키(VK1), 제2 모음키(VK2), 신호 분리키(SK1), 그리고 엔터키가 배열된다. 제3행(L3)에는 한글 자음 'ㅅ' 및 'ㅎ'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 자음 'ㄴ'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자음 'ㄹ'에 대응하는 자음키, 그리고 한글, 영어, 특수 문자 입력 선택을 위한 모드 선택키가 배열된다. 제4행(L4)에는 한글 자음 'ㅁ'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 자음 'ㅇ'에 대응하는 자음키, 스페이스 키, 그리고 문장 부호들 '.', ',', '!' 및 '?' 입력을 위한 문장부호키가 배열된다.
하나의 한글 자음에 대응하는 자음키가 터치되면 대응하는 한글 자음이 입력된다. 두 개의 한글 자음에 대응하는 자음키는 터치 횟수에 따라서 대응하는 한글 자음이 입력된다. 예컨대, 'ㄱ' 및 'ㅋ'에 대응하는 자음 키가 1회 터치되면 한글 자음 'ㄱ'이 입력되고, 2회 터치되면 한글 자음 'ㅋ'이 입력된다.
휴대폰(100)은 한글 모음 'ㅢ'를 제외한 모든 한글 모음들을 제1 모음 키(VK1) 및 제2 모음키(VK2)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키패드(114)를 보면서 직관적으로 제1 모음 키(VK1) 및 제2 모음키(VK2)를 터치할 수 있도록 제1 모음키(VK1)에는 한글 모음 'ㅣ'의 좌측에 점(·)을 표기한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05
'이 표시되고, 제2 모음키(VK2)에는 한글 모음 'ㅡ'의 상측에 점(·)을 표기한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06
'가가 표시된다. 제1 모음키(VK1)에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07
'만 표시되고, 제2 모음키(VK2)에'
Figure 112011092973781-pat00008
'만 표시된 상태를 초기 모음 상태라 칭한다.
본 발명은 한글의 천(·), 지(ㅡ) 및 인(ㅣ)의 삼재 중 지(ㅡ) 및 인(ㅣ)을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모음키(VK1)에는 한글 모음 'ㅣ'의 좌측에 점(·)을 표기한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09
'을 표시하고, 제2 모음키(VK2)에는 한글 모음 'ㅡ'의 상측에 점(·)을 표기한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10
'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모음의 형상을 용이하게 연상하면서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은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모음 키(VK1) 및 제2 모음키(VK2)는 제2행(L2)의 중앙에 배열된다. 그러므로 초성인 한글 자음을 입력한 후 한글 모음을 입력할 때 손가락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100)은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부(110), 제어부(120), 송수신부(130) 그리고 메모리(140)를 포함한다. 휴대폰(100)은 상기 구성들뿐만 아니라 소리 출력을 위한 스피커,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등과 같은 주변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112)와 키패드(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스크린부(110)는 사용자 접촉에 따른 터치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제어부(120)는 터치스크린부(110)로부터의 키 신호를 분석하고, 접촉 위치에 따른 위치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터치스크린부(110)로부터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부(110)의 표시부(112) 상에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한다. 제어부(120)는 키패드(114)에 배열된 한글 자음키 및 한글 모음키의 일련의 터치에 응답해서 한글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한글 자음 'ㅈ' 및 'ㅊ'에 대응하는 자음키가 2회 연속 터치되면 한글 자음 'ㅊ'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또한 한글 자음 'ㅊ' 이후 제2 모음키(VK2)가 입력되면 한글 자음 'ㅊ'과 제2 모음키(VK2)에 의한 한글 모음 'ㅗ'를 결합하여 '초'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송수신부(130)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미 도시됨)과 RF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송수신부(130)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고, 다시 IF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해서 제어부(120)로 제공한다. 송수신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의 베이스밴드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고, IF 신호를 다시 RF 신호로 변환해서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메모리(1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들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메모리(140)는 불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그리고 휘발성 메모리인 RAM(random access memory)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예시적으로 한글 자음 'ㅇ'과 결합되는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과정들이 설명되나, 한글 자음 'ㅇ' 뿐만 아니라 다른 한글 자음과 결합되는 또는 한글 모음 단독 입력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한글 자음 'ㅇ'를 입력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키패드(114)의 제4행에 배열된 한글 자음 'ㅇ'에 대응하는 자음키가 터치되면 한글 자음 'ㅇ'을 표시부(112)에 표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한글 자음 'ㅇ'이 입력된 후 제1 모음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모음 'ㅇ'이 입력된 후 제1 모음키(VK1)가 터치되면 한글 '이'가 표시부(112)에 표시된다. 또한 키패드(114)의 제1 모음키(VK1)에는 한글 모음 'ㅣ'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11
’ 뿐만 아니라 한글 모음 'ㅓ' 및 'ㅕ'가 표시된다. 이것은 제1 모음키(VK1)를 1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ㅓ'가 입력되고, 2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ㅕ'가 입력됨을 의미한다. 특히, 사용자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12
’에 포함된 '·'와 한글 모음 'ㅓ' 및 'ㅕ'를 동시에 보면서 용이하게 한글 모음 'ㅓ' 및 'ㅕ'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음키(VK2)에는 한글 모음 'ㅡ'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13
' 뿐만 아니라 한글 모음 'ㅏ' 및 'ㅑ'가 표시된다. 이것은 제2 모음키(VK2)를 1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ㅏ'가 입력되고, 2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ㅑ'가 입력됨을 의미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1 모음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1 모음키(VK1)가 1회 터치되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이'는 '어'로 변경 표시된다. 또한 제2 모음키(VK2)에는 한글 모음 'ㅡ'에 대응하는‘
Figure 112011092973781-pat00014
’와 'ㅔ'가 표시된다. 이것은 제2 모음키(VK2)가 터치될 때 'ㅓ'가 'ㅔ'로 변경됨을 의미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어'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2 모음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어'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2 모음키(VK2)가 1회 터치되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어'는 '에'로 변경 표시된다. 또한 제1 모음키(VK1) 및 제2 모음키(VK2)는 한글 모음 'ㅣ'와 'ㅡ'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15
' 및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16
'가 각각 표시되는 초기 모음 상태로 복귀한다.
도 7은 '여'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2 모음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초기 모음 상태로부터 제1 모음키(VK1)를 연속 3회 터치하면 '여'가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제1 모음키(VK1)에는 한글 모음 'ㅣ'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17
' 와 한글 모음 'ㅓ' 및 'ㅕ'가 표시되고, 제2 모음키(VK2)에는 한글 모음 'ㅡ'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18
'와 한글 모음'ㅖ'가 표시된다.
'여'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2 모음키(VK2)가 1회 터치되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여'는 '예'로 변경 표시된다. 또한 제1 모음키(VK1) 및 제2 모음키(VK2) 각각은 한글 모음 'ㅣ'와 'ㅡ'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19
' 및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20
'가 각각 표시되는 초기 모음 상태로 복귀한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이'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2 모음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2 모음키(VK2)가 2회 연속 터치되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이'는 '야'로 변경 표시된다. 또한 제1 모음키(VK1)에는 한글 모음 'ㅣ'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21
’뿐만 아니라 'ㅒ'가 표시된다. 이것은 '야'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1 모음키(VK1)의 터치에 의해서 'ㅒ'가 입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야'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1 모음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야'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1 모음키(VK1)가 1회 터치되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야'는 '얘'로 변경 표시된다. 또한 제1 모음키(VK1) 및 제2 모음키(VK2) 각각은 한글 모음 'ㅣ'와 'ㅡ'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22
' 및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23
'가 각각 표시되는 초기 모음 상태로 복귀한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한글 자음 'ㅇ'이 터치된 후 제2 모음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한글 자음 'ㅇ'이 입력된 후 제2 모음키(VK2)가 터치되면 한글 '으'가 표시부(112)에 표시된다. 또한 키패드(114)의 제1 모음키(VK1)에는 한글 모음 'ㅣ' 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24
’뿐만 아니라 한글 모음 'ㅜ' 및 'ㅠ'가 표시된다. 이것은 제1 모음키(VK1)를 1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ㅜ'가 입력되고, 2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ㅠ'가 입력됨을 의미한다. 또한 제2 모음키(VK2)에는 한글 모음 'ㅡ' 에 대응하는‘
Figure 112011092973781-pat00025
’뿐만 아니라 한글 모음 'ㅗ' 및 'ㅛ'가 표시된다. 이것은 제2 모음키(VK2)를 1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ㅗ'가 입력되고, 2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ㅛ'가 입력됨을 의미한다. 특히, 제2 모음키(VK2)에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26
’뿐만 아니라 한글 모음 'ㅗ' 및 'ㅛ'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와 한글 모음 'ㅗ' 및 'ㅛ'를 동시에 보면서 용이하게 한글 모음 'ㅗ' 및 'ㅛ'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모음키(VK2)가 터치됨에 따라서 신호 분리키(SK1)에는 한글 모음 'ㅢ'가 표시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으'가 입력된 상태에서 신호 분리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으'가 입력된 상태에서 신호 분리키(SK1)가 1회 터치되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으'는 '의'로 변경 표시된다. 또한 제1 모음키(VK1) 및 제2 모음키(VK2) 각각은 한글 모음 'ㅣ'와 'ㅡ'가 표시되는 초기 모음 상태로 변화된다. 신호 분리키(SK1)에 표시된 'ㅢ'는 삭제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으'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2 모음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으'가 입력된 후 제2 모음키(VK2)가 터치되면 한글 '오'가 표시부(112)에 표시된다. 또한 키패드(114)의 제1 모음키(VK1)에는 한글 모음 'ㅣ' 뿐만 아니라 한글 모음 'ㅚ', 'ㅘ' 및 'ㅙ'가 표시되고, 제2 모음키(VK2)에 한글 모음 'ㅡ' 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27
’뿐만 아니라 한글 모음 'ㅗ' 및 'ㅛ'가 표시된다. 이것은 제1 모음키(VK1)를 1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ㅚ'가 입력되고, 2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ㅘ'가 입력되며, 3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ㅙ'가 입력됨을 의미한다. 또한 'ㅗ'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2 모음키(VK2)를 다시 1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ㅛ'가 입력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오'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1 모음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오'가 입력된 후 제1 모음키(VK1)가 터치되면 한글 '외'가 표시부(112)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키패드(114)의 제1 모음키(VK1)를 1회 더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ㅘ'가 입력되고, 2회 더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ㅙ'가 입력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오'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2 모음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오'가 입력된 후 제2 모음키(VK2)가 터치되면 한글 '요'가 표시부(112)에 표시된다. 또한 제1 모음키(VK1) 및 제2 모음키(VK2) 각각은 한글 모음 'ㅣ'와 'ㅡ'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28
' 및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29
'가 각각 표시되는 초기 모음 상태로 복귀한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으'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1 모음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으'가 입력된 후 제1 모음키(VK1)가 터치되면 한글 '우'가 표시부(112)에 표시된다. 또한 키패드(114)의 제2 모음키(VK2)에는 한글 모음 'ㅗ' 및 'ㅛ' 대신에 한글 모음 'ㅟ', 'ㅝ' 및 'ㅞ'가 표시된다. 이것은 제2 모음키(VK2)를 1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ㅟ'가 입력되고, 2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ㅝ'가 입력되며, 3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ㅞ'가 입력됨을 의미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우'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1 모음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우'가 입력된 후 제1 모음키(VK1)가 터치되면 한글 '유'가 표시부(112)에 표시된다. 제1 모음키(VK1) 및 제2 모음키(VK2) 각각은 한글 모음 'ㅣ'와 'ㅡ'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30
' 및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31
'가 각각 표시되는 초기 모음 상태로 복귀한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우'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2 모음키가 터치될 때 터치 스크린부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우'가 입력된 후 제2 모음키(VK2)가 터치되면 한글 '위'가 표시부(112)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제2 모음키(VK2)를 1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ㅝ'가 입력되고, 2회 터치하면 한글 모음 'ㅞ'가 입력될 수 있다.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은 각각 한글 자음 'ㄱ', 'ㄷ', 'ㅂ', 'ㅅ', 'ㅈ'에 대응하는 키를 3회 터치하는 것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ㄱ' 및 'ㅋ'에 대응하는 자음키를 1회 터치하면 'ㄱ'이 입력되고, 2회 터치하면 'ㅋ'이 입력되며, 3회 터치하면 'ㄲ'이 입력될 수 있다.
신호 분리키(SK1)는 종성 자음과 초성 자음의 분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국가'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국'을 입력한 후 다시 한글 자음 'ㄱ'에 대응하는 자음키를 터치하면 '국'이 입력된다. 이 경우 '국'을 입력하고, 신호 분리키(SK1)를 누르면 '국'의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계속해서 입력되는 자음은 '국'과 분리하여 인식한다. 즉, '국ㄱ'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8은 도 3 내지 도 17에서 설명된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의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한글 모음의 자형에 근거하여 'ㅣ'는 종줄기, 'ㅡ'는 횡줄기로 칭한다. 종줄기 또는 횡줄기와 연결된 자형은 그 방향에 근거하여 좌가지, 우가지, 상가지 및 하가지로 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은 제1 모음키(VK1) 및 제2 모음키(VK2)를 이용하여 종줄기, 횡줄기, 상가지 및 하가지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종줄기, 횡줄기, 상가지 및 하가지의 자형에 따라서 제1 모음키(VK1) 및 제2 모음키(VK2)를 보고 직관적으로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한글 모음의 입력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모음 키 입력 순서
ㅣ, ㅡ
ㅣ, ㅡ, ㅡ
ㅣ, ㅣ
ㅣ, ㅣ, ㅣ
ㅡ, ㅡ
ㅡ, ㅡ, ㅡ
ㅡ, ㅣ
ㅡ, ㅣ, ㅣ
ㅣ, ㅡ, ㅣ
ㅣ, ㅡ, ㅡ, ㅣ
ㅣ, ㅣ, ㅡ
ㅣ, ㅣ, ㅣ, ㅡ
ㅡ, ㅡ, ㅣ
ㅡ, ㅡ, ㅣ, ㅣ
ㅡ, ㅡ, ㅣ, ㅣ, ㅣ
ㅡ, ㅣ, ㅡ, ㅡ
ㅡ, ㅣ, ㅡ, ㅡ, ㅡ
ㅡ, ㅣ, ㅡ
ㅡ, ㅢ(신호 분리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 2개의 모음키들 즉, 제1 모음키(VK1)와 제2 모음키(VK2)를 이용하여 대부분의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한글 모음 'ㅢ'는 제2 모음키(VK2) 및 신호 분리키(SK1)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제1 모음키(VK1)와 제2 모음키(VK2)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될 때 제1 모음키(VK1)와 제2 모음키(VK2)의 후속 터치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는 모음들을 제1 모음키(VK1)와 제2 모음키(VK2)에 각각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키입력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음키(VK1)와 제2 모음키(VK2)를 제2행(L2)의 중앙에 배열하고, 2개의 모음키들 만으로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손가락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휴대폰(200)은 도 1에 도시된 휴대폰(10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나, 키패드(214)의 키 배열이 상이하다.
키패드(214)는 제1 내지 제4행(L21-L24)을 포함한다. 키패드(114)의 제1 내지 제4행(L21-L24)에는 한글 자음키들, 한글 모음키들 및 기능키들이 배열된다. 즉, 제1행(L21)에는 한글 자음 'ㅈ' 및 'ㅊ'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 자음 'ㄷ' 및 'ㅌ'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 자음 'ㄱ' 및 'ㅋ'에 대응하는 자음키, 그리고 후진 키(backspace key)가 배열된다. 제2행(L22)에는 한글 자음 'ㅂ' 및 'ㅍ'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 자음 'ㄴ'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자음 'ㄹ'에 대응하는 자음키, 그리고 한글, 영어, 특수 문자 입력 선택을 위한 모드 선택키가 배열된다. 제3행(L23)에는 한글 자음 'ㅅ' 및 'ㅎ'에 대응하는 자음키, 제1 모음 키(VK1), 제2 모음키(VK2), 신호 분리키(SK1), 그리고 엔터키가 배열된다. 제4행(L24)에는 한글 자음 'ㅁ'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 자음 'ㅇ'에 대응하는 자음키, 스페이스 키, 그리고 문장 부호들 '.'. ',' '!' 및 '?' 입력을 위한 문장부호키가 배열된다.
키패드(214)는 도 1에 도시된 키패드(114) 상이한 키 배열을 포함하나, 휴대폰(200)의 키패드(214)를 이용한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은 앞서 도 3 내지 도 17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도 20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휴대폰(300)은 도 1에 도시된 휴대폰(10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나, 키패드(314)의 키 배열이 상이하다.
키패드(314)는 제1 내지 제4행(L31-L34)을 포함한다. 키패드(114)의 제1 내지 제4행(L31-L34)에는 한글 자음키들, 한글 모음키들 및 기능키들이 배열된다. 즉, 제1행(L31)에는 한글자음 'ㄹ'에 대응하는 자음키, 제1 모음 키(VK1), 제2 모음키(VK2), 신호 분리키(SK1), 그리고 엔터키가 배열된다. 제2행(L22)에는 한글 자음 'ㄱ' 및 'ㅋ'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 자음 'ㄴ'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 자음 'ㄷ' 및 'ㅌ'에 대응하는 자음키, 그리고 후진 키(backspace key)가 배열된다. 제3행(L33)에는 한글 자음 'ㅂ' 및 'ㅍ'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 자음 'ㅅ' 및 'ㅎ'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 자음 'ㅈ' 및 'ㅊ'에 대응하는 자음키, 그리고 한글, 영어, 특수 문자 입력 선택을 위한 모드 선택키가 배열된다. 제4행(L34)에는 한글 자음 'ㅁ'에 대응하는 자음키, 한글 자음 'ㅇ'에 대응하는 자음키, 스페이스 키, 그리고 문장 부호들 '.'. ',' '!' 및 '?' 입력을 위한 문장부호키가 배열된다.
키패드(314)는 도 1에 도시된 키패드(114) 상이한 키 배열을 포함하나, 휴대폰(300)의 키패드(314)를 이용한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은 앞서 도 3 내지 도 17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문장부호키가 터치될 때 키패드(114) 배열이 도 21과 같이 변경된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휴대폰의 키패드 중 문장부호키가 터치될 때 키패드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도 20에 도시된 키패드(314)의 문장부호키가 터치되면, 제3행(L33) 및 제4행(L34)의 4 개의 키패드들 각각이 물음표(?), 느낌표(!), 쉼표(,) 및 마침표(.)로 변경 표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물음표(?), 느낌표(!), 쉼표(,) 및 마침표(.) 각각을 2회의 터치에 의해서 입력할 수 있따. 또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및 마침표(.)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키패드(314)는 도 20에 도시된 기본 키패드로 변경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잘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에는 다양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그러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휴대폰 110: 터치 스크린부
112: 표시부 114: 키패드

Claims (15)

  1.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표시 영역 및 키패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키패드 영역에 한글 자음키들, 제1 모음키 및 제2 모음키가 배열된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키패드의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 각각의 단독 터치에 의해서 또는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의 조합 터치에 의해서 한글 모음이 입력되고,
    상기 제1 모음키 및 제2 모음 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의 후속 터치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는 모음들을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음키는 한글 모음 ‘ㅣ’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모음키는 한글 모음 ‘ㅡ’에 대응하고, 초기 모음 상태에서 상기 제1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ㅣ’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32
    '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ㅡ’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33
    '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모음 상태에서 상기 제1 모음키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ㅓ’ 및 ‘ㅕ’가 더 표시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ㅏ’ 및 ‘ㅑ’가 더 표시되고, 상기 초기 모음 상태에서 상기 제2 모음키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ㅜ’ 및 ‘ㅠ’가 더 표시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ㅗ’ 및 ‘ㅛ’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음키에 한글 모음 ‘ㅓ’ 및 ‘ㅕ’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모음키의 연속 터치 횟수에 따라서 한글 모음 ‘ㅓ’ 및 ‘ㅕ’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 한글 모음 ‘ㅏ’ 및 ‘ㅑ’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모음키의 연속 터치 횟수에 따라서 한글 모음 ‘‘ㅏ’ 및 ‘ㅑ’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음키에 한글 모음 ‘ㅓ’ 및 ‘ㅕ’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의 후속 터치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는 모음들을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한글 1음절의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 분리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음키가 1회 터치될 때 상기 신호 분리키에는 한글 모음 ‘ㅢ’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음키가 1회 터치된 후 상기 신호 분리키가 터치되면 한글 모음 ‘ㅢ’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한글 자음키들, 제1 모음키 및 제2 모음키가 배열된 제1 내지 제4 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는 상기 제2 행의 중앙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음키들 중 일군의 한글 자음키들 각각은 복수의 한글 자음에 대응하고, 타군의 한글 자음키들 각각은 하나의 한글 자음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한글 자음키들 각각은 연속 터치 횟수에 따라서 대응하는 복수의 한글 자음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고, 상기 타군의 한글 자음키들 각각은 1회 터치에 의해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표시 영역 및 키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에 있어서:
    한글 자음키들, 제1 모음키 및 제2 모음키가 배열된 키패드를 상기 키패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모음키 및 제2 모음 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의 후속 터치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는 모음들을 상기 제1 모음키 및 상기 제2 모음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음키는 한글 모음 ‘ㅣ’에 대응하고, 상기 제2 모음키는 한글 모음 ‘ㅡ’에 대응하고, 초기 모음 상태에서 상기 제1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ㅣ’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34
    '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ㅡ’에 대응하는 '
    Figure 112011092973781-pat00035
    '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모음 상태에서 상기 제1 모음키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ㅓ’ 및 ‘ㅕ’가 더 표시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ㅏ’ 및 ‘ㅑ’가 더 표시되고, 상기 초기 모음 상태에서 상기 제2 모음키가 터치될 때 상기 제1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ㅜ’ 및 ‘ㅠ’가 더 표시되고 상기 제2 모음키에는 한글 모음 ‘ㅗ’ 및 ‘ㅛ’가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1020110123155A 2011-11-23 2011-11-23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101255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55A KR101255801B1 (ko) 2011-11-23 2011-11-23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55A KR101255801B1 (ko) 2011-11-23 2011-11-23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801B1 true KR101255801B1 (ko) 2013-04-17

Family

ID=4844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155A KR101255801B1 (ko) 2011-11-23 2011-11-23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2834B2 (en) 2020-04-28 2023-11-14 Jae In SEO Ultraviolet curing apparatus for nail a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4110A (ko) * 2008-03-31 2008-04-18 박병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버튼 확장형 문자입력방법
KR20090104147A (ko) * 2008-03-30 2009-10-06 은성훈 터치입력을 수단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147A (ko) * 2008-03-30 2009-10-06 은성훈 터치입력을 수단으로 하는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080034110A (ko) * 2008-03-31 2008-04-18 박병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버튼 확장형 문자입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2834B2 (en) 2020-04-28 2023-11-14 Jae In SEO Ultraviolet curing apparatus for nail 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1235B1 (en) Rapid entry of data and information on a reduced size input area
CN108121457B (zh) 提供字符输入界面的方法和设备
KR101633842B1 (ko) 연속적인 제스쳐 입력을 위한 복수의 그래픽 키보드들
US9342155B2 (en)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EP2404230A1 (en) Improved text input
KR100993508B1 (ko) 터치 궤적 및 터치 방향의 인식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85991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WI397001B (zh) 電子裝置之注音輸入系統與方法
JP2012088750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文字入力プログラム
KR20120097836A (ko)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US9965454B2 (en) Assisted punctuation of character strings
JP5102894B1 (ja) 文字入力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CN108536653B (zh) 一种输入方法、装置和用于输入的装置
CN102279652A (zh) 电子装置与其输入方法
KR201100031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70100209A (ko) 터치펜과 같은 보조도구가 필요 없는 터치스크린버튼입력방법
CN102177486A (zh) 具有多级虚拟键盘的通信装置
KR20100121218A (ko)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
US20150317077A1 (en) Handheld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KR101255801B1 (ko)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JP3197051U (ja) キー入力装置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13171295A (ja) 携帯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74457B1 (ko)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KR20100045617A (ko)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