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457B1 -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457B1
KR101074457B1 KR1020090037250A KR20090037250A KR101074457B1 KR 101074457 B1 KR101074457 B1 KR 101074457B1 KR 1020090037250 A KR1020090037250 A KR 1020090037250A KR 20090037250 A KR20090037250 A KR 20090037250A KR 101074457 B1 KR101074457 B1 KR 101074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input
consonant
consonants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187A (ko
Inventor
유성영
Original Assignee
유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영 filed Critical 유성영
Publication of KR20100003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표시부 및 문자 입력모드시 한글 음절단위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키패드로의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 신호 및 드래그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부, 그리고 상기 터치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패널은, 한글 자음들에 각각 대응하는 키패드 셀들로 분할되며, 상기 키패드 셀들 각각은 대응하는 자음의 자음키 영역 및 각각이 아래아 '·', 모음 'ㅡ', 'ㅣ', 'ㅘ', 'ㅙ', 'ㅝ' 및 'ㅞ'로 구성된 모음키 영역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INPUTTING THE HANGUL ALPHABET}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IMT-2000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휴대 전화기, 휴대용 영수증 발급기, 휴대용 신용카드 결제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nats), 호출기, 도어록(door lock), 소형 게임기, 리모콘, 마우스, 카메라, 가전기구, 택배운송장 입출력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들이 개발되었고 이들은 더욱 소형화 경량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과거에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던 전자기기들에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면서 문자를 입력하거나 표시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기기들에 큰 부피의 전통적인 키보드를 적용하는 것은 매 우 곤란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하나의 키에 복수의 문자를 할당함으로서 요구되는 키의 수를 줄이는 것이다. 예컨대, 휴대 전화기에 구비되는 키패드 상의 0부터 9까지의 숫자키들 각각에는 2~3개의 한글 자음과 모음들이 할당된다.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기기들에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여 화면 상에 표시된 가상키패드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터치 또는 드래그를 통한 입력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전자기기의 소형화와 표시 화면의 대형화라는 서로 상반된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키면서도 키패드의 구성이 자유롭고, 간단한 터치나 드래그로 한글, 영문 알파벳, 숫자 등과 같은 다양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그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 방식의 키패드를 통한 문자 입력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터치 또는 드래그를 통해 가능하므로 양손을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용 키보드나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비해 문자 입력 속도 향상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표시부 및 문자 입력모드시 한글 음절단위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키패드로의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 신호 및 드래그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부, 그리고 상기 터치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패널은, 한글 자음들에 각각 대응하는 키패드 셀들로 분할되며, 상기 키패드 셀들 각각은 대응하는 자음의 자음키 영역 및 각각이 아래아 '·', 모음 'ㅡ', 'ㅣ', 'ㅘ', 'ㅙ', 'ㅝ' 및 'ㅞ'로 구성된 모음키 영역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 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될 때, 상기 터치된 모음 영역이 포함된 키패드 셀의 자음을 초성으로 하고, 상기 터치된 모음 영역의 모음을 중성으로 하는 한글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쌍자음들 'ㄲ', 'ㄸ', 'ㅃ', 'ㅆ', 'ㅉ'은 각각 'ㄱ', 'ㄷ', 'ㅂ', 'ㅅ', 'ㅈ'에 대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쌍자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자음 영역들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자음 영역에 대응하는 쌍자음이 입력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셀들 각각은 상기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을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은 상기 'ㅣ' 모음키 영역의 좌측 및 우측, 그리고 상기 'ㅡ'모음키 영역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모음들 'ㅏ', 'ㅓ', 'ㅗ' 및 'ㅜ'는 상기 복수의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에 각각 대응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모음들 'ㅑ', 'ㅕ', 'ㅛ', 'ㅠ'은 상기 복수의 아래아 '·'들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제어부는 대응하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이 2회 터치될 때 모음들 'ㅑ', 'ㅕ', 'ㅛ', 'ㅠ'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모음들 'ㅐ', 'ㅔ', 'ㅚ', 'ㅟ'은 상기 복수의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제어부는 대응하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이 터치되고, 상기 대응하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에서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상기 모음들 'ㅐ', 'ㅔ', 'ㅚ', 'ㅟ'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음들 'ㅑ', 'ㅕ', 'ㅛ' 및 'ㅠ'은 상기 복수의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제어부는 대응하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이 2회 연속해서 터치될 때 상기 모음들 'ㅑ', 'ㅕ', 'ㅛ' 및 'ㅠ'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모음들 'ㅖ' 및 'ㅒ'는 각각 상기 모음들 'ㅓ' 및 'ㅏ' 에 각각 대응하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에 대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응하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이 2회 터치되고, 상기 대응하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에서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상기 모음들 'ㅖ' 및 'ㅒ'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음키 영역 'ㅡ'가 터치되고, 상기 모음키 영역 'ㅡ'에서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모음 'ㅢ'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 'ㅘ', 'ㅙ', 'ㅝ' 및 'ㅞ'에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들에 자음에 대응하는 줄임획이 드래그 방식으로 입력될 때 입력된 줄임획에 대응하는 자음이 종성으로서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키 영역들을 통하여 모음이 입력된 후 상기 자음키 영역이 터치되면 터치된 자음키 영역에 대응하는 자음이 종성으로서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한글 자음들 중 일군의 자음들 각각에 대응하는 키패드 셀들과 타군의 자음들을 입력하기 위한 부가 자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일군의 자음들에 대응하는 키패드 셀들 각각은 대응하는 자음의 상기 자음키 영역 및 각각이 아래아 '·', 모음 'ㅡ', 'ㅣ', 'ㅘ', 'ㅙ', 'ㅝ' 및 'ㅞ'로 구성된 상기 모음키 영역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ㄱ', 'ㄷ', 'ㅂ', 'ㅅ', 'ㅈ', 'ㅇ'이 각각 1회 터치될 때 자음들 'ㅋ', 'ㅌ', 'ㅍ' 'ㅆ', 'ㅊ', 'ㅎ'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ㄱ', 'ㄷ', 'ㅂ', 'ㅈ'이 각각 2회 연속 터치될 때 쌍자음 'ㄲ', 'ㄸ', 'ㅃ', 'ㅉ'이 입력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음 입력 후 일군의 자음들 'ㄴ', 'ㄹ', 'ㅁ', 'ㅊ', 'ㅋ', 'ㅌ', 'ㅍ', 'ㅎ'에 대응하는 자음키 영역들이 터치될 때 종성 입력으로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음 입력 후 타군의 자음들 'ㄱ', 'ㄷ', 'ㅂ', 'ㅅ', 'ㅇ', 'ㅈ'에 대응하는 자음키 영역에서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자음키 영역에 대응하는 자음이 종성으로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음 입력 후 상기 일군의 자음들과 상기 타군의 자음들에 대응하는 자음키 영역들이 서로 다른 색으로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 'ㅘ', 'ㅙ', 'ㅝ' 및 'ㅞ'에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들에 자음에 대응하는 줄임획이 드래그 방식으로 입력될 때 입력된 줄임획에 대응하는 자음이 종성으로서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음들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ㅆ', 'ㅇ', 'ㅈ' 각각에 대응하는 줄임획을 인식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자음들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및 'ㅈ'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키패드 셀들은 복수의 행들로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키 영역들 중 'ㅘ', 'ㅙ', 'ㅝ' 및 'ㅞ'에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들은 연속 2회 터치될 때 대응하는 모음키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키 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될 때, 터치된 모음키 영역이 속하는 행의 모음키 영역들 중 'ㅘ', 'ㅙ', 'ㅝ' 및 'ㅞ'에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들에는 종성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음키 영역들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종성 자음들은 'ㄱ', 'ㄴ', 'ㄹ', 'ㅇ', 'ㅁ', 'ㅂ', 'ㅋ', 'ㅍ', 'ㅈ', 'ㅊ', 'ㄲ', 'ㅅ', 'ㄷ', 'ㅎ', 'ㅌ' 및 'ㅆ'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키 영역들에 상기 종성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상기 종성 자음들이 1회 터치될 때 대응하는 종성 자음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행들 중 제1행의 상기 모음키 영역들에 상기 종성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상기 제1행이 아닌 제2행의 자음키 영역 또는 모음키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제1항의 모음키 영역들에는 상기 모음들 'ㅘ', 'ㅙ', 'ㅝ' 및 'ㅞ'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항의 모음키 영역들 중 'ㅘ', 'ㅙ', 'ㅝ' 및 'ㅞ'에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들에는 종성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한글 입력 편의성이 증대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한글 입력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의 일 에로서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를 도시하고 설명하나, 본 발명의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는 휴대폰에 국한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 PDA, 호출기, 도어록, 소형 게임기, 리모콘, 마우스, 카메라, 가전기구, 택배운송장 입출력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들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부(10)와 입력부(18)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부(10)는 표시부(110)와 이 표시부(110) 상에 설치되는 터치패널(touch panel)(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다양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lplay, LCD), TFT(Thin Film Transistor),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8)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배열된 버튼들로 구성된다. 예컨대, 입력부(18)는 전송(SEND), 종료(END), 기능 선택기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부(10) 및 입력부(18) 외에 제어부(12) 메모리(14) 그리고 송수신부(16)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구성들 뿐만 아니라 소리 출력을 위한 스피커,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 카메라 등과 같은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110)와 이 표시부(110) 상에 설치되는 터치패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 패널(120)은 사용자 접촉에 따른 터치 신호를 제어부(12)로 출력한다.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부(10)로부터의 키 신호를 분석하고, 접촉 위치에 따른 위치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터치스크린부(10)로부터 출력되는 키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신호인지 드래그 신호인 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2)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부(10)의 표시부(110) 상에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드래 신호에 대응하는 이동 거리 및 방향을 판별하고, 판별된 이동 거리 및 방향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송수신부(16)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RF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송수신부(16)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고, 다시 IF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해서 제어부(12)로 제공한다. 송수신부(16)는 제어부(12)로부터의 베이스밴드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고, IF 신호를 다시 RF 신호로 변환해서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미 도시됨)으로 전송한다.
메모리(1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들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메모리(14)는 불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그리고 휘발성 메모리인 RAM(random access memory)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패널(120)에 표시된 한글음절단위 키패드의 배열을 보여주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ㄱ'관련 키패드 셀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터치 패널(120)에 표시된 한글음절단위 키패드(300)는 14개의 한글 자음들에 각각 대응하는 키패드 셀들을 포함한다. 한글음절단위 키패드(300)에 구비된 14개의 키패드 셀들은 가로 5열, 세로 3열로 배열되나 가로 7열, 세로 2열 또는 가로 4열, 세로 4열과 같이 키패드 셀들의 배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키패드 셀은 자음키 영역(321)과 모음키 영역들(321-331)을 포함한다. 자음키 영역(321)에는 키패드 셀의 대응하는 자음이 할당되고, 모음키 영역들(321-331)에는 아래아들'·', 모음들 중 'ㅣ', 'ㅡ', 'ㅘ', 'ㅙ', 'ㅝ' 그리고 'ㅞ'가 각각 할당된다. 키패드 셀 내 키영역들(321-331)의 배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은,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을 이용하거나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터치 또는 드래그하는 방법이 있다. 펜을 이용한 입력은 펜과 터치스크린이 닿는 면적이 손가락에 비해 좁아서 섬세한 터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키패드(300) 내 키영역들 의 가로*세로 면적이 4mm*4mm 이상만 되면 펜을 이용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펜을 이용한다면 본 발명의 키패드(300)의 키영역들(321-331)을 터치하여 한글을 더욱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부(10)의 면적이 충분히 넓어서 키패드(300) 내 키영역들의 가로*세로 면적이 7mm*7mm 이상이면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의 자소가 모여서 1음절의 글자를 구성하는 모아쓰기 구조를 갖는 언어이다. 일반적으로 한글을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입력하기 위해서 초성, 중성 그리고 종성을 순차적으로 입력해야만 한다. 초성 및 중성으로만 이루어진 글자는 2회의 키입력이 요구되며,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글자는 3회의 키입력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음절단위 키패드(300)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은 키입력 횟수를 최소화하며, 이에 대한 설명이 이하 계속된다.
한글의 초성은 19 개의 자음들 중 하나가 된다. 초성을 일반 자음과 쌍자음으로 구분하면 표 1과 같다.
일반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
우선 초성이 일반 자음이고, 초성과 중성으로 이루어진 1음절의 글자를 입력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키패드 셀의 모음 영역들(322-331)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초성과 중성이 입력된다. 예컨대, '가'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ㄱ'과 관련된 키패드 셀 내 모음 '·'의 모음키 영역(324)을 터치한다. 제어부(12)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324)이 터치된 것으로 감지하면 '가'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고, '가'가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아래아 '·' 모음키 영역(324)을 한 번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초성과 중성으로 결합된 '가'를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괘'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ㄱ"과 관련된 키패드 셀의 'ㅙ" 모음키 영역(329)를 한 번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초성과 중성으로 결합된 '괘'를 입력할 수 있다. 모음 'ㅣ'의 좌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322)은 모음 'ㅓ'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고, 모음 'ㅣ'의 우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324)은 모음 'ㅏ'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또한 모음 'ㅡ'의 상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325)은 모음 'ㅗ'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고, 모음 'ㅡ'의 하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327)은 모음 'ㅜ'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성의 일반 자음은 모음 영역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되므로, 일반 자음 입력을 위한 터치가 불필요하다. 그러나 쌍자음들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드래그 입력이 요구된다.
즉, 제어부(12)는 기본 자음 영역을 시작점으로 하여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쌍자음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한다. 예컨대, ㄲ'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음 영역 'ㄱ'(321) 내 어느 한 점을 터치한 후, 터치 상태를 유지하면서 우측방향으로 그래그한다.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는 쌍자음이 배열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며, 사전 약속에 의해서 세로 방향으로의 드래깅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드래그의 시작점은 기본 자음 영역 내에 있어야 하나 종료점은 기본 자음 영역을 벗어나도 무관하다.
초성이 쌍자음인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드래그 입력에 의해서 초성을 입력하고, 중성인 모음을 별도로 입력해야만 한다. 예컨대, "꼬"를 입력하려면, 'ㄲ' 입력을 위한 드래그, 그리고 'ㅗ'를 입력하기 위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325) 터치가 요구된다.
중성은 단모음과 복모음으로 구별된다. 표 2는 1회 터치에 의해서 입력 가능한 단모음 및 복모음 그리고 2회 터치에 의해서 입력 가능한 복모음을 정리해서 보여준다.
모음 분류 터치 드래그 모음
단모음 1 x ㅏ, ㅓ, ㅣ, ㅗ, ㅡ, ㅜ
단모음 2 x ㅑ, ㅕ, ㅛ, ㅠ
복모음 1 x ㅘ, ㅙ, ㅝ, ㅞ
복모음 1 o ㅔ, ㅐ, ㅚ, ㅢ, ㅟ
복모음 2 o ㅖ, ㅒ
표 2에서 1회 터치에 의해 입력 가능한 모음들을 도 3b에 도시된 키패드 셀과 함께 보면, 'ㅏ'는 모음키 영역(324), 'ㅓ'는 모음키 영역(322), 'ㅣ'는 모음키 영역(323), 'ㅗ'는 모음키 영역(325), 'ㅡ'는 모음키 영역(326), 'ㅜ'는 모음키 영역(327), 'ㅘ'는 모음키 영역(328), 'ㅙ'는 모음키 영역(329), 'ㅝ'는 모음키 영역(330) 그리고 'ㅞ'는 모음키 영역(331)의 터치에 의해서 입력 가능하다.
단모음들 'ㅑ', 'ㅕ', 'ㅛ', 'ㅠ'은 아래아 '·'가 할당된 모음키 영역들(322, 324, 325, 327)에 각각 할당되며, 제어부(12)는 모음키 영역들(322, 324, 325, 327)이 2회 연속적으로 터치될 때 모음들 'ㅑ', 'ㅕ', 'ㅛ', 'ㅠ'이 각각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복모음들 'ㅘ', 'ㅙ', 'ㅝ', 'ㅞ'는 모음키 영역들(328-331)에 각각 할당되어 있다. 그러므로 모음키 영역들(328-331)을 1회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복모음들 'ㅘ', 'ㅙ', 'ㅝ', 'ㅞ'이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100)로 입력될 수 있다.
단모음들 'ㅐ', 'ㅔ', 'ㅚ', 'ㅟ'은 각각 'ㅓ', 'ㅓ', 'ㅗ', 'ㅜ'와 'ㅣ'가 결합된 형태이다. 단모음들 'ㅐ', 'ㅔ', 'ㅚ', 'ㅟ'은 아래아 '·'가 할당된 모음키 영역들(322, 324, 325, 327)에 각각 할당되며, 제어부(12)는 모음키 영역들(322, 324, 325, 327)이 터치된 후 터치된 모음키 영역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모음들 'ㅐ', 'ㅔ', 'ㅚ', 'ㅟ'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드래그 방향은 모음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모음키 영역에서 아래 방향으로 한다. 그러나 드래그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드래그의 시작점은 모음키 영역 내에 있어야 하나 종료점은 모음키 영역을 벗어나도 무관하다.
제어부(12)는 모음 키영역(326)의 'ㅡ'가 터치되고, 모음 키영역(326) 'ㅡ' 내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복모음 'ㅢ'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복모음 'ㅖ'는 단모음 'ㅕ'와 단모음 'ㅣ'가 결합한 것이다. 그러므로, 단모음 'ㅕ'를 입력하기 위한 모음키 영역(324)를 2회 연속적으로 터치한 후 'ㅣ'를 입력하기 위해 모음키 영역(324)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것에 의해서 복모음 "ㅖ"가 입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모음 'ㅒ'는 단모음 "ㅑ"와 단모음 'ㅣ'가 결합한 것이다. 그러므로, 단모음 'ㅑ'를 입력하기 위한 모음키 영역(322)를 2회 연속적으로 터치한 후 'ㅣ'를 입력하기 위해 모음키 영역(322)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것에 의해서 복모음 "ㅒ"가 입력될 수 있다.
다음 표 3은 복모음을 두개의 단모음들로 분리해서 보여준다.
복모음 단모음 분리
ㅓ + l
ㅕ + l
ㅏ + l
ㅑ + l
ㅗ + l
ㅡ + l
ㅜ + l
정리하면, 모음키 영역들(328-331)에 할당된 복모음들 'ㅘ', 'ㅙ', 'ㅝ', 'ㅞ'을 제외한 나머지 복모음들은 대응하는 단모음의 모음키 영역을 2회 터치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단모음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는 것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단모음들 및 복모음들이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종성을 입력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우선 자음키 영역들에서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을 터치하는 것이다. 표 4는 종성으로 자주 사용되는 자음과 종성으로 자주 사용되지 않는 자음을 정리해서 보여준다.
종성으로 자주 사용되는 자음 ㄱ, ㄴ, ㄹ, ㅁ, ㅂ, ㅇ
종성으로 자주 사용되지 않는 자음 ㄷ, ㅅ, ㅈ, ㅊ, ㅋ, ㅍ, ㅎ, ㅆ,
ㄲ,ㄳ,ㄵ,ㄶ,ㄽ,ㄾ,ㅄ, ㄹㄱ, ㄹㅁ, ㄹㅍ
예컨대, 종성으로 'ㄱ'을 입력하고자 하면 자음키 영역(321)을 1회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종성 'ㄱ'이 입력된다. 또한 ''ㄲ'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ㄱ'에 대응하는 자음키 영역(321)을 2회 터치한다.
종성을 입력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종성으로 자주 사용되는 자음들 'ㄱ', 'ㄴ', 'ㄹ', 'ㅁ', 'ㅂ', 'ㅇ'을 필기 입력하는 것이다. 종성을 필기 입력하는 방법은 모음키 영역들(328-331) 상에서 미리 설정된 줄임획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서 가능하다. 모음키 영역들(328-331)은 모음들 'ㅘ', 'ㅙ', 'ㅝ', 'ㅞ'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들이며, 터치 신호에 의해서만 모음이 입력될 뿐 드래그 신호는 입력받지 않으므로, 종성 입력을 위해서 자음들에 대응하는 줄임획을 드래그 방식으로 입력해도 신호에 혼선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 표 5는 종성으로 자주 사용되는 자음들과 그에 대응하는 줄임획을 정리해서 보여준다.
종성 줄임획 특징
'ㄱ'의 마지막 획
'ㄴ'의 마지막 획
'ㄹ'의 상하 위치 획
'ㅂ'의 좌우 위치 획
// 사선 획 2개
/ 사선 획 1개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음절 '홍'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ㅡ'의 상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하고, 종성 'ㅇ'에 대응하는 사선 획을 1회 필기한다. 음절 '길'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ㅣ' 모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하고, 종성 'ㄹ'에 대응하는 줄임획을 필기한다. 음절 '동'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ㅡ'의 상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하고, 종성 'ㅇ'에 대응하는 사선 획을 1회 필기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음절 '대'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ㅣ'의 우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하고, 터치한 모음키 영역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한다. 음절 '학'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ㅣ' 의 우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하고, 종성 'ㄱ'에 대응하는 줄임획을 필기한다. 음절 '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ㅡ'의 상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을 2회 터치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음절 '청'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ㅣ'의 좌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하고, 종성 'ㅇ'에 대응하는 줄임획을 필기한다. 음절 '계'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ㅣ' 의 좌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을 2회 터치하고, 터치한 모음키 영역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한다. 음절 '천'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ㅣ'의 좌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하고, 종성 'ㄴ'에 대응하는 줄임획을 필기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음절 '왜'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ㅙ'에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한다. 음절 '관'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ㅘ'에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하고, 종성 'ㄴ'에 대응하는 줄임획을 필기한다.
도 4e를 참조하면, 음절 '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ㅡ'의 상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한다. 음절 '리'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ㅣ'에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한다. 음절 '밭'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음 'ㅣ'의 우측에 위치한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하고, 종성 'ㅌ'에 대응하는 자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한글의 한 음절 중 초성 입력이 생략되며, 중성 부터 입력이 시작되므로 터치스크린부(10)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한글을 입력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대부분의 한글 한음절이 자음키 영역과 모음키 영역들로 구성된 하나의 키패드 셀 내에서 입력되므로 한글의 한음절 입력을 위한 이동 거리가 최소화되어서 한글 입력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더욱이, 하나의 키패드 셀에 포함되는 자음키 영역과 모음키 영역들이 한글의 글자 구조와 유사하므로 직관적 입력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패널(120)에 표시된 한글음절단위 키패드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형음절단위 키패드(500)는 키패드 셀 영역(510)과 부가 영역(520)을 포함한다. 키패드 셀 영역(510)에는 한글의 14개의 자음들 중 자주 사용되는 9 개의 자음들을 위한 9 개의 키패드 셀들이 포함된다. 키패드 셀 각각에 포함된 자음키 영역 및 모음키 영역들은 도 3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며, 키 입력 방법 또한 동일하다. 예컨대, 자음 'ㄱ'의 키패드 셀(530)은 자음키 영역(531)과 단모음 입력을 위한 모음키 영역들(532-537) 그리고 복모음들 'ㅘ', 'ㅙ', 'ㅝ' 및 'ㅞ' 입력을 위한 모음키 영역(538)을 포함한다.
키패드 셀 영역(510)에 할당되지 않은 자음들 'ㅊ', 'ㅋ', 'ㅌ', 'ㅍ', 'ㅎ'은 키패드 셀의 오른 쪽에 위치한 부가 영역(520)에 일렬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부가 영역(520)의 위치는 키패드 셀 영역(510)의 우측, 상측, 하측 중 어느 하나로 변경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형음절단위 키패드(500)는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하여, 자음키 영역을 1회 또는 2회 연속적으로 터치한다. 예컨대, 'ㄱ'의 자음키 영역(531)을 1회 터치하면 'ㅋ'이 입력되고, 자음키 영역(531)을 2회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ㄲ'이 입력된다. 이 때 'ㄱ'의 자음키 영역(531)이 터치될 때마다 자음키 영역(531)에 표시되는 자음도 'ㄱ', 'ㅋ' 및 'ㄲ' 순으로 변경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초성 자음들 'ㅋ', 'ㅌ', 'ㅍ' 'ㅆ', 'ㅊ', 'ㅎ'은 자음 'ㄱ', 'ㄷ', 'ㅂ', 'ㅅ', 'ㅈ', 'ㅎ'에 각각 대응하는 자음키 영역을 각각 1회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입력 가능하다. 또한 쌍자음 'ㄲ', 'ㄸ', 'ㅃ', 'ㅉ'은 자음'ㄱ', 'ㄷ', 'ㅂ', 'ㅈ'에 각각 대응하는 자음키 영역을 각각 2회 연속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입력 가능하다.
자음키 영역(531)이 'ㄲ'로 표시된 상태에서 다시 한 번 자음키 영역(531)을 1회 터치하면 'ㄱ'이 표시된다. 예컨대, '까'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ㄱ'의 자음키 영역(531)을 2회 연속적으로 터치하고, 아래아'·'의 모음키 영역(534)을 터치하면 된다.
쌍자음을 입력하는 두 가지 방식 즉, 앞서 도 3a 및 도 3b의 한글음절단위 키패드(300)에서 설명한 드래그 방식 및 소형음절단위 키패드(500)의 연속 터치 방식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될 수 있으며, 두 방식을 혼합하여 입력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소형음절단위 키패드(500)는 도 3a에 도시된 한글음절 단위 키패드(300)에 비해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하였으므로 더욱 소형화된 전자장치들 예컨대,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UMPC(ultra mobile PC) 등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소형음절단위 키패드(500)는 도 3a에 도시된 한글음절 단위 키패드(300)와 동일한 방법으로 초성 및 중성을 입력할 수 있다. 소형음절 단위 키패드(500)에서 종성을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음들 중 독립된 자음키 영역이 할당된 기본자음들 'ㅊ', 'ㅋ', 'ㅌ', 'ㅍ', 'ㅎ'을 종성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자음키 영역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가능하다. 그러나 나머지 기본자음들 'ㄱ', 'ㄷ', 'ㅂ', 'ㅅ', 'ㅇ', 'ㅈ'을 종성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종성 입력 방법으로 입력될 수 없다. 왜냐하면, 소형음절단위 키패드(500)에는 기본자음들 'ㄱ', 'ㄷ', 'ㅂ', 'ㅅ', 'ㅇ', 'ㅈ'을 2회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쌍자음이 입력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본자음들 'ㄱ', 'ㄷ', 'ㅂ', 'ㅅ', 'ㅇ', 'ㅈ'을 종성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해당 자음키 영역에서 드래그 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예컨대, 'ㄱ'을 종성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ㄱ'이 할당된 자음키 영역(531)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것에 의해서 종성 'ㄱ'이 입력된다. 나머지 기본자음들 'ㄷ', 'ㅂ', 'ㅅ', 'ㅇ', 'ㅈ'도 'ㄱ'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음키 영역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것에 의해서 각각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음절 '각'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자음키 영역(531)을 1회 터치하고, 아래아 '·' 모음키 영역(534)를 1회 터치한 후 자음키 영역(531)에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한다.
나머지 자음들 'ㄴ', 'ㄹ', 'ㅁ', 'ㅊ', 'ㅋ', 'ㅌ', 'ㅍ', 'ㅎ'은 자음키 영역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직접 종성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12)는 모음키 영역이 터치된 후 종성 입력 방식이 다른 자음군들 즉, 터치에 의해 입력가능한 종성들'ㄴ', 'ㄹ', 'ㅁ', 'ㅊ', 'ㅋ', 'ㅌ', 'ㅍ', 'ㅎ'과 드래그에 의해서 입력 가능한 종성들'ㄱ', 'ㄷ', 'ㅂ', 'ㅅ', 'ㅇ', 'ㅈ'이 서로 다른 색으로 터치스크린부(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형음절단위 키패드(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주 사용되는 6 개의 종성 자음들 'ㄱ', 'ㄴ', 'ㄹ', 'ㅁ', 'ㅂ', 'ㅇ' 뿐만 아니라 'ㄷ', 'ㅅ', 'ㅆ' 및 'ㅈ'도 필기 입력할 수 있다.
종성 자음 'ㄷ', 'ㅅ', 'ㅆ' 및 'ㅈ'의 필기 입력 방법은 표 6에 정리되어 있다.
종성 줄임획 특징
특징획
Figure 112009025886709-pat00001
마지막획
Figure 112009025886709-pat00002
마지막 2획
특징획
이와 같은 소형음절 키패드(500)에서도 한글의 한 음절 중 초성 입력이 생략되며, 중성 부터 입력이 시작되므로 터치스크린부(10)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한글을 입력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성 입력 방식을 적용한 소형음절단위 키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소형음절단위 키패드(600)는, 도 5에 도시된 소형음절단위 키패드(500)와 동일하게, 키패드 셀 영역(610)과 부가 영역(620)을 포함한다. 키패드 셀 영역(610)에는 한글의 14개의 자음들 중 자주 사용되는 9 개의 자음들을 위한 9 개의 키패드 셀들이 포함된다. 예컨대, 자음 'ㄱ'의 키패드 셀(630)은 자음키 영역(631)과 단모음 입력을 위한 모음키 영역들(632-637) 그리고 복모음들 입력을 위한 복모음키 영역(638)을 포함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복모음키 영역(638)은 복모음들 'ㅘ', 'ㅙ', 'ㅝ' 및 'ㅞ' 뿐만 아니라 'ㅣ' 입력을 위한 영역이 복모음들 가운데 더 할당된다. 복모음 영역(638)에 할당된 'ㅣ'는 모음키 영역(633)과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모음 'ㅣ'는 추후 설명될 종성 자음 입력을 위해 복모음 영역(638)에 할당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복모음 영역(638)에 모음 'ㅣ' 이외에 다른 모음이 할당되거나 또는 비어있을 수 있다.
키패드 셀 영역(610)에 할당되지 않은 자음들 'ㅊ', 'ㅋ', 'ㅌ', 'ㅍ', 'ㅎ'은 키패드 셀의 오른 쪽에 위치한 부가 영역(620)에 일렬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부가 영역(620)의 위치는 키패드 셀 영역(610)의 우측, 상측, 하측 중 어느 하나로 변경 배열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도시된 소형음절단위 키패드(600)를 이용한 종성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에 도시된 소형음절단위 키패드(600)는 도 5에 도시된 소형음절 단위 키패드(500)와 동일한 방법으로 초성 및 중성을 입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소형음절단위 키패드(600)는 종성을 입력하는 방식이 도 5에 도시된 소형음절 단위 키패드(500)와 상이하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예컨대, '강'을 입력하기 위하여 초성 자음 'ㄱ'과 관련있는 아래아 '·'모음키 영역(634)을 터치하면 '가'가 입력된다. 이 때, 제어부(12)는 초성 자음 'ㄱ'과 같은 행에 있는 자음 'ㄱ', 'ㄴ' 및 'ㄷ' 각각의 복모음키 영역들(641, 642, 643)에 종성 자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초기에 초성 및 중성을 입력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 'ㄱ', 'ㄴ', 및 'ㄷ' 각각의 복모음 영역에는 'ㅘ', 'ㅙ', 'ㅝ', 'ㅞ'가 디스플레이되나, 중성이 입력되고 나면 복모음들 ㅘ', 'ㅙ', 'ㅝ', 'ㅞ' 대신에 종성 입력을 위한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단, 복모음 영역(641)이 터치될 때 복모음이 입력되는 것과 종성 자음이 입력되는 것을 구별하기 위하여, 복모음 'ㅘ', 'ㅙ', 'ㅝ' 및 'ㅞ'는 연속 2회 터치에 의해서 입력되고, 종성 장음들은 1회 터치에 의해서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종성으로 자주 사용되는 자음 'ㄱ', 'ㄴ', 'ㄹ', 'ㅇ', 'ㅁ' 및 'ㅂ'은 초성 자음으로 입력된 'ㄱ'의 복모음 영역(641)에 대체되어 디스플레이된다. 'ㅁ'과 'ㅂ'은 동일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므로, 1회 터치에 의해서 종성 'ㅁ'이 입력되고, 연속 2회 터치에 의해서 종성 'ㅂ'이 입력될 수 있다.
종성으로 비교적 자주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자음들 'ㅋ', 'ㅍ', 'ㅈ', 'ㅊ', 및 'ㄲ'은 'ㄴ'의 복모음 영역(642)에 대체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자음들 'ㅅ', 'ㅎ', 'ㄷ', 'ㅌ' 및 'ㅆ'은 'ㄷ'의 복모음 영역(643)에 대체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앞선 예에서 '강'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아래아 '·'모음키 영역(634)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가'가 입력되고, 복모음 영역(641)에 디스플레이된 'ㅇ'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강'이 입력될 수 있다.
만일 '값'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래아 '·'모음키 영역(634)을 터치한 후, 종성 자음이 디스플레이된 복모음 영역(641) 내 'ㅂ'을 2회 터치하고, 복모음 영역(643) 내 'ㅅ'을 1회 터치하면 된다.
이 때, 자음으로 입력된 'ㄱ'이 속한 1행의 복모음 영역들(641-643)에만 종성 장음들이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2행 및 3행의 복모음 영역들은 복모음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7b는 초성 자음 'ㄴ'이 입력된 경우 모음키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종성 자음들을 예시적을 보여준다.
초성 자음 'ㄴ'과 관련있는 모음키 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ㄴ'의 복모음 영역(642)에 종성으로 자주 사용되는 자음 'ㄱ', 'ㄴ', 'ㄹ', 'ㅇ', 'ㅁ' 및 'ㅂ' 디스플레이된다. 종성으로 비교적 자주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자음들 'ㅋ', 'ㅍ', 'ㅈ', 'ㅊ', 및 'ㄲ'은 'ㄱ'의 복모음 영역(641)에 대체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자음들 'ㅅ', 'ㅎ', 'ㄷ', 'ㅌ' 및 'ㅆ'은 'ㄷ'의 복모음 영역(643)에 대체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7c는 초성 자음 'ㄷ'이 입력된 경우 모음키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종성 자음들을 예시적을 보여준다.
초성 자음 'ㄷ'과 관련있는 모음키 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ㄷ'의 복모음 영역(643)에 종성으로 자주 사용되는 자음 'ㄱ', 'ㄴ', 'ㄹ', 'ㅇ', 'ㅁ' 및 'ㅂ' 디스플레이된다. 종성으로 비교적 자주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자음들 'ㅋ', 'ㅍ', 'ㅈ', 'ㅊ', 및 'ㄲ'은 'ㄱ'의 복모음 영역(641)에 대체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자음들 'ㅅ', 'ㅎ', 'ㄷ', 'ㅌ' 및 'ㅆ'은 'ㄴ'의 복모음 영역(642)에 대체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주 사용되는 종성 자음들을 이미 입력된 초성 자음과 관련있는 복모음 영역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종성 입력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 때에도 나머지 2행 및 3행의 복모음 영역들은 복모음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6에 도시된 소형음절단위 키패드를 이용하여 '관광단'을 입력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우선 자음 'ㄱ'과 관련있는 복모음 영역의 'ㅘ'를 2회 터치하면 '과'가 입력된다. 모음이 입력되고 나면, 자음 'ㄱ'이 속하는 행의 복모음 영역들에는 종성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ㄴ'을 1회 터치하면 '관'이 입력된다(도 8b). 종성 자음 'ㄴ'이 입력되고 나서 1행의 복모음 영역들에는 자음들 디스플레이된 상태로 유지된다.
계속해서 'ㄱ'과 관련있는 복모음 영역의 'ㅘ'에 해당하는 종성 자음 'ㄱ'를 연속 2회 터치하면 초성 자음 'ㄱ'과 복모음 'ㅘ'이 결합된 '과'가 입력된다(도 8c). 'ㄱ'과 관련있는 복모음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자음 'ㅇ'을 1회 터치하면 '과'와 'ㅇ'이 결합하여 '광'이 입력된다(도 8d). 'ㄷ'과 관련있는 모음 영역에서 'ㅣ'의 오른쪽에 위치한 아래아 '·'모음키 영역을 1회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다'가 입력된다(도 8e). 초성 'ㄷ'이 입력됨에 따라서 'ㄷ'이 속하는 1행의 복모음 영역에는 종성 자음들이 새롭게 디스플레이된다. 마지막으로 'ㄷ'과 관련있는 복모음 영역의 'ㄴ'을 1회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단'이 입력될 수 있다(도 8f).
도 8에서는 도 6에 도시된 키패드의 1행 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키패드의 나머지 2행 및 3행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된다.
도 9a 내지 도 9e는 도 6에 도시된 소형음절단위 키패드를 이용하여 '여왕벌'을 입력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을 참조하면, 초성 자음 'ㅇ'과 관련있는 모음 영역의 'ㅣ'의 좌측에 위치한 아래아 '·'를 연속 2회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ㅇ'와 'ㅕ'가 결합된 '여'가 입력될 수 있다. 중성 모음 'ㅕ'가 터치됨에 따라서 3행의 복모음 영역들에는 종성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왕'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복모음 'ㅘ'를 터치해야 하나, 3행의 복모음 영역들에 종성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 때 초성 자음 'ㅇ'과 관련된 복모음 영역의 'ㄱ'은 원래 복모음 'ㅘ'의 자리이므로 'ㄱ'을 2회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와'가 입력된다(도 9b). 이 때 사용자는 1행 및 2행에 디스플레이된 복모음들 'ㅘ', 'ㅙ', 'ㅝ', 및 'ㅞ'를 참조하여 3행의 'ㅘ'의 위치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중성 복모음 'ㅘ'가 입력된 후 3행은 종성 자음이 입력될 수 있도록 복모음 영역들에는 종성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된 상태가 유지된다. 키패드(600)의 1행 및 2행의 복모음 영역들은 복모음들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ㅇ'과 관련있는 복모음 영역의 'ㅇ'을 1회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와'와 'ㅇ'이 결합하여 '왕'이 입력된다(도 9c). 종성 자음 'ㅇ'이 입력됨에 따라서 3행의 복모음키 영역들에는 다시 복모음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버'를 입력하기 위하여 2행의 'ㅂ'과 관련있는 'ㅣ' 모음키 영역의 왼쪽에 위치한 아래아 '·'를 1회 터치한다(도 9d). 'ㅂ'과 'ㅓ'의 결합에 의해서 '버'가 입력된다. 'ㅂ'과 관련있는 모음키 영역의 아래아 '·'가 터치됨에 따라서 2행의 복모음키 영역들에는 종성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된다. 'ㅂ'과 관련있는 복모음 영역의 'ㄹ'을 1회 터치하는 것에 의해서 '버'와 종성 자음 'ㅂ'이 결합되어서 '벌'이 입력된다(도 9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성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서 줄임획을 기억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키패드를 통한 한글 입력이 더욱 간편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패널(120)에 표시된 한글음절단위 키패드의 배열을 보여주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ㄱ'관련 키패드 셀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 패널(120)에 표시된 한글음절단위 키패드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성 입력 방식을 적용한 소형음절단위 키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소형음절단위 키패드를 이용하여 '관광단'을 입력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소형음절단위 키패드를 이용하여 '왕벌'을 입력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26)

  1.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 및 문자 입력모드시 한글 음절단위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키패드로의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 신호 및 드래그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부; 그리고
    상기 터치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에 대응하는 한글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패널은,
    한글 자음들에 각각 대응하는 키패드 셀들로 분할되며, 상기 키패드 셀들 각각은 대응하는 자음의 자음키 영역 및 아래아 '·', 모음 'ㅡ', 'ㅣ', 'ㅘ', 'ㅙ', ㅝ' 및 'ㅞ'에 각각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키 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될 때, 상기 터치된 모음키 영역이 속하는 키패드 셀에 대응하는 자음을 초성으로 하고, 상기 터치된 모음키 영역에 대응하는 모음을 중성으로 하는 한글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쌍자음들 'ㄲ', 'ㄸ', 'ㅃ', 'ㅆ', 'ㅉ'은 각각 'ㄱ', 'ㄷ', 'ㅂ', 'ㅅ', 'ㅈ'에 대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쌍자음들에 대응하는 상기 자음 영역들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자음 영역에 대응하는 쌍자음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셀들 각각은 상기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을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은 상기 'ㅣ' 모음키 영역의 좌측 및 우측, 그리고 상기 'ㅡ'모음키 영역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모음들 'ㅏ', 'ㅓ', 'ㅗ' 및 'ㅜ'는 상기 복수의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 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모음들 'ㅑ', 'ㅕ', 'ㅛ', 'ㅠ'은 상기 복수의 아래아 '·'들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제어부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 각각이 2회 터치될 때 대응하는 모음 'ㅑ', 'ㅕ', 'ㅛ', 'ㅠ'이 각각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모음들 'ㅐ', 'ㅔ', 'ㅚ', 'ㅟ'은 상기 복수의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제어부는 대응하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이 터치되고, 상기 대응하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에서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상기 모음들 'ㅐ', 'ㅔ', 'ㅚ', 'ㅟ'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모음들 'ㅖ' 및 'ㅒ'는 각각 상기 모음들 'ㅓ' 및 'ㅏ'에 각각 대응하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에 대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응하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들이 2회 터치되고, 상기 대응하는 아래아 '·' 모음키 영역에서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상기 모음들 'ㅖ' 및 'ㅒ'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음키 영역 'ㅡ'가 터치되고, 상기 모음키 영역 'ㅡ'에서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모음 'ㅢ'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 'ㅘ', 'ㅙ', 'ㅝ' 및 'ㅞ'에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들에 자음에 대응하는 줄임획이 드래그 방식으로 입력될 때 입력된 줄임획에 대응하는 자음이 종성으로서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키 영역들을 통하여 모음이 입력된 후 상기 자음키 영역이 터치되면 터치된 자음키 영역에 대응하는 자음이 종성으로서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한글 자음들 중 일군의 자음들 각각에 대응하는 키패드 셀들과 타군의 자음들을 입력하기 위한 부가 자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일군의 자음들에 대응하는 키패드 셀들 각각은 대응하는 자음의 상기 자음키 영역 및 아래아 '·', 모음 'ㅡ', 'ㅣ', 'ㅘ', 'ㅙ', 'ㅝ' 및 'ㅞ'로 구성된 상기 모음키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ㄱ', 'ㄷ', 'ㅂ', 'ㅅ', 'ㅈ', 'ㅇ'이 각각 1회 터치될 때 자음들 'ㅋ', 'ㅌ', 'ㅍ' 'ㅆ', 'ㅊ', 'ㅎ'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ㄱ', 'ㄷ', 'ㅂ', 'ㅈ'이 각각 2회 연속 터치될 때 쌍자음 'ㄲ', 'ㄸ', 'ㅃ', 'ㅉ'이 입력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음 입력 후 일군의 자음들 'ㄴ', 'ㄹ', 'ㅁ', 'ㅊ', 'ㅋ', 'ㅌ', 'ㅍ', 'ㅎ'에 대응하는 자음키 영역들이 터치될 때 종성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음 입력 후 타군의 자음들 'ㄱ', 'ㄷ', 'ㅂ', 'ㅅ', 'ㅇ', 'ㅈ'에 대응하는 자음키 영역에서 제3 방향으로 드래그될 때 자음키 영역에 대응하는 자음이 종성으로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음 입력 후 상기 일군의 자음들과 상기 타군의 자음들에 대응하는 자음키 영역들이 서로 다른 색으로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 'ㅘ', 'ㅙ', 'ㅝ' 및 'ㅞ'에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들에 자음에 대 응하는 줄임획이 드래그 방식으로 입력될 때 입력된 줄임획에 대응하는 자음이 종성으로서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음들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ㅆ', 'ㅇ', 'ㅈ' 각각에 대응하는 줄임획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자음들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및 'ㅈ'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키패드 셀들은 복수의 행들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키 영역들 중 'ㅘ', 'ㅙ', 'ㅝ' 및 'ㅞ'에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들은 연속 2회 터치될 때 대응하는 모음키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키 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될 때, 터치된 모음 키 영역이 속하는 행의 모음키 영역들 중 'ㅘ', 'ㅙ', 'ㅝ' 및 'ㅞ'에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들에는 종성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키 영역들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종성 자음들은 'ㄱ', 'ㄴ', 'ㄹ', 'ㅇ', 'ㅁ', 'ㅂ', 'ㅋ', 'ㅍ', 'ㅈ', 'ㅊ', 'ㄲ', 'ㅅ', 'ㄷ', 'ㅎ', 'ㅌ' 및 'ㅆ'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키 영역들에 상기 종성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상기 종성 자음들이 1회 터치될 때 대응하는 종성 자음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셀들은 적어도 제1행 및 제2행으로 나뉘어 배열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행에 속하는 상기 모음키 영역들에 상기 종성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2행의 자음키 영역 또는 모음키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제1행의 모음키 영역들에는 상기 모음들 'ㅘ', 'ㅙ', 'ㅝ' 및 'ㅞ'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행의 모음키 영역들 중 'ㅘ', 'ㅙ', 'ㅝ' 및 'ㅞ'에 대응하는 모음키 영역들에는 상기 종성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KR1020090037250A 2008-06-30 2009-04-28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KR101074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691 2008-06-30
KR1020080062691A KR20080072606A (ko) 2008-06-30 2008-06-30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187A KR20100003187A (ko) 2010-01-07
KR101074457B1 true KR101074457B1 (ko) 2011-10-18

Family

ID=398828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691A KR20080072606A (ko) 2008-06-30 2008-06-30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KR1020090037250A KR101074457B1 (ko) 2008-06-30 2009-04-28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691A KR20080072606A (ko) 2008-06-30 2008-06-30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800726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0475B (zh) * 2010-08-31 2012-05-09 浙江大学 基于移动设备触摸屏笔画识别的遥控器及遥控电器的方法
KR101269630B1 (ko) * 2011-07-12 2013-06-07 김유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187A (ko) 2010-01-07
KR20080072606A (ko)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1235B1 (en) Rapid entry of data and information on a reduced size input area
US6947771B2 (e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JP4863211B2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100949581B1 (ko)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US101334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US20110037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using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EP153012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recognition
WO2010099835A1 (en) Improved text input
JP2000278391A (ja) 背面手書き入力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US75619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s to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KR20050025267A (ko)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074457B1 (ko)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
KR20100121218A (ko)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
KR201100031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100784260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단말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20155137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55801B1 (ko) 한글 입력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것의 키패드 표시 방법
JP2017027096A (ja) ソフトウエアキーボードプログラム、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KR1010453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2014140236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20040067592A (ko) 입력창 이동 방식의 필기입력장치 및 입력창의 위치이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