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569A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569A
KR20150130569A KR1020140056864A KR20140056864A KR20150130569A KR 20150130569 A KR20150130569 A KR 20150130569A KR 1020140056864 A KR1020140056864 A KR 1020140056864A KR 20140056864 A KR20140056864 A KR 20140056864A KR 20150130569 A KR20150130569 A KR 20150130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touch
space
word
dr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1020140056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0569A/ko
Publication of KR20150130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56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나 터치 패드(Touch pad)와 같은 터치식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터치와 드래그를 통해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터치와 드래그를 통한 입력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단말기 상에서, 터치와 드래그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들로 구성된 단어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띄어쓰기와 소문자와 대문자간의 전환에 관한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The method to input character in touch screen }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나 터치 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스크린이나 터치 패드와 같은 사용자의 터치와 드래그를 통한 입력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단말기 상에서, 터치와 드래그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들로 구성된 단어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대문자와 소문자간의 전환과 띄어쓰기에 관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은 각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력 장치 중 하나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등의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직접 접촉함으로서, 기기와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종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는 단어와 단어 사이에 띄어쓰기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특정한 키를 터치하여 단어와 단어 사이에 띄어쓰기를 형성하게 한다. 또 한 대문자와 소문자간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알파벳을 사용하는 문자인 경우에도 별도의 전환키를 터치해야 대문자와 소문자간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터치스크린에 띄어쓰기나 대.소문자의 전환을 위하여 별도의 키를 구성하거나, 다중 기능을 가진 키들의 구성이 늘어나게 되어 한정된 터치스크린 상에서 문자 입력의 난이도가 높아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한된 크기의 터치스크린에서 터치하는 키의 수가 많거나, 각종 키들이 복합 기능을 가져 다중 터치의 횟수가 많아 질수록 문자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노동력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자 입력에 필요한 터치 동작을 감소시켜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문자 입력을 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함에 있다.
컴퓨터의 키보드에서 문자 입력을 할 때 가장 많이 터치되는 키는 띄어쓰기를 하는 스페이스 키일 것이다. 가장 많이 흔히 사용하기 때문에 문자 입력 키들의 중앙의 접하기 손쉬운 곳에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해서 터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문자 입력을 빠르고 쉽게 한다. 그러나 제한된 크기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컴퓨터의 스페이스 키와 같은 형태는 존재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흔히 빈번하게 사용하는 띄어쓰기 키를 따로 형성하지 않고, 입력키를 터치하면 터치된 키의 문자가 표시되고, 터치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드래그하면 한 칸 띄기가 된 상태에서 터치된 문자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문자의 종류에 따라서 터치 후 드래그 하는 방법은 문자에 따라서 차이를 둘 수 있다.
알파벳과 같이 대문자와 소문자의 전환도 터치 후 드래그 방향에 따라서 칸 띄기와 대,소문자의 구성을 달리할 수 있어 별도의 전환키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에 요구되는 시간 및 키 버튼 터치 횟수를 감소시켜 보다 빠르고 간편한 문자 입력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은, 기본적으로 터치스크린에서 할당된 문자가 입력 배치된 키패드를 터치한 후, 그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한 칸 띄기를 하고 터치된 문자가 디스플레이 창에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터치와 드래그를 통하여 한 칸 띄기 후 터치스크린 상에 문자를 구현하는 방식은 사용하는 언어의 종류에 의해 터치하는 키와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다.
영어의 알파벳 같은 경우 대문자와 소문자 간의 전환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해서는 드래그의 방향성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My name is Hong Gil-dong" 이라는 문장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단어의 형태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띄어쓰기를 하는데 있어서 단어의 첫 알파벳이 대문자로 형성된 단어와 소문자로 형성된 단어, 그리고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 대문자로 구분하여 드래그의 방향성을 달리할 필요가 있으며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 소문자는 드래그 동작없이 터치만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인용문의 문장을 예로 들면 name 이나 is 란 단어는 단어의 첫 알파벳이 소문자로 구성된 상태에서 한 칸을 띄어 구성하는데 이런 경우는 name의 n을 is는 i를 터치 후 우측→ 으로 드래그하면 한 칸 띄기후 알파벳 n과 i가 입력되고 연이어 입력되는 알파벳은 드래그 없는 터치로 입력이 된다. 첫 알파벳이 대문자로 구성되고 띄어쓰기를 하는 단어인 Hong 이나 Gil 같은 경우 Hong의 H를 Gil의 G를 터치후 위로↑ 드래그하여 한 칸 띄기를 구현하며, 띄어쓰기를 하지않은 단어인 My는 M을 터치 후 아래로↓ 드래그하면 띄어쓰기 없는 대문자 M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된다.
한글은 자음과 모음이 매우 규칙적인 배열로 구성된 조합에 의해서 문자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문자 조합의 특징 중 하나는 각 개개의 글자 하나 하나가 자음을 초성으로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띄어쓰기를 하는 단어의 첫 글자를 형성하는 자음을 터치 후 일측으로 드래그하여 한 칸 띄어 자음이 입력된 후 다음부터 입력되는 모음이나 자음은 터치만으로 입력하거나, 단어의 마지막에 오는 모음이나 자음을 터치하여 단어를 형성하고, 일측으로의 드래그를 통하여 띄어쓰기를 구현한다. 할당된 키들의 이중터치를 하지 않는 상태로 문자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자음키를 이중터치하여 띄어쓰기를 디스플레이 한다. 일본어의 히라가나나 가타가나나 중국어의 간자체 같은 경우도 형성된 단어의 첫 음소나 마지막 음소를 일 측으로 드래그하여 띄어쓰기를 할 수 있다.
단어를 이루는 기초인 각종 언어 부호들이 한 키에 다수개가 존재하여 이중터치 혹은 다중터치에 의해 문자가 디스플레이 창에 구현되는 경우에는 이중터치 혹은 다중터치 후에 드래그하여 띄어쓰기 및 대문자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일반 문자키와 더불어 별도의 특정키의 터치에 의하여 발현되는 문자인 경우에는 특정키를 터치후 드래그하여 한 칸 띄어쓰기로 문자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abc'라는 문자가 한 키에서 구현되는 경우 a는 1번, b는 2번, c는 3번의 터치로 각각의 문자가 구현된다면 문자에 맞는 터치를 한 후 드래그한다. 또한 특정키를 눌러야 하는 경우 a는 1번, b는 1번+#키, c는 1번+*키, 로 구현되는 경우는 #이나 *키를 터치후 드래그하여 구현한다.

Claims (8)

  1.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의한 입력 문자를 감지하여 구현하고, 구현 후 드래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드래그가 발생하면 드래그의 방향성을 판단하여, 드래그의 방향성에 따라 띄어쓰기나 대문자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대문자와 소문자로 구성된 문자에 있어서;
    단어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한 칸 띄고 소문자 형성, 한 칸 띄고 대문자 형성, 띄어쓰기를 하지 않고 대문자 형성을 구분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터치 후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드래그에 의해서 각각의 문자를 구현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 한글에 있어서;
    단어의 첫머리에 오는 자음을 일측으로 드래그하여 한 칸 띄기를 한 후 자음을 표기하고, 다음에 형성되는 모음과 자음은 터치에 의해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일본어나 중국어 같은 경우 띄어쓰기를 하는 단어의 첫 음소를 터치 후 일측으로 드래그하여 한 칸 띈 후 문자를 형성하는 문자 입력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한 키에 다수개의 문자가 존재하여 이중 터치나 다중 터치에 의해서 구현되는 문자인 경우는 마지막 터치로 인식된 문자의 키를 일측으로 드래그하여 한 칸 띈 후 문자를 구현하는 문자 입력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변환키의 터치에 의해서 변환되어 구현되는 문자인 경우는 변환키의 터치 후 일측으로 드래그하여 한 칸 뛴 후 문자를 구현하는 문자 입력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단어의 마지막에 오는 모음이나 자음을 터치한 후 단어를 형성하고, 일측으로의 드래그를 통하여 띄어쓰기를 구현하는 문자 입력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단어의 마지작 음소를 터치한 후 일측으로 드래그하여 단어를 형성하고 띄어쓰기를 구현하는 문자 입력 장치.


KR1020140056864A 2014-05-13 2014-05-13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20150130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864A KR20150130569A (ko) 2014-05-13 2014-05-13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864A KR20150130569A (ko) 2014-05-13 2014-05-13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666A Division KR101550140B1 (ko) 2014-05-24 2014-05-24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569A true KR20150130569A (ko) 2015-11-24

Family

ID=54844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864A KR20150130569A (ko) 2014-05-13 2014-05-13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056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536A (ko) * 2010-05-24 201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97836A (ko) * 2011-02-25 2012-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536A (ko) * 2010-05-24 2011-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97836A (ko) * 2011-02-25 2012-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9018B2 (ja) キーパッド
KR101039284B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248752B1 (ko) 터치스크린의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US10430029B2 (en) Character input assist device
KR20150130569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20090047257A (ko)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1550140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US10275042B2 (en) Text input keyboard
CN105373235B (zh) 一种输入变音符号字母的方法
KR2015006210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N203966065U (zh) 电脑或手机的字母键盘
KR20150066204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드래그 방식 문자입력방법 및 그 장치
KR101152293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창 출력방법 및 문자입력창 출력장치
KR20100027195A (ko)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127868B1 (ko) 멀티터칭을 위한 한손 한글자판배열 및 입력방법
KR101509571B1 (ko) 대기시간이 없는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KR20220039662A (ko) 숫자 또는 도메인 입력을 쉽게 하는 키보드
KR20190137762A (ko) 한글 모음 입력 방법
CN104317421A (zh) 按键手写手机汉字输入法
KR20230128238A (ko) 3d 터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및 문자 수정 방법
JP2012141923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KR20190091227A (ko)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20210041543A (ko) 휴대폰을 포함한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에서의 키보드 ui
JP2010238255A (ja) キー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34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21

Effective date: 2020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