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831A - 중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중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831A
KR20100003831A KR1020080063849A KR20080063849A KR20100003831A KR 20100003831 A KR20100003831 A KR 20100003831A KR 1020080063849 A KR1020080063849 A KR 1020080063849A KR 20080063849 A KR20080063849 A KR 20080063849A KR 20100003831 A KR20100003831 A KR 20100003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de
chinese
pinyin
chinese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환
왕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831A/ko
Priority to CN200810178786A priority patent/CN101620500A/zh
Publication of KR2010000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성조를 이용한 중국어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본 중국어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인터페이스부,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궤적에 매칭되는 성조부호를 결정하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병음 부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병음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 중에서 상기 결정된 성조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탐색된 중국어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중국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성조, 병음

Description

중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Chinese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중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조를 이용하여 중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문자입력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제공하고 있는데, 응용 소프트웨어가 발전함에 따라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소프트 키보드는 이미지 키보드로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문자 입력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화면에 소프트 키보드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이나 조이스틱 등의 장치와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 또는 기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하여 중국어를 입력하는 방식에는 부수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식, 병음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부수 등을 이용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은 소프트 키보드에 25개 글꼴(부수 나 글자 쪼가리)을 배열하고 이 중 원하는 글꼴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이며, 병음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은 중국어 발음을 영어로 입력하여 제시된 단어들 중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의 경우 소프트 키보드가 디스플레이 화면 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문자 입력을 요구한 환경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하는 문자에 대한 확신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협소한 디스플레이 환경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병음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영문 타자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나, 동일한 발음을 갖는 단어가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제시된 후보군 중 원하는 단어를 선택해야 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기타, 음성 인식 방식은, 마이크를 이용해 말을 하면 프로그램이 알아서 한자로 바꿔주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음성 인식 방식은 발음의 정확성 일관성 등이 필요하고 한 사람 한 사람의 화자와 프로그램간의 적응 과정이 만만치 않아 인식률을 높이기에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캐너로 입력하는 방식은, 글자를 그림파일처럼 스캔하면 프로그램이 한자로 하나하나 인식해서 마치 타자쳐서 입력한 듯이 살려 나가는 방식이다. 이러한 스캐너 입력은 우선 인쇄된 글자가 선명해야 하고 글자체가 번체자냐 간체자냐를 가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중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성조를 이용하여 중국어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중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국어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궤적에 매칭되는 성조부호를 결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병음 부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병음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 중에서 상기 결정된 성조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탐색된 중국어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병음 부호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구비된 키 및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병음 부호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병음 부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병음 부호를,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로 바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병음 부호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병음 부호의 일 측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병음 부호가 자음만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 성조 부호를 가지는 전체 중국어 문자 중, 입력된 자음을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가 복수 개인 경우, 기존 입력 횟수에 기초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국어 입력 방법은,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궤적에 매칭되는 성조부호를 결정하는 단계, 병음 부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병음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 중에서 상기 결정된 성조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하는 단계 및, 탐색된 중국어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병음 부호는 인터페이스부에 구비된 키 및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입력되는 병음 부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병음 부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표시된 병음 부호를,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로 바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되는 병음 부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를 상기 표시된 병음 부호의 일 측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음 부호가 자음만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 성조 부호를 가지는 전체 중국어 문자 중, 입력된 자음을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가 복수 개인 경우, 기존 입력 횟수에 기초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터치 방식으로 성조를 입력함으로써 중국어 입력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병음의 자음 만을 입력함으로써 영문 자판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용이하게 중국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국어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문자 입력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및 표시부(130)를 포함한다. 본 중국어 입력 장치(100)는 중/소형 크기의 CE 디바이스, S/W 기반 PC OS 상의 입력 장치, 전자수첩,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네비게이터(Navigator), 등 터치 센서 류를 사용하는 모든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입력하고자 하는 중국어 문자의 성조 및 병음 부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병음이란 중국어의 발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영문자로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어 발음이 "우룽"인 경우 병음은 "WULUN"으로 표기될 수 있다.
또한, 성조란 중국어의 악센트라고 할 수 있는데, 단순한 '강약의 악센트'가 아닌 독특한 굴곡의 변화를 가지고 있는 '고저(高低) 악센트라고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중국어의 성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조는 제1성 내지 제2성으로 구분된다.
제1성은 고조에서 굴곡없이 높고 평탄하게 지속되는 것이고, 제2성은 중조에서 빠르게 끝까지 상승하는 것이다. 또한, 제3성은 평상톤(반저조)에서 아래로 내려왔다가 완만히 상승하는 것이고, 제4성은 고조에서 짤고 빠르게 하강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부(110)는 터치(touch)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는 본 명세서에서 화면 위를 지시하기 위한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된다)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이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기타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 화면을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은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 패널(touch panel)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을 장착한 화면에 미리 나타낸 문자나 그림 정보를 손으 로 접촉하면, 접촉한 화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컴퓨터로 처리하도록 하여, 아주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 접촉에 따른 터치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접촉은 사용자의 손끝은 물론 터치 가능한 기타 다양한 물체가 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인터페이스부(110)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에 따른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궤적에 매칭되는 성조 부호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인터페이스부(110)에서 병음 부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병음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 중 결정된 성조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한다. 또는 결정된 성조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 중 입력된 병음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한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탐색된 중국어 문자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TFT(Thin Film Transistor), 유기 EL(Organic Eletroluminescence) 등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병음 부호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병음 부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표시부(130)에 표시된 병음 부호를, 탐색된 중국어 문자로 바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탐색된 중국어 문자를 표시부(130)에 표시된 병음 부호의 일 측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병음 부호가 자음만 입력된 경우,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 성조 부호를 가지는 전체 중국어 문자 중, 입력된 자음을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탐색된 중국어 문자가 복수 개인 경우, 기존 입력 횟수에 기초한 우선 순위에 따라 탐색된 중국어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10) 및 표시부(130)는 일체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30)은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부(110) 상에서 터치를 감지하지 못하는 소정 영역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가 인터페이스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입력장치(300)의 제1 영역에 표시부(330)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2 영역에 인터페이스부(310), 즉 터치 스크린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영역만을 표시하였으나, 그 이외에 본 입력장치(300) 또는 본 입력장치(300)를 구비한 장치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메뉴 버튼이 터치 스크린 내에서 소프트 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터치 스크린(310)이 일부 영역에만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입력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전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가 인터페이스부와 별도로 구현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입력장치(400)에서 표시부(430)와 터치 스크린(410-1)은 별도로 마련된다. 즉, 표시부(430)를 포함하는 영역은 터치 스크린(410-1)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30)를 포함하는 영역은 병음 부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10-2)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입력부(410-2)는 키 패드 또는 소프트 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입력장치(400) 또는 본 입력장치(400)를 구비한 장치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병음 부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성조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패드와 일체로 인터페이스부(510)를 구성하며, 인터페이스부(510)는 표시부(530)와 별도로 구비된다.
도 5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510) 내에 병음 부호를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부(330)가 인터페이스부(310)와 일체 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루는 경우를 전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성조를 터치 방식으로 그려서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6d에 따르면, 사용자가
Figure 112008047803790-PAT00001
"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6a 및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310)에 해당 성조 "\" 및 "/"를 차례로 터치하여 입력한다. 이어서, 6c 에 도시된 바와 해당 문자의 병음 부호 "WULUN"를 입력한다. 이 경우, 해당 문자인 "
Figure 112008047803790-PAT00002
"이 바로 제시되게 된다. 제시된 문자는 사용자의 별도의 선택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며, 또는 해당 문자가 하나인 경우에는 바로 입력될 수 있다.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성조를 터치 방식으로 그려서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7d에 따르면, 사용자가
Figure 112008047803790-PAT00003
"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7a 및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성조 "\" 및 "/"를 차례로 그려서 입력한다. 이어서, 7c 에 도시된 바와 해당 문자의 병음 부호 "WULUN" 중 자음인 "W L"만을 입력한다. 이 경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성조 및 병음 부호의 자음에 해당하는 문자가 제시되게 된다. 이 경우, 관련 문자가 복수 개 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시된 문자들 중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련 문자가 복수 개인 경우 기존 입력 횟수에 기초한 우선 순위에 따라 탐색된 중국어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성조 부호 입력의 완료되면, 별도로 구비된 완료키를 입력하고, 병음 부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성조 부호의 입력이 완료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병음 부호를 입력하여 성조 입력과 병음 부호 입력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성조를 터치 선택하여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에 따르면, 4 개의 성조 부호가 소프트 키 형태로 제공된다. 제공된 성조 부호 중 입력하고자 하는 성조 부호를 터치 선택하여 입력한다. 즉, 사용자가 "
Figure 112008047803790-PAT00004
"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성조 부호("-", "-")에 해당하는 소프트 키 "
Figure 112008047803790-PAT00005
"를 두 번 연속하여 터치한다. 또는, 해당 성조 부호("-", "-")에 해당하는 소프트 키에 표시된 성조 부호의 궤적을 따라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문자의 병음 "SHUQIN"을 입력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문자 "
Figure 112008047803790-PAT00006
"이 표시되거나 바로 입력될 수 있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성조를 터치 선택하여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에 따르면, 4 개의 성조 부호가 소프트 키 형태로 제공된다. 제공된 성조 부호 중 입력하고자 하는 성조 부호를 터치 선택하여 입력한다. 즉, 사용자가 "
Figure 112008047803790-PAT00007
"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성조 부호("-", "-")에 해당하는 소프트 키 "
Figure 112008047803790-PAT00008
"를 두 번 연속하여 터치한다. 또는, 해당 성조 부호("-", "-")에 해당하는 소 프트 키에 표시된 성조 부호의 궤적을 따라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문자의 병음 "SHUQIN" 중 자음 "SHQ" 또는 "SQ"를 입력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112008047803790-PAT00009
"을 포함하는 관련 문자들이 표시되거나, 대응되는 문자가 하나인 경우에는 바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 병음 부호는 제시된 알파벳을 선택하여 입력하거나, 또는 터치 방식으로 그려서 입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국어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우선,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궤적에 매칭되는 성조 부호를 결정힌다(S1010). 이어서, 병음 부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병음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 중에서 상기 결정된 성조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한다(S1020). 이후, 탐색된 중국어 문자를 표시한다(S1030).
이 경우, 병음 부호는 인터페이스부에 구비된 키 및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입력되는 병음 부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병음 부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표시된 병음 부호를, 탐색된 중국어 문자로 바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탐색된 중국어 문자를 상기 표시된 병음 부호의 일 측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병음 부호가 자음만 입력된 경우,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 성조 부호를 가지는 전체 중국어 문자 중, 입력된 자음을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하여, 표시 할 수 있다.
또한, 탐색된 중국어 문자가 복수 개인 경우, 기존 입력 횟수에 기초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에서는 성조가 먼저 입력되고 병음이 나중에 입력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성조 및 병음의 입력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국어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중국어의 성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가 인터페이스부와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가 인터페이스부와 별도로 구현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성조를 터치 방식으로 그려서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성조를 터치 방식으로 그려서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성조를 터치 선택하여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성조를 터치 선택하여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국어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중국어 입력 장치 110, 210 : 인터페이스부
120, 220 : 제어부 130, 230 : 표시부

Claims (12)

  1.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궤적에 매칭되는 성조부호를 결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병음 부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병음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 중에서 상기 결정된 성조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탐색된 중국어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중국어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음 부호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구비된 키 및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병음 부호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병음 부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병음 부호를,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로 바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중국어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병음 부호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병음 부호의 일 측에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병음 부호가 자음만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 성조 부호를 가지는 전체 중국어 문자 중, 입력된 자음을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입력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가 복수 개인 경우, 기존 입력 횟수에 기초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입력 장치.
  7.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궤적에 매칭되는 성조부호를 결정하는 단계;
    병음 부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병음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 중에서 상기 결정된 성조 부호를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하는 단계; 및
    탐색된 중국어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국어 입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병음 부호는 인터페이스부에 구비된 키 및 상기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입력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병음 부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병음 부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표시된 병음 부호를,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로 바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입력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병음 부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를 상기 표시된 병음 부호의 일 측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입력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병음 부호가 자음만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 성조 부호를 가지는 전체 중국어 문자 중, 입력된 자음을 가지는 중국어 문자를 탐색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입력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가 복수 개인 경우, 기존 입력 횟수에 기초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탐색된 중국어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어 입력 방법.
KR1020080063849A 2008-07-02 2008-07-02 중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20100003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849A KR20100003831A (ko) 2008-07-02 2008-07-02 중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CN200810178786A CN101620500A (zh) 2008-07-02 2008-12-01 汉字输入设备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849A KR20100003831A (ko) 2008-07-02 2008-07-02 중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831A true KR20100003831A (ko) 2010-01-12

Family

ID=4151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849A KR20100003831A (ko) 2008-07-02 2008-07-02 중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03831A (ko)
CN (1) CN1016205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02A1 (ko) * 2015-11-06 2017-05-11 문기성 색성조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592081B2 (en) 2013-11-01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nguage input method and multi-language input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68986B (zh) * 2010-05-17 2015-01-11 Htc Corp 電子裝置、其輸入方法與電腦程式產品
WO2012094811A1 (en) * 2011-01-12 2012-07-19 Motorola Mobilit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chinese language input to touch screen
KR101242210B1 (ko) * 2011-06-02 2013-04-03 주식회사 참글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CN103713845B (zh) * 2013-12-16 2017-01-25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筛选候选项的方法和装置、文字输入方法和输入法系统
CN104635949A (zh) * 2015-01-07 2015-05-20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汉字输入装置及方法
CN108549493B (zh) * 2018-04-04 2022-10-04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候选词筛选方法及相关设备
CN112698734B (zh) * 2020-12-24 2024-04-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候选词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2081B2 (en) 2013-11-01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nguage input method and multi-language input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7078202A1 (ko) * 2015-11-06 2017-05-11 문기성 색성조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20500A (zh)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342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JP6000385B2 (ja) 多国語キー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00003831A (ko) 중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US20140143703A1 (en) Configurable multilingual keyboard
KR20120006503A (ko) 개선된 텍스트 입력
KR20100086451A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3015808A (ja)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
WO2007121673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amélioration de la vitesse de saisie de caractères chinois
US20080158201A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60104743A (ko)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KR101046914B1 (ko) 귀환적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174091A1 (en) Nine-key chinese input method
KR100651396B1 (ko)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US9250710B2 (en) User interface for a hand held device
US8711100B2 (en) Sign language keyboard and sign language searc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563282B2 (en) Brahmi phonemics based keyboard for providing textual inputs in indian languages
KR20130037484A (ko) 터치스크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장치
US9841873B1 (en) Process for reducing the number of physical actions required while inputting character strings
US20150317077A1 (en) Handheld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US20140191975A1 (en)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KR20130069363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1373552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속기 장치
TWI468986B (zh) 電子裝置、其輸入方法與電腦程式產品
Banubakode et al. Survey of eye-free text entry techniques of touch screen mobile devices designed for visually impaired users
EP41397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tering logograms into a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