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150B1 -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150B1
KR102009150B1 KR1020180137487A KR20180137487A KR102009150B1 KR 102009150 B1 KR102009150 B1 KR 102009150B1 KR 1020180137487 A KR1020180137487 A KR 1020180137487A KR 20180137487 A KR20180137487 A KR 20180137487A KR 102009150 B1 KR102009150 B1 KR 102009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ign language
sensor
contact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은혜
김정집
홍두의
Original Assignee
권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은혜 filed Critical 권은혜
Priority to KR102018013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화 또는 지화를 자동으로 변환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 및 손목에 설치되는 센서를 통해 수화 또는 지화를 인식하며, 인식된 수화 또는 지화를 글 또는 음성으로 번역하여 출력부에 나타냄으로써 의사소통 가능하도록 하는 수화 또는 지화 자동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및 방법{Automat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Sign language or Finger Language}
본 발명은 수화 또는 지화를 자동으로 변환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수화 또는 지화를 인식하여, 수화 또는 지화를 글 또는 음성으로 번역하여 출력부에 나타냄으로써 의사소통 가능하도록 하는 수화 또는 지화 자동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화는 손의 움직임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시각언어로서, 농아인이 사용하는 의사소통 수단으로 근래에는 농아인과 비장애인 사이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일반인을 위한 수화교육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초급, 중급, 고급 혹은 한국 수화 1,2,3,4 등의 단계별로 수준에 맞게 수화 문장이나 수화동영상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문수화통역사 양성을 위하여 수화와 함께 전문영역별로 수화를 번역과 통역을 할 수 있도록 의료, 법률, 교육, 직업, 방송 등의 전문수화의 지도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이 수화를 능숙하게 사용 및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의 보급이 확산과 함께 많은 농아인이 역시 이러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타인과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화를 자동으로 문자 또는 소리로 통역하는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4561호(수화 자동 인식 글라스 장치, 이하 종래기술)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수화장갑을 착용한 각 손가락의 움직임을 착용하여서 수화문자 또는 소리로 번역할 수 있도록 촬영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수화장갑을 착용한 각 손가락의 움직임을 착용하여서 수화를 문자 또는 소리로 번역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수화장갑을 착용한 후 별도로 촬영장치를 더 필요로 하여 급히 이용되거나 또는 간편하게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6-0004561호(수화 자동 인식 글라스 장치)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들과 비장애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별도의 카메라 장비 또는 통역사가 없더라도 수화 또는 지화를 인식하여 글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수화 또는 지화를 인식하여 글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 관절 또는 손가락 사이 마디에 설치되어, 상기 손가락 관절의 굴절상태를 인식하거나 또는, 압력 또는 접촉을 인식하는 핑거센서, 사용자의 손등 또는 손바닥에 설치되어, 손의 방향을 인식하는 밴드 및 상기 핑거센서에 인식된 값에 대응되는 자음 또는 모음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핑거센서는, 접점의 형태로 설치되어, 각 손가락에 설치된 핑거센서의 접촉으로 대응되는 음소를 확인하여 문장 또는 문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핑거센서를 통한 수화 또는 지화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수화 또는 지화의 표현이 완성된 시점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다음줄(Enter) 및 띄어쓰기(Space)를 수행하는 접점번호를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200)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동작센서(210) 및 입력신호분석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입력신호분석부(220)로부터 분석된 값을 데이터베이스의 값과 매칭하여 출력하는 출력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센서(210)를 통해 입력된 손목 동작 신호를 통해 손의 상하좌우 방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화 또는 지화를 인식하여 글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손가락의 관절 또는 마디에 설치되는 핑거센서(100)가 손가락 관절의 굴절상태 및 다른 손가락에 설치된 핑거센서와의 접촉을 인식하여, 각 손가락에 설치된 핑거센서의 접촉으로 대응되는 음소를 확인하여 문장 또는 문자를 형성하고, 상기 핑거센서를 통한 수화 또는 지화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수화 또는 지화의 표현이 완성된 시점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다음줄(Enter) 및 띄어쓰기(Space)를 수행하는 접점번호를 더 설정하는 단계, 밴드(200)가 손등 또는 손바닥에 설치되어 손의 상하좌우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값을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음절을 매칭하는 단계 및 매칭된 음절을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화 또는 지화를 인식하여 글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좌수의 동작센서가 손동작을 인식하고, 핑거센서가 접점의 형태로 설치되어, 압력 및 접촉을 인식하며, 각 손가락에 설치된 핑거센서의 접촉으로 대응되는 음소를 확인하여 문장 또는 문자를 형성하고, 상기 핑거센서를 통한 수화 또는 지화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수화 또는 지화의 표현이 완성된 시점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다음줄(Enter) 및 띄어쓰기(Space)를 수행하는 접점번호를 더 설정하는 단계, 우수의 동작센서가 손동작을 인식하고, 핑거센서가 접점의 형태로 설치되어, 압력 및 접촉을 인식하며, 각 손가락에 설치된 핑거센서의 접촉으로 대응되는 음소를 확인하여 문장 또는 문자를 형성하고, 상기 핑거센서를 통한 수화 또는 지화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수화 또는 지화의 표현이 완성된 시점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다음줄(Enter) 및 띄어쓰기(Space)를 수행하는 접점번호를 더 설정하는 단계, 좌수 및 우수의 입력신호 분석부에서 입력된 손동작, 압력 및 접촉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값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부는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출력장치는 타이밍부 및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별도의 장비가 필요한 수화 또는 지화 인식장치에 비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통역이 가능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전체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작동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화 작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화 작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화 작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화 작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화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화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화용 좌수를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화용 우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화용 우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수화 또는 지화를 인식하여, 수화 또는 지화를 글로 번역하여 출력부에 나타냄으로써 의사소통 가능하도록 하는 수화 또는 지화 자동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전체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화 및 지화 인식 장치는 크게 핑거센서(100), 및 밴드(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핑거센서(100)는 사용자의 손가락 관절 및 관절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손가락의 굴절상태 및 엄지와 다른 손가락 관절사이의 접촉상태를 인식한다. 각 손가락의 관절과 관절사이마다 설치된 핑거센서(100)는 각각 센싱 역할을 하며, 각 관절의 굴절상태 및 엄지와 다른 손가락 관절사이의 접촉상태를 센싱하게 된다. 상기 핑거센서(100)는 접점의 형태로 설치되며, FPCB 또는 미세전류를 통한 무선센서로 설치되나, 실시예에 따라 압력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핑거센서(100)는 , 터치센서 또는 압전센서 등 손가락의 굴절 및 접촉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센서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또한 동작센서(210)은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센서 등 손의 상하좌우 움직임의 확인이 가능한 센서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기 밴드(200)는 사용자의 손등 또는 손바닥 등에 설치되어 손의 방향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 또는 손목에 설치되는 제어부는 후술하는 장치들을 포함하는 제어장치로서, 제어부 또는 제어장치로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작동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화 또는 지화를 인식하여 글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좌수의 동작센서가 손동작을 인식하고, 핑거센서가 손가락 관절의 굴절상태 및 엄지와 다른 손가락관절 사이의 접촉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우수의 동작센서가 손동작을 인식하고, 핑거센서가 손가락 관절의 굴절상태 및 엄지와 다른 손가락관절 사이의 접촉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양손에 각각 동작센서 및 핑거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신호 분석부 및 통신부 또한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화 지화 방법은 좌수 및 우수의 입력신호 분석부에 입력된 손동작, 손가락 관절의 굴절상태 및 엄지와 다른 손가락관절 사이의 접촉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값을 출력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출력부는 각각 입력된 음소를 음절조합부로 전송하며, 상기 음절조합부는 타이밍부 및 피드백부를 포함한다. 음절조합부에서 오류 없는 음절은 출력장치에 그 출력값을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음절조합부는 출력장치, 좌수 출력부, 우수 출력부 중 어디에도 배치 가능하다.
이때, 상기 출력장치는, 스마트폰 앱 또는 PC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또는 접촉점에 대응하는 문자(한글 자모, 영어 알파벳 등)를 데이터베이스에 자유롭게 변경하여 저장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동작센서(210), 입력신호분석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동작센서(210)는 상기 사용자가 수화 또는 지화를 진행할 시, 손의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로, 손의 방향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실시예에 따라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입력신호분석부(220)로부터 분석된 값을 데이터베이스의 값과 매칭하여 출력하는 출력부(230)를 통해 음절조합부를 거쳐 출력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출력부(230)는 유선, 무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에 설치된 핑거센서(100)로부터 손가락 관절의 굴절상태 및 엄지와 다른 손가락관절 사이의 접촉여부를 인식한 후, 그 값을 입력신호분석부(220)에서 분석하게 된다.
상기 입력신호분석부는, 자음 및 모음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비교부 및 피드백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핑거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음 및 모음과 비교하게 되는데, 이때 비교는 상기 비교부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값은 피드백부로 전송되어, 피드백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절조합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음절조합부는 데이터베이스, 타이밍부, 비교부 및 피드백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음절조합부는 상기 핑거센서로부터 인식된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저장된 음절과 비교하게 되며, 이때 상기 비교는 비교부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음절조합부는 좌수 및 우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 좌수 및 우수 모두에 구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분석된 값은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그 값과 일치하는 자음 또는 모음과 매칭하여 출력부(230)를 통해 음절조합부로 전송하고, 출력장치의 타이밍부는 좌수와 우수의 입력타이밍에 따라 매칭되는 음절을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출력장치는 완성된 음절을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한글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한글 지문자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로, 영어로 표현하고자 할 경우 영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국문 및 영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 가능한 다른 외국어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스마트폰 앱 또는 PC등을 활용하여 동작과 문자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출력신호장치(230)를 통해 전송되는 음절 또는 문장은, 스마트 폰의 앱 등과 연동될 수 있으며, 문자로 출력될 시 문자의 출력이 가능한 모니터, 아이패드, 스마트 폰, LED,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장치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음성으로 출력될 시, 이어폰, 스피커 등 다양한 장치로 출력 가능하다. 상기 문자 또는 음성 출력 장치는 전술한 장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출력이 가능한 장치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센서(210)를 통해 입력된 손동작 신호를 통해 손의 상하좌우 방향을 인식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수화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핑거센서(R1~R14)는 손가락 관절에 설치되는 센서로서, 손가락 안쪽(손바닥) 및 바깥쪽(손등) 모두 사용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역(ㄱ)을 표현하고자 할 시, 먼저 도 7에 도시된 한글 지문자에 해당하는 모양을 사용자의 손으로 표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밴드(200)는 아래를 향한 상태로 인식하게 되고, R1에서 R5까지의 핑거센서(100)는 엄지와 검지에 부착된 센서로서, 입력신호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R6에서 R14까지의 핑거센서(100)는 접혀 압력을 느끼게 되고 신호가 입력됨을 알 수 있다. 밴드(200)의 아랫방향을 인식하는 센서 및 R6에서 R14까지의 핑거센서(100)를 인식함으로써 기역(ㄱ)을 표현하게 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니은(ㄴ)을 표현하고자 할 시, 먼저 도 7에 도시된 한글 지문자에 해당하는 모양을 사용자의 손으로 표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밴드(200)는 오른쪽을 향한 상태로 인식하게 되고, R1에서 R5까지의 핑거센서(100)는 엄지와 검지에 부착된 센서로서, 입력신호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R6에서 R14까지의 핑거센서(100)는 접혀 압력을 느끼게 되고 신호가 입력됨을 알 수 있다. 밴드(200)의 오른쪽 방향을 인식하는 센서 및 R6에서 R14까지의 핑거센서(100)를 인식함으로써 니은(ㄴ)을 표현하게 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아(ㅏ)를 표현하고자 할 시, 먼저 도 7에 도시된 한글 지문자에 해당하는 모양을 사용자의 손으로 표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밴드(200)는 위를 향한 상태로 인식하게 되고, R3에서 R5까지의 핑거센서(100)는 검지에 부착된 센서로서, 입력신호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R1, R2 및 R6 에서 R14까지의 핑거센서(100)는 접혀 압력을 느끼게 되고 신호가 입력됨을 알 수 있다. 밴드(200)의 윗방향을 인식하는 센서 및 R1, R2 및 R6에서 R14까지의 핑거센서(100)를 인식함으로써 아(ㅏ)를 표현하게 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야(ㅑ)를 표현하고자 할 시, 먼저 도 7에 도시된 한글 지문자에 해당하는 모양을 사용자의 손으로 표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밴드(200)는 위를 향한 상태로 인식하게 되고, R3에서 R8까지의 핑거센서(100)는 검지 및 중지에 부착된 센서로서, 입력신호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R1, R2 및 R9에서 R14까지의 핑거센서(100)는 접혀 압력을 느끼게 되고 신호가 입력됨을 알 수 있다. 밴드(200)의 윗방향을 인식하는 센서 및 R1, R2 및 R9에서 R14까지의 핑거센서(100)를 인식함으로써 야(ㅑ)를 표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수화 또는 지화를 인식하여 글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손가락에 설치되는 핑거센서(100)가 손가락의 굴절상태를 인식하는 단계, 손목에 설치되어 손의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값을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글자를 매칭하는 단계 및 매칭된 글자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자음 또는 모음에 해당하는 한글 지문자를 손가락으로 표현하게 되면, 핑거센서(100)는 각 손가락의 접힘 여부를 인식하게 되고, 밴드(200)는 상하좌우를 인식하게 되어 지문자를 완성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지문자는 조합되어, 단어로 완성되게 되며, 완성된 단어 또는 문장은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화용 핑거센서는 좌수와 우수가 동일 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왼손 및 오른손의 구분이 없어, 한쪽 손을 이용하여 언어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화의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핑거센서(R15~R28)는 손가락 마디에 설치되는 센서이다. 즉, 손가락 안쪽의 손가락 관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가락 마디에 설치된 핑거센서의 접촉으로 대응되는 음소를 확인하여 문장 또는 문자를 형성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상기 지화용 핑거센서를 착용한 사용자가 R15(엄지손가락 첫 번째 핑거센서) 및 R17(검지손가락 첫 번째 핑거센서)을 서로 접촉하였을 경우, 이는 좌수 음소에 대응되는 국문 'ㄱ'임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화용 핑거센서는 서로 접촉을 통해 대응되는 음소를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국문의 경우 자음과 모음을 한손으로 표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양손을 모두 사용하게 되며, 좌수/우수로 구분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라 좌수/우수의 대응 음소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데이터베이스의 설정을 통해 사용자가 대응시키고자 하는 방법으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센서의 접촉 상태에 따른 모음을 나타내고자 할 경우, 공지된 기술인 천지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천지인이란, 주로 핸드폰에 사용되던 모음 조합 방식으로, ㅇ, -, l를 이용하여 모든 모음을 나타내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일 예로, 'ㅏ'를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 R29와 R33을 접촉하여 l를 나타내고, 그 뒤 R29와 R31을 접촉하여 ㅇ를 나타내어 'ㅏ'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지인 기술을 이용하지 않고, 실제 모음을 각각 대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ㅏ'를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 R29와 R31을 접촉하여, 한번의 접촉만으로 'ㅏ'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화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세 개 이상을 접촉하여 다른 기호 또는 음소를 더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ㅖ'와 같은 경우, 도 11의 대응 음소에 따르면 두가지 접점으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ㅕ'와 'l'을 조합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R29, R34 및 R40을 조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화장치는 다양한 접점을 설정하여, 다양한 기호 등을 더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줄(Enter) 또는 띄어쓰기(Space)를 표현하고자 할 경우, 상기 다음줄(Enter) 및 띄어쓰기(Space)를 수행할 접점번호를 더 설정하여 사용 가능하다.
다음은 밴드(200)와 핑거센서(100)를 통한 수화 또는 지화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경우, 핑거센서(100)와 동작센서(210)이 인식한 값을 언제 사용자의 수화와 지화의 표현이 완성된 시점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인식의 정확률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일 예로 도면 7의 'ㄷ'을 표현하는 경우와 'ㄹ'을 표현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 경우, 사용자는 'ㄹ'을 표현하기 위해, 검지를 펴고, 이후 중지를 펴고, 마지막으로 약지를 펴게 된다. 이 때 센서들의 값을 인식하여 수화나 지화의 문자를 판단하는 시점을 약지를 펴기 전으로 하게 되면,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는'ㄷ'을 표현한다고 판단하여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명확하게 표현하지 못할 우려가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핑거센서
200 : 밴드
210 : 동작센서
220 : 입력신호분석부
230 : 출력부
300 : 음절조합부
R1 ~ R14 : 수화용 핑거센서
R15 ~ R28 : 지화용 핑거센서

Claims (7)

  1. 수화 또는 지화를 인식하여 글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 관절 또는 손가락 사이 마디에 설치되어, 상기 손가락 관절의 굴절상태를 인식하거나 또는, 압력 또는 접촉을 인식하는 핑거센서;
    사용자의 손등 또는 손바닥에 설치되어, 손의 방향을 인식하는 밴드; 및
    상기 핑거센서에 인식된 값에 대응되는 자음 또는 모음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핑거센서는, 접점의 형태로 설치되어, 각 손가락에 설치된 핑거센서의 접촉으로 대응되는 음소를 확인하여 문장 또는 문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핑거센서를 통한 수화 또는 지화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수화 또는 지화의 표현이 완성된 시점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다음줄(Enter) 및 띄어쓰기(Space)를 수행하는 접점번호를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200)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동작센서(210) 및 입력신호분석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입력신호분석부(220)로부터 분석된 값을 데이터베이스의 값과 매칭하여 출력하는 출력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센서(210)를 통해 입력된 손목 동작 신호를 통해 손의 상하좌우 방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5. 수화 또는 지화를 인식하여 글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손가락의 관절 또는 마디에 설치되는 핑거센서(100)가 손가락 관절의 굴절상태 및 다른 손가락에 설치된 핑거센서와의 접촉을 인식하여, 각 손가락에 설치된 핑거센서의 접촉으로 대응되는 음소를 확인하여 문장 또는 문자를 형성하고,
    상기 핑거센서를 통한 수화 또는 지화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수화 또는 지화의 표현이 완성된 시점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다음줄(Enter) 및 띄어쓰기(Space)를 수행하는 접점번호를 더 설정하는 단계;
    밴드(200)가 손등 또는 손바닥에 설치되어 손의 상하좌우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값을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음절을 매칭하는 단계; 및
    매칭된 음절을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또는 지화 인식 방법.
  6. 수화 또는 지화를 인식하여 글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좌수의 동작센서가 손동작을 인식하고, 핑거센서가 접점의 형태로 설치되어, 압력 및 접촉을 인식하며, 각 손가락에 설치된 핑거센서의 접촉으로 대응되는 음소를 확인하여 문장 또는 문자를 형성하고, 상기 핑거센서를 통한 수화 또는 지화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수화 또는 지화의 표현이 완성된 시점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다음줄(Enter) 및 띄어쓰기(Space)를 수행하는 접점번호를 더 설정하는 단계;
    우수의 동작센서가 손동작을 인식하고, 핑거센서가 접점의 형태로 설치되어, 압력 및 접촉을 인식하며, 각 손가락에 설치된 핑거센서의 접촉으로 대응되는 음소를 확인하여 문장 또는 문자를 형성하고, 상기 핑거센서를 통한 수화 또는 지화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수화 또는 지화의 표현이 완성된 시점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다음줄(Enter) 및 띄어쓰기(Space)를 수행하는 접점번호를 더 설정하는 단계;
    좌수 및 우수의 입력신호 분석부에서 입력된 손동작, 압력 및 접촉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값을 출력부를 통해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또는 지화 인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출력장치는 타이밍부 및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또는 지화 인식 방법.
KR1020180137487A 2018-11-09 2018-11-09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009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87A KR102009150B1 (ko) 2018-11-09 2018-11-09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87A KR102009150B1 (ko) 2018-11-09 2018-11-09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150B1 true KR102009150B1 (ko) 2019-08-09

Family

ID=6761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487A KR102009150B1 (ko) 2018-11-09 2018-11-09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1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8700A (zh) * 2020-09-04 2020-12-11 北京服装学院 一种文字信息输入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1112421A1 (ko) * 2019-12-04 2021-06-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압전센서를 이용한 모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3057A (ko) * 2006-01-04 2008-09-12 아이런 윌 크리에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손가락 장착 센서를 이용한 정보 입력
KR20150044084A (ko) * 2013-10-15 2015-04-2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수화 인식 장치
KR20160004561A (ko) 2014-07-03 2016-01-13 이정원 수화 자동 인식 스마트 글라스 장치
KR20180096897A (ko) * 2017-02-22 2018-08-30 (주)엔피프틴 굽힘 센서를 이용한 영어 지화용 글러브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3057A (ko) * 2006-01-04 2008-09-12 아이런 윌 크리에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손가락 장착 센서를 이용한 정보 입력
KR20150044084A (ko) * 2013-10-15 2015-04-2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수화 인식 장치
KR20160004561A (ko) 2014-07-03 2016-01-13 이정원 수화 자동 인식 스마트 글라스 장치
KR20180096897A (ko) * 2017-02-22 2018-08-30 (주)엔피프틴 굽힘 센서를 이용한 영어 지화용 글러브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421A1 (ko) * 2019-12-04 2021-06-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압전센서를 이용한 모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12068700A (zh) * 2020-09-04 2020-12-11 北京服装学院 一种文字信息输入方法、装置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807B1 (ko) 수화 번역기, 시스템 및 방법
US10446059B2 (en) Hand motion interpretation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7022062B2 (ja) 統合化された物体認識および顔表情認識を伴うvpa
KR101819458B1 (ko) 음성 인식 장치 및 시스템
US201600422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gnition and translation of gestures
Lokhande et al. Data gloves for sign language recognition system
US20130108994A1 (en) Adaptive Multimodal Communication Assist System
CN107632980A (zh) 语音翻译方法和装置、用于语音翻译的装置
Rizwan et al. American sign language translation via smart wearable glove technology
KR102269466B1 (ko) 동작 인식 기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2009150B1 (ko)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224977B1 (ko) 아동학습용 한글 교육 방법
Küçükdermenci Sign language voice convertor design using Raspberry pi for impaired individuals
WO2017206861A1 (zh) 一种人机对话平台
KR20150045335A (ko) 수화 동작을 인식하여 문자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7570251B2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JP2016105248A (ja) 言語触覚変換装置
Nájera et al. Recognition of mexican sign language through the leap motion controller
KR20210073856A (ko) 휴대용 수화 번역기 및 수화 번역 방법
AU2021101436A4 (en) Wearable sign language detection system
Sapkota et al. Smart glove for sign language translation using Arduino
CN114489352A (zh) 一种拼音键盘输入法及一种便携键盘
KR20130128172A (ko) 장애인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생성방법
KR20050032296A (ko) 지화 인식 방법 및 장치
CN104765469B (zh) 一种基于音节的指间触碰式输入系统及输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