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719B1 -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719B1
KR100901719B1 KR1020080011470A KR20080011470A KR100901719B1 KR 100901719 B1 KR100901719 B1 KR 100901719B1 KR 1020080011470 A KR1020080011470 A KR 1020080011470A KR 20080011470 A KR20080011470 A KR 20080011470A KR 100901719 B1 KR100901719 B1 KR 100901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button
vowel
portable terminal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모
Original Assignee
김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모 filed Critical 김영모
Priority to KR1020080011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Abstract

통상의 문자입력수단의 중심부에 기본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모음입력수단을 구성하여 자음과 모음을 명확히 구분하면서도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를 줄이도록 함과 동시에 문장부호 입력버튼을 확보하여 문장부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한글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즉 입력버튼 중심에 구성되는 5와 8이 기재된 두 개의 입력버튼을 중심부와 상하좌우로 구분되는 5개의 입력버튼(21,22,23,24,25)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입력버튼에 두 개의 기본 모음을 기재한 모음입력수단(20)과, 하단의 4열에 구성되는 세 개의 입력버튼(31,32,33)에 기본문장부호를 각각 기재한 부호입력수단(30)을 임의로 구분하고 나머지 모든 입력버튼(11,12,13,14,16,17,19)에 각각 2개 내지 3개의 기본자음을 기재하여 자음입력수단(10)으로 각각 구분하여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 배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 한글자판 배열구조, 한글입력, 모음입력수단, 부호입력수단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The Korean alphabet letter arrangement structure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 구비한 통상의 문자입력수단의 중심부에 기본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모음입력수단을 구성하여 자음과 모음을 명확히 구분하면서도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를 줄이도록 함과 동시에 문장부호 입력버튼을 확보하여 문장부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한글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이동통신 휴대용 단말기들이 널리 보급되며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음성통화는 물론 휴대용 단말기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정지영상뿐만 아니라 동영상 촬영까지 가능하게 하여 영상통화까지도 용이하게 하고 있으며,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반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스피커나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휴대용 음악 재생기로서의 기능까지도 탑재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휴대용 단말기들은 휴대성과 이동성이라는 측면에서 소형 경량화가 필수적이고, 이러한 점 때문에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에는 적지않은 제약이 따르게 되는 것으로서 즉 액정화면 장치의 크기와 사용자의 각종 기기 조작 명령이나 데이터 입력을 위한 수단의 크기와 수량에 대한 제한이 따르게 된다.
통상적인 대부분의 이동통신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보편적으로 입력버튼을 이용해서 기기 조작 명령을 입력하여 필요로 하는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한된 크기와 수량의 입력버튼을 이용해서 문자, 숫자, 각종기호(이하 '문자'로 통칭함)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입력버튼에 여러 개의 문자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는 멀티 입력버튼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특히, 한글문장을 입력하고자 할 때 한글이 14자의 기본자음과 10자의 기본모음으로 이루어짐을 기본으로 하며, 기본자음끼리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각각의 병서와, 자음과 모음이 서로 결합하거나 병서와 모음이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문자 로 이루어짐으로써, 표기하여야할 문자가 무궁무진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적인 문자입력을 위한 입력버튼이 12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한된 수량의 입력버튼을 이용해서 기기 조작 명령을 하거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하나의 입력버튼을 여러 번에 걸쳐 반복적으로 조작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구성되는 입력버튼에 위치한 특수문자인 "*"와 "#" 입력버튼을 제외한 10개의 입력버튼에 각각 2개의 자음과 ".""ㅣ""ㅡ"로 이루어지는 천지인을 기본으로 하는 모음으로 구분하여 기본자음과 기본모음을 부여하거나 도 1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입력버튼에 각각 2개 내지 3개 이상의 자음과 2개 내지 3개 이상의 모음으로 구분하여 기본자음과 기본모음을 부여하여 한글문장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버튼을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정해진 입력버튼에 자음과 모음을 복수로 각각 나열하여 배치함에 따라 필요한 문장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입력버튼에 나열된 자음과 모음을 순차적으로 입력하게 되는데 이때 입력하고자하는 문자의 자음이나 모음이 입력버튼의 두 번째나 세 번째에 부여되면 입력버튼을 그 순서에 맞게 반복하여 입력버튼을 눌러 필요로 하는 자음이나 모음이 액정화면에 나타나도록 하여야 한다.
때문에, 도 8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을 천지인으로 사용할 경우 "왜"와 같은 천지인이 반복되어 이루어지는 문자를 액정화면에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모음버튼만 5번을 반복적으로 눌러야 하는 바와 같이 모음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많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입력버튼에 다수의 자음과 모음을 나열한 입력버튼을 사용하는 경우 필요한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각각의 자음과 모음이 도시된 입력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줘야 함으로서 각각의 자음과 모음이 기재된 입력버튼을 숙지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표현하고자 문자가 기재된 입력버튼을 일일이 대조해가면서 눌러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자주 문자 입력을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는 표기하고자 하는 문자가 정확하게 눌러진 것을 액정화면으로 확인하면서 필요한 문자를 입력버튼에서 찾아서 눌러야 하기 때문에 자신의 단말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문자 입력이 어려운 불편함이 있어 문자입력의 효율이 낮아지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각각의 불편함이 있음에도 생산업체나 판매업체에서는 이에 마땅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소비자 또한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감수하면서도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일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12개로 개별 구성되는 입력버튼의 중심에 구성되는 두 개의 입력버튼을 기본 모음이 기재되는 5개의 입력버튼으로 구분되는 모음버튼 수단과 하단에 "#" 버튼과 "*" 버튼은 물론 "0" 버튼의 입력버튼에 기본문장부호를 각각 기재한 부호버튼 수단으로 구분하고 여타 입력버튼에 자음을 중복으로 기재하여 자음과 모음과 분장부호를 각각 구별하여 문자입력에 서투른 초보자들도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면서도 입력버튼의 적은 누름 횟수로 필요로 하는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 문장부호를 문자와 같이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이 더욱 신속하면서도 용이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위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 구비한 12개의 입력버튼을 가로로 3행, 세로로 4열이 되도록 규칙적으로 나열하여 1행1열에서 3행3열까지 1에서 9까지의 숫자를 차례로 기재하고 2행4열에 숫자 '0'을 기재하며 1행4열에 '*'와 3행4열에 '#'을 각각 기재하여 구성한 문자입력수단(1)에 있 어서, 각각의 입력버튼 중심에 구성되는 5와 8이 기재된 두 개의 입력버튼을 중심부와 상하좌우로 구분되는 5개의 입력버튼(21,22,23,24,25)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입력버튼에 두 개의 기본 모음을 기재한 모음입력수단(20)과, 하단의 4열에 구성되는 세 개의 입력버튼(31,32,33)에 기본문장부호를 각각 기재한 부호입력수단(30)을 임의로 구분하고 나머지 모든 입력버튼(11,12,13,14,16,17,19)에 각각 2개 내지 3개의 기본자음을 기재하여 자음입력수단(10)으로 각각 구분하여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 배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모음입력 수단(20)의 구성은 5개의 입력버튼 중 중앙부에 구성한 입력버튼에 'ㅡ' 및 'l'가 기재된 제1모음버튼(21)과 상부에 구성한 입력버튼에 'ㅗ' 및 'ㅛ'를 기재한 제2모음버튼(22)과 하부에 구성되는 입력버튼에 'ㅜ' 및 'ㅠ'를 기재한 제3모음버튼(23)과 좌측에 구성되는 입력버튼에 'ㅓ' 및 'ㅕ'를 기재한 제4모음입력버튼(24)과 우측에 구성되는 입력버튼에 'ㅏ' 및 'ㅑ'를 기재한 제5모음버튼(25)으로 구성한다.
또한, 부호입력수단(30)으로 구성되는 세 개의 입력버튼 중 *번 입력버튼(32)에 '% ^ & ~'의 부호를 기재하고, 0번 입력버튼(31)에 '. , ! ?'의 부호를 기재하며, #번 입력버튼(33)에 '@ )( -'의 부호를 각각 기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로 인하여 한글문자의 자음과 모음이 용이하게 구분됨으로써, 자음과 모음이 서로 중복되거나 교차하면서 형성되는 한글문자를 입력이 한글을 쓰는 방식과 동일함에 따라 문자입력에 익숙하지않은 초보자도 용이하게 입력방식을 쉽게 습득할 수 있어 초보자들이 사용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현대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을 보지않고도 한 손가락만으로도 문자입력이 익숙한 숙련된 사용자들 또한 입력버튼의 누르는 속도를 더욱 빨리 습득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특히 문자입력수단의 중심부에 모음입력수단을 형성함에 따라 문자입력수단의 외형이 독특하고 미려해짐은 물론 부호입력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하는 도중에 필요한 문자부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로도 완벽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 종래의 문자입력 방법에 비해 더욱 편리하고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유익한 그 기대되는 바가 매우 큰 발명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대한 상세한 사용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 설명키로 하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한 것일 뿐 하기 실시 예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된 것이 아니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적인 상세한 설명들이 부여되지 않거나 상세한 설명에서 일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응용되어 사용되어 질 것이 자명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T)에 구성된 문자입력수단(1)에 구성되는 다수의 입력버튼에 각각의 자음과 모음 및 문자부호를 일정한 규칙에 의해 나열하여 입력하고자하는 문자가 기재된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버튼을 작동하여 액정화면(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글문자 배열구조의 구조에 의해 자음과 모음 및 문자부호의 나열과 같은 것으로서,
1번 입력버튼(11)에 ㄱㅋ 또는 ㄱㅋㄲ으로 나열되는 자음을 부여하고
2번 입력버튼(12)에 ㄴㄹ으로 나열되는 자음을 나열하며,
3번 입력버튼(13)에 ㄷㅌ 또는 ㄷㅌㄸ으로 나열되는 자음을 부여하고,
4번 입력버튼(14)에 ㅁㅂ 또는 ㅁㅂㅃ으로 나열되는 자음을 부여하며,
6번 입력버튼(16)에 ㅅㅍ 또는 ㅅㅍㅆ으로 나열되는 자음을 부여하고,
7번 입력버튼(17)에 ㅇㅎ으로 나열되는 자음을 부여하며,
9번 입력버튼(19)에 ㅈㅊ 또는 ㅈㅊㅉ 으로 나열되는 자음을 부여하여서 자 음을 입력할 수 있는 자음입력수단을 구성하고,
*번 입력버튼(32)에는 ~ ; : "로 나열되는 문장부호를 부여하고,
0번 입력버튼(31)에는 . , ! ?로 나열되는 문장부호를 부여하며,
#번 입력버튼(33)에는 @ ( ) -로 나열되는 문장부호를 부여하여 기본적인 문장부호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장부호입력수단(30)을 구성하며,
5번과 8번 두 개의 입력버튼을 중심부와 상하좌우로 구분되는 5개의 입력버튼(21,22,23,24,25)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입력버튼에 두 개의 기본 모음을 기재한 것으로서,
중앙부에 구성한 입력버튼에 'ㅡ' 및 'l'가 기재된 제1모음버튼(21)과
상부의 5번 입력버튼에 'ㅗ' 및 'ㅛ'를 기재한 제2모음버튼(22)과
하부의 8번 입력버튼에 'ㅜ' 및 'ㅠ'를 기재한 제3모음버튼(23)과
좌측에 구성되는 입력버튼에 'ㅓ' 및 'ㅕ'를 기재한 제4모음버튼(24)과
우측에 구성되는 입력버튼에 'ㅏ' 및 'ㅑ'를 기재한 제5모음버튼(25)으로 각각 구성하여 나열되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모음입력수단(20)을 구성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과 모음 및 문장부호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T)의 한글문자를 상기와 같이 배열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한글문자의 배열구조의 자음입력수단과 모음입력수단(20) 및 부호입력수단(30)으로 확연히 구분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조합하는 순서에 따라 각각의 입력수단에 기재된 문자나 문장부호를 순서에 따라 입력하 는 것으로서 도 6에서 도 8에 도시된 도표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키 코드를 기준으로 필요로 하는 한글문자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입력하는 각각의 키값에 따라 키 코드가 형성되어 한글문자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을 응용하여 실제로 한글문자를 입력한 실시 예를 통해 보기로 한다.
실시 예1)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녕하세요."라는 단어를 액정화면(2)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본 발명의 키값을 순서에 의해 입력해보면 다음과 같다.
즉 7번 입력버튼(17)을 누른 다음 모음입력수단(20)의 제5모음버튼(25)을 누르고, 다시 2번 입력버튼(12)을 눌러서 '안' 자를 입력한 다음 2번 입력버튼(12)을 한 번 누르고 제2모음버튼(22)을 두 번 누르고 다시 7번 입력버튼(17)을 눌러서 '녕' 자를 입력한 다음 또다시 7번 입력버튼(17)을 두 번 누른 다음 제5모음버튼(25)을 한번 눌러서 '하'자를 입력한 다음 다시 6번 입력버튼(16)을 누른 다음 제4모음버튼(24)을 누른 후 바로 제1모음버튼(21)을 한 번 눌러서 '세'자를 입력한 다음 7번 입력버튼(17)을 누른 다음 제2모음버튼(22)을 두 번 눌러서 '요' 자를 입력한 다음 0번 입력버튼(31)을 네 번 눌러서 '?'의 문단부호를 입력하면 '안녕하세요?'라는 한글문장이 액정화면(2)에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세'자를 입력할 때 먼저 제4모음을 눌러 'ㅓ'를 입력한 다음 제 1모음을 한번 만 누르더라도 'ㅡ'와 'ㅣ'가 앞에 입력된 모음의 형태에 따라 바른 한글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ㅣ'가 입력되어 'ㅔ'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통상의 으뜸 한글에서 'ㅡ'와 'ㅣ'를 중복하여 사용하는 통상의 적용방법과 동일하므로 그 기술적인 세부 사항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한글문장 끝에 필요로 하는 문장부호를 별도의 변환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입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모음의 입력횟수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으뜸 한글이나 천지인을 이용한 종래의 문자배열구조와 비교할 경우 입력버튼의 입력횟수가 현저히 줄어듦을 알 수 있다.
실시 예2)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주~대구도착!'이라는 단어를 액정화면(2)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본 발명의 키값을 순서에 의해 입력해 보면 다음과 같다.
즉 1번 입력버튼(11)을 누른 다음 제2모음버튼(22)과 제5모음버튼(25)을 순차적으로 누른 후 7번 입력버튼(17)을 눌러 '광'자를 입력한 다음 9번 입력버튼(19)을 누른 다음 제3모음버튼(23)을 눌러서 '주'자를 입력한 다음 *번 입력버튼(32)을 5번 반복하여 입력하여 '~'자를 입력한 다음 3번 입력버튼(13)을 누른 다 음 제5모음버튼(25)을 누른 후 제1모음버튼(21)을 한번 눌러서 '대'자를 입력한 다음 1번 입력버튼(11)을 누른 다음 제3모음버튼(23)을 눌러서 '구' 자를 입력한 후 다시 3번 입력버튼(13)을 누른 다음 제2모음버튼(22)을 눌러 '도'자를 입력한 다음 9번 입력버튼(19)을 두 번 누른 후 제5모음버튼(25)과 1번 입력버튼(11)을 순차적으로 한 번씩 눌러 을 눌러서 '착'를 입력하여 최종적으로 액정화면(2)에 '광주~대구도착!'이라는 단어가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실시 또한,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문장 중간에 문장부호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문장 입력 도중에 문장부호를 입력하기 위해 별도의 변환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부호입력수단(30)의 입력버튼만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문장부호를 입력할 수 있는 구조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실시 예들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글문자 입력방법은 한 손으로 빠른 속도로 휴대용 단말기로 문자를 입력하는 현대의 사용자들이 액정화면(2)만을 보면서 문자입력수단(1)을 보지 않고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자입력이 서투른 초보자들도 순서에 의해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용이한 한글문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문자 배열구조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한글문자 배열구조와 같이 모음입력수단(20)과 부호입력수단(30)을 확연히 구분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전에 사용자가 본 발명을 적용하는 휴대용 단말기(T)에 나열된 문자의 순서를 완전히 숙지하지 않더라도 자음과 모음뿐만 아니라 문장부호까지 분명히 구분되어 단어 입력이 용이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입력버튼에 기재되는 자음이나 모음이 변화하더라도 그 변화의 범위가 자음과 모음 및 문장부호를 각각 분리한 입력수단의 범위 내에서만 변화됨을 알 수 있어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적이나 구조에는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어 여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문자 배열구조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자입력 방법은 종래의 문자입력 방법과 별다른 변화가 없이 단지 모음의 입력 순서가 입력버튼에 기재된 수량에 따라 달라짐에 따라 별도의 방법을 도출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한글문자 배열구조에서 종래의 한글문자 입력방법과 대비하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문자입력 방법이기에 여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글문자 배열구조를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수단을 발 취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한글문자 배열구조를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수단을 발 취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모음입력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1을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2를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도.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자음의 입력순서이고 (나)는 종래의 천지인을 통한 자음의 입력순서이며, (다)는 종래의 으뜸 한글을 통한 자음의 입력순서로서 이를 키 코드와 키값으로 도시한 도표.
도 8은 종래의 한글문자 배열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는 천지인을 도시한 배열구조이고 (나)는 으뜸 한글을 도시한 배열구조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문자입력수단 2: 액정화면
10: 자음입력버튼 11: 1번 입력버튼
12: 2번 입력버튼 13: 3번 입력버튼
14: 4번 입력버튼 16: 6번 입력버튼
17: 7번 입력버튼 19: 9번 입력버튼
20: 모음입력수단 21: 제1모음버튼
22: 제2모음버튼 23: 제3모음버튼
24: 제4모음버튼 25: 제5모음버튼
30: 부호입력수단 31: 0번 입력버튼
32:*번 입력버튼 33: #번 입력버튼
T: 휴대용 단말기

Claims (3)

  1. 휴대용 단말기에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 구비한 12개의 입력버튼을 가로로 3행, 세로로 4열이 되도록 규칙적으로 나열하여 숫자와 문자 및 기호를 각각 기재하여 구성한 문자입력수단(1)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 배열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입력버튼 중 중심에 구성되는 5와 8이 기재된 두 개의 입력버튼을 중심부와 상하좌우로 구분되는 5개의 입력버튼(21,22,23,24,25)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입력버튼(21,22,23,24,25)에 두 개의 기본 모음을 기재한 모음입력수단(20)과, 하단의 4열에 구성되는 세 개의 입력버튼(31,32,33)에 기본문장부호를 각각 기재한 부호입력수단(30)을 임의로 구분하고 나머지 모든 입력버튼(11,12,13,14,16,17,19)에 각각 2개 내지 3개의 기본자음을 기재하여 자음입력수단(10)으로 각각 구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 배열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모음입력 수단(20)의 구성은 5개의 입력버튼 중 중앙부에 구성한 입력버튼에 'ㅡ' 및 'l'가 기재된 제1모음버튼(21)과 상부에 구성한 입력버튼에 'ㅗ' 및 'ㅛ' 를 기재한 제2모음버튼(22)과 하부에 구성되는 입력버튼에 'ㅜ' 및 'ㅠ'를 기재한 제3모음버튼(23)과 좌측에 구성되는 입력버튼에 'ㅓ' 및 'ㅕ'를 기재한 제4모음버튼(24)과 우측에 구성되는 입력버튼에 'ㅏ' 및 'ㅑ'를 기재한 제5모음버튼(2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 배열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부호입력수단(30)으로 구성되는 세 개의 입력버튼 중 *번 입력버튼(32)에 '% ^ & ~'의 부호를 기재하고, 0번 입력버튼(31)에 '. , ! ?'의 부호를 기재하며, #번 입력버튼(33)에 '@ )( -'의 부호를 각각 기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 배열구조.
KR1020080011470A 2008-02-05 2008-02-05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KR100901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470A KR100901719B1 (ko) 2008-02-05 2008-02-05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470A KR100901719B1 (ko) 2008-02-05 2008-02-05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719B1 true KR100901719B1 (ko) 2009-06-08

Family

ID=4098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470A KR100901719B1 (ko) 2008-02-05 2008-02-05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7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280A (ko) * 2001-06-07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200324244Y1 (ko) 2003-06-07 2003-08-25 송우찬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0530490B1 (ko) 2003-07-05 2005-11-22 송우찬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인접 키 입력 방식의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426237Y1 (ko) 2006-06-30 2006-09-12 오태명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280A (ko) * 2001-06-07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200324244Y1 (ko) 2003-06-07 2003-08-25 송우찬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0530490B1 (ko) 2003-07-05 2005-11-22 송우찬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인접 키 입력 방식의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426237Y1 (ko) 2006-06-30 2006-09-12 오태명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960B1 (ko) 문자 키패드
KR100371381B1 (ko)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내장된 문자입력장치
KR100750653B1 (ko) 한글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126734B1 (ko)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10090171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KR100470698B1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KR100627964B1 (ko) 문자 입력을 위한 크로스 다이얼 키패드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180075029A (ko)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방식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20038669A (ko) 터치스크린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KR2006006226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
KR100306486B1 (ko) 문자입력이용이한이동전화기의제어방법
KR200378650Y1 (ko) 한글 입력 가능한 무선 단말기
KR20010034982A (ko) 신규한 한글 입력방식 및 그를 이용한 장치
KR20130074835A (ko) 기본자음별 모음 입력 단추 집합을 가지는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KR20060025256A (ko)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2003084895A (ja) 電子デバイスにおけるキーイン装置の配置方法
KR20040044238A (ko) 다중문자 입력방법
KR20030061772A (ko) 다수의 문자조합 버튼을 동시에 사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30076958A (ko)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20131252A (ko) 문자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