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237Y1 -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237Y1
KR200426237Y1 KR2020060017690U KR20060017690U KR200426237Y1 KR 200426237 Y1 KR200426237 Y1 KR 200426237Y1 KR 2020060017690 U KR2020060017690 U KR 2020060017690U KR 20060017690 U KR20060017690 U KR 20060017690U KR 200426237 Y1 KR200426237 Y1 KR 200426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honeme
input
keys
comb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명
홍원기
박명석
Original Assignee
오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명 filed Critical 오태명
Priority to KR2020060017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2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2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수의 입력 키들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번의 입력으로 하나의 음소가 입력되고, 각 외부면에 상기 입력되는 음소가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음소 입력 키들; 및 상기 음소 입력 키들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음소 입력 키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음소 입력 키와 함께 사용되어 생성될 수 있는 음소가 외부면의 상기 해당 음소 입력 키와 인접한 방향에 인쇄된 조합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 키, 인쇄, 문자 입력, 한글 입력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Character input device in a handheld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천지인 방식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의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나랏글 방식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의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10, 410 : 키패드
110, 111, 112, 210, 211, 212, 213, 330, 331, 332 : 모음 입력 키
120 : "ㄱㅋ"키 121 : "ㄴㄹ"키
122 : "ㄷㅌ"키 123 : "ㅂㅍ"키
124 : "ㅅㅎ"키 125 : "ㅈㅊ"키
126 : "ㅇㅁ"키 220, 340, 440 : "ㄱ"키
221, 341, 441 : "ㄴ"키 222 : "ㄹ"키
223 : "ㅁ"키 224, 344, 444 : "ㅅ"키
225, 345, 445 : "ㅇ"키 342, 442 : "ㄷ"키
300 : 휴대용 단말기 320 : 표시부
343 : "ㅂ"키 346 : 조합키
446 : "ㅈ"키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키들 중 하나 이상의 키의 조합을 통해서 새로운 음소를 생성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그 보급률이 급속히 증가하여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전화기능은 물론 각종 간단한 메모기능 및 문자메시지 서비스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문자를 입력할 경우에는 극히 한정된 개수의 키(통상적으로 "1, 2, 3, 4, 5, 6, 7, 8, 9 및 0"의 10개의 숫자키와 "*" 및 "#")를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 모음, 숫자, 영어 및 특수 문자 등을 입력해야 하므로, 상기 한정된 개수의 키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문자 입력의 편리함 또는 문자 입력시의 입력 속도 등이 현저하게 달라졌다. 특히, 한글을 입력할 때에는 하나의 자음이나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동일한 키를 최소 한번에서 최대 4번까지도 눌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을 도시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천지인 방식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00)의 예시도로서, "ㄱㅋ"키(120), "ㄴㄹ"키(121), "ㄷㅌ"키(122), "ㅂㅍ"키(123), "ㅅㅎ"키(124), "ㅈㅊ"키(125) 및 "ㅇㅁ"키(126) 중 각 키에 복수의 자음을 할당하여 자음 14자(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및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를 각각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7개의 키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키가 모음 입력 키(110, 111, 112)들로 사용되고, 상기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10개의 키를 제외한 두 개의 "*"(127)키 및 "#"(128)키로 이루어져 천지인 방식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이루어진다.
상기 천지인 방식에서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키에 복수의 자음이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키를 여러번 눌러야 하는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된다. 특히 된소리(ㄲ, ㄸ, ㅃ, ㅆ 및 ㅉ)는 동일한 키를 세 번 연이어 눌러야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타가 나올 확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키들의 외부 면에는 복수의 자음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복잡해 보인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천지인 방식에서의 단점을 보완하는 나랏글 방식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나랏글 방식에 따른 키패드(200)에서 한글의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각 키에는 "ㄱ"(220), "ㄴ"(221), "ㄹ"(222), "ㅁ"(223), "ㅅ"(224) 및 "ㅇ"(225)의 여섯 개의 자음들이 각 키에 표시되어 있고, 상기 자음들이 표시된 키를 제외한 키들은 모음 입력 키(210, 211, 212, 213) 등으로 사용된다. 이로써, 상기 키들에 표시된 각 자음들은 상기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를 한번 누르면 입력이 가능하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기 나랏글 방식은 초성에 3타 문자의 비율이 높아서 오타율이 높고, 중성은 1타 문자부터 6타 문자까지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중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3타 이상의 타수가 필요한 경우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한 음소를 입력하는데 3타 이상의 타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오타율도 높고 입력 능률이 낮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변칙형을 써서 타수를 줄일 수밖에 없었다. 단지, 종성에서만 "ㅁ", "ㄴ" 및 "ㄹ"이 1타로 입력되므로 타수를 줄일 수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나랏글 방식에서도 자음의 입력시 많은 타수가 사용되므로 입력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나랏글 방식에서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의 배열을 살펴보면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 입력 키의 배치가 불규칙적이고, 키패드의 구조적인 특성상 익숙하게 사용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수가 한정되어 있는 키들에 분산되어 있는 키 입력 부하를 하나의 조합키로 대체하여 문자를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조합키를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값들을 상기 조합키상에 표기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처음 사용하는 초보자도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수의 입력 키들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한 번의 입력으로 하나의 음소가 입력되고, 각 외부면에 상기 입력되는 음소가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음소 입력 키들; 및 상기 음소 입력 키들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음소 입력 키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음소 입력 키와 함께 사용되어 생성될 수 있는 음소가 외부면의 상기 해당 음소 입력 키와 인접한 방향에 인쇄된 조합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키는, 상기 조합키의 외부면이 3행 3열을 이루는 아홉 개의 영역들로 구분되어지고, 상기 구분된 아홉 개의 영역들 중 2행 2열에 해당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둘러싸 주변부를 형성하는 각 8개의 해당 영역 중 하나 이상의 각 영역에는 상기 해당 영역과 인접한 각 음소 입력 키가 상기 조합키와 함께 사용되 어 생성되는 음소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키는, 한번 입력될 경우 상기 2행 2열 영역에 인쇄된 음소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키와 인접한 복수의 음소 입력 키들에는 "ㄱ", "ㄴ", "ㄷ", "ㅂ", "ㅅ" 및 "ㅇ"이 각각 하나씩 할당되고, 상기 주변부를 형성하는 각 8개의 해당 영역 중 하나 이상의 각 영역에는 "ㅋ", "ㄹ", "ㅌ", "ㅁ", "ㅊ" 및 "ㅎ"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소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수의 입력 키들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한 번의 입력으로 하나의 음소가 생성되고, 각 외부면에 상기 입력되는 음소가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음소 입력 키들; 및 상기 음소 입력 키들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음소 입력 키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음소 입력 키와 함께 조합하여 사용되며 상기 음소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음소들을 제외한 다른 음소들 중 하나의 음소를 생성하는 조합키;로 구성되며, 상기 조합키와 조합하여 생성된 음소가 상기 해당 음소 입력 키와 상기 조합키의 사이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키와 인접한 복수의 각 음소 입력 키들에는 "ㄱ", "ㄴ", "ㄷ", "ㅂ", "ㅅ" 및 "ㅇ"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소가 하나씩 할당되고, 상기 음소 입력 키와 상기 조합키를 조합하여 생성되는 음소는 "ㅋ", "ㄹ", "ㅌ", "ㅁ", "ㅊ" 및 "ㅎ"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고, 고안 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에는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를 보다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한다. 즉, 본 고안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중 각 키에 서로 다른 하나의 음소를 할당하여 한 번의 눌림으로 상기 음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키들과 조합하여 새로운 음소를 생성할 수 있는 조합키에는 상기 조합키가 생성할 수 있는 자음들이 인쇄됨으로써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의 예시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는 표시부(320) 및 키패드(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키패드(310)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가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음소에 대한 표현 수단으로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영어 및 특수 문자 등의 입력 가능한 모든 음소들도 적용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 다. 또한, 본 고안에서 단말기에 포함된 복수의 키들은 한 번의 입력으로 하나의 음소를 생성할 수 있는 복수의 음소 입력 키들 및 상기 복수의 음소 입력 키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음소 입력 키와 함께 사용되어 새로운 음소를 생성하는 조합키를 의미한다.
상기 표시부(320)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2, 3, 4, 5, 6, 7, 8, 9 및 0"을 입력할 수 있는 숫자키와 "*"키(347) 및 "#"키(348)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숫자키 중 "1" 내지 "9"키는 3행 3열로 구분되어서, "1, 2 및 3"키는 1행의 각 열에 위치하고 "4, 5 및 6"키는 2행에 위치하며 "7, 8 및 9"키는 3행에 위치한다. 마지막으로 "0"키는 4행의 2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숫자키들이 배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키패드(310)는 자음의 기본자를 "ㄱ, ㄴ, ㄷ, ㅂ, ㅅ 및 ㅇ"으로 분류하여 상기 키패드(310)에 구분되어 형성된 각 숫자키에 할당(배정)하고, 복수의 키가 조합된 조합키(346)를 상기 6개의 기본자가 배정된 키로 둘러싸고 있는 형상으로 상기 키패드(310)가 구성된다. 즉, 상기 기본자가 할당된 자음 입력 키들이 상기 조합키의 주변에 둘러싸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기본자 중 "ㄱ"키(340), "ㄴ"키(341) 및 "ㄷ"키(342)가 상기 키패드(310)의 첫 행에 위치(숫자키 "1"키, "2"키 및 "3"키에 대응)하고, 상기 "ㅂ"키(343), 조합키(346) 및 "ㅅ"키(344)가 두 번째 행에 위치(숫자키 "4"키, "5"키 및 "6"키에 대응)하며, 상기 "ㅇ"키(345)는 세 번째 행에서 상 기 조합키(346)의 아래쪽인 두 번째 열에 위치("8"키에 대응)함으로써 상기 조합키(346)가 상기 6개의 키들 가운데 위치하고 있는 형상을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3행 3열의 구조로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배치하였으나, 4행 3열의 배치 또는 3행 4열의 배치구조를 사용하는 키패드에서도 실시가 가능하며, 조합키의 위치가 상기 기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에 의해 둘러 싸여진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는 키패드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기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의 외부 면에는 상기 키들 중 각 키가 입력할 수 있는 하나의 자음이 인쇄 되어 있고, 상기 자음은 상기 키가 한번 눌려짐으로써 생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조합키(346)의 외부 면은 3행 3열 형태인 아홉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각 영역마다 서로 다른 자음들이 인쇄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아홉 개의 영역 중 각 영역에는 상기 조합키(346)를 둘러싸고 있는 자음 입력 키들과의 조합으로 생성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자음들이 인쇄 되어 있다. 상기 조합키(346)를 둘러싸고 있는 키의 최대 개수로는 8개의 숫자키("1"키, "2"키, "3"키, "4"키, "6"키, "7"키, "8"키 및 "9"키)이고 숫자키 "5"키에 위치한 조합키(346)를 포함하면 9개의 키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합키(346)의 외부 면을 아홉 개의 영역으로 나눔으로써 상기 8개의 키와 함께 사용되어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음소를 상기 외부 면에 인쇄할 수 있다. 상기 조합키(346)의 외부 면에 인쇄된 자음들의 위치가 어떻게 정해지는지에 대하여 아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조합키(346)를 둘러싸고 있는 키들과 조합키(346)를 합한 개수는 9개로 서 3행 3열로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합키(346)의 외부 면에 구분되어 인쇄된 형상도 3행 3열의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조합키(346) 외부 면의 인쇄에서 1행 1열 영역은 상기 9개의 키들 중 1행 1열에 위치한 "ㄱ"키와 인접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합키(346) 외부 면의 인쇄에서 1행 2열 영역은 상기 9개의 키들 중 1행 2열에 위치한 "ㄴ"키와 인접해 있다. 이렇게 각 행과 열로 구분되어진 조합키(346) 외부 면의 여덟 개의 영역(중심인 2행 2열을 제외한)은 각각 서로 인접하고 있는 키가 조합키(346)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의 조합키(346)의 외부 면에는 조합키(346) 주변의 각 키들과 함께 사용되어 생성될 수 있는 자음이 상기 아홉 개의 영역 중 상기 각 키들과 인접한 영역에 인쇄된다. 한편, 상기 조합키(346)의 외부면 인쇄 상에서 상기 조합키(346) 주변의 복수의 키들과 인접할 수 없는 영역(중심인 2행 2열)에는 상기 조합키(346)가 한번 눌려짐으로써 생성 가능한 음소를 인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상기 조합키(346)상에 3행 3열로 나뉘어진 영역 중 2행 2열 영역은 상기 조합키(346)를 둘러싸고 형성되어 있는 여덟 개의 키들 중 어떠한 키와도 인접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 2행 2열 영역에 다른 키들과의 조합을 통해 생성 가능한 음소를 인쇄한다면 문자를 입력할 때 불편하게 될 것은 자명하게 되므로, 상기 조합키(346)를 한번 누름으로써 입력할 수 있는 음소를 인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을 더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서 한글의 자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키(346)는 3행 3열의 아홉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1행 1열, 2열 및 3열에는 "ㅋㄹㅌ", 2행 1열, 2열 및 3열에는 "ㅁㅈㅊ", 마지막 3열의 1행 및 2행에는 "ㅍㅎ"으로 인쇄되어 형성된 키로서, 주변에 둘러싸고 있는 키들(예컨대, 기본자가 인쇄된 "ㄱ", "ㄴ", "ㄷ", "ㅂ", "ㅅ", "ㅇ" 및 숫자키 "7"키 등) 중 어느 하나의 키와 함께 사용되어 생성될 수 있는 음소들이 인쇄 되어 있다.
한편, 모음 입력 키(330, 331, 332)들은 종래에 사용되던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상기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ㄱ, ㄴ, ㄷ, ㅂ, ㅅ, ㅇ 및 조합키"를 제외한 키에 할당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합키(346) 및 상기 조합키(346)의 주변을 둘러싸고 형성되어 있는 키들의 동작 원리를 하기의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입력값 입력 키
"ㄱ"
"ㄴ"
"ㄷ"
"조합키" + "ㄴ"
"조합키" + "ㅂ"
"ㅂ"
"ㅅ"
"ㅇ"
"조합키"
"조합키" + "ㅅ"
"조합키" + "ㄷ"
"조합키" + "ㄱ"
"조합키" + "7"
"조합키" + "ㅇ"
"ㄱ" + "ㄱ"
"ㄷ" + "ㄷ"
"ㅂ" + "ㅂ"
"ㅅ" + "ㅅ"
"ㅈ" + "ㅈ"
상기 <표 1>에서 자음"ㄱ, ㄴ, ㄷ, ㅂ, ㅅ, ㅇ"은 도 3에 도시된 "ㄱ"키(340), "ㄴ"키(341), "ㄷ"키(342), "ㅂ"키(343), "ㅅ"키(344) 및 "ㅇ"키(345) 중 상기 자음과 같은 음소가 할당된 해당 음소 입력 키를 입력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ㄱ, ㄴ, ㄷ, ㅂ, ㅅ 및 ㅇ"의 6개 자음은 단말기의 키패드(310)에 형성된 복수의 키 중 자음마다 대응되는 키가 배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대응되는 음소 입력 키를 한 번만 입력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합키(34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숫자키 "5"키와 대응되어 위치함으로써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가 할당된 3행 3열의 키 배열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조합키(346)는 상술한 바와 같이 "ㅋ, ㄹ 및 ㅌ"은 1행에 위치하고, "ㅁ, ㅈ 및 ㅊ"은 2행에 위치하며, "ㅍ 및 ㅎ"이 3행의 1열 및 2열에 위치하고 있는 3행 3열의 형상으로 인쇄된 키다. 이때, 상기 조합키(346)의 인쇄을 살펴보면 "ㅈ"이 상기 조합키(346)의 가운데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에서 2행 2열에 위치한 조합키(346)의 위치와 상기 조합키(346)의 인쇄에서 "ㅈ"의 위치가 직관적으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조합키(346)를 한 번 입력하였을 경우 자음 "ㅈ"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ㅋ, ㄹ, ㅌ, ㅁ, ㅊ, ㅍ, ㅎ, ㄲ, ㄸ, ㅃ, ㅆ 및 ㅉ"의 자음은 한번에 생성될 수 있도록 배정된 키가 없으므로, 생성되기 위한 입력 타수가 2회 이상이어야만 한다.
우선, 자음 "ㅋ"은 상기 <표 1>에서 조합키(346) 및 "ㄱ"키(340)를 연이어 입력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조합키(346)에서 3행 3열로 이루어진 인쇄을 살펴보면 가운데인 2행 2열에 "ㅈ"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조합키(346)의 1행 1열에는 "ㅋ"이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기본자 중 "ㄱ"키(340) 또한 1행 1열에 위치하고 있어 직관적으로 대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ㄱ"키(340)는 상기 조합키(346)의 2행 2열에 인쇄된 "ㅈ"의 위치(인쇄의 가운데)에서 "ㅋ" 방향(1행 1열)으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이는 직관적으로 상기 조합키(346)와 "ㄱ"키(340)를 사용하여 자음 "ㅋ"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게 한다. 다른 자음인 "ㄹ, ㅌ, ㅁ, ㅊ, ㅍ 및 ㅎ"도 상기 자음 "ㅋ"을 생성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자음 "ㄹ"은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합키(346) 및 "ㄴ"키(341)를 연이어 입력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상기 "ㄴ"키(341)는 상기 키패드(310)에 포함된 키 중 1행 2열에 위치하고, 상기 조합키(346)에 인쇄된 자음 "ㄹ"은 상기 조합키(346)의 인쇄에서 1행 2열에 위치한다. 상기 "ㄴ"키(341)는 상기 조합키(346)의 2행 2열에 인쇄된 "ㅈ"의 위치(인쇄의 중심)에서 "ㄹ" 방향(1행 2열)으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조합키(346)와 "ㄴ"키(341)를 사용하여 자음 "ㄹ"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음 "ㅌ"은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합키(346) 및 "ㄷ"키(342)를 연이어 누름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상기 "ㄷ"키(342)는 상기 키패드(310)에 포함된 키 중 1행 3열에 위치하고, 상기 조합키(346)에 인쇄된 자음 "ㅌ"은 상기 조합키(346)의 인쇄에서 1행 3열에 위치한다. 상기 "ㄷ"키(342)는 상기 조합키(346)의 2행 2열에 인쇄된 "ㅈ"의 위치(인쇄의 중심)에서 "ㅌ" 방향(1행 3열)으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조합키(346)와 "ㄷ"키(342)를 사용하여 자음 "ㅌ"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음 "ㅁ"은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합키(346) 및 "ㅂ"키(343)를 연이어 누름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상기 "ㅂ"키는 상기 키패드(310)에 포함된 키 중 2행 1열에 위치하고, 상기 조합키(346)에 인쇄된 자음 "ㅁ"은 상기 조합키(346)의 인쇄에서 2행 1열에 위치한다. 상기 "ㅂ"키(343)는 상기 조합키(346)의 2행 2열에 인쇄된 "ㅈ"의 위치(인쇄의 중심)에서 "ㅁ" 방향(2행 1열)으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조합키(346)와 "ㅂ"키(343)를 사용하여 자음 "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음 "ㅊ"은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합키(346) 및 "ㅅ"키(344)를 연이어 누름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상기 "ㅅ"키는 상기 키패드(310)에 포함된 키 중 2행 3열에 위치하고, 상기 조합키(346)에 인쇄된 자음 "ㅊ"은 상기 조합키(346)의 인쇄에서 2행 3열에 위치한다. 상기 "ㅅ"키(344)는 상기 조합키(346)의 2행 2열에 인쇄된 "ㅈ"의 위치(인쇄의 중심)에서 "ㅊ" 방향(2행 3열)으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조합키(346)와 "ㅅ"키(344)를 사용하여 자음 "ㅊ"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음 "ㅍ"은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합키(346) 및 숫자키 "7"키를 연이어 누름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상기 "7"키는 상기 키패드(310)에 포함된 키 중 3행 1열에 위치하고, 상기 조합키(346)에 인쇄된 자음 "ㅍ"은 상기 조합키(346)의 인쇄에서 3행 1열에 위치한다. 상기 "7"키는 상기 조합키(346)의 2행 2열에 인쇄된 "ㅈ"의 위치(인쇄의 중심)에서 "ㅍ" 방향(3행 1열)으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조합키(346)와 "7"키를 사용하여 자음 "ㅍ"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음 "ㅎ"은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합키(346) 및 "ㅇ"키(345)를 연이어 누름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상기 "ㅇ"키(345)는 상기 키패드(310)에 포함된 키 중 3행 2열에 위치하고, 상기 조합키(346)에 인쇄된 자음 "ㅎ"은 상기 조합키(346)의 인쇄에서 3행 2열에 위치한다. 상기 "ㅇ"키(345)는 상기 조합키(346)의 2행 2열에 인쇄된 "ㅈ"의 위치(인쇄의 가운데)에서 "ㅎ" 방향(3행 2열)으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조합키(346)와 "ㅇ"키(345)를 사용하여 자음 "ㅎ"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합키(346)에 인쇄된 자음 "ㅈ"을 중심으로 둘러싸고 있는 형상으로 인쇄된 자음 "ㅋ, ㄹ, ㅌ, ㅁ, ㅊ, ㅍ 및 ㅎ"은 상기 조합키(346)를 둘러싸며 상기 "ㅋ, ㄹ, ㅌ, ㅁ, ㅊ, ㅍ, 및 ㅎ"의 각 행렬에 대응되는 "ㄱ, ㄴ, ㄷ, ㅂ, ㅅ, 7 및 ㅇ"키와 같이 사용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쌍자음 "ㄲ, ㄸ, ㅃ, ㅆ 및 ㅉ"은 각 대응되는 자음인 "ㄱ, ㄷ, ㅂ, ㅅ 및 ㅈ"이 두 번 연이어 쓰인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의 쌍자음은 상기 기본키 중 대응되는 "ㄱ"키(340), "ㄷ"키(342), "ㅂ"키(343), "ㅅ"키(344) 및 조합키(346)를 연속으로 두 번 누름으로써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ㅈ"은 본 고안에서의 기본자가 아닌 조합키(346)를 사용하여 입력하지만, 상기 키패드(310)에서 조합키(346)의 위치는 2행 2열로서 상기 조합키(346)에 인쇄된 자음 "ㅈ"의 위치가 상기 인쇄에서 2행 2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조합키(346)의 한번 입력으로 자음 "ㅈ"가 생성이 된다. 그러므로, 쌍자음 "ㅉ"는 상기 조합키(346)를 두 번 연이어 누름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자음을 생성할 경우에 입력 타수가 2회 이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속도를 개선할 수 있고, 기본자 "ㄱ, ㄴ, ㄷ, ㅂ, ㅅ 및 ㅇ"을 제외한 자음 "ㅋ, ㄹ, ㅌ, ㅁ, ㅈ, ㅊ, ㅍ 및 ㅎ"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또한 상기 조합키(346)의 위치와 기본자가 할당된 각 키의 위치에 따른 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월하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에서 제공되는 상기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를 포함한 키패드(310)는 사용빈도가 높은 자음인 "ㄱ", "ㄴ", "ㄷ", "ㅂ", "ㅅ", "ㅈ" 및 "ㅇ"은 한 번의 입력으로 상기 6개의 자음을 생성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사용빈도가 낮은 상기 7개의 자음을 제외한 자음은 2번의 키 입력으로 가능하게 한다. 이는 사용빈도가 높은 자음을 입력하는 횟수를 최소화하여 자음 입력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410)의 예시도로서, 조합키와 도 4에 도시된 기본자를 입력하기 위한 "ㄱ"키(440), "ㄴ"키(441), "ㄷ"키(442), "ㅂ"(443), "ㅅ"(444), "ㅇ"키(445) 및 "ㅈ"키(446)를 입력하기 위한 음소 입력 키들 중 하나의 키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는 음소들(ㅋ, ㄹ, ㅌ, ㅁ, ㅊ, ㅍ, 및 ㅎ 등)이 상기 조합키와 상기 음소 입력 키들 사이에 인쇄되어 있는 키패드를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ㅈ"키(446)와 다른 음소 입력 키(ㄱ, ㄴ, ㄷ, ㅂ, ㅅ 및 ㅇ를 입력하기 위한)들 사이에 상기 "ㅈ"을 입력하기 위한 음소 입력 키와 상기 다른 음소 입력 키들 중 어느 하나의 키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생성되는 음소들이 인쇄되어 있다. 이는 상기 "ㅈ"키(446)가 도 3에서 상술한 조합키(346)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ㅈ"키(446) 및 상기 다른 음소 입력 키들과의 조합방법에 관한 내용은 상기한 도 3 및 표 1에서 조합키(346)에 대하여 자세하게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를 포함한 키패드는 휴대용 전화기, 계산기, PDA, 전자수첩 등의 휴대용 단말기들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는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키패드가 종래의 영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개수가 한정되어 있는 키들에 분산되어 있는 키 입력 부하를 하나의 조합키로 대체하여 문자를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합키를 제외한 복수의 키들 중 하나의 키와 상기 조합키가 인접한 영역에 입력 값이 인쇄됨으로써, 상기 조합키를 포함한 복수의 키들을 사용하는 방법을 모르는 초보자도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 빈도가 높은 자음은 한 번의 타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 빈도가 낮은 자음은 두 번의 타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한글 자음 입력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글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각 키는 6개의 자음(ㄱ, ㄴ, ㄷ, ㅂ, ㅅ, ㅇ) 중 각각 한 개씩만이 배정된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이루어 짐으로써, 키패드가 시각적으로 단순하게 표현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글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와 조합키는 한글의 문자연상과 상기 복수의 키의 위치에 따라서 직관적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한글을 처음 입력하는 사람도 쉽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수의 입력 키들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한 번의 입력으로 하나의 음소가 생성되고, 각 외부면에 상기 입력되는 음소가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음소 입력 키들; 및
    상기 음소 입력 키들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음소 입력 키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음소 입력 키와 함께 사용되어 생성될 수 있는 음소가 외부면의 상기 해당 음소 입력 키와 인접한 방향에 인쇄된 조합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키는,
    상기 조합키의 외부면이 3행 3열을 이루는 아홉 개의 영역들로 구분되어지고, 상기 구분된 아홉 개의 영역들 중 2행 2열에 해당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둘러싸 주변부를 형성하는 각 8개의 해당 영역 중 하나 이상의 각 영역에는 상기 해당 영역과 인접한 각 음소 입력 키가 상기 조합키와 함께 사용되어 생성되는 음소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키는,
    한번 입력될 경우 상기 2행 2열 영역에 인쇄된 음소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키와 인접한 복수의 음소 입력 키들에는 "ㄱ", "ㄴ", "ㄷ", "ㅂ", "ㅅ" 및 "ㅇ"이 각각 하나씩 할당되고,
    상기 주변부를 형성하는 각 8개의 해당 영역 중 하나 이상의 각 영역에는 "ㅋ", "ㄹ", "ㅌ", "ㅁ", "ㅊ" 및 "ㅎ"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소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5.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수의 입력 키들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한 번의 입력으로 하나의 음소가 생성되고, 각 외부면에 상기 입력되는 음소가 인쇄되어 있는 복수의 음소 입력 키들; 및
    상기 음소 입력 키들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음소 입력 키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음소 입력 키와 함께 조합하여 사용되며 상기 음소 입력 키에 할당된 복수의 음소들을 제외한 다른 음소들 중 하나의 음소를 생성하는 조합키로 구성되며,
    상기 조합키와 조합하여 생성된 음소가 상기 해당 음소 입력 키와 상기 조합키의 사이 공간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키와 인접한 복수의 각 음소 입력 키들에는 "ㄱ", "ㄴ", "ㄷ", "ㅂ", "ㅅ" 및 "ㅇ"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소가 하나씩 할당되고,
    상기 음소 입력 키와 상기 조합키를 조합하여 생성되는 음소는 "ㅋ", "ㄹ", "ㅌ", "ㅁ", "ㅊ" 및 "ㅎ"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KR2020060017690U 2006-06-30 2006-06-30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KR200426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90U KR200426237Y1 (ko) 2006-06-30 2006-06-30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90U KR200426237Y1 (ko) 2006-06-30 2006-06-30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237Y1 true KR200426237Y1 (ko) 2006-09-12

Family

ID=4177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690U KR200426237Y1 (ko) 2006-06-30 2006-06-30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2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19B1 (ko) 2008-02-05 2009-06-08 김영모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19B1 (ko) 2008-02-05 2009-06-08 김영모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문자 배열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4946B2 (ja) 特殊文字を用いて情報を携帯装置に入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WO2008029492A1 (ja) 入力装置
KR200426237Y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장치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00641448B1 (ko)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
KR1006833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US8054205B2 (en) Method of composing and operating data input key array and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100637745B1 (ko) 한글 키패드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KR10070785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자판
KR20090100509A (ko) 일본어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377416B1 (ko)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100664651B1 (ko) 키패드 장치
KR101071812B1 (ko)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KR2002002297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100948606B1 (ko) 일본어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KR100622569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536553B1 (ko) 한글 키패드
KR20010060266A (ko) 문자입력 패널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20010091356A (ko)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080064258A (ko) 디지털단말기 한글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290468Y1 (ko)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