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389A - 스마트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0389A
KR20060000389A KR1020040049228A KR20040049228A KR20060000389A KR 20060000389 A KR20060000389 A KR 20060000389A KR 1020040049228 A KR1020040049228 A KR 1020040049228A KR 20040049228 A KR20040049228 A KR 20040049228A KR 20060000389 A KR20060000389 A KR 20060000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keys
consonant
conso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선
Original Assignee
장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선 filed Critical 장태선
Priority to KR102004004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0389A/ko
Publication of KR20060000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입력패드에서의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글에 관하여는 본인의 발명 특허 SKIS(특허명: 스마트 한글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특허 번호 10-2004-0042038)를 응용하고 보완-개선하였으며 영문 문자에 관하여는 SKIS의 주요 특징을 살려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였다.
한글의 입력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한글의 과학적 특성을 최대한 살렸다. 한글이 자모가 소리가 날 때 입의 모양을 기하학적으로 표현했다는 그 특징을 살려 한글 자모의 배치를 그 기하학적 모양과 기능에 맞춰 정하였다.
본 발명은 첫째, 한글 입력에 있어서, 한글 자모의 기하학적 모양에 따라 3x4 (또는 4x3) 입력패드에서의 위치를 결정하였다는 점과; 둘째, 한글 입력에 있어서, 모음과 자음의 각 조합을 돕는 기능키를 중앙에 배치하여 빠른 조합을 구현하였다는 점과; 셋째, 자음이 2개 이상이나 자모가 섞인 동일키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는 점과; 넷째, 완성된 글꼴의 데이터베이스 없이, 기본 자모의 데이터베이스만으로 글꼴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과; 다섯째, 입력 패드의 2,8,4,6에 해당하는 키를 다른 색깔이나 모양으로 표시하여 각각 상하좌우의 기능을 부여한 것과 기본 모음 입력키로서 구분을 한 점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 한글 입력법, 한글 입력장치, 영문 입력법, 영문 입력장치, 데이터베이스, 수목 배위력, 기하학적 분류법

Description

스마트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Smart Input System}
도1: [대표도] 본 발명의 입력법 키 배치도 [한글 메뉴]
도2: 본 발명의 입력법 키 배치도 [영문 메뉴]
도3: 본 발명의 한글 입력법 키 배치도
도4: 본 발명의 영문 입력법 키 배치도
도5: SK의 SKY II 입력법 키 배치도
도6: 삼성의 천지인 입력법 키 배치도
도7: LG의 EZ 입력법 키 배치도
I. 한글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본인의 발명 특허 SKIS(특허명: 스마트 한글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특허 번호 10-2004-0042038)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한글의 입력 방법은 여러 분류법에 의해 구 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종래 기술을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구분을 한다.
1) 자모의 동일키 사용 여부:
a) 자음의 동일키 사용: 동일키를 연타하여 대표자 외의 다른 자음을 얻는 기술을 말한다. 동일키에 배정된 자음들은 어음학상, 또는 기능상 서로 연관이 되도록 하였다. 단점은 종성-초성 충돌 문제가 생긴다는 것이다.
예:삼성의 천지인, SK의 SKY II, 팬택앤큐리텔 입력법, 팔팔 입력법등.
본 발명은 동일키 사용을 자제하고 동일키에 배정되는 자음 세트를 선별하여 종성-초성 문제를 최소화하였다.
b) 모음의 동일키 사용: 동일키를 연타하여 대표자 외의 다른 모음을 얻는 기술을 말한다.모음은 자음에서와 같이 충돌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예: LG의 EZ, SK의 SKY II 등.
본 발명은 충돌 문제가 없는 모음의 특성을 살려 일부 모음 키를 기능키로 사용하였다.
c) 자모의 동일키 사용: 동일키를 연타하여 대표자 외의 다른 모음 또는 자음을 얻는 기술을 말한다.이 기술은 자모 충돌 문제 때문에 초성과 모음 사이, 모음과 종성 사이에 기능키 사용이 불가피하다.
예: 김완수의 으뜸한글 입력법 등.
본 발명은 이 기술을 아예 배제하였다.
2) 자모의 상호 조합 여부:
a) 표시자로 조합: 서로 다른 키에 배정된 자음 2개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여 자음을 조합하거나, 서로 다른 키에 배정된 모음 2개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여 모음을 조합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 LG의 EZ, SK의 SKY II, 삼성의 천지인 등.
본 발명은 모음 조합에 관하여 이 기술을 일부 사용하였다.
b) 형태로 조합: 위의 기술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서 자모의 분류에 상관 없이 자모의 모양을 직접 입력패드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말한다.
3) 조합 능력의 기능키 여부: 자음이나 모음을 기능키를 이용해 조합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 LG의 EZ 등.
본 발명은 일부 자음과 일부 모음을 이 기술을 통하여 조합하였다.
4) 문장 기능키 여부: 문자 조합을 위한 기능키 외에 문장 작성을 위한 보조 기능키의 사용을 말한다. 삼성의 천지인 입력법의 경우, "사이띄기"와 "뒤로 가기"기능이 같은 입력패드내에 설치되어 있다.
예: 삼성의 천지인 등.
II. 영문 및 특수 문자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입력장치에서의 영문 알파벳의 배치는 대체적으로 통일된 편이다. 특정 전화번호의 암기를 돕기 위해 1부터 9까지의 키에 알파벳을 순서대로 3~4개씩 배정한 게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수학 기호 및 문장 부호는 일반적으로 3x4 패드 밖의 확장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특수 문자는 문장 부호를 포함하여 수학 기호, 도형을 말한다.
I. 한글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종래 기술이 해결하지 못한 많은 기술적 과제를 요약하여 열거한다면 다음과 같다.
1) 오타 문제: 오타 발생은 자모의 동일키 사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동일키에 배정된 자음이나 모음의 수가 많을수록 오타 발생 확률이 높다. 또 자음의 경우, 종성-초성 충돌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는 연결된 두 글자에서 전자의 종성과 후자의 초성이 같은 자음이거나 같은 키에 배정되었을 경우의 문제이다. 이때 사이띄기 기능을 통하지 않으면 원하지 않은 글자가 생성된다. SK의 SKY II는 자동 사이띄기로 이 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지만 타이핑 속도의 지연 결과를 가져온다. 다른 기술에 비해 타수가 많은 편인 천지인 입력법에서는 수동 사이띄기 기능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타수가 더 많이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본 발명에서는 종성과 초성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같은 키에 한 개 이상의 자음을 배치하지 않도록 하였다. 단, ㄷ과 ㅅ의 경우, 한글 어학상 종성-초성 충돌 경우가 극히 한정되어 있어 ㅁ과 ㄹ을 각각 같이 배치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동일키에 배치된 자음이 최대 2개까지밖에 없으므로 연타에 의해서 발생하는 오타 문제가 적다.
2) 타이핑 속도 문제: 자동 사이띄기에 의존하는 시스템(예: SK의 SKY II)은 타이핑 속도면에서 그렇지 않은 기술보다 느리다. 또 "뒤로 가기", "한칸 띄어쓰기"의 필수 기능이 없거나 물음표같이 자주 쓰이고 문장 이해를 위하여 핵심적인 문장 부호를 입력패드에서 직접 표현할 수 없다면 이 또한 타이핑 속도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본 발명에서는 자동 사이띄기가 단 두 개의 경우(종성이 ㄷ일 때와, ㅅ일 때)로 한정되어 있어 타이핑 지연을 극소화시킨다. 또 "뒤로 가기"와 "사이띄기" 기능과 그리고 물음표 입력이 문자 입력 패드 안에서 해결되도록 고려하여 타이핑 문제를 해결하였다.
3) 타수 문제: 타수 문제는 손가락의 상하 수직 운동과 그 운동량에 비례하여 입력되는 글자수와 관계가 있다. 어느 입력법이건 익숙해지면 손가락이 안 보일 정도로 빠른 속도로 입력을 할 수 있지만 입력 타수에 비해 표기되는 글자수가 일반 기준 에 비해 적다면 타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똑같은 2타라도 같은 키를 치는 연타와 서로 다른 키 두 개를 치는 2타와 차이가 있다. 연타로 많이 조합되는 경우, 오타 확률이 높긴 하나, 타수면에서 유리하다. 대표적으로 3개의 모음키로 모든 모음을 조합하여야 하는 삼성의 천지인 입력법과 팬택앤큐리텔의 입력법이 모음면에서 타수 문제가 있는 동시, 중간의 방점키를 연타해서 조합하는 복모음도 많기 때문에 오타 확률도 높다. LG의 EZ의 경우, 격음의 자음과 복모음의 조합에서 타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본 발명은 5개의 모음키로 나머지 모음을 조합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고 모음의 선택에 있어서도 ㅐ와 ㅔ를 ㅏ와 ㅓ에 각각 배치하여 ㅘ, ㅝ, ㅙ, ㅞ, ㅒ, ㅖ같은 복모음도 2타, 또는 연타를 동반한 1타내에 조합될 수 있게 하여 타수 문제를 줄였다. 자음의 경우, "지름길 입력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조합하는 방법을 미리 안다면 타수를 훨씬 더 줄일 수 있게끔 하였다. 즉, 격자음과 겹자음의 경우, 모체가 되는 자음을 입력한 후, 격자음키나 겹자음키를 연타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구조상, 경우에 따라, 1타만 쳐도 충돌됨 없이 원하는 자음을 생성할 수 있다.
4) 이동거리 문제: 타수 만큼 중요한 것이 이동거리 문제이다. 이는 손가락의 수평 이동 운동과 그 운동량에 비례하여 입력되는 글자수와 관계가 있다. 짧은 반경내에 조합될 수 있는 글자 경우수가 많을수록, 또 그 글자 중 실용 글자가 많을수록 이 동거리 문제가 적은 시스템이다. 반대로 최장 거리에서 조합되는 글자 경우수가 많을수록 이동거리 문제가 많은 시스템이다. 같은 타수로 입력되는 글자일지라도 이동거리 문제가 있는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본 발명에서는 모음의 배치를 4방향으로 하고 그 사이 사이에 자음을 배치하여 이동거리를 최소화하였다. 입력패드가 직사각형이어서 완전한 원형식 배치가 불가능하나 그에 가장 근접한 방법을 본 발명이 도안하였다. 자음 2개가 있는 동일키의 배치도 모음과 모음 사이에 설정하여 이동거리수를 줄였다. 겹자음을 조합하기 필요한 기능키의 배치도 겹자음의 모체가 되는 ㄱ,ㄷ,ㅅ,ㅈ의 중앙에 설정하여 ㅂ을 제외하고 모든 겹자음이 2의 제곱근 거리에서 해결된다. 격자음의 경우, ㄱ을 제외하고, 모든 겹자음이 1 또는 2의 제곱근 거리에서 해결된다. 모음의 조합에서 핵심을 이루는 모음 매직키의 배치도 모음키 4개의 중앙에 설정되어 이동거리수가 최소화되었다.
5) 조합과 배치, 다목적 용도 문제: 입력패드에서 자모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배치 또한 중요하다. 배치에서는 상위에 거론된 이동거리 문제외에 사용자에게 얼마나 눈에 쉽게 들어오거나, 사용시 편리하거나, 일반 상식상 논리적인지가 거론될 수 있는데 이또한 무시될 수 없다. 대표자 모음의 선택에 있어서 나머지 모음의 조합을 위해 사용 빈도수와 조합 가능성을 잘 고려하여야 한다. LG의 EZ 경우, 조합의 핵심이 되는 ㅓ나 ㅜ가 키의 대표자가 아닌 제 2타 문자가 되어 ㅞ,ㅝ,ㅔ,ㅟ 등의 글자에서 비논리적이고 비과학적임을 지적받게 되는 것이다. SK의 SKY II 경우, ㅏ키와 ㅓ키의 제 2타 문자로서 각각 ㅑ와 ㅕ가 설정이 되어 논리적이긴 하나 사용빈도수와 조합가능성을 볼 때 타당치 못함을 알 수 있다. 자음의 설정과 배치에 있어서, 단순히 가나다순으로 한다면 사용자에게는 처음에는 쉽게 보이는 이점이 있을 수 있더라도 과학적으로 배치된 것이 아니므로 이동거리 면에서 불편함을 겪게 된다.
자모의 선택과 배치에 따라, 남는 키를 문장 편집용 기능키(뒤로 가기, 사이띄기 등)로 이용하거나 입력 패드를 다목적 용도로 사용함이 정해진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본 발명은 모음의 선택에 있어서 사용 빈도수와 조합가능성이 가장 높은 ㅏ,ㅓ,ㅗ,ㅜ,ㅣ를 기본 모음으로 설정하였으며 ㅏ와 ㅓ의 제2타 모음으로서도 ㅑ,ㅕ 대신 ㅐ, ㅔ를 각각 설정하여 ㅘ,ㅝ,ㅙ,ㅞ가 손쉽게, 그리고 같은 패턴에서 조합될 수 있게 하였다. 조합 가능성 면에서 ㅑ와 자주 조합되는 초성은 ㄴ ㄹ ㅇ, 세 개인 반면, ㅐ와는 ㅋ을 제외하고 기본 초성 13개 전부가 자주 사용된다. 이 점은 ㅕ와 ㅔ를 비교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자음의 선택에 있어서 가나다 순보다 격자음이나 겹자음의 모체가 되는 자음들을 선택하였으며 그 배치에 있어서도 격자음 기능키와 겹자음 기능키의 위치에 각각 맞추어 설정을 하였다. 그리하여 ㄲ ㅉ ㄸ ㅆ ㅃ 중 ㅃ을 제외한 모든 겹자음이 겹자음 기능키를 중심으로 자리 잡았으며 ㅋ ㅊ ㅌ ㅍ ㅎ 중 ㅋ을 제외한 모든 격자음이 격자음 기능키를 중심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자주 쓰이는 물음표를, 종성으로 문장을 마치는 경우가 거의 없는 ㅈ키에 배치하여 동일키의 글자와의 충돌을 최소화하면서 물음표를 선택할 수 있게끔 하였다.
II. 영문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영문 입력에서도 마찬가지로 동일키에 알파벳이 2개 이상 배치되어 있어 오타 발생 확률이 높으며 글자와 글자사이에 꼭 자동 사이띄기를 이용해야 하므로 빠른 타이핑을 할 수가 없다. 자주 쓰이는 5개의 모음이 자음 속에 섞여 있는 것 또한 조합의 어려움을 불러 일으킨다. 과학적으로 배치가 안 돼있어 타수와 이동거리 면에서 문제가 많다.
본 발명은 자음이나 자모가 섞여 자모가 동일키에 2개 이상 들어가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고, 또 기본 모음을 사용빈도에 따라 한글에서는 ㅏ, ㅓ, ㅗ, ㅜ, ㅣ 5개로, 영문에서는 A, E, I, O, U 5개로 정해 사용자의 빠른 습득을 도왔으며, 자모의 분포를 기능키를 중심으로 하여 모든 조합이 중앙을 중심으로 균등하게 이루어지게 하였으며, 자모의 배치를 기하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원형 접근 형태로 하여 빠른 입력을 추구하였다.
발명의 구성
I. 한글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입력패드를 크게 3 부분으로 나눈다.
A) 4방향 키 및 모음 입력키: 2, 8, 4, 6의 숫자가 각각 상하좌우가 되며 이에 해당하는 모음은 각각 ㅜ, ㅗ,ㅏ, ㅓ 이다. 이 4방향 키는 다른 키들과 구분이 되게끔 키 표면에 색깔을 넣거나 키 모양을 다르게 하여 구분을 한다. 4방향 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판에 나오는 메뉴의 선택을 빠르게 할 수 있게끔 고안되었으며 문자 입력시에는 모음을 입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4방향 키에 표기되는 문자는 ㅜ, ㅗ,ㅏ, ㅓ이며 이 중, ㅗ가 해당되는 8번 키에는 [자음 매직]이란 문구나 그에 상응하는 아이콘이 삽입되어 8번 키가 기능키임을 표시한다. 4방향키의 중간을 차지하는 5번키는 모음ㅣ을 입력할 수 있다.
B) 매직 키: 매직 기능키는 5번과 8번이다. 5번은 모음 매직이며 8번은 자음 매직이다. 5번은 입력패드의 문자판에 표기되지 않는 모든 모음을 조합하기 위한 기능키이며 8번은 입력패드의 문자판에 표기되지 않는 모든 기본 자음을 조합하기 위한 기능키이다. 5번의 기능키는 또 쌍자음 조합시 쓰인다.
C) 자음 입력키: 그 외의 1번, 3번, 7번, 9번, 0번, *번, #번에는 자음을 배치시킨다. 기하학적으로 상단과 오른쪽을 감싸는 형태의 ㄱ자는 상단 오른쪽인 3번에 배치되며, 하단과 왼쪽을 감싸는 형태의 ㄴ자는 하단 왼쪽인 *번에 배치되고 8번 기 능키 밑의 0번에는 가장 많이 쓰이는 ㅇ자를 입력한다. 0번의 0과 ㅇ자는 유사한 기하학적 형태를 지니므로 쉽게 연관이 된다. ㅈ과 ㅅ자는 대각선으로 마주 보듯이 1번과 9번에 각각 배치되며 왼쪽을 중심으로 삼면을 감싼 형태의 ㄷ자는 그 모양에 해당되는 7번에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아래를 중심으로 위로 트인 ㅂ자가 그 모양에 따라 하단에 배치하게 되니 #번에 해당된다. ㅂ자와 ㅅ자의 위치를 서로 맞바꾸어도 본 발명의 기하학적 배치법의 취지에는 큰 지장이 없고 사용자가 수긍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다. 기하학적 배치의 중요성은 문자의 형태와 그 위치가 연관성이 있어 운동신경 중 하나인 수목 배위력(Hand-eye coordination)을 이용해 보다 빠른 입력을 구현할 수가 있다는 점이다. 또 ㅊ ㅍ ㅎ 같은 글자도 8번의 ㅗ자와 함께 ㅅ ㅂ ㅇ를 각각 조합한다는 상형적인 이유를 제공하여 빠른 연관을 얻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쌍자음을 허용하는 ㄱ ㅈ ㄷ ㅅ이 쌍자음 키인 5번 중심으로 상하좌우에 같은 거리에 배치되어 있어 빠른 쌍자음 조합을 얻어낼 수 있다. ㅁ과 ㄹ은 각각 ㄷ과 ㅅ을 두 번 눌러 생성된다. ㄷ과 ㅅ을 사용한 이유는 전자의 종성과 후자의 초성이 같은 자음일 경우가 제일 드문 자음이기 때문이다. ㄷ의 경우 "걷다, 곧다, 굳다, 닫다, 돋다" 등 소수의 예만 있으며 ㅅ의 경우 "뱃살, 맛살"등 두 단어의 조합의 예가 중심이다.
II. 영문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A) 4방향 키 및 모음 입력키: 2, 8, 4, 6의 숫자가 각각 상하좌우가 되며 이에 해 당하는 모음은 각각 U, O, A, E이다. 이 4방향 키는 다른 키들과 구분이 되게끔 키 표면에 색깔을 넣거나 키 모양을 다르게 하여 구분을 한다. 4방향 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판에 나오는 메뉴의 선택을 빠르게 할 수 있게끔 고안되었으며 문자 입력시에는 모음을 입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4방향 키에 표기되는 문자는 U, O, A, E이다. 4방향 키의 중앙에는 모음 I가 들어가고 표기된다. 모음의 경우, 한글과 영문은 연관성이 있다.
B) 대소문자 전환키: 4방향 키의 중앙에 있는 5번키는 대소문자 전환키로 사용된다.
C) 자음 입력키: 그 외의 1번, 3번, 7번, 9번, 0번, *번, #번에는 자음을 배치시킨다. 자음의 배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알파벳 순을 따르는 것이 사용자에게 제일 편하므로 알파벳 순으로 위에서 아래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배치하였다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어떤 알파벳들이 한 조가 되어 동일키에 배치되는냐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발음상 유사한 것들을 한 조로 하여 같은 키에 배치하였다. B-V, C-K-Q, D-T, F-P, G-H-J, L-R, M-N의 7개 조가 위에 나열된 7개의 키(1번, 3번, 7번, 9번, 0번, *번, #번)에 배정된다. 사용빈도수가 낮은 W-X-Y-Z를 모음키에 배치하되 조합가능성이 적은 모음을 선별하여 배치하였다. 즉, W는 E와, A는 Z와, U는 X와, Y는 I와 한 조를 이루게 된다. 단어를 복수로 만들 때 자주 쓰이는 S자는 중앙키 밑의 8번 키의 O와 함께 배치되었다.

발명의 작용
I. 한글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본 입력 방식의 성격을 터득하기 위해 사용자가 알아야 할 두 가지 규칙이 있다.
1. 키에 한 줄로 나열된 글자가 한 개 이상일 경우, 왼쪽부터 각각 1타, 2타, 3타에 입력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2. 본 발명에서는 특정 자모의 조합에 있어서, 1개 이상의 방법을 제시한다.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지금까지 익숙해져 온 기본 규칙을 우선으로 하되, 기본 규칙에서는 다소 벗어나지만 타수면이나 이동거리 면에서 빠른 "지름길 입력법"을 제시한다.
a) 기본 규칙상 자음 매직키나 모음 매직키는 2회 연타하여 격자음을 생성토록 하나 사용자가 어떤 경우에 모음과 충돌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미리 안다면 1타로서도 격자음을 생성할 수 있게 돼있다.
b) 격자음의 생성에 있어서, 기본 상식으로 ㅊ은 ㅈ에서, ㅍ은 ㅂ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이동거리 상, ㅊ은 ㅅ에서도, ㅍ은 ㄴ에서도 나올 수 있게 하였다. 이것은 자모의 모양과 기능을 최대한 살린 본 발명의 특성에 따른 것이다. 또 격자음을 조합할 때 격자음의 모체가 되는 기본 자음을 먼저 입력한 후 기능키를 누르는 것을 상식으로 알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매직키를 먼저 누르고 ㅇ, ㅅ(또 는 ㅈ), ㄴ(또는 ㅂ), ㄱ, 그리고 ㄷ을 누를 시 각각 ㅎ, ㅊ, ㅍ, ㅋ, 그리고 ㅌ을 마찬가지로 생성할 수 있게 하였다.
c) 이중 자음의 입력에 있어서 ㅇ은 ㅎ역할을, ㄷ은 ㅌ역할을 하며 ㄺ ㄻ ㄼ ㄽ ㄾ 등에서의 ㄹ은 ㅅ을 두 번 누를 필요 없이 곧바로 ㄱ ㅁ ㅂ ㅅ ㄷ과 각각 조합시키면 된다. 단 ㄿ에서는 (ㅅ ㄹ)키를 누른 후 (ㅂ)키를 두 번 누른다.
입력 패드에 표시되어 있지 않는 자음 넣기
기본 자음 입력법:
ㅁ을 입력하고자 할 때는 ㄷ을 두 번 누른다. (전자의 종성과 후자의 초성이 똑같이 ㄷ인 경우는 드물지만 그럴 경우 "자동 사이띄기"로 해결한다)
ㄹ을 입력하고자 할 때는 ㅅ을 두 번 누른다. (전자의 종성과 후자의 초성이 똑같이 ㅅ인 경우는 드물지만 그럴 경우 "자동 사이띄기"로 해결한다)
나머지 자음 ㅊ ㅋ ㅌ ㅍ ㅎ중 하나를 입력하고자 할 시 모체가 되는 기본 자음을 입력한 후 자음 매직키 2회를 연타하여 완성을 하며 그 해당 기본 자음은 각각 모양이 비슷한 ㅅ ㄱ ㄷ ㅂ ㅇ이다.
쌍자음인 ㄲ ㄸ ㅃ ㅆ ㅉ중 하나를 입력하고자 할 시 해당되는 기본 자음을 먼저 입력하고 모음 매직키(쌍자음키)를 2회 눌러 완성을 하며 그 해당 기본 자음은 각 각 ㄱ ㄷ ㅂ ㅅ ㅈ중 하나를 선택한 후 모음 매직키(쌍자음키)를 눌러 조합을 한다.
이중 자음 입력법: 종성에 쓰이는 이중자음을 조합하고자 할 시 ㅇ키는 ㅎ으로, ㄷ은 ㅌ으로 간주되며 ㅅㄹ키는 먼저 쓸때는 ㄹ 나중에 쓸때는 ㅅ으로 간주된다. 총 11개의 이중 자음이 있다.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입력 패드에 표시되어 있지 않는 모음 넣기
기본 단모음 입력법: ㅣ(이)는 모음 매직키를 한 번 누를 시 표시된다.
복합 모음 입력법:
ㅡ는 ㅜ를 연속으로 두 번 눌러 조합한다.
ㅢ는 ㅜ를 연속으로 세 번 눌러 조합한다.
ㅐ는 ㅏ를 연속으로 두 번 눌러 조합한다. (ㅐ는 같은 키에 표기되어 있음)
ㅒ는 ㅐ형태에서 모음 매직키와의 조합으로 만든다.
ㅔ는 ㅓ를 연속으로 두 번 눌러 조합한다. (ㅔ는 같은 키에 표기되어 있음)
ㅖ는 ㅔ형태에서 모음 매직키와의 조합으로 만든다.
ㅑ는 ㅏ와 모음 매직키와의 조합으로 만든다.
ㅕ는 ㅓ와 모음 매직키와의 조합으로 만든다.
ㅛ ㅚ는 ㅗ의 입력 후 각각 모음 매직키의 1회와 2회 입력으로 만든다.
ㅠ ㅟ는 ㅜ의 입력 후 각각 모음 매직키의 1회와 2회 입력으로 만든다.
ㅘ는 ㅗ와ㅏ를 차례로 눌러 조합한다.
ㅝ는 ㅜ와 ㅓ를 차례로 눌러 조합한다.
ㅙ는 ㅗ를 입력한 후 ㅏ를 연속으로 두 번 눌러 조합한다.
ㅞ는 ㅜ를 입력한 후 ㅓ를 연속으로 두 번 눌러 조합한다.
II. 영문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키에 한 줄로 나열된 글자가 한 개 이상일 경우, 왼쪽부터 각각 1타, 2타, 3타에 입력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입력시 전자와 후자가 같은 알파벳이거나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자동 사이띄기를 통해 충돌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주요 효과는 한글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동시에 한정된 공간의 이용을 최상화하였다는 데에 있다. 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글꼴 데이터베이스 없이 자모 데이터베이스만으로도 글꼴을 만들 수 있게끔 시스템 구조학적인 개선을 했다는 점도 주요 효과이다. 또 자모의 기하학적 배치와 자모의 기능적 조합을 통해 사이띄기 문제, 습득의 어려움, 조합의 어려움 같은 주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동시에 손가락 이동거리와 타수 또한 단축하였다.
1. 사이띄기 문제 해결: 자동 사이띄기를 설정한 자음은 단 두자이다. 이 두 자도 ㄷ과 ㅅ이어서 전자의 종성과 후자의 초성이 같은 경우는 많지 않다. 이외의 자음은 조합을 통해 이루어지고 한 키에 1자음 이상 배정되지 않기 때문에 사이띄기 문제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자음을 조합하는 점에 있어서도 기능키가 중앙에 있어 손쉽고 빠르게 조합할 수 있다.
2. 손쉬운 입력법: 기본 모음 4개의 배치가 동서남북 4방향으로 돼있고 명확히 다른 키들과 구분되어 있으며 자음의 배치 역시 자음의 모양과 기능을 기준으로 되어있어 익히기 편하다. 또, 기능키 둘 모두 중앙 중심자리에 있어 조합이 훨씬 수월하다.
3. 자모의 빠른 조합: 한글의 입력에 있어서 종래의 많은 입력법들(삼성의 천지인, SK의 SKY2 등)은 특정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4타(예: 삼성의 천지인에서 ㄻ)까지 소모되는 취약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2타 내에 어떠한 자음(겹자음, 이중자음 포함)이든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모음에서는, 복잡한 경우 3키에 걸쳐 3타를 쳐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본 발명은 2키 내에서(타수는 최대 3타까지) 다 해결되기 때문에 훨씬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4. 손가락의 이동거리 감소: 중앙의 기능키 2개를 통해 모든 조합이 이루어지므로 손가락 이동거리가 현저히 줄어든다. 자음의 경우, 이중 자음이 아닐 시, 원하는 자음과 중앙의 기능키 1개 조합이 가능하니 손가락의 이동거리는 평균 1버튼이다. 또 모음의 조합 경우에도 2키 내에 어떠한 모음이든 조합할 수 있고 그 2키도 4방향키와 중앙키에 있으니 손가락의 이동거리는 길어야 1버튼이다. 도표의 손가락 이 동거리 계산은 현재 위치에서 다음 이동 위치까지 가기 위한 (좌우 이동 수 - 1)의 제곱에 (상하 이동 수 - 1)의 제곱을 더한 후 근을 뽑은 것이다.
5. 타수의 감소: 한글의 입력에 있어서 이중자음을 포함한 모든 자음과 모든 모음이 3타 내에 완성되기 때문에 타수가 현저히 감소한다. 또 자주 쓰이는 기본 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를 중심으로 모음 설정을 하였기에 삼성의 천지인 계통의 입력법보다 훨씬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영문의 입력에 있어서 2개 키를 제외하고는 각 키가 최대 2개까지의 영문 문자를 수용하기 때문에 각 키마다 3개 문자를 배치한 타 입력법에 비해 타수가 적어진다.
6. 시스템 구조학적인 개선: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을 이용하여 글꼴 데이터베이스의 도움 없이 자모 데이터베이스만으로 글꼴을 조합할 수 있기에 옛 글자나 외국어의 보다 정확한 발음 표기가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가능하여 큰 장점이다.


Claims (5)

  1. 이동 단말기(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및 기타 3x4 (또는 4x3) 모양의 입력패드(일반 전화기, 키보드의 숫자판, 리모컨 등)에서의 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
    종래 휴대폰의 입력패드안의 상단 왼쪽이 1인 기본 배치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입력패드안에서 5번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또는 동서남북으로 4방향키 기능을 부여하여 메뉴 선택시에는 4방향으로 메뉴를 선택하는 기능키로 쓴다는 점과;
    한글 문자 입력시에는 ㅏ, ㅓ, ㅣ, ㅗ, ㅜ의 5개의 기본 모음을 위주로 모음을 조합하는 입력키로 쓴다는 점과;
    영문 문자 입력시에는 A, E, I, O, U의 5개 모음의 입력키로 쓴다는 점과;
    그 4개의 키가 일반 휴대폰의 2,4,6,8번에 해당한다는 점과;
    그 4개의 키가 다른 키와는 다른 색깔이나 다른 모양을 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다는 점과;
    그 4개 키의 중앙인 5번키는 확인 또는 OK 버튼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이 4개의 키를 중심으로 나머지 자판에 한글의 입력시 7개의 자음(ㄱㄴㄷㅂㅅㅇㅈ)이 배치하였다는 점에서 그 자음의 각 위치를 바꾼 다른 유형의 자판 배열도도 수용하는 것과;
    영문 입력시 S,W,X,Y,Z는 모음키의 제2타 문자로 배치하였으며 나머지 문자(B,C,D,F,G,H,J,K,L,M,N,P,R,T,V)는 발음별로 한그룹을 만들어 배치하였다는 점에서 그 그룹의 각 위치를 바꾼 다른 유형의 자판 배열도도 수용하는 점과;
    길게 누름을 통하여
    *키를 "뒤로가기" 기능으로, "#"키를 "사이띄기" 기능으로 각각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의 한글 입력 시스템은,
    입력패드를 기본 모음 5개, 기본 자음 7개, 그리고 기능키 2개, 이렇게 크게 3 부분으로 나눈 점과;
    그 기본 모음 5개가 ㅏ, ㅓ, ㅗ, ㅜ, ㅣ이며, 기본 자음 7개는 ㄱㄴㄷㅂㅅㅇㅈ이고, 기능키 2개는 모음 조합시 필요한 모음 매직키와 자음 조합시 필요한 자음 매직키란 점과;
    그 기본 모음 5개(ㅏ, ㅓ, ㅗ, ㅜ, ㅣ)의 배치가 각각 동서남북 4방향으로 5번키(상단에서 두 번째 줄, 두 번째 칸)를 중심으로 되었고 자음 7개 중 ㄱㄴㄷ은 그 모서리 형태에 맞추어 각각 입력패드의 상단우측(3번키), 하단좌측(*번키), 중단좌측(7번키)에, ㅈ과 ㅅ은 서로 대각으로 마주 보게끔 상단좌측(1번키), 중단 우측(9번키)에, 그리고 ㅇ과 ㅂ은 각각 하단(0번키와 #번키)에 배치되었으며, 마지막으로 기능키 2개는 입력패드의 중앙구역인 5번키와 8번키에 배치하였다는 점과;
    문장 부호중 자주 쓰이는 물음표를 본 시스템에 배히하였다는 점과;
    그 기본 모음 4개(ㅏ, ㅓ, ㅗ, ㅜ, ㅣ), 기본 자음 7개(ㄱㄴㄷㅂㅅㅇㅈ)가 대표키로서 해당되는 키 표면에 각각 표시되며 1회 누를 시 입력된다는 점과;
    동일키를 2회 누를 시 입력되는 자모는
    4번키의 ㅏ에서는 ㅐ,
    6번키의 ㅓ에서는 ㅔ,
    2번키의 ㅜ에서는 ㅡ,
    7번키의 ㄷ에서는 ㅁ,
    9번키의 ㅅ에서는 ㄹ,
    이라는 점과;
    동일키를 3회 누를 시 나오는 자모 또는 문자는
    2번키의 ㅜ에서는 ㅢ
    1번키의 ㅈ에서는 ?(물음표)
    3번키의 ㄱ에서는 단어 중복 기능 (바로 전의 입력된 단어를 중복시켜주는 기능, 예: 팔딱 -> 팔딱팔딱)
    이라는 점을 특징으로 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입력 장치의 입력 방법은,
    모음 매직키는 혼자서는 모음 ㅣ자를 생성하고 먼저 입력된 자음의 쌍음 형태(쌍자음)을 생성하기 위해 1회 연타된다 점과;
    자음 매직키는 격음을 생성하기 위해 2회 연타된다는 점과;
    자음의 경우,
    키마다 대표자(ㄱㄴㄷㅂㅅㅇㅈ)는 각각 표기된 데로 1타에 입력되며,
    전자의 종성과 후자의 초성이 같은 자음일 경우가 제일 드문 ㄷ과 ㅅ에 각각 ㅁ과 ㄹ을 배치하였다는 점과;
    ㅁ과 ㄹ은 각각 ㄷ과 ㅅ에 해당되는 키를 두 번 연속으로 눌러 입력한다는 점과;
    격자음인 ㅊ ㅋ ㅌ ㅍ ㅎ중 하나를 입력하고자 할 시 모체가 되는 기본 자음을 입력한 후 자음 매직키를 2회 연타하여 완성을 하며 그 해당 기본 자음은 각각 모양이 비슷한 ㅅ ㄱ ㄷ ㅂ ㅇ이라는 점과;
    쌍자음인 ㄲ ㄸ ㅃ ㅆ ㅉ중 하나를 입력하고자 할 시 모체가 되는 기본 자음을 먼저 입력하고 모음 매직키(쌍자음키)를 2회 연타하여 완성을 하며 그 해당 기본 자음은 각각 ㄱ ㄷ ㅂ ㅅ ㅈ이라는 점과;
    이중 자음인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중 하나를 입력하고자 할 시 해당되는 두 개의 자음으로 조합하되 ㅇ키는 ㅎ으로, ㄷ은 ㅌ으로 하며 간주되며 (ㅅㄹ)키는 먼저 쓸 때는 ㄹ 나중에 쓸 때는 ㅅ으로 간주되는데 단 ㄿ에서는 (ㅅ ㄹ)키를 누른 후 (ㅂ)키를 두 번 눌러 조합한다는 점과;
    격자음키(자음 매직키)와 겹자음키(모음 매직키)의 사용에 있어서, 조합시 경우에 따라 매직키를 2연타 대신 1타로서 원하는 격자음이나 겹자음을 생성할 수 있는 지름길 입력법을 갖추었다는 점과;
    모음의 경우,
    키마다 대표자(ㅏ ㅓ ㅗ ㅜ)는 표기된 데로 1타에 입력되며,
    ㅣ(이)는 모음 매직키를 한 번 누를 시 표시되며,
    ㅡ는 ㅜ를 연속으로 두 번 눌러,
    ㅢ는 ㅜ를 연속으로 세 번 눌러,
    ㅐ는 ㅏ를 연속으로 두 번 눌러,
    ㅒ는 ㅐ형태에서 모음 매직키와의 조합으로,
    ㅔ는 ㅓ를 연속으로 두 번 눌러,
    ㅖ는 ㅔ형태에서 모음 매직키와의 조합으로,
    ㅑ는 ㅏ와 모음 매직키와의 조합으로,
    ㅕ는 ㅓ와 모음 매직키와의 조합으로,
    ㅛ ㅚ는 ㅗ의 입력 후 각각 모음 매직키의 1회와 2회 입력으로,
    ㅠ ㅟ는 ㅜ의 입력 후 각각 모음 매직키의 1회와 2회 입력으로,
    ㅘ는 ㅗ와ㅏ를 차례로 눌러,
    ㅝ는 ㅜ와 ㅓ를 차례로 눌러,
    ㅙ는 ㅗ와 ㅐ(ㅏ를 연속으로 두 번 눌러)의 조합으로,
    ㅞ는 ㅜ와 ㅔ(ㅓ를 연속으로 두 번 눌러)의 조합으로,
    완성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 한글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의 영문 입력 시스템과 입력 방법은,
    입력패드를 기본 모음 5개와 기본 자음 16개, 이렇게 크게 2부분으로 나눈 점과;
    그 기본 모음 5개가 A,E,I,O,U로서 5번키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4방향과 그 중앙에 배치되었다는 점과;
    그 배치가 한글의 ㅏ,ㅔ,ㅣ,ㅗ,ㅜ의 위치와 일치한다는 점과;
    그 모음키의 대표자는 A,E,I,O,U이며 제2타 문자는 S와 사용빈도가 낮은 W,X,Y,Z라는 점과;
    그 기본 자음 16개가 B,C,D,F,G,H,J,K,L,M,N,P,R,T,V이며 발음별로 그룹이 형성되었다는 점과;
    그 그룹들이 전부 7개이며 각 B-V, C-K-Q, D-T, F-P, G-H-J, L-R, M-N이라는 점과;
    모음이나 자음이나 왼쪽부터 표기된 것이 대표자이며 대표자는 1타에, 그 다음 문자는 2타에, 그리고 세 번째 문자는 3타에 입력된다는 점과;
    물음표와 대소문자 전환키를 자음키의 제 3타 기능으로 이용하였다는 점과;
    물음표는 B-V키를 3번 누를시 입력된다는 점과;
    대소문자 전환키는 M-N키를 3번 누를시 입력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 영문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5. 제 1항에서 제 4항까지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시스템은,
    입력패드가 상단 왼쪽이 7번으로 시작한 경우, 상위에 설명된 모든 기능과 문자가 배치된 번호키의 호칭이 1번이 7번으로, 2번이 8번으로, 3번이 9번으로, 7번이 1번으로, 8번이 2번으로, 9번이 3번으로 바뀌며 나머지 번호는 그 번호를 유지한 상태를 수용한다는 점과;
    메뉴 모드시 본 발명의 4방향 키를 메뉴 선택키로 이용한다는 점과;
    한글 모드시 본 발명의 한글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을 이용한다는 점과;
    영문 모드시 본 발명의 영문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을 이용한다는 점과;
    계산 모드시 *키를 곱셈과 나눗셈키로, #키를 덧셈과 뺄샘키로 이용한다는 점과;
    특수문자 모드시 본 발명의 4방향 키를 중심으로 모서리키까지 포함하여 9개의 키를 화면에 표기된 특수문자를 직접 입력하는 데 이용하며 특수 문자수가 9개 이상인 경우, 중앙의 5번 키를 다음 페이지 이동키로 이용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 입력 시스템.
KR1020040049228A 2004-06-29 2004-06-29 스마트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20060000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228A KR20060000389A (ko) 2004-06-29 2004-06-29 스마트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228A KR20060000389A (ko) 2004-06-29 2004-06-29 스마트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389A true KR20060000389A (ko) 2006-01-06

Family

ID=3710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228A KR20060000389A (ko) 2004-06-29 2004-06-29 스마트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038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423A1 (ko) * 2009-12-23 2011-06-30 Park Dae Youl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1065711B1 (ko) * 2008-09-23 2011-09-19 박대열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1329298B1 (ko) * 2013-05-08 2013-11-14 제용진 모바일 단말수단의 한글 입력 시스템
KR20200021675A (ko) * 2018-08-21 2020-03-02 김성욱 훈민정음 키패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711B1 (ko) * 2008-09-23 2011-09-19 박대열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WO2011078423A1 (ko) * 2009-12-23 2011-06-30 Park Dae Youl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1329298B1 (ko) * 2013-05-08 2013-11-14 제용진 모바일 단말수단의 한글 입력 시스템
KR20200021675A (ko) * 2018-08-21 2020-03-02 김성욱 훈민정음 키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501766A (ja) 小型キーパッドにおける字母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60000389A (ko) 스마트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CN102422621A (zh)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KR1004180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0517029B1 (ko)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KR20130069517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1098727B1 (ko) 입력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의 한글 배열 통합형 자판
KR20050116923A (ko) 스마트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8002457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랍어 및 이란어 문자 입력 방법
KR20050115386A (ko)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08317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258712B2 (ja) 電子機器に対する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27964B1 (ko) 문자 입력을 위한 크로스 다이얼 키패드
KR20020054059A (ko) 휴대 전화기에서의 한글문자 입력 및 수정방법
KR100848725B1 (ko)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07646A (ko)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KR200600294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KR100628366B1 (ko)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CN1971483A (zh) 五键拼音输入法
KR20050115792A (ko) 스마트 중문자 입력법
KR101058638B1 (ko) 버튼의 3번 연속눌러짐에 의한 알파벳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8151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20020001918A (ko)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20060010626A (ko) 축소형 글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축소형 한글 글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