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9517A -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9517A
KR20130069517A KR1020120146759A KR20120146759A KR20130069517A KR 20130069517 A KR20130069517 A KR 20130069517A KR 1020120146759 A KR1020120146759 A KR 1020120146759A KR 20120146759 A KR20120146759 A KR 20120146759A KR 20130069517 A KR20130069517 A KR 20130069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haracter
row
input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호
황재엽
Original Assignee
황재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엽 filed Critical 황재엽
Priority to JP201454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JP5882497B2/ja
Priority to PCT/KR2012/011010 priority patent/WO2013089534A2/ko
Publication of KR2013006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소형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본어를 입력하기 위한 소형키보드로서, 3*4키패드에 히라가나의 각 행의 'あ'단의 글자를 순서대로 배열한 텐키방식은 많은 불편이 있다.
기존에도 이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으나, 소형쿼티자판은 너무 작아지는 그 키의 크기로 인해 역시 불편함이 있으며, 새로운 배열과 새로운 입력방식을 갖는 방식들은 사용자들의 학습을 필요로 하여 대부분 선택을 받지 못하여 왔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기기에서도 일본어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현재 일본인들이 가장 즐겨 사용하는 일본어 입력방법인 로마자로 입력하는 방법이 보다 쉽게 적용된 소형 키보드(이하, 가상 키보드 포함)의 구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가로*세로 5*4의 배열로 되어 있고, 가운데의 3*4의 배열은 기존의 3*4배열(또는, 텐키배열이라고도 한다.)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새로운 자판의 배열을 쉽게 암기할 수 있도록, 기존의 텐키 배열방식에서 'あ(a)'가 배열된 키에는 a가, 'か(ka)'가 배열된 키에는 k가, 'さ(sa)'가 배열된 키에는 s가, 'た(ta)'가 배열된 키에는 t가, 'な(na)'가 배열된 키에는 n이, 'は(ha)'가 배열된 키에는 h가, 'ま(ma)'가 배열된 키에는 m이, 'や(ya)'가 배열된 키에는 y가, 'ら(ra)'가 배열된 키에는 r이, 'わ(wa)'가 배열된 키에는 w가 배열된다.
그리고, 모든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더 필요한 문자들인 i, u, e, o, g, z, d, b, p, v, l 등 중에서, 탁음이나 반탁음을 입력할 때 사용되는 g, z, d, b, p는 그 대표음가(청음)가 배열된 키에 함께 배열되고, 모음인 i, u, e, o는 상기 3*4배열의 좌우의 버튼들 중에서 4개의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고, 좌우의 버튼 중에서 나머지 4개의 버튼에는 입력취소(또는 삭제)버튼, 다국어모드, 특수기호모드, 가타가나모드 등의 기능키가 배열된다.
그리고, 하나의 키에 복수로 배열된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연속누르기 방식이나, 또는 터치스크린의 경우에는 각 키의 대표문자는 터치했다 바로 떼는 것으로 입력하고, 키에 대자마자 좌측이나 우측으로 쓸어서 좌측이나 우측에 배열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소형 키보드에서도 일본어 문자를 손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of Japanese compact keyboard}
본 발명은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소형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마이크로소프트 일본어 자판 설명서
[문헌 2] 문자빈도표 (http://www7.plala.or.jp/dvorakjp/hinshutu.htm)
(검색일 : 2011. 12. 6)
[문헌 3] 코다마 문자배열 (http://www2u.biglobe.ne.jp/~cws/kodama_1.htm)
(검색일 : 2011. 12. 15)
[문헌 4] 휴대전화기의 로마자 입력방식 (http://www.d-tech.jp/kaihatu/main2.html)
(검색일 : 2011. 12. 15)
일본어를 입력하기 위한 소형키보드로서, 3*4키패드에 히라가나의 각 행의 'あ'단의 글자를 순서대로 배열한 텐키방식은 많은 불편이 있다.
기존에도 이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으나, 소형쿼티자판은 너무 작아지는 그 키의 크기로 인해 역시 불편함이 있으며, 새로운 배열과 새로운 입력방식을 갖는 방식들은 사용자들의 학습을 필요로 하여 대부분 선택을 받지 못하여 왔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기기에서도 일본어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현재 일본인들이 가장 즐겨 사용하는 일본어 입력방법인 로마자로 입력하는 방법이 보다 쉽게 적용된 소형 키보드(이하, 가상 키보드 포함)의 구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가로*세로 5*4의 배열로 되어 있고, 가운데의 3*4의 배열은 기존의 3*4배열(또는, 텐키배열이라고도 한다.)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새로운 자판의 배열을 쉽게 암기할 수 있도록, 기존의 텐키 배열방식에서 'あ(a)'가 배열된 키에는 a가, 'か(ka)'가 배열된 키에는 k가, 'さ(sa)'가 배열된 키에는 s가, 'た(ta)'가 배열된 키에는 t가, 'な(na)'가 배열된 키에는 n이, 'は(ha)'가 배열된 키에는 h가, 'ま(ma)'가 배열된 키에는 m이, 'や(ya)'가 배열된 키에는 y가, 'ら(ra)'가 배열된 키에는 r이, 'わ(wa)'가 배열된 키에는 w가 배열된다.
그리고, 모든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더 필요한 문자들인 i, u, e, o, g, z, d, b, p, v, l 등 중에서, 탁음이나 반탁음을 입력할 때 사용되는 g, z, d, b, p는 그 대표음가(청음)가 배열된 키에 함께 배열되고, 모음인 i, u, e, o는 상기 3*4배열의 좌우의 버튼들 중에서 4개의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고, 좌우의 버튼 중에서 나머지 4개의 버튼에는 입력취소(또는 삭제)버튼, 다국어모드, 특수기호모드, 가타가나모드 등의 기능키가 배열된다.
그리고, 하나의 키에 복수로 배열된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연속누르기 방식이나, 또는 터치스크린의 경우에는 각 키의 대표문자는 터치했다 바로 떼는 것으로 입력하고, 키에 대자마자 좌측이나 우측으로 쓸어서 좌측이나 우측에 배열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소형 키보드에서도 일본어 문자를 손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로마자로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때 쓰이는 문자별 사용빈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휴대폰에서 로마자를 입력하는 기존 방식의 하나이다.
도 3은 휴대폰에서 로마자를 입력하는 코다마의 배열이다.
도 4는 코다마식 배열의 3단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배열의 일실시예이다.
도 6은 모음을 우측에 배열한 문자배열이다.
도 7은 기능키를 결합한 실시예이다.
도 8은 왼손잡이를 위한 배열이다.
도 9는 모음을 좌우측에 배열한 실시예이다.
도 10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연속누르기를 하는 경우의 화면처리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은 로마자로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때 쓰이는 문자별 사용빈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는 아사히 신문·요미우리 신문의 일면 및 사설, 미국 역대 대통령의 취임 연설(핏트제라르드~죠지·부시)의 일역, 20대 남성의 E-mail 및 형법으로부터 11만 7,433자를 해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의 출처 참조).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음 a, i, u, e, o는 모두 상위에 랭크되어 있고, 자음은 n, t, k, s, r, y, m, w, d, g, z, b, p, f, v, q의 순으로 많이 쓰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적화된 자판을 만들려면 이러한 출현빈도를 감안한 배열을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바로 그러한 배열에 어긋나지 않으면서도 직관적인 배열과, 또 직관적인 입력규칙을 가져 사람들이 특별히 학습을 통하지 않고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쉽고도 빠른 로마자 기반의 자판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기존의 로마자 기반의 휴대용 자판의 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휴대폰에서 로마자를 입력하는 기존 방식의 하나이다.
이 방식은 도면에 보이는 매너키와 4개의 방향키를 기존 3*4형 키패드에 추가하여 문자입력에 사용한다.
그 입력방식을 자세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모음 입력은 'あ'키를 눌러 'a'를, '↑'키를 눌러 'i'를, '→'키를 눌러 'u'를, '↓'키를 눌러 'e'를, '←'키를 눌러 'o'를 입력하고, 자음 입력은 'か'키를 눌러 'k'를, 'さ'키를 눌러 's'를, 'た'키를 눌러 't'를, 'な'키를 눌러 'n'을, 'は'키를 눌러 'h'를, 'ま'키를 눌러 'm'를, 'や'키를 눌러 'y'를, 'ら'키를 눌러 'r'를, 'わ'키를 눌러 'w'를 입력한다.
탁음의 자음은 '매너'키를 사용하여 입력한다. 즉, '매너'키를 누르고 'か'키를 눌러 'g'를, '매너'키를 누르고 'さ'키를 눌러 'z'를, '매너'키를 누르고 'た'키를 눌러 'd'를, '매너'키를 누르고 'は'키를 눌러 'b'를 입력하는 것이다.
반탁음의 자음은 '매너'키를 누르고 'な'키를 눌러서 입력한다.
'ん'은 'な'키를 두 번 연속 눌러서 'nn'을 입력하면 'ん'이 된다.
촉음은 자음키를 두 번 연속 눌러 입력하고, 구두점은 '매너'키를 누르고 'あ'키를 눌러서 입력하고, 장음기호 '―'는 '매너'키를 두 번 연속 눌러서 입력하고, 소문자는 '매너'키와 'ら'키를 누른 후 소문자가 될 문자를 입력하면 된다.
이밖에 확장로마자인 f, j, l, v는 '매너'키와 각각 'ま'키, 'や'키, 'ら'키, 'わ'키를 연이어 눌러서 입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눌러야 할 자음이 키의 표면에 보이지 않고, 또한 오히려 영문자 입력을 위한 표시 때문에 헷갈리기만 하고(예를 들어, 'k'를 입력하려면 2번키를 눌러야 하지만 'k'는 5번키에서 보이게 된다.), 모음 또한 i, u, e, o는 방향키에 배열이 되어있는 것이 직관성이 부족하여 학습이 필요하고, 또한 상당한 연습을 필요로 한다. 또한, 탁음 입력방식도 '매너'키라는 별도의 키를 사용하여 이 역시 직관성이 부족하여 학습이 필요하고, 또한 상당한 연습을 필요로 한다. 또한, 반탁음은 그 입력할 로마자인 'p'를 아무런 연관이 없는 'n'을 입력하는 'な'키를 '매너'키와 함께 눌러야 하는 방식은 위의 다른 예보다 더 직관성이 부족하여 또한 학습과 연습을 필요로 한다.
이밖에도, 구두점과, 장음, 확장로마자(f, j, l, v), 그리고 소문자 입력방식 또한 직관성이 부족하여 또한 상당한 학습과 연습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모음키가 자음키들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점도 타수를 줄이는 대신 운지거리가 길어져(한 손으로 입력하기에는 번거롭게 된다.), 그 실효성에 있어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기 힘들었다.
도 3은 휴대폰에서 로마자를 입력하는 코다마의 배열이다.
이 방식은 기존 3*4 키패드 기반에서 자모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 방식 또한 직관성이 떨어져, 학습을 통하지 않고는 사용하기 어려움이 있다. Y키를 탁음을 입력하기 위한 선행키로 사용하는 등은 배우지 않고는 전혀 알 수 없을 정도로 직관성이 없는 것이다.
도 4는 코다마식 배열의 3단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Y키를 눌러 탁음이나, 사용률이 떨어지는 다른 자음인 M, W 등을 누르는 방식은 직관성도 없고, 일관성도 떨어진다 할 것이다.
'p'를 입력하기 위해 먼저 Y키를 두 번이나 눌러야 하는 것은 분명 쉽게 이해되지 않는 방식인 것이다.
이상으로, 기존 방식에 대하여 설명을 마치고, 다음은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배열의 일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로마자 배열은 그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람들에게 가장 익숙한 텐키 배열을 그대로 활용한다. 즉, 본 발명은, 'あ(a)'가 배열된 자리에 a를, 'か(ka)'가 배열된 자리에 k를, 'さ(sa)'가 배열된 자리에 s를, 'た(ta)'가 배열된자리에 t를, 'な(na)'가 배열된 자리에 n을, 'は(ha)'가 배열된 자리에 h를, 'ま(ma)'가 배열된 자리에 m을, 'や(ya)'가 배열된 자리에 y를, 'ら(ra)'가 배열된 자리에 r를, 'わ(wa)'가 배열된 자리에 w를 배열하여 누구나 알고 있는 이 배열을 그대로 쓸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이 열 개의 문자 배열에 모음키 네 개를 그 좌측에 더하여 각각 i, u, e, o를 배열을 함으로써, 본 발명의 가장 기본이 되는 상위 14개의 문자가 기본문자로 배열된 원형이 완성된다. 이러한 키의 배열은 한 손으로 입력하기에도 가까워 편리하고, 양손으로 자모를 번갈아 입력하기에도 편리하고, 또한 그 로마자를 해당하는 키에 표시함으로써 직관성이 좋고, 빠르게 찾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출현빈도로 따져서 총 91.4%에 해당하는 빈도를 보이는 상위 14개의 문자가 각각 1타에 입력되어 매우 효율이 좋으며, 또한 a, i, u, e, o의 모음키들이 모두 순서대로 연이어 있어 직관성이 뛰어나 학습할 필요도 없고 암기할 필요도 없는 배열인 것이다.
여기에, 탁음과 반탁음을 입력할 때 사용하는 d, g, z, b, p를 각각 그 청음음가를 나타내는 문자와 함께 배열한다. 즉, g는 k와 함께, z는 s와 함께, d는 t와 함께, b와 p는 h와 함께 배열하고 키에 그 표시를 하여 이 역시 학습이 필요 없는 배열이 된다.
여기에, v를 맨 마지막의 키에 소문자를 만들 때 쓰는 l과 함께 더 배열하였는데, 이는 v는 h와 함께 배열됨이 그 일관성을 유지하기에 좋으나, 이 문자들이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또한 b와 p와 함께 총 네 개의 문자가 하나의 키에 배열되는 것은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는 또 다른 문자인 l을 함께 한 곳에 모아 놓은 것이다.
또 여기에, 겹쳐서 입력할 필요가 없는 문자인 m, y, r, w가 배열된 키와 상기 vl키에 자주 쓰는 문장기호(、, 。, !, ?)와, 장음기호(-)를 각각 하나씩 더 배열한 것이다.
상기 v, l과 문장기호들은 반드시 그림과 같이 배열될 필요는 없다. m, y, r, w, vl키에 각각 나누어 배열하되 그 순서는 실시하는 자의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된 배열이 가능할 것이다.
또, 상기 vl키는 4행 2열의 자리에 배치해도 무방하다.
이제 이렇게 배열된 자판에서 각 배열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 키에서 첫번째에 배열된 문자인 a, i, u, e, o, k, s, t, n, h, m, y, r, w, -는 각각 한 번의 누름으로써 입력된다.
두번째에 배열된 문자인 g, z, d, b, 、, 。, !, ?, v는 각 해당키를 '연속누르기' 방식에 따라 두 번 연속 입력함으로써 입력한다. 연속누르기란 K키를 한 번 누르면 k가 입력되고 다시 연이어 한 번 더 누르면 그 k 대신 그 다음 문자인 g가 입력되는 방식을 말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으로 소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도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일본어 키보드에서 소문자를 만드는 키인 l키를 먼저 누르고 소문자로 입력하고 싶은 문자키를 누르면 해당 문자의 소문자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あ(a)의 소문자 ぁ를 입력하고자 하면 l, a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되는 것이다.
소문자를 입력하는 또 다른 방법은 해당 소문자가 다른 문자와 결합된 형태의 문자를 입력하는 로마자를 모두 함께 입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いぇ(ye)'를 입력하고자 하면 'i'를 눌러 'い'를 입력한 후, 'l'과 'e'를 눌러 'ぇ'를 입력하는 방법도 있지만, 처음부터, 'y'와 'e'를 눌러 곧바로 'いぇ'를 입력해도 되는 것이다. 이런 입력방법 또한 이미 컴퓨터에서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방식이다.
다음은, 소문자 중에 촉음을 나타내는 'っ'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l', 't', 'u'를 차례로 눌러 입력할 수도 있지만, 이미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대로 촉음의 다음에 오는 글자의 자음을 겹쳐서 입력하여 っ를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즉, 'ざっし'에서의 っ를 입력하려면 's'와 'i'를 눌러 입력하는 'し'의 앞글자인 's'를 겹쳐서 입력하면 되는 것이다. 즉, 's', 's', 'i'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っし'가 입력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자음을 겹쳐서 입력하려면, 하나의 키에 복수로 배열된 문자를 연속누르기로 선택하는 이러한 키보드에서 오류를 일으키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즉, '-tt-'를 입력하면 곧, '-d-'로 입력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이러한 촉음 입력법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제공한다. t, d가 배열된 키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t 한 번 = t 입력으로 처리
t 연속 두 번 = d 입력으로 처리
t 연속 세 번 = tt(っt) 입력으로 처리
t 연속 네 번 = dd(っd) 입력으로 처리
t 연속 다섯 번 = 다시 t 입력으로 처리
그리고 계속 더 누르면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여기서, 'っd'처럼 실제 언어생활에서 거의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면 그 과정은 건너뛰도록 구현해도 무방하다.
한 가지 더 설명하면, 촉음을 입력하기 위하여 kk, ss, tt, pp를 입력하고자 할 때,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 해당하는 키를 3번, 3번, 3번, 4번을 입력하게 되는데, 특히 pp는 다른 촉음에 비해 그 타수가 하나 더 많아 불편하기도 하고 자칫 헷갈리기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촉음을 만드는 자음을 중첩하여 입력하는 방식을 좀 더 간편한 것으로 한 가지 더 제공한다.
촉음(っ)을 vl키의 제일 앞에 배열하고 촉음이 필요할 때 한 번 누름으로써 촉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촉음을 눌러야 할 타이밍에 타이핑을 하는 리듬감을 잃지 않고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음부호는 가타카나 모드에서만 사용되므로 촉음의 후순위로 입력되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물론 그 순서는 실시하는 자의 선택에 달려 있다.
소문자 입력은, 사람들에 따라 l 대신 x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으므로 사용자옵션에 따라 l 대신 x를 배열토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다음은 연속누르기에 따른 다른 키들의 처리방법에 대한 추가설명이다.
m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한 번 누르면 'm', 두 번 누르면 '、'이 입력되는 것은 일반적인 연속누르기를 따르는 것이므로 당연하다. 그런데, 세 번 누를 때부터는 조금 다르게 구현할 수도 있는데, '、'를 입력하고 다시 'm'으로 시작하는 글자를 입력하려하면 연속누르기에 의해 앞에 입력한 '、'이 다시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두번째 입력인 '、'에서 연속누르기를 멈추고 세번째 입력은 다시 새로운 입력으로 처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처리방법의 선택은 당업자의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숫자를 입력하게 하는 방법은, 각 숫자가 마킹되어 있는 키를 오래 누르거나 또는 상하좌우 특정 방향(대표문자로부터의 방향대로 입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으로 쓸어서 입력하도록 하면 된다. 도면의 경우라면 아래방향으로 쓸어서 입력하면 숫자가 입력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 숫자는 마킹을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숫자모드로 전환시켜서 숫자키들을 불러 입력하게 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배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모음을 우측에 배열한 문자배열이다.
본 배열은 앞선 배열에서 모음키가 좌측으로 배열되는 것이 아무래도 우측에 배열되는 것보다 자연스럽지 못한 면이 있으므로, 이를 우측으로 배열하면서도 기본적인 키들의 배열을 유지하는 배열예이다.
모음키들을 우측으로 배열하려면 좌측의 1번키에 있는 'A키'를 우측으로 옮겨야 되는데, 이 자리에 실시예 1에서 맨 마지막에 배열된 문자들을 1번키에 배열하고, 대신 그 맨 마지막키에는 그림처럼 모음키를 배열한다.
즉, 이 배열은 모음키를 별도의 키에 배열하여 우측에 두고, 자음키들은 기존의 텐키 배열에 맞추어 배열한 것이 되는 것이다.
앞에 설명한 대로 촉음이 키표면에 표시된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기능키를 결합한 실시예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람들이 탁음과 반탁음은 청음키를 연속으로 눌러서 입력한다는 것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배열이므로 키스킨에는 그 표기를 생략해도 무방하다. 이런 실시는 미관상의 이득이 있다.
본 실시예는 m, y, r, w키의 연속누르기 후순위 문자로써 촉음, 장음, 소문자접두어(l), v를 배열하여, 기본 텐키 자판에 일본어문자 입력에 관한 것들을 모아놓고, 문장부호는 숫자입력과 같은 방법으로 입력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즉, 일본어문자는 연속누르기에 의해서 입력하고 숫자나 다른 기호는 연속누르기 외의 방법으로 입력토록 하여 일관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우측에는 입력취소(삭제), 다국어, 기호, 가타가나모드 등의 기능키를 배열하였으며, 스페이스와 엔터키는 중앙부쪽에 올 수 있도록 하였다. 스페이스와 엔터키는 일본어입력에서 단순히 공란을 입력하거나 행을 바꾸는 용도로만 사용되지 않고 좀 더 복잡한 기능을 하는데, 스페이스는 로마자를 입력함에 따라 화면에 나타나는 추천문자(보통 한자)를 고르는 용도로 사용되며(다음 후보문자로 이동), 엔터키는 같은 상태(로마자 입력 상태)에서 현재의 후보문자를 확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즉, 스페이스와 엔터키는 다른 언어자판에서보다 더 자주 사용되는 키이고, 한손으로 입력하는 경우 너무 구석에 있으면 엄지를 너무 펴야 하거나 너무 구부려야 하는 불편이 있어, 도면에서처럼 중앙부에 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왼손잡이를 위한 배열이다.
이 배열은 도 7의 실시예에서 i키, u키, e키, o키 열을 우측으로 가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의 배열이다.
기기의 사용자설정메뉴에서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에 대한 사용자선택사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메뉴 안에서 왼손잡이배열을 선택하면 도면과 같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모음을 좌우측에 배열한 실시예이다.
이 배열은 도 7의 실시예에서 e키, o키 열을 우측으로 가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의 배열이다. 다른 기능키의 위치는 자동으로 도면과 같이 이동된다.
기기의 사용자설정메뉴에서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에 대한 사용자선택사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메뉴 안에서 좌우배열을 선택하면 도면과 같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연속누르기를 하는 경우의 화면처리예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 탁음이나 반탁음의 표시를 키스킨에 표기하지 않는 대신 해당 키를 누를 때마다 다음에 입력될 문자를 키스킨에 보여주면 규칙을 모르는 사람이라도 쉽게 익히게 될 것이다. 본 그림은 바로 그러한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그림의 첫번째 그림은 누르지 않은 상태의 k키의 키스킨 모습이다. 이때 키를 한 번 누르고 난 후에는 그 다음 그림처럼 k키의 문자표기가 K에서 G로 바뀌게 된다. 이는 한 번 더 누를 경우에는 k키의 연속누르기 규칙상 g가 입력되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이제 k키를 한 번 더 누르면 그 다음 그림처럼 상기 G 표기는 KK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또 한 번 더 누르면 그 다음 그림처럼 KK는 다시 K로 바뀌는 것이다. 여기서, 연속누르기에 의해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도면처럼 키스킨의 색상도 변화를 주어 좀 더 눈의 띄게 할 수도 있지만, 문자 표기 이외의 변화를 주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태블릿컴퓨터를 가로로 누인 상태에서 양손으로 들고 타이핑을 하려면 엄지손가락만 사용토록 하는 것이 더 쉬운데, 본 발명에 따른 배열은 그림처럼 자음과 모음을 양쪽으로 나누어 제공할 수 있어, 소형 디바이스에서는 도면처럼 결합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태블릿컴퓨터 등에서는 자음부와 나머지부가 서로 떨어져서 양쪽으로 분리되어 기기를 양손으로 들고 있는 상태에서도 엄지만으로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배열과 입력방식은 모두 뛰어난 직관성을 갖추고 있어, 특별한 학습과 연습이 필요 없고, 또한 효율이 좋아 매우 빠른 입력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물리키보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려면, 본 발명에 따라 배치된 물리키보드와, 여기서 발생된 스캔코드를 입력받아 상술한 바처럼 문자코드로 변환시키는 소프트웨어가 호스트에 구비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가상키보드로 구현하려면, 본 발명에 따른 키배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가상키보드 영역을 할당하고, 입력수단(예:마우스나 터치 등)에 의해 가상키보드 내의 특정 키의 선택 또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입력이벤트에 의해 대응값이 발생되고, 발생된 대응값을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하여 문자로 치환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려면, 일반적인 구성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함은 자명하며, 이는 너무나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아주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지, 기존 기술과 다른 점은, 본 발명이 제시하는 새로운 문자배열과 그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이 다른 것이며, 이 새로운 체계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열들을 분석하여 일본어 문자 입력으로 변환시켜주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소형 키보드에서도 일본어 문자를 손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Claims (6)

  1. 로마자로 일본어 입력을 하기 위한 소형 키보드에 있어서,
    버튼의 구성은 중앙부에 기존의 3*4배열(또는, 텐키배열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상기 3*4배열의 좌우에 하나씩의 열들이 더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가로*세로 5*4의 배열로 되어 있고,
    상기 기존의 텐키 배열에 해당하는 버튼들은 1번키(또는 1행 2열키)에는 a가, 2번키(또는 1행 3열키)에는 k가, 3번키(또는 1행 4열키)에는 s가, 4번키(또는 2행 2열키)에는 t가, 5번키(또는 2행 3열키)에는 n이, 6번키(또는 2행 4열키)에는 h가, 7번키(또는 3행 2열키)에는 m이, 8번키(또는 3행 3열키)에는 y가, 9번키(또는 3행 4열키)에는 r이, 0번키(또는 4행 2열키에서 4행 4열키 중의 어느 하나)에는 w가 배열되고,
    그리고, 탁음이나 반탁음을 입력할 때 사용되는 g, z, d, b, p는 그 대표음가(청음)가 배열된 키에 함께 배열되고,
    모음인 i, u, e, o는 상기 3*4배열의 좌우의 버튼들 중에서 4개의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고, 좌우의 버튼 중에서 나머지 4개의 버튼에는 입력취소(또는 삭제)버튼, 다국어모드, 특수기호모드, 가타가나모드 등의 기능키가 배열되고,
    상기 2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g'가, 셋째문자 자리에 'kk'가, 3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z'가, 셋째문자 자리에 'ss'가, 4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d'가, 셋째문자 자리에 'tt'가, 6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b'가, 셋째문자 자리에 'p'가, 넷째문자 자리에 'pp'가 배열되고,
    각 키에서 대표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대표문자가 입력되고, 둘째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둘째문자가 입력되고, 셋째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셋째문자가 입력되고, 넷째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넷째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소형 키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키들과, 상기 7번키, 8번키, 9번키, 0번키들의 둘째문자 자리에 장음부호(-) 또는 촉음과, 주요 문장부호(、, 。, !, ? 등) 등이 하나씩 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소형 키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대표문자를 선택하는 방식은 해당 키를 한 번 누르는 것이고, 둘째문자를 선택하는 방식은 해당 키를 연속하여 두 번 누르는 것이고, 셋째문자를 선택하는 방식은 해당 키를 연속하여 세 번 누르는 것이고, 넷째문자를 선택하는 방식은 해당 키를 연속하여 네 번 누르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소형 키보드.
  4. 제 2항에 있어서,
    장음부호(-) 또는 촉음과, 주요 문장부호(、, 。, !, ? 등) 등이 하나씩 더 배열되는 방법은, 촉음, 장음, v, l이 7번키, 8번키, 9번키, 0번키에 각각 하나씩 나누어 배열되고, i키, u키, e키, o키에 주요 문장부호(、, 。, !, ?)가 각각 하나씩 나누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소형 키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a키를 제외한 상기 모음키들이 좌측에, 또는 우측에, 또는 좌우측으로 나뉘어 배치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소형 키보드.
  6. 로마자로 일본어 입력을 하기 위한 소형 키보드를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버튼의 구성은 중앙부에 기존의 3*4배열(또는, 텐키배열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상기 3*4배열의 좌우에 하나씩의 열들이 더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가로*세로 5*4의 배열로 되어 있고,
    상기 기존의 텐키 배열에 해당하는 버튼들은 1번키(또는 1행 2열키)에는 a가, 2번키(또는 1행 3열키)에는 k가, 3번키(또는 1행 4열키)에는 s가, 4번키(또는 2행 2열키)에는 t가, 5번키(또는 2행 3열키)에는 n이, 6번키(또는 2행 4열키)에는 h가, 7번키(또는 3행 2열키)에는 m이, 8번키(또는 3행 3열키)에는 y가, 9번키(또는 3행 4열키)에는 r이, 0번키(또는 4행 2열키에서 4행 4열키 중의 어느 하나)에는 w가 배열되고,
    그리고, 탁음이나 반탁음을 입력할 때 사용되는 g, z, d, b, p는 그 대표음가(청음)가 배열된 키에 함께 배열되고,
    모음인 i, u, e, o는 상기 3*4배열의 좌우의 버튼들 중에서 4개의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고, 좌우의 버튼 중에서 나머지 4개의 버튼에는 입력취소(또는 삭제)버튼, 다국어모드, 특수기호모드, 가타가나모드 등의 기능키가 배열되고,
    상기 2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g'가, 셋째문자 자리에 'kk'가, 3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z'가, 셋째문자 자리에 'ss'가, 4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d'가, 셋째문자 자리에 'tt'가, 6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b'가, 셋째문자 자리에 'p'가, 넷째문자 자리에 'pp'가 배열되고,
    각 키에서 대표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대표문자가 입력되고, 둘째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둘째문자가 입력되고, 셋째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셋째문자가 입력되고, 넷째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넷째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소형 키보드를 구현하는 방법.




KR1020120146759A 2011-12-16 2012-12-14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20130069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47115A JP5882497B2 (ja) 2011-12-16 2012-12-17 小型日本語キーボード及び方法
PCT/KR2012/011010 WO2013089534A2 (ko) 2011-12-16 2012-12-17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203 2011-12-16
KR20110136203 2011-12-16
KR1020120121674A KR20130069363A (ko) 2011-12-16 2012-10-30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20120121674 2012-10-30
KR1020120131234A KR20130069391A (ko) 2011-12-16 2012-11-19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20120131234 2012-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517A true KR20130069517A (ko) 2013-06-26

Family

ID=4886474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674A KR20130069363A (ko) 2011-12-16 2012-10-30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20120131234A KR20130069391A (ko) 2011-12-16 2012-11-19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20120146759A KR20130069517A (ko) 2011-12-16 2012-12-14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674A KR20130069363A (ko) 2011-12-16 2012-10-30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20120131234A KR20130069391A (ko) 2011-12-16 2012-11-19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82497B2 (ko)
KR (3) KR201300693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417B1 (ko) * 2020-10-08 2023-10-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기기에서의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2459508B1 (ko) * 2021-11-01 2022-10-28 이종헌 일본어 문자 입력기 및 입력 방법
KR20230140202A (ko) * 2022-03-29 2023-10-06 양기호 일본어 로마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어레이 및 이러한 키 어레이를 갖는 자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6922A (en) * 1987-07-23 1989-01-30 Nec Corp Japanese sentence input system
KR100464115B1 (ko) * 1997-01-24 2005-06-29 미사와홈 가부시키가이샤 키입력장치
JP3328245B2 (ja) * 1998-10-05 2002-09-24 中部日本電気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文字入力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4229528B2 (ja) * 1999-06-15 2009-02-25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
JP2002140149A (ja) * 2000-11-01 2002-05-17 Shinji Tanabe 携帯電話及び携帯端末機の文字入力キー配列及び文字入力方法
JP3998998B2 (ja) * 2002-03-04 2007-10-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8108228A (ja) * 2006-09-29 2008-05-08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携帯端末、携帯端末の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391A (ko) 2013-06-26
KR20130069363A (ko) 2013-06-26
JP5882497B2 (ja) 2016-03-09
JP2015500539A (ja)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549B1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20210058291A (ko) 쉬운 일문용 로마자 배열을 갖는 일문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039284B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30069517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10105227A (ko) 한글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JPH09128134A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KR101445061B1 (ko)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JP4258712B2 (ja) 電子機器に対する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40050796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20190140135A (ko) 일본어 키패드
JP4761234B2 (ja) 携帯入力端末の入力方式
KR100398668B1 (ko) 한글자모 배열과 입력방법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JP6924752B2 (ja) 端末機のタッチスクリーンを用いた漢字と数字の入力キーボード及びその入力方法
JP2007323541A (ja) 5キー入力装置
KR20060107646A (ko)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KR20050115792A (ko) 스마트 중문자 입력법
US20120120012A1 (en) Method for inputting digital characters
KR101509571B1 (ko) 대기시간이 없는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KR101039482B1 (ko) 스마트 조합식 문자 입력 키패드
JP2002229721A (ja) 日本語の音節表記に基づく簡易型文字入力装置
KR980013177A (ko) 전자식 전화형 키패드를 이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 using electric telephone key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