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89534A2 -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89534A2
WO2013089534A2 PCT/KR2012/011010 KR2012011010W WO2013089534A2 WO 2013089534 A2 WO2013089534 A2 WO 2013089534A2 KR 2012011010 W KR2012011010 W KR 2012011010W WO 2013089534 A2 WO2013089534 A2 WO 201308953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key
character
row
colum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110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89534A3 (ko
Inventor
황재엽
양기호
Original Assignee
Hwang Jay-Yeob
Yang Gih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2167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069363A/ko
Application filed by Hwang Jay-Yeob, Yang Giho filed Critical Hwang Jay-Yeob
Priority to JP201454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JP5882497B2/ja
Publication of WO201308953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89534A2/ko
Publication of WO201308953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8953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keyboard for inputting Japanese characters.
  • the Tenki method which arranges the letters "A" of each line of Hiragana in order on a 3 * 4 keypad has many inconvenience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small keyboard (hereinafter, virtual) is more easily applied to the Roman alphabet input method, which is the most popular Japanese input method currently used by Japanese people so that even Japanese small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can be easily input To implement a keyboard).
  • butt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rranged in an array of 5 * 4 horizontally * vertically, and the arrangement of 3 * 4 in the middle corresponds to an existing 3 * 4 array (or also referred to as a tenkey array).
  • a is used for the key with ' ⁇ (a)' in the existing Tenkey arrangement
  • k is for the key with ' ⁇ (ka)'
  • ' ⁇ ( s is for the key with 'sa)'
  • t is for the key with 'ta (ta)'
  • n is for the key with ' ⁇ (na)'
  • 'ha (ha)' is for the key.
  • h is m for keys with ⁇ (ma), y for keys with ⁇ (ya), r for keys with ⁇ (ra), and ⁇ (wa) 'W' is arranged in the key where 'is arranged.
  • g, z used when inputting the sound of a sound or a halftone among i, u, e, o, g, z, d, b, p, v, l, etc. which are more necessary characters for inputting all Japanese characters.
  • d, b, and p are arranged together on a key arranged with a representative sound (hearing), and vowels i, u, e, and o are arranged on each of four buttons among the left and right buttons of the 3 * 4 array.
  • the remaining four buttons of the left and right buttons are arranged with function keys such as an input cancel (or delete) button, a multilingual mode, a special symbol mode, and a katakana mode.
  • a method of selecting and inputt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arranged in one key is generally known as a continuous pressing method, or in the case of a touch screen, a representative character of each key is input by touching and releasing the key immediately. You can also swipe left or right to enter characters arranged on the left or right.
  • 1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of use for each character used when entering Japanese characters in Roman.
  • 3 is an arrangement of a codama for entering Roman characters in a mobile phone.
  • Figure 4 shows a three-stage modification of the coda type arrangement.
  • 6 is a character array in which vowels are arranged on the right side.
  • 9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vowels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 FIG. 10 shows an example of screen processing when continuous pressing is performed in the embodiment of FIG.
  • 1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of use for each character used when entering Japanese characters in Roman.
  • This graph is based on data from the Asahi Shimbun and the Yomiuri Shimbun, which were interpreted by 11,433 characters from one side of the Asahi Shimbun and the Yomiuri Shimbun, a part of the inaugural address of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Pitt Gerard-George Bush), E-mail of 20s men and criminal law. (See the source of the technology behind the invention).
  • the vowels a, i, u, e, o are all ranked at the top, consonants n, t, k, s, r, y, m, w, d, g, z, b, p, f, v, q in order to use a lot.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create an easy and fast Roman-based keyboard that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without any special learning without having to go through such an arrangement and having an intuitive arrangement and an intuitive input rule.
  • Consonant consonants are entered using the 'manner' key.
  • press the 'Manor' key press the ' ⁇ ' key to 'g'
  • press the 'Manor' key and press the ' ⁇ ' key to 'd' Press' 'the manner' key and then press the ' ⁇ ' key to enter 'b'.
  • f, j, l, and v which are extended, are entered by pressing the 'Manor' key followed by the ' ⁇ ' key, ' ⁇ ' key, ' ⁇ ' key, and ' ⁇ ' key.
  • this method does not show the consonant to be 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key, but is also confusing because of the display for entering alphabetic characters (for example, to enter 'k' you must press the 2 key, but 'k' is the 5 key.
  • vowels i, u, e, and o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keys, which lacks intuition and requires learning and requires considerable practice.
  • the sound input method also uses a separate key called 'manner' key, which also lacks intuition and requires learning and requires considerable practice.
  • the halftone sound requires the press of the ' ⁇ ' key, which enters the unrelated 'n', together with the 'Manor' key, to form the Roman letter 'p'. Requires learning and practice
  • the vowel key is too far from the consonant keys, so instead of reducing the number of strokes, the fingering is longer (which is cumbersome to enter with one hand), making it hard to see a great effect on its effectiveness.
  • 3 is an arrangement of a codama for entering Roman characters in a mobile phone.
  • This method is characterized by the letter-based input from the existing 3 * 4 keypad base.
  • Figure 4 shows a three-stage modification of the coda type arrangement.
  • the method of pressing the Y key M, W, etc. such as turbid or other consonants of low usage rate will have no intuition and less consistency.
  • the Roman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Tenki arrangement most familiar to peopl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is placed in the position where ' ⁇ (a)' is arranged, 'k' is placed in the position where ' ⁇ (ka)' is arranged, and 's' is placed in the position where ' ⁇ (sa)' is arranged.
  • the top 14 characters showing a total frequency of 91.4%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re inputted in one stroke, which is very efficient, and the vowel keys of a, i, u, e, and o are all in sequence. It's an intuition, so it doesn't need to be learned or memorized.
  • d, g, z, b, and p which are used to input the sound of the sound and the sound of the sound, are arranged together with the characters representing the sound quality. That is, g is arranged with k, z is with s, d is with t, b and p with h, and the key is marked.
  • the v, l and punctuation symbols are not necessarily arranged as shown in the figure.
  • the m, y, r, w, and vl keys are arranged separately, and the ord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implementer.
  • the vl key may be arranged in positions of four rows and two columns.
  • Consecutive pressing refers to the way in which k is entered by pressing the K key once and then the next letter g is entered instead of k by pressing again one more time in succession.
  •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esses the l key, which is a key for making a lowercase letter, on a Japanese keyboard used in a computer, and then presses a letter key to be input in lowercase. For example, if you want to enter a lowercase letter ⁇ of ⁇ (a), you can enter l, a in that order.
  • Another way to enter a lowercase letter is to enter all of the Roman letters that are used to type characters combined with other lowercase letters. For example, if you want to enter ' ⁇ ⁇ (ye)', you can press 'i' to enter ' ⁇ ' and then press 'l' and 'e' to enter ' ⁇ '. You can also type ' ⁇ ⁇ ' directly by pressing 'y' and 'e'. This type of input is already well known to people on computer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rules. For example, a key having an array of t and d is described.
  • One more explanation, when trying to input kk, ss, tt, pp to input the tactile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ter the corresponding key 3, 3, 3, 4, respectively, in particular pp has one more stroke than other touches, which can be bothersome and confus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e more simple way of inputting the consonants which make tactile sounds.
  • a method of inputting a number may be performed by long-pressing a key marked with each number or by writing in a specific direction (preferably in a direction from a representative character). In the case of a drawing, the number is inputted by swiping downward.
  • the number may or may not be marked. It is also possible to enter the numeric mode by calling the numeric keys.
  • 6 is a character array in which vowels are arranged on the right side.
  • this arrangement arranges the vowel keys in a separate key and places them on the right side, and the consonant key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existing ten-key arrangement.
  • m, y, r, and w keys are arranged in order of successive presses, followed by tactile sound, long sound, lowercase prefix (l), and v. It is characterized by inputting in the same way as input.
  • Japanese characters were inputted by continuous tapping, and numbers or other symbols were entered by means other than continuous tapping to maintain consistency.
  • function keys such as input cancellation (deletion), multilanguage, symbol, and katakana mode are arranged, and space and enter key are located at the center part.
  • Space and Enter are not only used for entering blank spaces or changing lines in Japanese input, but also for more complicated functions. Space is used to select suggested characters (usually kanji) that appear on the screen as you type Roman characters.
  • the Enter key is used to confirm the current candidate character in the same state. In other words, the space and the enter key are used more frequently than in other language keyboards. If you are typing in one hand, it is inconvenient to extend your thumb too much or bend too much. .
  • This arrangement is an arrangement where the user selects the i-key, u-key, e-key and o-key rows to the right in the embodiment of FIG.
  • the user setting menu of the devic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et user options for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the left-handed array is selected in the menu,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as shown in the drawing.
  • 9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vowels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 the user setting menu of the device it is preferable to set user options for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left and right arrays are selected in the menu,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as shown in the drawing.
  • FIG. 10 shows an example of screen processing when continuous pressing is performed in the embodiment of FIG.
  • the first figure in the figure shows the ki key of the k key without pressing it.
  • the letter of the k key changes from K to G as shown in the next figure. This is to let you know that when you press one more time, g is entered according to the k key's continuous pressing rule. Now press the k key one more time and the G notation will change to KK as shown in the next figure. Press again and KK will change back to K as shown in the next figure.
  • the color of the kiskin may also be changed to make it more noticeable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anything other than the letter notation.
  • th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two consonants and vowels as shown in the picture, combined in the small device as shown In the tablet computer, etc., the consonant part and the remaining par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separated from both sid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put only with the thumb while holding the device with both hands.
  • the host may be provided with a physical keyboard arr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receiving the scan codes generated therein and converting them into character codes as described above.
  • a virtual keyboard area is allocated to display a key lay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lection or gesture of a specific key in the virtual keyboard is input by an input means (for example, a mouse or a touch),
  • the corresponding value is generated by the input event, and the generated corresponding value may be programmed as described above and replaced with a character.
  • the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technology is that the new character array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electing and inputting the characters are different, and the character strings inputted according to the new system are analyzed and converted into Japanese character input. .

Abstract

본 발명은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소형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본어를 입력하기 위한 소형키보드로서, 3*4키패드에 히라가나의 각 행의 'あ'단의 글자를 순서대로 배열한 텐키방식은 많은 불편이 있다. 기존에도 이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으나, 소형쿼티자판은 너무 작아지는 그 키의 크기로 인해 역시 불편함이 있으며, 새로운 배열과 새로운 입력방식을 갖는 방식들은 사용자들의 학습을 필요로 하여 대부분 선택을 받지 못하여 왔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기기에서도 일본어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현재 일본인들이 가장 즐겨 사용하는 일본어 입력방법인 로마자로 입력하는 방법이 보다 쉽게 적용된 소형 키보드(이하, 가상 키보드 포함)의 구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가로*세로 5*4의 배열로 되어 있고, 가운데의 3*4의 배열은 기존의 3*4배열(또는, 텐키배열이라고도 한다.)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새로운 자판의 배열을 쉽게 암기할 수 있도록, 기존의 텐키 배열방식에서 'あ(a)'가 배열된 키에는 a가, 'か(ka)'가 배열된 키에는 k가, 'さ(sa)'가 배열된 키에는 s가, 'た(ta)'가 배열된 키에는 t가, 'な(na)'가 배열된 키에는 n이, 'は(ha)'가 배열된 키에는 h가, 'ま(ma)'가 배열된 키에는 m이, 'や(ya)'가 배열된 키에는 y가, 'ら(ra)'가 배열된 키에는 r이, 'わ(wa)'가 배열된 키에는 w가 배열된다. 그리고, 모든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더 필요한 문자들인 i, u, e, o, g, z, d, b, p, v, l 등 중에서, 탁음이나 반탁음을 입력할 때 사용되는 g, z, d, b, p는 그 대표음가(청음)가 배열된 키에 함께 배열되고, 모음인 i, u, e, o는 상기 3*4배열의 좌우의 버튼들 중에서 4개의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고, 좌우의 버튼 중에서 나머지 4개의 버튼에는 입력취소(또는 삭제)버튼, 다국어모드, 특수기호모드, 가타가나모드 등의 기능키가 배열된다. 그리고, 하나의 키에 복수로 배열된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연속누르기 방식이나, 또는 터치스크린의 경우에는 각 키의 대표문자는 터치했다 바로 떼는 것으로 입력하고, 키에 대자마자 좌측이나 우측으로 쓸어서 좌측이나 우측에 배열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소형 키보드에서도 일본어 문자를 손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본 발명은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소형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마이크로소프트 일본어 자판 설명서
[문헌 2] 문자빈도표 (http://www7.plala.or.jp/dvorakjp/hinshutu.htm)
(검색일 : 2011. 12. 6)
[문헌 3] 코다마 문자배열 (http://www2u.biglobe.ne.jp/~cws/kodama_1.htm)
(검색일 : 2011. 12. 15)
[문헌 4] 휴대전화기의 로마자 입력방식 (http://www.d-tech.jp/kaihatu/main2.html) (검색일 : 2011. 12. 15)
일본어를 입력하기 위한 소형키보드로서, 3*4키패드에 히라가나의 각 행의 'あ'단의 글자를 순서대로 배열한 텐키방식은 많은 불편이 있다.
기존에도 이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으나, 소형쿼티자판은 너무 작아지는 그 키의 크기로 인해 역시 불편함이 있으며, 새로운 배열과 새로운 입력방식을 갖는 방식들은 사용자들의 학습을 필요로 하여 대부분 선택을 받지 못하여 왔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기기에서도 일본어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현재 일본인들이 가장 즐겨 사용하는 일본어 입력방법인 로마자로 입력하는 방법이 보다 쉽게 적용된 소형 키보드(이하, 가상 키보드 포함)의 구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가로*세로 5*4의 배열로 되어 있고, 가운데의 3*4의 배열은 기존의 3*4배열(또는, 텐키배열이라고도 한다.)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새로운 자판의 배열을 쉽게 암기할 수 있도록, 기존의 텐키 배열방식에서 'あ(a)'가 배열된 키에는 a가, 'か(ka)'가 배열된 키에는 k가, 'さ(sa)'가 배열된 키에는 s가, 'た(ta)'가 배열된 키에는 t가, 'な(na)'가 배열된 키에는 n이, 'は(ha)'가 배열된 키에는 h가, 'ま(ma)'가 배열된 키에는 m이, 'や(ya)'가 배열된 키에는 y가, 'ら(ra)'가 배열된 키에는 r이, 'わ(wa)'가 배열된 키에는 w가 배열된다.
그리고, 모든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더 필요한 문자들인 i, u, e, o, g, z, d, b, p, v, l 등 중에서, 탁음이나 반탁음을 입력할 때 사용되는 g, z, d, b, p는 그 대표음가(청음)가 배열된 키에 함께 배열되고, 모음인 i, u, e, o는 상기 3*4배열의 좌우의 버튼들 중에서 4개의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고, 좌우의 버튼 중에서 나머지 4개의 버튼에는 입력취소(또는 삭제)버튼, 다국어모드, 특수기호모드, 가타가나모드 등의 기능키가 배열된다.
그리고, 하나의 키에 복수로 배열된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연속누르기 방식이나, 또는 터치스크린의 경우에는 각 키의 대표문자는 터치했다 바로 떼는 것으로 입력하고, 키에 대자마자 좌측이나 우측으로 쓸어서 좌측이나 우측에 배열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소형 키보드에서도 일본어 문자를 손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로마자로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때 쓰이는 문자별 사용빈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휴대폰에서 로마자를 입력하는 기존 방식의 하나이다.
도 3은 휴대폰에서 로마자를 입력하는 코다마의 배열이다.
도 4는 코다마식 배열의 3단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배열의 일실시예이다.
도 6은 모음을 우측에 배열한 문자배열이다.
도 7은 기능키를 결합한 실시예이다.
도 8은 왼손잡이를 위한 배열이다.
도 9는 모음을 좌우측에 배열한 실시예이다.
도 10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연속누르기를 하는 경우의 화면처리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은 로마자로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때 쓰이는 문자별 사용빈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는 아사히 신문·요미우리 신문의 일면 및 사설, 미국 역대 대통령의 취임 연설(핏트제라르드~죠지·부시)의 일역, 20대 남성의 E-mail 및 형법으로부터 11만 7,433자를 해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의 출처 참조).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음 a, i, u, e, o는 모두 상위에 랭크되어 있고, 자음은 n, t, k, s, r, y, m, w, d, g, z, b, p, f, v, q의 순으로 많이 쓰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적화된 자판을 만들려면 이러한 출현빈도를 감안한 배열을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바로 그러한 배열에 어긋나지 않으면서도 직관적인 배열과, 또 직관적인 입력규칙을 가져 사람들이 특별히 학습을 통하지 않고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쉽고도 빠른 로마자 기반의 자판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기존의 로마자 기반의 휴대용 자판의 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휴대폰에서 로마자를 입력하는 기존 방식의 하나이다.
이 방식은 도면에 보이는 매너키와 4개의 방향키를 기존 3*4형 키패드에 추가하여 문자입력에 사용한다.
그 입력방식을 자세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모음 입력은 'あ'키를 눌러 'a'를, '↑'키를 눌러 'i'를, '→'키를 눌러 'u'를, '↓'키를 눌러 'e'를, '←'키를 눌러 'o'를 입력하고, 자음 입력은 'か'키를 눌러 'k'를, 'さ'키를 눌러 's'를, 'た'키를 눌러 't'를, 'な'키를 눌러 'n'을, 'は'키를 눌러 'h'를, 'ま'키를 눌러 'm'를, 'や'키를 눌러 'y'를, 'ら'키를 눌러 'r'를, 'わ'키를 눌러 'w'를 입력한다.
탁음의 자음은 '매너'키를 사용하여 입력한다. 즉, '매너'키를 누르고 'か'키를 눌러 'g'를, '매너'키를 누르고 'さ'키를 눌러 'z'를, '매너'키를 누르고 'た'키를 눌러 'd'를, '매너'키를 누르고 'は'키를 눌러 'b'를 입력하는 것이다.
반탁음의 자음은 '매너'키를 누르고 'な'키를 눌러서 입력한다.
'ん'은 'な'키를 두 번 연속 눌러서 'nn'을 입력하면 'ん'이 된다.
촉음은 자음키를 두 번 연속 눌러 입력하고, 구두점은 '매너'키를 누르고 'あ'키를 눌러서 입력하고, 장음기호 '―'는 '매너'키를 두 번 연속 눌러서 입력하고, 소문자는 '매너'키와 'ら'키를 누른 후 소문자가 될 문자를 입력하면 된다.
이밖에 확장로마자인 f, j, l, v는 '매너'키와 각각 'ま'키, 'や'키, 'ら'키, 'わ'키를 연이어 눌러서 입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눌러야 할 자음이 키의 표면에 보이지 않고, 또한 오히려 영문자 입력을 위한 표시 때문에 헷갈리기만 하고(예를 들어, 'k'를 입력하려면 2번키를 눌러야 하지만 'k'는 5번키에서 보이게 된다.), 모음 또한 i, u, e, o는 방향키에 배열이 되어있는 것이 직관성이 부족하여 학습이 필요하고, 또한 상당한 연습을 필요로 한다. 또한, 탁음 입력방식도 '매너'키라는 별도의 키를 사용하여 이 역시 직관성이 부족하여 학습이 필요하고, 또한 상당한 연습을 필요로 한다. 또한, 반탁음은 그 입력할 로마자인 'p'를 아무런 연관이 없는 'n'을 입력하는 'な'키를 '매너'키와 함께 눌러야 하는 방식은 위의 다른 예보다 더 직관성이 부족하여 또한 학습과 연습을 필요로 한다.
이밖에도, 구두점과, 장음, 확장로마자(f, j, l, v), 그리고 소문자 입력방식 또한 직관성이 부족하여 또한 상당한 학습과 연습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모음키가 자음키들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점도 타수를 줄이는 대신 운지거리가 길어져(한 손으로 입력하기에는 번거롭게 된다.), 그 실효성에 있어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기 힘들었다.
도 3은 휴대폰에서 로마자를 입력하는 코다마의 배열이다.
이 방식은 기존 3*4 키패드 기반에서 자모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 방식 또한 직관성이 떨어져, 학습을 통하지 않고는 사용하기 어려움이 있다. Y키를 탁음을 입력하기 위한 선행키로 사용하는 등은 배우지 않고는 전혀 알 수 없을 정도로 직관성이 없는 것이다.
도 4는 코다마식 배열의 3단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Y키를 눌러 탁음이나, 사용률이 떨어지는 다른 자음인 M, W 등을 누르는 방식은 직관성도 없고, 일관성도 떨어진다 할 것이다.
'p'를 입력하기 위해 먼저 Y키를 두 번이나 눌러야 하는 것은 분명 쉽게 이해되지 않는 방식인 것이다.
이상으로, 기존 방식에 대하여 설명을 마치고, 다음은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배열의 일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로마자 배열은 그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람들에게 가장 익숙한 텐키 배열을 그대로 활용한다. 즉, 본 발명은, 'あ(a)'가 배열된 자리에 a를, 'か(ka)'가 배열된 자리에 k를, 'さ(sa)'가 배열된 자리에 s를, 'た(ta)'가 배열된자리에 t를, 'な(na)'가 배열된 자리에 n을, 'は(ha)'가 배열된 자리에 h를, 'ま(ma)'가 배열된 자리에 m을, 'や(ya)'가 배열된 자리에 y를, 'ら(ra)'가 배열된 자리에 r를, 'わ(wa)'가 배열된 자리에 w를 배열하여 누구나 알고 있는 이 배열을 그대로 쓸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이 열 개의 문자 배열에 모음키 네 개를 그 좌측에 더하여 각각 i, u, e, o를 배열을 함으로써, 본 발명의 가장 기본이 되는 상위 14개의 문자가 기본문자로 배열된 원형이 완성된다. 이러한 키의 배열은 한 손으로 입력하기에도 가까워 편리하고, 양손으로 자모를 번갈아 입력하기에도 편리하고, 또한 그 로마자를 해당하는 키에 표시함으로써 직관성이 좋고, 빠르게 찾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출현빈도로 따져서 총 91.4%에 해당하는 빈도를 보이는 상위 14개의 문자가 각각 1타에 입력되어 매우 효율이 좋으며, 또한 a, i, u, e, o의 모음키들이 모두 순서대로 연이어 있어 직관성이 뛰어나 학습할 필요도 없고 암기할 필요도 없는 배열인 것이다.
여기에, 탁음과 반탁음을 입력할 때 사용하는 d, g, z, b, p를 각각 그 청음음가를 나타내는 문자와 함께 배열한다. 즉, g는 k와 함께, z는 s와 함께, d는 t와 함께, b와 p는 h와 함께 배열하고 키에 그 표시를 하여 이 역시 학습이 필요 없는 배열이 된다.
여기에, v를 맨 마지막의 키에 소문자를 만들 때 쓰는 l과 함께 더 배열하였는데, 이는 v는 h와 함께 배열됨이 그 일관성을 유지하기에 좋으나, 이 문자들이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또한 b와 p와 함께 총 네 개의 문자가 하나의 키에 배열되는 것은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는 또 다른 문자인 l을 함께 한 곳에 모아 놓은 것이다.
또 여기에, 겹쳐서 입력할 필요가 없는 문자인 m, y, r, w가 배열된 키와 상기 vl키에 자주 쓰는 문장기호(、, 。, !, ?)와, 장음기호(-)를 각각 하나씩 더 배열한 것이다.
상기 v, l과 문장기호들은 반드시 그림과 같이 배열될 필요는 없다. m, y, r, w, vl키에 각각 나누어 배열하되 그 순서는 실시하는 자의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된 배열이 가능할 것이다.
또, 상기 vl키는 4행 2열의 자리에 배치해도 무방하다.
이제 이렇게 배열된 자판에서 각 배열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 키에서 첫번째에 배열된 문자인 a, i, u, e, o, k, s, t, n, h, m, y, r, w, -는 각각 한 번의 누름으로써 입력된다.
두번째에 배열된 문자인 g, z, d, b, 、, 。, !, ?, v는 각 해당키를 '연속누르기' 방식에 따라 두 번 연속 입력함으로써 입력한다. 연속누르기란 K키를 한 번 누르면 k가 입력되고 다시 연이어 한 번 더 누르면 그 k 대신 그 다음 문자인 g가 입력되는 방식을 말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으로 소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도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일본어 키보드에서 소문자를 만드는 키인 l키를 먼저 누르고 소문자로 입력하고 싶은 문자키를 누르면 해당 문자의 소문자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あ(a)의 소문자 ぁ를 입력하고자 하면 l, a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되는 것이다.
소문자를 입력하는 또 다른 방법은 해당 소문자가 다른 문자와 결합된 형태의 문자를 입력하는 로마자를 모두 함께 입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いぇ(ye)'를 입력하고자 하면 'i'를 눌러 'い'를 입력한 후, 'l'과 'e'를 눌러 'ぇ'를 입력하는 방법도 있지만, 처음부터, 'y'와 'e'를 눌러 곧바로 'いぇ'를 입력해도 되는 것이다. 이런 입력방법 또한 이미 컴퓨터에서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방식이다.
다음은, 소문자 중에 촉음을 나타내는 'っ'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l', 't', 'u'를 차례로 눌러 입력할 수도 있지만, 이미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대로 촉음의 다음에 오는 글자의 자음을 겹쳐서 입력하여 っ를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즉, 'ざっし'에서의 っ를 입력하려면 's'와 'i'를 눌러 입력하는 'し'의 앞글자인 's'를 겹쳐서 입력하면 되는 것이다. 즉, 's', 's', 'i'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っし'가 입력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자음을 겹쳐서 입력하려면, 하나의 키에 복수로 배열된 문자를 연속누르기로 선택하는 이러한 키보드에서 오류를 일으키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즉, '-tt-'를 입력하면 곧, '-d-'로 입력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이러한 촉음 입력법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제공한다. t, d가 배열된 키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t 한 번 = t 입력으로 처리
t 연속 두 번 = d 입력으로 처리
t 연속 세 번 = tt(っt) 입력으로 처리
t 연속 네 번 = dd(っd) 입력으로 처리
t 연속 다섯 번 = 다시 t 입력으로 처리
그리고 계속 더 누르면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여기서, 'っd'처럼 실제 언어생활에서 거의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면 그 과정은 건너뛰도록 구현해도 무방하다.
한 가지 더 설명하면, 촉음을 입력하기 위하여 kk, ss, tt, pp를 입력하고자 할 때,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 해당하는 키를 3번, 3번, 3번, 4번을 입력하게 되는데, 특히 pp는 다른 촉음에 비해 그 타수가 하나 더 많아 불편하기도 하고 자칫 헷갈리기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촉음을 만드는 자음을 중첩하여 입력하는 방식을 좀 더 간편한 것으로 한 가지 더 제공한다.
촉음(っ)을 vl키의 제일 앞에 배열하고 촉음이 필요할 때 한 번 누름으로써 촉음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촉음을 눌러야 할 타이밍에 타이핑을 하는 리듬감을 잃지 않고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음부호는 가타카나 모드에서만 사용되므로 촉음의 후순위로 입력되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물론 그 순서는 실시하는 자의 선택에 달려 있다.
소문자 입력은, 사람들에 따라 l 대신 x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으므로 사용자옵션에 따라 l 대신 x를 배열토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다음은 연속누르기에 따른 다른 키들의 처리방법에 대한 추가설명이다.
m키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한 번 누르면 'm', 두 번 누르면 '、'이 입력되는 것은 일반적인 연속누르기를 따르는 것이므로 당연하다. 그런데, 세 번 누를 때부터는 조금 다르게 구현할 수도 있는데, '、'를 입력하고 다시 'm'으로 시작하는 글자를 입력하려하면 연속누르기에 의해 앞에 입력한 '、'이 다시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두번째 입력인 '、'에서 연속누르기를 멈추고 세번째 입력은 다시 새로운 입력으로 처리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처리방법의 선택은 당업자의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숫자를 입력하게 하는 방법은, 각 숫자가 마킹되어 있는 키를 오래 누르거나 또는 상하좌우 특정 방향(대표문자로부터의 방향대로 입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으로 쓸어서 입력하도록 하면 된다. 도면의 경우라면 아래방향으로 쓸어서 입력하면 숫자가 입력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 숫자는 마킹을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숫자모드로 전환시켜서 숫자키들을 불러 입력하게 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배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모음을 우측에 배열한 문자배열이다.
본 배열은 앞선 배열에서 모음키가 좌측으로 배열되는 것이 아무래도 우측에 배열되는 것보다 자연스럽지 못한 면이 있으므로, 이를 우측으로 배열하면서도 기본적인 키들의 배열을 유지하는 배열예이다.
모음키들을 우측으로 배열하려면 좌측의 1번키에 있는 'A키'를 우측으로 옮겨야 되는데, 이 자리에 실시예 1에서 맨 마지막에 배열된 문자들을 1번키에 배열하고, 대신 그 맨 마지막키에는 그림처럼 모음키를 배열한다.
즉, 이 배열은 모음키를 별도의 키에 배열하여 우측에 두고, 자음키들은 기존의 텐키 배열에 맞추어 배열한 것이 되는 것이다.
앞에 설명한 대로 촉음이 키표면에 표시된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기능키를 결합한 실시예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람들이 탁음과 반탁음은 청음키를 연속으로 눌러서 입력한다는 것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배열이므로 키스킨에는 그 표기를 생략해도 무방하다. 이런 실시는 미관상의 이득이 있다.
본 실시예는 m, y, r, w키의 연속누르기 후순위 문자로써 촉음, 장음, 소문자접두어(l), v를 배열하여, 기본 텐키 자판에 일본어문자 입력에 관한 것들을 모아놓고, 문장부호는 숫자입력과 같은 방법으로 입력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즉, 일본어문자는 연속누르기에 의해서 입력하고 숫자나 다른 기호는 연속누르기 외의 방법으로 입력토록 하여 일관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우측에는 입력취소(삭제), 다국어, 기호, 가타가나모드 등의 기능키를 배열하였으며, 스페이스와 엔터키는 중앙부쪽에 올 수 있도록 하였다. 스페이스와 엔터키는 일본어입력에서 단순히 공란을 입력하거나 행을 바꾸는 용도로만 사용되지 않고 좀 더 복잡한 기능을 하는데, 스페이스는 로마자를 입력함에 따라 화면에 나타나는 추천문자(보통 한자)를 고르는 용도로 사용되며(다음 후보문자로 이동), 엔터키는 같은 상태(로마자 입력 상태)에서 현재의 후보문자를 확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즉, 스페이스와 엔터키는 다른 언어자판에서보다 더 자주 사용되는 키이고, 한손으로 입력하는 경우 너무 구석에 있으면 엄지를 너무 펴야 하거나 너무 구부려야 하는 불편이 있어, 도면에서처럼 중앙부에 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왼손잡이를 위한 배열이다.
이 배열은 도 7의 실시예에서 i키, u키, e키, o키 열을 우측으로 가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의 배열이다.
기기의 사용자설정메뉴에서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에 대한 사용자선택사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메뉴 안에서 왼손잡이배열을 선택하면 도면과 같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모음을 좌우측에 배열한 실시예이다.
이 배열은 도 7의 실시예에서 e키, o키 열을 우측으로 가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의 배열이다. 다른 기능키의 위치는 자동으로 도면과 같이 이동된다.
기기의 사용자설정메뉴에서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에 대한 사용자선택사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메뉴 안에서 좌우배열을 선택하면 도면과 같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연속누르기를 하는 경우의 화면처리예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 탁음이나 반탁음의 표시를 키스킨에 표기하지 않는 대신 해당 키를 누를 때마다 다음에 입력될 문자를 키스킨에 보여주면 규칙을 모르는 사람이라도 쉽게 익히게 될 것이다. 본 그림은 바로 그러한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그림의 첫번째 그림은 누르지 않은 상태의 k키의 키스킨 모습이다. 이때 키를 한 번 누르고 난 후에는 그 다음 그림처럼 k키의 문자표기가 K에서 G로 바뀌게 된다. 이는 한 번 더 누를 경우에는 k키의 연속누르기 규칙상 g가 입력되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이제 k키를 한 번 더 누르면 그 다음 그림처럼 상기 G 표기는 KK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또 한 번 더 누르면 그 다음 그림처럼 KK는 다시 K로 바뀌는 것이다. 여기서, 연속누르기에 의해서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도면처럼 키스킨의 색상도 변화를 주어 좀 더 눈의 띄게 할 수도 있지만, 문자 표기 이외의 변화를 주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태블릿컴퓨터를 가로로 누인 상태에서 양손으로 들고 타이핑을 하려면 엄지손가락만 사용토록 하는 것이 더 쉬운데, 본 발명에 따른 배열은 그림처럼 자음과 모음을 양쪽으로 나누어 제공할 수 있어, 소형 디바이스에서는 도면처럼 결합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태블릿컴퓨터 등에서는 자음부와 나머지부가 서로 떨어져서 양쪽으로 분리되어 기기를 양손으로 들고 있는 상태에서도 엄지만으로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배열과 입력방식은 모두 뛰어난 직관성을 갖추고 있어, 특별한 학습과 연습이 필요 없고, 또한 효율이 좋아 매우 빠른 입력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물리키보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려면, 본 발명에 따라 배치된 물리키보드와, 여기서 발생된 스캔코드를 입력받아 상술한 바처럼 문자코드로 변환시키는 소프트웨어가 호스트에 구비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가상키보드로 구현하려면, 본 발명에 따른 키배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가상키보드 영역을 할당하고, 입력수단(예:마우스나 터치 등)에 의해 가상키보드 내의 특정 키의 선택 또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입력이벤트에 의해 대응값이 발생되고, 발생된 대응값을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하여 문자로 치환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려면, 일반적인 구성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함은 자명하며, 이는 너무나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아주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지, 기존 기술과 다른 점은, 본 발명이 제시하는 새로운 문자배열과 그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이 다른 것이며, 이 새로운 체계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열들을 분석하여 일본어 문자 입력으로 변환시켜주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소형 키보드에서도 일본어 문자를 손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있음

Claims (6)

  1. 로마자로 일본어 입력을 하기 위한 소형 키보드에 있어서,
    버튼의 구성은 중앙부에 기존의 3*4배열(또는, 텐키배열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상기 3*4배열의 좌우에 하나씩의 열들이 더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가로*세로 5*4의 배열로 되어 있고,
    상기 기존의 텐키 배열에 해당하는 버튼들은 1번키(또는 1행 2열키)에는 a가, 2번키(또는 1행 3열키)에는 k가, 3번키(또는 1행 4열키)에는 s가, 4번키(또는 2행 2열키)에는 t가, 5번키(또는 2행 3열키)에는 n이, 6번키(또는 2행 4열키)에는 h가, 7번키(또는 3행 2열키)에는 m이, 8번키(또는 3행 3열키)에는 y가, 9번키(또는 3행 4열키)에는 r이, 0번키(또는 4행 2열키에서 4행 4열키 중의 어느 하나)에는 w가 배열되고,
    그리고, 탁음이나 반탁음을 입력할 때 사용되는 g, z, d, b, p는 그 대표음가(청음)가 배열된 키에 함께 배열되고,
    모음인 i, u, e, o는 상기 3*4배열의 좌우의 버튼들 중에서 4개의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고, 좌우의 버튼 중에서 나머지 4개의 버튼에는 입력취소(또는 삭제)버튼, 다국어모드, 특수기호모드, 가타가나모드 등의 기능키가 배열되고,
    상기 2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g'가, 셋째문자 자리에 'kk'가, 3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z'가, 셋째문자 자리에 'ss'가, 4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d'가, 셋째문자 자리에 'tt'가, 6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b'가, 셋째문자 자리에 'p'가, 넷째문자 자리에 'pp'가 배열되고,
    각 키에서 대표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대표문자가 입력되고, 둘째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둘째문자가 입력되고, 셋째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셋째문자가 입력되고, 넷째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넷째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소형 키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키들과, 상기 7번키, 8번키, 9번키, 0번키들의 둘째문자 자리에 장음부호(-) 또는 촉음과, 주요 문장부호(、, 。, !, ? 등) 등이 하나씩 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소형 키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대표문자를 선택하는 방식은 해당 키를 한 번 누르는 것이고, 둘째문자를 선택하는 방식은 해당 키를 연속하여 두 번 누르는 것이고, 셋째문자를 선택하는 방식은 해당 키를 연속하여 세 번 누르는 것이고, 넷째문자를 선택하는 방식은 해당 키를 연속하여 네 번 누르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소형 키보드.
  4. 제 2항에 있어서,
    장음부호(-) 또는 촉음과, 주요 문장부호(、, 。, !, ? 등) 등이 하나씩 더 배열되는 방법은, 촉음, 장음, v, l이 7번키, 8번키, 9번키, 0번키에 각각 하나씩 나누어 배열되고, i키, u키, e키, o키에 주요 문장부호(、, 。, !, ?)가 각각 하나씩 나누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소형 키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a키를 제외한 상기 모음키들이 좌측에, 또는 우측에, 또는 좌우측으로 나뉘어 배치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소형 키보드.
  6. 로마자로 일본어 입력을 하기 위한 소형 키보드를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버튼의 구성은 중앙부에 기존의 3*4배열(또는, 텐키배열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상기 3*4배열의 좌우에 하나씩의 열들이 더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가로*세로 5*4의 배열로 되어 있고,
    상기 기존의 텐키 배열에 해당하는 버튼들은 1번키(또는 1행 2열키)에는 a가, 2번키(또는 1행 3열키)에는 k가, 3번키(또는 1행 4열키)에는 s가, 4번키(또는 2행 2열키)에는 t가, 5번키(또는 2행 3열키)에는 n이, 6번키(또는 2행 4열키)에는 h가, 7번키(또는 3행 2열키)에는 m이, 8번키(또는 3행 3열키)에는 y가, 9번키(또는 3행 4열키)에는 r이, 0번키(또는 4행 2열키에서 4행 4열키 중의 어느 하나)에는 w가 배열되고,
    그리고, 탁음이나 반탁음을 입력할 때 사용되는 g, z, d, b, p는 그 대표음가(청음)가 배열된 키에 함께 배열되고,
    모음인 i, u, e, o는 상기 3*4배열의 좌우의 버튼들 중에서 4개의 버튼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고, 좌우의 버튼 중에서 나머지 4개의 버튼에는 입력취소(또는 삭제)버튼, 다국어모드, 특수기호모드, 가타가나모드 등의 기능키가 배열되고,
    상기 2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g'가, 셋째문자 자리에 'kk'가, 3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z'가, 셋째문자 자리에 'ss'가, 4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d'가, 셋째문자 자리에 'tt'가, 6번키의 둘째문자 자리에 'b'가, 셋째문자 자리에 'p'가, 넷째문자 자리에 'pp'가 배열되고,
    각 키에서 대표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대표문자가 입력되고, 둘째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둘째문자가 입력되고, 셋째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셋째문자가 입력되고, 넷째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넷째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소형 키보드를 구현하는 방법.
PCT/KR2012/011010 2011-12-16 2012-12-17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WO2013089534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47115A JP5882497B2 (ja) 2011-12-16 2012-12-17 小型日本語キーボード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203 2011-12-16
KR20110136203 2011-12-16
KR1020120121674A KR20130069363A (ko) 2011-12-16 2012-10-30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2012-0121674 2012-10-30
KR10-2012-0131234 2012-11-19
KR1020120131234A KR20130069391A (ko) 2011-12-16 2012-11-19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2012-0146759 2012-12-14
KR1020120146759A KR20130069517A (ko) 2011-12-16 2012-12-14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9534A2 true WO2013089534A2 (ko) 2013-06-20
WO2013089534A3 WO2013089534A3 (ko) 2013-08-08

Family

ID=4861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11010 WO2013089534A2 (ko) 2011-12-16 2012-12-17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3089534A2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8245B2 (ja) * 1998-10-05 2002-09-24 中部日本電気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文字入力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998998B2 (ja) * 2002-03-04 2007-10-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8131581A (ja) * 2006-11-24 2008-06-05 Ikusu Un モバイル器機の日本語文字入力方法
JP2009129438A (ja) * 2007-11-26 2009-06-11 Yasuhiko Satake 携帯入力装置
WO2011142606A2 (ko) * 2010-05-13 2011-11-17 (주)아이티버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8245B2 (ja) * 1998-10-05 2002-09-24 中部日本電気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文字入力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998998B2 (ja) * 2002-03-04 2007-10-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8131581A (ja) * 2006-11-24 2008-06-05 Ikusu Un モバイル器機の日本語文字入力方法
JP2009129438A (ja) * 2007-11-26 2009-06-11 Yasuhiko Satake 携帯入力装置
WO2011142606A2 (ko) * 2010-05-13 2011-11-17 (주)아이티버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9534A3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6258B1 (en) Keypad
WO2011010835A2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영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CN101183296A (zh) 通过手机触摸屏上显示的虚拟双拼键盘输入汉字
KR20070053797A (ko) 정보단말기용 키보드 및 그 배열방법
CN101251781A (zh) 通过手机横屏状态显示的虚拟键盘进行输入和功能操作
JPH1115584A (ja)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および電子機器
JP2009501963A (ja) 3列4行のキーパッドを利用して漢字を入力する方法
WO2012165920A2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WO2011055998A2 (en) Method and mediu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touch screen
WO2012026657A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8059568A (ja) 数字キー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WO2023075565A1 (ko) 일본어 문자 입력기 및 입력 방법
JP5882497B2 (ja) 小型日本語キーボード及び方法
WO2009096761A2 (ko) 문자열 예측 입력방법 및 그 방법이 구현되는 전자장치
WO2013089534A2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WO2014017840A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WO2010090421A9 (ko) 사전식 순서 및 사용 빈도를 이용한 문자 및 기능키 입력 장치
EP1875620B1 (en)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s using the same
JP5650345B2 (ja) 子音英字キーからの母音英字及び仮名によるフリック操作方法。
KR20120056582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중국어 문자입력장치
CN100363877C (zh) 全屏幕触摸屏键盘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JP2012113685A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方法
WO2023243818A1 (ko)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
KR101615862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와 숫자입력 자판 및 그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572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document number: 201454711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572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